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2-03)

제빵기능사
(2008-02-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조이론

1. 일반적인 제과작업장의 시설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조명은 50룩스(lux) 이하가 좋다.
  2. 방충, 방서용 금속망은 30매쉬(mesh)가 적당하다.
  3. 벽면은 매끄럽고 청소하기 편리하여야 한다.
  4.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을 기준하여 30% 정도가 좋다.
(정답률: 79%)
  • 정답: "조명은 50룩스(lux) 이하가 좋다."

    이유: 제과작업장에서는 밝은 조명이 필요하지 않으며, 너무 강한 조명은 제품의 색상을 왜곡시키고 작업자의 눈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50룩스 이하가 적당하다. 또한, 조명이 너무 강하면 제품의 표면이 노출된 부분이 빛에 의해 빛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외관을 심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슈 제조시 반죽표면을 분무 또는 침지시키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껍질을 얇게 한다.
  2. 팽창을 크게 한다.
  3. 기형을 방지 한다.
  4. 제품의 구조를 강하게 한다.
(정답률: 65%)
  • 슈 제조시 반죽표면을 분무 또는 침지시키는 이유는 제품의 껍질을 얇게하고 팽창을 크게하여 부드러운 내부와 바삭한 외부를 만들기 위함입니다. 제품의 구조를 강하게 하는 것은 이와는 별개의 목적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케이크에서 설탕의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1. 감미를 준다.
  2. 껍질색을 진하게 한다.
  3. 수분 보유력이 있어 노화가 지연된다.
  4. 제품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정답률: 73%)
  • 설탕은 케이크에서 감미를 주고 껍질색을 진하게 하며 수분 보유력이 있어 노화가 지연되지만, 제품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은 밀가루와 베이킹파우더 등의 성분이 담당합니다. 이들 성분이 케이크 반죽을 구성하고, 오븐에서 구워지면서 제품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밀가루:계란:설탕:소금 = 100:166:166:2를 기본 배합으로 하여 적정 범위 내에서 각 재료를 가감하여 만드는 제품은?

  1. 파운드케이크
  2. 엔젤푸드케이크
  3. 스펀지케이크
  4. 머랭쿠키
(정답률: 66%)
  • 스펀지케이크는 밀가루, 계란, 설탕, 소금을 기본 배합으로 하여 만드는 제품 중에서도 계란의 비율이 높아서 부드럽고 촉촉한 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기본 배합에 따라 각 재료를 가감하여 만든 제품 중에서는 스펀지케이크가 가장 적절한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중컵의 무게 40g, 물을 담은 비중컵의 무게 240g, 반죽을 담은 비중컵의 무게 180g일 때 반죽의 비용은?

  1. 0.2
  2. 0.4
  3. 0.6
  4. 0.7
(정답률: 69%)
  • 비중컵의 무게는 무시하고, 물을 담은 비중컵과 반죽을 담은 비중컵의 차이인 60g을 이용하여 반죽의 부피를 구할 수 있습니다.

    물의 밀도는 1g/mL 이므로, 물을 담은 비중컵의 부피는 240g / 1g/mL = 240 mL 입니다.

    반죽의 밀도는 반죽의 무게를 반죽의 부피로 나눈 값이므로, 반죽의 밀도는 180g / (240mL - 40mL) = 0.9375 g/mL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반죽의 비용을 구하는 것이므로, 반죽의 밀도를 가지고 반죽의 무게를 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죽의 부피는 물을 담은 비중컵의 부피에서 비중컵의 부피를 뺀 값이므로, 반죽의 부피는 240mL - 40mL = 200mL 입니다.

    따라서, 반죽의 무게는 0.9375 g/mL x 200mL = 187.5g 입니다.

    반죽의 비용은 반죽의 무게에 비례하므로, 187.5g에 비례하는 보기 중에서 0.7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엔젤푸드케이크 제조시 팬에 사용하는 이형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쇼트닝
  2. 밀가루
  3. 라드
(정답률: 61%)
  • 엔젤푸드케이크는 부드러운 질감과 가벼운 맛이 특징이므로, 제조과정에서도 가벼운 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팬에 사용하는 이형제로는 물이 가장 적합합니다. 쇼트닝이나 라드는 더 무거운 맛과 질감을 줄 수 있고, 밀가루는 케이크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형제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카스테라의 굽기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40~150℃
  2. 180~190℃
  3. 220~240℃
  4. 250~270℃
(정답률: 81%)
  • 카스테라는 고온에서 빵이나 케이크보다 덜 구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카스테라를 굽는 온도는 높은 편이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180~190℃가 가장 적합한 이유는 이 온도에서는 카스테라가 고루 구워지면서도 너무 많이 구워지지 않아서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220~240℃나 250~270℃는 너무 높아서 카스테라가 불균일하게 구워질 우려가 있습니다. 반면에 140~150℃는 카스테라를 굽는 데에는 너무 낮은 온도이므로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케이크도넛 제품에서 반죽 온도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팽창과잉이 일어난다.
  2. 모양이 일정하지 않다.
  3. 흡유량이 많다.
  4. 표면이 꺼칠하다.
(정답률: 47%)
  • 반죽 온도가 높을수록 케이크도넛은 더 많이 팽창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모양이 일정하지 않아집니다. 따라서 "모양이 일정하지 않다."가 해당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을 찾기 위해서는 다른 세 가지 옵션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 "팽창과잉이 일어난다." : 반죽 온도가 높을수록 이형성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팽창과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제품의 외형적인 문제로 나타납니다.
    - "흡유량이 많다." : 반죽 온도가 높을수록 제품 내부의 공기가 더 많이 팽창하게 되므로, 제품의 흡수력이 높아집니다.
    - "표면이 꺼칠하다." : 반죽 온도가 높을수록 제품의 표면이 더 빨리 구워지기 때문에 꺼칠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모양이 일정하지 않다."도 해당되는 것이므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커스터드푸딩을 컵에 채워 몇 ℃의 오븐에서 중탕으로 굽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

  1. 160~170℃
  2. 190~200℃
  3. 210~220℃
  4. 230~240℃
(정답률: 72%)
  • 커스터드푸딩은 부드러운 식감을 유지하기 위해 저온에서 굽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높은 온도에서 굽게 되면 표면이 빨리 익어버리고 내부는 아직 익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160~170℃의 중탕으로 굽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설탕 공예용 당맥 제조시 설탕의 재결정을 막기 위해 첨가하는 재료는?

  1. 중조
  2. 주석산
  3. 포도당
  4. 베이킹파우더
(정답률: 71%)
  • 설탕 공예용 당맥 제조시 설탕의 재결정을 막기 위해 첨가하는 재료는 주석산입니다. 주석산은 결정화를 방지하고, 설탕의 투명도를 높여주며, 식품의 산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설탕의 색상을 유지시켜주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제품 중 일반적으로 유지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은?

  1. 마블케이크
  2. 파운드케이크
  3. 코코아케이크
  4. 엔젤푸드케이크
(정답률: 65%)
  • 엔젤푸드케이크는 유지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입니다. 이는 엔젤푸드케이크가 유지 대신에 식초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식감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마블케이크, 파운드케이크, 코코아케이크는 모두 버터나 오일 등의 유지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식감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흰자 100에 대하여 설탕 180의 비율로 만든 머랭으로서 구웠을 때 표면에 광택이 나고 하루쯤 두었다가 사용해도 무방한 머랭은?

  1. 냉제 머랭(cold meringue)
  2. 온제 머랭(hot meringue)
  3. 이탈리안 머랭(italian meringue)
  4. 스위스 머랭(swiss meringue)
(정답률: 57%)
  • 스위스 머랭은 설탕과 달걀 흰자를 함께 녹여 만든 머랭으로, 이탈리안 머랭과 달리 뜨거운 설탕 시럽을 사용하지 않고 물 대신 뜨거운 물장려를 사용하여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머랭이 안정적으로 만들어지고, 구워진 후에도 광택이 나며 오래 보관해도 식감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스위스 머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튀김기름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수분, 탄소, 질소
  2. 수분, 공기, 반복 가열
  3. 공기, 금속, 토코페롤
  4. 공기, 탄소, 사사몰
(정답률: 72%)
  • 수분은 튀김기름과 반응하여 산화를 일으키고, 공기는 산화를 가속화시키며, 반복 가열은 기름의 산화를 더욱 촉진시켜 품질을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인이 튀김기름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머랭(meringue)을 만드는 주요 재료는?

  1. 달걀 흰자
  2. 전란
  3. 달걀 노른자
  4. 박력분
(정답률: 90%)
  • 머랭은 달걀 흰자를 거품 내어 불어 구운 것이기 때문에, 주요 재료는 달걀 흰자입니다. 전란은 달걀의 흰자와 노른자를 섞은 것이고, 달걀 노른자는 머랭 제작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박력분은 머랭 제작에 사용되지만, 주요 재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쿠키의 퍼짐이 작아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반죽에 아주 미세한 입자의 설탕을 사용한다.
  2. 믹싱을 많이 하여 글루텐이 많아졌다.
  3. 오븐 온도를 낮게 하여 굽는다.
  4. 반죽의 유지 함량이 적고 산성이다.
(정답률: 44%)
  • 오븐 온도를 낮게 하여 굽는다는 것은 쿠키가 덜 익도록 하여 퍼짐을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퍼짐이 작아지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데니시페이스트리에서 롤인 유지함량이 및 접수 횟수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롤인 유지함량이 증가할수록 제품 부피는 증가한다.
  2. 롤인 유지함량이 적어지면 같은 접기 횟수에서 제품의 부피가 감소한다.
  3. 같은 롤인 유지함량에서는 접기 횟수가 증가할수록 부피는 증가하다 최고점을 지나면 감소한다.
  4. 롤인 유지함량이 많은 것이 롤인 유지함량이 적은 것보다 접기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다가 최고점을 지나면 감소하는 현상이 현저하다.
(정답률: 66%)
  • 정답은 "롤인 유지함량이 많은 것이 롤인 유지함량이 적은 것보다 접기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다가 최고점을 지나면 감소하는 현상이 현저하다." 이다.

    롤인 유지함량이 많을수록 제품의 부피는 증가하며, 롤인 유지함량이 적어지면 같은 접기 횟수에서 제품의 부피가 감소한다. 또한, 같은 롤인 유지함량에서는 접기 횟수가 증가할수록 부피는 증가하다가 최고점을 지나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롤인 유지함량이 많을수록 제품이 더 팽창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빵 반죽의 흡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반죽 온도가 높아지면 흡수율이 감소된다.
  2. 연수는 경수보다 흡수율이 증가한다.
  3. 설탕 사용량이 많아지면 흡수율이 감소된다.
  4. 손상전분이 적량 이상이면 흡수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47%)
  • "연수는 경수보다 흡수율이 증가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유는 연수는 경수보다 더 많은 단백질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서 물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수가 더 높은 흡수율을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빵류의 2차 발효실 상대습도가 표준습도보다 낮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반죽에 껍질 형성이 빠르게 일어난다.
  2. 오븐에 넣었을 때 팽창이 저해된다.
  3. 껍질색이 불균일하게 되기 쉽다.
  4. 수포가 생기거나 질긴 껍질이 되기 쉽다.
(정답률: 49%)
  • 정답: 반죽에 껍질 형성이 빠르게 일어난다.

    이유: 2차 발효실 상대습도가 표준습도보다 낮을 때는 빵의 표면이 빨리 마르기 때문에 껍질 형성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이로 인해 빵의 내부에서 이산화탄소가 쌓이면서 수포가 생기거나 질긴 껍질이 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껍질이 불균일하게 되기 쉽다는 것과 오븐에 넣었을 때 팽창이 저해된다는 것도 수포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빵의 노화가 가장 빨리 발생하는 온도는?

  1. -18℃
  2. 0℃
  3. 20℃
  4. 35℃
(정답률: 71%)
  • 정답은 "0℃"입니다.

    빵의 노화는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빵은 습도가 높으면 곰팡이가 생기고, 온도가 높으면 빵 내부의 물분자가 증발하여 빵이 건조해지고 맛이 떨어집니다.

    하지만 0℃에서는 물분자가 얼어서 빵의 수분이 고정되기 때문에 빵의 노화가 느리게 진행됩니다. 따라서 0℃에서는 빵을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18℃에서는 빵이 굳어서 식감이 떨어지고, 20℃ 이상에서는 곰팡이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빵의 노화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스펀지/도법에서 스펀지의 표준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8~20℃
  2. 23~25℃
  3. 27~29℃
  4. 30~32℃
(정답률: 60%)
  • 스펀지는 23~25℃의 온도에서 가장 적합한 환경을 제공받기 때문입니다. 이 온도 범위에서는 스펀지의 성장과 번식에 필요한 영양분 흡수와 대사 활동이 최적화되며, 또한 질병 발생 가능성도 낮아집니다. 따라서 스펀지를 재배하거나 실험하는 경우 이 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과학

21. 냉동반죽법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휴일작업에 미리 대처할 수 없다.
  2. 이스트가 죽어 가스 발생력이 떨어진다.
  3. 가스 보유력이 떨어진다.
  4. 반죽이 퍼지기 쉽다.
(정답률: 65%)
  • 냉동반죽법은 반죽을 냉동보관하여 필요할 때 꺼내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휴일작업에 미리 대처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오븐 온도가 낮을 때 제품에 미치는 영향은?

  1. 2차 발효가 지나친 것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2. 껍질이 급격히 형성된다.
  3. 제품의 옆면이 터지는 현상이다.
  4. 제품의 부피가 작아진다.
(정답률: 48%)
  • 오븐 온도가 낮을 때는 반죽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발효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제품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2차 발효가 지나친 것과 같은 현상으로 나타나며, 껍질이 급격히 형성되거나 제품의 옆면이 터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부피가 작아지는 현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페이스트리 성형 자동밀대(파이롤러)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기계를 사용하므로 밀어 펴기의 반죽과 유지와의 경도는 가급적 다른 것이 좋다.
  2. 기계에 반죽이 달라붙는 것을 막기 위해 덧가루를 많이 사용한다.
  3. 기계를 사용하여 반죽과 유지는 따로 따로 밀어서 편뒤 감싸서 밀어 펴기를 한다.
  4. 냉동휴지 후 밀어 펴면 유지가 굳어 갈라지므로 냉장휴지를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9%)
  • 냉동휴지를 하면 유지가 굳어 갈라지기 때문에 냉장휴지를 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팬닝시 주의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팬닝전 온도를 적정하고 고르게 한다.
  2. 틀이나 철판의 온도를 25℃로 맞춘다.
  3. 반죽의 이음매가 틀의 바닥에 늘이도록 팬닝한다.
  4. 반죽의 무게와 상태를 정하여 비용적에 맞추어 적당한 반죽량을 넣는다.
(정답률: 80%)
  • 정답: "틀이나 철판의 온도를 25℃로 맞춘다."

    이유: 팬닝시 틀이나 철판의 온도를 맞추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팬닝 전 온도를 적정하고 고르게 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팬닝시에는 반죽의 상태와 무게를 고려하여 적절한 반죽량을 넣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음매가 틀의 바닥에 늘이도록 팬닝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생산액이 2000000원, 외부가치가 1000000원, 생산가치가 500000원, 인건비가 800000원일 때 생산가치율은?

  1. 20%
  2. 25%
  3. 35%
  4. 40%
(정답률: 52%)
  • 생산가치율은 생산가치를 생산액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생산가치는 2000000원 - 1000000원 - 800000원 = 1000000원입니다. 생산가치율은 (1000000원 / 2000000원) x 100 = 50%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외부가치가 생산액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생산액에서 외부가치를 뺀 값으로 생산가치율을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생산가치는 2000000원 - 1000000원 - 500000원 - 800000원 = 200000원입니다. 생산가치율은 (200000원 / 2000000원) x 100 = 10%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생산가치율이 아니라 생산가치율의 반대인 비생산가치율을 묻고 있으므로, 생산가치율에서 100을 뺀 값인 90%를 구한 후, 이를 100에서 빼서 비생산가치율인 10%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 - 90% = 10%가 아니라, 100% - 75% =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발효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이스트양
  2. 온도
  3. 소금
  4. 유지
(정답률: 66%)
  • 유지는 발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스트양은 발효의 주체이며, 온도는 발효 속도와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소금은 발효 과정에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유지는 발효 과정에서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지만, 발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반죽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펀지법은 반죽을 2번에 나누어 믹싱하는 방법으로 중종법이라고 한다.
  2. 직접법은 스트레이트법이라고 하며, 전재료를 한번에 넣고 반죽하는 방법이다.
  3. 비상반죽법은 제조시간을 단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반죽법이다.
  4. 재반죽법은 직접법의 변형으로 스트레이트법 장점을 이용한 방법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재반죽법은 직접법의 변형으로 스트레이트법 장점을 이용한 방법이다."입니다. 이유는 재반죽법은 직접법과 스펀지법의 중간 형태로, 반죽의 일부를 먼저 만들어서 이를 재료와 섞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스트레이트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냉동 반죽법의 냉동과 해동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급속냉동, 급속해동
  2. 급속냉동, 완만해동
  3. 완만냉동, 급속해동
  4. 완만냉동, 완만해동
(정답률: 84%)
  • 냉동 반죽법에서는 반죽을 냉동실에서 냉동시켜 저장하고, 필요할 때 해동하여 사용합니다. 이때, 급속냉동과 완만해동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급속냉동은 반죽 내부의 물분자가 빠르게 얼어 고체화되어 세포구조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며, 완만해동은 반죽 내부의 물분자가 천천히 녹아 세포구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급속냉동과 완만해동 방법이 냉동 반죽법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포장 전 빵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는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노화가 빨라진다.
  2. 썰기(slice)가 나쁘다.
  3. 포장지에 수분이 응축된다.
  4. 곰팡이, 박테리아의 번식이 용이하다.
(정답률: 72%)
  • 빵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빵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쉽게 증발하지 않고 빵 내부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빵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아 빵이 노화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노화가 빨라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빵의 부피가 가장 크게 되는 경우는?

  1. 숙성이 안된 밀가루를 사용할 때
  2. 물을 적게 사용할 때
  3. 반죽이 지나치게 믹싱 되었을 때
  4. 발효가 더 되었을 때
(정답률: 69%)
  • 발효가 더 되면 빵 안에 있는 이스트(효모)가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게 되어 반죽이 부풀어서 부피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효가 더 되었을 때 빵의 부피가 가장 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양학

31. 생란의 수분함량이 72%이고, 분말계란의 수분함량이 4%라면, 생란 200kg으로 만들어지는 분말계란 중량은?

  1. 52.8kg
  2. 54.3kg
  3. 56.8kg
  4. 58.3kg
(정답률: 26%)
  • 생란 200kg의 수분함량은 72%이므로, 실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은 28%이다. 이를 기반으로 생란 200kg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을 계산하면, 각각 56kg와 44kg이 된다.

    분말계란은 수분함량이 4%이므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은 96%이다. 따라서 분말계란 1kg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은 각각 0.96kg와 0.04kg이 된다.

    생란 200kg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을 기반으로 분말계란을 만들면, 단백질과 지방의 총 중량은 각각 56kg와 44kg이므로, 총 중량은 100kg이 된다.

    분말계란 1kg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총 중량은 0.96kg이므로, 분말계란 100kg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총 중량은 96kg가 된다.

    따라서, 분말계란 100kg의 총 중량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총 중량인 96kg을 빼면, 분말계란 100kg의 수분함량은 4kg가 된다.

    분말계란 100kg의 수분함량이 4kg이므로, 분말계란 1kg의 수분함량은 0.04kg이 된다.

    분말계란 1kg의 총 중량은 1kg이므로, 분말계란 1kg에서 수분함량 0.04kg을 빼면, 분말계란 1kg의 단백질과 지방의 총 중량은 0.96kg가 된다.

    따라서, 분말계란 100kg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총 중량인 96kg을 0.96kg로 나누면, 분말계란 100kg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분말계란의 양은 100kg ÷ 0.96kg = 104.17kg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생란 200kg으로 만들어지는 분말계란 중량이므로, 위에서 구한 분말계란 100kg의 중량을 2배한 값인 104.17kg × 2 = 208.33kg를 생란과 분말계란의 비율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생란 200kg과 분말계란 208.33kg의 수분함량 비율을 맞추기 위해, 분말계란 208.33kg의 수분함량을 생란 200kg의 수분함량 비율에 맞게 계산하면, 208.33kg × (100% - 72%) = 58.33kg가 된다.

    따라서, 생란 200kg으로 만들어지는 분말계란 중량은 208.33kg - 58.33kg = 150kg가 되며, 이 값은 보기 중에서 "58.3kg"와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1. 아밀라아제(amylase)
  2. 리파아제(lipase)
  3. 프로테아제(protease)
  4. 찌마아제(zymase)
(정답률: 60%)
  •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로테아제는 이 아미노산을 분해하는 효소입니다. 따라서,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프로테아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우유에 함유된 질소화합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1. 시스테인
  2. 글리아딘
  3. 카제인
  4. 락토알부민
(정답률: 80%)
  • 카제인은 우유 단백질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단백질이며, 질소화합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유에 함유된 질소화합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방은 지방산과 무엇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가?

  1. 아미노산
  2. 나트륨
  3. 글리세롤
  4. 리보오스
(정답률: 70%)
  • 지방은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결합하여 이루어집니다. 글리세롤은 지방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지방산과 결합하여 지방 분자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지방 분자는 우리 몸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지방 조직의 형성과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강력분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중력분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많다.
  2. 박력분에 비해 글루텐 함량이 적다.
  3. 박력분에 비해 점탄성이 크다.
  4. 겨질 소맥을 원료로 한다.
(정답률: 73%)
  • 박력분은 글루텐 함량이 많아서 반죽 시 탄력성이 뛰어나고 구조가 강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박력분에 비해 글루텐 함량이 적은 강력분은 반죽 시 탄력성이 떨어지고 구조가 약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강력분은 박력분보다는 덜 탄력적이고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생이스트(fresh yeas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량의 65~70%가 수분이다.
  2. 20℃ 정도의 상온에서 보관해야 한다.
  3. 자기소화를 일으키기 쉽다.
  4. 곰팡이 등의 배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정답률: 64%)
  • 생이스트는 20℃ 정도의 상온에서 보관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0~5℃의 저온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이유는 생이스트가 높은 온도에서 빠르게 활성화되어 자기소화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이스트를 오랫동안 보관하려면 저온 보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찬물에 잘 녹는 것은?

  1. 한천(agar)
  2. 씨엠시(CMC)
  3. 젤라틴(gelatin)
  4. 일반 펙틴(pectin)
(정답률: 59%)
  • 씨엠시(CMC)는 수용성이 높은 고분자 화합물로, 찬물에 잘 녹기 때문에 선택지 중에서 찬물에 잘 녹는 것으로 선택됩니다. 한천(agar)과 젤라틴(gelatin)은 뜨거운 물에서 녹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일반 펙틴(pectin)은 찬물에는 녹지 않고, 뜨거운 물에서 녹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밑줄 친 물질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펫브룸(fat bloom)-카카오메스
  2. 펫브룸(fat bloom)-글리세린
  3. 슈가브룸(sugar bloom)-카카오버터
  4. 슈가브룸(sugar bloom)-설탕
(정답률: 81%)
  • 이미지에서 보이는 현상은 슈가브룸(sugar bloom)이다. 슈가브룸은 초콜릿 표면에 설탕 결정이 생기는 현상으로, 초콜릿이 습기를 받거나 온도 변화에 노출되면 초콜릿 표면에 있는 설탕이 녹아서 결정이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슈가브룸(sugar bloom)-설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패리노그래프(Farinograph)의 기능 및 특징이 아닌 것은?

  1. 흡수율 측정
  2. 믹싱 시간 측정
  3. 500 B.U.를 중심으로 그래프 작성
  4. 전분 호화력 측정
(정답률: 71%)
  • 패리노그래프는 밀가루와 같은 가루 형태의 원료를 물과 함께 섞어 반죽성질을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전분 호화력 측정은 패리노그래프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으로 양질의 빵속을 만들기 위한 아밀로그래피의 범위는?

  1. 0~150 B.U.
  2. 200~300 B.U.
  3. 400~600 B.U.
  4. 800~1000 B.U.
(정답률: 71%)
  • 아밀로그래피는 빵속의 아밀로스 분해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양질의 빵속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밀로스 분해 정도가 적당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아밀로그래피의 범위는 400~600 B.U.로 설정됩니다. 이 범위에서는 아밀로스 분해 정도가 적당하며, 이를 유지하면서 빵속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범위에서는 아밀로스 분해 정도가 너무 적거나 많아서 빵속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유지의 경화 공정과 관계가 없는 물질은?

  1. 불포화지방산
  2. 수소
  3. 콜레스테롤
  4. 촉매제
(정답률: 45%)
  • 콜레스테롤은 유지의 경화 공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유지의 경화 공정은 불포화지방산과 수소가 반응하여 일어나는데, 콜레스테롤은 이러한 반응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콜레스테롤은 동물성 식품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과다 섭취 시 동맥경화 등의 질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전분당이 아닌 것은?

  1. 물엿
  2. 설탕
  3. 포도당
  4. 이성화당
(정답률: 32%)
  • 전분당은 탄수화물 중에서도 다당류에 해당하는데, 이 중에서 설탕은 단당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설탕은 전분당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영구적 경수(센물)를 사용할 때의 조치로 잘못된 것은?

  1. 소금 증가
  2. 효소 강화
  3. 이스트 증가
  4. 광물질 감소
(정답률: 48%)
  • 소금 증가는 영구적 경수(센물)를 사용할 때 잘못된 조치입니다. 이는 경수에 물질이 녹아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소금을 추가하여 경수 내의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경수 내의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미생물의 성장을 막아 경수의 효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구적 경수(센물)를 사용할 때는 소금을 추가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글레이즈(glaze) 사용시 가장 적합한 온도는?

  1. 15℃
  2. 25℃
  3. 35℃
  4. 45℃
(정답률: 65%)
  • 글레이즈는 45℃ 정도의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글레이즈가 이 온도에서 가장 잘 유동성을 띄며,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온도에서는 글레이즈가 빠르게 마르지 않고, 적절한 시간 동안 표면에 머무르기 때문에 색상과 광택이 더욱 빛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이당류가 아닌 것은?

  1. 포도당
  2. 맥아당
  3. 설탕
  4. 유당
(정답률: 61%)
  • 정답은 "포도당"입니다. 포도당은 이당류 중 하나이며, 포도나 과일에서 추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비타민과 생체에서의 주요 기능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비타민 B1-당질대사의 보조 효소
  2. 나이아신-항 펠라그리(Pellagra)인자
  3. 비타민K-항 혈액응고 인자
  4. 비타민A-항 빈혈인자
(정답률: 57%)
  • 비타민 A는 빈혈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비타민 A는 시력, 피부 건강, 면역력 강화 등의 역할을 하지만 빈혈 예방이나 치료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타민A-항 빈혈인자"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당불내증이 있을 경우 소장 내에서 분해가 되어 생성되지 못하는 단당류는?

  1. 설탕(sucrose)
  2. 맥아당(maltose)
  3. 과당(fructose)
  4. 갈락토오스(galactose)
(정답률: 65%)
  • 유당불내증은 유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유당이 소장 내에서 분해되지 못하고 대장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갈락토오스는 유당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 유당이 소장 내에서 분해되지 못할 경우 생성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들은 갈락토오스를 섭취해도 소장에서 분해되지 못하고 대장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한 개의 무게가 50g인 과자가 있다. 이 과자 100g 중에 탄수화물 70g, 단백질 5g, 지방 15g, 무기질 4g, 물 6g이 들어 있다면 이 과자 10개를 먹을 때 얼마의 열량을 낼 수 있는가?

  1. 1230 kcal
  2. 2175 kcal
  3. 2750 kcal
  4. 1800 kcal
(정답률: 68%)
  • 과자 한 개의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탄수화물: 70g x 4kcal/g = 280kcal
    - 단백질: 5g x 4kcal/g = 20kcal
    - 지방: 15g x 9kcal/g = 135kcal
    - 무기질: 4g x 0kcal/g = 0kcal
    - 물: 6g x 0kcal/g = 0kcal

    따라서 과자 한 개의 열량은 280kcal + 20kcal + 135kcal + 0kcal + 0kcal = 435kcal 이다.

    10개의 과자를 먹을 때의 열량은 10개의 과자 한 개의 열량을 10배한 것이므로 435kcal x 10 = 4350kcal 이다.

    따라서 정답은 2175kca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효소와 활성물질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펩신-염산
  2. 트립신-트립신활성효소
  3. 트립시노겐-지방산
  4. 키모트립신-트립신
(정답률: 45%)
  • 트립시노겐은 활성화되어 트립신으로 변환되어야 하는데, 지방산은 이와 관련이 없는 화합물이므로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인체 내에서 합성할 수 없으므로 식품으로 섭취해야 하는 지방산이 아닌 것은?

  1. 리놀레산(linoleic acid)
  2. 리놀렌산(linolenic acid)
  3. 올레산(oleic acid)
  4.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정답률: 60%)
  • 올레산은 인체 내에서도 합성이 가능한 단일불포화지방산이기 때문에 식품으로 섭취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정답은 올레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위생학

51. 다음에서 설명하는 균은?

  1. 살모넬라균
  2. 포도상구균
  3. 클로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
  4. 장염 비브리오균
(정답률: 59%)
  • 위 그림에서 보이는 균은 포도상구균입니다. 이는 그 모양이 포도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밀가루 등으로 오인되어 식중독이 유발된 사례가 있으며 습진성 피부질환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것은?

  1. 수은
  2. 비소
  3. 아연
(정답률: 55%)
  • 비소는 밀가루 등에 오염되어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으며, 습진성 피부질환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수은, 납, 아연은 이와 관련된 증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곰팡이 독이 아닌 것은?

  1. 아플라톡신
  2. 시트라닌
  3. 삭시톡신
  4. 파툴린
(정답률: 60%)
  • 삭시톡신은 항생제 중 하나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됩니다. 곰팡이 독은 아니지만, 삭시톡신은 부작용으로 소화기계 문제, 알레르기 반응, 심장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단백질 식품이 미생물의 분해 작용에 의하여 형태, 색택, 경도, 맛 등의 본래의 성질을 잃고 악취를 발생하거나 유해물질을 생성하여 먹을 수 없게 되는 현상은?

  1. 변패
  2. 산패
  3. 부패
  4. 발효
(정답률: 83%)
  • 미생물의 분해 작용에 의해 단백질 식품이 부패되면서 형태, 색택, 경도, 맛 등의 본래의 성질을 잃고 악취를 발생하거나 유해물질을 생성하여 먹을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저장미에 발생한 곰팡이가 원인이 되는 황변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분 함량은?

  1. 13 이하
  2. 14~15%
  3. 15~17%
  4. 17% 이상
(정답률: 57%)
  • 저장미에서 곰팡이가 번식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분이 필요합니다.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곰팡이가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황변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분 함량을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저장미의 수분 함량이 13% 이하일 경우 곰팡이 번식이 어렵기 때문에, 이 수치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3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미생물에 의한 부패나 변질을 방지하고 화학적인 변화를 억제하며 보존성을 높이고 영양가 및 신선도를 유지하는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은?

  1. 감미료
  2. 보존료
  3. 산미료
  4. 조미료
(정답률: 81%)
  • 미생물에 의한 부패나 변질을 방지하고 화학적인 변화를 억제하여 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을 보존료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존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수공통전염병 중 오염된 우유나 유제품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은?

  1. 탄저
  2. 결핵
  3. 야토병
  4. 구제역
(정답률: 57%)
  • 결핵균은 우유나 유제품을 통해 인체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수공통전염병 중 오염된 우유나 유제품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은 결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일반적으로 잠복기가 가장 긴 것은?

  1. 유행성 간염
  2. 디프테리아
  3. 페스트
  4. 세균성 이질
(정답률: 56%)
  • 유행성 간염은 간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 잠복기가 길어서 일반적으로 2주에서 6개월 이상까지도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간세포에 침투하여 복제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행성 간염은 일반적으로 다른 질병들보다 잠복기가 가장 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감염형 식중독을 일으키는 것은?

  1. 보툴리누스균
  2. 살모넬라균
  3. 포도상구균
  4. 고초균
(정답률: 52%)
  • 살모넬라균은 육류, 가금류, 계란 등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식품을 섭취하면 감염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세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빵 및 케이크류에 사용이 허가된 보존료는?

  1. 탄산수소나트륨
  2. 포름알데히드
  3. 탄산암모늄
  4. 프로피온산
(정답률: 44%)
  • 프로피온산은 빵과 케이크류의 보존료로 사용이 허가된 이유는 곰팡이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