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01)

제빵기능사
(200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조이론

1. 커스터드 푸딩을 컵에 채워 몇 ℃의 오븐에서 중탕으로 굽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

  1. 160-170℃
  2. 190-200℃
  3. 210-220℃
  4. 225-235℃
(정답률: 77%)
  • 커스터드 푸딩은 부드러운 식감을 유지하기 위해 저온에서 굽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높은 온도에서 굽게 되면 표면이 빨리 익어버리고 내부는 아직 충분히 익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60-170℃의 중탕으로 굽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 온도에서는 푸딩이 고르게 익어 부드럽고 부드러운 식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너무 높은 온도로 굽는 것이므로 푸딩이 제대로 익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튀김 기름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발연점(smoking point)이 높아야 한다.
  2. 산패에 대한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3. 여름철에 융점이 낮은 기름을 사용한다.
  4. 산가(acid value)가 낮아야 한다.
(정답률: 72%)
  • 여름철에 융점이 낮은 기름을 사용하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여름철에는 기름의 융점이 높아지기 때문에 융점이 낮은 기름을 사용하면 튀김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융점이 높은 기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스킷 제조에 가장 부적당한 밀가루는?

  1. 강력분
  2. 중력분
  3. 박력분+중력분
  4. 박력분
(정답률: 75%)
  • 비스킷 제조에 가장 부적당한 밀가루는 "강력분"입니다. 이는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이 높아서 비스킷의 부드러운 질감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강력분은 주로 빵이나 면류 제품에 사용되는 밀가루로, 비스킷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비스킷 제조에는 박력분이나 중력분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스펀지 케이크의 굽기 공정 중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공기의 팽창
  2. 전분의 호화
  3. 밀가루의 혼합
  4. 콩가루의 혼합
(정답률: 28%)
  • 정답은 "밀가루의 혼합"입니다. 스펀지 케이크를 만들 때 밀가루를 혼합할 경우, 밀가루의 종류나 브랜드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펀지 케이크를 만들 때는 가능한 한 동일한 종류와 브랜드의 밀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박력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질소맥을 제분한다.
  2. 연질소맥을 제분한다.
  3. 글루텐의 함량은 13~14%이다.
  4. 식빵이나 마카로니를 만들 때 사용한다.
(정답률: 61%)
  • 박력분은 밀가루에서 추출한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주로 연질소맥을 제분합니다. 연질소맥은 밀가루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글루텐을 형성하며, 이는 식빵이나 마카로니와 같은 제품의 구조와 탄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따라서 박력분은 이러한 제품을 만들 때 필수적인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스펀지케이크 반죽을 할 때 더운 방법은 계란과 설탕을 몇 ℃로 만든 후 믹싱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27℃
  2. 43℃
  3. 57℃
  4. 63℃
(정답률: 77%)
  • 스펀지케이크 반죽을 할 때 계란과 설탕을 43℃로 만든 후 믹싱하는 것이 가장 좋은 이유는 이 온도가 계란과 설탕이 가장 잘 섞이는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이 온도에서는 계란과 설탕이 빠르게 녹아서 잘 섞이며, 반죽이 부드럽고 매끄러워집니다. 또한, 이 온도에서는 계란과 설탕이 과도하게 끓거나 익지 않아서 안전하며, 반죽이 부풀어 오르지 않아서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스펀지케이크 반죽을 할 때는 계란과 설탕을 43℃로 만든 후 믹싱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엔젤푸드 케이크를 만들 때 제1단계에 넣는 설탕은 전체 설탕의 얼마 정도가 좋은가?

  1. 1/3
  2. 2/3
  3. 4/5
  4. 5/5
(정답률: 50%)
  • 엔젤푸드 케이크 레시피에 따르면, 제1단계에서 설탕을 2/3컵을 사용합니다. 이는 전체 설탕 중에서 제1단계에서 사용하는 양이 2/3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1/3, 4/5, 5/5는 모두 제1단계에서 사용하는 양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제품의 반죽 중에서 비중이 가장 낮은 것은?

  1. 레이어 케이크
  2. 파운드 케이크
  3. 데블스 푸드 케이크
  4. 스펀지 케이크
(정답률: 71%)
  • 스펀지 케이크의 반죽은 밀가루, 설탕, 계란, 물 등으로 만들어지며, 이 중에서 계란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계란은 비중이 물보다 높기 때문에 스펀지 케이크의 반죽 중에서 비중이 가장 낮은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펀지 케이크"가 아닌 다른 케이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나슈 크림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생크림은 절대 끓여서 사용하지 않는다.
  2. 초콜릿과 생크림의 배합비율은 10:1이 원칙이다.
  3. 초콜릿 종류는 달라도 카카오 성분은 같다.
  4. 끓인 생크림에 초콜릿을 더한 크림이다.
(정답률: 78%)
  • 가나슈 크림은 끓인 생크림에 초콜릿을 더한 크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사과파이 껍질의 결의 크기는 어떻게 조절하는가?

  1. 쇼트닝의 입자크기로 조절한다.
  2. 쇼트닝의 양으로 조절한다.
  3. 접기 수로 조절한다.
  4. 밀가루 양을 조절한다.
(정답률: 41%)
  • 사과파이 껍질의 결의 크기는 쇼트닝의 입자크기로 조절한다. 쇼트닝은 냉장고에서 차가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있지만, 오븐에서 가열되면 액체 상태로 변하며, 이때 껍질의 결이 형성된다. 쇼트닝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껍질의 결이 작아지고, 큰 입자크기일수록 껍질의 결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쇼트닝의 입자크기를 조절하여 사과파이 껍질의 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쇼트 브레드 쿠키가 딱딱한 결점이 나타났다면 그 원인은?

  1. 유지 사용량이 많을 때
  2. 글루텐 발달을 많이 시킬 때
  3. 높은 온도에서 구울 때
  4. 너무 약한 밀가루를 사용할 때
(정답률: 43%)
  • 쇼트 브레드 쿠키가 딱딱한 결점이 나타난다면, 그 원인은 글루텐 발달을 많이 시킬 때입니다. 글루텐은 밀가루의 단백질 성분으로, 물과 함께 반죽하면 발달하여 반죽을 탄력있게 만들어줍니다. 그러나 글루텐이 너무 많이 발달하면 쿠키가 딱딱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쿠키를 만들 때는 글루텐 발달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인 제과작업장의 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조명은 50Lux 이하가 좋다.
  2. 방충, 방서용 금속망은 30메쉬가 적당하다.
  3. 벽면은 매끄럽고 청소하기 편리하여야 한다.
  4.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을 기준하여 30% 정도가 좋다.
(정답률: 75%)
  • "조명은 50Lux 이하가 좋다."는 제과작업장에서 빛이 너무 강하면 제품의 색상이 변형되거나 노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과도한 조명은 작업자의 눈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조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용적 2050㎤인 팬에 스펀지 케이크 반죽을 400g 분할할 때 좋은 제품이 되었다면 용적 2870㎤인 팬에 적당한 분할 무게는?

  1. 440g
  2. 480g
  3. 560g
  4. 600g
(정답률: 57%)
  • 용적이 2050㎤인 팬에 400g의 반죽을 분할하면, 팬의 용적을 가득 채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적이 2870㎤인 팬에는 더 많은 양의 반죽을 분할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팬의 용적과 분할할 양의 비율을 구해야 합니다.

    2050 / 400 = 5.125

    즉, 1㎤당 5.125g의 반죽을 분할할 수 있습니다.

    이 비율을 용적이 2870㎤인 팬에 적용하면,

    2870 / 5.125 = 560

    따라서 용적이 2870㎤인 팬에 적당한 분할 무게는 560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파이 반죽을 냉장고에 넣어 휴지시키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밀가루의 수분흡수를 함
  2. 유지를 적당하게 굳힘
  3. 퍼짐을 좋게 함
  4. 끈적거림을 방지함
(정답률: 55%)
  • 파이 반죽을 냉장고에 넣어 휴지시키는 이유는 "유지를 적당하게 굳힘"과 "끈적거림을 방지함"입니다. "퍼짐을 좋게 함"은 오히려 반죽이 덜 굳어져서 파이가 퍼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설탕공예용 당액 제조 시 설탕의 재결정을 막기 위해 첨가 하는 재료는?

  1. 중조
  2. 주석산
  3. 포도당
  4. 베이킹 파우더
(정답률: 71%)
  • 주석산은 설탕 결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부제이다. 설탕이 물에 녹을 때 결정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석산을 첨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식빵의 껍질색이 짙게 나왔을 때 그 이유로 적합한 것은?

  1. 과다한 설탕사용
  2. 오븐 속의 온도가 낮음
  3. 1차 발효시간의 초과
  4. 부적당한 믹싱
(정답률: 71%)
  • 식빵의 껍질색이 짙게 나왔을 때는 과다한 설탕 사용으로 인해 매우 달게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설탕이 많이 들어가면 빵의 색깔이 짙어지고, 달콤한 맛이 강해집니다. 따라서, 과다한 설탕 사용은 식빵의 껍질색이 짙게 나오는 주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기계 중 밀가루 반죽의 신장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믹소그래프
  2. 패리노그래프
  3. 아밀로그래프
  4. 익스텐소그래프
(정답률: 65%)
  • 정답은 "익스텐소그래프"입니다.

    밀가루 반죽의 신장성은 반죽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반응으로 측정됩니다. 이 때, 익스텐소그래프는 반죽에 힘이 가해질 때 신장성을 측정하는 그래프입니다. 따라서 익스텐소그래프는 밀가루 반죽의 신장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입니다.

    반면, 믹소그래프는 미소생물의 생장을 측정하는 기계, 패리노그래프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기계, 아밀로그래프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측정하는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빵의 팬닝(팬 넣기)에 있어 팬의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5℃
  2. 20-24℃
  3. 30-35℃
  4. 60℃ 이상
(정답률: 75%)
  • 빵의 발효과정에서 적절한 온도는 30-35℃이며, 이 온도에서 팬을 넣으면 빵의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너무 낮은 온도는 발효가 느리게 진행되고, 너무 높은 온도는 빵의 표면이 빨리 구멍이 나고 껍질이 딱딱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0-35℃가 빵의 팬닝에 가장 적합한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성형에서 반죽의 중간발효 후 밀어펴기 하는 과정의 주된 효과는?

  1. 글루텐 구조의 재정돈
  2. 가스를 고르게 분산
  3. 부피의 증가
  4. 단백질의 변성
(정답률: 74%)
  • 반죽의 중간발효 후 밀어펴기를 하면, 반죽 내부의 가스가 고르게 분산되어 반죽 전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반죽 내부의 글루텐 구조를 재정돈하고, 단백질의 변성을 일으키는 효과도 있지만, 주된 효과는 가스를 고르게 분산시켜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최종 제품의 식감과 볼륨을 개선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빵의 포장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수성이 있고 통기성이 있어야 한다.
  2. 포장을 하였을 때 상품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
  3. 값이 저렴해야 한다.
  4. 포장 기계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78%)
  • 값이 저렴해야 한다. - 빵의 포장재는 상품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방수성이 있어야 하고, 동시에 통기성이 있어서 빵이 숨을 쉴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포장재의 값은 이러한 기능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기술적 요소와 소재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값이 저렴할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과학

21. 일반적인 스펀지도우법으로 식빵을 만들 때 도우(dough)의 가장 적당한 온도는?

  1. 17℃ 정도
  2. 27℃ 정도
  3. 37℃ 정도
  4. 47℃ 정도
(정답률: 78%)
  • 식빵을 만들 때 도우의 가장 적당한 온도는 27℃ 정도입니다. 이는 이탈리아에서 유래된 스펀지도우법에서 사용되는 온도로, 이 온도에서 효모가 가장 잘 활성화되고 도우가 가장 잘 발효되기 때문입니다.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효모가 활성화되지 않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도우가 너무 빨리 발효되어 구멍이 많이 생기고 맛이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27℃ 정도가 가장 적당한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제빵시 믹싱(Mixing)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재료의 균일한 혼합
  2. 팽창
  3. 충분한 수화(Hydration)
  4. 글루텐 형성
(정답률: 66%)
  • 제빵시 믹싱의 목적은 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충분한 수화와 글루텐 형성을 돕는 것입니다. 하지만 팽창은 믹싱과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팽창은 반죽이 가스를 포획하고 부풀어 오르는 것을 말하며, 이는 반죽의 발효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팽창은 믹싱과는 별개의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빵의 노화속도가 가장 빠른 온도는?

  1. 0~8℃
  2. 15~20℃
  3. 21~35℃
  4. -18℃ 이하
(정답률: 78%)
  • 빵의 노화속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빵의 노화속도가 가장 빠른 온도는 0~8℃이다. 이는 빵에 포함된 미생물의 활동이 가장 느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냉장고에 보관하면 빵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반면, 15~20℃, 21~35℃, -18℃ 이하의 온도에서는 미생물의 활동이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빵의 노화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지기 때문에 빵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생산관리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사람(man)
  2. 재료(material)
  3. 자금(money)
  4. 기능(function)
(정답률: 76%)
  • 생산관리의 3요소는 사람, 재료, 자금입니다. 기능은 생산관리의 요소가 아니며,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기능은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빵 굽기에 대한 일반 원칙이 잘못된 것은?

  1. 높은 온도에서 구울 때 오버 베이킹이 된다.
  2. 고율배합의 빵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굽는다.
  3. 너무 뜨거운 오븐은 빵의 부피가 적고 껍질이 진하다.
  4. 잔당 함유량이 높은 어린 반죽은 낮은 온도에서 굽는다.
(정답률: 63%)
  • 높은 온도에서 구울 때 오버 베이킹이 된다는 것은 빵이 지나치게 말랑해지고 건조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높은 온도에서 구울 경우 빵의 표면이 빨리 구워지고 껍질이 형성되어 빵 내부의 수분이 쉽게 증발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빵이 건조해지고 말랑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빵을 굽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2차 발효시 상대습도가 부족할 때 일어나는 현상은?

  1. 질긴 껍질
  2. 흰 반점
  3. 터짐
  4. 단단한 표피
(정답률: 50%)
  • 2차 발효시 상대습도가 부족하면 굳어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미생물이 발효과정에서 생성한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압력이 계속 쌓이다가 껍질이나 표피 등의 표면이 터지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터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베이커스 퍼센트(Baker's percent)에서 기준이 되는 재료는?

  1. 이스트
  2. 밀가루
  3. 계란
(정답률: 84%)
  • 베이커스 퍼센트는 빵이나 케이크 등의 제빵에서 재료의 비율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이 때 기준이 되는 재료는 대체로 빵의 구조를 결정하는 주재료인 밀가루입니다. 따라서 밀가루의 양을 100%로 놓고 다른 재료들의 양을 상대적으로 표시합니다. 이를 통해 빵의 레시피를 쉽게 조정하고,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표준 스펀지도우법에서 스펀지 발효 시간은?

  1. 1~2시간 30분
  2. 3~4시간 30분
  3. 5~6시간
  4. 7~8시간
(정답률: 58%)
  • 표준 스펀지도우법에서는 밀가루와 물, 이스트를 섞어 반죽한 뒤 일정한 시간 동안 발효시켜야 합니다. 이 시간은 스펀지 발효 시간으로, 이스트가 밀가루의 당분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알코올을 발생시키고, 반죽의 탄력성과 맛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스펀지 발효 시간은 일반적으로 3~4시간 30분이며, 이 시간을 넘어가면 과발효가 일어나서 반죽이 부패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시간이 부족하면 반죽이 충분히 발효되지 않아 맛과 탄력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 스펀지도우법에서는 3~4시간 30분의 발효 시간을 권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제빵에서 소금함량이 정상보다 적을 경우 나타나는 결과가 아닌 것은?

  1. 부피가 크다.
  2. 냄새와 맛이 좋지 않다.
  3. 모서리가 예리하다.
  4. 껍질에 흰 반점이 생긴다.
(정답률: 36%)
  • 소금은 반죽에서 발효를 조절하고 맛을 내는 역할을 합니다. 소금함량이 적을 경우에는 반죽의 발효가 과도하게 일어나게 되어 부피가 크고 모서리가 예리해지며, 냄새와 맛이 좋지 않아집니다. 하지만 껍질에 흰 반점이 생기는 것은 다른 원인으로 인한 결과입니다. 이는 반죽에서 사용된 밀가루의 표면에 묻어난 물질이 반죽과 반응하여 생기는 것으로, 소금함량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보통 반죽에서 이스트를 2.5% 사용하였다면 냉동반죽에서의 이스트 사용량은?

  1. 1.5%
  2. 2.5%
  3. 5%
  4. 10%
(정답률: 61%)
  • 냉동반죽은 반죽을 냉동하여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꺼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스트의 활성화가 느리기 때문에 반죽에서 사용하는 이스트 양을 늘려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냉동반죽에서는 5% 정도의 이스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양학

31. 소맥분의 패리노그래프를 그려보니 믹싱타임 (Mixing time)이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소맥분을 빵에 사용할 때 보완법으로 옳은 것은?

  1. 소금 양을 줄인다.
  2. 탈지분유를 첨가한다.
  3. 이스트 양을 증가시킨다.
  4. pH를 낮춘다.
(정답률: 51%)
  • 소맥분의 믹싱타임이 짧다는 것은 빵의 구조를 형성하는 긴 체인의 글루텐 단백질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글루텐 단백질의 형성을 돕는 첨가제가 필요합니다. 탈지분유는 글루텐 단백질의 형성을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소맥분에 첨가하여 빵의 구조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탈지분유를 첨가하는 것이 옳은 보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식품향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용성향료(essence)는 내열성이 약하다.
  2. 유성향료(essential oil)는 내열성이 강하다.
  3. 유화향료(emulsified flavor)는 내열성이 좋지 않다.
  4. 분말향료(powdered flavor)는 향료의 휘발 및 변질을 방지하기 쉽다.
(정답률: 59%)
  • 유화향료는 유지와 물을 혼합하여 안정적인 에멀젼을 만들어 사용하는데, 이 때 열에 노출되면 에멀젼이 깨져 향료가 분리되기 때문에 내열성이 좋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효소를 구성하고 있는 주성분은?

  1. 탄수화물
  2. 지방
  3. 단백질
  4. 비타민
(정답률: 71%)
  • 효소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효소는 화학 반응을 촉진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는 특정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단백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효소를 구성하는 주성분은 단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탈지분유 성분 중 가장 많은 것은?

  1. 유고형분
  2. 조 지방
  3. 회분
  4. 수분
(정답률: 59%)
  • 유고형분은 탈지분유에서 가장 많은 성분입니다. 이는 우유에서 단백질과 지방을 제거한 후 남은 부분으로, 우유 당 50% 이상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탈지분유는 유아에게 필요한 단백질과 미네랄 등의 영양소를 제공하면서도 지방 함량이 낮아 건강한 성장을 돕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제빵에서의 유지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점착 방지
  2. 수분증발 억제
  3. 노화 지연
  4. 껍질색 개선
(정답률: 47%)
  • 제빵에서의 유지의 기능은 빵의 신선도와 맛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껍질색 개선"입니다. 이는 빵의 외관을 개선하는 것으로, 빵의 신선도나 맛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기능은 빵의 신선도와 맛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껍질색 개선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밀가루 품질 규정시 껍질(皮)의 혼합율은 어느 성분으로 측정하는가?

  1. 지방
  2. 섬유질
  3. 회분
  4. 비타민 B1
(정답률: 70%)
  • 밀가루 품질 규정시 껍질(皮)의 혼합율은 회분으로 측정합니다. 회분은 밀가루에서 껍질(皮)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밀가루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회분이 높을수록 밀가루의 영양가와 품질이 떨어지므로, 밀가루 제조 과정에서 껍질(皮)을 최대한 제거하여 회분을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α-1, 6 결합을 가지고 있는 물질은?

  1. 아밀로오스
  2. 아밀로펙틴
  3. 셀룰로오스
  4. 이눌린
(정답률: 52%)
  • α-1,6 결합은 아밀로펙틴에만 존재하는 결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밀로펙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1. 프로테아제
  2. 리파아제
  3. 아밀라아제
  4. 말타아제
(정답률: 61%)
  • 프로테아제는 "프로테인(protein)"을 분해하는 효소이기 때문에 단백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선택지인 리파아제는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 아밀라아제는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효소, 말타아제는 말토오스를 분해하는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이스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이스트는 65~70%가 수분으로 되어 있다.
  2. 생이스트는 열에 의한 세포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
  3.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킨다.
  4. 알코올발효를 일으키는 빵효모이다.
(정답률: 68%)
  • 생이스트는 열에 의한 세포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사실 생이스트도 열에 노출되면 세포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생이스트도 다른 미생물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는 세포가 파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이스트를 보관할 때에도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어떤 케이크 제조에 1kg의 달걀이 필요하다면 껍질을 포함한 평균 무게가 60g인 달걀은 약 몇 개가 필요한가?

  1. 15개
  2. 19개
  3. 23개
  4. 27개
(정답률: 60%)
  • 1kg은 1000g이므로, 1000g을 60g으로 나누면 약 16.67개가 나온다. 하지만, 케이크 제조에는 껍질을 포함한 달걀의 무게가 필요하므로, 약 19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9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물과 반죽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경수로 배합할 경우 발효 속도가 빠르다.
  2. 연수로 배합할 경우 글루텐을 더욱 단단하게 한다.
  3. 연수 배합시 이스트푸드를 약간 늘이는 게 바람직하다.
  4. 경수로 배합을 하면 글루텐이 부드럽게 되고 기계에 잘 붙는 반죽이 된다.
(정답률: 54%)
  • 연수 배합시 이스트푸드를 약간 늘이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물과 반죽의 비율이 높아져서 반죽이 더욱 부드러워지고, 이스트푸드가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식빵 반죽에서 설탕을 첨가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반죽을 질게 하기 위하여
  2. 이스트의 활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3. 유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4. 노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71%)
  • 식빵 반죽에서 설탕을 첨가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이스트의 활성을 촉진하기 위하여입니다. 설탕은 이스트가 발효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이스트의 활성을 높여 반죽을 더욱 부드럽고 발효력이 좋은 상태로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지의 산화 촉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산소
  2. 수분
  3. 질소
  4. 금속
(정답률: 64%)
  • 유지의 산화는 산소와 금속의 존재, 수분의 존재와 상대습도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질소는 산화 촉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질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비터 초콜릿(Bitter Chocolate) 원액 속에 포함된 코코아 함량은 얼마인가?

  1. 3/8
  2. 4/8
  3. 5/8
  4. 7/8
(정답률: 67%)
  • 비터 초콜릿은 코코아 함량이 높아서 당도가 낮고 쓴 맛이 강합니다. 따라서 비터 초콜릿 원액 속에 포함된 코코아 함량은 높을 것입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코코아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5/8입니다. 이유는 3/8은 코코아 함량이 너무 낮고, 4/8은 반으로 나누면 2/8로 코코아 함량이 더 낮아집니다. 7/8은 코코아 함량이 너무 높아서 비터 초콜릿이 아닌 다른 초콜릿 종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5/8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밀가루 글루텐의 질을 측정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1. 아밀로그래프
  2. 낙하시간법
  3. 패리노그래프
  4. 맥미카엘 점도계
(정답률: 53%)
  • 밀가루 글루텐의 질을 측정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패리노그래프입니다. 이는 밀가루와 물을 섞어 만든 반죽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서 생기는 저항을 측정하여 글루텐의 질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글루텐의 질을 측정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밀가루에서 가장 부족한 필수아미노산은?

  1. 라이신(lysine)
  2. 글루탐산(glutamic acid)
  3. 프로린(proline)
  4. 이소로이신(isoleucine)
(정답률: 61%)
  • 밀가루는 아미노산 조성이 다양하지만, 라이신(lysine)은 가장 부족한 필수아미노산 중 하나입니다. 이는 밀가루의 단백질 조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밀가루의 단백질은 메티오닌(methionine)과 시스테인(cysteine)이 부족하고, 특히 라이신(lysine)이 가장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라이신은 인체에서 합성할 수 없는 필수아미노산으로, 단백질 합성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밀가루를 섭취할 때는 라이신 함량을 보충하기 위해 다른 식품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식품의 열량(kcal) 계산공식으로 맞는 것은?

  1. (탄수화물의양 +단백질의 양) × 4 + (지방의양 × 9)
  2. (탄수화물의양 +지방의 양) × 4 + (단백질의양 × 9)
  3. (지방의양 +단백질의 양) × 4 + (지방의양 × 9)
  4. (탄수화물의양 +지방의 양) × 9 + (단백질의양 × 9)
(정답률: 76%)
  • 정답은 "(탄수화물의양 +단백질의 양) × 4 + (지방의양 × 9)" 입니다.

    식품의 열량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1g당 4kcal의 열량을 발생시키고, 지방은 1g당 9kcal의 열량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양을 더한 후 4를 곱하고, 지방의 양을 9로 곱한 값을 더해주면 해당 식품의 총 열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필수지방산이 아닌 것은?

  1. 리놀렌산(linolenic acid)
  2. 리놀레산(linoleic acid)
  3.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4.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정답률: 62%)
  • 스테아르산은 필수지방산이 아닙니다. 이는 인체에서 합성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설탕이나 이눌린(inulin)을 가수분해 하였을 때 공통적으로 생성되는 단당류는?

  1. 포도당
  2. 갈락토오스
  3. 과당
  4. 만노오스
(정답률: 34%)
  • 설탕이나 이눌린을 가수분해하면 많은 종류의 단당류가 생성됩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생성되는 단당류는 과당입니다. 이는 설탕과 이눌린이 모두 과당으로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혈액응고와 관계되는 무기질과 비타민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칼슘-비타민 C
  2. 칼슘-비타민 K
  3. 칼륨-비타민 A
  4. 칼슘-비타민 B6
(정답률: 64%)
  • 혈액응고는 혈액 내의 혈소판과 단백질인 피브린이 상호작용하여 혈액이 응고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칼슘은 혈액응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칼슘은 혈액응고 과정에서 혈소판이 충분히 활성화되어 응고가 일어날 수 있도록 돕고, 피브린이 응고된 혈액 내부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비타민 K는 혈액응고 과정에서 피브린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칼슘과 비타민 K는 혈액응고에 필수적인 무기질과 비타민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위생학

51. 폐디스토마의 제 1중간 숙주는?

  1. 쇠고기
  2. 배추
  3. 다슬기
  4. 붕어
(정답률: 86%)
  • 폐디스토마는 소화기관에 서식하는 기생충으로, 제 1중간 숙주로는 다양한 동물이 가능하지만, 대표적으로 다슬기를 이용합니다. 다슬기는 폐디스토마의 알을 먹이로 섭취하면 폐디스토마의 유충이 발생하여 다시 다슬기를 통해 인간에게 감염됩니다. 따라서 다슬기는 폐디스토마의 생명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투베르쿨린(tuberculin) 반응검사 및 X선 촬영으로 감염 여부를 조기에 알 수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은?

  1. 돈단독
  2. 탄저
  3. 결핵
  4. 야토병
(정답률: 56%)
  • 투베르쿨린 반응검사와 X선 촬영으로 결핵 감염 여부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핵은 인수공통전염병 중 하나로, 공기를 통해 전파되며 폐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폐 X선 촬영으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결핵균에 노출된 사람들은 투베르쿨린 반응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지가 산패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실온에 가까운 온도 범위에서 온도를 상승시킨다.
  2.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보관한다.
  3. 토코페롤을 첨가한다.
  4. 수분이 많은 식품을 넣고 튀긴다.
(정답률: 74%)
  • 토코페롤은 항산화 작용을 하여 유지의 산화를 방지해주기 때문에 유지가 산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감염형 식중독이 아닌 것은?

  1. 살모넬라 식중독
  2.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3.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4. 포도상구균 식중독
(정답률: 54%)
  • 포도상구균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 중 하나가 아닙니다. 포도상구균은 주로 피부감염, 폐렴, 요로감염 등을 일으키는 세균입니다. 따라서 포도상구균 식중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경구전염병이 아닌 것은?

  1. 콜레라
  2. 이질
  3. 발진티푸스
  4. 유행성 간염
(정답률: 44%)
  • 발진티푸스는 경구전염병이 아닙니다. 발진티푸스는 벼룩 등의 진드기를 매개로 전염되는 질병으로, 주로 피부 발진과 열이 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포도상구균이 생산하는 독소는?

  1. 솔라닌
  2. 테트로도톡신
  3. 엔테로톡신
  4. 뉴로톡신
(정답률: 63%)
  • 포도상구균은 엔테로톡신이라는 독소를 생산합니다. 이 독소는 식중독의 원인이 되며, 식중독 증상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미생물의 생육환경 조건에서 증식온도에 따라 세균을 분류하는데 고온성 세균의 최적온도로 적당한 것은?

  1. 30~40℃
  2. 50~60℃
  3. 70~80℃
  4. 90~100℃
(정답률: 45%)
  • 고온성 세균은 고온 환경에서 살아남고 번식하는 세균으로, 일반적으로 최적온도가 50~60℃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이들 세균이 이 온도 범위에서 최대한 빠르게 증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들 세균을 분류할 때는 이 온도 범위를 고려하여 분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화농성 질병이 있는 사람이 만든 제품을 먹고 식중독을 일으켰다면 가장 관계 깊은 원인균은?

  1. 장염 비브리오균
  2. 살모넬라균
  3. 보툴리누스균
  4. 포도상구균
(정답률: 67%)
  • 화농성 질병은 주로 포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며, 이 균은 식중독의 원인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화농성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만든 제품을 먹고 식중독을 일으켰다면, 포도상구균이 가장 관계 깊은 원인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식품 첨가물 중 표백제가 아닌 것은?

  1. 소르빈산
  2. 과산화수소
  3. 산성아황산나트륨
  4. 차아황산나트륨
(정답률: 39%)
  • 소르빈산은 식품 보존제로 사용되는 첨가물이며, 표백제가 아닙니다. 반면, 과산화수소, 산성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은 모두 표백제로 사용되는 첨가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식품의 변질에 관여하는 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pH
  2. 압력
  3. 수분
  4. 산소
(정답률: 78%)
  • 압력은 식품의 변질에 관여하는 요인 중에서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압력은 식품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화학적인 변화나 생물학적인 활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압력은 식품의 변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