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제빵기능사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조이론

1. 데블스 푸드 케이크를 만들려고 할 때 반죽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무게가 아닌 것은?

  1. 비중컵의 무게
  2. 코코아를 담은 비중컵의 무게
  3. 물을 담은 비중컵의 무게
  4. 반죽을 담은 비중컵의 무게
(정답률: 84%)
  • 케이크 반죽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죽을 담은 비중컵의 무게가 필요합니다. 코코아를 담은 비중컵의 무게는 케이크 반죽의 비중을 측정하는 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케이크 팬용적 410cm3에 100g의 스펀지 케이크 반죽을 넣어 좋은 결과를 얻었다면 팬용적 1230cm3에 넣어야할 스펀지 케이크의 반죽무게는?

  1. 123g
  2. 200g
  3. 300g
  4. 410g
(정답률: 70%)
  • 케이크 팬의 용적이 3배가 되었으므로, 스펀지 케이크 반죽의 양도 3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100g x 3 = 300g 이므로, 정답은 "300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젤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젤라틴
  2. 한천
  3. 레시틴
  4. 알긴산
(정답률: 55%)
  • 레시틴은 젤리를 만드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젤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주요 재료는 젤라틴과 한천이며, 알긴산은 안정제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계란이 기포성과 포집성이 가장 좋은 온도는?

  1. 0℃
  2. 5℃
  3. 30℃
  4. 50℃
(정답률: 70%)
  • 계란은 기포성과 포집성이 가장 좋은 온도가 30℃입니다. 이는 계란의 달걀흰자와 달걀노른자 사이의 막이 가장 높은 강도를 가지는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30℃ 이하에서는 막이 덜 단단해져서 기포성과 포집성이 떨어지고, 50℃ 이상에서는 막이 파괴되어 기포성과 포집성이 전혀 없어집니다. 따라서 계란을 가장 잘 요리하려면 30℃가 가장 적합한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충전을 또는 젤리가 롤 케이크에 축축하게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조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굽기 조정
  2. 물 사용량 감소
  3. 반죽시간 증가
  4. 물엿 사용
(정답률: 48%)
  • 물엿 사용은 충전이나 젤리가 롤 케이크에 스며드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물엿은 단맛을 더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충전이나 젤리가 롤 케이크에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충전이나 젤리를 더 잘게 갈아서 사용하거나, 롤 케이크를 냉장고에서 충분히 차갑게 식히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물엿 사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쿠키 중에서 상대적으로 수분이 적어서 밀어펴는 형태로 만드는 제품은?

  1. 드롭 쿠키
  2. 스냅 쿠키
  3. 스펀지 쿠키
  4. 머랭 쿠키
(정답률: 64%)
  • 스냅 쿠키는 상대적으로 수분이 적어서 밀어펴는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쿠키들은 보다 부드러운 텍스처를 위해 수분이 많이 들어가지만, 스냅 쿠키는 바삭하고 담백한 맛을 위해 수분을 적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스펀지 케이크의 부피가 작아진 경우 그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낮은 온도의 오븐에 넣고 구운 경우
  2. 계란을 기포할 때 기구에 기름기가 많은 경우
  3. 급속한 냉각으로 수축이 일어난 경우
  4. 최종 믹싱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정답률: 43%)
  • 낮은 온도의 오븐에 넣고 구운 경우는 스펀지 케이크의 부피가 작아지는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스펀지 케이크는 오븐 내부의 고온에서 반죽 내부의 기포가 팽창하여 부피가 커지는데, 온도가 낮으면 기포가 충분히 팽창하지 못하고 부피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온도의 오븐에 넣고 구운 경우는 스펀지 케이크의 부피가 작아지는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제품 중 굽기 전 침지 또는 분무하여 굽는 제품은?

  1. 오믈렛
  2. 핑거쿠키
  3. 다쿠와즈
(정답률: 83%)
  • 정답은 "슈"입니다. 슈는 굽기 전에 침지 또는 분무하여 굽는 제품으로, 이는 슈의 겉면이 부드러워지고 굽는 동안 건조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오믈렛, 핑거쿠키, 다쿠와즈는 굽기 전에 침지 또는 분무하지 않고 바로 굽는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압하지 않은 찜기의 내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65℃
  2. 99℃
  3. 150℃
  4. 200℃
(정답률: 62%)
  • 찜기는 음식물을 살짝 데우거나 조리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음식물을 조리할 때 가압하지 않은 찜기의 내부 온도는 대략 90℃에서 100℃ 사이입니다. 이 범위에서는 음식물이 적절하게 조리되며, 그 중에서도 99℃는 가장 적합한 온도입니다. 이유는 99℃에서는 음식물의 내부 온도가 75℃ 이상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유해 물질이 사라지고, 동시에 음식물의 맛과 영양소가 보존됩니다. 따라서 99℃는 가압하지 않은 찜기의 내부 온도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케이크 도넛의 제조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정형기로 찍을 때 반죽손실이 적도록 찍는다.
  2. 정형 후 곧바로 튀긴다.
  3. 덧가루를 얇게 사용한다.
  4. 튀긴 후 그물망에 올려놓고 여분의 기름을 배출시킨다.
(정답률: 78%)
  • 정형 후 곧바로 튀긴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은 방법입니다. 정형 후에는 반드시 냉장고에서 1~2시간 정도 보관하여 도넛의 모양이 안정화되도록 해야 합니다. 그 후에야 비로소 튀길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안정화되지 않은 도넛을 곧바로 튀기면 모양이 흐트러지거나 부풀어 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튀김시 과도한 흡유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1. 반죽 수분이 과다할 때
  2. 믹싱 시간이 짧을 때
  3. 글루텐이 부족할 때
  4. 튀김기름 온도가 높을 때
(정답률: 63%)
  • 튀김기름 온도가 높을 때는 반죽 표면에 빠르게 형성된 기름막이 튀김물 내부로 유입되어 튀김물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고 유지되어 과도한 흡유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튀김기름 온도가 높을 때는 과도한 흡유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방의 설계와 시공 시 조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환기장치는 대형의 1개보다 소형의 여러 개가 효과적이다.
  2. 주방 내의 천정은 낮을수록 좋다.
  3. 작업의 도언을 고려하여 설계 ● 시공한다.
  4. 냉장고와 발열기구는 가능한 멀리 배치한다.
(정답률: 80%)
  • 정답: "주방 내의 천정은 낮을수록 좋다." 이 잘못된 것이다.

    주방 내의 천정은 높을수록 좋다. 높은 천정은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키고,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여 주방 내부의 느낌을 더 넓게 만들어준다. 또한, 높은 천정은 조명을 더 잘 반사시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주방 설계 시 천정 높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스펀지 케이크에서 계란사용량을 15% 감소시킬 때 고형분과 수분량을 고려한 밀가루와 물의 사용량은?

  1. 밀가루 3.75% 증가, 물 11.25% 감소
  2. 밀가루 3.75% 감소, 물 11.25% 증가
  3. 밀가루 3.75% 감소, 물 11.25% 감소
  4. 밀가루 3.75% 증가, 물 11.25% 증가
(정답률: 42%)
  • 스펀지 케이크에서 계란을 감소시키면서도 고형분과 수분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밀가루와 물의 비율을 조절해야 합니다. 계란을 15% 감소시키면 밀가루와 물의 총 양도 15% 감소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밀가루와 물의 비율은 변하지 않고, 둘 다 15% 감소해야 합니다. 이때, 밀가루와 물의 비율은 3:2 이므로, 밀가루는 3/5(=60%)을 차지하고 물은 2/5(=40%)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밀가루와 물의 감소 비율을 60:40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밀가루는 15%를 60%로 나눈 값인 3.75% 증가하고, 물은 15%를 40%로 나눈 값인 11.25% 증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밀가루 3.75% 증가, 물 11.25% 증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이탈리안 머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흰자를 거품으로 치대어 30% 정도의 거품을 만들고 설탕을 넣으면서 50% 정도의 머랭을 만든다.
  2. 흰자가 신선해야 거품이 튼튼하게 나온다.
  3. 뜨거운 시럽에 머랭을 한꺼번에 넣고 거품을 알맞다.
  4. 강한 불에 구워 착색하는 제품을 만드는데 알맞다.
(정답률: 68%)
  • "뜨거운 시럽에 머랭을 한꺼번에 넣고 거품을 알맞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탈리안 머랭은 뜨거운 시럽을 사용하지 않고 설탕을 거품에 천천히 넣어가며 만듭니다. 이후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구워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쳐 완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퐁당에 대한 내용 중 맞는 것은?

  1. 시럽을 214℃까지 끓인다.
  2. 20℃ 전후로 식혀서 휘젓는다.
  3. 물엿 , 전화당 시럽을 첨가하면 수분 보유력을 높일 수 있다.
  4. 유화제를 사용하면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정답률: 61%)
  • 물엿과 전화당 시럽은 당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물 분자와 결합하여 수분 보유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반죽의 믹싱 단계 중 탄력성과 신장성이 상실되고 반죽에 생기가 없어지면서 글루텐 조직이 흩어지는 것은?

  1. 믹업 단계
  2. 브레이크다운 단계
  3. 렛다운 단계
  4. 클린업 단계
(정답률: 48%)
  • 반죽의 믹싱 단계 중에는 밀가루와 물이 섞이면서 글루텐 조직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반죽이 탄력성과 신장성을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브레이크다운 단계에서는 반죽에 생기가 없어지면서 글루텐 조직이 흩어지게 되어 반죽이 더 이상 탄력성과 신장성을 가지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다운 단계는 반죽의 믹싱 단계 중에서 글루텐 조직이 붕괴되는 단계로서, 반죽의 특성이 크게 변화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스펀지의 밀가루 사용량을 증가시킬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2차 믹싱의 반죽시간 단축
  2. 반죽의 신장성 저하
  3. 도우 발효시간 단축
  4. 스펀지 발효시간 증가
(정답률: 43%)
  • 밀가루 사용량을 증가시키면 반죽의 신장성이 높아지고, 스펀지 발효시간이 증가하며, 도우 발효시간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차 믹싱의 반죽시간을 단축하면 반죽의 신장성이 저하됩니다. 이는 반죽의 구성 성분들이 충분히 혼합되지 않아 반죽의 탄력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죽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반죽의 신장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굽기 및 냉각손실이 12%이고 완제품이 500g일 때 분할량은 약 얼마인가?

  1. 568g
  2. 575g
  3. 580g
  4. 585g
(정답률: 61%)
  • 분할량 = 완제품 / (1 - 굽기 및 냉각손실)
    분할량 = 500g / (1 - 0.12)
    분할량 = 568g

    굽기 및 냉각손실이 12%이므로, 실제로 생산되는 양은 88%이다. 따라서 분할량은 완제품 500g을 0.88로 나눈 568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제품 재조시 2차 발효실의 습도를 가장 낮게 유지하는 것은?

  1. 풀먼 식빵
  2. 햄버거빵
  3. 과자빵
  4. 빵 도넛
(정답률: 51%)
  • 빵 도넛은 다른 제품들보다 더 많은 기름을 함유하고 있어서 습기를 덜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차 발효실의 습도를 가장 낮게 유지하는 데에 빵 도넛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빵 도넛 튀김온도의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50~160℃
  2. 180~190℃
  3. 200~210℃
  4. 220~230℃
(정답률: 89%)
  • 빵 도넛은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식감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튀김온도가 너무 낮으면 겉이 부드러워지고, 너무 높으면 겉은 과도하게 바삭해지면서 속이 말랑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빵 도넛의 튀김온도의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80~1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과학

21. 건포도 식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죽이 충분하게 형성된 후 건포도를 투입한다.
  2. 밀어펴기(가스빼기)를 완전히 한다.
  3. 2차 발효 시간이 길다.
  4. 팬닝량은 일반 식빵에 비해 10 ~20% 정도 증가시킨다.
(정답률: 51%)
  • "밀어펴기(가스빼기)를 완전히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건포도 식빵은 반죽을 형성한 후 건포도를 투입하고, 2차 발효 시간이 길며 팬닝량은 일반 식빵에 비해 10~20% 증가시킨다. 하지만 건포도 식빵은 가스빼기를 완전히 하지 않고 약간의 가스를 남겨 부드러운 식감을 유지하기 때문에, "밀어펴기(가스빼기)를 완전히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빵 제품의 노화(staling)현상이 가장 일어나지 않는 온도는?

  1. 0℃~4℃
  2. 7℃~10℃
  3. -20℃~-18℃
  4. 18℃~20℃
(정답률: 67%)
  • 빵 제품의 노화 현상은 수분이 증발하고 전체적으로 건조해지는 것이 원인입니다. 따라서 빵을 보관할 때는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보관해야 합니다. -20℃~-18℃의 온도는 빵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보관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 범위입니다. 이 온도에서는 빵의 수분이 얼어서 증발하지 않기 때문에 노화 현상이 가장 적게 일어납니다. 반면, 0℃~4℃나 18℃~20℃에서는 빵의 수분이 증발하기 쉬우므로 노화 현상이 더 빠르게 일어납니다. 7℃~10℃에서는 빵의 수분이 증발하기 쉬운 온도 범위에 속하지만, 냉장고 내부 온도가 이 범위에 가까울 때는 빵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냉장고 내부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노화 현상이 일어나는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스트레이트법으로 식빵을 만들 때 밀가루 온도 22℃, 실내온도26℃, 수돗물 온도 17℃, 결과온도 30℃, 희망온도 27℃ 라면 계산된 물 온도는?

  1. 2℃
  2. 4℃
  3. 6℃
  4. 8℃
(정답률: 47%)
  • 스트레이트법에서는 계산된 물 온도 = (희망온도 x 2) - (밀가루 온도 + 실내온도 + 수돗물 온도 + 결과온도) 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계산된 물 온도 = (27 x 2) - (22 + 26 + 17 + 30) = 54 - 95 = -41 이 됩니다. 하지만, 물의 온도는 0℃ 이하로 내려갈 수 없으므로, 계산된 물 온도는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이 아닌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오버나이트 스펀지법(overnight sponge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효 손실이 적다.
  2. 12~24시간 발효시킨다.
  3. 적은 양의 이스트로 매우 천천히 발효시킨다.
  4. 강한 신장성과 풍부한 발효향을 지니고 있다.
(정답률: 55%)
  • 정답은 "적은 양의 이스트로 매우 천천히 발효시킨다."입니다.

    오버나이트 스펀지법은 12~24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방법으로, 이스트의 양을 적게 사용하여 천천히 발효시키기 때문에 발효 손실이 적습니다. 이로 인해 더욱 풍부한 발효향과 강한 신장성을 지니는 빵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빵제품의 제조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반죽은 무게 또는 부피에 의하여 분할한다.
  2. 둥글리기에서 과다한 덧가루를 사용하면 제품에 줄무늬가 생성된다.
  3. 중간발효시간은 보통 10~20분이며 27~29℃에서 실시한다.
  4. 성형은 반죽을 일정한 형태로 만드는 1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있다.
(정답률: 70%)
  • 반죽을 일정한 형태로 만드는 공정은 성형이 아니라 분쇄 공정이다. 따라서 "성형은 반죽을 일정한 형태로 만드는 1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있다."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새로운 팬의 처리방법 중 틀린 것은?

  1. 깨끗한 물에 2시간 정도 담근 후 꺼내어 그늘에서 말린다.
  2. 강판은 250~300℃의 고온으로 50분 정도 굽는다.
  3. 굽기 후 기름칠을 하여 보관한다.
  4. 실리콘이 코팅된 팬은 가볍게 가열한다.
(정답률: 53%)
  • "깨끗한 물에 2시간 정도 담근 후 꺼내어 그늘에서 말린다."가 틀린 이유는, 이 방법은 팬을 처리하는 방법이 아니라 새로운 팬을 사용하기 전에 세척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팬을 사용하기 전에는 제조 과정에서 남아있는 불순물이나 기름 등을 제거하기 위해 깨끗한 물에 담근 후 말리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팬을 처리하는 방법이 아니며, 팬을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녹이나 부식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다른 방법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외부가치 7100만원, 생산가치 3000만원, 인건비 1400만원인 경우 노동분배율은 약 얼마인가?

  1. 20%
  2. 42%
  3. 47%
  4. 23%
(정답률: 43%)
  • 노동분배율은 생산가치에서 인건비를 뺀 값에 대한 외부가치의 비율입니다. 따라서, 생산가치 3000만원에서 인건비 1400만원을 뺀 값인 1600만원이 외부가치 7100만원의 몇 퍼센트인지 계산하면 됩니다.

    1600 / 7100 = 0.2253

    즉, 22.53%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답안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을 골라야 하므로, 23%보다는 47%가 더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높은 온도에서 포장하면 썰기가 어렵다.
  2. 높은 온도에서 포장하면 곰팡이 발생 가능성이 높다.
  3. 낮은 온도에서 포장하면 노화가 지연된다.
  4. 낮은 온도에서 포장된 빵은 껍질이 건조하다.
(정답률: 62%)
  • 정답은 "높은 온도에서 포장하면 썰기가 어렵다."입니다.

    낮은 온도에서 포장하면 노화가 지연되는 이유는 빵 내부의 활동이 둔화되기 때문입니다. 빵 내부의 활동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지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포장하면 빵 내부의 활동이 둔화되어 노화가 지연됩니다. 높은 온도에서 포장하면 곰팡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곰팡이가 빵 내부의 수분과 영양분을 이용해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낮은 온도에서 포장된 빵이 껍질이 건조한 것은 빵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정형기(Moulder)의 작동 공정이 아닌 것은?

  1. 둥글리기
  2. 밀어펴기
  3. 말기
  4. 봉하기
(정답률: 61%)
  • 정형기는 주로 나무나 금속 등의 재료를 형태에 맞게 가공하는 기계입니다. 그 중 "둥글리기"는 정형기의 작동 공정이 아닙니다. 둥글리기는 주로 석재나 금속 등의 재료를 원형으로 가공하는 공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형기와는 별개의 가공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냉동반죽의 해동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실온해동
  2. 온수해동
  3. 리타더(retard)해동
  4. 도우 컨디셔너(dough conditioner)
(정답률: 62%)
  • 냉동반죽은 냉동보관을 통해 오랜 기간 동안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냉동반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동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온수해동은 냉동반죽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냉동반죽은 냉동보관을 통해 수분을 잃게 되는데, 온수해동을 하면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여 반죽의 건조와 경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동반죽의 해동방법으로는 실온해동, 리타더(retard)해동, 도우 컨디셔너(dough conditioner)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양학

31. 글리세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방산을 가수분해하여 만든다.
  2. 흡습성이 강하다.
  3. 무색투명하며 약간 점조한 액체이다.
  4. 자당의 1/3 정도의 감미가 있다.
(정답률: 36%)
  • 글리세린은 지방산을 가수분해하여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지방과 함께 산화되어 만들어진다. 지방이 산화되면서 생성된 에너지는 글리세린과 함께 ATP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지방산을 가수분해하여 만든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함께 사용한 재료들에 향미를 제공하고 껍질색 형성을 빠르게 하여 색상을 진하게 하는 것은?

  1. 지방
  2. 소금
  3. 우유
  4. 유화제
(정답률: 46%)
  • 소금은 함께 사용한 재료들에게 향미를 제공하고 껍질색 형성을 빠르게 하여 색상을 진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소금은 음식의 맛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보존에도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분유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혼합분유 : 연유에 유청을 가하여 분말화 한 것
  2. 전지분유 : 원유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화 한 것
  3. 탈지분유 : 탈지유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화 한 것
  4. 가당분유 : 원유에 당류를 가하여 분말화 한 것
(정답률: 51%)
  • 혼합분유는 연유(우유 단백질)에 유청(우유에서 분리된 물과 단백질)을 섞어 분말화한 것입니다. 따라서 "혼합분유 : 연유에 유청을 가하여 분말화 한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분당이 저장 중 덩어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옥수수 전분을 몇 %정도 혼합하는가?

  1. 3%
  2. 7%
  3. 12%
  4. 15%
(정답률: 48%)
  • 옥수수 전분은 물과 섞이면 점차 더 농축된 덩어리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분당이 저장 중 덩어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옥수수 전분을 혼합해야 합니다. 그러나 너무 많이 혼합하면 제품의 맛이나 질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비율을 찾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3% 정도의 옥수수 전분을 혼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덩어리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면서도 제품의 맛과 질감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계란 흰자가 360g 필요하다고 할 때 전란 60g짜리 계란이 몇 개 정도 필요한가? (다, 계란 중 난백의 함량은 60%)

  1. 6
  2. 8
  3. 10
  4. 13
(정답률: 64%)
  • 전란 60g짜리 계란 하나에는 난백이 60%인 즉, 36g이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360g의 난백이 필요하다면 360g ÷ 36g/개 = 10개의 전란 60g짜리 계란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중화가를 구하는 식은?

  1. (중조의양 / 산성제의양)×100
  2. 중조의양 / 산성제의양
  3. (산성제의양 × 중화가) / 100
  4. (중조의양 × 100) / 중화가
(정답률: 71%)
  • 중화가는 산성과 알칼리의 양이 같아지는 지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중화가를 구하려면 산성제와 중조의 양을 비교하여 중화가를 찾아야 합니다. 중조의양은 알칼리의 양을, 산성제의양은 산성의 양을 나타내므로 중조의양을 산성제의양으로 나눈 비율에 100을 곱하면 중화가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조의양 / 산성제의양)×10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젤리(jell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한천젤리는 한천, 설탕, 물엿, 과즙을 동시에 가열한다.
  2. 펙틴젤리 제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산의 함량과 당도이다.
  3. 구연산과 향료는 불을 끈 후 첨가한다.
  4. 한천과 젤라틴을 섞어 쓰는 젤리도 있다.
(정답률: 48%)
  • 정답은 "한천젤리는 한천, 설탕, 물엿, 과즙을 동시에 가열한다."가 아닙니다.

    한천젤리는 한천, 설탕, 물엿, 과즙을 순차적으로 가열하여 만듭니다. 먼저 한천을 끓인 후 설탕과 물엿을 넣어 설탕이 녹을 때까지 저어줍니다. 그리고 과즙을 넣어 끓인 후 젤리 형태로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한천젤리는 한천, 설탕, 물엿, 과즙을 동시에 가열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퐁당 크림을 부드럽게 하고 수분 보유력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첨가하는 것은?

  1. 한천, 젤라틴
  2. 물, 레몬
  3. 소금 , 크림
  4. 물엿 , 전화당 시럽
(정답률: 78%)
  • 퐁당 크림은 부드러운 질감과 수분 보유력을 유지하기 위해 설탕을 첨가합니다. 그 중에서도 물엿과 전화당 시럽은 설탕 중에서도 높은 수분 보유력을 가지고 있어 퐁당 크림의 부드러운 질감과 수분 보유력을 높이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밀로펙틴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요오드 테스트를 하면 자주빛 붉은색을 띤다.
  2. 노화되는 속도가 빠르다.
  3. 곁사슬 구조이다.
  4. 대부분의 천연전분은 아밀로펙틴 구성비가 높다.
(정답률: 50%)
  • 정답: "노화되는 속도가 빠르다."

    설명: 아밀로펙틴은 곁사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소화가 느리고 인체 내에서 분해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아밀로펙틴이 노화되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오히려 특이한 특성이 아니며, 오히려 느리게 노화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pH 가 5인 물을 증류수로 100배 희석했을 때 pH는?

  1. 3
  2. 5
  3. 7
  4. 9
(정답률: 48%)
  • pH 5인 물을 100배 희석하면 pH는 2단계 감소하여 7이 됩니다. 이는 pH가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입니다. pH 5는 수소 이온 농도가 10^-5 mol/L이고, 100배 희석하면 수소 이온 농도는 10^-7 mol/L이 됩니다. 이는 중성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와 같으므로 pH는 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제분 직후의 미숙성 밀가루는 노란색을 띠는데 그 원인 색소는?

  1. 플라본
  2. 퀴논
  3. 클로로필
  4. 크산토필
(정답률: 45%)
  • 제분 직후의 미숙성 밀가루는 노란색을 띠는데, 이는 크산토필이라는 색소 때문입니다. 크산토필은 밀의 아웃브랜드(외피)에 존재하는 색소로, 밀가루를 만들 때 아웃브랜드가 함께 분쇄되어 노란색을 띠게 됩니다. 플라본, 퀴논, 클로로필은 밀에 존재하는 색소 중 다른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스트푸드의 구성 물질 중 생지의 pH를 효모의 발육에 가장 알맞은 미산성의 상태로 조절하는 것은?

  1. 황산암모늄
  2. 브롬산칼륨
  3. 요오드화칼륨
  4. 인산칼슘
(정답률: 34%)
  • 효모는 생존에 적합한 pH 범위가 있으며, 대부분의 효모는 pH 4.0-5.5 사이에서 가장 잘 발육합니다. 이스트푸드의 생지는 pH가 높아서 효모의 발육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생지의 pH를 낮춰서 효모의 발육을 촉진시키기 위해 산성 조절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인산칼슘은 산성 조절뿐만 아니라, 효모의 발효 활동에 필요한 인산을 공급해주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조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빵에 있어 일반적으로 껍질을 부드럽게 하는 재료는?

  1. 소금
  2. 밀가루
  3. 마가린
  4. 이스트푸드
(정답률: 68%)
  • 마가린은 제빵에서 사용되는 지방으로, 부드러운 텍스처와 함께 반죽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껍질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단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본단위는 아미노산이다.
  2. 밀단백질의 질소계수는 8.25이다.
  3. 대부분의 단백질은 열에 응고된다.
  4. 고온으로 가열하면 변성된다.
(정답률: 58%)
  • 단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밀단백질의 질소계수는 8.25이다."입니다. 실제로 밀단백질의 질소계수는 5.5 ~ 6.5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질소계수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 단백질 1g당 얼마나 많은 질소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밀단백질은 다른 식물성 단백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소계수가 높은 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빵용 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빵에는 아경수가 가장 적합하다.
  2. 알칼리 물은 이스트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정상적인 산도를 중화시킨다.
  3. 경수를 사용할 때는 이스트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4. 경수를 사용할 때는 이스트푸드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50%)
  • "경수를 사용할 때는 이스트푸드를 증가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경수를 사용할 때 이스트푸드를 감소시켜야 한다. 이는 경수가 불순물이 적어 이스트의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불완전 단백질 식품은?

  1. 옥수수
  2. 달걀
  3. 우유
  4. 육류
(정답률: 58%)
  • 옥수수는 아미노산 조성이 불완전한 식물성 단백질입니다. 따라서 옥수수는 단백질의 대표적인 원료인 육류, 우유, 달걀에 비해 영양가가 낮은 식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무기질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우리 몸의 경조직 구성성분이다.
  2. 열량을 내는 열량 급원이다.
  3. 효소의 기능을 촉진시킨다.
  4. 세포의 삼투압 평형유지 작용을 한다.
(정답률: 55%)
  • 무기질은 열량을 내는 열량 급원이 아닙니다. 열량은 유기물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에서 나오는 것이며, 무기질은 우리 몸의 경조직 구성성분이 되거나, 효소의 기능을 촉진시키거나, 세포의 삼투압 평형을 유지하는 등의 기능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밀가루가 75%의 탄수화물, 10%의 단백질, 1%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면 100g의 밀가루를 섭취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열량은?

  1. 386 kcal
  2. 349kcal
  3. 317 kcal
  4. 307kcal
(정답률: 66%)
  • 밀가루 100g당 탄수화물은 75g, 단백질은 10g, 지방은 1g이므로 각각의 열량은 다음과 같다.

    - 탄수화물: 75g x 4kcal/g = 300kcal
    - 단백질: 10g x 4kcal/g = 40kcal
    - 지방: 1g x 9kcal/g = 9kcal

    따라서, 100g의 밀가루를 섭취하면 총 300kcal + 40kcal + 9kcal = 349kcal의 열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349kc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방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돕는다.
  2.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장기를 보호한다.
  3. 높은 열량을 제공한다.
  4. 변의 크기를 증대시켜 장관 내 체류시간을 단축시킨다.
(정답률: 66%)
  • 변의 크기를 증대시켜 장관 내 체류시간을 단축시킨다는 것은 지방이 소화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여 장관 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지방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이당류만 묶인 것은?

  1. 맥아당, 유당, 설탕
  2. 포도당, 과당, 맥아당
  3. 설탕, 갈락토오스, 유당
  4. 유당, 포도당, 설탕
(정답률: 68%)
  • "맥아당, 유당, 설탕"은 모두 이당류에 속하는 당입니다. 이당류는 당을 구성하는 단위 분자가 하나인 당으로, 소화가 빠르고 혈당을 급격하게 올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당류는 혈당 관리에 주의해야 하는 당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위생학

51. 계란의 난황계수를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가장 신선하지 않은 것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53%)
  • 계란의 난황계수는 계란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난황계수가 높을수록 계란이 오래되어 신선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장 신선하지 않은 것은 난황계수가 가장 높은 "0.4"가 아니라, 난황계수가 가장 낮은 "0.1"입니다. 이는 계란이 신선할수록 난황계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음식물을 매개로 전파되지 않는 것은?

  1. 이질
  2. 장티푸스
  3. 콜레라
  4. 광견병
(정답률: 73%)
  • 광견병은 음식물을 매개로 전파되지 않습니다. 광견병은 감염된 개의 침으로 인해 전파되며,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밀가루 개량제가 아닌 것은?

  1. 과산화벤조일
  2. 과황산암모늄
  3. 염화칼슘
  4. 브롬산칼륨
(정답률: 49%)
  • 염화칼슘은 밀가루 개량제가 아닙니다. 밀가루 개량제는 밀가루의 품질을 개선하거나 보존하기 위해 첨가되는 화학물질로, 과산화벤조일, 과황산암모늄, 브롬산칼륨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염화칼슘은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밀가루 개량제로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염화칼슘은 식품첨가물로서는 보통 식품의 안정성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 중 평균적으로 잠복기가 가장 짧은 것은?

  1. 웰치균
  2. 보툴리누스균
  3. 살모넬라균
  4. 포도상구균
(정답률: 66%)
  • 포도상구균은 잠복기가 짧아서 식중독 증상이 발생하기까지 시간이 적게 걸립니다. 일반적으로 1~6시간 내에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가장 빠른 식중독 세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불량 첨가물
  2. 농약
  3. 엔테로톡신
  4. 메탄올
(정답률: 57%)
  • 엔테로톡신은 식중독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불량 첨가물, 농약, 메탄올도 모두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엔테로톡신은 이 보기에서 유일한 식중독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빵의 제조과정에서 빵반죽을 분할기에서 분할할 때 달라붙지 않게 하는 첨가물은?

  1. 호료(thickening agent)
  2. 피막제(coating agent)
  3. 용제(solvents)
  4. 이형제(release agent)
(정답률: 77%)
  • 이형제는 분할기에서 빵반죽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첨가물입니다. 이는 빵의 제조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빵의 외형과 맛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이형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곰팡이독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파툴린(patulin)
  2. 아플라톡신(aflatoxin)
  3. 시트리닌(citrinin)
  4. 고시폴(gossypol)
(정답률: 68%)
  • 고시폴은 면화 식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로, 곰팡이독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반면에, 파툴린, 아플라톡신, 시트리닌은 모두 곰팡이가 생성하는 독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알레르기(allergy)성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기능성이 가장 높은 식품은?

  1. 오징어
  2. 꽁치
  3. 갈치
  4. 광어
(정답률: 67%)
  • 꽁치는 고기가 부드럽고 지방이 많아 맛이 좋아 인기 있는 생선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꽁치는 티아민아제(TMA)를 분해하는 세균이 존재하기 때문에,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세균은 꽁치의 내장에 존재하며, 꽁치를 오래 보관하거나 냉장보관이 부적절하게 이루어질 경우 세균이 번식하여 독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꽁치는 알레르기성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기능성이 가장 높은 식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식품의 처리, 가공, 저장 과정에서의 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농산물의 재배, 축산물의 성장과정 중에서 1차 오염이 있을 수 있다.
  2. 수확, 채취 어획, 도살 등의 처리과저에서 2차 오염이 있을 수 있다.
  3. 양질의 원료와 용수로 1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4. 종업원의 철저한 위생 관리만으로도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종업원의 철저한 위생 관리만으로도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바르지 못한 설명입니다. 종업원의 위생 관리는 2차 오염을 방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완전한 방지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과 함께 종업원의 위생 관리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전염병과 관계있는 내용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콜레라 - 외래 전염병
  2. 파상열 - 바이러스성 인수공통전염병
  3. 장티푸스 - 고열 수반
  4. 세균성 이질 - 점맥성 혈변
(정답률: 58%)
  • 파상열은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지만, 인수공통전염병은 세균에 의한 전염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파상열 - 바이러스성 인수공통전염병"이 연결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