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디자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1-24)

웹디자인기능사
(2016-01-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자인 일반

1. 디자인 원리 중 리듬(rhythm)의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대칭
  2. 점증
  3. 반복
  4. 강조
(정답률: 66%)
  • 리듬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요소들이 조화롭게 조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대칭은 요소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리듬의 요소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대칭은 비대칭적인 요소들을 강조하기보다는 균형과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강조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시각적 균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명암에 의한 균형
  2. 경험에 의한 균형
  3. 질감에 의한 균형
  4. 위치에 의한 균형
(정답률: 89%)
  • 정답은 "경험에 의한 균형"입니다. 시각적 균형은 여러 가지 요소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눈에 균형적으로 다가오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경험에 의한 균형은 과거의 경험과 기억에 의해 형성된 미적 감각으로, 인간의 뇌는 이전에 경험한 것들을 바탕으로 시각적 요소들을 인식하고 평가합니다. 따라서 경험에 의한 균형은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개인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미적 대상을 구상하는 부분과 부분의 사이에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모순되는 일 없이 질서가 잡혀 어울리는 것은?

  1. 균형
  2. 조화
  3. 변화
  4. 리듬
(정답률: 57%)
  • 미적 대상을 이루는 부분들이 서로 조화롭게 어울려야 미적인 감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조화란, 서로 다른 부분들이 어울려 하나의 전체를 이루는 것으로, 이때 각 부분들이 서로 모순되지 않고 조화롭게 어울리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미적 대상을 이루는 부분들이 질적이나 양적으로 모순되지 않고 조화롭게 어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포맷
  2. 레이아웃
  3. 타이포그래피
  4. 일러스트레이션
(정답률: 71%)
  • 포맷은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포맷은 문서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형식을 말하며, 편집디자인에서는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색의 진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따뜻한 색이 차가운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2. 밝은 색이 어두운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3. 무채색이 유채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4. 팽창색이 수축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정답률: 89%)
  • "무채색이 유채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유채색이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줍니다. 이는 유채색이 더 선명하고 강렬한 색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채색은 색상이 없는 것이므로 진출하는 느낌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저드(D.B.judd)의 “색채 조화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질서의 원리
  2. 모호성의 원리
  3. 친근성의 원리
  4. 유사성의 원리
(정답률: 69%)
  • 모호성의 원리는 색채 조화론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 원리는 디자인에서 사용되며, 디자인 요소들이 모호하고 불분명한 경우에는 관람자가 이해하기 어렵고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디자인에서는 요소들을 명확하고 분명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색의 3속성으로 알맞은 것은?

  1. Cyan, Value, Chroma
  2. Hue, Black, Chroma
  3. Hue, Value, Cloudy
  4. Hue, Value, Chroma
(정답률: 85%)
  • 정답은 "Hue, Value, Chroma" 입니다.

    - Hue(색상) : 색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은 색의 이름을 말합니다.
    - Value(명도) :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어두운 색일수록 값이 작고, 밝은 색일수록 값이 큽니다.
    - Chroma(채도) :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색의 순도를 의미합니다. 순도가 높을수록 채도가 높아지며, 반대로 순도가 낮을수록 채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Hue, Value, Chroma"는 색의 종류, 밝기, 선명도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한국산업표준(KS)에서 색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3가지 속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같은 크기의 형을 상, 하로 겹칠 때 위쪽의 것이 크게 보이는 착시현상은?

  1. 각도와 방향의 착시
  2. 수직 수평의 착시
  3. 바탕과 도형의 착시
  4. 상방 거리의 과대착시
(정답률: 56%)
  • 상방 거리의 과대착시는 먼 거리에 있는 물체가 가까이 있는 물체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는 뇌가 먼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물체를 상, 하로 겹쳤을 때 위쪽의 것이 더 멀리 있는 것처럼 인식되어 크게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디자인 원리 중 동질의 부분이 조합될 때 이루어지는 것은?

  1. 유사
  2. 대비
  3. 대조
  4. 점이
(정답률: 80%)
  • 정답은 "유사"입니다. 동질의 부분이 조합될 때는 유사성이 강조되며, 이는 디자인에서 일관성과 조화를 만들어냅니다. 유사한 요소들은 서로 어울리며,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색광의 혼합에서 색을 혼합하면 할수록 높아지는 색의 속성은?

  1. 명도
  2. 채도
  3. 색상
  4. 점도
(정답률: 65%)
  • 색광의 혼합에서 색을 혼합하면 할수록 높아지는 색의 속성은 "명도"입니다. 이는 혼합된 색이 더 밝아지기 때문입니다. 색의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며, 색의 밝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색을 혼합할수록 명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환경 디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인테리어 디자인
  2. 원예 디자인
  3. 가구 디자인
  4. 조경 디자인
(정답률: 69%)
  • 가구 디자인은 환경 디자인의 일부분이지만, 다른 항목들과는 달리 주로 가구의 디자인과 제작에 중점을 둔다. 환경 디자인은 공간의 조성과 인테리어, 원예, 조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가구 디자인은 환경 디자인의 일부분이지만, 다른 항목들과는 목적과 범위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색채를 과학적으로 정리하여 스펙트럼을 7색으로 분리한 사람은?

  1. 뉴턴
  2. 먼셀
  3. 오스트발트
  4. 돈더스
(정답률: 67%)
  • 뉴턴은 프리즘을 사용하여 흰색 빛을 분해하여 스펙트럼을 7색으로 분리한 과학자입니다. 이를 통해 색채를 과학적으로 정리하고 이후의 색채 이론 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원근에 의한 공간표현으로 색채와 명암을 활용하는 방법은?

  1. 직선원근법
  2. 대기원근법
  3. 과장원근법
  4. 다각원근법
(정답률: 58%)
  • 대기원근법은 원근에 의한 공간표현으로 색채와 명암을 활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먼 거리의 물체를 작게 그리고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크게 그리는 것으로, 실제로 눈으로 보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내어 사실적인 공간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기원근법은 다른 원근법들보다 더욱 사실적인 공간표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게슈탈트 이론 중 비슷한 모양이 서로 가까이 놓여 있을 때 그 모양들이 동일한 형태의 그룹으로 보이는 경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근접성의 법칙
  2. 유사성의 법칙
  3. 연속성의 법칙
  4. 폐쇄성의 법칙
(정답률: 52%)
  • 근접성의 법칙은 비슷한 모양이 서로 가까이 놓여 있을 때 그 모양들이 동일한 형태의 그룹으로 보이는 경향을 말합니다. 즉, 모양들의 근접성이 높을수록 그룹으로 묶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건강” 이미지의 웹사이트를 구성하려고 한다. 가장 적합한 컬러는?

  1. 빨간색
  2. 노란색
  3. 검정색
  4. 녹색
(정답률: 90%)
  • 녹색은 자연과 생명력, 신선함과 안정감을 상징하는 색상으로 건강과 관련된 이미지에 적합합니다. 또한 녹색은 눈에 부담을 주지 않고 집중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어서 긴 시간 동안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슈퍼그래픽이 속하는 분야와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패턴디자인
  2. 제품디자인
  3. 환경디자인
  4. 의류디자인
(정답률: 51%)
  • 슈퍼그래픽은 환경디자인 분야와 가장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슈퍼그래픽이 공간을 디자인하고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환경을 개선하고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슈퍼그래픽은 건축물, 도시공간, 공원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경디자인의 목적인 기능성과 미적 가치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서로 다른 관련이 없어 보이는 요소를 합친다는 의미로 보는 관점을 완전히 다르게 하여 연상되는 점과 관련성을 찾아내어 아이디어를 발상시키는 방법은?

  1.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법
  2. 연상결합(Image association)법
  3. 입출력(input - output)법
  4. 시넥틱스(Synectics)법
(정답률: 48%)
  • 시넥틱스(Synectics)법은 서로 다른 분야나 개념을 연결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창의적 사고 방법론입니다. 이 방법은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요소들을 연상하고, 이를 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것을 중요한 과정으로 여깁니다. 따라서 시넥틱스(Synectics)법은 다양한 분야나 개념을 융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생시키는 능력을 키우는 데에 유용한 방법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적 법칙에 의해 생겨난 형태로 규칙적이고 명쾌한 조형적 감정을 유발시키는 형태는?

  1. 유기적 형태
  2. 기하학적 형태
  3. 현대적 형태
  4. 조형적 형태
(정답률: 62%)
  • 수적 법칙에 의해 생겨난 형태는 대개 기하학적인 형태를 띄며, 이러한 형태는 규칙적이고 명쾌한 조형적 감정을 유발시킵니다. 따라서 "기하학적 형태"가 정답입니다. 유기적 형태는 자연적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반면, 현대적 형태는 기술적이고 냉정한 느낌을 주며, 조형적 형태는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느낌을 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먼셀의 표색계에서 색상을 표시하는 기호로 맞는 것은?

  1. C/HV
  2. HC/V
  3. HV/C
  4. CV/H
(정답률: 78%)
  • 먼셀의 표색계에서 색상을 표시하는 기호는 HV/C입니다. 이는 먼셀의 표색계에서 색상을 표시하는 방법 중 하나로, 먼셀색상계에서 Hue-Value/Chroma의 약자입니다. Hue는 색조, Value는 명도, Chroma는 채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HV/C는 색상의 색조, 명도, 채도를 모두 나타내는 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Art& Crafts Movement)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량생산제품에 대해 찬성하였다.
  2. 양산제품에서의 품질문제를 제기하였다.
  3. 미술, 공예, 디자인 간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실용적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4. 수작업으로 돌아가자는 주장을 하였다.
(정답률: 75%)
  • "대량생산제품에 대해 찬성하였다."가 틀린 것입니다. 윌리엄 모리스와 미술공예운동은 대량생산제품에 반대하고 수작업과 공예를 존중하며, 제품의 품질과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터넷 일반

21. 사용자가 특정한 서버에 집중적으로 몰리면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FTP 서버의 자료를 다른 곳에 그대로 복사하여,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자료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1. Plug-un
  2. Quick Time
  3. Mirroring
  4. File Server
(정답률: 57%)
  • Mirroring은 FTP 서버의 자료를 다른 곳에 그대로 복사하여,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자료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한 서버에 집중적으로 몰리는 병목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HTML 태그에서 “cellpadding” 에 대해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table” 태그에서만 쓰는 속성으로 셀 구분선과 셀 안의 문자간의 여백을 설정한다.
  2. “table” 태그에서만 쓰는 속성으로 셀과 셀 사이의 간격을 설정한다.
  3. “table” 태그에 삽입하면 테이블의 전체의 높이를 설정한다.
  4. “table” 태그에 삽입하면 해당 셀의 높이를 설정한다.
(정답률: 57%)
  • “cellpadding”은 “table” 태그에서만 쓰는 속성으로 셀 구분선과 셀 안의 문자간의 여백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즉, 셀과 셀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셀 안의 내용과 셀 경계 사이의 여백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연산자 좌우의 검색어를 모두 포함하는 데이터를 찾는 정보검색 연산자는?

  1. OR
  2. NOT
  3. AND
  4. AND NOT
(정답률: 77%)
  • AND 연산자는 좌우의 검색어를 모두 포함하는 데이터를 찾는 정보검색 연산자입니다. 다른 연산자들은 좌우의 검색어 중 하나만 포함하거나, 좌우의 검색어 중 하나를 제외하는 등의 다른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웹페이지 작성 언어들 중 그 특성이 다른 하나는?

  1. ASP
  2. JSP
  3. PHP
  4. JavaScript
(정답률: 68%)
  • JavaScript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이며, 동적인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에 ASP, JSP, PHP는 서버 측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이며, 서버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합니다. 따라서 JavaScript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는 유일한 웹페이지 작성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 그래픽의 역사는 컴퓨터의 탄생부터 오늘날 인터넷 시대까지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누어 분류한다. 시대별 발달 과정을 주요 소자별로 바르게 분류한 것은?

  1. 진공관 → 트랜지스터 → 집적회로 → 고밀도 집적회로 → SVLSI
  2. 트랜지스터 → 진공관 → 집적회로 → 고밀도 집적회로 → SVLSI
  3. 트랜지스터 → 집적회로 → 진공관 → 고밀도 집적회로 → SVLSI
  4. 진공관 → 집적회로 → 트랜지스터 → 고밀도 집적회로 → SVLSI
(정답률: 69%)
  • 컴퓨터 그래픽의 역사는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누어 분류되며, 이는 주요 소자의 발전 과정에 따라 구분된다. 따라서 정답은 "진공관 → 트랜지스터 → 집적회로 → 고밀도 집적회로 → SVLSI"이다.

    - 진공관: 컴퓨터의 초기에 사용되었던 전자소자로, 전기 신호를 증폭하거나 스위칭하는 역할을 했다.
    - 트랜지스터: 진공관의 대체재로 등장한 반도체 소자로, 집적도가 높아지면서 컴퓨터의 크기와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 집적회로: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여러 개의 소자를 한 개의 칩에 집적시키는 기술로, 컴퓨터의 소형화와 고성능화를 이루었다.
    - 고밀도 집적회로: 집적도를 더욱 높여 한 칩에 수천 개 이상의 소자를 집적시키는 기술로, 컴퓨터의 고성능화와 저전력화를 이루었다.
    - SVLSI: 고밀도 집적회로를 더욱 발전시켜 한 칩에 수백만 개 이상의 소자를 집적시키는 기술로, 현재의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 등에 사용되는 고성능 칩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마크업 언어 중 가장 나중에 만들어진 것은?

  1. SGML
  2. HTML
  3. XML
  4. XHTML
(정답률: 63%)
  • XHTML은 HTML을 보완하고자 만들어진 언어로, HTML의 불완전한 문법과 구조를 개선하고 XML의 엄격한 문법을 적용하여 더욱 엄밀한 마크업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따라서 XHTML은 다른 마크업 언어들보다 나중에 만들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자바스크립트의 이벤트 핸들러에 대한 종류와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onBlur : 대상이 포커스를 잃어 버렸을 때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
  2. onFocus : 대상에 포커스가 들어왔을 때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
  3. onMouseOn : 마우스가 대상의 링크나 영역 안에 위치할 때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
  4. onMouseOut : 마우스가 대상의 링크나 영역 안을 벗어 날 때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
(정답률: 48%)
  • onMouseOn은 올바른 이벤트 핸들러 종류가 아닙니다. 올바른 이벤트 핸들러는 onMouseOver입니다. onMouseOver는 마우스가 대상의 링크나 영역 안에 위치할 때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월드 와이드 웹(WWW)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탐색하고 원하는 정보를 읽어들여 그 내용을 화면에 표시해 주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1. 배너
  2. 포털 사이트
  3. 웹 브라우저
  4. 홈페이지
(정답률: 80%)
  •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탐색하고 원하는 정보를 읽어들여 그 내용을 화면에 표시해 주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월드 와이드 웹(WWW)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이며, 다른 보기들은 웹 브라우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용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접속하려고 한다. 네트워크 환경 설정 시 입력해야 할 내용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게이트웨이
  2. 서브넷 마스크
  3. 접속 전화번호
  4. DNS
(정답률: 65%)
  • 전용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접속할 때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전화번호는 모뎀을 이용하여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때 필요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접속 전화번호"가 올바르지 않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일반적인 HTML문서의 기본구조로 옳은 것은?

  1. <HTML><HEAD></HEAD><BODY></BODY></HTML>
  2. <HEAD></HEAD><HTML><BODY></HTML></BODY>
  3. <HEAD><HTML></HTML></HEAD><BODY></BODY>
  4. <HEAD></HEAD><HTML><BODY></BODY></HTML>
(정답률: 88%)
  • "<HTML><HEAD></HEAD><BODY></BODY></HTML>"이 일반적인 HTML문서의 기본구조이다. 이는 HTML 문서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HTML>과 </HTML> 태그 사이에, 문서의 헤더 정보를 담는 <HEAD>와 </HEAD> 태그 사이에, 그리고 문서의 본문을 담는 <BODY>와 </BODY> 태그 사이에 내용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HEAD></HEAD><HTML><BODY></HTML></BODY>와 <HEAD><HTML></HTML></HEAD><BODY></BODY></HTML>는 올바른 구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VRML을 만들 수 있는 저작도구가 아닌 것은?

  1. Cosmo Worlds
  2. Cosmo Player
  3. VR Creator
  4. 3d studio max
(정답률: 53%)
  • "Cosmo Player"는 VRML을 실행하는 뷰어 프로그램이며, VRML을 만들 수 있는 저작도구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osmo Worlds"와 "VR Creator"는 VRML을 만들 수 있는 저작도구이며, "3d studio max"는 3D 모델링 및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반적으로 처리기나 CPU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프로그램, 즉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작업(Job) 또는 태스크(Task)라고도 하는 것은?

  1. 컴파일러(Compiler)
  2. 링커(Linker)
  3. 로더(Loader)
  4. 프로세스(Process)
(정답률: 73%)
  •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컴파일러, 링커, 로더는 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도구들이므로 프로세스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세스(Proces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물 정보를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전자우편 주소 등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 사이트를 일컫는 용어는?

  1. 비비시모(Vivisomo)
  2. 옐로우페이지(Yellow Page)
  3. 화이트페이지(White Page)
  4. 옐로우북(Yellow Book)
(정답률: 54%)
  • 정보를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전자우편 주소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화이트페이지(White Page)라고 합니다. 이는 전화번호부에서 "화이트페이지"가 개인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수록하는 것과 유사하게, 인물 정보를 수록하는 사이트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HTML 태그 중 성격이 다른 태그는?

  1. <OL> </OL>
  2. <UL> </UL>
  3. <LI> </LI>
  4. <BR> </BR>
(정답률: 82%)
  • 정답은 "<BR> </BR>" 입니다.

    "<OL> </OL>"은 ordered list(순서가 있는 목록)를 나타내는 태그이고, "<UL> </UL>"은 unordered list(순서가 없는 목록)를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LI> </LI>"는 list item(목록 항목)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BR> </BR>"은 line break(줄 바꿈)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하지만 "<br>"은 빈 태그이기 때문에 "/>"를 사용하여 닫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BR>"은 잘못된 태그이며,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라우팅 프로토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BGP
  2. NNTP
  3. OSPF
  4. RIP
(정답률: 50%)
  • NNTP는 뉴스그룹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라우팅을 위한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NNT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반적으로 드림위버에서 웹문서에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삽입하여 인터렉티브한 페이지를 만들 수 있도록 제공해 주는 것은?

  1. Layer
  2. Behaviors
  3. Form
  4. CSS
(정답률: 39%)
  • 드림위버에서 Behaviors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인터랙티브한 페이지를 만들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웹문서를 디자인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들이지만, Behaviors는 웹문서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도표, 그림, 설계 도면 등의 좌표 데이터를 컴퓨터 내로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 주로 설계나 공학용 제도에 사용되는 컴퓨터의 입력 장치는?

  1. 디지타이저(Digitzer)
  2. 키노트(Keynote)
  3. 광펜(Light pen)
  4. 접촉 감지 스크린(Touch Screen)
(정답률: 66%)
  • 디지타이저는 도표, 그림, 설계 도면 등의 좌표 데이터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 주로 설계나 공학용 제도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키노트는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광펜은 화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입력 장치, 접촉 감지 스크린은 손가락이나 펜으로 화면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래 스크립트를 분석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마우스로 “안녕하세요”를 클릭하면 새로운 팝업창이 열리고, 문자색이 변한다.
  2. “안녕하세요”에 마우스 포인터가 닿으면 배경색이 노란색으로 변한다.
  3. “안녕하세요”에서 마우스 포인터가 멀어지면 배경이 빨간색으로 변한다.
  4. 마우스로 “안녕하세요”를 클릭하면 배경이 백색으로 변한다.
(정답률: 78%)
  • 마우스로 “안녕하세요”를 클릭하면 새로운 팝업창이 열리고, 문자색이 변한다.이 정답이 맞습니다. 스크립트에서는 "안녕하세요"라는 텍스트에 클릭 이벤트를 추가하고, 클릭 시 새로운 창을 열도록 설정하고, 텍스트의 색상을 변경하도록 지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마우스로 “안녕하세요”를 클릭하면 새로운 팝업창이 열리고, 문자색이 변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인터넷에서 두 호스트 시스템과의 연결 검사 또는 특정 호스트의 실행 여부 검사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는?

  1. Rlogin
  2. PING
  3. NTP
  4. SNMP
(정답률: 52%)
  • PING은 인터넷상에서 호스트 시스템과의 연결 검사 또는 특정 호스트의 실행 여부 검사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입니다. PING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이용하여 호스트 간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ING은 대상 호스트로 ICMP Echo 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 대상 호스트가 이를 수신하면 ICMP Echo Reply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대상 호스트의 실행 여부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웹브라우저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웹사이트 접속
  2. 정보 검색
  3. 사진 합성
  4. 인터넷서비스 제공
(정답률: 89%)
  • 웹브라우저는 웹사이트 접속, 정보 검색, 인터넷서비스 제공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진 합성은 웹브라우저의 기능이 아닙니다. 사진 합성은 그래픽 디자인 소프트웨어나 온라인 이미지 편집 도구 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웹그래픽스 디자인

41. 큰 이미지 또는 사진과 같이 컬러 수가 많은 웹 이미지에 적합한 파일 포맷은?

  1. EPS
  2. PSD
  3. JPEG
  4. BMP
(정답률: 75%)
  • JPEG는 압축률이 높아서 파일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으며, 컬러 수가 많은 이미지에도 적합한 파일 포맷입니다. EPS와 PSD는 주로 벡터 이미지나 레이어를 포함한 이미지에 적합하며, BMP는 압축률이 낮아서 파일 크기가 크고 웹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레이아웃
  2. 내비게이션
  3. 스토리보드
  4. 동영상
(정답률: 68%)
  • 위 그림은 앱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는 스토리보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스토리보드는 앱의 화면 구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앱의 레이아웃과 내비게이션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은 스토리보드에 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3차원 대상물 표면에 2차원의 이미지를 입히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쉐이딩(Shading)
  2. 안티 앨리아싱(Anti Aliasing)
  3.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
  4. 필터링(Filtering)
(정답률: 66%)
  • 3차원 대상물의 표면에 2차원의 이미지를 입히는 과정을 텍스처 매핑(Texture Mapp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며, 텍스처 매핑을 통해 3차원 대상물의 표면에 다양한 이미지나 패턴을 입혀 더욱 생동감 있고 자연스러운 모습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계산과 판단을 수행하는 컴퓨터그래픽스 시스템 하드웨어는?

  1. RAM
  2. LAN
  3. CPU
  4. ROM
(정답률: 81%)
  •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로, 중앙처리장치를 의미합니다. 컴퓨터그래픽스 시스템에서도 CPU는 인간의 두뇌와 같이 대부분의 계산과 판단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하드웨어입니다. CPU는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연산을 수행하며, 결과를 출력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그래픽스 시스템에서도 CPU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느 특정분야에서 우수한 상대를 표적 삼아 성과차이를 비교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대의 뛰어난 점을 배우면서 자기혁신을 추구하는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벤치마킹
  2. UI디자인
  3. 프로모션
  4. 콘셉트개발
(정답률: 86%)
  • 정답은 "벤치마킹"입니다. 벤치마킹은 다른 기업이나 조직의 우수한 성과나 경쟁력을 분석하고 배우는 것으로, 특정 분야에서 우수한 상대를 표적으로 삼아 성과차이를 비교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대의 뛰어난 점을 배우면서 자기혁신을 추구하는 기법입니다. UI디자인, 프로모션, 콘셉트개발은 벤치마킹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 중 일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웹 애니메이션의 시각적인 깜빡임(Flicker) 현상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모니터의 크기를 최대한 큰 것을 사용한다.
  2. 초당 프레임 수를 최대한 높여서 제작한다.
  3. 화려한 배색보다는 유사색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4. 고해상도의 원본 이미지를 사용한다.
(정답률: 72%)
  • 초당 프레임 수를 최대한 높여서 제작하면 화면이 빠르게 업데이트되어 깜빡임 현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높은 프레임 수는 눈에 더 자연스럽게 보이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과 같은 내비게이션 구조는?

  1. 순차 구조
  2. 프로토콜 구조
  3. 계층 구조
  4. 네트워크 구조
(정답률: 73%)
  • 이 내비게이션 구조는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그 계층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하위 계층에게 명령을 내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계층 구조라고 불리며, 이 구조를 통해 복잡한 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내비게이션 구조는 계층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이미지를 선분의 집합이 아니라 픽셀들의 배열 형태로 처리하는 방식은?

  1. 랜덤 그래픽스
  2. 벡터 그래픽스
  3. 래스터 그래픽스
  4. 픽셀 그래픽스
(정답률: 40%)
  • 이미지를 픽셀들의 배열 형태로 처리하는 방식은 래스터 그래픽스입니다. 이는 이미지를 작은 사각형인 픽셀로 나누어 각각의 픽셀에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화면에 출력할 때는 픽셀 단위로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웹용으로 이미지를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파일 크기
  2. 파일 포맷 형식
  3. 이미지의 색상
  4. 인쇄 설정
(정답률: 82%)
  • 웹용 이미지는 인쇄용 이미지와는 다르게 화면에서 보여지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인쇄 설정은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인쇄 설정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컴퓨터 그래픽스(Graphics)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인간의 상상력을 기반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2. 제작물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미세한 부분은 전혀 표현할 수 없다.
  4. 명암이나 컬러, 질감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정답률: 88%)
  • 컴퓨터 그래픽스는 인간의 상상력을 기반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제작물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명암이나 컬러, 질감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미세한 부분은 전혀 표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컴퓨터 그래픽스가 픽셀 단위로 이미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픽셀의 크기 이하의 미세한 부분은 표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세대별 컴퓨터 그래픽스(CG)의 발달과정에서 제 1세대(1946년~1950년대 말)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기본 소자로 진공관을 사용하였다.
  2. 세계최초의전자식 디지털 컴퓨터인 에니악(ENIAC)을 발명하였다.
  3. 컴퓨터 그래픽의 발전 기반을 마련한 시기이다.
  4. X-Y 플로터가 개발되어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었다.
(정답률: 44%)
  • 정답은 "컴퓨터 그래픽의 발전 기반을 마련한 시기이다."가 아닌 "X-Y 플로터가 개발되어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었다."입니다.

    제 1세대는 컴퓨터 기술이 처음 등장하고 발전하는 시기로, 기본 소자로 진공관을 사용하였고, 세계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인 에니악(ENIAC)을 발명하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컴퓨터 그래픽스(CG) 기술이 아직 발전하지 않았으며, X-Y 플로터가 개발되어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 것은 제 2세대(1950년대 말~1960년대)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그래픽의 발전 기반을 마련한 시기"라는 설명은 제 1세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PhotoShop CS3에서 제작한 것이다. A 이미지를 B 이미지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는?

  1. Flip Horizontal
  2. Flip Vertical
  3. Rotate
  4. Scale
(정답률: 64%)
  • 정답은 "Flip Horizontal"입니다. 이유는 이미지가 좌우 반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Flip Vertical"은 상하 반전, "Rotate"는 회전, "Scale"은 크기 조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웹 그래픽 제작에서 반복되는 배경이미지 제작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줄무늬를 배경 이미지로 제작
  2. 도형을 이용한 패턴 제작
  3. 부드러운 그라데이션 제작
  4. 동영상을 배경 이미지로 제작
(정답률: 78%)
  • 동영상은 움직이는 이미지이기 때문에 반복되는 이미지를 만들 필요가 없으며, 동적인 효과를 줄 수 있어서 더욱 생동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벡터(vector)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흑백 이미지로부터 트루컬러 이미지까지 다양한 컬러작업이 용이하다.
  2.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 회전 변환 시키더라도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3. 점, 선, 면의 좌표 값을 수학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그림을 표현한다.
  4. 로고 제작, 플래시 애니메이션 등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사용한다.
(정답률: 46%)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웹상에서 반복되는 패턴으로 제작된 배경을 만들고자 할 경우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브라우저 크기에 맞는 이미지를 만들어 배경으로 삽입한다.
  2. 패턴을 만들고 <body> 태그 안에 background로 지정한다.
  3. 포토샵에서 CMYK 팔레트를 이용하여 jpg 이미지로 저장하여 사용한다.
  4. CSS의 스타일을 이용하여 background의 옵션을 no-repeat 으로 지정한다.
(정답률: 67%)
  • 패턴을 만들고 태그 안에 background로 지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1. 반복되는 패턴을 만들면 이미지 파일의 용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웹 페이지의 로딩 속도가 빨라집니다.

    2. 태그 안에 background로 지정하면 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한 배경이 적용되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CSS의 스타일을 이용하여 no-repeat 옵션을 지정하면 배경 이미지가 반복되지 않아서 더욱 깔끔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턴을 만들고 태그 안에 background로 지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웹 디자인 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84%)
  • ⓑ-ⓔ-ⓐ-ⓓ-ⓒ 순서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 단계에서는 웹사이트의 목적과 대상을 파악하고, 디자인 요구사항을 수집합니다.

    ⓔ 단계에서는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웹사이트의 구조와 레이아웃을 설계합니다.

    ⓐ 단계에서는 디자인 요구사항과 구조 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디자인을 작업합니다.

    ⓓ 단계에서는 디자인된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기능을 구현합니다.

    마지막으로 ⓒ 단계에서는 개발된 웹사이트를 테스트하고, 유지보수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소프트웨어 중 2D 평면 디자인을 할 때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로만 나열된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ㄷ)
  4. (ㄴ), (ㄹ)
(정답률: 60%)
  • (ㄱ) Adobe Illustrator와 (ㄴ) CorelDRAW는 2D 평면 디자인을 할 때 사용하는 벡터 그래픽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입니다. (ㄷ) Adobe Photoshop은 래스터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이미지 편집에 주로 사용됩니다. (ㄹ) AutoCAD는 2D 및 3D CAD 디자인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건축 및 기계 공학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화면을 표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이며, 화소라고 불리는 것은?

  1. 비트맵(Bitmap)
  2. 벡터(Vector)
  3. 해상도(Resolution)
  4. 픽셀(Pixel)
(정답률: 79%)
  •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며, 이미지나 동영상 등의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픽셀은 각각이 색상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를 조합하여 전체 이미지를 구성합니다. 따라서 화면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픽셀의 개수가 많아지고, 더욱 세밀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애니메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움직임이 없는 그림이나 사진 등에 생명이 있는 움직임을 부여하는 기술이다.
  2. 라틴어의 아니마투스(Animatus)에서 유래되었다.
  3. 연속된 그림을 통하여 계속 이어지게 보이는 2차원만의 영역을 의미한다.
  4.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은 낱개의 정지된 이미지를 말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은 낱개의 정지된 이미지를 말한다."입니다.

    애니메이션은 연속된 그림을 통해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연속된 그림을 통하여 계속 이어지게 보이는 2차원만의 영역을 의미한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움직임이 없는 그림이나 사진 등에 생명이 있는 움직임을 부여하는 기술이다."는 애니메이션의 정의를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라틴어의 아니마투스(Animatus)에서 유래되었다."는 애니메이션의 어원을 설명한 것으로, 이 역시 맞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은 낱개의 정지된 이미지를 말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프레임은 연속된 그림 중 하나를 말하며, 이들이 모여서 움직임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프레임은 정지된 이미지가 아니라, 오히려 움직이는 이미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서로 근접해 있는 색들의 영향으로 인하여 닮은 색으로 변해 보이는 현상은 ?

  1. 잔상효과
  2. 동화현상
  3. 동시대비
  4. 연변대비
(정답률: 68%)
  • 서로 근접한 색들이 인지적으로 하나의 그룹으로 묶이는 현상을 동화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색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색의 차이가 줄어들어 닮은 색으로 인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