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3-04)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07-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다음 중 그래픽 출력장치인 것은?

  1. 플로터
  2. OCR
  3. 마우스
  4. 디지타이저
(정답률: 82%)
  • 플로터는 컴퓨터에서 만든 그림이나 디자인을 실제로 출력하는 그래픽 출력장치입니다. 따라서 플로터가 정답입니다. OCR은 이미지나 문서를 스캔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장치, 마우스는 입력장치, 디지타이저는 그림이나 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팩시밀리에서 송신주사를 분류하였을 때 전자적 주사방식에 속하는 것은

  1. 원통주사
  2. 평면주사
  3. 고체주사
  4. 기계주사
(정답률: 74%)
  • 전자적 주사방식은 전자빔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고체주사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샘플의 표면을 스캔하면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고체주사는 전자적 주사방식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기능과 맞지 않는 것은?

  1. 데이터베이스 내의 자료관계를 설정한다.
  2. 자료의 보안을 담당하지 않아도 된다.
  3. 자료의 회복(recovery) 능력을 갖추고 있다.
  4. 질의어(query language) 능력을 갖추고 있다.
(정답률: 92%)
  • 정답은 "자료의 보안을 담당하지 않아도 된다." 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은 자료의 보안을 담당하는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자료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하고, 불법적인 접근을 방지하는 등의 보안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은 자료의 보안을 담당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맞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분산처리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혼합형 분산처리 시스템
  2. 계층형 분산처리 시스템
  3. 수평형 분산처리 시스템
  4. 관계형 분산처리 시스템
(정답률: 43%)
  • 관계형 분산처리 시스템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처리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다른 분산처리 시스템과는 구조와 방식이 다르며, 분산처리의 형태로는 분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료저장 기기로서 종이에 인쇄된 정보를 축소 촬영한 필름에 저장하는 기기는?

  1. CAR(Computer Assisted Retrieval)
  2. COM(Computer Output Microfilm)
  3. 광 디스크
  4. CD-ROM
(정답률: 65%)
  • COM은 컴퓨터 출력물을 필름에 저장하는 기기로, 종이에 인쇄된 정보를 축소 촬영하여 필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보를 보존하고 검색하기 위한 자료저장 기기로 사용됩니다. CAR은 컴퓨터 지원 검색 시스템이며, 광 디스크와 CD-ROM은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COM이 종이에 인쇄된 정보를 필름에 저장하는 기기인 것이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사무자동화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산업구조가 농업 및 공업 중심 사회에서 정보화사회로 변하여 정보의 적기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2. 산업인력의 고학력화로 인하여 개인의 능력이 극대화되어 상대적으로 자동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3. 인건비 상승과 사무실 운영비용의 증가로 사무부분의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4. 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 이용이 보편화되었다.
(정답률: 91%)
  • 정답: "산업인력의 고학력화로 인하여 개인의 능력이 극대화되어 상대적으로 자동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설명: 산업인력의 고학력화로 인해 개인의 능력이 향상되어 자동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는 주장은 옳지 않습니다. 사무자동화는 인력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며, 인력의 능력 향상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사무자동화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안전이나 법적인 이유로 한 번 기록된 후에는 변경해서는 안될 자료 즉, 은행이나 중개소의 거래내력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CD-ROM
  2. WORM 디스크
  3. 소거 광디스크
  4. 플로피 디스켓
(정답률: 77%)
  • WORM 디스크는 Write Once Read Many의 약자로, 한 번 기록된 후에는 변경이 불가능하며 읽기만 가능한 디스크이기 때문에 안전하게 자료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 CD-ROM은 기록 후에도 삭제가 가능하므로 안전하지 않습니다. 소거 광디스크는 기록 후에도 삭제가 가능하며, 플로피 디스켓은 저장 용량이 작고 내구성이 낮아 안전한 보관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전자우편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빠른 정보수신
  2. 지역적 공간의 해결
  3. 빠른 의사결정
  4. 종이 및 우편 요금의 절약
(정답률: 90%)
  • 전자우편의 일반적인 특성은 "빠른 의사결정"이 아니다. 전자우편은 빠른 정보수신과 지역적 공간의 해결, 종이 및 우편 요금의 절약 등의 장점이 있지만,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전자우편만으로 충분한 정보를 얻기 어렵고, 대화나 회의 등의 추가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뉴미디어의 분류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를 기준으로 한 분류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계
  2. 무선계
  3. 유선계
  4. 패키지계
(정답률: 66%)
  • "데이터계"는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가 아니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기술적인 분야를 의미하기 때문에,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를 기준으로 한 분류방법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데이터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DPS(Data Processing System)는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장치, 방식, 절차, 기술의 모임이다.
  2.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기업 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업 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 시스템이다.
  3.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는 경영진과 관리진에게 투자, 판매, 보수, 자본계정, 환수계정 등 경영정보를 제공하는 자료의 처리체계를 말한다.
  4. MS(Management Science)는 문제해결의 방법으로 취급되는 통계적 결정론이나 선형계획법, 운영과학 등을 통칭한 분야이다.
(정답률: 50%)
  • MS(Management Science)는 문제해결의 방법으로 취급되는 통계적 결정론이나 선형계획법, 운영과학 등을 통칭한 분야이다. - 이유: MS는 용어가 아니라 분야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이 적합하지 않다.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기업 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업 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 시스템이다. - 이유: CRM은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중 전기 통신 사업자에게 임차한 통신 회선에 자신의 통신망을 연결시켜 메일박스 서비스나 프로토콜 변환, 포맷 변환 등의 부가가치 통신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분할하여 재판매하는 통신처리망은?

  1. LAN
  2. WAN
  3. VAN
  4. ISDN
(정답률: 83%)
  • VAN은 공중 전기 통신 사업자에게 임차한 회선을 이용하여 부가가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처리망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제시된 상황과 일치하며,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LAN은 지역 내 네트워크, WAN은 광역 네트워크, ISDN은 디지털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사무자동화의 목적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사무처리의 비용 절감
  2. 사무부분의 생산성 향상
  3. 사무처리의 질적 향상
  4. 사무원의 건강증진
(정답률: 96%)
  • 사무자동화의 목적은 주로 사무처리의 비용 절감, 사무부분의 생산성 향상, 사무처리의 질적 향상 등과 같은 경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므로, "사무원의 건강증진"은 적절한 목적이 아니다. 사무자동화는 사무원의 건강증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이와 같은 목적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정책을 통해 추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CALS(Commerce At Light Speed)의 도입 효과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비용절감 및 신속한 정보의 제공
  2. 처리시간의 단축 및 품질향상
  3. 종이 없는 환경구축과 인력절감
  4.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다양한 통신서비스 제공
(정답률: 69%)
  •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다양한 통신서비스 제공은 CALS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이를 도입함으로써 기업은 여러 개의 통신 회선을 유지할 필요 없이 하나의 회선으로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비용절감과 함께 신속한 정보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며, 처리시간의 단축과 품질향상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종이 없는 환경구축과 인력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운영체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Windows XP
  2. Oracle
  3. Unix
  4. MS-DOS
(정답률: 89%)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따라서 "Oracle"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므로 운영체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CD-ROM과 DV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배속 CD-ROM의 전송속도는 150KB/초이다.
  2. DVD는 외형은 CD와 같으나 다른 포맷으로 저장되며 높은 용량을 갖는다.
  3. DVD는 CD-ROM과 다른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하므로 DVD 플레이어는 기존 CD-ROM을 재생할 수 없다.
  4. CD-ROM과 DVD는 기록 표면에 레이저를 쏘아 반사 정도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읽는다.
(정답률: 69%)
  • "DVD는 CD-ROM과 다른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하므로 DVD 플레이어는 기존 CD-ROM을 재생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CD-ROM과 DVD는 레이저 파장이 다르지만, DVD 플레이어는 CD-ROM도 재생할 수 있다. 이는 DVD 플레이어가 CD-ROM과 DVD 모두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인터넷 서비스에서 다른 컴퓨터를 자신의 컴퓨터와 같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은?

  1. Telnet
  2. Archie
  3. FTP
  4. E-mail
(정답률: 84%)
  • Telnet은 인터넷 서비스에서 다른 컴퓨터를 자신의 컴퓨터와 같이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지들은 파일 검색, 파일 전송, 이메일 등 다른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된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단위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bit
  2. byte
  3. word
  4. bps
(정답률: 79%)
  • 정답은 "bps"입니다.

    "bit", "byte", "word"는 모두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bps"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bps"는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나타내는데, 이는 데이터의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bps"는 다른 세 단위와는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사진 등의 정지화상을 압축하는 기술의 표준은?

  1. JPEG
  2. MPEG
  3. DDP
  4. FED
(정답률: 95%)
  • JPEG은 정지화상을 압축하는 표준 기술로, 이미지를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을 독립적으로 압축하고 저장함으로써 이미지를 압축합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의 용량을 줄이면서도 이미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무자동화시스템의 주요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문서화 기능
  2. 정보활용 기능
  3. 통신 기능
  4. 분업화 기능
(정답률: 69%)
  • 사무자동화시스템의 주요기능으로는 문서화 기능, 정보활용 기능, 통신 기능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분업화 기능은 다른 기능들과는 다르게 사무자동화시스템의 주요기능이 아닙니다. 분업화 기능은 조직 내에서 업무를 분담하고 협업하는 것을 돕는 기능으로, 사무자동화시스템의 보조적인 기능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분업화 기능은 사무자동화시스템의 주요기능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사무자동화의 평가 방법 중 정성적 평가에 해당되는 것은?

  1. 사무환경 개선에 따른 업무 만족도
  2. 인력의 능률적 활용
  3. 공간의 효율적 사용
  4. 업무 시간의 효율적 활용
(정답률: 79%)
  • "사무환경 개선에 따른 업무 만족도"는 사무자동화 도입으로 인해 업무 환경이 개선되어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정성적인 평가 방법에 해당됩니다. 이는 직원들의 주관적인 경험과 인식을 반영하므로, 사무자동화 도입의 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다음 중 사무 표준화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정책(policies)
  2. 재료(materials)
  3. 방법(methods)
  4. 보안(securities)
(정답률: 74%)
  • 보안은 사무 표준화의 대상이 아니라 보안 정책(policy)의 대상입니다. 사무 표준화는 조직 내에서 일관성 있는 작업 방법, 문서화, 프로세스 및 절차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반면 보안은 조직의 자산과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 절차 및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보안은 사무 표준화의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국제 표준으로 규정한 “정보교환을 위한 7비트 문자 집합”으로, 정보처리시스템이나 데이터 통신 관련기기 상호간의 정보교환에 사용되는 부호(코드)는?

  1. ISO 코드
  2. IEEE 코드
  3. ITU 코드
  4. OSI 코드
(정답률: 51%)
  • 정보교환을 위한 7비트 문자 집합을 규정한 것이 ISO(국제 표준화 기구)이기 때문에, 이를 ISO 코드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IEEE(미국 전기전자학회), ITU(국제 전기통신 연합), OSI(개방 시스템 상호연결)와 관련된 부호(코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무조직은 크게 집중화와 분산화로 구분된다. 다음 중 집중화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2. 감독이 용이하고 사무량 측정이 용이하다.
  3. 사무의 요구에 따른 인원의 육성이 용이하다.
  4. 작업량의 균일화가 가능하다.
(정답률: 66%)
  •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은, 조직 내에서 중앙집중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조치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시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집중화 조직이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무는 경영의 정보를 행동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이라고 주장한 사람은 누구인가?

  1. 포레스터(J.W. Forrester)
  2. 달링톤(G,M. Darlington)
  3. 힉스(C.H. Hicks)
  4. 딕시(L.R. Dicksee)
(정답률: 60%)
  • “사무는 경영의 정보를 행동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이라는 주장을 한 사람은 포레스터(J.W. Forrester)입니다. 포레스터는 경영과학 분야에서 활동한 학자로서,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이론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이론은 조직 내부의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경영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방법론으로, 사무와 경영 정보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따라서 포레스터는 사무가 경영 정보를 행동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이라는 주장을 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국가 차원의 정보화촉진기본계획은 어떻게 수립되는가?

  1. 대통령 직속의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에서 수립한다.
  2. 국무총리 소속하의 정보화추진위원회에서 수립한다.
  3.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각각 수립한다.
  4. 정보통신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별 부분계획을 종합하여 수립한다.
(정답률: 84%)
  • 국가 차원의 정보화촉진기본계획은 정보통신분야를 총괄하는 정보통신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별 부분계획을 종합하여 수립합니다. 이는 정보통신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인력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사무관리의 일반적인 순환구조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1. 계획화-보고화-조직화
  2. 계획화-조직화-통제화
  3. 계획화-통제화-보고화
  4. 조직화-통제화-보고화
(정답률: 84%)
  • 사무관리의 일반적인 순환구조는 "계획화-조직화-통제화"이다. 이는 먼저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수립한 후, 조직을 구성하고 업무를 분담하여 실행하며, 이를 통제하고 평가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사무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절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획화-조직화-통제화"가 가장 적절한 순환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무자동화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시설비 및 관리비 증가 효과
  2. 행정사무의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효과
  3. 표준 서식을 사용함으로써 불편해소의 효과
  4. 보존 공간 절약으로 주변, 사무실 환경개선의 효과
(정답률: 66%)
  • "시설비 및 관리비 증가 효과"는 사무자동화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오히려 사무자동화를 도입함으로써 시설 및 관리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다른 세 가지 보기와는 달리 사무자동화의 효과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동작의 경제원칙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은?

  1. 발로 할 수 있는 일은 오른손을 사용한다.
  2. 왼손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오른손을 사용하지 않는다.
  3. 가능한 한 양쪽이 동시에 작업을 시작하되 끝날 때는 각각 끝나도록 한다.
  4. 동작의 경제원칙은 본래 생산작업을 대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사무작업에는 응용할 수 없다.
(정답률: 77%)
  • 왼손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오른손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작업을 할 때 가능한 최소한의 노력과 비용으로 작업을 수행하려는 경제적인 원칙을 나타냅니다. 왼손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오른손을 사용하는 것은 불필요한 추가 비용과 노력이 들어가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경우에는 왼손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왼손으로 처리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경영조직의 형태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라인(line) 조직
  2. 직선 조직
  3. 군대식 조직
  4. 스탭조직
(정답률: 56%)
  • 스탭조직은 주로 전문적인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로, 의견 제시나 조언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라인 조직, 직선 조직, 군대식 조직은 모두 직접적인 업무 수행과 책임을 지는 조직 형태입니다. 따라서 스탭조직은 다른 조직들과 달리 결정 권한이 없고, 주로 지원 업무에 집중하는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사무실 배치의 일반적인 원칙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고객이 많은 부서는 입구근처에 배치한다.
  2. 가능한 독방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3. 업무상 관련이 깊은 부서는 가능한 한 가깝게 둔다.
  4. 큰방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정답률: 91%)
  • 가능한 독방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무실 배치 원칙 중 하나이다. 그러나 "큰방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는 일반적인 원칙이 아니며, 큰방이 항상 최선의 선택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은 팀이 작은 방에서 일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일반적인 사무실 배치 원칙이 아니다.

    가능한 독방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개인적인 업무나 민감한 업무를 처리할 때 개인 정보 보호와 집중력 유지를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독방은 회의나 팀 프로젝트 등 공동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독방을 배치하는 것은 사무실 내 개인적인 업무와 공동 작업 모두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약어는?

  1. G7
  2. OECD
  3. ECONO
  4. EU
(정답률: 90%)
  • 정답: OECD

    OECD는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의 약어입니다. 이는 경제 협력과 발전을 위한 국제 기구로, 1961년에 설립되었습니다. 회원국들은 경제, 사회,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며, 경제 발전과 국제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프로그램 저작권의 유효기간은?

  1. 프로그램이 공표된 경우, 공표된 연도부터 100년간 존속
  2. 프로그램이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50년간 존속
  3. 프로그램이 공표가 안된 경우에는 창작 연도부터 10년간 존속
  4. 프로그램이 공표가 안된 경우에는 창작 연도부터 20년간 존속
(정답률: 85%)
  • 정답은 "프로그램이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50년간 존속"입니다. 이유는 저작권법 제35조에 따라 프로그램의 저작권 보호 기간은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50년간 유효하며, 이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이 기간 내에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자료의 십진분류 방법 중에서 우리나라의 일반자료의 분류에 많이 사용되는 분류법은?

  1. DOC
  2. UDC
  3. NDC
  4. KDC
(정답률: 92%)
  • 우리나라의 일반자료의 분류에 많이 사용되는 분류법은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이다. 이는 한국 도서관계에서 사용되는 분류법으로, 한국의 문화와 특성에 맞게 개발된 분류법이다. KDC는 주제별로 10개의 대분류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대분류는 10개의 중분류로, 중분류는 10개의 소분류로 세분화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KDC는 다양한 주제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검색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과학적 사무관리를 위한 기본적 단계 중 첫 번째 단계는?

  1. 자료의 수집
  2. 가설의 공식화
  3. 해결책의 적용
  4. 문제의 인식
(정답률: 87%)
  • 과학적 사무관리를 위한 기본적 단계 중 첫 번째 단계는 문제의 인식입니다. 이는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파악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단계들은 이러한 문제의 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의 인식이 가장 기본적인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무자동화에 이용되는 동작연구와 시간연구의 기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서식 절차 도표
  2. 기구 도표
  3. 작업 도표
  4. 서식 경략 도표
(정답률: 68%)
  • 기구 도표는 사무자동화와는 관련이 없는 제조업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 기계나 장비의 부품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표이기 때문에 사무자동화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반면에, 서식 절차 도표, 작업 도표, 서식 경략 도표는 모두 사무자동화에 이용되는 동작연구와 시간연구의 기법으로, 업무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분석하여 개선하는 데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무조직화의 일반원칙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일련의 계통이 설정되어, 그 책임과 권한이 완전하게 행사되어야 한다.
  2. 할당된 직무는 충분히 많아야 하며, 책임이 상호간 중복되어야 한다.
  3. 직원 각자의 책임과 권한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중 위임을 활성화 한다.
  4. 한 사람의 관리자가 직접 감독할 수 있는 부하 직원의 수나 조직의 수는 관리자의 능력에 따라 제한이 없다.
(정답률: 73%)
  •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일련의 계통이 설정되어, 그 책임과 권한이 완전하게 행사되어야 한다는 원칙은 조직 내에서 각각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분담하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의사결정과 업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조직 내에서 혼란과 중복을 최소화하고,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기업이 기업만을 대상으로 각정 서비스나 물품을 판매하는 방식을 말한다.
  2. 기업 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지정한 데이터와 문서의 표준화 시스템이다.
  3. 종이 서류 대신 전산망을 이용하여 문서의 승인이나 신고 등의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4. 어떤 특정한 목적의 응용을 위해 상호 연관성이 있도록 자료를 저장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모아둔 것이다.
(정답률: 84%)
  • EDI는 기업 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지정한 데이터와 문서의 표준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사무작업의 효율화를 위한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체 사용에 관한 원칙
  2. 작업장의 배열에 관한 원칙
  3. 공구 및 장비의 설계에 관한 원칙
  4. 작업원의 써블릭 원칙
(정답률: 70%)
  • 작업원의 써블릭 원칙은 동작경제의 원칙이 아니라 인체공학의 원칙이다. 이 원칙은 작업자의 신체적 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작업환경을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작업원의 써블릭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컴퓨터 등 정보처리 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어 송·수신 또는 저장된 문서형식의 자료로서 표준화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공문서
  2. 전자문서
  3. 프로그램
  4. 프로토콜
(정답률: 64%)
  • 전자문서는 컴퓨터 등 정보처리 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해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어 송·수신 또는 저장된 문서형식의 자료로서 표준화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문서", "프로그램", "프로토콜"은 전자문서와는 다른 개념이므로 정답은 "전자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프로그램 저작권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분쟁을 조정하기 위한 기구는?

  1.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3. 통신위원회
  4. 정보화추진위원회
(정답률: 72%)
  •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는 프로그램 저작권에 관한 분쟁을 조정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심의를 수행하는 기구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PCB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할당되지 않은 주변 자원의 정보
  2. 프로세스 이름 및 고유 식별자
  3. 프로세스 우선 순위
  4.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정답률: 49%)
  • PCB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Process Control Block)의 약자로, 운영체제가 각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유지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 구조이다. PCB에는 프로세스 이름 및 고유 식별자, 프로세스 우선 순위,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통해 운영체제는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할당되지 않은 주변 자원의 정보"는 PCB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PCB가 프로세스의 실행에 필요한 자원들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PCB에는 할당된 자원의 정보만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언어에서 문자형 자료 선언시 사용하는 것은?

  1. char
  2. int
  3. float
  4. double
(정답률: 61%)
  • 문자형 자료를 선언할 때는 "char"를 사용합니다. 이는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으로, 한 글자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int"는 정수형 자료, "float"는 실수형 자료, "double"은 더블형 자료를 선언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운영체제를 수행 기능에 따라 분류할 경우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시 프로그램
  2.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3. 언어 번역 프로그램
  4. 작업 제어 프로그램
(정답률: 79%)
  • 운영체제의 수행 기능에는 감시, 데이터 관리, 작업 제어 등이 포함되지만, 언어 번역은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언어 번역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거나 인터프리트하여 실행 가능한 코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의 제어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EBNF에서 { }를 사용하는 이유는?

  1. 블록(block)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2. 생략 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3. 반복되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4. 선택사항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84%)
  • { }는 반복되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해당 구문이 0번 이상 반복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반복 횟수에 제한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가장 적당한 언어는?

  1. BASIC
  2. C
  3. COBOL
  4. FORTRAN
(정답률: 88%)
  •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하드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메모리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다루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수준의 제어가 필요하며, C 언어는 이러한 저수준의 제어를 지원하는 언어입니다. 또한 C 언어는 컴파일러가 존재하므로, 실행 속도가 빠르고 메모리 사용량이 적어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C 언어가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가장 적합한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고급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
  2. 저급 언어보다 배우기 쉽다.
  3. 기종 간에 큰 차이가 없어 호환성이 높다.
  4. COBOL은 고급 언어에 해당한다.
(정답률: 49%)
  •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는 고급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고급 언어는 컴파일 과정을 거쳐 기계어로 변환되어야 실행 가능합니다. 이는 저급 언어와 구분되는 특징 중 하나입니다.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한 언어는 스크립트 언어(scripting language)로 분류되며, 이는 고급 언어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스크립트 언어는 인터프리터(interpreter)를 통해 실행되며, 컴파일 과정이 없습니다.

    따라서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가 고급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이유는 고급 언어는 컴파일 과정을 거쳐야만 실행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구조적 프로그래밍과 거리가 먼 것은?

  1. GOTO문
  2. 순차실행문
  3. 선택실행문
  4. 반복실행문
(정답률: 59%)
  • GOTO문은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핵심 원칙 중 하나인 제어 흐름의 명확성을 해치기 때문에 구조적 프로그래밍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GOTO문은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임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떨어뜨리며, 버그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구조적 프로그래밍에서는 GOTO문 대신 순차실행문, 선택실행문, 반복실행문 등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링킹(linking)
  2. 바인딩(binding)
  3. 로딩(loading)
  4. 디버깅(debugging)
(정답률: 93%)
  • 디버깅은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와 관련된 보기 중에서는 디버깅이 정답이다. 링킹은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바인딩은 변수나 함수를 메모리 주소에 연결하는 과정을 말한다. 로딩은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올리는 과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위식(infix)을 후위식(postfix)으로 옳게 표현한 것은?

  1. A D K * -
  2. - A * D K
  3. A D K - *
  4. - * A D K
(정답률: 85%)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연산자는 그대로 출력합니다.
    2. 연산자는 스택에 넣습니다.
    3. 연산자를 넣을 때, 스택의 top에 있는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더 높거나 같으면 top의 연산자를 출력하고 pop한 후에 현재 연산자를 스택에 넣습니다.
    4. 중위식을 모두 읽은 후에 스택에 남아있는 연산자를 모두 출력합니다.

    위의 방법을 따라서 주어진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D * K)

    1. A를 출력합니다.
    2. -를 스택에 넣습니다.
    3. *를 스택에 넣습니다.
    4. D를 출력합니다.
    5. K를 출력합니다.
    6. *를 출력합니다.
    7. -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D K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프로그램 문서화의 목적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프로그램 개발팀에서 운용팀으로 인계인수를 쉽게 할 수 있다.
  2. 사고 발생시 책임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다.
  3. 프로그램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프로그램 개발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76%)
  • 사고 발생시 책임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다는 것은, 프로그램이 문제가 발생했을 때 누구의 책임인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문서화를 해놓는 것이다. 이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거나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문서화의 목적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컴퓨터에 의하여 직접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읽어 이해하기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기록한 부분으로 프로그램의 판독성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예약어(reserved word)
  2. 주석(comment)
  3. 연산식(expression)
  4. 식별자(identifier)
(정답률: 51%)
  • 주석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를 작성하는 것으로, 컴퓨터가 직접 실행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석은 프로그램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프로세스의 정의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PCB를 가진 프로그램
  2.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단위
  3.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
  4. 실행중인 프로그램
(정답률: 45%)
  • "PCB를 가진 프로그램"은 프로세스의 정의로 적당하지만,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단위"는 프로세스의 정의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단위"는 프로세스의 정의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프로그램 수행 순서가 옳은 것은?

  1. ②→④→⑤→①→③
  2. ⑤→④→②→①→③
  3. ②→③→④→①→⑤
  4. ④→①→③→②→⑤
(정답률: 89%)
  • ②에서는 변수 a와 b에 각각 10과 20을 대입하고, ④에서는 a와 b의 값을 서로 바꾸어줍니다. 그리고 ⑤에서는 a와 b의 값을 출력하고, ①에서는 변수 c에 a와 b를 더한 값을 대입합니다. 마지막으로 ③에서는 변수 c의 값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수행 순서는 ②→④→⑤→①→③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효율성이 좋아. 대규모의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2. 포인터에 의한 번지 연산 등 다양한 연산 기능을 가진다.
  3. 인터프리터 기법의 언어이다.
  4. 이식성이 높은 언어이다.
(정답률: 54%)
  • C언어는 컴파일러 기법의 언어이며, 인터프리터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터프리터 기법의 언어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컴파일 과정 중 원시 프로그램을 하나의 긴 스트링으로 보고 원시 프로그램을 문자 단위로 스캐닝하여 문법적으로 의미있는 일련의 문자(토큰)들로 분할해 내는 작업은?

  1. 구문분석
  2. 원시분석
  3. 선행처리
  4. 어휘분석
(정답률: 69%)
  • 어휘분석은 원시 프로그램을 문자 단위로 스캐닝하여 문법적으로 의미있는 일련의 문자(토큰)들로 분할해 내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컴파일 과정 중 원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토큰으로 분할하는 작업은 어휘분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단항 연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ND
  2. MOVE
  3. NOT
  4. SHIFT
(정답률: 53%)
  • AND는 이항 연산자이기 때문에 단항 연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단항 연산자는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지만, 이항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AND는 단항 연산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요소 선택과 삭제는 한쪽에서, 삽입은 다른 쪽에서 일어나도록 제한하는 것은?

  1. 스택
  2. 트리
  3. 방향 그래프
(정답률: 55%)
  • 큐는 선입선출(FIFO) 구조로 요소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요소를 선택하거나 삭제할 때는 항상 맨 앞의 요소를 선택하거나 삭제하게 된다. 따라서 한쪽에서 요소 선택과 삭제가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제한이 적용되며, 반대로 요소를 삽입할 때는 항상 맨 뒤에 삽입하게 되므로 다른 쪽에서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제한이 적용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큐는 요소의 순서가 중요한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기억장치 배치 전략 중 입력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중 가장 큰 공백에 할당하는 전략은?

  1. Fitst-Fit
  2. Best-Fit
  3. Worst-Fit
  4. Large-Fit
(정답률: 49%)
  • Worst-Fit 전략은 입력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가장 큰 공백에 할당하는 전략이다. 이는 다른 전략들과는 달리, 큰 공백을 찾아서 할당하기 때문에 작은 공백들이 남아있게 되어, 메모리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Worst-Fit 전략이 입력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중 가장 큰 공백에 할당하는 전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구문 분석기가 처리한 문장에 대해 그 문장의 구조를 트리 형태로 표현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형태 트리
  2. 문장 트리
  3. 파스 트리
  4. 표현 트리
(정답률: 90%)
  • 파스 트리는 구문 분석기가 처리한 문장의 구조를 나타내는 트리 형태의 구조체이다. 이는 문장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파스 트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도 향상과 응답 시간의 증가
  2.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3.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스케줄링
  4.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자원 관리
(정답률: 55%)
  • 운영체제의 주요 목적은 자원 관리와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과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스케줄링",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자원 관리"는 운영체제의 목적에 가깝다. 반면에 "신뢰도 향상과 응답 시간의 증가"는 운영체제의 목적으로는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운영체제의 역할 중 하나이지만, 주요 목적은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8위상 변조와 2진폭변조를 혼합하여 변조속도가 1200[baud]인 경우, 이는 몇 [bps]에 해당 되는가?

  1. 1200
  2. 2400
  3. 3600
  4. 4800
(정답률: 66%)
  • 8위상 변조와 2진폭변조를 혼합하여 변조속도가 1200[baud]인 경우, 이는 2400[bps]에 해당된다.

    이유는 8위상 변조는 한 번에 3비트를 전송하므로 3배 빠른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고, 2진폭변조는 한 번에 1비트를 전송하므로 전송속도가 같은 경우 8위상 변조보다 3배 느리다.

    따라서, 8위상 변조와 2진폭변조를 혼합하여 변조속도가 1200[baud]인 경우, 8위상 변조가 3배 빠르므로 3600[bps]의 속도를 가지고, 2진폭변조는 3배 느리므로 1200[bps]의 속도를 가진다.

    이 두 속도를 합산하면 4800[bps]의 전송속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기법과 관련 없는 것은?

  1. TOKEN-BUS
  2. CDMA
  3. CSMA/CD
  4. TOKEN-RING
(정답률: 47%)
  • CDMA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 기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TOKEN-BUS, CSMA/CD, TOKEN-RING은 모두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의 기본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포맷(format)
  2. 구문(syntax)
  3. 의미(semantics)
  4. 타이밍(timing)
(정답률: 57%)
  • 포맷(format)은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가 아니라서 정답입니다. 포맷은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프로토콜에서는 데이터의 구문과 의미를 정의하고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OSI 7계층 중에서 정보의 형식 설정과 코드의 변환, 암호화,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네트워크 계층
  2. 트랜스포트 계층
  3. 데이터링크 계층
  4. 프리젠테이션 계층
(정답률: 67%)
  •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정보의 형식 설정과 코드의 변환, 암호화,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이는 상위 계층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하위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이미지나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문자열 데이터를 유니코드로 변환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패킷교환망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장애 발생시 대체 경로 선택 불가능
  2. 프로토콜 및 속도 변환 가능
  3. 대량의 데이터 전송시 전송 지연이 발생될 수 있음
  4. 표준화된 프로토콜 적용
(정답률: 78%)
  • "장애 발생시 대체 경로 선택 불가능"은 패킷교환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패킷교환망은 여러 경로를 통해 패킷을 전송하므로, 한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면 대체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 발생시 대체 경로 선택 가능"이 옳은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DTE와 DCE를 접속할 때 고려하여야 할 특성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기적 특성
  2. 기계적 특성
  3. 기능적 특성
  4. 통신적 특성
(정답률: 51%)
  • 정답: "통신적 특성"

    설명: DTE와 DCE를 접속할 때 고려해야 할 특성은 전기적 특성(전압, 전류, 임피던스 등), 기계적 특성(연결 방식, 케이블 종류 등), 기능적 특성(프로토콜,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통신적 특성"은 적합하지 않은 보기입니다. 이유는 DTE와 DCE는 통신을 위한 장비이므로, 통신적 특성은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신적 특성"은 적합하지 않은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패킷교환망에 흐르는 패킷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전체시스템의 안전성을 기하고 서비스의 품질저하를 방비하는 기능은?

  1. look up
  2. polling
  3. flow control
  4. closed connection
(정답률: 74%)
  • 패킷교환망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통신을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혼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flow control은 패킷의 송수신을 조절하여 네트워크 혼잡을 방지하고 전체 시스템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flow contro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LAN의 활용 목적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1. 공장자동화에 있어 근거리내 CAD/CAM 등 각종 정보의 공유
  2. 본사의 주컴퓨터와 원격지점간의 정보의 교류
  3. 사무실내의 전자우편, 문서처리 및 분배
  4. 단일 건물의 연구소내 고속프린터의 공유
(정답률: 47%)
  • LAN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컴퓨터들을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통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사의 주컴퓨터와 원격지점간의 정보의 교류는 LAN의 활용 목적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LAN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통신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ATM 셀의 헤더 길이는 몇 byte 인가?

  1. 2
  2. 5
  3. 8
  4. 10
(정답률: 52%)
  • ATM 셀의 헤더 길이는 5 byte이다. 이는 ATM 셀의 전체 길이가 53 byte이며, 그 중에서 헤더는 5 byte이고 페이로드는 48 byte이기 때문이다. 헤더에는 셀의 버전, 셀의 길이, 가상 경로 식별자(VPI), 가상 회선 식별자(VCI), 셀의 흐름 제어 정보 등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HDLC 프레임의 구조가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플래그-주소부-제어부-정보부-FCS-플래그
  2. 플래그-제어부-FCS-정보부-주소부-플래그
  3. 플래그-주소부-정보부-FCS-제어부-플래그
  4. 플래그-제어부-FCS-주소부-정보부-플래그
(정답률: 50%)
  • HDLC 프레임의 구조는 플래그로 시작하여 플래그로 끝나며, 주소부와 제어부가 먼저 나오고 그 뒤에 정보부와 FCS가 나오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플래그-주소부-제어부-정보부-FCS-플래그"가 옳은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회선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프레임의 길이를 변경시켜 전송하는 것은?

  1. Selective Repeat ARQ
  2. Adaptive ARQ
  3. Go-back-N ARQ
  4. Stop and Wait ARQ
(정답률: 53%)
  • Adaptive ARQ는 회선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프레임의 길이를 변경시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회선의 상태가 좋을 때는 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태가 나쁠 때는 작은 프레임을 전송하여 전송 속도를 최적화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Adaptive ARQ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은 잡음이 있는 통신채널의 경우 통신용량을 표시하는 식이다. 여기서 기호가 바르게 표현된 것은?

  1. C : 신호전략
  2. B : 대역폭
  3. S : 잡음전력
  4. N : 통신용량
(정답률: 78%)
  • 이 식에서 B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대역폭은 단위 시간당 전송 가능한 최대 주파수 대역폭을 의미하며, 통신 채널의 전송 속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식에서 B가 올바르게 표현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리피터(repeater)
  2. 게이트웨이(gateway)
  3. 서버(server)
  4. 클라이언트(client)
(정답률: 78%)
  •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을 연결하는데는 게이트웨이가 사용됩니다. 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며, 데이터를 변환하고 라우팅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을 연결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비동기식(asynchronous) 데이터 전송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기식보다 주로 저속도의 전송에 이용된다.
  2. 문자의 앞쪽에 Start bit가 위치한다.
  3. 문자의 뒤쪽에 Stop bit를 갖는다.
  4. 데이터 묶음의 앞에 동기문자가 있다.
(정답률: 65%)
  • 정답은 "데이터 묶음의 앞에 동기문자가 있다." 이다. 비동기식 데이터 전송방식에서는 데이터 묶음의 앞에 동기문자가 없으며,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Start bit와 Stop bit가 존재한다. Start bit는 데이터의 시작을 알리고, Stop bit는 데이터의 끝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비동기식 데이터 전송방식은 주로 저속도의 전송에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2개 이상의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회선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기법은

  1. CRC(Cyclic Redundancy Code)
  2. Multiplexing
  3. FEC(Forward Error Correction)
  4. LRC(Longitudinal REdundancy Code)
(정답률: 58%)
  • Multiplexing은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회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기술로, 각각의 신호를 시간, 주파수, 코드 등의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여 전송함으로써 회선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회선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은 Multiplexing입니다. CRC, FEC, LRC는 모두 데이터 전송 시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기술로, Multiplexing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동선 케이블에 비해 광섬유 케이블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누화가 없다.
  2. 광대역성이다.
  3. 보안성이 우수하다.
  4. 전기적 유도가 발생된다.
(정답률: 85%)
  • 정답: "전기적 유도가 발생된다."

    광섬유 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기적 신호가 아닌 광신호를 사용하므로 전기적 유도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동선 케이블과 비교하여 보안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으로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가상회선(Virtual Circuit)의 서비스 유형은?

  1. 비접속형 통신서비스
  2. 메시지교환 통신서비스
  3. 연결지향형 통신서비스
  4. 회선교환 통신서비스
(정답률: 27%)
  • 가상회선은 연결지향형 통신서비스이다. 이는 통신을 위해 논리적인 경로를 먼저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중에는 경로가 유지되어 데이터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보장된다. 따라서 가상회선은 실시간 통신이 필요한 음성통화나 영상통화 등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피변조파로부터 원래의 신호파를 만드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변조
  2. 복조
  3. 증폭
  4. 발진
(정답률: 54%)
  • 복조는 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피변조파로부터 원래의 신호파를 만드는 것은 복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에러검출과 정정이 가능한 것은?

  1. 수평패리티검사
  2. 수직패리티검사
  3. 정마크부호
  4. 해밍(Hamming) 부호
(정답률: 86%)
  • 해밍(Hamming) 부호는 에러검출과 정정이 가능하다. 이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한 에러를 검출하고, 해당 에러를 정정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부호화 기법이다. 해밍 부호는 데이터 비트에 일정한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필요한 경우 해당 비트를 수정하여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해밍 부호는 에러 검출과 정정이 가능한 유일한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정보통신시스템에서 통신제어장치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송·수신제어
  2. 전송 오류의 검출
  3.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
  4. 회선의 감시 및 접속제어
(정답률: 70%)
  •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은 통신제어장치의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의 역할입니다. 따라서 이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관련된 하드웨어적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