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7-16)

제빵기능사
(2006-07-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조이론

1. 다음 제품 중 찜류 제품이 아닌 것은?

  1. 만쥬
  2. 무스
  3. 푸딩
  4. 치즈케이크
(정답률: 59%)
  • 정답은 "무스"입니다. 찜류 제품은 열을 가하지 않고 증기로 조리되는 제품인데, 무스는 오븐이나 냉장고에서 냉각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찜류 제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스펀지 케이크 제조시 더운 믹싱방법을 사용할 때 계란과 설탕의 중량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23℃
  2. 43℃
  3. 63℃
  4. 83℃
(정답률: 80%)
  • 스펀지 케이크 제조시 계란과 설탕을 더운 믹싱방법으로 섞을 때, 가장 적당한 중량 온도는 43℃입니다. 이는 계란과 설탕이 함께 더운 믹싱방법으로 섞일 때, 43℃에서 가장 잘 섞이기 때문입니다. 23℃는 너무 낮아서 섞이지 않고, 63℃와 83℃는 계란이 익어버리거나 설탕이 녹아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3℃가 가장 적당한 중량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반죽형 케이크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일반적으로 밀가루가 계란보다 많이 사용된다.
  2. 많은 양의 유지를 사용한다.
  3. 화학 팽창제에 의해 부피를 형성한다.
  4. 해면같은 조직으로 입에서의 감촉이 좋다.
(정답률: 66%)
  • 해면같은 조직으로 입에서의 감촉이 좋다는 것은 반죽형 케이크가 부드럽고 촉촉하며 입안에서 녹는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반죽형 케이크의 재료와 제조 방법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는 계란과 유지를 사용하고 화학 팽창제를 통해 부피를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제과공장 설계시 환경에 대한 조건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바다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2. 환경 및 주위가 깨끗한 곳이어야 한다.
  3. 양질의 물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4. 폐수 및 폐기물 처리에 편리한 곳이어야 한다.
(정답률: 87%)
  • "바다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는 환경에 대한 조건으로 알맞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바다 가까이 위치하면 해안선 침식, 해일, 해일로 인한 침수 등의 자연재해에 취약하며, 바다에서 발생하는 소음, 냄새, 대기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과공장 설계시에는 바다와 충분히 거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제품 중 굽기시 팬에 반죽을 채우는 팬닝 높이를 가장 높게 하는 것은?

  1. 파운드 케이크
  2. 스펀지 케이크
  3. 엔젤 푸드 케이크
  4. 커스터드 푸딩
(정답률: 62%)
  • 커스터드 푸딩은 굽기시 팬닝 높이가 가장 높기 때문에 선택됩니다. 이는 반죽이 액체 상태로 굽히기 때문에 더 높은 팬닝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파운드 케이크, 스펀지 케이크, 엔젤 푸드 케이크는 모두 고체 상태의 반죽이기 때문에 팬닝 높이가 낮아도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반죽형 케이크 제조시 분리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반죽온도가 낮다.
  2. 노른자 사용비율이 높다.
  3. 반죽 중 수분량이 많다.
  4. 일시에 투입하는 계란의 양이 많다
(정답률: 45%)
  • 노른자는 지방과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반죽을 더 풍부하고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노른자 사용비율이 높을수록 반죽이 더 잘 섞이고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노른자 사용비율이 높다"는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겨울철(실온 18℃) 오물렛을 제조할 때 가장 적당한 계란의 온도는?

  1. 4℃
  2. 24℃
  3. 43℃
  4. 70℃
(정답률: 57%)
  • 오물렛을 제조할 때는 계란의 온도가 중요합니다. 너무 차가운 계란은 음식물 안전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너무 뜨거운 계란은 오물렛이 맛이 없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철 실온 18℃에서 오물렛을 제조할 때 가장 적당한 계란의 온도는 24℃입니다. 이는 계란이 실온에서 약간 데워져서 오물렛이 부드럽고 맛있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소프트롤을 말 때 겉면이 터질 때 해야 할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

  1. 팽창이 과도한 경우 팽창제 사용량을 감소한다.
  2. 설탕의 일부를 물엿으로 대치한다.
  3. 반죽의 비중을 낮추어준다.
  4. 덱스트린의 점착성을 이용한다.
(정답률: 63%)
  • 반죽의 비중을 낮추어준다는 것은 물이나 우유 등을 더 많이 추가하여 반죽의 전체 양을 늘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팽창이 과도한 경우에는 공기가 더 많이 분산되어 팽창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죽의 비중을 낮추는 것은 겉면이 터질 때 해야 할 조치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제품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생산되었다. 이 때 조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단백질 함량이 높은 밀가루를 사용한다.
  2. 수분의 양을 줄인다.
  3. 오븐의 온도를 낮추어 굽는다.
  4. 우유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49%)
  • 우유를 증가시키는 것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생산된 제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중앙부가 오목하게 생산된 이유는 제품의 구조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구조나 생산 과정을 개선하거나 수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유를 증가시키는 것은 문제 해결과는 무관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반죽의 비중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비중이 낮을수록 공기 함유량이 많아서 제품이 가볍고 조직이 거칠다.
  2. 비중이 높을수록 공기 함유량이 적어서 제품의 기공이 조밀하다.
  3. 비중이 같아도 제품의 식감은 다를 수 있다.
  4. 비중은 같은 부피의 반죽무게를 같은 부피의 계란 무게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75%)
  • "비중은 같은 부피의 반죽무게를 같은 부피의 계란 무게로 나눈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중은 단위 부피당 무게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죽의 무게와 부피, 그리고 계란의 무게와 부피를 비교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비중은 반죽무게와 계란무게의 비율이 아니라, 반죽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넛 튀김용 유지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라드
  2. 유화쇼트닝
  3. 면실유
  4. 버터
(정답률: 74%)
  • 도넛 튀김용 유지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특히도 튀김 후에도 맛과 향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면실유는 안정적인 성질과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뛰어나며, 튀긴 후에도 맛과 향이 유지되기 때문에 도넛 튀김용 유지로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면실유는 건강에도 좋은 지방산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더욱 추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데커레이션 케이크와 공예과자의 가장 뚜렷한 차이점으로 알맞은 것은?

  1. 미각 효과
  2. 시각적 효과
  3. 다양한 장식 효과
  4. 먹을 수 없는 재료의 사용
(정답률: 68%)
  • 데커레이션 케이크와 공예과자의 가장 뚜렷한 차이점은 "먹을 수 없는 재료의 사용"입니다. 이는 공예과자가 주로 전시용으로 만들어지는 반면, 데커레이션 케이크는 실제로 먹을 수 있는 케이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예과자는 미각 효과보다는 시각적 효과와 다양한 장식 효과에 더 중점을 둔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과일 파이에서 과일 충전물이 끓어 넘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과일 충전물 배합이 부정확하다.
  2. 오븐 온도가 높아 굽는 시간이 너무 짧다.
  3. 파이껍질의 수분이 너무 많다.
  4. 파이껍질에 구멍을 뚫지 않았다.
(정답률: 55%)
  • 오븐 온도가 높아 굽는 시간이 너무 짧으면 파이 내부의 과일 충전물이 충분히 익지 않고 끓어 넘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스펀지 케이크와 필수 재료가 아닌 것은?

  1. 밀가루
  2. 우유
  3. 계란
  4. 소금
(정답률: 66%)
  • 우유는 스펀지 케이크를 만들기 위한 필수 재료가 아닙니다. 스펀지 케이크는 밀가루, 계란, 설탕, 베이킹 파우더 등으로 만들어지며, 우유는 케이크의 부드러운 맛과 질감을 더해주는 선택적인 재료입니다. 따라서 우유는 스펀지 케이크를 만들기 위한 필수 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마지팬에서 설탕과 아몬드의 혼합비율은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 1:1
  2. 2:1
  3. 3:1
  4. 4:1
(정답률: 49%)
  • 마카롱을 만들 때, 설탕은 당근을 주는 역할을 하고 아몬드는 구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설탕과 아몬드의 혼합비율은 구조와 당도를 조화롭게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비율이 필요합니다. 1:1 비율은 구조와 당도를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비율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마카롱을 만들 때는 설탕과 아몬드를 1:1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이스트를 다소 감소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1. 우유 사용량이 많을 때
  2. 수작업 공정과 작업량이 많을 때
  3. 물이 알칼리성일 때
  4. 미숙한 밀가루를 사용할 때
(정답률: 46%)
  • 이스트는 반죽의 양과 밀가루의 품질에 따라 사용량이 달라집니다. 수작업 공정에서는 반죽을 손으로 만들기 때문에 이스트를 다소 감소하여 사용하면 더 쉽게 반죽이 잘 섞이고, 작업량이 많을 때는 이스트를 줄여서 사용하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작업 공정과 작업량이 많을 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반죽시 렛다운 단계(Let down stage)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최종단계를 지나 반죽이 탄력성을 잃으며 신장성이 최대인 상태
  2. 반죽이 처지며 글루텐은 완전히 파괴된 상태
  3. 글루텐이 발전하는 단계로서 최고로의 탄력성을 가지는 상태
  4. 수화는 완료되고 글루텐 일부가 결합된 상태
(정답률: 68%)
  • 반죽이 렛다운 단계를 지나면 최종단계를 지나 반죽이 탄력성을 잃으며 신장성이 최대인 상태가 됩니다. 이는 반죽이 더 이상 발효되지 않고, 글루텐이 완전히 발전하여 최고의 탄력성을 가지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펀치의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반죽의 온도를 균일하게 한다.
  2. 이스트의 활성을 돕는다.
  3. 반죽에 산소공급으로 산화, 숙성을 진전시킨다.
  4.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
(정답률: 64%)
  • 펀치는 반죽을 성형할 때 사용되는데, 반죽이 덜 단단하고 덜 탄력적일 때 성형이 어렵기 때문에 펀치는 반죽을 더 단단하고 탄력적으로 만들어 성형을 용이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굽기 손실(bake loss)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합표
  2. 굽기온도
  3. 제품의 크기와 형태
  4. 발효시간
(정답률: 38%)
  • 발효시간이 굽기 손실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반죽 내부의 가스량이 증가하게 되어 제품의 크기와 형태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굽는 시간과 굽는 온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굽기 손실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빵 굽기에 사용되는 오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데크오븐의 열원은 열풍이며 색을 곱게 구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컨벡션오븐은 제품의 껍질을 바삭바삭하게 구울 수 있으며 스팀을 사용한다.
  3. 데크오븐에 프랑스빵을 구울 때 캔버스를 사용하여 직접 화덕에 올려 구울 수 있다.
  4. 컨벡션오븐은 윗불 아랫불의 조절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49%)
  • "데크오븐의 열원은 열풍이며 색을 곱게 구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데크오븐은 열원으로서 상하열을 사용하며, 색을 곱게 구울 수 있는 장점은 컨벡션오븐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과학

21. 굽기 후 빵을 열어 포장하기에 가장 좋은 온도는?

  1. 17℃
  2. 27℃
  3. 37℃
  4. 47℃
(정답률: 79%)
  • 빵을 굽고 나면 열기가 가장 많은 상태이기 때문에 빵의 내부 온도가 높아집니다. 이 상태에서 바로 포장하면 빵의 습기가 포장지에 닿아서 빵이 습해지거나 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빵의 내부 온도가 조금 떨어진 후 포장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가장 적절한 온도는 인체 온도와 비슷한 37℃입니다. 이 온도에서는 빵의 습기가 적절하게 유지되면서도 빵이 녹거나 습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바게트(baguette)의 통상적인 분할 무게는?

  1. 50g
  2. 200g
  3. 350g
  4. 600g
(정답률: 73%)
  • 바게트는 일반적으로 350g으로 분할되어 판매됩니다. 이는 프랑스에서 정해진 기준 중 하나로, 바게트의 길이와 지름에 따라 분할 무게가 결정됩니다. 350g은 일반적으로 한 사람이 한 끼 식사로 먹을 수 있는 적당한 양이며, 또한 가격 대비 가치가 좋기 때문에 많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냉동반죽법에서 반죽의 냉동온도가 저장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 0~4℃
  2. -20℃, -18~0℃
  3. -40℃, -25~-18℃
  4. -80℃, -18℃~0℃
(정답률: 69%)
  • 냉동반죽법에서는 반죽을 냉동하여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냉동온도가 낮을수록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식품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장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25~-18℃ 이상의 온도이며, 이 중에서도 냉동온도가 가장 낮은 -40℃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제품의 가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교환가치
  2. 귀중가치
  3. 사용가치
  4. 재고가치
(정답률: 58%)
  • 재고가치는 제품의 가치가 아니라,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나 개인이 해당 제품을 판매할 때 얻을 수 있는 가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제품의 가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같은 크기의 틀에 넣어 같은 체적의 제품을 얻으려고 할 때 가장 반죽의 분할량이 적은 제품은?

  1. 밀가루 식빵
  2. 호밀 식빵
  3. 옥수수 식빵
  4. 건포도 식빵
(정답률: 53%)
  • 밀가루 식빵이 가장 반죽의 분할량이 적은 제품인 이유는 밀가루가 가장 밀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밀가루는 같은 크기의 틀에 넣어도 다른 식재료들보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반죽의 분할량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같은 체적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밀가루를 덜 사용해도 되는 밀가루 식빵이 가장 적은 분할량으로 제작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빵시 정량보다 설탕을 적게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 중 잘못된 것은?

  1. 부피가 적다.
  2. 색상이 검다.
  3. 모서리가 둥글다.
  4. 속결이 거칠다.
(정답률: 63%)
  • 설탕은 제빵에서 색상과 부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설탕을 적게 사용하면 반죽의 부피가 줄어들고, 색상이 짙어지며, 모서리가 둥글어지고 속결이 거칠어집니다. 따라서, 설탕을 적게 사용하면 색상이 짙어지는 것은 옳은 결과입니다. 따라서, "색상이 검다."가 잘못된 결과라고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통 블란서 빵을 제조할 때 2차 발효실의 상대습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75~80%
  2. 85~88%
  3. 90~94%
  4. 95~99%
(정답률: 67%)
  • 정통 블란서 빵은 2차 발효 과정에서 적절한 상대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빵의 외형과 내부 구조, 맛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75~80%의 상대습도가 가장 적합한 이유는 이 범위에서는 빵의 표면이 너무 건조해지지 않으면서도 과도하게 습기가 많아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에서는 빵의 내부 구조가 적절하게 발효되어 공기 구멍이 형성되고, 맛과 향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습니다.

    반면, 85~88%의 상대습도는 빵의 표면이 과도하게 습기를 띠어 끈적거리고, 90~94%의 상대습도에서는 빵의 내부 구조가 과도하게 습기를 흡수하여 무거워지고 끈적거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95~99%의 상대습도에서는 빵의 표면이 매우 습기를 띠어 끈적거리며, 빵의 내부 구조도 과도하게 습기를 흡수하여 무거워지고 끈적거리는 문제가 더욱 심해집니다.

    따라서, 정통 블란서 빵을 제조할 때는 75~80%의 상대습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데니시 페이스트리의 일반적인 반죽 온도는?

  1. 0℃
  2. 8-12℃
  3. 18-22℃
  4. 27-30℃
(정답률: 77%)
  • 데니시 페이스트리는 버터와 반죽 사이의 온도 차이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반죽 온도는 버터보다 약간 높은 18-22℃로 유지됩니다. 이는 버터가 녹지 않고 적절한 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너무 낮거나 높은 온도로 인해 버터와 반죽 사이의 온도 차이가 충분하지 않아 데니시 페이스트리를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제빵시 성형(make-up)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1. 둥글리기
  2. 분할
  3. 정형
  4. 2차 발효
(정답률: 81%)
  • 2차 발효는 제빵시 성형(make-up)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제빵에서 반죽을 만들고 발효시킨 후, 다시 반죽을 나누어 형태를 만들고 또 발효시키는 과정으로, 제빵시 성형(make-up) 이전의 단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반죽 제조시 유지는 어느 단계에서 투입하는가?

  1. 픽업 단계
  2. 클린업 단계
  3. 발전 단계
  4. 최종 단계
(정답률: 79%)
  • 유지는 반죽 제조 과정에서 물과 밀가루를 섞은 후, 일정 시간 동안 반죽을 휴지시키는 단계에서 투입됩니다. 이 단계는 클린업 단계로 불리며, 반죽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반죽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유지가 투입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클린업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양학

31. 다음 설명 중 제빵에 분유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라이신과 칼슘이 부족할 때
  2. 표피색깔이 너무 빨리 날 때
  3. 디아스타제 대신 사용하고자 할 때
  4. 이스트푸드 대신 사용하고자 할 때
(정답률: 51%)
  • "라이신과 칼슘이 부족할 때"가 가장 적당한 경우이다. 분유는 라이신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이 두 영양소가 부족한 경우에는 분유를 사용하여 보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튀김용 기름(frying oil)이 발연점 이상이 되면 눈을 쓰고 악취를 내게 하는 물질은?

  1. 아크롤레인 및 저급지방산
  2. 글리세린
  3. 고급지방산
  4. 모노글리세라이드
(정답률: 60%)
  • 튀김용 기름이 발연점 이상이 되면 높은 온도로 인해 기름 내의 지방이 분해되어 아크롤레인과 저급지방산이 생성됩니다. 이 물질들은 불쾌한 냄새와 눈을 자극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튀김용 기름이 발연점 이상이 되면 눈을 쓰고 악취를 내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아크롤레인 및 저급지방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단백질의 분해 효소로 췌액에 존재하는 것은?

  1. 포르테아제
  2. 펩신
  3. 트립신
  4. 레닌
(정답률: 48%)
  • 췌액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트립신은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는 효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단백질을 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빵 제조시 물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글루텐 형성을 돕는다.
  2. 반죽온도를 조절한다.
  3. 이스트 먹이 역할을 한다.
  4. 효소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정답률: 63%)
  • 이스트는 제빵 제조시 물의 기능이 아닌 것입니다. 이스트는 반죽에 첨가되어 발효를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스트는 설탕과 영양분을 먹고 살아가며, 이를 이용해 반죽 내에서 이산화탄소와 알코올을 발생시켜 발효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이스트는 제빵 제조시 물의 기능이 아닌, 발효를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느 성분이 계란 흰자에 있어 계란 제품을 은제품에 담았을 때 검은색으로 변하는가?

  1. 요오드
  2. 아연
  3. 유황
(정답률: 56%)
  • 유황은 계란 흰자에 있는 시스테인과 결합하여 시스테인-S-옥사이드를 생성합니다. 이 화합물은 은과 반응하여 검은색 침전물을 생성하므로, 계란 제품을 은제품에 담았을 때 검은색으로 변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글루텐의 구성 물질 중 반죽을 질기고 탄력성 있게 하는 물질은?

  1. 글리아딘
  2. 글루테닌
  3. 메스닌
  4. 알부민
(정답률: 85%)
  • 글루테닌은 글루텐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로, 반죽을 질기고 탄력성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글루테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글루텐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이지만, 반죽의 특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피자 제조시 많이 사용하는 향신료는?

  1. 넛메그
  2. 오레가노
  3. 박하
  4. 계피
(정답률: 83%)
  • 피자는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오레가노는 이탈리아 요리에서 많이 사용되는 향신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피자 제조시에도 오레가노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다른 보기인 넛메그, 박하, 계피는 피자 제조시에는 사용되지 않는 향신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믹서내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성질을 파동 곡선 기록기로 기록하여 밀가루의 흡수율, 믹싱 시간, 믹싱 내구성 등을 측정하는 기계는?

  1. 패리노그래프(Farinograph)
  2. 익스텐소그래프(Extensograph)
  3. 아밀로그래프(Amylograph)
  4. 분광분석기(Spectrophometer)
(정답률: 77%)
  • 패리노그래프는 밀가루의 수분 흡수율, 믹싱 시간, 믹싱 내구성 등을 측정하는 기계로, 믹서 내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성질을 파동 곡선 기록기로 기록하여 분석합니다. 따라서, 믹서 내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는 기계로 패리노그래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식염이 반죽의 물성 및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흡수율이 감소한다.
  2. 반죽시간이 길어진다.
  3. 껍질 색상을 더 진하게 한다.
  4. 포르테아제의 활성을 증가시켜 저항력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47%)
  • 포르테아제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이며, 이는 반죽 내의 긴 발효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포르테아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면 반죽의 발효가 빨라지고, 더 부드러운 식빵 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르테아제의 활성을 증가시켜 저항력을 감소시킨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이스트푸드의 성분 중 산화제로 작용하는 것은?

  1. 아즈디카본아마이드
  2. 염화암모늄
  3. 황산칼슘
  4. 전분
(정답률: 40%)
  • 아즈디카본아마이드는 이스트푸드의 성분 중 산화제로 작용합니다. 이는 아즈디카본아마이드가 열에 의해 분해되면서 산화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 산화작용은 이스트푸드의 색상, 향, 맛 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설탕의 감미도를 100으로 할 때 포도당의 상대 감미도는?

  1. 100
  2. 75
  3. 50
  4. 25
(정답률: 81%)
  • 포도당의 상대 감미도는 75입니다. 이는 포도당의 감미도가 100이고, 설탕의 감미도가 133이기 때문입니다. 상대 감미도는 물질의 당도를 비교하는 지표로, 두 물질의 감미도 비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포도당의 상대 감미도는 (100 ÷ 133) × 100 = 7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빵용 이스트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것은?

  1. 과당(frustose)
  2. 포도당(gluoose)
  3. 유당(lactose)
  4. 맥아당(maltose)
(정답률: 73%)
  • 제빵용 이스트는 포도당과 맥아당을 분해할 수 있지만, 유당은 분해하지 못합니다. 이는 이스트가 유당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효소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당은 제빵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과에 많이 쓰이는 럼주는 무엇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인가?

  1. 옥수수 전분
  2. 포도당
  3. 당밀
  4. 타피오카
(정답률: 80%)
  • 제과에 많이 쓰이는 럼주는 당밀을 원료로 하여 만듭니다. 이는 당밀이 설탕의 분해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 당밀을 발효시켜 만든 술이 럼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의 탄수화물 중에서 분자량이 가장 큰 것은?

  1. 포도당
  2. 과당
  3. 맥아당
  4. 전분
(정답률: 49%)
  • 전분은 매우 긴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자량이 가장 큽니다. 포도당, 과당, 맥아당은 모두 단당류로서 분자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에 전분보다 분자량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방분해효소와 관계없는 것은?

  1. 리파아제
  2. 스테압신
  3. 포스포리파아제
  4. 말타아제
(정답률: 52%)
  • 말타아제는 지방분해와는 관련이 없는 효소입니다. 말타아제는 단백질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소화기관에서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지방분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지용성 비타민은?

  1. 비타민 K
  2. 비타민 C
  3. 비타민 B1
  4. 엽산
(정답률: 61%)
  • 지용성 비타민은 지방에 용해되는 비타민을 말합니다. 비타민 K는 지방에 용해되는 비타민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음식물을 통해서만 얻어야 하는 아미노산과 거리가 먼 것은?

  1. 메티오닌(methionine)
  2. 라이신(lysine)
  3. 트립토판(tryptophan)
  4. 글루타민(glutamine)
(정답률: 52%)
  • 글루타민은 우리 몸에서 일부분이 합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통해서만 얻어야 하는 아미노산들 중에서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불건성유에 속하는 것은?

  1. 피마자유
  2. 대두유
  3. 참기름
  4. 어유
(정답률: 45%)
  • 불건성유는 식물성 오일 중에서도 산화 안정성이 낮아 고온, 산소, 빛 등에 노출되면 산화되어 유해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오일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피마자유는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해도 산화 안정성이 높아서 불건성유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마자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글리코겐이 가장 많이 저장된 기관은 어디인가?

  1. 근육
  2. 머리카락
(정답률: 54%)
  • 글리코겐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다당류로, 근육은 운동 시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글리코겐이 가장 많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근육이 가장 많은 글리코겐을 저장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뇌신경계와 적혈구의 주 에너지원인 것은?

  1. 유당
  2. 포도당
  3. 맥아당
  4. 과당
(정답률: 79%)
  • 뇌신경계와 적혈구는 에너지를 빠르게 필요로 하기 때문에, 포도당과 같은 단순당류를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포도당은 다른 단순당류와 비교하여 빠르게 흡수되고 대사되기 때문에, 뇌신경계와 적혈구의 에너지 공급에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위생학

51. 빵의 제조과정에서 빵 반죽을 분할기에서 분할할 때나 구울 때 달라붙지 않게 하고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물은?

  1. 카제인
  2. 유동파라핀
  3. 프로필렌 글리콜
  4. 대두인지질
(정답률: 77%)
  • 유동파라핀은 빵 반죽이나 구운 빵의 표면에 묻지 않고 모양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빵 제조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안전성이 높고 식품첨가물로 허용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포도상구균이 내는 독소물질은?

  1. 뉴로톡신
  2. 솔라닌
  3. 엔테로톡신
  4. 데트로도톡신
(정답률: 75%)
  • 포도상구균은 엔테로톡신이라는 독소를 분비합니다. 이 독소는 식중독의 원인이 되며, 식중독 증상인 설사와 구토를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대장균의 특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유당을 발효한다.
  2. 그램(Gram) 양성이다.
  3. 호기성 또는 통성 형기성이다.
  4. 무아포 간균이다.
(정답률: 52%)
  • 무아포 간균이 대장균과 관계가 없는 것이며, 그램 양성이 아닌 그램 음성이기 때문에 정답이 "그램 양성이다." 입니다. 대장균은 유당을 발효하고, 호기성 또는 통성 형기성이며, 그램 음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세균성 식중독 증가 원인이 아닌 것은?

  1. 식품의 수출입 자유화로 전파속도 증가
  2. 면역기능이 저하된 만성질환자 및 노인인구 증가
  3. 집단 급식의 냉장, 냉동식품의 이용 증가
  4. 환경오염과 공업화
(정답률: 40%)
  • 환경오염과 공업화는 세균성 식중독 증가의 원인이 아닙니다. 세균성 식중독은 주로 식품의 수입 및 수출, 면역기능이 저하된 만성질환자 및 노인인구 증가, 집단 급식의 냉장, 냉동식품의 이용 증가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제품의 포장용기에 의한 화학적 식중독에 대한 주의를 특히 요하는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형광 염료를 사용한 종이 제품
  2. 착색된 셀로판 제품
  3. 페놀수지 제품
  4. 알루미늄박 제품
(정답률: 57%)
  • 알루미늄박 제품은 포장용기로 사용되는데, 이 포장용기는 화학적으로 안전하고 식품에 대한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박 제품은 포장용기에 의한 화학적 식중독에 대한 주의를 특히 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전염병 중 잠복기가 가장 짧은 것은?

  1. 후천성 면역결핍증
  2. 광견병
  3. 콜레라
  4. 매독
(정답률: 70%)
  • 콜레라는 잠복기가 짧은 전염병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콜레라균이 감염된 사람의 대변을 통해 물과 음식으로 전파되기 때문입니다. 즉, 감염된 사람이 대변을 보낸 직후부터 몇 시간 내에 이미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콜레라는 매우 빠르게 전파되는 전염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식중독이 원인이 될 수 있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

  1. Pb(납)
  2. Ca(칼슘)
  3. Hg(수은)
  4. Cd(카드뮴)
(정답률: 77%)
  • 식중독의 원인은 Pb, Hg, Cd와 같은 중금속이나 유기화합물 등이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을 때 발생합니다. 하지만 Ca는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Ca는 인체에 필수적인 미네랄 중 하나로, 뼈와 치아를 형성하고 신경과 근육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a는 건강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며, 식중독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미생물이 성장하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인이 아닌 것은?

  1. 적당한 온도
  2. 적당한 햇빛
  3. 적당한 수분
  4. 적당한 영양소
(정답률: 60%)
  • 미생물은 광합성을 하지 않기 때문에 햇빛은 성장에 필수적인 요인이 아닙니다. 대부분의 미생물은 적절한 온도, 수분, 영양소 등을 필요로 하지만, 햇빛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육류에 주로 기생하는 O-157은 다음 어느 세균류에 속하는가?

  1. 대장균
  2. 살모넬라균
  3. 리스테리아균
  4. 장염비브리오균
(정답률: 51%)
  • O-157은 대장균의 일종으로, 대장균은 일반적으로 육류나 가축의 내장 등에서 발견되며, O-157은 이 중에서도 특히 유독성이 강한 균주입니다. 따라서 O-157은 육류에 주로 기생하는 대장균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영구전염병의 예방대책이 아닌 것은?

  1. 환자 및 보균자의 발견과 격리
  2. 음료수의 위생 유지
  3. 식품취급자의 개인위생
  4. 숙주 감수성 유지
(정답률: 73%)
  • 영구전염병의 예방대책 중에서 "숙주 감수성 유지"는 아닙니다. 이는 영구전염병이란 병원체가 숙주의 면역체계를 뚫고 계속 감염을 유지하는 질병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숙주의 면역체계를 유지하는 것은 예방대책이 아니며, 환자 및 보균자의 발견과 격리, 음료수의 위생 유지, 식품취급자의 개인위생 등이 예방대책으로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