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삭기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2-03)

굴삭기운전기능사
(2008-02-03 기출문제)

목록

1. 4행정 기관에서 엔진이 4000rpm일 때 분사펌프의 회전수는?

  1. 4000rpm
  2. 2000rpm
  3. 8000rpm
  4. 1000rpm
(정답률: 67%)
  • 분사펌프는 엔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회전수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엔진이 4000rpm일 때 분사펌프의 회전수는 엔진의 회전수의 절반인 2000rp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건설기계장비 작업시 계기판에서 냉각수의 경고등이 점등 되었을 때 운전자로서 가장 적절한 조치는?

  1. 오일량을 점검한다.
  2. 작업이 모두 끝나면 곧 바로 냉각수를 보충한다.
  3. 작업을 중지하고 점검 및 정비를 받는다.
  4. 라디에이터를 교환한다.
(정답률: 86%)
  • 냉각수 경고등이 점등되면 엔진이 과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작업을 중지하고 냉각수 누수, 부족 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정비를 받아야 합니다. 작업을 계속 진행하면 엔진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안전에도 위험합니다. 따라서 작업을 중지하고 점검 및 정비를 받는 것이 가장 적절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기관에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물 통로에 해당되는 것은?

  1. 오일팬
  2. 밸브
  3. 워터 자켓
  4. 실린더 헤드
(정답률: 79%)
  • 워터 자켓은 냉각수를 통해 엔진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엔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관에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물 통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디젤기관 운전 중 흑색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청정기 막힘
  2. 압축불량
  3. 노즐불량
  4. 오일팬내 유량 과다
(정답률: 60%)
  • 오일팬은 디젤 엔진에서 오일을 저장하는 부품입니다. 오일팬내 유량이 과다하면 엔진 내부에서 오일이 과다하게 사용되어 연소 과정에서 흑색의 배기가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일팬내 유량 과다가 흑색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관의 오일레벨 게이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윤활유 레벨을 점검할 때 사용한다.
  2. 윤활유 점도 확인시에도 활용된다.
  3. 기관의 오일 팬에 있는 오일을 점검하는 것이다.
  4. 기관 가동 상태에서 게이지를 뽑아서 점검한다.
(정답률: 68%)
  • 기관 가동 상태에서 게이지를 뽑아서 점검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기관이 가동 중일 때 오일이 움직이기 때문에 정확한 오일 레벨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관을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게이지를 뽑아서 오일 레벨을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관의 총배기량을 적절하게 나타낸 것은?

  1. 1번 연소실 체적과 실린더 체적의 합이다.
  2. 각 실린더 행정 체적의 합이다.
  3. 행정 체적과 실린더 체적의 합이다.
  4. 실린더 행정 체적과 연소실 체적의 곱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각 실린더 행정 체적의 합이다."입니다.

    기관의 총배기량은 엔진 내부에서 한 싸이클 동안 실린더에 흡입되는 공기와 연소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이때 각 실린더의 행정 체적은 피스톤이 상하운동할 때 실린더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각 실린더 행정 체적의 합이 기관의 총배기량을 적절하게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엔진 오일이 많이 소비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피스톤링의 마모가 심할 때
  2. 실린더의 마모가 심할 때
  3. 기관의 압축 압력이 높을 때
  4. 밸브가이드의 마모가 심할 때
(정답률: 67%)
  • 기관의 압축 압력이 높을 때는 오일이 소비되는 원인이 아닙니다. 엔진 오일은 기관 내부를 윤활하고 열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압력이 높아지면 더 많은 오일이 필요하지만, 오일 소비량이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기관의 압축 압력이 높을 때는 엔진 오일이 많이 소비되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실린더로 흡입할 때, 먼지 등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피스톤 등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1. 과급기(Super Charger)
  2. 에어클리너(Air Cleaner)
  3. 플라이휠(Fly Wheel)
  4. 냉각장치(Cooling System)
(정답률: 84%)
  • 에어클리너는 공기를 여과하여 먼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깨끗한 공기를 실린더로 공급하여 피스톤 등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정화하여 엔진의 성능을 유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디젤기관에서 시동을 돕기 위해 설치된 부품으로 맞는 것은?

  1. 과급장치
  2. 발전기
  3. 디퓨저
  4. 히트레인지
(정답률: 59%)
  • 디젤기관에서 시동을 돕기 위해 설치된 부품은 히트레인지입니다. 히트레인지는 엔진 내부의 고압 압축 공기를 데워주어 연소가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디젤 엔진의 특성상 고압 압축 공기가 충분히 데워지지 않으면 연소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히트레인지는 디젤 엔진의 시동을 돕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디젤기관의 감압장치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크랭킹을 원활히 해준다.
  2. 냉각팬을 원활히 회전시킨다.
  3. 흡,배기를 원활히 한다.
  4. 엔진 압축압력을 높힌다.
(정답률: 34%)
  • 디젤기관에서 감압장치는 엔진 압축비를 낮추어 크랭크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이는 크랭킹을 원활히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크랭킹을 원활히 해준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관에서 연료를 압축하여 분사순서에 맞추어 노즐로 압송시키는 장치는?

  1. 연료분사펌프
  2. 연료공급펌프
  3. 프라이밍 펌프
  4. 유압펌프
(정답률: 62%)
  • 연료분사펌프는 이름 그대로 연료를 압축하여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분사순서에 맞추어 노즐로 압송시키는 장치로서는 가장 적합한 장치입니다. 연료공급펌프는 연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프라이밍 펌프는 연료 시스템을 시작할 때 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유압펌프는 유압 시스템에서 압력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냉각수 순환용 물펌프가 고장 났을 때, 기관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가장 접합한 것은?

  1. 기관과열
  2. 연료공급펌프
  3. 축전지 비중 저하
  4. 발전기 작동불능
(정답률: 84%)
  • 냉각수 순환용 물펌프가 고장 나면 열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므로 기관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기관과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설기계에 주로 사용되는 기동전동기로 맞는 것은?

  1. 직류분권 전동기
  2. 직류직권 전동기
  3. 직류복권 전동기
  4. 교류 전동기
(정답률: 48%)
  • 건설기계는 대개 작업장이나 현장에서 사용되는 이동식 기계로서, 이동성과 작업성이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기동전동기는 작고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출력을 내야 합니다. 또한, 작업환경이 가혹하므로 내구성과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전동기 중에서도 직류직권 전동기는 구조가 단순하고 작고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출력을 내며, 내구성과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건설기계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장비에 설치되는 좌,우 전조등 회로의 연결방법은?

  1. 병렬
  2. 직렬
  3. 직,병렬
  4. 단신 배선
(정답률: 75%)
  •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장비에 설치되는 좌,우 전조등 회로는 병렬 연결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전조등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직렬 연결 방식을 사용하면 한 쪽 전조등이 고장나면 다른 쪽 전조등도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병렬 연결 방식을 사용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합니다. 직,병렬 연결 방식은 일부 전조등이 직렬 연결되고, 나머지 전조등이 병렬 연결되는 방식이며, 단신 배선은 전선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C 발전기의 출력은 무엇을 변화시켜 조정하는가?

  1. 축전지 전압
  2. 발전기의 회전속도
  3. 로터 전류
  4. 스테이터 전류
(정답률: 40%)
  • AC 발전기의 출력은 로터 전류를 변화시켜 조정합니다. 로터 전류는 회전자에 인가되는 전류로, 회전자의 자기장을 생성하고 회전자와 스테이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로터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조절하여 발전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축전지 전압은 DC 발전기에서 사용되며, 발전기의 회전속도와 스테이터 전류는 발전기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으로 출력을 조정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같은 용량, 같은 전압의 축전지를 병렬로 연결하였을 때 맞는 것은?

  1. 용량과 전압은 일정하다.
  2. 용량과 전압이 2배로 된다.
  3. 용량은 한 개 일 때와 같으나 전압은 2배로 된다.
  4. 용량은 2배이고 전압은 한 개 일 때와 같다.
(정답률: 59%)
  • 병렬 연결된 축전지는 전압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용량은 2배가 되지만 전압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용량은 2배이고 전압은 한 개 일 때와 같다."가 맞는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축전지의 충_방전 작용으로 맞는 것은

  1. 화학작용
  2. 전기작용
  3. 물리작용
  4. 환원작용
(정답률: 58%)
  • 축전지는 화학작용을 통해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집니다. 충전 시에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상태인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 전하를 저장합니다. 반면, 방전 시에는 축전지 내부의 화학물질이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여 전기적인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화학작용이 축전지의 기본 작용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납산축전지의 전해액으로 적합한 것은?

  1. 증류수
  2. 물(경수)
  3. 묽은 황산
  4. 엔진오일
(정답률: 54%)
  • 납산축전지는 전해액으로 묽은 황산을 사용합니다. 이는 물에 비해 전기 전도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묽은 황산은 납과 양극 사이의 전기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축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증류수나 물(경수)는 전기 전도성이 낮아 축전지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엔진오일은 전해액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굴삭기의 센터 조인트(선회 이음)의 기능으로 맞는 것은?

  1. 상부 회전체가 회전 시에도 오일관로가 꼬이지 않고 오일을 하부주행체로 원활히 공급한다.
  2. 주행모터가 상부 회전체에 오일을 전달한다.
  3. 하부주행체에 공급되는 오일을 상부 회전체로 공급한다.
  4. 자동변속장치에 의하여 스윙모터를 회전시킨다.
(정답률: 62%)
  • 상부 회전체와 하부주행체 사이에 위치한 센터 조인트는 회전 시에도 오일관로가 꼬이지 않고 오일을 하부주행체로 원활히 공급하여 굴삭기의 원활한 작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상부 회전체가 회전 시에도 오일관로가 꼬이지 않고 오일을 하부주행체로 원활히 공급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유압식 조향장치의 핸들의 조작이 무거운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압이 낮다.
  2. 오일이 부족하다.
  3. 유압 계통 내에 공기가 혼입되었다.
  4. 펌프의 회전이 빠르다.
(정답률: 71%)
  • 펌프의 회전이 빠를 경우, 유압압력이 높아져서 핸들 조작이 무거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기중기의 작업시 안전수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붐의 각을 20˚ 이하로 하지 말 것
  2. 붐의 각을 78˚ 이상으로 하지 말 것
  3. 운전 반경 내에는 사람의 접근을 막을 것
  4. 가벼운 물건은 아우트리거를 고이지 말 것
(정답률: 73%)
  • 가벼운 물건은 아우트리거를 고이면 안 되는 이유는 아우트리거는 기중기의 중심축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불안정해져서 기울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가벼운 물건은 아우트리거를 고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작업할 때 안정성 및 균형을 잡아주기 위해 지게차 정비 뒤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1. 변속기
  2. 기관
  3. 클러치
  4. 카운터 웨이트
(정답률: 78%)
  • 카운터 웨이트는 지게차의 안정성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부품으로, 지게차의 뒤쪽에 위치하여 무게를 더해줌으로써 전면에 실린 물건의 무게와 균형을 맞춰줍니다. 따라서 카운터 웨이트가 없으면 지게차가 불안정해져서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위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동력전달장치에서 추진축 길이의 변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는?

  1. 슬립 이음
  2. 자제 이음
  3. 2중 십자 이음
  4. 차축
(정답률: 50%)
  • 슬립 이음은 동력전달장치에서 추진축 길이의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이는 두 개의 원통형 부품이 서로 밀착되어 있어서, 하나의 부품이 회전할 때 다른 부품도 함께 회전하면서 길이 변동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슬립 이음은 동력전달장치에서 길이 변동을 흡수하고, 원활한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무한 궤도식 건설기계에서 트랙장력 조정은?

  1. 스프로킷의 조정볼트로 한다.
  2. 장력 조정 실린더로 한다.
  3. 상부 롤러의 베어링으로 한다.
  4. 하부 롤러의 시임을 조정한다.
(정답률: 53%)
  • 무한 궤도식 건설기계에서 트랙은 스프로켓과 롤러에 의해 움직입니다. 따라서 트랙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스프로켓의 조정볼트나 롤러의 베어링, 시임을 조정하는 것보다는 트랙의 장력 조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이는 트랙의 장력을 더욱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계식 변속기가 설치된 건설기계에서 클러치판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역할은?

  1. 클러치 판이 더욱 세게 부착되게 한다.
  2. 클러치 작동시 충격을 흡수한다.
  3. 클러치의 회전력을 증가 시킨다.
  4. 클러치 압력판의 마멸을 방지한다.
(정답률: 68%)
  • 클러치 작동시에는 엔진과 변속기의 회전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클러치 판이 접촉할 때 충격이 발생합니다. 이때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클러치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클러치 판의 부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클러치 작동시 충격을 흡수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모터그레이더에서 전륜 경사 장치의 설치 목적은?

  1.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 직진을 돕기 위하여
  2. 작업의 원활 및 산포 작업을 돕기 위하여
  3. 지균 작업시 선회를 크게 하기 위하여
  4. 회전 반경을 적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40%)
  • 전륜 경사 장치는 모터그레이더의 전륜 바퀴를 좌우로 기울여서 회전 반경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륜 경사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회전 반경을 적게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조작이나 회전이 용이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행 중 진로를 변경하고자 할 때 운전자가 지켜야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후사경 등으로 주위의 교통상황을 확인한다.
  2. 신호를 주어 뒤차에 알린다.
  3. 진로를 변경할 때에는 뒤차에 주의 할 필요는 없다.
  4. 뒤차와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없을 때는 진로를 변경할 수 없다.
(정답률: 83%)
  • "진로를 변경할 때에는 뒤차에 주의 할 필요는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진로 변경 시 뒤차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뒤차에게 신호를 주어 안전하게 진로를 변경해야 합니다. 뒤차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뒤차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기 검사 대상 건설기계의 정기 검사 신청기간으로 맞는 것은?

  1. 건설 기계의 정기 검사 유효기간 만료일 전 16일 이내에 신청한다.
  2. 건설 기계의 정기 검사 유효기간 만료일 전5일 이내에 신청한다.
  3. 건설 기계의 정기 검사 유효기간 만료일 전?후 15일 이내에 신청한다.
  4. 건설 기계의 정기 검사 유효기간 만료일 후 30일 이내에 신청한다.
(정답률: 43%)
  • 건설 기계의 정기 검사는 유효기간 만료일 전?후 15일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이는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면서도,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기 검사 대상 건설기계의 정기 검사 신청기간은 유효기간 만료일 전?후 15일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건설 기계 매매업의 등록을 하고자 하는 자의 구비서류로 맞는 것은?

  1. 건설 기계 매매업등록필증
  2. 건설 기계 보험증서
  3. 건설 기계 등록증
  4. 하자보증금예치증서 또는 보증보험증서
(정답률: 39%)
  • 건설 기계 매매업은 건설 기계의 매매 및 수리 등을 영위하는 업종으로, 이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종에 필요한 구비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 중 하자보증금예치증서 또는 보증보험증서는 건설 기계의 하자나 결함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해를 보호하기 위한 보증서입니다. 따라서 건설 기계 매매업을 등록하려는 자는 이러한 보증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지선이나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서 정지 하여야 할 신호로 맞는 것은?

  1. 녹색 및 황색등화
  2. 황색등화의 점멸
  3. 황색 및 적색등화
  4. 녹색 및 적색등화
(정답률: 82%)
  • 정지선이나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서 정지해야 할 신호는 황색 및 적색등화입니다. 이는 황색불이 켜지면서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준 후, 적색불이 켜지면 정지해야 함을 알리기 때문입니다. 녹색 및 황색등화는 주행을 허용하는 신호이며, 황색등화의 점멸은 신호 변경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녹색 및 적색등화는 각각 주행 허용 및 정지를 나타내는 신호이지만, 정지선이나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서는 적색불이 켜져야 하므로 정답은 황색 및 적색등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고의로 경상 1명의 인명피해를 입힌 건설기계 조종사에 대한 면허의 취소, 정지처분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면허 효력정지 45일
  2. 면허 효력정지 30일
  3. 면허 효력정지 90일
  4. 면허 취소
(정답률: 67%)
  • 고의로 인명피해를 입힌 경우, 심각한 범죄로 인정되어 면허 취소 처분이 적절합니다. 면허 효력정지는 일시적인 처분으로, 이러한 심각한 범죄에 대해서는 면허 취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건설기계 신규등록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자는?

  1. 군수
  2. 검사대행자
  3. 시?도지사
  4. 행정자치부장관
(정답률: 47%)
  • 건설기계 신규등록검사는 국가에서 인가한 검사대행자만이 실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검사대행자"입니다. 군수, 시·도지사, 행정자치부장관은 이와 관련된 권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건설기계의 주요 구조를 변경하거나 개조 한 때 실시하는 검사는?

  1. 수시검사
  2. 신규등록검사
  3. 정기검사
  4. 구조변경검사
(정답률: 83%)
  • 건설기계의 주요 구조를 변경하거나 개조할 때는 기계의 안전성과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구조변경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이는 기계의 구조가 변경되어 기존의 검사 결과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구조에 대한 안전성과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로교통법상 올바른 정차 방법은?

  1. 정차는 도로의 모퉁이에서도 할 수 있다.
  2. 안전지대가 설치된 도로에서는 안전지대에 정차 할 수 있다.
  3.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에 타 교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정차할 수 있다.
  4. 정차는 교차로의 가장자리에서 할 수 있다.
(정답률: 69%)
  •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에 정차하는 것은 다른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정차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도로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에 정차하면 다른 차량과의 충돌 위험도 최소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앞차 속도의 0.3배 거리
  2. 앞차와의 평균 8미터 이상 거리
  3. 앞차의 진행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거리
  4. 앞차가 갑자기 정지하였을 때 충돌을 피할 수 있는 필요한 거리
(정답률: 82%)
  • 앞차와의 안전거리는 앞차가 갑자기 정지하였을 때 충돌을 피할 수 있는 필요한 거리입니다. 이는 운전자가 급정거나 사고 등의 상황에서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교통정리가 행하여 지지 않는 교차로에서 통행의 우선권이 있는 차량은?

  1. 좌회전 하려는 차량
  2. 우회전 하려는 차량
  3. 직진하려는 차량
  4. 이미 좌회전하고 있는 차량
(정답률: 66%)
  • 교통정리가 행하여 지지 않는 교차로에서는 우선순위가 없는 상황이므로, 우선권이 있는 차량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미 좌회전하고 있는 차량도 다른 차량과 동등한 우선순위를 가지며, 주의를 기울여 통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일 필터의 여과 입도가 너무 조밀하였을 때 가장 발생하기 쉬운 현상은?

  1. 오일 누출 현상
  2. 공동현상
  3. 맥동현상
  4. 플로우바이 현상
(정답률: 47%)
  • 오일 필터의 여과 입도가 너무 조밀하면 공동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는 오일이 필터링되는 동안 필터 내부에서 공동으로 모이는 현상으로, 오일의 유동성을 저하시키고 엔진 내부에 충분한 오일 공급을 제공하지 못해 엔진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유압펌프 점검에서 작동유 유출 여부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정상작동 온도로 난기 운전을 실시하여 점검하는 것이 좋다.
  2. 고정 볼트가 풀린 경우에는 추가 조임을 한다.
  3. 작동유 유출 점검은 운전자가 관심을 가지고 점검하여야한다.
  4. 하우징에 균열이 발생되면 패킹을 교환한다.
(정답률: 47%)
  • 하우징에 균열이 발생하면 유압펌프 내부의 작동유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패킹을 교환하여 유출을 막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온도 변화에 따라 점도변화가 큰 오일의 점도지수는?

  1. 점도지수가 높은 것이다.
  2. 점도지수가 낮은 것이다.
  3. 점도지수는 변하지 않는 것이다.
  4. 점도 변화와 점도지수는 무관하다.
(정답률: 56%)
  • 온도가 높아지면 오일의 분자들이 더 빠르게 움직이게 되어 서로 간의 마찰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오일의 점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점도지수가 낮은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압력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bar
  2. kgf/㎠
  3. N.m
  4. kPa
(정답률: 66%)
  • "N.m"은 토크(회전력)의 단위이며, 압력의 단위가 아닙니다. 압력의 단위는 "bar", "kgf/㎠", "kPa"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유압회로에서 입구 압력을 감압하여 유압실린더 출구 설정 압력 유약으로 유지하는 밸브는?

  1. 릴리프 밸브
  2. 리듀싱 밸브
  3. 언로딩 밸브
  4. 카운트밸런스밸브
(정답률: 32%)
  • 입구 압력을 감압하여 출구 설정 압력을 유지하는 밸브는 리듀싱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의 조절장치가 작동하여 입구 압력을 감압하고, 출구 측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 등의 작동에 필요한 출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압회로 내에 잔압을 성정해두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제동 해제 방지
  2. 유로 파손방지
  3. 오일 산화 방지
  4. 작동지연방지
(정답률: 54%)
  • 유압회로 내에 잔압을 설정해두면, 유압실린더나 유압모터 등의 작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작동지연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정답은 "작동지연방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압실린더의 입구측에 유량제어 밸브를 설치하여 작동기로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작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는?

  1. 미터 인 회로(meter in circuit)
  2. 미터 아웃 회로(meter out circuit)
  3. 블리드 온 회로(bleed on circuit)
  4. 블리드 오프 회로(bleed off circuit)
(정답률: 60%)
  • 유압실린더의 입구측에 유량제어 밸브를 설치하여 작동기로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회로는 미터 인 회로(meter in circuit)입니다. 이는 유량제어 밸브가 유입측에 위치하여 유량을 제어하므로, 유량계(meter)가 회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미터 인 회로는 유량을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어 작동기의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내경이 작은 파이프에서 미세한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는?

  1. 압력보상 밸브
  2. 니들 밸브
  3. 바이패스 밸브
  4. 스로틀 밸브
(정답률: 51%)
  • 니들 밸브는 밸브 내부에 있는 작은 니들 형태의 조절기구를 이용하여 미세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내경이 작은 파이프에서 미세한 유량을 조절하기에 적합합니다. 압력보상 밸브는 압력 변화에 따라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밸브이며, 바이패스 밸브는 유체를 우회시켜 다른 장치로 보낼 때 사용되는 밸브입니다. 스로틀 밸브는 유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밸브로, 미세한 유량을 조절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유압 압력계의 기호는?

(정답률: 6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유압 압력계는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나타내는 단위는 파스칼(Pa)이나 바(bar) 등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유압 압력계의 기호는 파스칼(Pa)이나 바(bar) 등의 단위를 나타내는 문자와 함께 "P"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가 유압 압력계의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압장치에서 기어 모터에 대한 설명 중 잘못 된 것은?

  1. 내부 누설이 적어 효율이 높다.
  2.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3. 일반적으로 평기어를 사용하나 헬리컬 기어도 사용한다.
  4. 유압유에 이물질이 혼입되어도 고장 발생이 적다.
(정답률: 14%)
  • "내부 누설이 적어 효율이 높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내부 누설이 적다는 것은 유압유가 기어 모터 내부에서 덜 새어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효율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오히려 내부 누설이 적을수록 유압유의 윤활성이 감소하여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 누설이 적어 효율이 높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기중기로 물건을 운반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규정무게 보다 초과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2. 적재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3. 로프 등의 안전 여부를 항상 점검한다.
  4. 선회 작업전에 작업 반경을 확인한다.
(정답률: 83%)
  • "규정무게 보다 초과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틀린 주의사항입니다. 기중기는 규정무게 이하로만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규정무게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기계의 안전성이 저하되고, 무게를 지탱하지 못해 물건이 떨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규정무게 이하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기장치의 퓨즈가 끊어져서 다시 새것으로 교체 하였으나 또 끊어졌다면 어떤 조치가 가장 옳은가?

  1. 계속 교체한다.
  2. 용량이 큰 것으로 갈아 끼운다.
  3. 구리선이나 납선으로 바꾼다.
  4. 전기 장치의 고장개소를 찾아 수리한다.
(정답률: 73%)
  • 전기장치의 퓨즈가 끊어졌다는 것은 전기장치 내부에서 과부하나 단락이 발생하여 퓨즈가 보호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퓨즈를 교체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전기장치 내부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이므로, 고장의 원인을 찾아 수리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기 장치의 고장개소를 찾아 수리한다."가 가장 옳은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작업장에서 지켜야 할 안전 수칙이 아닌 것은?

  1. 작업중 입은 부상은 즉시 응급조치하고 보고 한다.
  2. 밀폐된 실내에서는 장비의 시동을 걸지 않는다.
  3. 통로나 마루바닥에 공구나 부품을 방치하지 않는다.
  4. 기름걸레나 인화물질은 나무상자에 보관한다.
(정답률: 80%)
  • 기름걸레나 인화물질은 불이 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한 보관을 위해 나무상자에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보호안경을 끼고 작업해야하는 사람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소용접 작업시
  2. 그라인더 작업시
  3. 건설기계장비 일상점검 작업시
  4. 장비의 하부에서 점검, 정비 작업시
(정답률: 77%)
  • 보호안경은 작업 중 눈에 떨어지는 물체나 먼지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건설기계장비 일상점검 작업시는 보호안경을 끼고 작업해야합니다. 그라인더 작업시나 장비의 하부에서 점검, 정비 작업시에도 보호안경이 필요하지만, 거리가 더 가까운 작업이기 때문에 건설기계장비 일상점검 작업시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산소용접 작업시는 보호안경뿐만 아니라 산소마스크 등의 추가적인 보호장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크렌치의 사용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핸들을 잡고 밀면서 사용한다.
  2. 토크증대를 위해 손잡이에 파이프를 끼워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게이지에 관계없이 볼트 및 너트를 조이면 된다.
  4. 볼트나 너트 조임력을 규정값에 정확히 맞도록 하기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77%)
  • 토크렌치는 볼트나 너트를 정해진 규정값에 맞게 조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과도한 조임력으로 인한 파손이나 부족한 조임력으로 인한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규정값에 맞게 조임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배터리 전해액처럼 강산알칼리 등의 액체를 취급할 때 가장 적합한 복장은?

  1. 면장갑착용
  2. 면직으로 만든 옷
  3. 나일론으로 만든 옷
  4. 고무로 만든 옷
(정답률: 76%)
  • 고무로 만든 옷은 강산알칼리 등의 액체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복장입니다. 면직이나 나일론은 액체에 대한 내성이 낮아 손상될 가능성이 높고, 면장갑도 마찬가지로 내성이 부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해머(hammer)작업에 대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작업자가 서로 마주보고 두드린다.
  2. 녹슨 재료 사용시 보안경을 사용한다.
  3. 타격범위에 장해물을 없도록 한다.
  4. 작게 시작하여 차차 큰 행정으로 작업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1%)
  • 작업자가 서로 마주보고 두드리는 것은 잘못된 내용입니다. 해머 작업은 작업자가 서로 마주보지 않고,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일직선으로 두드리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렇게 하면 작업자들이 서로 부딪히거나 해머를 잡고 있는 손이 부딪히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과 같은 안전 표지판이 나타내는 것은?

  1. 비상구
  2. 출입금지
  3. 보안경 착용
  4. 인화성물질 경고
(정답률: 64%)
  • 이 표지판은 "비상구"를 나타냅니다. 이는 비상 상황에서 대피할 수 있는 출구임을 나타내며,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화재 및 폭발의 우려가 있는 가스발생장치 작업장에서 지켜야 할 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불연성 재료 사용금지
  2. 화기 사용금지
  3. 인화성 물질 사용금지
  4. 점화원이 될 수 있는 기계 사용금지
(정답률: 75%)
  • 가스발생장치 작업장에서는 불연성 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불연성 재료는 불이 붙어도 연소되지 않는 재료로,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막아주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합니다. 따라서 "불연성 재료 사용금지"는 맞지 않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목재, 종이, 석탄 등 일반 가연물의 화재는 어떤 화재로 분류하는가?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D급 화재
(정답률: 81%)
  • 일반 가연물의 화재는 "A급 화재"로 분류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온도와 불꽃이 발생하며, 화재 발생 시 빠르게 확산되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A급 화재는 물로 직접 진화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화재 대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장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시가스 배관이 매설된 도로에서 굴착작업을 할 때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가스배관이 매설된 지점에는 도시가스 회사의 입회하에 작업한다.
  2. 가스배관은 도로에 라인마크를 하기 때문에 라인마크가 없으면 직접 굴착해도 된다.
  3. 어떤 지점을 굴착하고자 할 때는 라인마크, 표지판, 밸브박스 등으로 가스배관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4. 가스배관의 매설 유무는 반드시 도시가스 회사에 유무조회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80%)
  • 정답: 가스배관은 도로에 라인마크를 하기 때문에 라인마크가 없으면 직접 굴착해도 된다.

    해설: 가스배관이 매설된 도로에서 굴착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도시가스 회사의 입회하에 작업해야 하며, 라인마크, 표지판, 밸브박스 등으로 가스배관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가스배관의 매설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시가스 회사에 유무조회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스배관은 도로에 라인마크를 하기 때문에 라인마크가 없으면 직접 굴착해도 된다."는 내용은 틀린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도로 굴착작업 중 “고압선 위험” 표지시트가 발견되었다. 다음 중 맞는 것은?

  1. 표지시트 좌측에 전력케이블이 묻혀 있다.
  2. 표지시트 우측에 전력케이블이 묻혀 있다.
  3. 표지시트와 직각방향에 전력케이블이 묻혀 있다.
  4. 표지시트 직하에 전력케이블이 묻혀있다.
(정답률: 66%)
  •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도로 굴착작업 중 “고압선 위험” 표지시트가 발견되었다면, 표지시트 직하에 전력케이블이 묻혀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굴착작업을 하면서 전력케이블이 파손되어 묻혀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굴착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전력케이블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폭 8m 이상의 도로에서 중압의 도시가스 배관을 매설시 규정 심도는 최소 몇 m 이상인가?

  1. 0.8m
  2. 1m
  3. 1.2m
  4. 1.5m
(정답률: 53%)
  • 도로 폭이 8m 이상인 경우, 도로 규정 심도는 1.2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도로 규정 심도가 도로 폭의 1/6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압의 도시가스 배관을 매설할 때에도 최소한 이 규정 심도를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기는 전압이 높을수록 위험한데, 가공전선로의 위험정도를 건설기계 장비 운전자가 판별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전선의 전류 측정
  2. 전선의 소선 가닥수 확인
  3. 현수애자의 개수 확인
  4. 지지물의 개수 확인
(정답률: 61%)
  • 현수애자는 전기가 흐르는 전선 주변에 설치되어 전선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시켜 안전을 보장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가공전선로에서 현수애자의 개수를 확인하면 전선 주변에 안전장치가 충분히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선의 전류 측정이나 소선 가닥수, 지지물의 개수와는 다른 방식으로 전선의 위험정도를 판별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