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1-31)

제빵기능사
(2010-01-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조이론

1. 아이싱의 끈적거림 방지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액체를 최소량으로 사용한다.
  2. 40℃ 정도로 가온한 아이싱 크림을 사용한다.
  3. 안정제를 사용한다.
  4. 케이크 제품이 냉각되기 전에 아이싱한다.
(정답률: 61%)
  • 정답: "40℃ 정도로 가온한 아이싱 크림을 사용한다."

    이유: 아이싱 크림을 40℃ 정도로 가열하면 끈적거림이 줄어들고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사용한다. 하지만 액체를 최소량으로 사용하거나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은 아이싱의 끈적거림 방지와는 관련이 없다. 또한 케이크 제품이 냉각되기 전에 아이싱하는 것은 케이크가 뜨거운 상태에서 아이싱을 하면 아이싱이 녹아내리거나 끈적거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파운드 케이크 제조시 윗면이 터지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굽기 중 껍질 형성이 느릴 때
  2. 반죽 내의 수분이 불충분할 때
  3. 설탕 입자가 용해되지 않고 남아 있을 때
  4. 반죽을 팬에 넣은 후 굽기까지 장시간 방치할 때
(정답률: 55%)
  • 파운드 케이크는 굽는 동안 반죽 표면에 형성되는 껍질이 케이크 내부의 습기를 가둬서 터지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굽기 중 껍질 형성이 느릴 때는 습기가 쉽게 증발하여 케이크 내부에 압력이 생겨 윗면이 터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죽 내의 수분이 불충분하거나 설탕 입자가 용해되지 않고 남아 있을 때도 케이크 내부의 습기가 충분히 가둬지지 않아 윗면이 터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반죽을 팬에 넣은 후 굽기까지 장시간 방치할 때는 껍질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케이크가 건조해져 윗면이 터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밤과자를 성형한 후 물을 뿌려주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덧가루의 제거
  2. 굽기 후 철판에서 분리용이
  3. 껍질색의 균일화
  4. 껍질의 터짐 방지
(정답률: 64%)
  • 밤과자를 성형한 후 물을 뿌려주는 이유는 껍질의 터짐 방지와 껍질색의 균일화를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굽기 후 철판에서 분리용이는 밤과자를 굽기 전에 철판에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유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넛의 흡유량이 높았을 때 그 원인은?

  1. 고율배합 제품이다
  2. 튀김시간이 짧다.
  3. 튀김온도가 높았다.
  4. 휴지시간이 짧다.
(정답률: 72%)
  • 도넛의 흡유량이 높았을 때 그 원인은 "고율배합 제품"이다. 고율배합 제품은 더 많은 설탕, 기름, 밀가루 등을 사용하여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을 내는데, 이로 인해 도넛이 더 많은 기름을 흡수하게 되어 흡유량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슈 껍질의 굽기 후 밑면이 좁고 공과 같은 형태를 가졌다면 그 원인은?

  1. 밑불이 윗 불보다 강하고 팬에 기름칠이 적다.
  2. 반죽이 질고 글루텐이 형성된 반죽이다.
  3. 온도가 낮고 팬에 기름칠이 적다.
  4. 반죽이 되거나 윗 불이 강하다.
(정답률: 40%)
  • 슈 껍질이 굽히는 동안 밑면이 좁고 공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은 온도가 낮고 팬에 기름칠이 적기 때문입니다. 온도가 낮으면 슈 껍질이 느리게 굽히고, 팬에 기름칠이 적으면 슈 껍질이 스틱처럼 박차지 않고 미끄러지기 때문에 밑면이 좁고 공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유당(lactose)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유동물의 젖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2. 사람에 따라서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하여 잘 소화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3. 비환원당이다.
  4. 유산균에 의하여 유산을 생성한다.
(정답률: 68%)
  • 유당은 환원당이며, 비환원당이 아닙니다. 유당은 글루코스와 갈락토스로 이루어진 이중당으로, 환원당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반죽형 과자반죽의 믹싱법과 장점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크림법 - 제품의부피를 크게 함
  2. 블렌딩법 -제품의 내상이 부드러움
  3. 설탕/물법 - 계량의 정확성과 운반의 편리성
  4. 1단계법 - 사용 재료의 절약
(정답률: 69%)
  • 1단계법은 반죽의 재료를 먼저 섞은 후에 물을 조금씩 추가해가며 반죽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재료를 미리 섞어놓기 때문에 재료의 절약이 가능하며, 물을 조금씩 추가해가면서 반죽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제품의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단계법은 사용 재료의 절약과 제품의 일정한 품질 유지에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반죽의 pH가 가장 낮아야 좋은 제품은?

  1. 화이트레이어케이크
  2. 스펀지케이크
  3. 엔젤푸드케이크
  4. 파운드케이크
(정답률: 64%)
  • 엔젤푸드케이크는 반죽에 발효제로 사용되는 크림타르타르가 들어가기 때문에 pH가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엔젤푸드케이크가 가장 낮은 pH를 가지는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푸딩의 제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재료를 섞어서 체에 거른다.
  2. 푸딩 컵에 부어 중탕으로 굽는다.
  3. 우유와 설탕을 섞어 설탕이 캐러멜화 될 때까지 끓인다.
  4. 다른 그릇에 계란, 소금 나머지 설탕을 넣어 혼합하고 우유를 섞는다.
(정답률: 62%)
  • "우유와 설탕을 섞어 설탕이 캐러멜화 될 때까지 끓인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푸딩의 제법 중 하나인 캐러멜화 과정을 설명한 것입니다. 캐러멜화란 설탕을 녹여서 갈색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푸딩에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과 색을 더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용적이 2.5(㎤/g)인 제품을 다음과 같은 원형팬을 이용하여 만들고자 한다. 필요한 반죽의 무게는? (단,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

  1. 100g
  2. 251g
  3. 628g
  4. 1570g
(정답률: 59%)
  • 원형팬의 지름이 20cm 이므로 반지름은 10cm 이다. 따라서, 반죽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부피 = π × 반지름² × 높이 = 3.14 × 10² × 2.5 = 785 (㎤)

    비용적이 2.5(㎤/g)인 제품을 사용할 때, 785(㎤)의 부피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무게는 다음과 같다.

    무게 = 부피 ÷ 비용적이 = 785 ÷ 2.5 = 314 (g)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라고 했으므로, 최종적으로 필요한 반죽의 무게는 251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케이크 제조시 비중의 효과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비중이 낮은 반죽은 기공이 크고 거칠다.
  2. 비중이 낮은 반죽은 냉각 시 주저앉는다.
  3. 비중이 높은 반죽은 부피가 커진다.
  4. 제품별로 비중을 다르게 하여야 한다.
(정답률: 60%)
  • 비중이 높은 반죽은 더 많은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더 많은 밀가루와 설탕, 버터 등을 사용하여 반죽을 만들면 더 많은 공기를 포함시키게 되어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비중이 높은 반죽은 더 큰 케이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데코레이션 케이크 하나를 완성하는데 한 작업자가 5분이 걸린다고 한다. 작업자 5명이 500개를 만드는데 몇 시간 몇 분이 걸리는가?

  1. 약 8시간 15분
  2. 약 8시간 20분
  3. 약 8시간 25분
  4. 약 8시간 30분
(정답률: 64%)
  • 한 작업자가 5분이 걸리므로, 5명이 작업하면 1분에 5개의 케이크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500개를 만드는데 필요한 시간은 500 ÷ 5 = 100분이다. 하지만 이것은 1시간 40분이므로, 8시간 20분이 가장 근접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넛과 케이크의 글레이즈(glaze) 사용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3℃
  2. 34℃
  3. 49℃
  4. 68℃
(정답률: 78%)
  • 도넛과 케이크의 글레이즈는 녹이듯이 부드러워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사용 온도가 너무 높으면 글레이즈가 끈적거리고 물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사용 온도는 글레이즈가 부드러워지면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4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젤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젤라틴
  2. 한천
  3. 레시틴
  4. 알긴산
(정답률: 59%)
  • 레시틴은 젤리를 만드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젤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주요 재료는 젤라틴과 한천이며, 알긴산은 안정제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젤리 롤 케이크를 말아서 성형 할 때 표면이 터지는 결점에 대한 보완사항이 아닌 것은?

  1. 노른자 함량을 증가하고 전란 함량은 감소한다.
  2. 화학적 팽창제 사용량을 감소시킨다.
  3. 배합의 점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덱스트린을 첨가한다.
  4. 설탕의 일부를 물엿으로 대체한다.
(정답률: 70%)
  • 노른자 함량을 증가하면 케이크의 구조가 더 강해지고, 전란 함량을 감소시키면 케이크가 더 탄력적이 되어 표면이 터지는 결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빵의 원재료 중 밀가루의 글루텐 함량이 많을 때 나타나는 결함이 아닌 것은?

  1. 겉껍질이 두껍다.
  2. 기공이 불규칙하다.
  3. 비대칭성이다.
  4. 윗면이 검다.
(정답률: 61%)
  • 윗면이 검다는 결함은 빵이 과도하게 구워져서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밀가루의 글루텐 함량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제빵 배합율 작성시 베이커스 퍼센트(Baker's %)에서 기준이 되는 재료는?

  1. 설탕
  2. 밀가루
  3. 유지
(정답률: 83%)
  • 밀가루는 제빵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이기 때문에, 다른 재료들의 양을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제빵 배합율 작성시 베이커스 퍼센트에서 기준이 되는 재료는 밀가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표에 나타난 배합 비율을 이용하여 빵 반죽 1802g을 만들려고 한다. 다음 재료 중 계량된 무게가 틀린 것은?

  1. (가) 630g
  2. (나) 2.4g
  3. (다) 60g
  4. (라) 30g
(정답률: 81%)
  • 배합 비율을 이용하여 계산해보면,
    - 밀가루 : 1802g × 0.35 = 630.7g
    - 물 : 1802g × 0.6 = 1081.2g
    - 소금 : 1802g × 0.03 = 54.06g
    - 이스트 : 1802g × 0.02 = 36.04g
    - 설탕 : 1802g × 0.002 = 3.604g

    따라서, 정답은 "(나) 2.4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오븐 내에서 뜨거워진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열전달 방식은?

  1. 대류
  2. 전도
  3. 복사
  4. 전자파
(정답률: 84%)
  • 오븐 내부에서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면서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면서 열을 전달하는데, 이러한 공기의 움직임을 대류라고 합니다. 따라서 오븐 내에서 뜨거운 공기를 강제로 움직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은 대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프랑스빵에서 스팀을 사용하는 이유로 부적당한 것은?

  1. 거칠고 불규칙하게 터지는 것을 방지한다.
  2. 겉껍질에 광택을 내준다.
  3. 얇고 바삭거리는 껍질이 형성되도록 한다.
  4. 반죽의 흐름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정답률: 62%)
  • 스팀은 반죽 내부에서 수증기를 발생시켜 반죽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며, 이로 인해 반죽의 흐름성을 크게 증가시킵니다. 이는 빵의 구조와 질감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반죽의 흐름성을 크게 증가시킨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과학

21. 생산된 소득 중에서 인건비와 관련된 부분은?

  1. 노동분배율
  2. 생산가치율
  3. 가치적 생산성
  4. 물량적 생산성
(정답률: 70%)
  • 노동분배율은 생산된 소득 중에서 인건비와 관련된 부분을 의미합니다. 즉, 노동자들이 생산한 가치에 대해 얼마나 보상을 받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인건비가 높을수록 노동자들이 받는 보상이 많아지므로 노동분배율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팬에 바르는 기름은 다음 중 무엇이 높은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1. 산가
  2. 크림성
  3. 가소성
  4. 발연점
(정답률: 80%)
  • 팬에 바르는 기름은 발연점이 높은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발연점이 높을수록 기름이 빨리 증발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연점이 높은 "발연점"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데니시 페이스트리의 일반적인 반죽 온도는?

  1. 0 ~ 4℃
  2. 8 ~ 12℃
  3. 18 ~ 22℃
  4. 27 ~ 30℃
(정답률: 74%)
  • 데니시 페이스트리는 버터와 밀가루를 반복해서 쌓아 만드는 쉬운 반죽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반죽은 버터가 녹지 않도록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냉장고에서 보관한 밀가루와 버터를 꺼내 1시간 정도 방온시켜 18 ~ 22℃ 정도의 온도로 맞추어 사용합니다. 이 온도에서 만든 반죽은 적당한 탄력과 부드러움을 가지며, 냉장고에서 보관할 때도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굽기 후 빵을 썰어 포장하기에 가장 좋은 온도는?

  1. 17℃
  2. 27℃
  3. 37℃
  4. 47℃
(정답률: 82%)
  • 37℃는 빵이 가장 신선하고 맛있는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이 온도에서는 빵의 구조와 향이 가장 잘 유지되며, 빵이 더욱 부드럽고 촉촉하게 유지됩니다. 또한, 이 온도에서는 빵이 빠르게 상하지 않고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ppm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1. g당 중량 백분율
  2. g당 중량 만분율
  3. g당 중량 십만분율
  4. g당 중량 백만분율
(정답률: 66%)
  •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약자로, 1백만분의 1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g당 중량 백만분율은 1백만분의 1g을 의미하며, 이는 매우 작은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1ppm의 농도는 1kg의 물에 1mg의 물질이 녹아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pm은 매우 작은 농도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성형시 둥글리기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표피를 형성시킨다.
  2. 가스포집을 돕는다.
  3. 끈적거림을 제거한다.
  4. 껍질색을 좋게한다.
(정답률: 73%)
  • 둥글리기는 주로 껍질의 모양을 둥글게 만들기 위해 시행됩니다. 따라서 껍질색을 좋게 하는 것은 둥글리기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펀치의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1. 반죽의 온도를 균일하게 한다.
  2. 이스트의 활성을 돕는다.
  3. 산소공급으로 반죽의 산화숙성을 진전시킨다.
  4.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
(정답률: 65%)
  • 펀치는 반죽을 성형할 때 사용되는데, 반죽이 덜 단단하고 끈적거리는 상태에서 성형을 하면 형태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펀치는 반죽을 더 단단하게 만들어 성형을 용이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빵반죽의 흡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설탕 5% 증가시 흡수율은 1%씩 감소한다.
  2. 빵반죽에 알맞은 물은 경수(센물)보다 연수(단물)이다.
  3. 반죽온도가 5℃ 증가함에 따라 흡수율이 3% 증가한다.
  4. 유화제 사용량이 많으면 물과 기름의 결합이 좋게되어 흡수율이 감소된다.
(정답률: 53%)
  • 설탕은 반죽 내부의 물분자와 결합하여 반죽의 물분자의 활동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설탕 함량이 증가하면 물분자의 활동성이 감소하여 빵반죽의 흡수율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설탕 함량이 5% 증가하면 흡수율은 1%씩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빵의 노화 방지에 유효한 첨가물은?

  1. 이스트푸드
  2. 산성탄산나트륨
  3. 모노글리세리드
  4. 탄산암모늄
(정답률: 57%)
  • 모노글리세리드는 빵의 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첨가물입니다. 이는 빵의 구조를 안정화시켜서 오래 보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노글리세리드는 빵의 부드러운 질감을 유지시켜주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냉동반죽을 2차 발효시키는 방법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냉장고에서 15~16시간 냉장 해동시킨 후 30~33℃, 상대습도 80%의 2차 발효실에서 발효시킨다.
  2. 실온(25℃)에서 30~60분간 자연 해동 시킨 후 30℃, 상대습도 85%의 2차 발효실에서 발효시킨다.
  3. 냉동반죽을 30~33℃, 상대습도 80% 2차 발효실에 넣어 해동 시킨 후 발효시킨다.
  4. 냉동 반죽을 38~43℃, 상대습도 90%의 고온다습한 2차 발효실에 넣어 해동시킨 후 발효시킨다.
(정답률: 59%)
  • 냉동반죽은 냉동 상태에서 보관되다가 해동 후 발효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냉장고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냉장 해동시키면서 천천히 반죽의 온도를 올리고, 그 후에 30~33℃, 상대습도 80%의 2차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면 안정적인 발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방법이 가장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양학

31. 상대적 감미도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과당 : 135
  2. 포도당 : 75
  3. 맥아당 : 16
  4. 전화당 : 100
(정답률: 66%)
  • 상대적 감미도는 같은 양의 당분이 갖는 당도를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상대적 감미도가 높을수록 같은 양의 당분이 더 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포도당의 상대적 감미도가 75인 이유는, 같은 양의 당분을 가진 과당, 맥아당, 전화당보다는 단맛이 적지만, 그래도 상대적으로 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포도당은 다른 설탕에 비해 단맛이 적지만, 여전히 달기 때문에 상대적 감미도가 75로 측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젤리 형성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당분
  2. 유기산
  3. 펙틴
(정답률: 75%)
  • 젤리 형성의 3요소는 당분, 유기산, 그리고 펙틴입니다. 이들이 혼합되어 물과 함께 가열되면 젤리 형태가 형성됩니다. 반면에 염은 젤리 형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밀가루 중 빵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것은?

  1. 박력분
  2. 중력분
  3. 강력분
  4. 대두분
(정답률: 85%)
  • 빵을 만들 때는 밀가루 중 단백질 함량이 높은 강력분이 사용됩니다. 강력분은 밀가루 중 단백질 함량이 13% 이상인 분말로, 빵의 탄력과 구조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빵을 만들 때는 강력분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다른 분말들은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반적으로 가소성 유지제품(쇼트닝, 마가린, 버터 등)은 상온에서 고형질이 얼마나 들어있는가?

  1. 20 ~ 30 %
  2. 50 ~ 60 %
  3. 70 ~ 80%
  4. 90 ~ 100 %
(정답률: 40%)
  • 일반적으로 가소성 유지제품은 상온에서 고형질이 20 ~ 30% 정도 들어있습니다. 이는 고형질이 많으면 제품이 딱딱하고 불편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적당한 양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형질이 적으면 제품이 녹아내리거나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인 생 이스트의 적당한 저장온도는?

  1. -15℃
  2. -10~-5℃
  3. 0~5℃
  4. 15~20℃
(정답률: 75%)
  • 일반적인 생 이스트는 저온에서 보관할 경우 활동이 둔화되어 살아남기 어렵고, 고온에서는 증식이 너무 빨라져 빠르게 죽어버리기 때문에 적당한 저장온도는 0~5℃로 설정됩니다. 이는 생 이스트의 활동을 억제하면서도 살아있을 수 있는 최적의 온도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이스트푸드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물 조절제 - 칼슘염
  2. 이스트 영양분 - 암모늄염
  3. 반죽 조절제 - 산화제
  4. 이스트 조절제 - 글루텐
(정답률: 54%)
  • 이스트 조절제인 글루텐은 틀린 사항이 아닙니다. 글루텐은 밀가루 등의 원재료에서 추출되는 단백질로, 이스트의 발효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스트 조절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밀가루를 전문적으로 시험하는 기기로 이루어진 것은?

  1. 패리노그래프,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익스텐소그래프
  2. 패리노그래프. 아밀로그래프, 파이브로 미터
  3. 패리노그래프, 익스텐소그래프, 아밀로그래프
  4. 아밀로그래프, 익스텐소그래프, 펑츄어 테이터
(정답률: 88%)
  • 밀가루를 전문적으로 시험하는 기기로는 패리노그래프, 익스텐소그래프, 아밀로그래프가 있습니다. 이는 밀가루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로, 각각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 식물성 기름 함량, 수분 함량 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코코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코코아에는 천연 코코아와 더취 코코아가 있다.
  2. 더취 코코아는 천연 코코아를 알칼리 처리하여 만든다.
  3. 더취 코코아는 색상이 진하고 물에 잘 분산된다.
  4. 천연 코코아는 중성을 더취 코코아는 산성을 나타낸다.
(정답률: 60%)
  • 정답은 "천연 코코아는 중성을 더취 코코아는 산성을 나타낸다."입니다.

    이유는 천연 코코아는 pH가 중성에 가깝고, 더취 코코아는 알칼리 처리를 통해 pH가 높아져서 산성에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바게트 배합률에서 비타민C 30ppm 사용하려고 할 때 이 용량을 %로 올바르게 타나낸 것은?

  1. 0.3%
  2. 0.03%
  3. 0.003%
  4. 0.0003%
(정답률: 66%)
  • 30ppm은 30mg/L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kg의 물에 30mg의 비타민C를 녹인다면, 30ppm의 농도가 됩니다. 바게트의 재료 중 물의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에, 바게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바게트의 물의 양은 전체 중량의 약 60~70% 정도이므로, 1kg의 바게트 중 물의 양은 약 600~700g 정도입니다. 따라서, 1kg의 바게트에 30mg의 비타민C를 사용한다면, 30mg/600g = 0.05mg/g의 농도가 됩니다. 이를 %로 환산하면 0.05/100 = 0.0005%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kg 대신 10kg을 기준으로 하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0.0005%를 10으로 나누어 주면, 최종적으로 0.00005%가 됩니다. 이를 소수점 네 자리까지 표현하면 0.003%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으로 제빵에 사용하는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은?

  1. 7 ~9%
  2. 9 ~10%
  3. 11 ~13%
  4. 14 ~ 16%
(정답률: 67%)
  • 밀가루는 밀의 열매를 가공하여 만든 가루로, 주로 제빵에 사용됩니다.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은 밀의 종류와 가공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1~13% 정도입니다. 이는 제빵에 필요한 탄수화물과 함께 적절한 탄단지 비율을 유지하기 위해 적당한 수준으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단백질 함량은 제빵 과정에서 반죽의 탄성과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유장(whey products) 에 탈지분유, 밀가루, 대두분 등을 혼합하여 탈지 분유의 기능과 유사하게 한 제품은?

  1. 시유
  2. 농축 우유
  3. 대용 분유
  4. 전지분유
(정답률: 47%)
  • 유장은 우유에서 분리된 단백질 부분으로, 탈지 분유와 마찬가지로 단백질 함량이 높습니다. 대용 분유는 이 유장에 탈지분유, 밀가루, 대두분 등을 혼합하여 탈지 분유의 기능과 유사하게 만든 제품입니다. 따라서 대용 분유는 탈지 분유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대체품으로, 유아식품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계란 흰자가 360g 필요하다고 할 때 전란 60g 짜리 계란은 몇 개 정도 필요한가? (단, 계란 중 난백의 함량은 60%)

  1. 6개
  2. 8개
  3. 10개
  4. 13개
(정답률: 65%)
  • 전란 60g 중 난백의 함량은 60% 이므로, 실제로 필요한 난백의 양은 60g x 0.6 = 36g 입니다.

    한 개의 60g 짜리 계란에서는 난백이 60g x 0.6 = 36g 이므로, 필요한 양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1개의 계란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전체 필요한 360g의 난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360g / 36g = 10개의 60g 짜리 계란이 필요합니다.

    정답은 "10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화이트 초콜릿에 들어 있는 카카오버터의 함량은?

  1. 70% 이상
  2. 20% 이상
  3. 10% 이하
  4. 5% 이하
(정답률: 64%)
  • 화이트 초콜릿은 카카오버터 대신 우유성분과 설탕 등이 들어가 있습니다. 하지만, 화이트 초콜릿에도 카카오버터가 일정량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카카오버터 함량은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제빵용 이스트에 들어있지 않은 효소는?

  1. 찌마아제
  2. 인버타아제
  3. 락타아제
  4. 말타아제
(정답률: 52%)
  • 제빵용 이스트는 주로 발효에 필요한 효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락타아제는 우유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로, 제빵에 필요한 효소가 아닙니다. 따라서 락타아제는 제빵용 이스트에 들어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전화당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껍질색의 형성을 빠르게 한다.
  2. 제품에 신선한 향을 부여한다.
  3. 설탕의 결정화를 감소, 방지한다.
  4. 가스 발생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53%)
  • 전화당은 설탕 대체제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설탕의 결정화를 감소시키고 껍질색의 형성을 빠르게 하며 제품에 신선한 향을 부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화당은 가스 발생력을 증가시키는 특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화당이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 발효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화당을 사용할 때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콜레스테롤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담즙의 성분이다.
  2. 비타민 D3의 전구체가 된다.
  3. 탄수화물 중 다당류에 속한다.
  4. 다량 섭취시 동맥경화의 원인물질이 된다.
(정답률: 43%)
  • 콜레스테롤은 탄수화물 중 다당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콜레스테롤은 지방질에 속하는데, 동물성 식품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당류 중 포도당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탄수화물이 아닌 것은?

  1. 셀룰로오스
  2. 전분
  3. 펙틴
  4. 글리코겐
(정답률: 39%)
  • 펙틴은 포도나 사과 등 과일의 씨앗, 껍질, 줄기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식이섬유로, 다른 성분들과는 달리 당분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당류 중 포도당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탄수화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건조된 아몬드 100g에 탄수화물 16g, 단백질 18g, 지방 54g, 무기질 3g, 수분 6g, 기타설분 등을 함유하고 있다면 이 아몬드 100g의 열량은?

  1. 약 200kcal
  2. 약 364kcal
  3. 약 622kcal
  4. 약 751kcal
(정답률: 66%)
  • 열량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열량 = (탄수화물 × 4) + (단백질 × 4) + (지방 × 9)

    따라서, 아몬드 100g의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열량 = (16 × 4) + (18 × 4) + (54 × 9) = 64 + 72 + 486 = 622kcal

    따라서, 정답은 "약 622kca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성장기 어린이, 빈혈환자, 임산부 등 생리적 요구가 높을 때 흡수율이 높아지는 영양소는?

  1. 철분
  2. 나트륨
  3. 칼륨
  4. 아연
(정답률: 82%)
  • 철분은 성장기 어린이, 빈혈환자, 임산부 등에서 특히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철분은 혈액 속 적혈구를 만드는 데 필요한데, 성장기 어린이나 임신부는 적혈구 생성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철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빈혈환자는 철분이 부족하여 적혈구 생성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철분 섭취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성장기 어린이, 빈혈환자, 임산부 등에서는 철분의 흡수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음식물을 통해서만 얻어야 하는 아미노산과거리가 먼 것은?

  1. 메티오닌(methionine)
  2. 리신(lysine)
  3. 트립토판(tryptophan)
  4. 글루타민(glutamine)
(정답률: 55%)
  • 글루타민은 우리 몸에서 일부 생산이 가능하므로, 음식물을 통해서만 얻어야 하는 아미노산들 중에서는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위생학

51. 다음 중 인수공통전염병은?

  1. 폴리오
  2. 이질
  3. 야토병
  4. 전염성 설사병
(정답률: 62%)
  • 인수공통전염병은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화장실, 식당 등에서 전염되는 질병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야토병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파되는 전염병으로, 다른 세 질병은 각각 폴리오는 바이러스 감염, 이질은 장내 세균 감염, 전염성 설사병은 대장균 감염으로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야토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절대적으로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된 상태에서만 생존할 수 있어 산소가 있으면 사멸되는 균은?

  1. 호기성균
  2. 편성 호기성균
  3. 통성혐기성균
  4. 편성 혐기성균
(정답률: 48%)
  • 편성 혐기성균은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는 살 수 없고, 절대적으로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된 상태에서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산소가 있으면 사멸됩니다. 따라서 이 균은 절대적으로 혐기성 균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물과 기름처럼 서로 혼합이 잘 되지 않은 두 종류의 액체를 혼합, 분산시켜주는 첨가물은?

  1. 유화제
  2. 소포제
  3. 피막제
  4. 팽창제
(정답률: 84%)
  • 유화제는 물과 기름처럼 서로 혼합이 잘 되지 않는 두 종류의 액체를 혼합, 분산시켜주는 첨가물입니다. 이는 유화제 분자가 물과 기름 모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화제를 첨가하면 물과 기름이 잘 섞이게 되어 안정적인 혼합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주로 어패류에 의해서 감염되는 식중독균은?

  1. 대장균
  2. 살모넬라균
  3. 장염비브리오균
  4. 리스테리아균
(정답률: 81%)
  • 어패류는 바다나 강에서 살고 있는데, 이곳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들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미생물들 중에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병원체도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주로 어패류에 의해서 감염되는 식중독균은 장염비브리오균입니다. 이는 바다나 강에서 살고 있는 미생물 중에서도 특히 어패류에 많이 분포하며, 인체에 침입하면 위장관 질환을 일으키는 세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병원성 대장균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감염시 주증상은 급성장염이다.
  2. 그람양성균이며 포자를 형성한다.
  3. Lactose를 분해하여 산과 가스(CO2)를 생산한다.
  4. 열에 약하며 75℃에서 3분간 가열하면 사멸된다.
(정답률: 45%)
  • 병원성 대장균은 그람음성균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습니다. 포자를 형성하는 균은 대부분 그람양성균입니다. 따라서 "그람양성균이며 포자를 형성한다."가 아닌 것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경구 전염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곰팡이에 의한 것 - 아플라톡신
  2. 바이러스에 의한 것 - 유행성간염
  3. 원충류에 의한 것 - 아메바성 이질
  4. 세균에 의한 것 - 장티푸스
(정답률: 43%)
  • 정답은 "곰팡이에 의한 것 - 아플라톡신"입니다. 아플라톡신은 세균이 분비하는 독소로, 곰팡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곰팡이에 의한 것 - 아플라톡신"은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폐디스토마의 제1중간 숙주는?

  1. 돼지고기
  2. 쇠고기
  3. 참붕어
  4. 다슬기
(정답률: 84%)
  • 폐디스토마는 소화기관에 서식하는 기생충으로, 제1중간 숙주는 폐디스토마의 알을 먹은 동물입니다. 다슬기는 물고기 중에서도 폐디스토마의 알을 제1중간 숙주로 이용하는 종류가 많아, 다슬기를 먹은 동물들은 폐디스토마에 감염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다슬기는 폐디스토마의 제1중간 숙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식중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클로스트리듐 보툴리늄균은 혐기성 세균이기 때문에 통조림 또는 진공포장 식품에서 증식하여 독소형 식중독을 일으킨다.
  2. 장염 비브리오균은 감염형 식중독 세균이며, 원인식품은 식육이나 유제품이다.
  3. 리스테리아균은 균수가 적어도 식중독을 일으키며 , 냉장온도에서도 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품을 냉장상태로 보존하더라도 안심할 수 없다.
  4.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은 토양 또는 곡류 등 탄수화물 식품에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정답률: 62%)
  • 정답은 "장염 비브리오균은 감염형 식중독 세균이며, 원인식품은 식육이나 유제품이다."가 아닌 것입니다. 이유는 장염 비브리오균은 해산물에서 발견되는 세균으로, 원인식품은 해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합성감미료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화합적 합성품이다.
  2. 아스파탐이 이에 해당한다.
  3. 일반적으로 설탕보다 감미 강도가 낮다.
  4. 인체 내에서 영양가를 제공하지 않는 합성감미료도 있다.
(정답률: 63%)
  • 인체 내에서 영양가를 제공하지 않는 합성감미료도 있다. 이는 합성감미료가 인체에서 대사되지 않고 소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 "일반적으로 설탕보다 감미 강도가 낮다." 이다. 이는 합성감미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합성감미료는 설탕보다 감미 강도가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식품과 부패에 관여하는 주요 미생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곡류 - 곰팡이
  2. 육류 - 세균
  3. 어패류 - 곰팡이
  4. 통조림 - 포자형성세균
(정답률: 76%)
  • 어패류는 곰팡이와 연관이 없습니다. 곰팡이는 주로 곡류나 과일 등에서 발생하는 식품 부패 미생물입니다. 따라서 "어패류 - 곰팡이"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