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제과기능사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조이론

1. 스펀지 젤리롤을 만들 때 겉면이 터질 때 개선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시럽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2. 스펀지 팽창을 감소시킨다.
  3. 계란노른자를 감소시킨다.
  4. 유지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56%)
  • 스펀지 젤리롤의 겉면이 터지는 원인은 스펀지 팽창이 과도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겉면이 터지지 않도록 스펀지 팽창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지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스펀지 팽창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개선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푸딩을 제조할 때 경도의 조절은 어떤 재료를 증강하면 되는가?

  1. 베이킹파우더
  2. 설탕
  3. 계란
  4. 소금
(정답률: 75%)
  • 푸딩을 제조할 때 계란을 증강하면 경도가 조절됩니다. 계란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가열 시 응고 현상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푸딩의 질감이 더 단단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계란을 증강함으로써 푸딩의 경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데블스 푸드 케이크를 만들려고 한다. 반죽의 비중을 재기 위하여 필요한 무게가 아닌 것은?

  1. 비중컵의 무게
  2. 코코아를 담은 비중컵의 무게
  3. 물을 담은 비중컵의 무게
  4. 반죽을 담은 비중컵의 무게
(정답률: 84%)
  • 반죽의 비중을 재기 위해서는 반드시 반죽을 담은 비중컵의 무게를 측정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반죽의 비중 측정과는 무관한 요소들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코코아를 담은 비중컵의 무게는 코코아의 무게와 비중컵의 무게의 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반죽의 비중 측정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데커레이션케이크 재료인 생크림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크림 100에 대하여 1.0~1.5%의 분설탕을 사용하여 단맛을 낸다.
  2. 유지방함량 35-45% 정도의 진한 생크림을 휘핑하여 사용한다.
  3. 휘핑시간이 적정시간보다 짧으면 기포의 안정성이 약해진다.
  4. 생크림의 보관이나 작업시 제품온도는 3~7℃가 좋다.
(정답률: 57%)
  • "크림 100에 대하여 1.0~1.5%의 분설탕을 사용하여 단맛을 낸다."는 적당한 설명입니다. 이유는 생크림은 기본적으로 식감이 부드럽고 부드러운 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맛을 추가하여 더욱 맛있게 만들기 위해 분설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분설탕은 결정이 작아 녹이기 쉬우며, 단맛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생크림에 적합한 단맛 조절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이싱 즉, 당의(Frostings)를 제조하였는데 너무 되게 되었다. 이때의 조치법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물을 사용한다.
  2. 설탕시럽(설탕:물=2:1)을 사용한다.
  3. 가온을 시킨다.
  4. 젤라틴을 녹여 넣는다.
(정답률: 52%)
  • 젤라틴은 당의를 더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미 너무 되게 된 아이싱에 젤라틴을 녹여 넣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조치이다. 오히려 더 단단해져서 사용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젤라틴을 녹여 넣는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슈 제조시 팽창제의 투입시기로 알맞은 것은?

  1. 밀가루와 함께 투입한다.
  2. 호화 직전에 투입한다.
  3. 호화 후 투입한다.
  4. 마지막 계란 투입시 투입한다.
(정답률: 47%)
  • 슈는 계란을 통해 부피감을 얻기 때문에 팽창제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팽창제를 일찍 투입하면 반죽이 과도하게 팽창하여 구멍이 많이 생기고, 반대로 늦게 투입하면 부피감이 충분하지 않아 부드러운 식감이 나오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지막 계란 투입시 팽창제를 투입하여 적절한 부피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제품 중 계란 흰자만을 사용하는 것은?

  1. 스펀지케이크
  2. 엔젤푸드케이크
  3. 파운드케이크
  4. 쵸콜릿케이크
(정답률: 88%)
  • 엔젤푸드케이크는 계란 흰자만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케이크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제품들은 계란 노른자나 전체 계란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반죽형 쿠키 중 수분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쿠키는?

  1. 쇼트 브레드 쿠키
  2. 드롭 쿠키
  3. 스냅 쿠키
  4. 스펀지 쿠키
(정답률: 64%)
  • 드롭 쿠키는 반죽에 물이나 우유 등의 수분을 많이 넣어 만들기 때문에 수분 함량이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튀김 기름의 조건으로 틀리는 것은?

  1. 발연점(smoking point)이 높아야 한다.
  2. 산패에 대한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3. 여름철에 융점이 낮은 기름을 사용한다.
  4. 산가(acid value)가 낮아야 한다.
(정답률: 76%)
  • 여름철에 융점이 낮은 기름을 사용하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여름철에는 기름의 융점이 높아야 합니다. 이는 기름이 빠르게 열을 받아도 빠르게 식어서 튀김이 바삭하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융점이 높은 기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퍼프 페이스트리 반죽에 혼합하는 유지와 물의 적당한 비율은?

  1. 유지 100 : 물 50
  2. 유지 100 : 물 100
  3. 유지 100 : 물 150
  4. 유지 100 : 물 200
(정답률: 63%)
  • 퍼프 페이스트리 반죽은 유지와 물의 비율에 따라 팽창도와 구름 모양이 달라집니다. 유지는 반죽에 지방을 추가하여 구름 모양을 만들어주고, 물은 반죽에 수분을 공급하여 팽창도를 높여줍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물은 반죽을 무겁게 만들어 구름 모양이 잘 나오지 않고, 너무 많은 유지는 반죽을 지나치게 기름진 상태로 만들어 팽창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적당한 비율은 유지 100 : 물 50 정도가 적당하며, 이 비율로 만들어진 퍼프 페이스트리는 구름 모양이 잘 나오면서도 부드럽고 가벼운 식감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스펀지케이크에서 계란과 설탕을 어떤 비율로 혼합 반죽할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단, 밀가루는 100%임)

  1. 계란 100% 설탕 50%
  2. 계란 100% 설탕 75%
  3. 계란 166% 설탕 166%
  4. 계란 100% 설탕 125%
(정답률: 61%)
  • 스펀지케이크는 부드러운 질감과 공기를 많이 포함한 가벼운 반죽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계란과 설탕의 비율이 적절해야 합니다.

    계란은 반죽의 구성성분 중 하나로서, 공기를 많이 포함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계란의 비율이 높을수록 공기를 많이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에 설탕은 스펀지케이크의 당도와 부드러운 질감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설탕의 비율이 높을수록 당도가 높아지고, 부드러운 질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란과 설탕의 비율이 모두 높은 "계란 166% 설탕 166%"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공기와 당도를 모두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 파운드케이크와 구별되는 마블파운드케이크 재료는?

  1. 버터
  2. 밀가루
  3. 설탕
  4. 코코아
(정답률: 85%)
  • 마블파운드케이크는 일반 파운드케이크와 달리 코코아를 추가하여 초콜릿 향과 색을 더해줍니다. 따라서 코코아가 마블파운드케이크와 구별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버터크림 당액 제조시 설탕에 대한 물 사용량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25%
  2. 80%
  3. 100%
  4. 125%
(정답률: 61%)
  • 버터크림 당액 제조시 설탕에 대한 물 사용량은 설탕의 무게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설탕의 무게에 대한 물의 비율은 1:1 또는 1:2 정도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알맞은 것은 "25%"입니다. 이는 설탕의 무게에 대해 물을 25% 정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100g의 설탕에 대해 25g의 물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윗 불이 아랫 불에 비해 높아야 할 제품은?

  1. 오렌지 쿠키
  2. 파운드케이크
  3. 쉬폰케이크
  4. 머핀케이크
(정답률: 45%)
  • 오렌지 쿠키는 다른 제품들과 달리 더 높은 두께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윗 불이 아랫 불에 비해 높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율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믹싱 중 공기 혼입이 많다.
  2. 설탕 사용량이 밀가루 사용량보다 많다.
  3. 화학 팽창제를 많이 쓴다.
  4. 촉촉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시켜 신선도를 높이고 부드러움이 지속되는 특징이 있다.
(정답률: 61%)
  • 화학 팽창제를 많이 쓴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고율배합은 밀가루와 설탕 등을 혼합하여 만든 제품으로, 촉촉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시켜 신선도를 높이고 부드러움이 지속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믹싱 중 공기 혼입이 많아지는 것은 고율배합의 특징 중 하나이며, 이는 제품의 부피를 늘리기 위해 화학 팽창제를 사용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떤 제품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구웠을 때 제품에 남는 수분이 가장 많은 것은?

  1. 165℃에서 45분간
  2. 190℃에서 35분간
  3. 205℃에서 30분간
  4. 220℃에서 25분간
(정답률: 60%)
  • 제품을 구울 때는 일정한 시간과 온도로 구워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이 증발하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수분이 많이 남는 것은 온도가 낮은 것보다는 온도가 높은 것입니다. 또한, 구울 시간이 짧을수록 수분이 증발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짧은 것이 수분이 많이 남는 것입니다. 따라서, "220℃에서 25분간"이 제품에 남는 수분이 가장 많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소맥분 속의 수분함량이 14% 이상 되면,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초래되는데 그 결과에 관련이 없는 것은?

  1. 곰팡이가 피기 쉽다.
  2. 효소 활동이 둔화된다.
  3. 곤충과 진드기 번식이 용이하다.
  4. 소맥분의 고형분 함량이 감소한다.
(정답률: 45%)
  • 수분함량이 높아지면 소맥분 내의 효소들이 물에 녹아나게 되어 효소 활동이 둔화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액체발효법에서 액종 발효시 완충제의 역할을 하는 것은?

  1. 탈지분유
  2. 설탕
  3. 이스트
  4. 밀가루
(정답률: 67%)
  • 탈지분유는 pH를 안정화시켜 완충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액종 발효시 pH가 높아지면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완충제가 필요합니다. 탈지분유는 pH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재료들과 달리 발효과정에서 끈적임을 일으키지 않아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냉동 페이스트리를 구운 후 옆면이 주저앉은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토핑물이 많은 경우
  2. 잘 구워지지 않은 경우
  3. 2차 발효가 과다한 경우
  4. 해동온도가 2~5℃로 낮은 경우
(정답률: 65%)
  • 냉동 페이스트리를 구운 후 옆면이 주저앉는 원인은 해동 온도가 2~5℃로 낮은 경우입니다. 이는 냉동 페이스트리를 구울 때, 제품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크게 벌어지면서 습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구조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동 페이스트리를 구울 때는 꼭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해동 방법과 온도를 지켜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빵이 제조되어 판매될 때까지 발생하는 총원가에 계산되지 않는 것은?

  1. 제조설비의 감가상각비
  2. 매출 원가
  3. 직원급료
  4. 판매이익
(정답률: 58%)
  • 판매이익은 제조되어 판매될 때까지 발생하는 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조설비의 감가상각비, 원재료비, 직원급료 등의 비용을 모두 고려한 후에 판매가격에서 차감되는 이익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판매이익은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총원가와는 별개로 계산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과학

21. 정형한 식빵 반죽을 팬에 넣을 때 이음매의 위치는?

  1. 아래
  2. 좌측
  3. 우측
(정답률: 87%)
  • 식빵 반죽을 팬에 넣을 때 이음매는 아래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는 반죽이 발효되어 부풀어 오르면서 위쪽으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음매가 아래에 위치하면 발효 과정에서 반죽이 더욱 자연스럽게 부풀어 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플로어 타임을 길게 주어야 할 경우는?

  1. 반죽 온도가 높을 때
  2. 반죽 배합이 덜 되었을 때
  3. 반죽 온도가 낮을 때
  4. 중력분을 사용했을 때
(정답률: 48%)
  • 반죽 온도가 낮을 때는 이스트의 활동이 둔화되어 발효가 덜 일어나기 때문에 플로어 타임을 길게 주어야 합니다. 이는 반죽의 발효가 충분히 이루어져서 더욱 맛있는 빵을 만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반죽시 후염법에서 소금의 투입단계는?

  1. 각 재료와 함께 섞는다.
  2. 픽업단계 직전에 투입한다.
  3. 클린업 단계 직후에 넣는다.
  4. 믹싱이 끝날 때 넣어 혼합한다.
(정답률: 64%)
  • 반죽시 후염법에서 소금은 단백질의 구조를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반죽의 탄력성과 발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소금은 물과 반응하여 수분을 빼앗아 반죽의 건조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늦은 시점에 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클린업 단계 직후에 소금을 넣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때 반죽이 이미 충분히 혼합되어 있으므로, 소금이 골고루 분산되어 반죽 전체에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중간발효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반죽의 긴장완화
  2. 가스 보완
  3. 신장성 향상
  4. 점착성 증대
(정답률: 57%)
  • 중간발효의 목적은 반죽의 가스 생산을 촉진하여 반죽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반죽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점착성 증대는 중간발효의 목적이 아닙니다. 점착성 증대는 반죽의 단백질 구조를 강화하여 제품의 식감을 개선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손상된 전분 1% 증가시 흡수율의 변화는?

  1. 2% 감소
  2. 1% 감소
  3. 1% 증가
  4. 2% 증가
(정답률: 42%)
  • 전분은 소장에서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포도당으로 변환되어 흡수됩니다. 따라서 전분이 손상되면 효소가 전분을 분해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어 흡수율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전분이 1% 증가하면 손상된 전분도 함께 증가하므로 흡수율은 2%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배합의 합계 %는 170%, 쇼트닝은 4%, 소맥분의 중량은 5kg이다.이 때 쇼트닝의 중량은?

  1. 850g
  2. 200g
  3. 680g
  4. 800g
(정답률: 44%)
  • 배합의 합계 %가 170%이므로, 100% 기준으로 70%가 초과된 것입니다. 이 초과된 70% 중에서 쇼트닝의 비중은 4%이므로, 실제 쇼트닝의 비중은 4/70 = 0.0571 (소수점 이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입니다. 따라서, 소맥분의 중량인 5kg에 이 비중을 곱해주면 쇼트닝의 중량이 나옵니다.

    5kg x 0.0571 = 0.2855kg

    단위를 그대로 유지하면 285.5g이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답을 표시하라고 하였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200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반죽의 변화단계에서 생기 있는 외관이 되며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탄력성이 증가되어 강하고 단단한 반죽이 되었을 때의 상태는?

  1. 클린업 상태(Clean up)
  2. 픽업 상태(Pick up)
  3. 발전 상태(Development)
  4. 렛다운 상태(Let Down)
(정답률: 59%)
  • 발전 상태는 반죽이 더 많은 에너지를 받아서 탄력성이 증가하고 단단해지는 단계를 말합니다. 이 단계에서 반죽은 더 많은 공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더 많은 수분이 증발하여 부피가 커지고 외관이 부드럽고 매끄러워집니다. 따라서 발전 상태는 반죽이 더욱 강하고 단단해지는 중요한 단계이며, 이후에는 렛다운 상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빵의 노화속도가 가장 빠른 온도는?

  1. -18℃
  2. 0℃
  3. 24℃
  4. 35℃
(정답률: 76%)
  • 빵의 노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일어납니다. 그러나 0℃ 이하에서는 빵의 수분이 얼어서 노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0℃가 빵의 노화속도가 가장 느린 온도입니다. 따라서, 0℃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빵의 노화속도가 더 빨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주로 빵 반죽용으로 사용되는 믹서의 부대 기구는?

  1. 휘퍼
  2. 버터
  3. 스크래퍼
(정답률: 71%)
  • 빵 반죽을 만들 때는 반죽의 탄력성과 균일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빵 반죽용 믹서에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반죽을 끌어올리고 떨어뜨리는 부대 기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훅"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빵 포장의 목적에 부적합한 것은?

  1. 빵의 저장성 증대
  2. 빵의 미생물오염 방지
  3. 수분증발 촉진과 노화 방지
  4. 상품의 가치 향상
(정답률: 63%)
  • 수분증발 촉진과 노화 방지는 빵의 포장에 부적합한 목적입니다. 이는 빵이 빠르게 마르고 상하지 않도록 보존하기 위해 수분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분증발 촉진과 노화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포장은 오히려 빵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데 방해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양학

31. 베이킹파우더에 전분을 사용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중조와 산재료의 격리효과
  2. 흡수제 역할
  3. 취급제 계량 용이
  4. 산도 조절
(정답률: 40%)
  • 베이킹파우더에 전분을 사용하는 목적은 "산도 조절" 입니다. 전분은 중조와 산재료의 격리효과와 흡수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취급제 계량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사용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목적은 베이킹파우더의 산도를 조절하여 반죽의 pH를 안정화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비터 포콜릿(Bitter Chocolate) 원액 속에 포함된 코코아 함량은 얼마인가?

  1. 3/8
  2. 4/8
  3. 5/8
  4. 7/8
(정답률: 64%)
  • 비터 포콜릿의 원액은 코코아 함량이 5/8이다.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8의 배수인 숫자이며, 코코아 함량이 전체 중 5/8이므로 정답은 5/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밀가루 품질 규정시 껍질(皮)의 혼합율은 어느 성분으로 측정하는가?

  1. 지방
  2. 섬유질
  3. 회분
  4. 비타민 B1
(정답률: 74%)
  • 밀가루 품질 규정시 껍질(皮)의 혼합율은 회분으로 측정합니다. 회분은 밀가루에서 껍질(皮)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밀가루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회분이 높을수록 밀가루의 영양가와 품질이 떨어지므로, 밀가루 제조 과정에서 껍질(皮)을 최대한 제거하여 회분을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데니시 페이스트리에 사용하는 유지에서 가장 중요한 성질은?

  1. 유화성
  2. 가소성
  3. 안정성
  4. 크림성
(정답률: 54%)
  • 데니시 페이스트리에 사용하는 유지에서 가장 중요한 성질은 가소성입니다. 이는 냉장보관 시 고체 상태로 유지되다가 오븐에서 구워지면서 빵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즉, 유지가 가소성을 가지면 빵의 부피를 유지하고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식품향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용성향료(essence)는 내열성이 약하다.
  2. 유성향료(essential oil)는 내열성이 강하다.
  3. 유화향료(emulsified flavor)는 내열성이 좋지 않다.
  4. 분말향료(powdered flavor)는 향료의 휘발 및 변질을 방지하기 쉽다.
(정답률: 66%)
  • 유화향료는 유지와 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에 녹아있는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내열성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높은 온도나 긴 시간에 노출될 경우 향료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밀가루의 숙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1. 반죽의 기계적 적성을 좋게 한다.
  2. 제빵 적성을 양호하게 한다.
  3. 산화제 사용은 숙성기간을 증가시킨다.
  4. 숙성기간은 온도와 습도 등 조건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55%)
  • 산화제 사용은 숙성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숙성기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산화제는 반죽의 산화작용을 촉진시켜 반죽의 부피를 빠르게 늘리고, 제빵 적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산화제를 사용하면 숙성기간이 짧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친수성-친유성 균형(HLB)이 다음과 같을 경우 친수성인 계면 활성제는?

  1. 5
  2. 7
  3. 9
  4. 11
(정답률: 48%)
  • HLB 값이 높을수록 계면활성제는 친수성에 가까워지고, HLB 값이 낮을수록 계면활성제는 친유성에 가까워집니다. 따라서 HLB 값이 11인 계면활성제는 가장 친수성이 높은 계면활성제이므로 정답은 "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순 단백질이 아닌 것은?

  1. 알부민
  2. 글로블린
  3. 글리코프로테인
  4. 글루테닌
(정답률: 61%)
  • 글리코프로테인은 단순 단백질이 아닌 이유는 단백질 분자 내에 탄수화물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글리코프로테인은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복합체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세포 외 기질의 구성 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신선한 계란은?

  1. 8% 식염수에 뜬다.
  2. 흔들었을 때 소리가 난다.
  3. 난황계수가 0.1 이하이다.
  4. 껍질에 광택이 없고 거칠다.
(정답률: 78%)
  • 껍질에 광택이 없고 거칠다는 것은 계란이 오래되어 공기가 들어가서 건조해진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당류 중 감미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설탕
  2. 전화당
  3. 포도당
  4. 과당
(정답률: 79%)
  • 과당은 다른 설탕과 달리 감미도가 높아서 작은 양으로도 달콤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인체 내에서 빠르게 흡수되어 에너지원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신속한 에너지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전분의 노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노화는 -18℃에서 잘 일어나지 않는다.
  2. 노화된 전분은 소화가 잘 된다.
  3. 노화란 α-전분이 β-전분으로 되는 것을 말한다.
  4. 노화는 전분분자끼리의 결합이 전분과 물분자의 결합보다 크기 때문에 일어난다.
(정답률: 66%)
  • "노화된 전분은 소화가 잘 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노화된 전분은 소화가 어렵고,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습니다. 이는 노화된 전분이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포화지방산의 탄소수가 다음과 같을 때 일반적으로 융점이 가장 높은 것은?

  1. 4개
  2. 8개
  3. 14개
  4. 18개
(정답률: 56%)
  • 포화지방산의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융점이 증가합니다. 이는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자의 크기가 커지고, 분자 간의 인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소수가 가장 많은 18개인 경우가 일반적으로 융점이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밀가루 수분함량이 1% 감소할 때마다 흡수율은 얼마나 증가되는가?

  1. 0.3-0.5%
  2. 0.75-1%
  3. 1.3-1.6%
  4. 2.5-2.8%
(정답률: 49%)
  • 밀가루 수분함량이 감소하면 더 많은 단백질이 노출되어 흡수율이 증가합니다. 이 때, 수분함량이 1% 감소하면 흡수율은 대략 1.3-1.6%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3-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물의 경도를 높혀주는 작용을 하는 재료는?

  1. 이스트푸드
  2. 이스트
  3. 설탕
  4. 밀가루
(정답률: 67%)
  • 이스트푸드는 빵이나 반죽을 발효시키는 데 사용되는 재료로, 이스트푸드를 사용하면 물의 경도를 높여주는 작용을 합니다. 이스트푸드는 이스트와 밀가루 등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데, 이스트는 발효 작용을 일으키는 미생물입니다. 따라서 이스트푸드를 사용하면 물의 경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빵용 이스트에 의해 발효되지 않고 잔여당으로 남아 껍질색에 영향을 주는 우유 중의 당은?

  1. 포도당
  2. 유당
  3. 과당
  4. 설탕
(정답률: 80%)
  • 제빵용 이스트는 포도당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발효를 일으키는데, 이스트가 발효하지 못하는 당은 유당입니다. 따라서 유당은 제빵용 이스트에 의해 발효되지 않고, 잔여당으로 남아 껍질색에 영향을 주는 우유 중의 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필수 아미노산이 아닌 것은?

  1. 이소루신, 히스티딘
  2. 메타오닌, 페닐말라닌
  3. 트립토판, 발린
  4. 트레오닌, 글루타민
(정답률: 44%)
  • 필수 아미노산은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고 반드시 식이로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중에서 트레오닌과 글루타민은 필수 아미노산이 아닙니다. 트레오닌은 인체 내에서 대사되어 다른 아미노산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글루타민은 일반적으로 인체 내에서 충분히 합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비타민의 결핍 증상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비타민B1 - 각기병, 신경염
  2. 비타민C - 괴혈병
  3. 비타민B2 - 야맹증
  4. 나이아신 - 펠라그라
(정답률: 73%)
  • 비타민B2 결핍증은 피부, 입술, 혀 등 주변부의 염증, 각질,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와는 관련이 없는 "야맹증"은 비타민A 결핍증의 증상입니다. 따라서, 비타민B2 - 야맹증은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생체 내에서의 지방의 기능 중 틀린 것은?

  1. 생체기관을 보호한다.
  2. 체온을 유지한다.
  3. 효소의 구성 성분이다.
  4. 주요한 에너지원이다.
(정답률: 68%)
  • 지방은 효소의 구성 성분이 아닙니다. 효소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방은 생체기관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질의 대사산물이 아닌 것은?

  1. 수소
  2. 이산화탄소
  3. 에너지
(정답률: 41%)
  • 수소는 지질의 대사산물이 아닙니다. 지질의 대사산물은 물과 이산화탄소, 그리고 에너지입니다. 수소는 지질의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인 대사산물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열량 영양소의 단위 g당 칼로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단백질은 지방보다 칼로리가 많다.
  2. 탄수화물은 지방보다 칼로리가 적다.
  3. 탄수화물은 단백질보다 칼로리가 적다.
  4. 탄수화물은 단백질보다 칼로리가 많다.
(정답률: 68%)
  • - 열량 영양소의 단위 g당 칼로리는 해당 영양소가 1g일 때 몸에 공급되는 열량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 "탄수화물은 지방보다 칼로리가 적다."의 이유는, 탄수화물과 지방 모두 1g당 9kcal의 열량을 공급하지만, 지방은 탄수화물보다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같은 무게일지라도 지방이 더 많은 열량을 공급합니다. 따라서 같은 무게일 때는 탄수화물이 지방보다 칼로리가 적게 공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위생학

51. 식품첨가물에 의한 식중독 원인이 아닌 것은?

  1. 허용되지 않은 첨가물의 사용
  2. 불순한 첨가물의 사용
  3. 허용된 첨가물의 과다사용
  4. 독성물질을 식품에 고의로 첨가
(정답률: 68%)
  • 식품첨가물은 식품의 품질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허용되지 않은 첨가물이나 불순한 첨가물을 사용하거나 허용된 첨가물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독성물질을 식품에 고의로 첨가하는 경우는 범죄행위로서, 식품안전법에 의해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독성물질을 식품에 고의로 첨가하는 것이 식중독의 원인이 아닌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파리의 전파와 관계가 먼 질병은?

  1. 장티푸스
  2. 콜레라
  3. 이질
  4. 진균독증
(정답률: 63%)
  • 파리는 진균독증의 원인인 균류인 아스페르길루스 균을 전파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파리의 전파와 관계가 먼 질병은 진균독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바이러스(Virus)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은?

  1. 유행성 간염
  2. 브루셀라병
  3. 발진티푸스
  4. 탄저병
(정답률: 67%)
  • 유행성 간염은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간염으로, 간에 염증을 일으키며 간기능이 저하되는 질병입니다. 간염 바이러스는 감염자의 체액(혈액, 타액, 소변 등)을 통해 전파되며,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감염자와의 성접촉 등을 통해 전파됩니다. 따라서, 간염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환경에서는 유행성 간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패류에서 주로 감염되는 식중독균은?

  1. 대장균
  2. 살모넬라균
  3. 장염비브리오균
  4. 리스테리아균
(정답률: 80%)
  • 어패류는 바다나 강에서 살아가는 동물이기 때문에 물이나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주로 감염되는 식중독균은 바로 물과 관련된 균으로, 그 중에서도 장염비브리오균은 어패류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식중독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식품 등을 통해 전염되는 경구전염병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원인 미생물은 세균, 바이러스 등이다.
  2. 미량의 균량에서도 감염을 일으킨다.
  3. 2차 감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4. 화학물질이 원인이 된다.
(정답률: 71%)
  • 화학물질이 원인이 된다는 이유는, 전염병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이 아니라 화학물질이 식품 등에 함유되어 있어서 감염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즉, 화학물질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이 원인이 되어 전염병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식품의 관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은?

  1. 강화제
  2. 보존제
  3. 발색제
  4. 이형제
(정답률: 57%)
  • 발색제는 식품의 색상을 더 선명하게 하거나 미각적인 쾌감을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입니다. 예를 들어, 음료수나 과자 등에서 사용되며, 소비자들이 더 많이 먹고 마시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백색의 결정으로 열량에 잘 녹고 감미도는 설탕의 250배로 청량음료수, 과자류, 절임류 등에 사용되었으나 만성중독인 혈액독을 일으켜 우리나라에서는 1966년 11월부터 사용이 금지된 인공 감미료는?

  1. 둘신
  2. 사이클라메이트
  3. 에틸렌글리콜
  4. 파라-니트로-오르토-톨루이딘
(정답률: 71%)
  • 둘신은 만성중독인 혈액독을 일으켜 사용이 금지된 인공 감미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고시폴(gossypol)은 어느 식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의 원인 성분인가?

  1. 고구마
  2. 풋살구
  3. 보라
  4. 면실유
(정답률: 88%)
  • 고시폴은 면실유에서 발생하는 성분으로, 면실유를 섭취하면 고시폴 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실유가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단백질 식품이 미생물의 분해 작용에 의하여 형태, 색택, 경도, 맛 등의 본래의 성질을 잃고 악취를 발생하거나 독물을 생성하여 먹을 수 없게 되는 현상은?

  1. 변패
  2. 산패
  3. 부패
  4. 발효
(정답률: 82%)
  • 미생물의 분해 작용에 의해 단백질 식품이 부패되면서 악취를 발생하고 독물을 생성하여 먹을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식품 중의 대장균균을 위생학적으로 중요하게 다루는 주된 이유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식중독균이기 때문에
  2. 분변세균의 오염지침이기 때문에
  3. 부패균이기 때문에
  4. 대장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정답률: 71%)
  • 식품 중의 대장균균을 위생학적으로 중요하게 다루는 주된 이유는 분변세균의 오염지침이기 때문입니다. 대장균은 인간의 대장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이며, 인간의 분변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대장균이 식품에 오염되면, 이는 분변세균의 오염지침이 되어 위생적으로 매우 위험합니다. 대장균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면 식중독을 일으키거나 대장염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장균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품 위생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