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7-15)

제빵기능사
(2007-07-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조이론

1. 다음 제품 중 반죽 희망온도가 가장 낮 은것은?

  1. 퍼프 페이스트리
  2. 카스텔라(카스테라)
  3. 파운드 케이크
(정답률: 69%)
  • 퍼프 페이스트리는 반죽에 버터를 층층이 넣고 반죽을 여러 번 접어서 만드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반죽 희망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퍼프 페이스트리가 다른 제품들보다 반죽 희망온도가 가장 낮은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도넛의 흡유량이 높았을 때 그 원인은?

  1. 고율배합 제품이다.
  2. 튀김시간이 짧다.
  3. 튀김온도가 높다.
  4. 휴지시간이 짧다.
(정답률: 73%)
  • 도넛의 흡유량이 높은 이유는 고율배합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고율배합 제품은 밀가루와 설탕 등의 비율이 높아서 반죽이 더 단단해지고, 이로 인해 튀길 때 기름이 더 잘 흡수되어 도넛의 흡유량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퍼프 페이스트리를 정형할 때 수축하는 경우는?

  1. 반죽이 질었을 경우
  2. 휴지시간이 길었을 경우
  3. 반죽 중 유지 사용량이 많았을 경우
  4. 밀어펴기 중 무리한 힘을 가했을 경우
(정답률: 71%)
  • 퍼프 페이스트리를 만들 때, 밀어펴기는 반죽을 얇고 넓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하지만 밀어펴기를 할 때 무리한 힘을 가하면, 반죽 내부의 기름과 공기가 파괴되어 수축하게 됩니다. 따라서 밀어펴기를 할 때는 적당한 힘으로 부드럽게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원형팬의 용적 2.4cm3 당 1g의 반죽을 넣으려 한다.k 안치수로 팬의 직겨이 10cm 높이가 4cm라면 약 얼마의 반죽을 분할해 넣는가?

  1. 100g
  2. 130g
  3. 170g
  4. 200g
(정답률: 64%)
  • 원형팬의 부피는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원형팬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부피 = 반지름의 제곱 × 높이 × 파이
    = (5cm)² × 4cm × 3.14
    = 314cm³

    이제 용적 2.4cm³ 당 1g의 반죽을 넣으려 한다는 조건을 이용하여 반죽의 무게를 구할 수 있습니다.

    반죽의 무게 = 부피 ÷ 용적 2.4cm³/1g
    = 314cm³ ÷ 2.4cm³/1g
    = 130.83g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반죽의 무게는 약 130g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스킷을 제조할 때 유지보다 설탕을 많이 사용하면 어떤 결과가 일어나는가?

  1. 제품의 촉감이 단단해 진다.
  2. 제품이 부드러워진다.
  3. 제품의 퍼짐이 작아진다.
  4. 제품의 색깔이 엷어진다.
(정답률: 65%)
  • 설탕은 유지보다 더 많은 결정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제품의 촉감이 단단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과자 제품의 평가 시 내부적 평가 요인이 아닌 것은?

  1. 속색
  2. 기공
  3. 부피
(정답률: 60%)
  • 부피는 제품의 내부적인 특성이 아닌, 제품의 크기나 양을 나타내는 외부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자 제품의 평가 시에는 맛, 속색, 기공과 같은 내부적인 평가 요인이 중요하며, 부피는 평가 요인으로 고려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꽃을 짜거나 조형물을 만들 머랭을 제조하려 할 때 흰자에 대한 설탕의 사용 비율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50%
  2. 100%
  3. 200%
  4. 400%
(정답률: 56%)
  • 머랭을 만들 때는 흰자와 설탕을 섞어 거품을 내고 구워서 만듭니다. 이때 설탕의 양은 흰자의 양에 비례합니다. 일반적으로 흰자 1개당 설탕 2배(200%)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젤리 롤 케이크 반죽 굽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껍게 편 반죽은 낮은 온도에서 굽는다.
  2. 구운 후 철판에서 꺼내지 않고 냉각시킨다.
  3. 양은 적은 반죽은 높은 온도에서 굽는다.
  4. 열이 식으면 압력을 가해 수평을 맞춘다.
(정답률: 79%)
  • "구운 후 철판에서 꺼내지 않고 냉각시킨다."가 틀린 이유는, 젤리 롤 케이크 반죽을 굽은 후에는 반드시 철판에서 꺼내서 냉각시켜야 합니다. 이는 반죽이 더 이상 굽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슈 재료의 계량시 같이 계량하여서는 안될 재료로 짝지어진 것은?

  1. 버터 + 물
  2. 물 + 소금
  3. 버터 + 소금
  4. 밀가루+베이킹파우더
(정답률: 60%)
  • 밀가루와 베이킹파우더는 모두 반죽에서 발효를 일으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함께 계량하여 사용하면 반죽이 과반응을 일으켜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따로 계량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케이크 반죽의 비중이 정상보다 높을 때의 현상은?(단, 분할 무게는 같다.)

  1. 부피가 커진다.
  2. 내부에 큰 기포가 생긴다.
  3. 부피에 비해 가벼운 제품이 된다.
  4. 기공이 조밀해진다.
(정답률: 61%)
  • 케이크 반죽의 비중이 높을 때는 더 많은 재료가 적은 부피에 들어가기 때문에 기공이 더 조밀해지게 됩니다. 즉, 작은 기포들이 더 많이 형성되어서 케이크 내부의 공기 구멍이 더 작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먼저 밀가루와 유지를 넣고 믹싱하여 유지에 의해 밀가루가 피복되도록 한 후 나머니 재료를 투입하는 방법으로 유연감을 우선으로 하는 제품에 사용되는 반죽법은?

  1. 1단계법
  2. 별립법
  3. 블렌딩법
  4. 크림법
(정답률: 81%)
  • 유지와 밀가루를 먼저 섞어 유지가 밀가루를 피복시킨 후에 나머지 재료를 섞는 방법이 블렌딩법이다. 이 방법은 반죽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재료들이 서로 섞이는 과정에서 과도한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초콜릿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구는?

  1. 디핑 포크(dipping forks)
  2. 파리샨 나이프(parisienne knife)
  3. 파이 롤러(pie roller)
  4. 워터 스프레이(water spray)
(정답률: 77%)
  • 초콜릿 제품을 생산할 때, 디핑 포크는 초콜릿을 녹여 덩어리를 만들고, 그 덩어리를 디핑 포크에 꽂아 초콜릿을 물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초콜릿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기구 중 하나입니다. 파리샨 나이프는 초콜릿을 자르는 용도로 사용되며, 파이 롤러는 파이를 만들 때 사용되는 기구입니다. 워터 스프레이는 초콜릿을 녹일 때 사용되는데, 초콜릿이 녹을 때 물이 섞이면 안되기 때문에 스프레이로 물을 뿌려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포장시 일반적인 빵, 과자 제품의 냉각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2℃
  2. 30℃
  3. 37℃
  4. 47℃
(정답률: 74%)
  • 일반적인 빵과 과자 제품은 18~25℃의 실온에서 보관이 가능하며, 냉각보다는 상온에서의 보관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냉각온도로는 22℃ 또는 30℃가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47℃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고온이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냉각온도는 3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익히는 방법이 다른 것은?

  1. 찐빵
  2. 엔젤푸드 케이크
  3. 스펀지 케이크
  4. 파운드 케이크
(정답률: 87%)
  • 정답은 "찐빵"입니다.

    나머지 세 가지 케이크는 모두 오븐에서 구워지는 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찐빵은 오븐이 아닌 찐빵기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익히는 방법이 다릅니다. 찐빵은 찐빵기에 반죽을 담고 끓는 물에 살짝 찐 후 완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퐁당아이싱이 끈적거리거나 포장지에 붙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이싱을 다소 덥게(40℃)하여 사용한다.
  2. 아이싱에 최대의 액체를 사용한다.
  3. 굳은 것은 설탕시럽을 첨가하거나 데워서 사용한다.
  4. 젤라틴, 한천 등과 같은 안정제를 적절하게 사용한다.
(정답률: 60%)
  • 아이싱에 최대의 액체를 사용하는 것은 끈적거림을 감소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액체가 아이싱의 설탕 결정을 더 잘 적시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 많은 액체를 사용할수록 끈적거림이 감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반적인 스펀지법에 의한 식빵 제조에 있어 스펀지 배합 후의 반죽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8℃
  2. 24℃
  3. 30℃
  4. 35℃
(정답률: 77%)
  • 스펀지법에 의한 식빵 제조에서는 스펀지를 만들고 나서 반죽을 진행합니다. 이때 반죽온도는 스펀지 배합 후의 온도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온도가 적합합니다. 이유는 스펀지 배합 후의 온도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온도에서 반죽을 진행하면,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미생물이 활발하게 작용하여 반죽의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펀지 배합 후의 반죽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반적으로 2차 발효시 완제품 용적의 몇 %까지 팽창시키는가?

  1. 30~40%
  2. 50~60%
  3. 70~80%
  4. 90~100%
(정답률: 82%)
  • 2차 발효는 이스트(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과정으로, 이스트가 발효할 때 생성되는 이산화탄소가 완제품 내부에 쌓이면서 완제품 용적이 팽창됩니다. 이산화탄소가 쌓이는 양은 이스트의 양, 발효 시간, 발효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70~80% 정도까지 팽창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빵의 생산 시 고려해야 할 원가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료비
  2. 노무비
  3. 경비
  4. 학술비
(정답률: 86%)
  • 빵의 생산 시 고려해야 할 원가요소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입니다. 이 중 학술비는 빵 생산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항목으로, 빵 생산 과정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학술비는 연구나 교육 등 학문적인 활동에 필요한 비용으로, 빵 생산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형한 식빵 반죽을 팬에 넣을 때 이음매의 위치는?

  1. 아래
  2. 좌측
  3. 우측
(정답률: 91%)
  • 식빵 반죽을 팬에 넣을 때 이음매는 아래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는 반죽이 발효되어 부풀어 오르면서 위쪽으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음매가 아래에 위치하면 발효 후에도 깔끔하게 모양이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빵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중 잘못된 것은?

  1. -18℃에서 밀봉 보관한다.
  2. 2~10℃에서 보관한다.
  3. 당류를 첨가한다.
  4. 방습 포장지로 포장한다.
(정답률: 72%)
  • 정답은 "2~10℃에서 보관한다."입니다.

    이유는 빵은 습기와 온도에 민감하며, 2~10℃의 적정 온도에서 보관하면 빵의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외의 방법들은 빵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8℃에서 밀봉 보관한다: 빵을 냉동실에 보관하면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지만, 냉동해둔 빵을 해동하면 맛과 질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류를 첨가한다: 당류는 빵의 수분 함량을 높여주어 빵이 더 오래 보존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방습 포장지로 포장한다: 방습 포장지는 빵이 습기를 흡수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빵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과학

21. 액체 발효법에서 가장 정확한 발효점 측정법은?

  1. 부피의 증가도 측정
  2. 거품의 상태 측정
  3. 산도 측정
  4. 액의 색 변화 측정
(정답률: 59%)
  • 액체 발효법에서 가장 정확한 발효점 측정법은 산도 측정입니다. 이는 발효 과정에서 생산되는 산의 양이 많을수록 발효가 더 진행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도 측정은 발효 과정의 진행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가장 신뢰성이 높은 측정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빵을 구울 때 글루텐이 응고되기 시작하는 온도는?

  1. 37℃
  2. 54℃
  3. 74℃
  4. 97℃
(정답률: 57%)
  • 74℃는 글루텐이 응고되기 시작하는 온도인데, 이는 빵의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인 글루텐이 수분과 함께 열을 받아 단단해지기 시작하는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이 온도 이상에서는 빵의 구조가 더욱 단단해지며, 더 많은 수분이 증발하여 빵의 내부가 건조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빵을 굽는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스트레이트법에서 반죽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밀가루 종류
  2. 이스트 양
  3. 물의 양
  4. 쇼트닝 양
(정답률: 36%)
  • 스트레이트법에서 반죽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밀가루 종류, 물의 양, 쇼트닝 양입니다. 이 중에서 이스트 양은 반죽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스트 양은 반죽의 발효력을 결정하는 요인이지만, 스트레이트법에서는 짧은 시간 내에 반죽을 완성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스트 양이 적당하다면 반죽시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주로 소매점에서 자주 사용하는 믹서로써 거품형 케이크 및 빵 반죽이 모두 가능한 믹서는?

  1. 수직 믹서 (vertical mixer)
  2. 스파이럴 믹서 (spiral mixer)
  3. 수평 믹서 (horizontal mixer)
  4. 핀 믹서 (pin mixer)
(정답률: 75%)
  • 거품형 케이크 및 빵 반죽은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믹서의 회전 방향이 중요합니다. 수직 믹서는 믹서 머리가 상하로 움직이며, 믹싱 보울 안에서 재료를 위에서 아래로 섞어주기 때문에 거품형 케이크 및 빵 반죽에 적합합니다. 또한, 소매점에서는 작은 양의 반죽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수직 믹서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500g의 완제품 식빵 200개를 제조하려 할 때 발효 손실이 1%, 굽기 냉각손실이 12%, 총 배합율이 180%라면 밀가루의 무게는?

  1. 47kg
  2. 55kg
  3. 64kg
  4. 71kg
(정답률: 57%)
  • 식빵 200개를 만들기 위해서는 식빵 한 개당 500g의 완제품 식빵이 필요하므로 총 필요한 완제품 식빵의 무게는 500g x 200 = 100,000g = 100kg입니다.

    발효 손실이 1%이므로, 필요한 완제품 식빵의 무게에 1%를 더해줘야 합니다. 100kg x 1% = 1kg 이므로, 총 필요한 완제품 식빵의 무게는 100kg + 1kg = 101kg입니다.

    굽기 냉각손실이 12%이므로, 필요한 완제품 식빵의 무게에 12%를 더해줘야 합니다. 101kg x 12% = 12.12kg 이므로, 총 필요한 완제품 식빵의 무게는 101kg + 12.12kg = 113.12kg입니다.

    총 배합율이 180%이므로, 필요한 밀가루의 무게는 총 필요한 완제품 식빵의 무게를 180%로 나눈 값입니다. 113.12kg ÷ 1.8 = 62.84kg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64kg"이므로, 정답은 "64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식빵의 굽기 후 포장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5~30℃
  2. 35~40℃
  3. 42~47℃
  4. 50~55℃
(정답률: 80%)
  • 식빵은 굽기 후 열이 유지되어 내부에서 조금 더 익을 수 있기 때문에, 포장 시에는 식빵의 내부 온도가 완전히 식어서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식빵의 포장온도는 35~40℃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 온도 범위에서는 식빵의 내부 온도가 안정화되면서도 식빵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25~30℃는 식빵이 너무 빨리 식어서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42~47℃와 50~55℃는 식빵이 과도하게 더워져서 품질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냉동반죽 제품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계획생산이 가능하다.
  2. 인당 생산량이 증가한다.
  3. 이스트의 사용량이 감소한다.
  4. 반죽의 저장성이 향상된다.
(정답률: 72%)
  • 냉동반죽 제품은 이미 이스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이스트 사용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둥글리기 하는 동안 반죽의 끈적거림을 없애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반죽의 최적 발효상태를 유지한다.
  2. 덧가루를 사용한다.
  3. 반죽에 유화제를 사용한다.
  4. 반죽에 피라핀 용약을 10% 첨가한다.
(정답률: 62%)
  • 반죽에 피라핀 용약을 10% 첨가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피라핀은 항균제로서, 반죽 내의 미생물을 제거하여 발효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효를 유지하고 싶다면 피라핀 용약을 첨가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빵의 노화속도가 가장 빠른 온도는?

  1. -1~·18℃
  2. 0~10℃
  3. 20~30℃
  4. 35~45℃
(정답률: 80%)
  • 빵의 노화속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일수록 빵이 빨리 상하기 때문에 노화속도가 빠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빠른 온도는 35~45℃이 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0~10℃인 것이 정답입니다. 이는 냉장고 내부 온도가 대략 0~10℃ 정도이기 때문에, 냉장보관이 된다면 빵의 노화속도가 가장 느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오븐에서 빵이 갑자기 팽창하는 현상인 오븐 스프링이 발생하는 이유와 거리가 먼 것은?

  1. 가스압의 증가
  2. 알코올의 증발
  3. 탄산가스의 증발
  4. 단백질의 변성
(정답률: 59%)
  • 단백질은 열에 노출되면 분자 구조가 변하면서 팽창하게 됩니다. 이러한 단백질의 변성이 오븐에서 빵이 팽창하는 현상인 오븐 스프링을 일으키는 주요한 이유입니다. 따라서 "단백질의 변성"이 정답입니다. 가스압의 증가, 알코올의 증발, 탄산가스의 증발은 빵이 팽창하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오븐 스프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양학

31. 맥아당을 2분자의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는?

  1. 알파 아밀라이제
  2. 베타 아밀라아제
  3. 디아스타아제
  4. 말타아제
(정답률: 71%)
  • 맥아당은 긴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단순한 구성요소인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가 필요합니다. 이때 말타아제는 맥아당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만드는 효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말타아제가 맥아당을 2분자의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분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면 팽윤되고 전분 입자의 미세구조가 파괴되는데 이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노화
  2. 호정화
  3. 호화
  4. 당화
(정답률: 71%)
  • 전분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면 전분 입자가 수분을 흡수하여 부피가 커지고, 미세구조가 파괴되어 더욱 부피가 커지는 현상을 "호화"라고 합니다. 이는 전분이 물과 상호작용하여 분자 간 거리가 멀어지고, 분자 내부의 수소 결합이 끊어져 입자 간의 결합력이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음식 조리에서 많이 이용되며, 전분이 물에 녹아들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믹싱시간, 믹싱내구성, 흡수율 등 반죽의 배합이나 혼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1. 아밀로그래프
  2. 익스텐소그래프
  3. 패리노그래프
  4. 알베오그래프
(정답률: 75%)
  • 패리노그래프는 반죽의 믹싱시간, 믹싱내구성, 흡수율 등을 측정하여 반죽의 배합이나 혼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아밀로그래프는 밀가루의 품질을 측정하는 기기, 익스텐소그래프는 반죽의 신축성을 측정하는 기기, 알베오그래프는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케이크 제조에 사용되는 계란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결합제 역할
  2. 글루텐 형성 작용
  3. 유화력 보유
  4. 팽창 작용
(정답률: 61%)
  • 케이크 제조에 사용되는 계란은 결합제 역할, 유화력 보유, 팽창 작용을 합니다. 하지만 글루텐 형성 작용은 밀가루와 같은 밀 제품에서 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계란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글루텐 형성 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비터 초콜릿(Bitter chocolate) 32% 중에는 코코아가 약 얼마 정도 함유되어 있는가?

  1. 8%
  2. 12%
  3. 20%
  4. 24%
(정답률: 61%)
  • 비터 초콜릿은 코코아 함량이 높은 초콜릿으로, 32%의 비터 초콜릿은 총 무게 중 32%가 카카오 함유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32%의 비터 초콜릿에서 코코아 함유량은 32%의 20%인 6.4%보다 높을 것입니다. 따라서, 20%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감미도가 가장 높은 당은?

  1. 유당
  2. 포도당
  3. 설탕
  4. 과당
(정답률: 83%)
  • 과당은 다른 설탕과 비교하여 감미도가 가장 높습니다. 이는 과당이 다른 설탕에 비해 더 빠르게 혈액 속으로 흡수되어 뇌에서 당 필요성을 더 빠르게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당은 더 높은 감미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시적 경수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탄산염에 기인한다.
  2. 황산염에 기인한다.
  3. 끓여도 제거되지 않는다.
  4. 연수로 변화시킬 수 없다.
(정답률: 56%)
  • 일시적 경수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로 인해 물의 맛, 냄새, 색깔 등이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탄산염은 물에 용해되어 탄산가스를 생성하며, 이로 인해 물의 맛과 탄력성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탄산염에 기인한다."가 정답입니다. 황산염은 물에 용해되면 황산을 생성하여 물의 맛을 변화시키지만, 일시적 경수의 원인으로는 큰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일시적 경수는 끓여도 제거되지 않으며, 연수로 변화시킬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우유 단백질 중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락토알부민
  2. 락토글로불린
  3. 글루테닌
  4. 카제인
(정답률: 77%)
  • 카제인은 우유 단백질 중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카제인이 우유 단백질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우유의 기능성과 영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카제인은 인체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인체에 매우 유용한 영양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산화제를 사용하면 -SH 기가 S-S결합으로 바뀌게 되는데 다음 중 이 반응과 관계가 깊은 것은?

  1. 밀가루의 단백질
  2. 밀가루의 전분
  3. 고구마의 수분
  4. 감자의 지방
(정답률: 64%)
  • 밀가루의 단백질은 -SH 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산화제와 반응하면 S-S결합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러한 반응은 밀가루의 단백질을 굳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빵, 케이크 등 구워지는 제품의 식감과 모양을 개선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산화제는 밀가루 제품의 품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소성이 크다는 것의 의미는?

  1. 저온에서 너무 단단하지 않으면서도 고온에서 너무 무르지 않다.
  2. 저온에서는 너무 무르지 않으면서도 고온에서 너무 단단하지 않다.
  3. 저온에서는 무르고 고온에서는 단단하다.
  4. 저온에서는 단단하고 고온에서는 무르다.
(정답률: 43%)
  • 가소성이 크다는 것은 온도 변화에 따라 물질의 형태나 구조가 크게 변하지 않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저온에서 너무 단단하지 않으면서도 고온에서 너무 무르지 않다."라는 설명은 가소성이 큰 물질은 저온에서는 너무 단단하지 않아서 깨지거나 부서지지 않고, 고온에서는 너무 무르지 않아서 변형되거나 녹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글루텐의 탄력성을 부여하는 것은?

  1. 글루테닌
  2. 글리아딘
  3. 글로불린
  4. 알부민
(정답률: 79%)
  • 글루텐의 탄력성을 부여하는 것은 글루테닌입니다. 글루테닌은 글루텐 단백질의 주요 성분으로, 수용성이 낮아 물에 잘 용해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글루테닌은 글루텐의 탄력성을 부여하고,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동물의 가죽이나 뼈 등에서 추출하며 안정제로 사용되는 것은?

  1. 젤라틴
  2. 한천
  3. 펙틴
  4. 카라기난
(정답률: 84%)
  • 동물의 가죽이나 뼈 등에서 추출되는 젤라틴은 안정제로 사용되며, 식품 산업에서는 젤리, 마시멜로우, 요구르트 등의 제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과, 제빵에서 술을 사용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바람직하지 못한 냄새를 없애주는 것이다.
  2. 양조주란 곡물이나 과실을 원료로 하여 효모로 발효시킨 것이다.
  3. 증류주란 발효시킨 양조주를 증류한 것이다.
  4. 혼성주란 증류주를 기본으로 하여 정제당을 넣고 과실등의 추출물로 향미를 낸 것으로 대부분 알코올 농도가 낮다.
(정답률: 77%)
  • 혼성주란 증류주를 기본으로 하여 정제당을 넣고 과실등의 추출물로 향미를 낸 것으로 대부분 알코올 농도가 낮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이스트에 거의 들어있지 않은 효소로 디아스타아제라고도 불리는 것은?

  1. 인버타아제
  2. 아밀라아제
  3. 프로테아제
  4. 말타아제
(정답률: 42%)
  • 디아스타아제는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효소 중 하나이지만, 이스트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반면, 아밀라아제는 전분을 분해하는 효소로 이스트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따라서, 디아스타아제가 아닌 아밀라아제가 이스트에 거의 들어있지 않은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반죽의 pH가 가장 낮아야 좋은 제품은

  1. 레이어 케이크
  2. 스펀지 케이크
  3. 파운드 케이크
  4. 과일 케이크
(정답률: 57%)
  • 과일 케이크는 과일의 산성성분이 들어가기 때문에 반죽의 pH가 낮을수록 과일의 맛과 향이 더욱 돋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반죽의 pH가 가장 낮은 과일 케이크가 가장 맛있는 제품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방 1g이 생산하는 에너지의 양은?

  1. 4kcal
  2. 9kcal
  3. 14kcal
  4. 12Kcal
(정답률: 81%)
  • 지방 1g은 9kcal의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는 지방 분자가 매우 밀도가 높은 에너지 원자인 탄소와 수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자들은 산화되면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며, 이는 우리 몸이 에너지를 얻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지방 1g은 9kcal의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뼈를 구성하는 무기질 중 그 비율이 가장 중요한 것은?

  1. P : Cu
  2. Fe : Mg
  3. Ca : P
  4. K : Mg
(정답률: 66%)
  • 뼈를 구성하는 주요 무기질은 칼슘과 인이며, 이 두 무기질의 비율이 가장 중요합니다. 칼슘은 뼈의 구조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인은 뼈의 경도와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칼슘과 인의 적절한 비율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에 반해, 다른 보기들은 뼈 건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체내에서 사용한 단백질은 주로 어떤 경로를 통해 배설되는가?

  1. 호흡
  2. 소변
  3. 대변
  4. 피부
(정답률: 64%)
  • 체내에서 사용한 단백질은 대부분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혈액 속으로 흡수되고, 신장에서는 혈액 속의 노폐물과 함께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펩티드(peptide) 사슬이 이중 나선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은?

  1. 비타민 A의 구조
  2. 글리세롤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결합구조
  3. 아밀로펙틴의 가지구조
  4. 단백질의 2차 구조
(정답률: 39%)
  • 펩티드 사슬은 아미노산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며, 이중 나선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은 단백질의 2차 구조입니다. 이중 나선구조는 주로 알파-나 베타-나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아미노산들의 측기와 카르복실기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됩니다. 이러한 2차 구조는 단백질의 기능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1일 2000kcal를 섭취하는 성인의 경우 탄수화물의 적절한 섭취량은?

  1. 1100~1400g
  2. 850~1050g
  3. 500~735g
  4. 275~350g
(정답률: 66%)
  • 1일 2000kcal를 섭취하는 성인의 경우, 탄수화물은 대부분의 열량을 제공하는 주요 영양소 중 하나입니다. 탄수화물은 1g당 4kcal의 열량을 제공하므로, 2000kcal의 열량을 섭취하려면 500g의 탄수화물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는 비만, 당뇨병 등의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섭취량이 필요합니다. 보통 성인의 경우, 275~350g의 탄수화물 섭취가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위생학

51. 독소형 식중독에 해당하는 것은?

  1. 포도상구균
  2. 장염 비브리오균
  3. 병원성 대장균
  4. 살모넬라균
(정답률: 64%)
  • 정답인 포도상구균은 식품을 통해 섭취하면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으로, 식품을 오랫동안 보관하거나 냉장고에 보관할 때도 증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중독 증상 중 하나인 구토와 설사를 일으키는 독소를 분비하기 때문에 독소형 식중독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경구전염병의 예방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강유지와 저항력의 향상에 노력한다.
  2. 의식전환운동, 계몽활동, 위생교육 등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3. 오염이 의심되는 식품은 폐기한다.
  4. 모든 예방접종은 1회만 실시한다.
(정답률: 84%)
  • "모든 예방접종은 1회만 실시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대부분의 예방접종은 2회 이상 실시하여야 충분한 면역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이는 첫 번째 접종으로 면역력을 유발하고, 두 번째 접종으로 이를 강화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예방접종을 받을 경우 꼭 전체 접종 일정을 따라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식품첨가물 중 보존료의 구비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법이 간단해야 한다.
  2. 미생물의 발육저지력이 약해야 한다.
  3. 오염이 의심되는 식품은 폐기한다.
  4. 모든 예방접종은 1회만 실시한다.
(정답률: 40%)
  • 미생물의 발육저지력이 약해야 하는 이유는 보존료는 식품 내의 미생물 발생을 억제하거나 살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존료의 구비조건 중 미생물의 발육저지력이 약해야 한다는 것은 보존료가 미생물을 억제하거나 살균하는 능력이 강하면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세균성 식중독 중 일반적으로 잠복기가 가장 짧은 것은?

  1. 사모넬라 식중독
  2. 포도상구균 식중독
  3.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4.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 식중독
(정답률: 60%)
  • 포도상구균은 일반적으로 잠복기가 짧은 세균 중 하나입니다. 이는 포도상구균이 매우 빠르게 성장하여 독소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포도상구균이 원인인 식중독은 발생 후 몇 시간 내에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잠복기가 짧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모넬라, 장염 비브리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 등의 식중독은 포도상구균에 비해 잠복기가 더 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독력이 강한 양이온계면활성제로서 종업원의 손을 소독할 때나 용기 및 기구의 소독제로 알맞은 것은?

  1. 석탄산
  2. 과산화수소
  3. 역성비누
  4. 크레졸
(정답률: 73%)
  • 역성비누는 양이온계면활성제 중에서 소독력이 가장 강한 성분 중 하나입니다. 이는 역성비누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병원체를 쉽게 파괴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역성비누는 물에 녹기 쉽지 않아서 오랫동안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업원의 손을 소독하거나 용기 및 기구를 소독할 때에는 역성비누가 알맞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원인균은 바실러스안트라시스이며 수육을 조리하지 않고 섭취할 때 발생하는 전염병은?

  1. 야토병
  2. 탄저
  3. 브루셀라병
  4. 돈단독
(정답률: 47%)
  • 원인균인 바실러스안트라시스는 수육을 조리하지 않고 섭취할 때 발생하는 전염병 중에서 탄저를 일으키는 원인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탄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식품첨가물의 규격과 사용기준을 정하는 자는?

  1. 식품의약품안전청장
  2. 국립보건원장
  3. 시, 도 보건연구소장
  4. 시, 군 보건소장
(정답률: 85%)
  • 식품첨가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규격과 사용기준을 정하고 이를 관리하고 감독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살균이 불충분한 육류 통조림으로 인해 식중독이 발생했을 경우 가장 관련이 깊은 식중독균은?

  1. 사모넬라균
  2. 시젤라균
  3. 황색포도상구균
  4. 보툴리누스균
(정답률: 63%)
  • 보툴리누스균은 살균이 불충분한 육류 통조림 등에서 발생하는 식중독균으로, 독소를 분비하여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근육 이완, 마비, 호흡장애 등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적절한 살균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육류 통조림 등에서 보툴리누스균이 발생하면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수공통전염병의 예방조치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우유의 멸균처리를 철저히 한다.
  2. 이환된 동물의 고기는 익혀서 먹는다.
  3. 가축의 예방접종을 한다.
  4. 외국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축은 항구나 공항 등에서 검역을 철저히 한다.
(정답률: 63%)
  • 이환된 동물의 고기를 익혀서 먹는 것은 예방조치가 아니라 대처조치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대처조치는 이미 감염된 경우에는 유효하지만, 예방적인 측면에서는 효과가 미미합니다. 따라서 예방접종이나 검역 등의 예방조치가 더욱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장염 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이 가장 일어나기 쉬운 식품은?

  1. 식육류
  2. 우유제품
  3. 야채류
  4. 어패류
(정답률: 82%)
  • 장염 비브리오균은 해산물이나 수산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세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어패류는 이 세균에 의한 식중독이 가장 일어나기 쉬운 식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