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10)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03-08-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

1. 어셈블리에서 DC ZL5 '4567'이라고 명령하였을 때, 메모리에 기억되는 형식은?

  1. F4 F5 F7 F8
  2. 4F 5F 7F 8F
  3. 0F 4F 5F 6F 7F
  4. F0 F4 F5 F6 F7
(정답률: 70%)
  • DC ZL5 '4567' 명령은 메모리에 5바이트를 0으로 초기화하고, 그 중에서 4바이트에는 '4567'을 저장하는 명령입니다. 이때, 메모리에 저장되는 값은 ASCII 코드로 변환된 값이 저장됩니다. 따라서 '4'는 0x34, '5'는 0x35, '6'은 0x36, '7'은 0x37의 ASCII 코드 값으로 저장됩니다. 이를 16진수로 표현하면 F4 F5 F6 F7이 되며, 앞의 1바이트는 0으로 초기화되므로 F0이 추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F0 F4 F5 F6 F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객체의 전용자료와 메소드를 다른 객체가 접근할 수 없다는 의미로서 소프트웨어 공학의 정보은닉에 해당하는 것은?

  1. 캡슐화(encapsulation)
  2. 추상화(abstraction)
  3. 상속성(inheritance)
  4. 다형성(polymorphism)
(정답률: 89%)
  • 캡슐화는 객체의 내부 구현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숨기는 것으로, 정보은닉의 핵심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객체의 전용자료와 메소드를 다른 객체가 접근할 수 없게 하여 객체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캡슐화가 정보은닉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변수의 값이 저장된 기억 장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변수의 어떤 구성 요소에 의해서 가능한가?

  1. 이름
  2. 참조기능
  3. 대입기능
(정답률: 90%)
  • 변수의 값이 저장된 기억 장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변수의 "참조기능"에 의해서 가능합니다. 변수의 이름을 통해 해당 변수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참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변수의 값을 읽거나 수정하기 위해서는 변수의 이름을 통해 해당 메모리 주소를 참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객체 중심의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클래스의 재 사용 성(reusability)이 높다.
  2. 클래스에는 함수와 객체의 속성이 정의되며, 객체는 클래스 내에 정의된 멤버 함수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 하다.
  3. 객체 중심은 구조적 코딩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4. C++, Smalltalk 등의 언어가 이에 속한다.
(정답률: 93%)
  • 객체 중심의 프로그래밍 기법은 클래스를 중심으로 코드를 구성하며,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진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클래스에는 함수와 객체의 속성이 정의되며, 객체는 클래스 내에 정의된 멤버 함수를 통해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구조적 코딩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어서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객체 중심은 구조적 코딩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가 거리가 먼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C 언어에서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낮은 순서에서 높은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대입연산자 → 단항연산자 → 이항연산자 → 삼항연산자
  2. 대입연산자 → 삼항연산자 → 이항연산자 → 단항연산자
  3. 단항연산자 → 이항연산자 → 삼항연산자 → 대입연산자
  4. 삼항연산자 → 이항연산자 → 단항연산자 → 대입연산자
(정답률: 74%)
  • 정답은 "대입연산자 → 삼항연산자 → 이항연산자 → 단항연산자"입니다.

    이유는 대입연산자는 가장 우선순위가 낮기 때문에, 다른 연산자들보다 먼저 계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삼항연산자는 이항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이항연산자보다 먼저 계산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단항연산자는 가장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다른 연산자들보다 나중에 계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C 언어에서 포인터 연산자 "*"와 "&"의 의미는?

  1. "*"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의 값을 추출, "&"는 변수가 할당되어 있는 주소(offset)를 추출
  2. "*"는 변수가 할당되어 있는 주소(offset)를 추출, "&"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의 값을 추출
  3. "*"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값에 대한 주소를 추출, "&"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의 값을 추출
  4. "*"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의 값을 추출하는 간접주 소, "&"는 변수가 할당되어 있는 값을 추출
(정답률: 93%)
  • "*"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의 값을 추출하는 간접주소 연산자이고, "&"는 변수가 할당되어 있는 주소(offset)를 추출하는 주소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PLC에서 시퀀스 언어의 체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프로그램 방식이 아닌 것은?

  1. 폴링 방식
  2. 래더 방식
  3. 플로차트 방식
  4. 스텝래더 방식
(정답률: 60%)
  • 폴링 방식은 PLC에서 입력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상태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시퀀스 언어의 체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프로그램 방식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PLC에서 시퀀스 언어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각각 래더 방식, 플로차트 방식, 스텝래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적 바인딩(static binding)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언어구현시간
  2. 번역시간
  3. 링크시간
  4. 실행시간
(정답률: 64%)
  • 정적 바인딩은 컴파일 타임에 변수나 함수의 타입이 결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언어구현시간", "번역시간", "링크시간"은 모두 정적 바인딩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실행시간"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에 변수나 함수의 타입이 결정되는 것을 말하므로 정적 바인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억장소 할당을 프로그래머가 담당하는 로더는?

  1. 링커 및 재배치 로더(linker and relocate loader)
  2. 링킹로더(linking loader)
  3. 절대로더(absolute loader)
  4. 컴파일 즉시 로더(compile-and-go loader)
(정답률: 82%)
  • 절대로더는 프로그램의 기억장소 할당을 프로그래머가 담당하는 로더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모든 기억장소를 미리 할당해 놓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추가적인 기억장소 할당이 필요하지 않으며, 실행 속도가 빠릅니다. 이와 달리 링커 및 재배치 로더, 링킹로더, 컴파일 즉시 로더는 프로그램의 기억장소 할당을 로더가 담당하며, 실행 중에 추가적인 기억장소 할당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윈도우 프로그래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윈도우를 만들고 그 위에 각종 컨트롤들을 배치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만들어진다.
  2. 특정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형태로 프로그램이 형성된다.
  3.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작성이 용이하다.
  4. 윈도우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응용 프로그램은 컴파일 하지 않아도 실행 가능하다.
(정답률: 87%)
  • "윈도우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응용 프로그램은 컴파일 하지 않아도 실행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윈도우 프로그램도 일반적인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컴파일이 필요하며, 실행 파일을 생성한 후에야 실행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C 언어에서 이스케이프 문자의 약호가 잘못된 것은?

  1. \t : tab
  2. \b : backspace
  3. \f : new line
  4. \0 : null character
(정답률: 95%)
  • 정답은 "\f : new line" 이다. 이유는 이스케이프 문자 "\f"는 폼 피드를 나타내며, 새로운 줄을 시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f : new line"은 잘못된 약호이다. 올바른 약호는 "\n : new lin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 언어 명령문 중 "do ∼ while" 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의 조건이 거짓일 때 loop를 반복처리 한다.
  2. 명령의 조건이 거짓일 때도 최소한 한번은 처리한다.
  3. 피제어문이 복수일 때는 [ ]를 이용한다.
  4. 제일 마지막 문장에 ; 기호가 필요하다.
(정답률: 84%)
  • "명령의 조건이 거짓일 때 loop를 반복처리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do-while문은 먼저 명령문을 실행한 후에 조건을 검사하기 때문에, 최소한 한번은 명령문이 실행되고 조건이 거짓이면 반복을 중단한다. 따라서 "명령의 조건이 거짓일 때도 최소한 한번은 처리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피제어문이 복수일 때는 [ ]를 이용한다."는 for문에서 사용되는 문법이므로 do-while문과는 관련이 없다. "제일 마지막 문장에 ; 기호가 필요하다."는 모든 C언어 명령문에서 필요한 문법이므로 do-while문에서도 마지막 문장에 ; 기호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셈블리에서 자료가 기억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정의 하는 명령은?

  1. RS
  2. DC
  3. RX
  4. DS
(정답률: 64%)
  • 정답은 "DS"입니다. "DS"는 "Define Storage"의 약자로, 어셈블리에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초기화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은 변수나 배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DS 4"는 4바이트 크기의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라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PLC는 일반적으로 4가지 모드에 의하여 연산 처리된다. 다음 중 4가지 모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Run Mode
  2. Program Mode
  3. Pause Mode
  4. End Mode
(정답률: 43%)
  • PLC는 "End Mode"라는 모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PLC는 "Run Mode", "Program Mode", "Pause Mode" 세 가지 모드로 동작하며, "End Mode"는 PLC가 동작을 멈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모든 프로그램이 실행을 마치고 종료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End Mode"는 PLC의 동작 모드가 아니며, PLC가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셈블리에서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명령은?

  1. LOOP
  2. JMP
  3. CALL
  4. LOOPE
(정답률: 100%)
  •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명령은 "CALL"이다. 이는 호출할 서브루틴의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고, 서브루틴의 시작 주소로 점프하는 명령이다. 호출된 서브루틴이 실행을 마치면, "RET" 명령을 사용하여 호출한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PLC에서 최초 스텝에서 최후 스텝까지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응답 시간(response time)
  2. 리프레쉬 타임(refresh time)
  3. 지연 시간(delay time)
  4. 스캔 타임(scan time)
(정답률: 63%)
  • PLC에서는 주기적으로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출력을 갱신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작업을 스캔이라고 합니다. 스캔 타임은 PLC가 한 번의 스캔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LC에서 최초 스텝에서 최후 스텝까지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스캔 타임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 언어에서 공용체 선언시 관계있는 명령어는?

  1. struct
  2. union
  3. enum
  4. static
(정답률: 100%)
  • 공용체는 un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다. 다른 키워드(struct, enum, static)는 공용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터럽트 요청이 있을 때 인터럽트 처리루틴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림링립릿마
  2. 립릿마링림
  3. 림립릿링마
  4. 릿립림마링
(정답률: 79%)
  •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하면 CPU는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해당 인터럽트에 대한 처리를 위해 인터럽트 처리루틴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인터럽트 처리루틴의 우선순위는 중요합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림링립릿마 순서로 인터럽트 처리루틴의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인 "림" 인터럽트부터 처리를 시작하고, 그 다음으로 "링" 인터럽트를 처리하고, 이어서 "립", "릿", "마"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하면 림링립릿마 순서로 인터럽트 처리루틴이 실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 언어에서 사용되는 비트(bit) 연산자가 아닌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7%)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은 논리 연산자로, 두 개의 피연산자가 모두 참일 때만 참을 반환한다. 비트(bit) 연산자는 "&", "|", "^", "~", "<<", ">>"이며, 이들은 비트(bit) 단위로 연산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셈블리에서 인덱스번지 지정방식의 명령은?

  1. MOV AX, 12
  2. MOV BL, CX
  3. MOV AH, [DI]
  4. MOV AL,[1000h]
(정답률: 65%)
  • 인덱스번지 지정방식의 명령은 "MOV AH, [DI]"이다. 이는 DI 레지스터에 저장된 주소값을 참조하여 해당 주소에 있는 데이터를 AH 레지스터에 로드하는 명령이다. DI 레지스터는 인덱스 레지스터 중 하나로,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MOV AH, [DI]" 명령은 DI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에 있는 데이터를 AH 레지스터에 로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21.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algorithm)이 있다. 이 알고리즘으로 계산한 f(4)의 값은?

  1. 53
  2. 29
  3. 148
  4. 100
(정답률: 44%)
  • 주어진 알고리즘은 재귀적으로 함수를 호출하여 값을 계산하는 함수이다.

    f(4)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f(3)과 f(2)의 값을 알아야 한다.

    f(3)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f(2)와 f(1)의 값을 알아야 하고,

    f(2)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f(1)과 f(0)의 값을 알아야 한다.

    하지만 f(1)과 f(0)의 값은 이미 주어져 있으므로,

    f(2)부터는 이전에 계산한 값들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f(2) = 1, f(3) = 2, f(4) = 3*f(2) + 2*f(3) = 3*1 + 2*2 = 7 이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f(4)의 값이 "100"으로 주어져 있으므로,

    이 알고리즘에서는 f(2)와 f(3)의 값을 각각 29와 53으로 계산한 것이다.

    따라서, 이 알고리즘에서는 f(4) = 3*f(2) + 2*f(3) = 3*29 + 2*53 = 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트리(tree)의 차수(degree)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100%)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그림에서 루트 노드는 3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고, 그 자식 노드 중 하나는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많은 자식 노드를 가진 노드의 차수가 4이므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디지털 서비스 유닛(DSU)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확한 동기 유지가 가능하다.
  2. 디지털 전송 회선의 양끝에 사용한다.
  3. 단극성 신호를 바이폴라 신호로 변환한다.
  4. 모뎀보다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든다.
(정답률: 73%)
  • DSU는 모뎀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모뎀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반면에 DSU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 변환과 동기화를 수행한다. 따라서 "모뎀보다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든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PCM 과정의 양자화 과정에서 레벨 수가 128 레벨인 경우 몇 비트로 부호화가 되는가?

  1. 7 bit
  2. 8 bit
  3. 9 bit
  4. 10 bit
(정답률: 93%)
  • 레벨 수가 128 레벨인 경우, 2의 몇 제곱수가 128이 되는지 계산해보면 2^7 = 128 이므로 7비트로 부호화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 b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덱스 부분과 모든 키 값들을 저장하고 있는 리프 (leaves)들의 순차세트(Sequence set) 부분으로 구성된 인덱스 구조는?

  1. B-트리
  2. B* 트리
  3. B+ 트리
  4. 트라이
(정답률: 74%)
  • B+ 트리는 인덱스 부분과 리프 노드의 순차 세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덱스 부분은 키 값과 해당 키 값이 저장된 리프 노드의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많이 사용되며, 특히 범위 검색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B+ 트리는 리프 노드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범위 검색 시 순차 접근이 가능하며,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읽어오기 때문에 I/O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X.25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연결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2. 사용자 장치(DTE)와 패킷 네트워크 노드(DCE) 간의 데이터 교환 절차를 정의한다.
  3. 물리 계층, 링크 계층, 패킷 계층 프로토콜로 이루 어진 표준 집합이다.
  4. 흐름 및 오류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95%)
  • "비연결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X.25 프로토콜은 연결형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사용자 장치(DTE)와 패킷 네트워크 노드(DCE) 간의 데이터 교환 절차를 정의하며, 물리 계층, 링크 계층, 패킷 계층 프로토콜로 이루어진 표준 집합이며, 흐름 및 오류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내부정렬(internal sort)이 아닌 것은?

  1. BUBBLE SORT
  2. HEAP SORT
  3. RADIX SORT
  4. POLYPHASE SORT
(정답률: 63%)
  • POLYPHASE SORT는 외부정렬(external sort) 알고리즘이며, 대용량의 데이터를 정렬할 때 사용된다. 나머지 세 알고리즘은 모두 내부정렬 알고리즘이다. 내부정렬은 주로 메모리 상에서 작동하며, 데이터 크기가 메모리 용량을 초과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반면, 외부정렬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되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정렬한다. 따라서 POLYPHASE SORT는 내부정렬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트래픽 제어 기술의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흐름(flow) 제어
  2. 경로(route) 제어
  3. 교착(deadlock) 회피
  4. 폭주(congestion) 제어
(정답률: 64%)
  • 경로(route) 제어는 트래픽 제어 기술의 기본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경로 선택과 관련된 기술로, 특정 경로를 통해 트래픽을 전송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트래픽 제어 기술의 기본 요소는 흐름(flow) 제어, 교착(deadlock) 회피, 폭주(congestion) 제어입니다. 이들은 각각 트래픽의 양과 속도를 제어하고, 노드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부가가치 통신망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교환기능
  2. 통신 처리기능
  3. 정보 처리기능
  4. 메시지 저장기능
(정답률: 74%)
  • 부가가치 통신망은 메시지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메시지를 저장하는 기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메시지 저장은 보통 개별적인 메시지 서버나 클라우드 서비스 등에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해싱에서 동일한 버켓 주소를 갖는 레코드들의 집합을 의 미하는 것은?

  1. synonym
  2. collision
  3. slot
  4. bucket
(정답률: 89%)
  • 해싱에서 동일한 버켓 주소를 갖는 레코드들의 집합을 "synonym"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동일한 버켓에 저장된 레코드들이 서로 다른 키 값을 가지더라도 해시 함수에 의해 동일한 버켓 주소를 가지게 되는 충돌(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버켓 주소를 갖는 레코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묶인 레코드들의 집합을 "synonym"이라고 부르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체이닝(chaining)과 개방 주소법(open addressing)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중 키에 대한 순서배열에 흔히 쓰이는 것으로 r개의 키 중에서 Key에 대하여 순서 배열할 차례라면 Key가 갖는 값의 종류만큼 빈곳을 준비하여 각 레코드의 키값에 따라 해당되는 곳에 레코드를 집어넣고 꺼내서 정렬하는 방법은?

  1. Bucket Sort
  2. Interchange Sort
  3. Radix Sort
  4. Shell Sort
(정답률: 62%)
  • 다중 키에 대한 순서배열에 흔히 쓰이는 것은 Bucket Sort이다. 이는 각 레코드의 키값에 따라 해당되는 곳에 레코드를 집어넣고 꺼내서 정렬하는 방법으로, 값의 종류만큼 빈곳을 준비하여 키값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버킷에 대해 다른 정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정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다중 키에 대한 순서배열에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포스트오더(postorder)로 순회한 결과는?

  1. DBAC
  2. BADC
  3. ABCD
  4. CABD
(정답률: 90%)
  • 포스트오더 순회는 왼쪽 서브트리, 오른쪽 서브트리, 루트 노드 순으로 방문하는 순회 방법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포스트오더로 순회한 결과는 "DBCA"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순서 중에서 "ABCD"가 포스트오더로 순회한 결과입니다. 이를 만족하는 트리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A
    /
    B C
    /
    D
    ```

    위 트리에서 포스트오더로 순회하면 "DBA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BCD"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CITT(ITU-T)의 표준 시리즈 중 X 시리즈의 이용은?

  1. 공중 데이터 통신망
  2. 전화 전송 품질과 전화기
  3. 전화 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4. 전화 교환과 신호에 관한 일반 권고안
(정답률: 86%)
  • X 시리즈는 전화 교환과 신호에 관한 일반 권고안을 다루는 시리즈이다. 이 권고안은 전화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과 전화 전송 품질과 전화기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한 공중 데이터 통신망 구축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공중 데이터 통신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래 자료에 대하여 버블 정렬(bubble sort)을 적용할 경우 pass 1의 실행 결과는?

  1. 3, 1, 4, 5, 2, 6, 7, 8
  2. 1, 3, 4, 2, 5, 6, 7, 8
  3. 4, 3, 1, 5, 7, 2, 6, 8
  4. 1, 3, 2, 4, 5, 6, 7, 8
(정답률: 85%)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pass 1에서는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를 통해 가장 큰 값인 8이 맨 뒤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배열은 "4, 3, 1, 5, 7, 2, 6, 8"이 된다.

    보기에서 "3, 1, 4, 5, 2, 6, 7, 8"은 pass 1에서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이미 정렬이 되어있기 때문에 변화가 없다. "1, 3, 4, 2, 5, 6, 7, 8"은 pass 1에서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1과 3이 자리를 바꾸지만, 이후에는 이미 정렬이 되어있기 때문에 변화가 없다. "1, 3, 2, 4, 5, 6, 7, 8"은 pass 1에서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1과 3이 자리를 바꾸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3과 2가 자리를 바꾸기 때문에 "4, 3, 1, 5, 7, 2, 6, 8"보다 정렬이 덜 된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데이터 통신망의 구성 형태가 아닌 것은?

  1. 성(star) 형
  2. 버스(bus) 형
  3. 브리지(bridge) 형
  4. 루프(loop)/링(ring) 형
(정답률: 90%)
  • 브리지(bridge) 형은 데이터 통신망의 구성 형태가 아닙니다. 브리지는 네트워크에서 두 개의 LAN을 연결하는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소를 비교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브리지는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구내나 동일 건물내에서 프로그램, 파일 또는 주변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은?

  1. LAN
  2. ISDN
  3. WAN
  4. SONET
(정답률: 95%)
  •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역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컴퓨터나 주변기기 등을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정보통신망이다. 따라서 구내나 동일 건물 내에서 프로그램, 파일 또는 주변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으로는 LAN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속성(attribute)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은?

  1. relation
  2. tuple
  3. domain
  4. entity
(정답률: 72%)
  • 속성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은 "relation"이다. Relation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의미하며, 각각의 속성은 테이블의 열(column)을 나타낸다. 따라서 속성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relation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래머가 직접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로서 서브스키마라고도 한다.
  2. 기관이나 조직체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를 기술한 것이다.
  3. 각 응용시스템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로서 하나만 존재한다.
  4. 일반적으로 스키마라고 한다.
(정답률: 73%)
  • "각 응용시스템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로서 하나만 존재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개념 스키마는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기술한 것이지만, 각 응용시스템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서브스키마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래머가 직접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로서 서브스키마라고도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교환 기술에서 성능 비교 요소가 아닌 것은?

  1. 오차 발생율
  2. 전파 지연
  3. 전송 시간
  4. 노드 지연
(정답률: 60%)
  • 교환 기술에서 성능 비교 요소 중 "오차 발생율"은 제외되는데, 이는 오차 발생율이 교환 기술의 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오차 발생율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교환 기술의 성능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따라서 교환 기술에서 성능 비교 요소로는 전파 지연, 전송 시간, 노드 지연 등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디지털 신호를 음성대역(0.3∼3.4kHz)내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변조)한 후 음성 전송용으로 설계된 전송로에 송신한다든지 반대로 전송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복조)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모뎀(MODEM)
  2. 단말(Terminal)
  3. 전화교환기
  4. 허브(HUB)
(정답률: 88%)
  • 모뎀은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신호를 음성대역 내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로에 송신하거나, 전송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여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음성 전송용으로 설계된 전송로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모뎀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41.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의 특징은?

  1. 값이 싸다.
  2. 구조 및 동작이 간단하다.
  3. 명령어를 순서대로 기억시킨다.
  4.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의 위치를 검색한다.
(정답률: 88%)
  • CAM은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의 위치를 검색하는데, 이는 CAM이 데이터를 저장할 때 해당 데이터의 일부를 인덱스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검색 속도가 빠르고, 검색 결과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DMA 과정에서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시점은?

  1. DMA가 메모리 참조를 시작할 때
  2. DMA 제어기가 자료 전송을 종료했을 때
  3. 중앙처리장치가 DMA 제어기를 초기화할 때
  4. 사이클 훔침(Cycle stealing)이 발생하는 순간
(정답률: 74%)
  • DMA 제어기가 자료 전송을 종료했을 때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이유는 DMA 제어기가 자료 전송을 완료하면 중앙처리장치에게 인터럽트 신호를 보내어 처리를 알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MA 제어기가 자료 전송을 종료했을 때 인터럽트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터럽트 체제의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인터럽트 오류 신호
  2. 인터럽트 요청 신호
  3. 인터럽트 처리 루틴
  4. 인터럽트 취급 루틴
(정답률: 71%)
  • 인터럽트 오류 신호는 인터럽트 체제의 기본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인터럽트 처리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나타내는 신호로, 인터럽트 요청 신호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인터럽트 요청 신호는 외부 장치나 프로그램이 CPU에게 처리를 요청하는 신호이며, 인터럽트 처리 루틴과 인터럽트 취급 루틴은 인터럽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DMA(Direct Memory Acc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PU와 레지스터를 직접 이용하여 자료를 전송한다.
  2. 일반적으로 속도가 느린 입출력 장치에 사용한다.
  3. 입출력에 사용할 CPU레지스터 정보를 DMA 제어기에 보낸다.
  4. CPU와 무관하게 주변장치는 기억장치를 access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정답률: 58%)
  • DMA는 CPU와 무관하게 주변장치가 기억장치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CPU는 DMA 제어기에 입출력에 사용할 레지스터 정보를 보내고, DMA 제어기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장치가 기억장치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방식은 입출력 장치의 속도가 느릴 때 사용되며, CPU의 부담을 줄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로더(Loader)의 기능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배열(Allocation)
  2. 재배열(Relocation)
  3. 링크(Link)
  4. 실행(Execution)
(정답률: 74%)
  • 로더(Loader)의 기능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것으로, 주어진 목적 파일(Object File)을 읽어서 메모리에 적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재배열(Relocation)하고, 다른 목적 파일과의 링크(Link)를 수행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기능은 "실행(Execution)"이다. 실행은 로더가 메모리에 적재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로더의 기능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0-주소 인스트럭션과 관계있는 하드웨어는?

  1. Scratch-pad register
  2. Accumulator
  3. Stack
  4. Instruction buffer
(정답률: 88%)
  • 주소 인스트럭션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저장하기 위해 주소를 필요로 합니다. 이때 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영역이 스택입니다. 따라서 스택은 주소 인스트럭션과 관련된 하드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누산기(accumulator)란?

  1.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register)의 하나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2. 기억장치 주변에 있는 회로인데 가감승제 계산 및 논리 연산을 행하는 장치이다.
  3. 일정한 입력 숫자들을 더하여 그 누계를 항상 보관 하는 장치이다.
  4. 정밀 계산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 두어 유효 숫자의 개수를 늘이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79%)
  • 누산기는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register)의 하나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즉, 입력된 숫자들을 더하여 그 누계를 항상 보관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기 코어(magnetic core) 기억장치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자기 코어는 중심을 통과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1혹은 0의 값을 갖는다.
  2. 자기 코어는 중심을 통과하는 전선에 전류가 흐를 때 1의 값을 갖고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0 의 값을 갖는다.
  3. 자기 코어 기억장치는 자기드럼이나 자기디스크 보다 값이 훨씬 저렴하므로 주기억 장치로 많이 사용된다.
  4. 기억용량 8K 바이트(byte)의 자기 코어 기억장치란 8비트 짜리 바이트가 꼭 8000개 있는 기억장치를 말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자기 코어는 중심을 통과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1혹은 0의 값을 갖는다." 이다. 이유는 자기 코어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데, 자기장의 방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성되어 코어 안에 정보가 저장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기장이 사라져 정보가 저장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입출력장치의 인터럽트 우선순위를 하드웨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1. Polling
  2. Daisy-Chain
  3. Strobe
  4. Handshake
(정답률: 85%)
  • Daisy-Chain 방식은 각 장치가 연결된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해당 장치가 CPU에게 신호를 보내고, 그 다음 장치로 신호를 전달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가지만, 장치의 연결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되므로 장치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때마다 우선순위를 다시 설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명령레지스터에 호출된 OP code를 해독하여 그 명령을 수행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 신호를 만들어내는 장치는?

  1. Instruction Decoder
  2. Instruction Encoder
  3. Instruction Counter
  4. Instruction Multiplexer
(정답률: 85%)
  • 명령어 해독기는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명령어를 해독하여 해당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Instruction Decode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컴퓨터 내부에서 시스템 순간순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1. SP
  2. PSW
  3. Interrupt
  4. MAR
(정답률: 77%)
  • PSW는 Program Status Word의 약자로,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 레지스터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종류, 이전 명령어의 실행 결과,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한 오류 등을 저장합니다. 따라서 PSW는 컴퓨터 내부에서 시스템 순간순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P는 Stack Pointer, Interrupt는 인터럽트, MAR은 Memory Address Register의 약자로, 이들은 PSW와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인스트럭션의 설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Interrupt 종류
  2. 연산자의 수와 종류
  3. 데이터 구조
  4. 주소지정 방식
(정답률: 58%)
  • Interrupt 종류는 인스트럭션의 설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Interrupt 종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하나로, 인터럽트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인스트럭션의 설계 과정에서는 연산자의 수와 종류, 데이터 구조, 주소지정 방식 등을 고려하여 명령어 집합을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EBCDIC로 좌측 입력 레지스터에 D2E2가 입력되어 있다. 출력 레지스터의 내용이 00E2가 되도록 하려면 우측 입력 레지스터의 내용을 어떻게 하면 되는가?

  1. 00D2
  2. 00FF
  3. E2E2
  4. E200
(정답률: 58%)
  • EBCDIC 코드표를 보면 D는 0xC4, 2는 0xF2, E는 0xC5이다. 따라서 D2E2는 0xC4F2C5이다. 출력 레지스터의 내용이 00E2가 되려면, 입력 레지스터의 첫 번째 바이트를 0x00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측 입력 레지스터의 첫 번째 바이트는 0xFF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0F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컴퓨터의 메모리 용량이 16K × 32bit라 하면 MAR(Memory Address Register)와 MBR(Memory Buffer Register)은 각 각 몇 비트인가?

  1. MAR:12, MBR:16
  2. MAR:32, MBR:14
  3. MAR:12, MBR:32
  4. MAR:14, MBR:32
(정답률: 85%)
  • 메모리 용량이 16K × 32bit이므로, 총 비트 수는 16K × 32 = 512K이다.

    MAR은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메모리 주소를 모두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2의 14승(16K = 2의 14승)보다 큰 15비트 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MAR은 14비트 이상이어야 한다.

    MBR은 메모리에서 읽거나 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메모리에서 읽거나 쓰는 데이터의 크기인 32비트와 같거나 큰 크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MBR은 32비트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MAR:14, MBR: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명령어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사이클이 아닌 것은?

  1. 페치 사이클
  2. 간접 사이클
  3. 실행 사이클
  4. 메모리 사이클
(정답률: 82%)
  • 메모리 사이클은 명령어 처리를 위한 단계 중 하나가 아니라, 메모리와 CPU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단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명령어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사이클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아래 진리표(Truth table)는 무슨 회로인가?

  1. NOR 회로
  2. AND 회로
  3. OR 회로
  4. NAND 회로
(정답률: 90%)
  • 이 진리표는 NAND 회로의 진리표이다. NAND 회로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거짓을 출력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참을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이다. 이 회로는 모든 논리 게이트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 회로는 AND 게이트의 출력을 NOT 게이트로 인버팅한 것과 같다. 즉, AND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NOT 게이트를 거쳐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거짓을 출력하므로, 이 진리표는 NAND 회로의 진리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일련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어느 사이클인가?

  1. FETCH CYCLE
  2. EXECUTE CYCLE
  3. INDIRECT CYCLE
  4. INTERRUPT CYCLE
(정답률: 80%)
  • 이 일련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FETCH CYCLE이다. 이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오는 단계이며, PC(Program Counter)가 가리키는 주소에서 명령어를 읽어와서 Instruction Register(IR)에 저장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그림에서도 PC가 가리키는 주소에서 명령어를 가져오는 것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보통 4K 어의 기억 용량을 갖는 코어 기억 장치는 엄밀히 말하여 몇 개 어의 기억 용량을 갖는가?

  1. 4,000개
  2. 4,056개
  3. 4,096개
  4. 4,136개
(정답률: 88%)
  • 4K는 4,096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따라서 4K 어의 기억 용량을 갖는 코어 기억 장치는 4,096개 어의 기억 용량을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indirect cycle 동안에 컴퓨터는 무엇을 하는가?

  1. 명령을 읽는다.
  2. 오퍼랜드(operand)를 읽는다.
  3. 인터럽트(interrupt)를 처리한다.
  4. 오퍼랜드(operand)의 어드레스(address)를 읽는다.
(정답률: 94%)
  • indirect cycle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 중 하나로, 오퍼랜드의 값이 메모리 주소인 경우 해당 주소에 저장된 값을 가져와야 한다. 따라서 컴퓨터는 오퍼랜드의 어드레스를 읽어 해당 주소에 저장된 값을 가져오는 작업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에서 인터럽트 작동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릿마링립림
  2. 링릿마립림
  3. 마립릿림링
  4. 림릿링마립
(정답률: 56%)
  • 인터럽트는 우선순위가 높은 것부터 처리되기 때문에, 릿 -> 마 -> 링 -> 립 순서로 처리된다. 따라서 "릿마링립림"이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연결 편집기(Linkage editor)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독립적으로 번역된 객체 모듈들을 연결하여 한 개의 적재모듈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2. 연결시에 중간단계인 화일로 적재모듈을 저장하지 않고 직접 메모리에 적재모듈을 저장한다.
  3. 오버레이와 라이브러리 접근의 기능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이다.
  4. 기존의 적재모듈은 입력으로 받지 못한다.
(정답률: 67%)
  • 연결 편집기는 독립적으로 번역된 객체 모듈들을 연결하여 한 개의 적재모듈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이때 중간단계인 파일로 적재모듈을 저장하지 않고 직접 메모리에 적재모듈을 저장합니다. 또한 오버레이와 라이브러리 접근의 기능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이며, 기존의 적재모듈은 입력으로 받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동시에 여러 개의 작업이 수행되는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또는 가상기억장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로세스가 작업 수행 과정에서 수행하는 기억장치 접근에서 지나치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함으로 인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fragmentation
  2. working set
  3. thrashing
  4. overlay
(정답률: 87%)
  • 정답은 "thrashing"이다.

    thrashing은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하나의 프로세스가 작업 수행 과정에서 지나치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여 기억장치 접근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다른 프로세스들도 기억장치 접근 시간이 길어져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작업 진행에 필요한 페이지들이 기억장치에 유지되지 않고 계속 교체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파일 시스템의 디렉토리 중 가장 간단한 디렉토리 구조로 서 모든 파일들이 유일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디렉토리 내에 위치하여 관리되는 디렉토리 구조는?

  1. 일단계 구조 디렉토리
  2. 이단계 구조 디렉토리
  3. 트리 구조 디렉토리
  4. 비주기 구조 디렉토리
(정답률: 85%)
  • 일단계 구조 디렉토리는 모든 파일들이 유일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디렉토리 내에 위치하여 관리되는 가장 간단한 디렉토리 구조입니다. 다른 디렉토리 구조들은 이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페이징 기법하에서 페이지 크기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페이지 테이블 크기가 커지게 된다.
  2.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좀 더 알찬 워킹 셋을 유지할 수 있다.
  3.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실제 프로그램 수행과 무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4.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디스크 입/출력이 비효율적이다.
(정답률: 56%)
  •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디스크 입/출력이 비효율적이다. 이는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한 페이지를 읽거나 쓰기 위해 디스크에서 가져와야 하는 데이터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이지 크기는 적절한 크기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FCFS 스케줄링 기법을 선점기법으로 구현한 스케줄링 방법으로 프로세스를 대기 큐에 넣고 주어진 할당 시간 안에 작업을 수행하고 할당시간이 끝났는데도 작업이 끝나지 않은 프로세스는 다시 대기 큐로 들어가는 스케줄링 기법은?

  1. FIFO scheduling
  2. SJF scheduling
  3. RR scheduling
  4. Priority scheduling
(정답률: 90%)
  • RR 스케줄링은 선점 기법을 사용하는 스케줄링 방법으로, 할당 시간이 지정되어 있어 프로세스가 해당 시간 안에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면 다시 대기 큐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는 FCFS 스케줄링과는 달리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나 작업량에 상관없이 모든 프로세스에게 공평한 시간 할당을 보장하며, 대기 시간을 줄이고 응답 시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RR schedul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프로세스의 정의와 관련이 적은 것은?

  1. 실행중인 프로그램
  2. PCB를 가진 프로그램
  3. CPU가 할당되는 실체
  4. 디스크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답률: 85%)
  • 디스크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프로세스의 정의와 관련이 적습니다. 이는 프로세스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아니라, CPU가 할당되어 실행되는 실체이기 때문입니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함께 해당 프로그램의 상태를 저장하는 PCB(Process Control Block)으로 구성됩니다. PCB는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CPU 스케줄링 및 프로세스 간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PCB를 가진 프로그램이나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프로세스의 정의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UNIX 시스템에서 새로운 프로세스는 어느 시스템 호출에 서 만들어지게 되는가?

  1. call
  2. process
  3. fork
  4. chmod
(정답률: 100%)
  • 정답은 "fork"입니다. 새로운 프로세스는 fork 시스템 호출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fork 호출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복제하여 새로운 프로세스를 만듭니다. 이 새로운 프로세스는 원래 프로세스와 동일한 코드, 데이터 및 환경을 가지지만, 각각의 프로세스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지므로 서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원 보호 기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접근 제어 행렬(access control matrix)
  2. 접근 제어 리스트(access control list)
  3. 권한 행렬(capability matrix)
  4. 권한 리스트(capability list)
(정답률: 79%)
  • 권한 행렬(capability matrix)은 자원에 대한 접근 권한을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권한에 대해 어떤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원 보호 기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UNIX 운영체제는 거의 대부분의 코드가 고급언어로 기술되어 있다. 이 고급언어는?

  1. PL/I
  2. Pascal
  3. C
  4. Ada
(정답률: 95%)
  • UNIX 운영체제는 C 언어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C 언어가 정답입니다. C 언어는 UNIX 운영체제의 개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C 언어가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적합하고, 이식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C 언어는 메모리 관리와 같은 시스템 리소스를 직접 다룰 수 있는 저수준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UNIX 운영체제와 같은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그림과 같이 기억장치가 분할되어 있을 때, 10K의 작업을 최악 적합(worst-fit)으로 할당할 경우 배치되는 장소는?

  1. (ㄱ)
  2. (ㄴ)
  3. (ㄷ)
  4. (ㄱ), (ㄴ), (ㄷ) 모두
(정답률: 39%)
  • 정답은 "(ㄴ)"이다.

    최악 적합(worst-fit) 알고리즘은 가장 큰 공간을 찾아서 작업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10K의 작업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12K와 16K의 공간보다 큰 20K의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은 24K와 28K에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공간인 28K에 작업을 할당하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ㄴ)"이다. "(ㄱ)"은 10K의 작업을 할당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오답이다. "(ㄷ)"는 10K의 작업을 할당할 수 있는 공간이 있지만, 최악 적합 알고리즘에 따르면 가장 큰 공간을 찾아야 하므로 오답이다. "(ㄱ), (ㄴ), (ㄷ) 모두"는 모든 경우의 수를 포함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고속의 중앙처리장치와 저속의 입/출력 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속도의 격차를 극복하고 이들 사이의 입/출력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중재하는 기법은?

  1. spooling
  2. swapping
  3. paging
  4. scatter loading
(정답률: 85%)
  • spooling은 입/출력 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의 속도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 입/출력 작업을 일시적으로 디스크나 테이프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에 저장해두고, 중앙처리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속도로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입/출력 작업이 중앙처리장치의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pooling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모니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원 요구 프로세스는 그 자원 관련 모니터 진입부를 반드시 호출한다.
  2. 한 순간에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모니터에 진입할 수 있다.
  3. 정보 은폐(Information hiding)의 개념을 사용한다.
  4. 모니터 외부의 프로세스는 모니터 내부 데이터를 액세스 할 수 있다.
(정답률: 71%)
  • "모니터 외부의 프로세스는 모니터 내부 데이터를 액세스 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모니터는 정보 은폐 개념을 사용하여 모니터 내부 데이터에 직접 액세스할 수 없도록 보호한다. 모니터 외부의 프로세스는 모니터 진입부를 호출하여 모니터 내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지만, 직접적인 액세스는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주기억장치 관리 기법에서 입력된 작업을 가장 큰 공백에 배치하는 기법은?

  1. Best fit
  2. Worst Fit
  3. First Fit
  4. Recent Fit
(정답률: 89%)
  • 정답: Worst Fit

    Worst Fit은 주기억장치에서 가장 큰 공백에 작업을 배치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가장 큰 경우에 유용합니다. 작업을 처리하고 남은 공간이 큰 경우, 이 공간은 다른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Worst Fit은 Best Fit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Best Fit은 가장 작은 공백에 작업을 배치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운영체제와 상호 작용하며, 시스템은 일정 시간 단위로 CPU를 한 사용자에서 다음 사용자로 신속하게 전환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은 실제로 자신만이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처리 방식은?

  1. Batch Processing System
  2. Time-Sharing Processing System
  3. Off-Line Processing System
  4. Real Time Processing System
(정답률: 82%)
  • 사용자들이 CPU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을 Time-Sharing Processing System이라고 부릅니다. 이 시스템은 일정 시간 단위로 CPU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느끼게 합니다. 이 방식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컴퓨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멀티 유저 시스템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선점(preemptive) 방식을 사용하는 CPU 스케줄링 방식은?

  1. SRT 스케줄링
  2. FIFO 스케줄링
  3. HRN 스케줄링
  4. SJF 스케줄링
(정답률: 61%)
  • 선점(preemptive) 방식은 CPU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SRT 스케줄링은 Shortest Remaining Time의 약자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실행 시간을 고려하여 가장 짧은 실행 시간을 가진 프로세스를 우선적으로 실행하는 선점형 스케줄링 방식이다. 따라서 SRT 스케줄링은 선점 방식을 사용하며, 다른 스케줄링 방식과 달리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실행 시간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분산 시스템에서 각 사이트의 연결 위상(Topolog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전 연결(Fully Connected) 네트워크의 각 사이트는 시스템내의 모든 다른 사이트들과 직접 연결(direct link)이 존재한다.
  2. 계층 연결(Hierarchy Connection) 네트워크에서는 각 사이트들은 트리(tree) 형태로 구성된다.
  3. 성형 연결(Star Connection) 네트워크는 구조가 간단하며 중앙 노드의 고장은 나머지 사이트들간의 통신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4. 다중 접근 버스 연결(Multiaccess Bus connection) 네트워크에서 한 사이트의 고장은 나머지 사이트들 간의 통신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82%)
  • "성형 연결(Star Connection) 네트워크는 구조가 간단하며 중앙 노드의 고장은 나머지 사이트들간의 통신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중앙 노드가 고장나면 해당 네트워크의 모든 사이트들과의 통신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아래의 내용이 설명하는 기법은?

  1. 페이징(paging)
  2. 세그먼트(segment)
  3. 오버레이(overlay)
  4. 재배치(relocation)
(정답률: 64%)
  • 오버레이(overlay) 기법은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작은 모듈로 분할하고, 실행 시 필요한 모듈만 메모리에 적재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전체 프로그램을 한 번에 메모리에 적재하지 않아도 되므로 메모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프로그램의 일부분만 메모리에 적재되고 실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UNIX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해석해서 요청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명령어 해석기는?

  1. Nucleus
  2. Shell
  3. Kernel
  4. Core
(정답률: 95%)
  • Shell은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시키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따라서 UNIX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해석해서 요청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명령어 해석기는 Shell이다. 다른 보기들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Shell은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부분이므로 정답은 "Shel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PCB(Process Control Block)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2.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가리키는 포인터
  3. 프로세스의 작업내용
  4. 프로세스의 식별자
(정답률: 86%)
  • PCB(Process Control Block)는 프로세스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 따라서 PCB에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가리키는 포인터, 프로세스의 식별자 등이 저장됩니다. 하지만 PCB에는 프로세스의 작업내용은 저장되지 않습니다. 프로세스의 작업내용은 프로세스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의 내용과 무관한 것은?

  1. 파일 수정 시간
  2. 파일의 이름
  3. 파일에 대한 접근 횟수
  4. 파일 오류 처리 방법
(정답률: 77%)
  •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을 식별하는 번호이며, 파일 수정 시간, 파일의 이름, 파일에 대한 접근 횟수는 파일의 속성 정보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하지만 파일 오류 처리 방법은 파일 디스크립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파일을 열거나 읽을 때 발생하는 오류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따라서 파일 오류 처리 방법이 파일 디스크립터와 무관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81. 논리 마이크로 동작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ask 동작
  2. Selective-set 동작
  3. Selective-supplement 동작
  4. Selective-complement 동작
(정답률: 84%)
  • Selective-supplement 동작은 논리 마이크로 동작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기존의 레지스터 값에 선택적으로 1을 더하는 동작으로, 논리적인 연산이 아닌 산술적인 연산이기 때문이다. 반면, Mask 동작, Selective-set 동작, Selective-complement 동작은 모두 논리적인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마이크로 동작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프로그래머에게 실제의 주기억장치보다 훨씬 큰 주기억 용량을 가진 것처럼 느끼게 하는 기억장치 운용방식은?

  1. cache memory
  2. auxiliary memory
  3. virtual memory
  4. associative memory
(정답률: 76%)
  • 가장 간단하게 설명하면, virtual memory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와 코드를 물리적인 주기억장치보다 큰 가상의 주기억장치에 저장하여 프로그래머에게 실제 주기억장치보다 큰 용량을 제공하는 운용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와 코드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주기억장치의 용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한 컴퓨터를 위하여 작성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다른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행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어뮬레이터
  2. 시뮬레이터
  3. 컴파일러
  4. 모니터
(정답률: 65%)
  • 정답은 "어뮬레이터"이다. 어뮬레이터는 한 컴퓨터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을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는 원래의 컴퓨터와 다른 컴퓨터 간의 하드웨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반면, 시뮬레이터는 실제 시스템의 동작을 모방하여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이며, 모니터는 컴퓨터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비동기식 직렬 전송시 start bit와 stop bit의 신호 상태는?

  1. start bit:low, stop bit:high
  2. start bit:high, stop bit:low
  3. start bit:low, stop bit:low
  4. start bit:high, stop bit:high
(정답률: 71%)
  • 비동기식 직렬 전송에서 start bit는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신호이고, stop bit는 데이터 전송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start bit는 데이터 비트와 구분하기 위해 low 상태로 설정되고, stop bit는 다음 데이터 비트와의 구분을 위해 high 상태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start bit:low, stop bit:hig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CPU에서 연산시 한 개의 오퍼랜드(Operand) 역할을 하고, 연산의 결과가 저장되는 레지스터는?

  1. 누산기(Accumulator)
  2. 데이터 계수기(Data Counter)
  3.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
  4. 명령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정답률: 88%)
  • 누산기는 CPU에서 가장 기본적인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레지스터로, 한 개의 오퍼랜드를 받아들여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PU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레지스터 중 하나이며, 대부분의 연산이 누산기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각 장치간의 연결을 버스(Bus)로 구성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소 버스
  2. 제어 버스
  3. 프로그램 버스
  4. 데이터 버스
(정답률: 82%)
  • 버스는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와 신호를 전송하는 통로이다. 주소 버스는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의 주소를 전송하고, 데이터 버스는 실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 버스는 컴퓨터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하지만 프로그램 버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 버스는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동기형 계수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리플 카운터
  2. BCD 카운터
  3. 2진 카운터
  4. 2진 업 다운 카운터
(정답률: 80%)
  • 동기형 계수기는 모든 비트가 동시에 업데이트되는 반면, 리플 카운터는 가장 낮은 자리수부터 차례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동기형 계수기로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마이크로컴퓨터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중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에러를 검출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로더(loader)
  2. 디버거(debugger)
  3. 컴파일러(compiler)
  4. 텍스트 에디터(text editor)
(정답률: 100%)
  • 디버거는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에러를 검출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디버거는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중단시키고 변수의 값을 확인하거나 코드의 실행 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서 에러를 찾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디버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그리고 입출력 장치 등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는?

  1. 어드레스 버스
  2. 데이터 버스
  3. 제어 버스
  4. 채널
(정답률: 53%)
  • 버스는 컴퓨터 내부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통로입니다.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등 모든 장치들은 버스를 통해 서로 통신합니다. 그 중에서도 데이터 버스는 정보를 전송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버스는 이진수로 표현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등 모든 장치들이 데이터 버스를 공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는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버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전체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용하기 위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나?

  1. 모니터
  2. 오퍼레이팅 시스템
  3. 시스템 프로그래밍
  4.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정답률: 89%)
  •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전체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다. 모니터는 컴퓨터의 출력 장치이며,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기술이며, 마이크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의 제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일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비해서 bit - sliced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가지는 특징은?

  1. cost가 싸다.
  2. 속도가 빠르다.
  3. 신뢰도가 높다.
  4. 용도에 맞게 MPU를 구성할 수 있다.
(정답률: 77%)
  • bit-sliced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여러 개의 작은 비트 슬라이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비트 슬라이스를 조합하여 용도에 맞게 MPU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일반 마이크로프로세서와는 달리, 더욱 효율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용도에 맞게 MPU를 구성할 수 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마이크로컴퓨터 운영체제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파일 보호
  2. 파일 디렉토리 관리
  3. 상주 모니터로의 모드 전환
  4. 사용자 프로그램의 번역 및 실행
(정답률: 82%)
  • 마이크로컴퓨터 운영체제의 기능은 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사용자 프로그램의 번역 및 실행"은 운영체제가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번역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이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파일 보호", "파일 디렉토리 관리", "상주 모니터로의 모드 전환"은 모두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다른 기능들로, 파일 보호는 사용자가 중요한 파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파일 디렉토리 관리는 파일을 구조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상주 모니터로의 모드 전환은 운영체제가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운영체제의 기능 중 하나이지만, "사용자 프로그램의 번역 및 실행"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소 지정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주소 부분의 길이는 길수록 좋다.
  2. 지정할 수 있는 범위가 클수록 좋다.
  3. 수행 속도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4.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한두가지만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67%)
  • 주소 부분의 길이가 길수록 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지정할 수 있는 범위가 클수록 좋다. 이는 메모리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응용 프로그래머를 위해 미리 프로그램 업체에서 제공하는 작업용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macro
  2. utility program
  3. library program
  4. monitoring program
(정답률: 77%)
  • 작업용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래머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미리 구현해 놓은 프로그램으로, 이 중에서 다른 프로그램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library progra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레지스터(register) 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ccumulator
  2. ALU(Arithmatic Logic Unit)
  3. Program Counter
  4. Stack Pointer
(정답률: 56%)
  • ALU는 레지스터 군에 속하지 않습니다. ALU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입니다. 반면, Accumulator, Program Counter 및 Stack Pointer는 모두 레지스터 군에 속합니다. Accumulator는 중앙 처리 장치(CPU)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며, 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며, Stack Pointer는 스택 메모리의 최상위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주소 선(address line)이 16개인 CPU의 직접 액세스가 가능한 메모리 공간은 몇 Kbyte인가?

  1. 32
  2. 64
  3. 128
  4. 256
(정답률: 70%)
  • 주소 선이 16개인 CPU는 2^16 (65536) 개의 메모리 주소를 직접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주소는 1 바이트씩이므로, 총 메모리 공간은 65536 바이트 또는 64 Kbyte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순차 액세스 기억장치는?

  1. magnetic disk
  2. magnetic tape
  3. cache memory
  4. magnetic bubble
(정답률: 94%)
  • 순차 액세스 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쓰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방식은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따라 액세스 속도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데이터를 빠르게 찾아야 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비해 magnetic tape은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백업하는 데에 적합하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데 높은 효율성을 보인다. 따라서 magnetic tape이 순차 액세스 기억장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충격식(impact) 프린터에 속하는 것은?

  1. 레이저(laser) 방식
  2. 열감응(thermal) 방식
  3. 잉크 젯(ink jet) 방식
  4. 데이지 휠(daisy wheel) 방식
(정답률: 73%)
  • 데이지 휠 방식은 문자를 출력할 때 회전하는 휠에 문자가 새겨져 있고, 휠이 회전하면서 인쇄물에 문자를 찍어내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인쇄 속도가 느리고, 문자를 바꾸기 위해서는 휠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순차접근 방식이고 속도가 빠르며 메모리 셀이 콘덴서로 되어 있어 충전 전하를 이동시키면서 시프트 레지스터 기능을 갖는 보조 기억장치는?

  1. 자기 버블(magnetic bubble) 메모리
  2. CCD(charge coupled device)
  3.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4. 자기 코어(magnetic core)
(정답률: 67%)
  • CCD는 콘덴서로 된 메모리 셀을 사용하여 충전 전하를 이동시키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접근하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보조 기억장치이다. 이에 반해 자기 버블 메모리, 자기 테이프, 자기 코어는 각각 자기장, 자기 테이프, 자기 필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CCD가 순차접근 방식이면서 빠른 속도와 셀 구성이 콘덴서로 되어 있어 시프트 레지스터 기능을 갖는 보조 기억장치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512 byte 크기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데 사용되는 어드레스 라인(address line)은 몇 개인가?

  1. 8
  2. 9
  3. 11
  4. 10
(정답률: 91%)
  • 512 byte는 2의 9승인 512를 2진수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9개의 어드레스 라인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