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조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10-10)

한식조리기능사
(2004-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품위생 및 법규

1. 의약으로서 섭취하는 것을 제외한 모든 음식물은 무엇을 정의한 것인가?

  1. 식품첨가물
  2. 식품
  3. 수의약품
  4. 항생제
(정답률: 78%)
  • 식품은 인간이 섭취하여 영양을 공급하거나 식욕을 유발하는 모든 음식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의약품이나 항생제는 의약품으로서 섭취되는 것이고, 식품첨가물은 식품에 첨가되어 보존성, 맛, 색상 등을 개선하는 물질로서 식품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식품으로서 섭취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식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조리사를 두어야 할 영업장은?

  1. 유흥주점
  2. 복어조리점
  3. 일반음식점
  4. 레스토랑
(정답률: 96%)
  • 복어조리점은 복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음식점으로, 복어는 조리 방법에 따라 독성이 있는 식재료이기 때문에 전문적인 조리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복어조리점은 조리사를 두어야 하는 영업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식품위생법상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포장에 기재하는 "표시" 의 범위는?

  1. 문자, 숫자
  2. 문자, 숫자, 도형
  3. 문자
  4. 문자, 숫자, 도형, 음향
(정답률: 86%)
  • 식품위생법상 "표시"란, 제품의 성질, 원료, 제조업체, 유통기한, 보관방법 등 소비자가 알아야 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문자와 숫자로 표시할 수 있으며, 도형은 그림이나 로고 등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음향은 표시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문자, 숫자, 도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조리사가 식품위생법 제 40조의 규정에 의한 교육을 받지 아니한 때 1차 위반시 행정처분 기준은?

  1. 업무정지 4월
  2. 업무정지 2월
  3. 업무정지 3월
  4. 업무정지 1월
(정답률: 68%)
  • 식품위생법 제 40조는 식품을 제조, 가공, 저장, 운반, 판매하는 업체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에게 식품위생 교육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리사가 이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 이는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간주됩니다. 이에 따라 1차 위반시에는 업무정지 1월이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이는 위반행위의 경중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더 심각한 위반행위일 경우에는 업무정지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영업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식품첨가물이나 다른 원료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농산물을 단순히 껍질을 벗겨 가공하려는 경우
  2. 방사선을 쬐어 식품의 보존성을 물리적으로 높이려는 경우
  3.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의 완제품을 나누어 유통을 목적으로 재포장·판매하려는 경우
  4. 주로 주류를 조리·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손님이 노래를 부르는 행위가 허용되는 영업을 하려는 경우
(정답률: 73%)
  • 식품첨가물이나 다른 원료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농산물을 단순히 껍질을 벗겨 가공하려는 경우는 영업허가나 신고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입니다. 이는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3조에 따라 "식품첨가물 또는 다른 원료를 첨가하지 아니하고 농산물을 단순히 껍질을 벗겨 가공하는 경우"는 식품제조업자로서의 범위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감염형 세균성 식중독에 해당하는 것은?

  1. 살모넬라 식중독
  2. 독꼬치 식중독
  3.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 식중독
  4. 아플라톡신 식중독
(정답률: 63%)
  • 살모넬라는 동물의 소변, 배설물, 유산, 고기 등에 존재하며, 이러한 식품을 섭취하면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살모넬라 식중독은 감염형 세균성 식중독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곰팡이독(mycotoxin)과 관계 깊은 것은?

  1. 엔테로톡신(enterotoxin)
  2. 라이신(lysine)
  3.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
  4. 아플라톡신(aflatoxin)
(정답률: 65%)
  • 곰팡이독은 곰팡이가 생산하는 독소를 의미합니다. 이 중 아플라톡신은 가장 잘 알려진 곰팡이독 중 하나로, 콩, 옥수수, 밀 등의 작물에서 발생하는 곰팡이인 Aspergillus flavus와 Aspergillus parasiticus가 생산합니다. 이 독소는 인체에 치명적인 간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식품의 안전성을 위해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금속에 의한 화학적 식중독의 주요한 원인물질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수은
  2. 카드뮴
(정답률: 77%)
  • 금은 중금속으로 분류되지만, 인체에 대한 독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중금속에 의한 화학적 식중독의 주요한 원인물질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식품 첨가물로서 대두 인지질의 용도는?

  1. 추출제
  2. 유화제
  3. 표백제
  4. 피막제
(정답률: 59%)
  • 대두 인지질은 유화제로 사용됩니다. 이는 대두 인지질이 물과 기름을 혼합시키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품 제조 과정에서 유화제로 사용되어 안정성을 높이고, 식감을 개선하며, 유지보수 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식중독 예방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맛있는 조리방법 개발
  2. 식품의 적절한 온도관리
  3. 신속한 소비
  4. 식재료 및 기구의 청결
(정답률: 84%)
  • 식중독 예방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맛있는 조리방법 개발"입니다. 이는 맛있는 조리방법이 식중독을 예방하는 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식품의 적절한 온도관리, 신속한 소비, 식재료 및 기구의 청결은 모두 식중독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포도상구균 식중독의 주원인은?

  1. 세균에 오염된 포도의 섭취
  2. 비위생적으로 처리된 채소의 섭취
  3. 불충분하게 가열·살균된 통조림 식품
  4. 식품 취급자의 화농성 염증
(정답률: 74%)
  • 식품 취급자의 화농성 염증은 식품을 다루는 사람의 피부나 상처 등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식품에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포도상구균 식중독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식품 첨가물로서 조미료에 해당하는 것은?

  1. 글루탐산나트륨
  2. 아질산나트륨
  3. 피로인산나트륨
  4. 소르빈산나트륨
(정답률: 57%)
  • 글루탐산나트륨은 조미료로 사용되는 강한 맛을 내는 첨가물입니다. 이는 식품의 맛을 개선하고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해산어패류의 선도 평가에 적절한 지표성분은?

  1. 트리메틸아민
  2. 암모니아
  3. 메르캅탄
  4. 황화수소
(정답률: 80%)
  • 해산어패류의 선도 평가에 적절한 지표성분은 해산물 내부의 부패 및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트리메틸아민은 해산물 내부의 부패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미노화합물로, 해산물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지표성분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트리메틸아민이 해산어패류의 선도 평가에 적절한 지표성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Escherichia coli 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그램음성의 무포자 간균으로 유당을 발효시켜 산과 가스를 생성한다.
  2. 내열성이 강하며 독소를 생산한다.
  3. 식품위생의 지표 미생물이다.
  4. 병원성을 띠는 경우도 있다.
(정답률: 41%)
  • Escherichia coli는 내열성이 약하며 독소를 생산하지 않습니다. 일부 균주는 병원성을 띠지만 대부분은 유익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내열성이 강하며 독소를 생산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피마자씨에 들어 있는 독성 물질로서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1. 리신(ricin)
  2. 둘린(dhurrin)
  3. 고시폴(gossypol)
  4. 아미그달린(amygdalin)
(정답률: 59%)
  • 리신은 피마자씨에 들어 있는 독성 물질 중 하나로,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는 리신이 적혈구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적혈구가 응집되도록 만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품학

16. 버터나 마가린이 지니는 중요한 물리적 성질은?

  1. 점탄성
  2. 탄성
  3. 가소성
  4. 점성
(정답률: 63%)
  • 버터나 마가린은 가소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물질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될 때,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즉, 버터나 마가린은 압력이 가해지면 형태가 변형되어도 그 형태를 계속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성질은 제빵이나 조리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른 식품과 비교하여 해조류에 많이 들어 있는 영양소는?

  1. 비타민
  2. 단백질
  3. 당질
  4. 요오드
(정답률: 79%)
  • 해조류는 바다에서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에 다른 식품과 비교하여 요오드가 많이 들어 있습니다.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의 핵심 구성 성분이며, 갑상선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요오드가 부족하면 갑상선 기능이 저하되어 갑상선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해조류는 다른 식품에 비해 요오드 함량이 높기 때문에 갑상선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고기의 숙성을 가져오는 주된 원인은?

  1. 압력에 의한 파괴
  2. 세포내의 자가분해
  3. 광선에 의한 파괴
  4. 세균에 의한 부패
(정답률: 84%)
  • 고기는 동물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육 내부에는 세포들이 존재합니다. 이 세포들은 동물이 죽은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살아있게 됩니다. 이때 세포 내부에서는 자가분해라는 과정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세포 내부의 효소들이 활성화되어 세포 구성 성분들을 분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세포 내부에서 일어나는 자가분해 과정이 고기의 숙성을 가져오는 주된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마카로니의 기본재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금
  2. 밀가루(강력분)
  3. 쌀가루
(정답률: 85%)
  • 마카로니는 밀가루(강력분)을 기본재료로 사용합니다. 쌀가루는 밀가루와는 완전히 다른 재료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식품의 수분활성(Aw 값)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식품 중의 수분활성은 식품 중 효소작용의 속도에 영향을 준다.
  2. 식품 중의 수분함량(%)과 수분활성은 같은 것이다.
  3. 소금절임은 수분활성을 낮게, 삼투압을 높게 하여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4. 식품 중의 많은 화학반응은 수분활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62%)
  • "식품 중의 수분함량(%)과 수분활성은 같은 것이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수분함량은 식품 내에 포함된 수분의 양을 나타내는 반면, 수분활성은 식품 내에서 미생물의 생장과 화학반응이 일어나는데 필요한 수분의 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수분함량과 수분활성은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찹쌀떡은 멥쌀떡에 비하여 노화가 서서히 진행되는데 이는 무엇의 차이 때문인가?

  1. 쌀의 단백질
  2. 쌀의 무기질
  3. 쌀의 섬유질
  4. 쌀의 전분
(정답률: 68%)
  • 찹쌀떡은 멥쌀떡과 비교하여 노화가 서서히 진행되는 이유는 쌀의 전분이 차이 때문입니다. 찹쌀떡은 멥쌀떡보다 더 많은 물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쌀의 전분이 더 많이 분해되어 노화가 더 빨리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당류 중 단맛을 느낄 수 없는 것은?

  1. 전분
  2. 포도당
  3. 설탕
  4. 과당
(정답률: 89%)
  • 전분은 단맛을 느낄 수 없는 탄수화물 중 하나입니다. 포도당, 설탕, 과당은 모두 단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탄수화물이 아닌 것은?

  1. 섬유소
  2. 젤라틴
  3. 글리코겐
  4. 펙틴
(정답률: 56%)
  • 젤라틴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수화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밀가루의 종류 중 박력분의 설명이 맞는 것은?

  1. 다목적으로 사용된다.
  2. 탄력성과 점성이 약하다.
  3. 경질의 밀로 만든다.
  4. 글루텐의 수분 흡착력이 크다.
(정답률: 65%)
  • 박력분은 밀의 내부에서 가장 중심부에 위치한 부분을 가공하여 만든 밀가루로, 탄력성과 점성이 약합니다. 이는 밀의 내부에서 가장 중심부에 위치한 부분이므로, 밀의 외부에 위치한 부분에 비해 더 많은 전분과 적은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박력분은 탄력성이 낮고 점성이 약해 다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분의 노화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탕의 첨가
  2. 냉동
  3. 산의 첨가
  4. 수분함량 조절
(정답률: 56%)
  • 전분의 노화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산의 첨가"입니다. 이는 오히려 전분의 노화를 가속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전분은 알칼리성을 띄고 있으며, 산을 첨가하면 이 알칼리성이 중화되어 전분 분자가 더욱 불안정해지고 노화가 더욱 가속화됩니다. 따라서 전분의 노화를 억제하려면 설탕의 첨가, 냉동, 수분함량 조절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이당류가 아닌 것은?

  1. 설탕(sucrose)
  2. 과당(fructose)
  3. 유당(lactose)
  4. 맥아당(maltose)
(정답률: 46%)
  • 과당은 단당류이고, 나머지는 이중당류이기 때문에 과당이 이당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무기질의 급원식품이 아닌 것은?

  1. Cu - 간, 해조류, 채소류
  2. Fe - 간, 난황, 녹황색 채소
  3. K - 우유, 코코아, 콩
  4. P - 멸치, 우유, 난황
(정답률: 43%)
  • K(칼륨)은 무기질 중 하나이지만, 우유, 코코아, 콩은 식물성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등의 영양소가 더 많이 포함된 식품으로, 급원식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식품내 단백질이 변성되었을 때 나타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소화 효소의 공격을 받기 어려움
  2. 침전 용이
  3. 점도 상승
  4. 용해도 저하
(정답률: 55%)
  • 식품 내 단백질이 변성되면 소화 효소의 공격을 받기 어려워지는 이유는, 변성된 단백질이 구조적으로 변경되어 소화 효소가 인식하는 결합부위가 변형되거나 노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화 효소는 변성된 단백질을 분해하기 어려워지며, 이는 소화 흡수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과를 깎아 방치했을 때 나타나는 갈변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1. 산화효소
  2. 섬유소
  3. 산소
  4. 페놀류
(정답률: 58%)
  • 갈변현상은 사과 내부의 페놀류가 공기와 상호작용하여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산화효소는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섬유소는 사과의 조직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갈변현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섬유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사과, 바나나, 파인애플 등의 주요 향미성분은?

  1. 에스테르(ester)류
  2. 퓨란(furan)류
  3. 유황화합물류
  4. 고급지방산류
(정답률: 84%)
  • 사과, 바나나, 파인애플 등의 과일에서 나타나는 주요 향미성분은 에스테르(ester)류입니다. 이는 과일에서 발생하는 알코올과 산이 결합하여 생성되는 화합물로, 특히 과일의 향기와 맛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에스테르(ester)류는 과일의 특징적인 향과 맛을 형성하는 중요한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리이론과 원가계산

31. 찜은 무엇을 이용한 조리법인가?

  1. 수증기의 삼투압
  2. 수증기의 비중
  3. 수증기의 표면장력
  4. 수증기의 잠열
(정답률: 57%)
  • 찜은 수증기의 잠열을 이용한 조리법입니다. 수증기의 잠열이란, 수증기가 끓을 때 수증기 안에 있는 물 분자들이 열에 의해 움직이면서 에너지를 얻고, 이 에너지를 이용해 수증기 밖으로 나가기 위해 수증기 안에 있는 음식물에 열을 전달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 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약과를 반죽할 때 필요 이상으로 기름과 설탕을 넣으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매끈하고 모양이 좋다.
  2. 튀길 때 풀어진다.
  3. 켜가 좋게 생긴다.
  4. 튀길 때 둥글게 부푼다.
(정답률: 71%)
  • 약과를 반죽할 때 기름과 설탕은 반죽의 맛과 질감을 좋게 만들어주지만, 필요 이상으로 넣으면 반죽이 지나치게 느슨해져서 튀길 때 풀어지게 됩니다. 이는 기름과 설탕이 반죽 내부의 결합력을 약화시켜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기름과 설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무를 강판에 갈아 두었을 때 가장 쉽게 파괴되는 영양소는?

  1. 비타민 B1
  2. 비타민 E
  3. 비타민 C
  4. 비타민 K
(정답률: 67%)
  • 비타민 C는 물에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강판에 갈아 두었을 때 물과 함께 쉽게 증발하거나 파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체조직의 구성과 성장을 촉진하는 영양소는?

  1. 탄수화물
  2. 비타민
  3. 단백질
  4. 지방
(정답률: 72%)
  • 체조는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이므로, 근육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인 단백질이 체조직의 구성과 성장을 촉진하는 영양소입니다. 단백질은 근육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공급하고, 근육의 성장과 수리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체조를 하면서 발생하는 근육 손상을 예방하고 회복을 돕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체조를 하는 사람들은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여 근육을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무기질의 기능과 무관한 것은?

  1. 체액의 pH 조절
  2. 열량 급원
  3. 체액의 삼투압 조절
  4. 효소 작용의 촉진
(정답률: 54%)
  • 무기질은 체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체액의 pH를 조절하거나 삼투압을 조절하며 효소 작용을 촉진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열량 급원은 무기질이 아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이 수행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열량 급원은 무기질의 기능과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체급식에서 식품의 재고관리가 부적당한 경우는?

  1. 먼저 구입된 것을 먼저 소비하도록 한다.
  2. 각 식품에 적당한 재고기간을 파악하여 신선한 것을 이용하도록 한다.
  3. 비상시에 대처하기 위해 가능한 많은 재고량을 확보하도록 한다.
  4. 재고량 조사결과 차이가 발생할 때 건조, 폐기량 증가 등과 같은 오차의 면밀한 원인분석을 한다.
(정답률: 87%)
  • 단체급식에서 비상시에 대처하기 위해 가능한 많은 재고량을 확보하는 것은 급식을 제공하는 도중에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처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급식 재료가 부족해지거나 급식을 제공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충분한 재고량이 확보되어 있으면 급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상시에 대처하기 위해 가능한 많은 재고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급식재료의 소비량을 계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재고조사법
  2. 역계산법
  3. 선입선출법
  4. 계속기록법
(정답률: 63%)
  • 선입선출법은 재고를 사용할 때 가장 먼저 들어온 재고를 먼저 사용하는 방법으로, 소비량을 계산하는 방법이 아니라 재고를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급식재료의 소비량을 계산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제품을 제조할 때 제품의 전체 또는 여러 종류의 제조를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된 재료의 소비가액은?

  1. 간접재료비
  2. 직접재료비
  3. 제조간접비
  4. 주요재료비
(정답률: 26%)
  • 간접재료비는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제품 제조에 필요한 간접적인 재료비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전기, 수도, 연료 등의 비용이 간접재료비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간접재료비는 제품의 생산량에 따라 변동되며, 제품의 가격에 반영되어 소비자에게 부과됩니다. 따라서 간접재료비는 제품의 제조 비용을 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조리장의 설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조리장에는 음식물 또는 원재료를 보관할 수 있는 시설과 냉장시설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2. 조리장에는 위생상 필요한 환기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3. 그리스(grease) 트랩은 하수관으로 지방 유입을 방지한다.
  4. 대형 냉동시설의 바닥재는 내구성이 강하고 청소가용이한 타일로 하고, 주방바닥보다 높게 한다.
(정답률: 55%)
  • "그리스(grease) 트랩은 하수관으로 지방 유입을 방지한다."가 가장 부적당한 설명입니다. 그리스 트랩은 지방이나 기름 등을 잡아내는 장치로, 주방에서 발생하는 지방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하지만 이 설명은 조리장의 설비에 대한 것이 아니라 하수관과 관련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냉장고 사용이 잘못된 것은?

  1. 대류가 용이하도록 식품량을 조절하여 넣는다.
  2. 빨리 냉각시키기 위해 뜨거운 것을 넣어 보관한다.
  3. 건조되지 않아야 할 식품은 밀폐된 용기에 넣어 보관한다.
  4. 식품마다 적정한 냉각온도가 다르므로 식품 넣는 장소에 주의한다.
(정답률: 90%)
  • 냉장고는 뜨거운 것을 냉각시키는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뜨거운 것을 넣으면 냉각기가 과부하를 받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뜨거운 식품을 넣으면 냉장고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다른 식품의 온도까지 올라가게 되어 식품의 부패나 변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장고 사용 시 뜨거운 것은 냉각 후에 넣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참기름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은?

  1. 토코페롤
  2. 고시폴
  3. 세사몰
  4. 유게놀
(정답률: 67%)
  • 참기름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은 세사몰입니다. 이는 참기름에 함유된 다른 성분들과 함께 항산화 작용을 하여 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토코페롤, 고시폴, 유게놀도 항산화 성분이지만, 참기름에 함유된 것은 세사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사태육 처럼 소가 운동을 많이 한 부분의 고기로 만들기에 가장 적당한 음식은?

  1. 조림
  2. 볶음
  3. 구이
(정답률: 59%)
  • 사태육은 운동을 많이 한 부위이기 때문에 근육이 많고 질기기 때문에, 조리 방법 중에서는 오랜 시간을 끓여서 부드럽게 만드는 "탕"이 가장 적합합니다. 탕은 오랫동안 끓여서 근육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고기의 맛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양념재료를 함께 넣어 조리합니다. 따라서 사태육을 부드럽고 맛있게 먹기에는 "탕"이 가장 적합한 조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생선이나 돼지고기의 조리시 탈취효과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양념은?

  1. 고추
  2. 간장
  3. 생강
  4. 설탕
(정답률: 90%)
  • 생강은 생선이나 돼지고기의 냄새를 제거하고 탈취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화학조미료가 가진 맛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천연 조미료로 사용될 수 있는 식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다시마
  2. 마늘
  3. 건표고 버섯
  4. 멸치
(정답률: 68%)
  • 마늘은 화학조미료가 아닌 천연 조미료로 사용될 수 있는 식품에 해당됩니다. 마늘은 알리신과 알리인 등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항균, 항염, 항산화 작용 등의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마늘은 천연 조미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원가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판매관리비
  2. 노무비
  3. 재료비
  4. 경비
(정답률: 60%)
  • 원가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판매관리비는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아니라,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따라서 판매관리비는 원가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달걀 조리시 응고성에 대한 내용 중에서 틀린 것은?

  1. 수란을 만들 때 끓는 물에 소금이나 식초를 넣으면 빨리 응고되나, 표면의 광택이 상실될 수 있다.
  2. 설탕을 달걀혼합물에 넣으면 응고온도가 높아져 부드럽게 된다.
  3. 달걀은 가열하면 응고되므로 농후제 또는 젤 형성을 위하여 사용된다.
  4. 달걀은 높은 온도에서 신속히 가열하는 것이 부드러운 텍스쳐를 만들어 준다.
(정답률: 49%)
  • 정답은 "달걀은 높은 온도에서 신속히 가열하는 것이 부드러운 텍스쳐를 만들어 준다."가 아닙니다. 오히려 달걀은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면 응고되므로 농후제 또는 젤 형성을 위하여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내용입니다.

    달걀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서는 오히려 중간 정도의 온도에서 천천히 조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달걀 내부의 단백질이 과도하게 응고하지 않고 부드러운 텍스쳐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분의 호화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내용 중에서 틀린 것은?

  1. 젓는 정도가 너무 심하거나, 너무 오랫동안 저으면 호화전분은 점도가 점점 낮아진다.
  2. 괴경류 식품의 전분이 곡류 식품의 전분보다 점도나 투명도가 더 낮다.
  3. 빨리 가열된 호화전분이 천천히 가열한 것보다 더 걸쭉하다.
  4. 설탕이나 식초 등을 호화된 후에 첨가하는 것이 점도에 영향을 덜 받게 된다.
(정답률: 30%)
  • "괴경류 식품의 전분이 곡류 식품의 전분보다 점도나 투명도가 더 낮다." 인 이유는 괴경류 식품의 전분은 미세한 입자 크기와 구조가 곡류 식품의 전분보다 더 작기 때문에 물과 더 잘 섞이고, 더 빨리 젤링되어 점도나 투명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채소를 냉동하기 전 블렌칭(blanching)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미생물 번식의 억제
  2. 수분감소 방지
  3. 산화반응 억제
  4. 효소의 불활성화
(정답률: 50%)
  • 채소를 냉동하기 전 블렌칭하는 이유는 미생물 번식의 억제, 산화반응 억제, 효소의 불활성화 등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수분감소 방지입니다. 블렌칭은 채소 내의 효소를 일시적으로 불활성화시켜서 채소 내의 미생물과 효소 활동을 억제하고, 채소 내의 공기를 제거하여 산화반응을 억제합니다. 또한, 블렌칭은 채소 내의 수분을 일시적으로 고온에 노출시켜서 채소 내의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채소 내의 수분을 고정시켜서 냉동 후 수분감소를 방지합니다. 이렇게 수분감소를 방지하면 채소의 식감과 영양소 함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류의 부패속도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얼음물에 보관하는 것보다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더 쉽게 부패한다.
  2. 해수어가 담수어보다 쉽게 부패한다.
  3. 어류는 비늘이 있어서 미생물의 침투가 육류에 비해 늦다.
  4. 토막을 친 것이 통채로 보관하는 것보다 쉽게 부패한다.
(정답률: 57%)
  • 어류의 부패속도는 미생물의 성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어류는 비늘이 있어서 미생물의 침투가 육류에 비해 늦게 일어나지만, 한 번 미생물이 침투하면 부패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따라서 토막을 친 것이 통채로 보관하는 것보다 미생물의 침투가 더욱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쉽게 부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단체급식의 문제점 중 심리면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일정한 량을 공급하므로 충분하지 않게 느낄 수 있다.
  2. 조리종사자의 실수로 독물이나 세균이 급식에 혼입되어 대규모의 식중독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3. 피급식자의 가정식에 대한 향수나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 불만이 생길 수 있다.
  4. 분위기가 산만하고 지저분하면 섭취율이 저하된다.
(정답률: 53%)
  • "일정한 량을 공급하므로 충분하지 않게 느낄 수 있다."는 단체급식의 문제점 중 하나이지만, "조리종사자의 실수로 독물이나 세균이 급식에 혼입되어 대규모의 식중독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위험한 식품 안전 문제이므로, 정답은 "조리종사자의 실수로 독물이나 세균이 급식에 혼입되어 대규모의 식중독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입니다. 이는 조리과정에서의 위생관리와 식재료의 선별 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공중보건

51. 공중보건 사업에 있어서 최소 단위가 되는 것은?

  1. 직장
  2. 개인
  3. 지역사회
  4. 가족
(정답률: 84%)
  • 공중보건 사업은 대상인구를 선정하여 진행되는데, 이 대상인구는 개인이나 가족 단위로만 선정되지 않습니다. 대신 지역사회 단위로 선정되어 해당 지역 내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기 때문에, 최소 단위는 지역사회입니다. 지역사회 단위로 공중보건 사업을 진행하면 해당 지역 내 모든 사람들에게 보건적 이점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많은 사람이 모인 실내에 있으면 두통이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1. 실내공기의 이화학적 조성의 변화
  2. 실내기온의 증가
  3. 실내공기의 화학적 변화
  4. 공기성분 중 산소의 부족현상 초래
(정답률: 46%)
  • 많은 사람이 모인 실내에서는 호흡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고, 땀과 호흡으로 인해 수증기가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실내공기의 이화학적 조성이 변화하게 되어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음식물로 매개되는 전염병과 거리가 먼 것은?

  1. 일본뇌염
  2. 유행성 간염
  3. 폴리오
  4. 콜레라
(정답률: 80%)
  • 일본뇌염은 모기를 매개로 전염되는 질병이기 때문에 음식물로 매개되는 전염병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디.티.피(DTaP)와 관계 없는 질병은?

  1. 파상풍
  2. 디프테리아
  3. 페스트
  4. 백일해
(정답률: 71%)
  • 디.티.피(DTaP)는 파상풍과 디프테리아, 백일해 예방을 위한 백신입니다. 따라서, 페스트는 DTaP와 관계가 없는 질병입니다. 페스트는 역사적으로 유럽에서 유행한 전염병으로, 박테리아에 의해 전파되며 발열, 발진, 림프절 부종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BCG 예방접종은 어느 면역에 해당하는가?

  1. 자연수동면역
  2. 자연능동면역
  3. 인공수동면역
  4. 인공능동면역
(정답률: 58%)
  • BCG 예방접종은 인공능동면역에 해당합니다. BCG 백신은 결핵균의 약한 형태를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인공적으로 유도된 면역반응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민물고기를 생식한 일이 없는데도 간디스토마에 감염될 수 있는 경우는?

  1. 민물고기를 요리한 도마를 통해서
  2. 해삼, 멍게를 생식했을 때
  3. 다슬기를 생식했을 때
  4. 오염된 야채를 생식했을 때
(정답률: 82%)
  • 간디스토마는 민물생물의 중간숙주인 담수성게나 담수거북 등을 통해 인간에게 감염되는 질병입니다. 하지만 민물고기를 생식한 일이 없어도 민물고기를 요리한 도마를 통해 간디스토마의 알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이는 민물고기의 간디스토마 감염 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민물고기를 조리할 때, 요리 도구나 식기류 등이 감염된 물에 닿아 간디스토마의 알이 전파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요리 전에는 깨끗한 도마와 식기류를 사용하고, 민물고기를 구입할 때는 신뢰성 있는 곳에서 구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포자를 형성한 세균의 멸균에 가장 좋은 방법은?

  1. 고압증기멸균법
  2. 저온소독법
  3. 고온살균법
  4. 자비소독법
(정답률: 81%)
  • 고압증기멸균법은 고압과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세균을 죽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세균의 포자를 포함한 모든 생물체를 죽일 수 있으며, 멸균 후에도 잔류물이 없어서 안전합니다. 또한, 멸균 시간이 짧고 멸균 효과가 높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칼슘(Ca)과 인(P)이 소변 중으로 유출되는 골연화증 현상을 유발하는 유해 중금속은?

  1. 주석
  2. 카드뮴
  3. 수은
(정답률: 68%)
  • 카드뮴은 골연화증을 유발하는 중금속 중 하나입니다. 칼슘과 인은 뼈를 구성하는 미네랄이며, 카드뮴은 이러한 미네랄의 대체물질로 작용하여 뼈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골연화증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카드뮴은 뼈 건강에 매우 해로운 중금속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소독제의 살균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소독약은?

  1. 과산화수소(H2O2)
  2. 알콜(alcohol)
  3. 크레졸(cresol)
  4. 석탄산(phenol)
(정답률: 67%)
  • 석탄산은 강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서 소독제의 살균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이용됩니다. 또한, 석탄산은 광범위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을 제거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병원체가 바이러스인 것은?

  1. 디프테리아
  2. 콜레라
  3. 장티푸스
  4. 유행성이하선염
(정답률: 43%)
  • 유행성이하선염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원체가 바이러스인 것입니다. 디프테리아, 콜레라, 장티푸스는 모두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