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품위생 및 법규
1. 집단급식소는 상시 1회 몇 인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급식소인가?
2. 다음 중 조리사 면허 취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 식품 등의 위생적 취급에 관한 기준이 아닌 것은?
4. 식품 등의 표시기준을 수록한 식품 등의 공전을 작성, 보급하여야 하는 자는?
5. 식품위생법규상 영업에 종사하지 못하는 질병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 일반적으로 복어의 독성이 가장 강한 시기는?
7. 살모넬라(Salmonella)균으로 인한 식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 식품과 관련 독소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9. HACCP의 의무적용 대상 식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0. 다음 식품첨가물 중 보존료가 아닌 것은?
11.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2. 빵을 비롯한 밀가루제품에서 적당한 형태를 갖추게 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첨가물은?
13. 다음 중 독소형 식중독은?
14. 식품의 신선도 또는 부패의 이화학적 판정에 이용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5. 다음 중 독버섯의 유독 성분은?
2과목: 식품학
16. 식품의 수분활성도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7. 과일잼 가공시 펙틴은 주로 어떤 역할을 하는가?
18. 오이나 배추의 녹색이 김치를 담구었을 때 점차 갈색을 띠게 되는데 이것은 어떤 색소의 변화 때문인가?
19. 조리와 가공 중 천연색소의 변색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20. 변성된 단백질 분자가 집합하여 질서정연한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의 기능성과 관계가 먼 식품은?
21. 수분활성도(Aw)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2. 감자류(서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3. 꽁치 160g의 단백질 양은? (단, 꽁치 100g당 단백질 양: 24.9g)
24. 식품의 냉장효과를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25. 칼슘과 단백질의 흡수를 돕고 정장 효과가 있는 당은?
26. 갈변반응으로 향기와 색이 좋아지는 식품이 아닌 것은?
27. 폴라보노이드계 색소로 채소와 과일 등에 널리 분포해 있으며 산화방지제로도 사용되는 것은?
28. 미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9. 달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0. 다음 중 견과류에 속하는 식품은?
3과목: 조리이론과 원가계산
31. 튀김기름을 여러번 사용하였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32. 소화효소의 주요 구성 성분은?
33. 직영급식과 비교하여 위탁급식의 단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4. 밀가루 반죽에 첨가하는 재료 중 반죽의 점탄성을 약화시키는 것은?
35. 급식부문의 원가요소에서 직접원가의 급식재료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6. 각 식품에 대한 대치식품의 연결이 적합하지 않는 것은?
37. 두부를 부드러운 상태로 조리하려고 할 때의 조치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38. 달걀의 난황 속에 있는 단백질이 아닌 것은?
39. 밀가루 반죽에 사용되는 물의 기능이 아닌 것은?
40. 식품첨가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1. 생선의 조리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2. 식소다(중조)를 넣고 채소를 데치면 어떤 영양소의 손실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가?
43. 다음 중 원가의 구성으로 틀린 것은?
44. 영리를 목적으로 계속적으로 특정다수인에게 음식물을 공급하는 기숙사는 식품위생법규상 집단급식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45. 영양소와 소화효소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46. 다음 식단 작성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47. 생선의 신선도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48. 채소의 조리가공 중 비타민 C의 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9. 다음 중 비결정형 캔디가 아닌 것은?
50. 커피를 끓이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과목: 공중보건
51. 다음 중 이타이이타이병의 유발물질은?
52. 쇠고기를 가열하지 않고 회로 먹을 때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기생충은?
53. 간디스토마는 제2중간숙주인 민물고기 내에서 어떤 형태로 존재하다가 인체에 감염을 일으키는가?
54. 일산화탄소(CO)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5. 다음 중 먹는 물 소독에 가장 적합한 것은?
56. WHO에 의한 건강의 정의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57. 중금속과 중독 증상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58.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등이 수십 년을 한 주기로 대유행되는 현상은?
59. 전염병의 예방대책 중 특히 전염경로에 대한 대책은?
60. 다음 중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시 가장 유효한 파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