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1-30)

제과기능사
(2005-01-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조이론

1. 다음 파이 종류 중 성형의 형태가 다른 것은?

  1. 호박파이
  2. 파인애플파이
  3. 사과파이
  4. 체리파이
(정답률: 72%)
  • 호박파이는 다른 파이들과 달리 호박 모양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형의 형태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스펀지 케이크를 부풀리는 방법은?

  1. 계란의 기포성에 의한 법
  2. 이스트에 의한 법
  3. 화학팽창제에 의한 법
  4. 수증기 팽창에 의한 법
(정답률: 77%)
  • 스펀지 케이크를 부풀리는 방법은 계란의 기포성에 의한 법입니다. 계란을 풀어서 거품을 내면 공기가 함유된 기포가 생기는데, 이 기포가 스펀지 케이크 반죽에 섞이면 오븐에서 열이 전달되면서 기포가 팽창하여 케이크를 부풀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파운드 케이크 제조시 2종팬을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제품 바닥의 두꺼운 껍질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제품 옆면의 두꺼운 껍질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제품의 조직과 맛을 좋게하기 위하여
  4. 오븐에서의 열전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정답률: 66%)
  • 파운드 케이크 제조시 2종팬을 사용하는 목적은 제품의 조직과 맛을 좋게하기 위하여, 제품 바닥의 두꺼운 껍질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품 옆면의 두꺼운 껍질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입니다. 오븐에서의 열전도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과일 케이크(fruit cake)을 구울 때 오븐에 증기를 넣고 굽기를 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껍질을 두껍게 만든다.
  2. 향의 손실을 방지한다.
  3. 수분 손실을 방지한다
  4. 제품 표면의 번짐을 방지한다.
(정답률: 72%)
  • 정답은 "껍질을 두껍게 만든다."가 아닌 "제품 표면의 번짐을 방지한다."입니다.

    과일 케이크를 구울 때 오븐에 증기를 넣는 이유는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향의 손실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증기는 오븐 내부를 습하게 유지하여 제품 표면이 말라지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증기는 제품 표면에 물방울을 형성하여 제품 표면이 번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껍질을 두껍게 만드는 이유는 과일 케이크가 오래 보관될 때 맛과 질감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껍질이 두꺼우면 케이크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고 유지되어 케이크가 더욱 맛있게 보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과일 파이에서 과일 충전물이 끓어 넘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과일 충전물 배합이 부정확하다.
  2. 오븐 온도가 높아 굽는 시간이 너무 짧다.
  3. 파이껍질의 수분이 너무 많다.
  4. 파이껍질에 구멍을 뚫지 않았다.
(정답률: 60%)
  • 오븐 온도가 높아 굽는 시간이 너무 짧으면 파이 내부의 과일 충전물이 충분히 익지 않고 끓어 넘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반죽형 케이크 제조시 분리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반죽온도가 낮다.
  2. 노른자 사용비율이 높다.
  3. 반죽 중 수분량이 많다.
  4. 일시에 투입하는 계란의 양이 많다.
(정답률: 51%)
  • 노른자는 지방과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반죽을 더 부드럽고 탄력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노른자 사용비율이 높을수록 반죽이 더 잘 섞이고 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노른자 사용비율이 높다."는 분리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오믈렛(Omelette)에 충전할 수 없는 것은?

  1. 딸기
  2. 생크림(휘핑크림)
  3. 바나나
  4. 전분
(정답률: 87%)
  • 오믈렛은 계란을 주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전분은 계란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원재료이기 때문에 충전할 수 없습니다. 딸기, 생크림, 바나나는 오믈렛에 충전할 수 있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데블스 푸드 케이크 제조시 중조를 8g 사용했을 경우 가스 발생량으로 비교했을 때 베이킹파우더 몇 g과 효과가 같은가?

  1. 8g
  2. 16g
  3. 24g
  4. 32g
(정답률: 45%)
  • 베이킹파우더는 중조에 반죽이 들어갈 때 가스를 발생시켜 반죽을 부풀리고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일반적으로 베이킹파우더는 중조의 1/3 정도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중조에 8g을 사용했다면 베이킹파우더는 8g x 3 = 24g을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4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버터 케이크 반죽으로 제조되는 제품은?

  1. 파운드 케이크
  2. 스펀지 케이크
  3. 슈크림
  4. 파이
(정답률: 47%)
  • 버터 케이크 반죽은 밀가루, 설탕, 버터, 계란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밀봉된 케이크 반죽입니다. 이러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제품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파운드 케이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운드 케이크"입니다. 스펀지 케이크는 밀가루, 설탕, 계란으로 만들어지며, 버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슈크림은 크림과 설탕으로 만들어진 디저트입니다. 파이는 파이크러스트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디저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파운드 케이크 제조에 있어 배합율에 계란 사용량을 증가시킬 때 다른 재료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소금은 감소한다.
  2. 베이킹 파우더는 증가한다.
  3. 우유는 증가한다.
  4. 쇼트닝은 증가한다.
(정답률: 38%)
  • 계란의 양이 증가하면 케이크의 구조가 강해지므로, 쇼트닝의 양도 증가하여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량이 늘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카카오버터는 초콜릿에 함유된 유지이다. 카카오버터는 그 안정성이 떨어져 초콜릿의 블룸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공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콘칭
  2. 템퍼링
  3. 발효
  4. 선별
(정답률: 84%)
  • 카카오버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초콜릿을 녹여서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며 섞는 과정을 템퍼링이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초콜릿의 블룸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템퍼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반죽형 케이크의 평가이다. 다음 중 결점과 원인을 잘못 짝지은 것은?

  1. 교율배합 케이크의 부피가 작다. - 설탕과 액체재료의 사용량이 적었다.
  2. 굽는 동안 부풀어 올랐다가 가라앉는다. - 설탕과 팽창제 사용량이 많았다.
  3. 케이크 껍질에 반점이 생겼다. - 입자가 굵고 크기가 서로 다른 설탕을 사용했다.
  4. 케이크가 단단하고 질기다. - 고율배합 케이크에 맞지 않은 밀가루를 사용했다.
(정답률: 72%)
  • "교율배합 케이크의 부피가 작다. - 설탕과 액체재료의 사용량이 적었다."의 원인은 반죽의 교율배합이 부족하여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아 부피가 작아진 것입니다. 설탕과 액체재료의 사용량이 적은 것은 부피가 작아진 결과물이지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스펀지 케이크 제조시 강력분이나 중력분을 사용할 경우 전분으로 몇 %까지 대체 가능한가?

  1. 12%
  2. 19%
  3. 29%
  4. 30%
(정답률: 61%)
  • 스펀지 케이크 제조시 강력분이나 중력분을 사용할 경우 전분으로 최대 12%까지 대체 가능합니다. 이는 강력분이나 중력분이 스펀지 케이크 제조에 필요한 탄력성과 부드러움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율이기 때문입니다. 너무 많이 대체하면 케이크의 질감과 맛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저율배합 케이크에 대한 고율배합 케이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믹싱 중 공기 혼합량이 많다.
  2. 비중이 낮다.
  3. 화학팽창제의 사용량이 적다.
  4. 같은 분할 무게일 때 굽기 온도를 높인다.
(정답률: 57%)
  • 같은 분할 무게일 때 굽기 온도를 높이는 것은 저율배합 케이크와 고율배합 케이크의 차이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고율배합 케이크의 경우 높은 밀도와 단단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더 높은 온도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케이크 내부가 완전히 익혀지고 구조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쿠키 중에서 다른 셋은 찌는 형태인데 비하여 상대적으로 수분이 적어서 말아파는 형태로 만드는 제품은?

  1. 드롭 쿠키
  2. 스냅 쿠키
  3. 스펀지 쿠키
  4. 머랭 쿠키
(정답률: 64%)
  • 정답은 "스냅 쿠키"입니다. 스냅 쿠키는 찌는 형태인 드롭 쿠키나 스펀지 쿠키와는 달리, 더 많은 밀가루와 설탕, 버터 등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수분이 적어져서 말아파는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스냅 쿠키는 보다 바삭하고 단단한 질감을 가지며, 오랫동안 보관해도 식감이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업 활동의 구성요소로서 2차 관리에 들지 않는 것은?

  1. 방법(method)
  2. 기계(machine)
  3. 시장(market)
  4. 재료(material)
(정답률: 43%)
  • 재료(material)는 기업 활동의 구성요소 중에서 2차 관리에 들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재료가 기업의 생산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자원이기 때문에 생산 과정에서 필수적이며, 생산 과정에서의 품질 관리나 제품의 최종 품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재료는 1차 관리의 범주에 속하며, 기업의 생산성과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성형과정을 거치는 동안에 반죽이 거친 취급을 받아 상처를 받은 상태이므로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 글루텐 숙성과 팽창을 도모하는 과정은?

  1. 1차 발효
  2. 중간 발효
  3. 펀치
  4. 2차 발효
(정답률: 71%)
  • 반죽이 거친 취급으로 인해 상처를 입은 상태이므로,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 글루텐이 숙성되고 팽창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2차 발효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반죽을 다시 일정 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팽창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반죽의 상처가 회복되고, 더욱 부드럽고 탱탱한 식빵 등의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제품 중 반죽을 가장 많이 발전시키는 것은?

  1. 블란서빵
  2. 햄버거빵
  3. 과자빵
  4. 식빵
(정답률: 76%)
  • 햄버거빵은 반죽에 설탕과 버터를 많이 사용하여 부드럽고 탱탱한 식감을 가지며, 높은 온도에서 구워지기 때문에 반죽이 더욱 발전됩니다. 따라서 햄버거빵이 반죽을 가장 많이 발전시키는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냉동반죽법에서 1차 발효시간이 길어질 경우 일어나는 현상은?

  1. 냉동 저장성이 짧아진다.
  2. 제품의 부피가 커진다.
  3. 이스트의 손상이 작아진다.
  4. 반죽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34%)
  • 1차 발효시간이 길어질 경우, 이스트가 더 많이 성장하고 활동하게 되어 냉동 저장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이스트가 냉동에 노출될 때 냉동에 의한 손상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동반죽법에서는 1차 발효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이스트의 성장과 활동을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오버 베이킹(over baking)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낮은 온도의 오븐에서 굽는다.
  2. 윗면 가운데가 올라오기 쉽다.
  3. 제품에 남는 수분이 많아진다.
  4. 중심 부분이 익지 않을 경우 주저앉기 쉽다.
(정답률: 72%)
  • 오버 베이킹은 제품을 지나치게 오래 구워서 과도한 건조로 인해 맛과 질감이 손상되는 현상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낮은 온도의 오븐에서 굽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고온에서 굽는 경우 제품 표면이 빨리 구워져서 외부는 딱딱하고 내부는 아직 익지 않은 상태로 남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낮은 온도에서 굽는 경우 제품 내부와 외부의 구움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오버 베이킹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과학

21. 빵의 냉각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

  1. 배합율
  2. 굽기 온도
  3. 발효 온도
  4. 냉각 온도
(정답률: 32%)
  • 발효 온도는 빵의 발효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빵의 냉각 과정에서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냉각 온도는 빵의 냉각 손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배합율과 굽기 온도도 빵의 구성과 완성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냉각 손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비상 스트레이트법의 장점 중 잘못 기술된 것은?

  1. 임금절약
  2. 짧은 공정시간
  3. 주문에 신속 대처
  4. 저장성의 증가
(정답률: 65%)
  • 저장성의 증가는 비상 스트레이트법의 장점 중 하나가 아닙니다. 비상 스트레이트법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낭비를 최소화하고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여 임금절약과 짧은 공정시간, 주문에 신속 대처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제빵 생산의 원가를 계산하는 목적으로만 연결된 것은?

  1. 순이익과 총매출의 계산
  2. 이익개선, 가격결정, 원가관리
  3. 노무비, 재료비, 경비 산출
  4. 생산량관리, 재고관리, 판매관리
(정답률: 49%)
  • 제빵 생산의 원가를 계산하는 것은 이익개선, 가격결정, 원가관리를 위한 것입니다. 이익개선을 위해서는 생산 비용을 줄이고 판매 가격을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격결정을 위해서는 생산 비용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원가관리를 통해 생산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빵 생산의 원가를 계산하는 것은 이익 개선과 가격 결정, 원가 관리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클린업 단계에서 넣음으로써 반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은?

  1. 분유
  2. 소금
  3. 이스트
  4. 설탕
(정답률: 55%)
  • 소금은 반죽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소금은 물과 반응하여 긴 섬유질을 형성하고, 이는 반죽을 더 단단하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소금은 이스트의 작용을 억제하여 반죽이 빨리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클린업 단계에서 소금을 넣으면 반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오버나잇 스펀지법(overnight sponge motho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2개 이상의 본 반죽을 위한 대량의 스펀지 반죽을 제조한다.
  2. 시간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
  3. 소량의 이스트로 12~24시간 발효시킨다.
  4. 식빵류에 종종 사용한다.
(정답률: 46%)
  • 정답: "소량의 이스트로 12~24시간 발효시킨다."

    오버나잇 스펀지법은 대량의 반죽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이스트를 많이 사용하여 짧은 시간에 발효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시간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성형폴더(moulder)를 사용할 때의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휴지 상자에 반죽을 너무 많이 넣지 않는다.
  2. 덧가루를 많이 사용하여 반죽이 붙지 않게 한다.
  3. 롤러 간격이 너무 넓으면 가스빼기가 불충분해진다.
  4. 롤러 간격이 너무 좁으면 거친 빵이 되기 쉽다.
(정답률: 63%)
  • 정답: "덧가루를 많이 사용하여 반죽이 붙지 않게 한다."

    이유: 덧가루를 많이 사용하면 반죽이 더 건조해지고, 성형폴더에서 형태를 만들 때 반죽이 붙지 않게 된다. 하지만 너무 많이 사용하면 빵의 맛과 질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식빵 제조시 반죽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재료는?

  1. 설탕
  2. 밀가루
  3. 소금
  4. 물엿
(정답률: 68%)
  • 식빵 제조시 반죽의 구성 재료 중에서 밀가루는 단백질과 전분이 함유되어 있어 반죽의 탄력성과 발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밀가루의 품질과 양에 따라 반죽의 온도와 발효 시간이 달라지게 되며, 이는 최종적으로 식빵의 맛과 질감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식빵 제조시 반죽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재료는 밀가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제빵과정에서 스펀지법으로 반죽하여 스펀지를 4시간 발효시키려한다. 발효과정에서 반죽의 중량 변화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감소하다 증가한다.
  4. 변화없다.
(정답률: 43%)
  • 발효과정에서 스펀지는 이산화탄소와 알코올을 생성하면서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반죽의 중량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제빵시 소금 첨가량이 적정량 보다 증가하였을 때 빵의 껍질색은?

  1. 정상보다 검은 편이다.
  2. 정상보다 어린 편이다.
  3. 정상과 차이가 없다.
  4.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정답률: 59%)
  • 소금 첨가량이 적정량보다 증가하면 빵의 표면에 있는 효모가 과도하게 활동하게 되어 빵의 표면이 과도하게 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빵의 껍질색은 "정상보다 검은 편이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분할기에 의한 기계식 분할시 분할의 기준이 되는 것은?

  1. 무게
  2. 모양
  3. 배합용
  4. 부피
(정답률: 61%)
  • 분할기는 물체의 부피를 기준으로 분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분할기가 물체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할의 기준이 되는 것은 "부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양학

31. 제빵에 있어서 설탕류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발효성 탄수화물은 이스트의 영양이 되어 이산화탄소 가스와 알콜을 만든다.
  2. 이스트에 의하여 소비되고 남은 설탕은 갈변반응으로 껍질색을 진하게 한다.
  3. 제품의 속결과 기공을 부드럽게 하며, 보습제 기능은 노화를 지연시켜 저장 수명을 증가시킨다.
  4. 우유(분유)중의 유당은 제빵용 이스트의 락타아제에 의하여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된다.
(정답률: 47%)
  • "제품의 속결과 기공을 부드럽게 하며, 보습제 기능은 노화를 지연시켜 저장 수명을 증가시킨다."는 설탕류의 기능 중 하나가 맞는 설명입니다.

    우유(분유)중의 유당이 제빵용 이스트의 락타아제에 의해 분해되는 이유는, 이스트가 유당을 이용하여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스트는 유당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와 알콜을 만들어냅니다. 이 과정이 발효 과정이며, 이스트가 발효하는 것이 제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캐러멜화가 가장 빠른 것은?

  1. 설탕
  2. 유당
  3. 맥아당
  4. 포도당
(정답률: 38%)
  • 포도당은 다른 설탕들보다 분자 구조가 간단하고 작아서 소화가 빠르고 캐러멜화가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유지의 성질 중 크래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크림가
  2. 쇼트닝가
  3. 가소성
  4. 발연점
(정답률: 51%)
  • 크래커는 바삭하고 담백한 맛을 가지는데, 이는 쇼트닝가라는 기름 성분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쇼트닝가는 고체 상태에서도 녹기 쉬우며, 냄새와 맛이 거의 없어서 다양한 음식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크래커에서는 쇼트닝가가 가장 중요한 성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스파탐은 새로운 감미료로 칼로리가 매우 낮고 감미도는 높다. 아스파탐의 구성성분은?

  1. 아미노산
  2. 전분
  3. 지방
  4. 포도당
(정답률: 50%)
  • 아스파탐은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 중 하나로, 구성성분으로 아스파르티크 아미노산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미노산"입니다. 전분, 지방, 포도당은 아스파탐의 구성성분이 아니며, 감미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버터크림을 만드는 공정 중 공기를 포집하는 유지의 기능은?

  1. 팽창기능
  2. 윤활기능
  3. 호화기능
  4. 인정기능
(정답률: 49%)
  • 버터크림을 만들 때 유지는 공기를 포집하여 팽창기능을 발휘합니다. 이는 버터크림의 부드러운 질감과 부피감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팽창기능이 버터크림 제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제분시 조절(Tempering and Conditioning)을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밀기울을 강인하게 하여 밀가루에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 배유와 밀기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기 위하여
  3. 배유가 잘 분쇄되게 해주기 위하여
  4. 전분입자를 호화시키기 위해
(정답률: 59%)
  • 제분시 조절은 밀가루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는 것으로, 밀기울을 강인하게 하여 밀가루에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유와 밀기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며, 배유가 잘 분쇄되게 해주기 위해 하는 것입니다. 전분입자를 호화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우유가공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치즈
  2. 마요네즈
  3. 연유
  4. 생크림
(정답률: 82%)
  • 마요네즈는 우유를 사용하지 않고 식물성 오일과 계란 등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우유가공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과당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과즙
  2. 분당
  3. 벌꿀
  4. 전화당
(정답률: 46%)
  • 분당은 당류 중 과당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당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과당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유지의 경화와 관계가 없는 물질은?

  1. 불포화 지방산
  2. 수소
  3. 콜레스테롤
  4. 촉매
(정답률: 56%)
  • 콜레스테롤은 유지의 경화와 관련이 있지만, 다른 보기들인 불포화 지방산, 수소, 촉매는 유지의 경화와 관련이 없는 물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지의 산패를 가속화하는 요인은?

  1. 수소
  2. 탄소
  3. 산소
  4. 질소
(정답률: 67%)
  • 산패는 생물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으로서, 산소가 관여하는 산화반응에 의해 일어납니다. 산소는 산패를 가속화하는 요인 중 하나로서, 산화반응을 촉진시켜 유기물의 분해를 가속화합니다. 따라서 산소가 유지의 산패를 가속화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발효 중 알콜과 탄산가스를 생성하는 효소는?

  1. 안비타아제
  2. 말타아제
  3. 프로테아제
  4. 찌미아제
(정답률: 65%)
  • 찌미아제는 발효 과정에서 당분을 분해하여 알콜과 탄산가스를 생성하는 효소입니다. 따라서 이 효소가 발효 중에 활성화되면 알콜과 탄산가스가 생성되어 맥주나 와인 등의 음료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반면 안비타아제는 비타민을 생성하는 효소, 말타아제는 맥아에서 말트를 만드는 효소, 프로테아제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스트푸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반죽의 물리적 성질을 조절한다.
  2. 물의 경도를 조절한다.
  3. 산화제의 작용을 한다.
  4. 반죽의 pH를 높인다.
(정답률: 49%)
  • 이스트푸드는 반죽의 pH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이스트푸드가 발효 과정에서 산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죽의 pH를 높인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튀김기름에 스테아린(stearin)을 첨가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기름의 침출을 막아 도넛 설탕이 젖는 것을 방지한다.
  2. 융점을 높인다.
  3. 도넛에 설탕 붙는 점착성을 높인다.
  4. 경화제(hardener)로 튀김기름의 3~6%를 사용한다.
(정답률: 40%)
  • "도넛에 설탕 붙는 점착성을 높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스테아린은 튀김기름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기름의 침출을 막고, 융점을 높여 기름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경화제로 사용되어 튀김기름의 성질을 개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빵의 노화를 억제하는 방법이라 할 수 없는 것은?

  1. 수분함량의 조절
  2. 냉동법
  3. 설탕의 감소
  4. 유화제의 사용
(정답률: 54%)
  • 설탕은 빵의 맛과 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빵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설탕의 감소는 빵의 맛과 구조를 약화시키며, 노화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빵의 노화를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설탕의 감소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환원당과 아미노화합물의 축합이 이루어질 때 생기는 갈색 반응은?

  1. 마이아르(Malilard)반응
  2. 캐러맬(Caramel)화 반응
  3. 효소적 갈변
  4.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의 산화에 의한 갈변
(정답률: 69%)
  • 환원당과 아미노화합물의 축합이 이루어질 때 생기는 갈색 반응은 마이아르(Malilard)반응입니다. 이는 환원당과 아미노화합물이 반응하여 메일라드 반응물을 생성하고, 이 반응물이 브라운색을 띄기 때문입니다. 이 반응은 식품 산업에서 캐러멜색소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필수 지방산이 아닌 것은?

  1. 리놀렌산
  2. 스테아르산
  3. 리놀레산
  4. 아리키돈산
(정답률: 53%)
  • 스테아르산은 필수 지방산이 아닙니다. 필수 지방산은 인체가 스스로 합성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섭취해야 하는 지방산을 말하는데, 리놀렌산, 리놀레산, 아리키돈산은 필수 지방산에 해당하며, 스테아르산은 필수 지방산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효소 중 단백질을 분해시키는 것은?

  1. 프티알린
  2. 트립신
  3. 스테압신
  4. 락타아제
(정답률: 54%)
  • 트립신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 중 하나로, 특히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을 분해합니다. 다른 효소들은 다른 종류의 아미노산을 분해하거나 다른 종류의 화합물을 분해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은 트립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한 식품은?

  1. 우유
  2. 크림소스
  3. 요구르트
  4. 크림스프
(정답률: 73%)
  •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우유나 유제품을 소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요구르트는 유산균이 우유 내의 유당을 분해해주기 때문에 소화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요구르트는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한 식품입니다. 반면, 크림소스나 크림스프는 유제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비타민 K와 관계있는 것은?

  1. 근육긴장
  2. 혈액응고
  3. 자극전달
  4. 노화방지
(정답률: 77%)
  • 비타민 K는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생성에 필요합니다. 혈액응고는 상처가 생겼을 때 출혈을 막기 위해 혈액이 응고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비타민 K는 혈액응고 단백질 중 하나인 프로트롬빈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타민 K 결핍 시 혈액응고 기능이 저하되어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우리나라 성인의 1일 단백질 섭취량은 이상체중 kg당 1.13g이다. 66kg의 남자가 섭취하는 단백질의 열량은 몇 kcal인가?

  1. 74.6kcal
  2. 298.3kcal
  3. 671.2kcal
  4. 264kcal
(정답률: 61%)
  • 1.13g의 단백질을 1kg당 섭취한다는 것은 1kg의 몸무게에 대해 1.13g의 단백질을 섭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66kg의 남자가 섭취하는 단백질의 양은 66kg x 1.13g = 74.58g 입니다.

    1g의 단백질은 4kcal의 열량을 가지므로, 74.58g의 단백질은 74.58g x 4kcal/g = 298.32kcal의 열량을 가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298.3kca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위생학

51.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가장 적당한 예방책은?

  1. 위생동물의 구제를 철저히 한다.
  2. 어류의 내장을 제거하고 충분히 세척한다.
  3. 어패류는 민물로 깨끗이 씻는다.
  4. 건강보균자나 환자의 분변오염을 방지한다.
(정답률: 76%)
  • 병원성 대장균은 대개 사람의 분변에서 발견되며, 오염된 음식을 통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건강보균자나 환자의 분변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예방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음식의 오염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병원성 대장균의 전파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이형제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가수분해에 사용된 산제의 중화에 사용되는 첨가물이다.
  2. 제과, 제빵을 구울 때 형틀에서 제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첨가물이다.
  3. 거품을 소멸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물이다.
  4. 원료가 덩어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물이다.
(정답률: 76%)
  • 이형제는 제과, 제빵을 구울 때 형틀에서 제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첨가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적혈구의 혈색소 감소, 체중감소 및 신장장해, 칼슘대사 이상과 호흡장해를 유발하는 유해성 금속물질은?

  1. 구리(Cu)
  2. 아염(Zn)
  3. 카드뮴(Cd)
  4. 납(Pb)
(정답률: 63%)
  • 납은 인체에 유해한 금속물질 중 하나입니다. 납은 적혈구의 혈색소 감소, 체중감소 및 신장장해, 칼슘대사 이상과 호흡장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납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납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금속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우리나라 제 1군 법정전염병으로 발병률이 가장 높은 것은?

  1. 결핵
  2. 발진티푸스
  3. 장티푸스
  4. B형 간염
(정답률: 53%)
  • 우리나라 제 1군 법정전염병으로 발병률이 가장 높은 것은 장티푸스입니다. 이는 20세기 초반에 위생 수준이 낮아서 음식물과 물을 통해 장티푸스균이 전파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시에는 치료법이 없어서 전염병이 유행하면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콜레라에 관한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어패류 등의 식품, 물을 매개로 전염되며 사망의 원인은 대부분 탈수증이다.
  2. 증상은 살뜨물 같은 변을 하루에 10~30회 배설하고 구토한다.
  3. 항구와 공항에서의 철저한 검역이 필요하다.
  4. 완치할 수 있는 항생제는 없다.
(정답률: 72%)
  • 콜레라는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병으로, 항생제로 직접적인 치료가 어렵습니다. 증상을 완화하고 탈수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완치할 수 있는 항생제는 없다"는 말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미생물이 작용하여 식품을 흑변시켰다. 다음 중 흑변물질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암모니아
  2. 메탄
  3. 황화수소
  4. 아민
(정답률: 52%)
  • 흑변은 대개 식품 내부의 단백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황화수소(H2S)에 의해 일어납니다. 따라서 흑변물질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황화수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일반적으로 잠복기가 가장 긴 것은?

  1. 유행성 간염
  2. 디프테리아
  3. 패스트
  4. 세균성 이질
(정답률: 54%)
  • 유행성 간염은 간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가 체내에 들어온 후 잠복기가 길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주에서 6개월까지의 잠복기를 가지며, 이는 다른 질병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잠복기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잠복기가 가장 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크림빵, 김밥, 도시락, 찹쌀떡이 주원인 식품이며, 조리사의 화농방소와 관련이 있고, 봄. 가을철에 많이 발생하는 독소형 식중독은?

  1. 살모넬라 식중독
  2. 포도상구균 식중독
  3.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4. 보툴리누스 식중독
(정답률: 76%)
  • 정답인 포도상구균은 크림빵, 김밥, 도시락, 찹쌀떡 등의 식품과 관련이 있으며, 조리사의 화농방소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봄과 가을철에 많이 발생하는 독소형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빵의 변질 및 부패와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1. 곰팡이
  2. 세균
  3. 빵의 모양
  4. 수분함량
(정답률: 81%)
  • 빵의 모양은 빵의 표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줄여주기 때문에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빵의 모양은 빵의 변질 및 부패와 관계가 가장 적습니다. 수분함량은 빵의 부패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빵의 모양보다는 덜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밀가루 개량제가 아닌 것은?

  1. 염소
  2. 과산화벤조일
  3. 염화칼슘
  4. 이산화염소
(정답률: 44%)
  • 염화칼슘은 밀가루 개량제가 아닙니다. 밀가루 개량제는 밀가루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화학물질로, 염소, 과산화벤조일, 이산화염소 등이 해당됩니다. 염화칼슘은 식품첨가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밀가루 개량제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