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4-02)

제빵기능사
(2006-04-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조이론

1. 엔젤 푸드 케이크 제조에 사용되는 기본 재료가 아닌 것은?

  1. 설탕
  2. 계란흰자
  3. 쇼트닝
  4. 소금
(정답률: 67%)
  • 쇼트닝은 엔젤 푸드 케이크 제조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엔젤 푸드 케이크는 계란 흰자, 설탕, 소금, 크림 오브 타르타르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쇼트닝은 일반적으로 쿠키나 파이 제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슈 재료의 계량시 같이 계량하여서는 안될 재료는?

  1. 버터 + 물
  2. 물 + 소금
  3. 버터 + 소금
  4. 밀가루 + 베이킹파우더
(정답률: 55%)
  • 밀가루와 베이킹파우더는 모두 슈 재료이지만, 베이킹파우더는 밀가루 안에 이미 들어있는 성분 중 하나인 베이킹소다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함께 계량하면 비율이 맞지 않아 슈가 제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밀가루와 베이킹파우더는 따로 계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머랭 제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믹싱 용기에는 기름기가 없어야 한다.
  2. 기포가 클수록 좋은 머랭이 된다.
  3. 믹싱은 고속을 위주로 작동한다.
  4. 전란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정답률: 78%)
  • 믹싱 용기에 기름기가 있으면 머랭이 제대로 발효되지 않고 부피가 축소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름기는 머랭 제조에 필요한 단백질을 파괴할 수 있으며, 머랭이 제대로 거품이 생기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믹싱 용기는 깨끗하고 기름기가 없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반죽형 케이크를 제조할 때 완제품의 속이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도록 유지와 밀가루를 먼저 믹싱하는 방법은?

  1. 크림법
  2. 블렌딩법
  3. 설탕/물법
  4. 1단계법
(정답률: 86%)
  • 블렌딩법은 밀가루와 유지를 먼저 섞어서 반죽을 만드는 방법으로, 밀가루와 유지를 먼저 섞어주면 유지가 밀가루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반죽이 부드러워지고 속이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백질은 반죽의 흡수율과 관계가 있다. 밀가루의 단백질이 1% 증가함에 따라 흡수율은 약 얼마나 증가하는가?

  1. 0.5%
  2. 1.5%
  3. 3.5%
  4. 5.5%
(정답률: 67%)
  • 단백질은 반죽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 반죽의 흡수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밀가루의 단백질이 1% 증가하면, 반죽 내부의 단백질 비율이 높아지므로 물과 반죽의 성분이 더 잘 혼합되어 흡수율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밀가루의 단백질이 1% 증가하면 흡수율은 약 1.5% 정도 증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조도한계가 70~150Lux 정도의 범위에서 작업해야 하는 공정은?

  1. 포장
  2. 계량
  3. 성형
  4. 발효
(정답률: 52%)
  • 포장 작업은 제품의 외부를 보호하고 유통을 위해 포장재를 사용하는 작업이므로 일정한 조도가 필요합니다. 또한, 포장 작업 중 제품의 외관을 확인하고 불량품을 발견하기 위해서도 일정한 조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조도한계가 70~150Lux 정도의 범위에서 작업해야 하는 공정은 포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박력분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단백질 함량이 20% 정도이다.
  2. 글루텐의 안정성이 약하다.
  3. 튀김용 가루로 많이 사용된다.
  4. 쿠키, 비스킷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59%)
  • 단백질 함량이 20% 정도이다는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박력분은 주로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백질 함량은 매우 적습니다. 따라서 "단백질 함량이 20% 정도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카스테라의 굽기 온도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140~150℃
  2. 180~190℃
  3. 220~240℃
  4. 250~270℃
(정답률: 77%)
  • 카스테라는 고온에서 빵이나 케이크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굽는 것이 좋습니다. 180~190℃ 정도의 온도에서 굽으면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게 구워지기 때문에 가장 적당한 온도입니다. 또한, 높은 온도에서 굽게 되면 겉은 빨갛게 타고 속은 생으로 남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버터스펀지 케이크(별립법) 반죽의 비중을 측정할 때 필요 없는 것은?

  1. 비중컵
  2. 저울
  3. 머랭
(정답률: 77%)
  • 머랭은 반죽의 비중을 측정하는 데 필요하지 않습니다. 머랭은 달걀 흰자와 설탕을 섞어 만든 거품으로, 반죽의 비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비중을 측정할 때 머랭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파운드 케이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오븐온도가 너무 높으면 케이크의 표피가 갈라진다.
  2. 너무 뜨거운 오븐은 표피에 비늘 모양이나 점이 형성된다.
  3. 여름철에는 유지온도가 30℃ 이상이 크림성이 좋다.
  4. 윗면이 터지게 하려면 굽기 전후에 스팀을 분무한다.
(정답률: 56%)
  • "오븐온도가 너무 높으면 케이크의 표피가 갈라진다." 이유는 케이크 내부와 외부의 수분 차이가 크게 벌어지기 때문입니다. 오븐온도가 너무 높으면 케이크 표면이 빨리 구워지면서 내부는 아직 충분히 익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게 됩니다. 이 때, 내부에서 발생한 수분이 증발하면서 케이크 표면이 갈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오븐온도와 굽는 시간을 지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소프트 롤 케이크를 구운 후 즉시 팬에서 꺼내는 이유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찐득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 수축방지를 위해
  3. 냄새제거를 위해
  4. 표면이 터지지 않게 하기 위해
(정답률: 64%)
  • 소프트 롤 케이크를 구운 후 즉시 팬에서 꺼내는 이유는 찐득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방지를 위해, 표면이 터지지 않게 하기 위해입니다. 냄새제거를 위해서는 케이크가 완전히 식은 후에 해야합니다. 케이크가 아직 따뜻한 상태에서 냄새를 제거하려고 하면 케이크의 표면이 더욱 습기를 머금어 더욱 찐득거리게 됩니다. 따라서 케이크가 완전히 식은 후에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케이크의 아이싱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마지팬
  2. 프랄린
  3. 글레이즈
  4. 휘핑크림
(정답률: 76%)
  • 케이크의 아이싱은 달고 부드러운 맛과 질감을 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휘핑크림은 부드럽고 가벼운 텍스처로 케이크에 잘 어울리며, 쉽게 만들 수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넛의 발한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튀김시간을 늘인다.
  2. 점착력이 낮은 기름을 사용한다.
  3. 충분히 식히고 나서 설탕을 묻힌다.
  4. 도넛 위에 뿌리는 설탕 사용량을 늘인다.
(정답률: 56%)
  • 점착력이 낮은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도넛의 발한 현상을 방지하는 이유는, 점착력이 낮은 기름은 도넛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미끄러지듯이 흐르기 때문에 도넛의 표면이 부드럽게 유지되어 발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점착력이 낮은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파이반죽을 냉장고에서 휴지시키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밀가루의 수분 흡수를 돕는다.
  2. 유지의 결 형성을 돕는다.
  3. 작업시 끈적임을 방지한다.
  4. 제품의 퍼짐성을 크게 한다.
(정답률: 62%)
  • 파이 반죽을 냉장고에서 휴지시키는 이유는 제품의 퍼짐성을 크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작업시 끈적임을 방지하고 유지의 결 형성을 돕기 위해서입니다. 파이 반죽은 냉장고에서 휴지시키면서 천천히 차가워지면서 수분이 증발되어 제품의 퍼짐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반죽온도 조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운드 케이크의 반죽온도는 23℃가 적당하다.
  2. 버터 스펀지 케이크(공립법)의 반죽온도는 25℃가 적당하다.
  3. 사과파이의 물온도는 38℃가 적당하다.
  4. 퍼프페이스트리의 반죽온도는 20℃가 적당하다.
(정답률: 71%)
  • "사과파이의 물온도는 38℃가 적당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사과파이의 반죽에는 물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물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사과파이의 반죽온도와는 무관합니다. 사과파이의 반죽온도는 대체로 10~15℃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는 버터와 밀가루 등의 재료를 섞을 때 발생하는 열로 인해 반죽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냉각을 통해 적절한 온도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제품 제조시 2차 발효에서 습도를 가장 낮게 하는 제품은?

  1. 이스트도넛
  2. 식빵
  3. 햄버거 번스
  4. 크림빵
(정답률: 48%)
  • 이스트도넛은 2차 발효 시에 습도를 낮게 유지하여 도넛의 겉면이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제품들은 습도를 높게 유지하여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굽기 손실이 가장 큰 제품은?

  1. 식빵
  2. 바게트
  3. 단팥빵
  4. 버터롤
(정답률: 65%)
  • 바게트는 길쭉한 모양으로 구워지기 때문에 굽는 동안 수분이 쉽게 증발하고,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껍질이 딱딱해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굽기 손실이 가장 큰 제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비상스트레이법 반죽의 가장 적당한 온도는?

  1. 15℃
  2. 20℃
  3. 30℃
  4. 40℃
(정답률: 70%)
  • 비상스트레이법 반죽은 빵 굽기 전에 급하게 만들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반죽입니다. 이 반죽은 빠르게 발효되어 빵이 부풀어 오르도록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온도는 발효에 적합한 30℃입니다. 15℃나 20℃는 발효가 느리게 일어나고, 40℃는 반죽이 너무 빨리 발효되어 제대로 된 빵을 만들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스트레이트법을 노타임 반죽법으로 변경할 때의 조치사항으로 맞는 것은?

  1. 물 사용량을 2% 늘린다.
  2. 설탕 사용량을 1% 증가시킨다.
  3. 산화제로 비타민 C를 사용한다.
  4. 환원제로 비타민 C를 사용한다.
(정답률: 50%)
  • 노타임 반죽법은 스트레이트법에 비해 노동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나, 반죽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산화제로 비타민 C를 사용하는데, 이는 반죽 안정성을 높이고 면발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비타민 C는 환원제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산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제품 중에서 믹싱을 가장 적게 해도 되는 것은?

  1. 불란서빵
  2. 식빵
  3. 단과자빵
  4. 데니시페이스트리
(정답률: 61%)
  • 데니시페이스트리는 이미 믹싱이 된 반죽을 사용하기 때문에 믹싱을 가장 적게 해도 됩니다. 다른 제품들은 반죽을 만들기 위해 믹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과학

21. 제빵 공정의 4대 중요 관리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시간관리
  2. 온도관리
  3. 공정관리
  4. 영양관리
(정답률: 80%)
  • 제빵 공정의 4대 중요 관리항목은 시간관리, 온도관리, 공정관리, 원료관리입니다. 영양관리는 중요하지만, 이는 제품의 영양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제빵 공정의 핵심적인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4대 중요 관리항목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pH 측정에 의하여 알 수 없는 사항은?

  1. 재료의 품질 변화
  2. 반죽의 산도
  3. 반죽에 존재하는 총산의 함량
  4. 반죽의 발효 정도
(정답률: 44%)
  • pH 측정은 용액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반죽에 존재하는 총산의 함량은 pH 측정으로 알 수 없는 사항입니다. 총산의 함량은 반죽 내의 산성 물질의 양과 관련이 있으며, pH 측정으로는 정확한 양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총산의 함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분석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스펀지 발효를 마친 반죽의 적정 pH는?

  1. pH 2.8
  2. pH 4.8
  3. pH 6.8
  4. pH 8.8
(정답률: 68%)
  • 스펀지 발효는 주로 유기산과 미생물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 과정에서 미생물이 생성하는 유기산들이 반죽의 pH를 낮추게 됩니다. 이러한 유기산들은 주로 락토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이며, 이들의 적정 pH 범위는 대체로 4.0~5.0 사이입니다. 따라서 스펀지 발효를 마친 반죽의 적정 pH는 pH 4.8 정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파이, 크로와상, 데니시 페이스트리 등의 제품은 유지가 층상구조를 이루는 제품들로 유지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1. 쇼트닝성
  2. 가소성
  3. 안정성
  4. 크림성
(정답률: 64%)
  • 파이, 크로와상, 데니시 페이스트리 등의 제품은 유지가 층상구조를 이루는 제품들로, 이는 유지의 가소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가소성이란,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물질이 압축되고 두께가 줄어들 수 있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유지를 반죽할 때 적절한 압력을 가해 층상구조를 만들어내고, 오븐에서 구워질 때 가소성 성질을 이용해 층이 쌓이고 바삭하게 구워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오븐에서 나온 빵의 냉각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냉각동안 평균 8~10%의 무게가 감소한다.
  2. 냉각실의 이상적인 습도는 75~85% 정도 범위이다.
  3. 냉각실은 아주 깨끗하게 유지해야 한다.
  4. 빵의 내부 온도가 35~40.5℃ 정도까지 냉각되었을 때 포장한다.
(정답률: 61%)
  • "빵의 내부 온도가 35~40.5℃ 정도까지 냉각되었을 때 포장한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빵의 내부 온도가 이 정도로 냉각되면 아직 충분히 뜨거워서 포장하면 습기가 생겨서 빵이 눅눅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빵의 내부 온도는 30℃ 이하로 냉각되어야 포장이 가능합니다.

    "냉각동안 평균 8~10%의 무게가 감소한다."의 이유는 빵이 뜨거울 때 내부 수분이 증발하여 빵의 무게가 감소합니다. 이때 빵의 표면이 물기를 잃으면서 빵의 겉면이 더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빵이 뜨거운 상태에서 바로 포장하지 않고 냉각을 통해 내부 수분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빵의 냉각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

  1. 배합율
  2. 굽기온도
  3. 발효 온도
  4. 냉각 온도
(정답률: 39%)
  • 발효 온도는 빵의 발효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빵의 냉각 과정에서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빵의 냉각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빵의 제품평가에서 브레이크와 슈레드 부족현상의 이유가 아닌 것은?

  1. 발효시간이 짧거나 길었다.
  2. 오븐의 온도가 높았다.
  3. 2차 발효실의 습도가 낮았다.
  4. 오븐의 증기가 너무 많았다.
(정답률: 51%)
  • 오븐의 증기가 너무 많았다는 것은 빵이 오븐에서 구워지는 동안 증기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빵의 표면이 습해지고 브레이크와 슈레드 부족현상이 발생한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이스트의 사멸로 가스 발생력, 보유력이 떨어지며 환원성 물질이 나와 반죽이 끈적거리고 퍼지기 쉬운 단점을 지닌 제빵법은?

  1. 냉동반죽법
  2. 호프종법
  3. 연속식제빵법
  4. 액체발효법
(정답률: 67%)
  • 냉동반죽법은 반죽을 냉동하여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꺼내서 사용하는 제빵법으로, 이스트의 사멸로 인한 문제점이 없으며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인기가 높은 제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식빵을 팬닝할 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팬의 온도는?

  1. 22℃
  2. 27℃
  3. 32℃
  4. 37℃
(정답률: 62%)
  • 식빵을 팬닝할 때 권장되는 팬의 온도는 32℃입니다. 이는 식빵의 발효과정에서 최적의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32℃에서는 이스트(효모)가 가장 빠르게 활동하며, 이로 인해 식빵이 부풀어 오르고 부드러워집니다. 따라서 식빵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32℃의 팬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스펀지 & 도법에서 스펀지 반죽의 재료가 아닌 것은?

  1. 설탕
  2. 이스트
  3. 밀가루
(정답률: 49%)
  • 설탕은 스펀지 반죽의 재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스펀지 반죽은 이스트, 밀가루, 물로 만들어지며, 설탕은 추가적인 단맛을 주는 선택적인 재료입니다. 따라서 설탕은 스펀지 반죽의 필수적인 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양학

31. 우유 중 산에 의해 응고되는 단백질은?

  1. 알부민
  2. 에소닌
  3. 글리아딘
  4. 카제인
(정답률: 82%)
  • 카제인은 우유 속에 있는 단백질 중 하나로, 산에 의해 응고되는 단백질입니다. 이는 카제인이 산에 노출되면 응고되어 치즈와 같은 유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카제인은 우유 속에서 가장 중요한 단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밀을 제분할 때 밀가루가 되는 내배유 부분은 밀알의 약 얼마를 차지하는가?

  1. 3%
  2. 14%
  3. 70%
  4. 83%
(정답률: 54%)
  • 밀알은 대략적으로 17%의 내배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밀을 제분할 때 100kg의 밀알 중 17kg는 내배유이고, 나머지 83kg는 밀가루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란의 고형질은 일반적으로 약 몇 %인가?

  1. 12%
  2. 25%
  3. 75%
  4. 88%
(정답률: 65%)
  • 전란의 고형질은 일반적으로 25% 정도입니다. 이는 전쟁에서 사용되는 무기와 탄약, 차량 등이 대부분 고형질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쟁이 일어날 때는 고형질 물질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형질 물질의 생산과 수입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으로 -S-S- 결합을 가진 것은?

  1. 라이신(lysine)
  2. 로이신(leucine)
  3. 시스틴(cystine)
  4.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정답률: 71%)
  • 시스틴은 유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으로, 두 개의 시스테인 분자가 -S-S- 결합을 이루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시스틴은 -S-S- 결합을 가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방의 가수분해로 얻을 수 있는 것은?

  1. 글리세롤
  2. 갈락토오스
  3. 포도당
  4. 전분
(정답률: 72%)
  • 지방의 가수분해는 지방 분자를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중 하나가 글리세롤입니다. 갈락토오스는 유당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이며, 포도당은 당의 기본 단위입니다. 전분은 탄수화물 중 하나로, 지방의 가수분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글리세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제빵용 이스트에 의해 발효되지 않는 당은?

  1. 설탕
  2. 맥아당
  3. 유당
  4. 포도당
(정답률: 70%)
  • 제빵용 이스트는 주로 글루코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발효를 진행합니다. 유당은 글루코스와 프락토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스트는 프락토스를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당은 제빵용 이스트에 의해 발효되지 않는 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밀가루의 사용이 적절치 못한 것은?

  1. 블란서빵은 식빵보다 글루텐이 많은 것이 바삭바삭한 껍질을 형성한다.
  2. 식빵 제조시 글루텐이 많은 것이 가스 보유력이 좋고 용적이 큰 빵이 된다.
  3. 스펀지 케이크는 글루텐이 적은 쪽이 부드럽다.
  4. 제품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답률: 56%)
  • "블란서빵은 식빵보다 글루텐이 많은 것이 바삭바삭한 껍질을 형성한다." 이유는 글루텐이 높은 밀가루를 사용하면 빵의 구조가 단단해지고 바삭한 특징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블란서빵과 같이 바삭한 특징이 필요한 제품에는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식물의 열매로부터 채취되는 천연 향신료가 아닌 것은?

  1. 레몬
  2. 코코아
  3. 바닐라
  4. 시나몬
(정답률: 53%)
  • 시나몬은 식물의 열매가 아닌 나무의 껍질에서 추출되는 향신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믹싱시간, 믹싱내구성, 수분흡수율 등 반죽의 배합이나 혼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1. 아밀로그래프(Amylograph)
  2. 익스텐소그래프(Extensograph)
  3. 패리노그래프(Farinograph)
  4. 알베오그래프(Alveograph)
(정답률: 74%)
  • 패리노그래프는 밀가루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기로, 반죽의 믹싱시간, 믹싱내구성, 수분흡수율 등을 측정하여 반죽의 배합이나 혼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다른 그래프들과는 다르게 밀가루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패리노그래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과?제빵에서 술을 사용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바람직하지 못한 냄새를 없애주는 것이다.
  2. 양조주란 곡물이나 과실을 원료로 하여 효모로 발효시킨 것으로 대부분 알콜 농도가 낮다.
  3. 증류주란 발효시킨 양조주를 증류한 것으로 대부분 알콜 농도가 높다.
  4. 혼성주란 증류주를 기본으로 하여 정제당을 넣고 과실등의 추출물로 향미를 내게 한 것으로 대부분 알콜 농도가 낮다.
(정답률: 75%)
  • 혼성주란 증류주를 기본으로 하여 정제당을 넣고 과실등의 추출물로 향미를 내게 한 것으로 대부분 알콜 농도가 낮다.이 말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의 당 중에서 용해도가 가장 큰 것은?

  1. 설탕
  2. 맥아당
  3. 과당
  4. 포도당
(정답률: 64%)
  • 과당은 다른 설탕과 달리 분자 구조가 간단하여 물과 잘 혼합되어 용해도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용해도가 가장 큰 것은 과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지에 가소성을 주는 지방 결정체는 자연계에서 여러 가지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다음 중 융점이 가장 높은 형태는?

  1. 알파(α)형
  2. 베타(β)형
  3. 베타프라임(β‘)형
  4. 감마(γ)형
(정답률: 47%)
  • 유지에 가소성을 주는 지방 결정체 중 가장 높은 융점을 가진 형태는 베타(β)형입니다. 이는 베타형이 다른 형태에 비해 더 많은 결정체 분자가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결정체 간 분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시켜 결정체의 융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지용성 비타민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C
  3. 비타민 B1
  4. 나이아신
(정답률: 58%)
  • 비타민 A은 지용성 비타민입니다. 이는 지방에 녹아들어 체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비타민 C와 비타민 B1, 나이아신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물에 녹아들어 체내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당의 캐러멜화(Caramelization)는 어느 조건에서 더 진하게 되는가?

  1. 산성
  2. 중성
  3. 알칼리성
  4. 약산성
(정답률: 64%)
  • 당의 캐러멜화는 알칼리성 환경에서 더 진하게 일어납니다. 이는 알칼리성 환경에서 당분자가 분해되어 카르보닐화물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 카르보닐화물은 색상과 맛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알칼리성 환경에서는 더 진한 캐러멜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이스트푸드의 구성성분 중 칼슘염의 주요 기능은?

  1. 이스트 성장에 필요하다.
  2. 반죽에 탄성을 준다.
  3. 오븐팽창이 커진다.
  4. 물조절제의 역할을 한다.
(정답률: 51%)
  • 칼슘염은 이스트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 중 하나이지만, 이스트푸드에서의 주요 기능은 물조절제의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스트푸드는 반죽 시 물과 함께 섞이면서 반죽의 물분자와 칼슘염이 상호작용하여 반죽 내부의 수분을 조절하고, 반죽의 탄성을 유지시켜 오븐팽창을 커지게 합니다. 따라서 칼슘염은 이스트푸드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지단백질(lipoprotein) 중에서 중성지질의 양이 가장 많은 것은?

  1. VLDL
  2. HDL
  3. LDL
  4. 카일로미크론(chylomicron)
(정답률: 42%)
  • 카일로미크론은 식사 후 소장에서 생성되는 지단백질로, 중성지방의 주요 운반체입니다. 다른 지단백질들은 각각 다른 역할을 수행하지만, 카일로미크론은 중성지방을 운반하는 것이 주요 역할입니다. 따라서 중성지방의 양이 가장 많은 것은 카일로미크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필수아미노산이 아닌 것은?

  1. 라이신(lysine)
  2. 메티오닌(methionine)
  3.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4. 아라키도닌산(arachidonic acid)
(정답률: 50%)
  • 아라키도닌산은 필수아미노산이 아닙니다. 필수아미노산은 인체에서 스스로 합성할 수 없으므로 식품을 통해 섭취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라키도닌산은 인체에서 일부 합성이 가능하므로 필수아미노산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연결 중 관계가 먼 것끼리 묶인 것은?

  1. 비타민B1-각기병
  2. 비타민C-괴혈병
  3. 비타민D-안구건조증
  4. 비타민A-야맹증
(정답률: 67%)
  • 비타민D와 안구건조증은 관계가 먼 것끼리 묶인 것입니다. 비타민D는 뼈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안구건조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비타민B1은 신경계 기능에, 비타민C는 면역력 강화에, 비타민A는 시력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이당류에 속하는 것은?

  1. 유당
  2. 갈락토오스
  3. 과당
  4. 포도당
(정답률: 70%)
  • 이당류는 당분 분자의 일종으로, 당분 분자가 하나인 단당류와 두 개 이상인 이당류로 나뉩니다. 유당은 라크토오스라는 이당류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 갈락토오스와 포도당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유당은 이당류에 속하며, 갈락토오스와 포도당도 이당류에 속하지만 유당과는 구성 성분이 다릅니다. 과당은 단당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방을 유화시켜 흡수를 돕는 대표적인 것은?

  1. 리파아제(lipase)
  2. 스테압신(steapsin)
  3. 담즙산(bile acid)
  4. 라피노스(raffinose)
(정답률: 28%)
  • 담즙산은 지방을 물에 녹일 수 있는 유화제 역할을 하여 소장에서 흡수되는 지방의 양을 증가시키고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위생학

51. 다음 물질 중 “이타이이타이병”을 발생시키는 것은?

  1. 카드뮴(Cd)
  2. 구리(Cu)
  3. 수은(Hg)
  4. 납(pb)
(정답률: 75%)
  • 카드뮴(Cd)은 인체에 유독한 물질로, 장기간 노출될 경우 이타이이타이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타이이타이병은 뼈의 변형, 관절통, 신경계 손상 등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카드뮴(Cd)는 이질적인 뼈 성장을 유발하여 이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드뮴(Cd)는 이타이이타이병을 발생시키는 원인 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제가 불충분한 면실유에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은?

  1. 솔라닌(solanine)
  2. 고시폴(gossypol)
  3. 아미그달린(amygdalin)
  4. 무스카린(muscarine)
(정답률: 71%)
  • 고시폴은 면실유에서 발견되는 독성 물질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고시폴이 소화기관에서 분해되어 독성 물질로 변환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식품제조 공정 중에서 거품을 없애는 용도로 사용되는 첨가물은?

  1. 글리세린(glycerin)
  2. 실리콘 수지(silicon resin)
  3. 피페로닐 부톡사이드(piperonyl butoxide)
  4. 프로필렌 글리콘(propylene glycol)
(정답률: 36%)
  • 실리콘 수지는 거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첨가물로, 식품 제조 공정에서 거품을 없애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실리콘 수지가 물과 잘 섞이지 않아서 거품을 생성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면 거품을 제거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독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알콜의 농도는?

  1. 30%
  2. 50%
  3. 70%
  4. 100%
(정답률: 74%)
  • 알콜이 70% 농도일 때, 물과 알콜이 적절한 비율로 섞여 있어 세균, 바이러스 등을 죽이는 효과가 가장 좋기 때문입니다. 100% 알콜은 물과 섞이지 않아 소독 효과가 떨어지고, 30%나 50% 알콜은 농도가 낮아 소독 효과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70% 알콜이 가장 효과적인 소독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경구전염병과 비교하여 세균성 식중독의 특징인 것은?

  1. 2차 감염이 자주 발생한다.
  2. 미량이 균량이라도 감염을 일으킨다.
  3. 잠복기가 짧다.
  4. 면역성이 있다.
(정답률: 54%)
  • 세균성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잠복기가 짧기 때문에 증상이 발생하기까지 시간이 걸리지 않습니다. 일부 세균은 먹은 음식에서 바로 독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먹은 직후부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중독 의심 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축공통전염병의 주된 예방 조치가 아닌 것은?

  1. 가축의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2. 물을 끓여 마신다.
  3. 감염된 동물을 격리한다.
  4. 도살장 검사를 철저히 한다.
(정답률: 70%)
  • 물을 끓여 마시는 것은 인축공통전염병의 예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인축공통전염병은 주로 가축의 예방접종, 감염된 동물의 격리, 도살장 검사 등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물을 끓여 마시는 것은 물에 있는 세균,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여 인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예방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패류가 축육보다 쉽게 부패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조직이 단단하기 때문에
  2. 천연 면역소가 적기 때문에
  3.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4. 육질이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정답률: 53%)
  • 어패류는 체내 조직이 단단하여 외부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침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패가 쉽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표면장력을 변화시켜 빵과 과자의 부피와 조직을 개선하고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계면활성제
  2. 팽창제
  3. 산화방지제
  4. 감미료
(정답률: 44%)
  • 표면장력을 낮추는 계면활성제는 빵과 과자의 재료를 더 잘 섞이게 하여 부피와 조직을 개선하고,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계면활성제가 물과 기름 등 서로 다른 물질의 경계면에서 분자들을 분리시켜 표면장력을 낮추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대장균 O-157이 내는 독성물질은?

  1. 베로톡신
  2. 테트로도톡신
  3. 삭시톡신
  4. 베네루핀
(정답률: 48%)
  • 대장균 O-157이 내는 독성물질은 베로톡신입니다. 이는 대장균 O-157이 분비하는 Shiga 독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식중독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독소 중 하나입니다. 베로톡신은 신경근육 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 분해를 억제하여 근육 이완을 방해하고, 심한 설사와 혈변, 신장부전 등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결핵균의 병원체를 보유하는 주된 동물은?

  1. 돼지
(정답률: 71%)
  • 결핵균의 주된 동물 호스트는 소입니다. 결핵균은 소에서 발견되며, 소의 결핵은 인간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는 결핵균에 대한 내성이 높아서, 결핵 예방 및 치료 연구에 중요한 모델 동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