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

1. 제어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2. 제어문에는 무조건 제어문과 조건 제어문이 있다.
  3. 무조건 제어문은 어떤 조건 없이 무조건 지정한 곳으로 제어를 옮긴다.
  4. 조건 제어문은 여러 경로를 통하여 한꺼번에 여러 경로로 제어를 옮긴다.
(정답률: 85%)
  • "무조건 제어문은 어떤 조건 없이 무조건 지정한 곳으로 제어를 옮긴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조건 제어문은 여러 개의 조건을 판단하여 각각 다른 경로로 제어를 옮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경로를 통해 제어를 옮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f-else문에서 조건에 따라 if 블록 또는 else 블록으로 제어를 옮길 수 있습니다.

    반면에 무조건 제어문은 조건 없이 항상 같은 곳으로 제어를 옮기기 때문에, 다른 경로로 제어를 옮길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goto문은 항상 지정한 레이블로 제어를 옮기기 때문에 다른 경로로 제어를 옮길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제어 대상물인 기계가 그림과 같이 여러대 있는 것을 1대의 PLC로 제어하는 시스템은?

  1. 버스 시스템
  2. 집중 시스템
  3. 분산 시스템
  4. 계층 시스템
(정답률: 70%)
  • 여러 대의 기계를 1대의 PLC로 제어하는 시스템이므로, PLC가 중앙에서 모든 기계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집중 시스템"이다. 다른 보기들은 분산적으로 제어되거나 계층적으로 제어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셈블리 명령에서 프로그램의 필요한 기억 장소 확보를 하며, 그 기억 장소에 필요한 초기값은 설정하지 않는 것은?

  1. DC
  2. NC
  3. DS
  4. DF
(정답률: 73%)
  • 정답은 "DS"입니다. "DS"는 Define Storage의 약자로,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기억 장소를 확보하지만 초기값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DC"는 Define Constant의 약자로, 상수를 정의하며 초기값을 설정합니다. "NC"는 Name Constant의 약자로, 상수를 정의하지만 초기값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DF"는 Define Floating Point의 약자로, 부동 소수점 값을 정의하며 초기값을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PL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자이다.
  2. 일반적으로 시퀀스(Sequence)라고도 불리운다.
  3. 마이크로컴퓨터 및 메모리를 중심으로 하는 전자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4. PLC는 가정용 콘트롤러로 주로 이용된다.
(정답률: 83%)
  • PLC는 가정용 콘트롤러로 주로 이용되지 않는다. PLC는 산업용 자동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가 소프트웨어 설계상 가장 크게 공헌한 점은?

  1. 코드의 재사용
  2. 코드의 효율성
  3. 코드의 자동성
  4. 코드의 정확성
(정답률: 65%)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는 코드를 객체 단위로 구성하고, 이러한 객체들을 조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 이렇게 작성된 코드는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재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줍니다. 따라서 "코드의 재사용"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가 소프트웨어 설계상 가장 크게 공헌한 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C 언어의 비트 연산자가 아닌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4%)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 "<<", "~"은 모두 비트 연산자이지만, "&&"은 논리 연산자입니다.

    "&"는 두 비트를 AND 연산하여 결과를 반환합니다.

    "<<"는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자입니다.

    "~"는 비트를 반전시키는 연산자입니다.

    "&&"는 두 개의 논리식을 AND 연산하여 결과를 반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PLC의 프로그램 방식을 시퀀스 회로를 변화시킨 회로도 방식과 기계 등의 동작을 직접 프로그램한 동작도 방식으로 분류할 경우 회로도 방식에 의한 프로그램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래더도 방식
  2. 명령어 방식
  3. 로직 방식
  4. 플로우챠트 방식
(정답률: 45%)
  • 플로우챠트 방식은 PLC의 프로그램 방식이 아니라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방식이기 때문에 회로도 방식에 의한 프로그램의 종류가 아니다. 플로우챠트 방식은 프로그램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PLC에서는 주로 래더도 방식, 명령어 방식, 로직 방식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법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인간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유사한 점이 많아 대형 프로그램을 작성하기가 용이하다.
  2. 구조적 프로그래밍 방법보다 프로그램을 읽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3.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자료가 하나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자료 추상화의 개념을 이용한 방법이다.
  4. 절차 언어, 함수 언어, 논리 언어 등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법이라고 한다.
(정답률: 75%)
  • 절차 언어, 함수 언어, 논리 언어 등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법이라고 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자료가 하나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자료 추상화의 개념을 이용한 방법이며, 인간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유사한 점이 많아 대형 프로그램을 작성하기가 용이하고 구조적 프로그래밍 방법보다 프로그램을 읽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C 언어 연산자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54%)
  •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연산자는 ","입니다. 이는 쉼표 연산자로, 왼쪽 피연산자를 평가한 후 오른쪽 피연산자를 평가하고, 마지막으로 오른쪽 피연산자를 반환합니다. 이 연산자는 주로 for문에서 사용되며, 여러 개의 식을 한 줄에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C 언어의 기억 클래스 종류가 아닌 것은?

  1. 내부(internal) 변수
  2. 자동(automatic) 변수
  3. 정적(static) 변수
  4. 레지스터(register) 변수
(정답률: 79%)
  • 내부 변수는 C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기억 클래스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자료 처리를 위해서 고급 언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은?

  1. 시스템 프로그램(system program)
  2.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3. 번역 프로그램(translator program)
  4. 제너럴 프로그램(general program)
(정답률: 84%)
  •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프로그램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자료 처리를 위해 고급 언어 등을 이용하여 작성됩니다. 이는 시스템 프로그램과는 달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작성되며, 번역 프로그램과 제너럴 프로그램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 언어에서 부호 없는 10진 정수를 출력하고자 할 때 printf 문의 변환 문자는?

  1. %u
  2. %x
  3. %c
  4. %f
(정답률: 72%)
  • "%u"는 부호 없는 10진 정수를 출력하기 위한 변환 문자이다. 이는 unsigned int 형식의 값을 출력할 때 사용된다. 부호 없는 정수는 음수 값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표현하기 위해 부호 없는 형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u"는 부호 없는 10진 정수를 출력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변환 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은 PLC에 의한 제어 시스템 중 어떤 시스템에 해당하는가?

  1. 단독 시스템
  2. 집중 시스템
  3. 분산 시스템
  4. 계층 시스템
(정답률: 79%)
  • 위 그림은 분산 시스템에 해당한다. PLC들이 서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중앙 집중적인 제어가 아닌 분산적인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셈블리 언어에서 설명문은 어느 기호를 시작으로 삽입되는가?

  1. ;
  2. :
  3. %
  4. $
(정답률: 47%)
  • 어셈블리 언어에서 설명문은 세미콜론 (;) 기호를 시작으로 삽입된다. 이는 컴파일러가 해당 줄을 무시하고 실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세미콜론 이후의 내용은 주석으로 처리되어 프로그램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 언어에서 포인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인터는 메모리 주소를 가질 수 있는 형이다.
  2. 포인터는 메모리 주소값과 메모리 주소가 가르키는 위치에 있는 값을 다룰 수 있다.
  3. 포인터의 주소 연산자는 "%"를 이용하여 사용자 임의로 만들 수 있다.
  4. 배열과 같은 연속된 데이터 집합을 다룰 때 포인터 연산을 이용하면 유용하다.
(정답률: 87%)
  • "포인터의 주소 연산자는 '%'를 이용하여 사용자 임의로 만들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포인터의 주소 연산자는 '&'이며, 이는 C 언어에서 고정된 연산자이다. '%'는 나머지 연산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고급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였다. 번역 도중에 발생한 문법에러를 모두 수정하여 실행 파일을 만들었으나 실행 결과가 정확하지 않았다.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논리적인 문제점을 검토할 수 있는가?

  1.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2. 어셈블러(assembler)
  3. 디버거(debugger)
  4. 링커(linker)
(정답률: 87%)
  • 디버거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코드의 동작을 추적하고 변수의 값을 확인하며 논리적인 문제점을 찾아내는 도구이다. 따라서 실행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디버거를 사용하여 코드의 동작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낼 수 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어셈블러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한다.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어진 문장이 정의된 문법 구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가를 검사하여 분석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어휘 분석
  2. 구문 분석
  3. 중간 코드 생성기
  4. 의미 분석
(정답률: 65%)
  • 구문 분석은 문장을 문법 구조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이 문법 구조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 구문 분석의 주요 역할이다. 어휘 분석은 단어의 의미와 역할을 분석하는 작업이며, 중간 코드 생성기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중간 단계의 코드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의미 분석은 문장의 의미를 분석하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셈블리에서 어드레스 전송명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LDS
  2. LEA
  3. LES
  4. LAHF
(정답률: 39%)
  • LAHF는 어드레스 전송 명령이 아니라 레지스터 값을 다른 레지스터로 전송하는 명령 중 하나입니다. LDS, LEA, LES는 모두 어드레스 전송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 언어에서 사용되는 반복 구조문이 아닌 것은?

  1. while 문
  2. do while 문
  3. for 문
  4. if 문
(정답률: 67%)
  • 반복 구조문은 특정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if 문은 단순히 조건에 따라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복 구조문이 아닙니다. 즉, if 문은 조건에 따라 한 번만 실행되는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객체지향 언어에서 비슷한 객체들을 그룹으로 묶어서 그들의 속성과 메소드들을 그룹별로 정의한 것은?

  1. 애트리뷰트
  2. 클래스
  3. 메시지
  4. 인터페이스
(정답률: 69%)
  • 클래스는 객체지향 언어에서 비슷한 객체들을 그룹으로 묶어서 그들의 속성과 메소드들을 그룹별로 정의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객체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추상화하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래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21. IEEE 802 표준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을 MAC, LLC 두 개의 부계층으로 나누고 있다. 이렇게 두 개로 분리한 가장 적절한 이유는?

  1. 다양한 MAC 프로토콜 기술을 수용하기 위하여
  2. 원할한 통신을 위하여
  3. 고속 통신을 위하여
  4. 프로토콜의 안정성을 위하여
(정답률: 55%)
  • MAC 부계층은 다양한 MAC 프로토콜 기술을 수용하기 위해 분리되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새로운 기술이나 요구사항이 등장할 때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로 하드와이어 전송 매체에서 발생되며, 전송 매체를 통한 신호 전달이 주파수에 따라 그 속도를 달리 함으로써 유발되는 신호 손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감쇠현상
  2. 잡음
  3. 지연왜곡
  4. 누화잡음
(정답률: 30%)
  • 전송 매체를 통한 신호 전달이 주파수에 따라 그 속도를 달리 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의 지연 시간이 서로 다르게 되면, 원래의 신호와 다르게 왜곡된 신호가 수신측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지연왜곡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과 같은 이진트리(Binary tree)의 운행법(traversal)중 POSTORDER에 의한 결과는?

  1. ABCDEFHG
  2. DBAEHCFG
  3. DBHEGFCA
  4. ABCDEHFG
(정답률: 67%)
  • POSTORDER 운행법은 왼쪽 서브트리, 오른쪽 서브트리, 루트 노드 순으로 운행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진트리를 POSTORDER 운행법으로 운행하면 다음과 같은 순서가 됩니다.

    D -> B -> H -> E -> G -> F -> C -> A

    따라서 정답은 "DBHEGFCA" 입니다.

    이진트리의 구조를 보면 루트 노드가 A이고, 왼쪽 서브트리는 B, D, E, H로 이루어져 있고, 오른쪽 서브트리는 C, F, G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POSTORDER 운행법으로 운행하면 먼저 왼쪽 서브트리인 B, D, E, H를 운행하고, 그 다음에 오른쪽 서브트리인 C, F, G를 운행하고, 마지막으로 루트 노드인 A를 운행하면 됩니다. 이렇게 운행하면 위에서 언급한 순서인 "DBHEGFCA"가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으로 자료를 추가하는데 있어서 해시(hash)함수가 반드시 필요한 file은?

  1. SAM file
  2. ISAM file
  3. DAM file
  4. VSAM file
(정답률: 64%)
  • 해시(hash)함수는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DAM file은 데이터를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저장하므로 해시함수가 반드시 필요한 file이다. SAM file과 ISAM file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데 사용되며, VSAM file은 가변길이 레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선형리스트(linear list)에 해당하지 않는 자료 구조는?

  1. stack
  2. queue
  3. tree
  4. deque
(정답률: 79%)
  • 선형리스트는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한 자료 구조이며,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양쪽 끝에서만 가능합니다. 반면에 트리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자료 구조로, 부모와 자식 노드 간의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는 선형리스트와는 다른 형태의 자료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indexed sequential file은 일반적으로 세 영역으로 구성된다. 다음 중 세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prime area
  2. access area
  3. index area
  4. overflow area
(정답률: 43%)
  • indexed sequential file은 "prime area", "index area", "overflow area" 세 영역으로 구성된다. "access area"는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십진수 "+17"과 "-17"을 2의 보수(2'S Complement) 형태로 옳게 표현한 것은?

  1. +17 : 00010001, -17 : 10010001
  2. +17 : 10010000, -17 : 11110010
  3. +17 : 00010001, -17 : 11101111
  4. +17 : 00010001, -17 : 11101110
(정답률: 77%)
  • 2의 보수는 어떤 수의 보수를 취하면 그 수와 자리수가 모두 반대인 수를 더한 값이 2의 n승이 되는 수이다. 따라서 "+17"의 2의 보수는 "-17"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17"을 2진수로 표현한 후, 모든 자리수를 반대로 바꾼 뒤 1을 더해준다.

    "+17"을 2진수로 표현하면 "00010001"이 된다. 이를 모든 자리수를 반대로 바꾸면 "11101110"이 되고, 여기에 1을 더해주면 "-17"의 2의 보수인 "1110111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 : 00010001, -17 : 11101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웹 부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서비스는?

  1. 전자 우편 서비스
  2. FTP 서비스
  3. HTTP 서비스
  4. SNMP 서비스
(정답률: 77%)
  • 웹 부라우저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FTP 프로토콜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며, 전자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지만, SNMP 서비스는 웹 부라우저에서 직접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SNMP 서비스는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별도의 SNM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OSI 계층 중 종단간(end-to-end)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69%)
  • 전송 계층은 종단간(end-to-end)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이를 위해 전송 계층은 데이터의 분할, 재조립,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종단간(end-to-end) 통신에서는 전송 계층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통신 속도가 200[baud]이고, 보오당 스탭 수가 4 일 때 1분 간의 송신 가능 속도는 몇 [bps]인가?

  1. 12,000
  2. 24,000
  3. 48,000
  4. 96,000
(정답률: 48%)
  • 1분은 60초이므로, 1초당 송신 가능한 비트 수는 다음과 같다.

    200 [baud] × 4 [bits per symbol] = 800 [bps]

    따라서, 1분 동안 송신 가능한 비트 수는 다음과 같다.

    800 [bps] × 60 [seconds] = 48,000 [bits]

    따라서, 정답은 "24,000"이 아닌 "48,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DBMS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의 중복 최대화
  2. 데이터의 공용화
  3.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4.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정답률: 70%)
  • 데이터의 중복 최대화는 DBMS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데이터의 중복이 많아지면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데이터의 공용화를 통한 효율성도 떨어진다. 따라서 DBMS는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Pivot 원소를 중심으로 왼쪽은 Key 값이 작은것, 오른쪽은 Key 값이 큰 것으로 하여 분해시키는 방식의 정렬(sort)은?

  1. Bubble 정렬
  2. Insertion 정렬
  3. Quick 정렬
  4. Shell 정렬
(정답률: 59%)
  • Quick 정렬은 Pivot 원소를 중심으로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방식으로 정렬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다. Pivot 원소를 기준으로 왼쪽은 Pivot보다 작은 값, 오른쪽은 Pivot보다 큰 값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부분 리스트에 대해 재귀적으로 Pivot을 선택하여 분할 정복을 반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평균적으로 O(nlog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대부분의 경우 다른 정렬 알고리즘보다 빠르게 동작한다. 따라서, Quick 정렬이 Pivot 원소를 중심으로 분할하는 방식의 정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시분할 다중화(TDM)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동작하는 여러 대의 전송장치들이 고속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통신 회선을 공유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2.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STDM)는 한 전송회선의 대역폭을 일정한 시간 단위로 나누어 각 채널에 할당하는 방식이다.
  3. STDM은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전체적인 전송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4.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ATDM)는 헤더 정보를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STDM에 비해 시간 슬롯당 정보 전송률이 증가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STDM)는 한 전송회선의 대역폭을 일정한 시간 단위로 나누어 각 채널에 할당하는 방식이다." 이다. 이 방식은 전송장치들이 동일한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일정한 시간 단위로 전송회선을 분할하여 각 채널에 할당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여러 대의 전송장치들이 하나의 전송회선을 공유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스택(stack)과 관계있는 내용은?

  1.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이루어진다.
  2. 선형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가능하다.
  3. 입력은 한쪽에서, 출력은 양쪽에서 이루어진다.
  4. 선입선출(FIFO) 구조이다.
(정답률: 67%)
  • 스택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는 구조로,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이루어진다. 이는 스택이 후입선출(LIFO) 구조이기 때문이다. 즉, 가장 최근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스택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는 구조로서,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데이터 통신에서 에러 비트를 검사하고 정정할 수 있는 오류 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1. CRC 방식
  2. 해밍부호
  3. BCH 방식
  4. ARQ 방식
(정답률: 64%)
  • ARQ 방식은 에러를 검사하고 정정하는 오류 제어 방식이 아니라, 에러가 발생하면 재전송을 요청하여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RC 방식, 해밍 부호, BCH 방식은 모두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위한 오류 제어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아날로그-디지털 부호화 방식인 PCM(Pulse Code Modulation)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표본화(Sampling)→양자화(Quantization)→부호화(Encoding)
  2. 양자화(Quantization)→부호화(Encoding)→표본화(Sampling)
  3. 부호화(Encoding)→양자화(Quantization)→표본화(Sampling)
  4. 표본화(Sampling)→부호화(Encoding)→양자화(Quantization),
(정답률: 77%)
  • 정답은 "표본화(Sampling)→양자화(Quantization)→부호화(Encoding)"입니다.

    먼저, 표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다음으로, 양자화는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을 대표하는 값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디지털 신호의 정확도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는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진수로 변환된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되거나 전송됩니다.

    따라서, 표본화(Sampling)→양자화(Quantization)→부호화(Encoding)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과 같은 트리에서 트리의 차수(degree)와 깊이(depth)는 각각 얼마인가?

  1. 2, 4
  2. 3, 4
  3. 3, 5
  4. 4, 5
(정답률: 77%)
  • 트리의 차수는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루트 노드의 차수는 3이고, 나머지 노드들의 차수는 2이다.

    트리의 깊이는 루트 노드에서 가장 깊숙히 있는 노드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장 깊숙히 있는 노드는 레벨 5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트리의 깊이는 5이다.

    따라서, 정답은 "3,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싱(hashing)에서 동일한 버켓 주소를 갖는 레코드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collision
  2. synonym
  3. slot
  4. folding
(정답률: 72%)
  • 해싱에서 동일한 버켓 주소를 갖는 레코드들의 집합을 synonym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해시 함수가 서로 다른 레코드들을 같은 버켓에 할당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충돌 해결 기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AN 분류 시 매체 접근 방식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SMA/CD
  2. Token Ring
  3. Token Bus
  4. LLC(Logical Link Control)
(정답률: 79%)
  • LLC(Logical Link Control)은 매체 접근 방식이 아닌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매체 접근 방식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매체 접근 방식에 따른 분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두 개의 LAN이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을 연결하는 요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브리지(bridge)
  2. 허브(hub)
  3. 게이트웨이(gateway)
  4. 모뎀(modem)
(정답률: 53%)
  • 두 개의 LAN을 연결하는 요소를 브리지(bridge)라고 부릅니다. 이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두 개의 LAN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LAN으로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LAN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결합되어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허브(hub)는 단순히 데이터를 중계하는 역할만 하며, 게이트웨이(gateway)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모뎀(modem)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41. 리커션(recursion)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은?

  1. 한 루틴(routine)이 반복될 때
  2. 한 루틴(routine)이 자기를 다시 부를 때
  3. 다른 루틴(routine)이 다른 루틴을 부를 때
  4. 한 루틴(routine)에서 다른 루틴으로 갈 때
(정답률: 55%)
  • 리커션(recursion)은 한 루틴(routine)이 자기를 다시 부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함수나 프로시저가 자신을 호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반복문과는 다른 방식의 반복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연관 메모리(associative memory)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주소 매핑(mapping)
  2. 내용 지정 메모리(CAM)
  3.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에 의한 access
  4. 기억장치에 저장된 항목을 찾는 시간 절약
(정답률: 55%)
  • 주소 매핑(mapping)은 연관 메모리의 특징이 아니라 일반적인 메모리 구조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주소 매핑은 주소를 특정한 위치에 매핑하여 해당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메모리는 내용 지정 메모리(CAM)과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에 의한 access, 그리고 기억장치에 저장된 항목을 찾는 시간 절약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논리 마이크로 연산에 있어서 레지스터 A와 B의 값이 단서와 같이 주어졌을 때 selective-set 연산을 수행하면 어떻게 되는가? (단, A는 프로세서 레지스터이고, B는 논리 오퍼랜드, A=1010, B=0011)

  1. 1100
  2. 1011
  3. 0011
  4. 1010
(정답률: 72%)
  • Selective-set 연산은 B의 비트 값이 1인 위치에서 A의 해당 비트 값을 1로 설정하는 연산이다. 따라서 B의 1인 비트 위치는 1번째와 2번째 비트이고, A의 해당 비트 값을 1로 설정하면 A의 값은 101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Supervisor Call
  2. 정전
  3. 분기 명령의 실행
  4. 데이터 에러
(정답률: 59%)
  • 분기 명령의 실행은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으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일반적인 실행 흐름을 따라 진행되는 것이며, 인터럽트는 외부적인 이벤트나 예외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분기 명령의 실행은 인터럽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인터럽트 요인이 발생했을 때 CPU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데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
  2. 플래그 상태 조건 내용
  3. 모든 레지스터의 내용
  4. CPU의 수행 속도
(정답률: 62%)
  • 인터럽트 요인이 발생하면 CPU는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으로 이동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합니다. 이때 CPU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는 현재 레지스터의 내용과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 그리고 플래그 상태 조건 내용 등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CPU의 수행 속도는 인터럽트 요인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우선 순위를 판별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데이지체인
  2. 폴링
  3. 핸드쉐이킹
  4. 인터럽트 벡터
(정답률: 74%)
  •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우선 순위를 판별하는 방법을 "폴링"이라고 한다. 이는 시스템이 주기적으로 각 디바이스나 프로세스를 확인하여 우선 순위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디바이스나 프로세스가 직접 인터럽트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데이지체인", "핸드쉐이킹", "인터럽트 벡터"와 같은 다른 방식들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PC는 다음에 실행할 번지를 갖고 있는 레지스터이다.
  2. 제어 신호는 마이크로 동작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한다.
  3. fetch 사이클은 CPU가 메모리에서 명령을 가져오는 사이클이다.
  4. CPU의 제어 장치는 명령 레지스터와 신호 발생장치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85%)
  • CPU의 제어 장치는 명령 레지스터와 신호 발생장치만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제어 장치는 명령 레지스터, 신호 발생장치, 제어 유닛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설명 중 부프로그램과 매크로(Macro)의 공통점은?

  1. 삽입하여 사용한다.
  2. 분기로 반복을 한다.
  3.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한다.
  4. 여러번 중복되는 부분을 별도로 작성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77%)
  • 부프로그램과 매크로는 여러번 중복되는 부분을 별도로 작성하여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코드의 길이를 줄여 가독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가상 기억장치(virtual memory)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컴퓨터의 용량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2. 가상기억공간의 구성은 프로그램에 의해서 수행된다.
  3. 가상기억장치의 목적은 기억공간이 아니라 속도이다.
  4.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가 계층기억체제를 이루고 있다.
(정답률: 80%)
  • 가상기억장치의 목적은 기억공간이 아니라 속도이다는 것은, 가상기억장치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의 중간 단계로 사용되어, 주기억장치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조기억장치의 속도 저하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상기억장치의 목적은 기억공간이 아니라 속도이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데이터 입뺏출력 전송이 CPU를 통하지 않고 직접 주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방식은?

  1. Bus
  2. DMA
  3. Cache
  4. Interleaving
(정답률: 85%)
  •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CPU의 개입 없이 주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입출력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지고 CPU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스택 메모리에 대한 정보의 입曺출력 방식은?

  1. FIFO
  2. FILO
  3. LILO
  4. LIFO
(정답률: 91%)
  • 스택 메모리는 후입선출(LIFO)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는 가장 최근에 추가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제거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스택 메모리는 데이터를 쌓아 올리는(push) 동작과 데이터를 꺼내는(pop) 동작을 수행하며, 이때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지게 됩니다. 따라서 후입선출 구조를 따르는 LIFO 방식이 스택 메모리의 입출력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컴퓨터의 윈도우 창에 여러 윈도우를 열어놓고 작업하는 것을 주기억장치 처리 방법으로 무엇이라 하는가?

  1. 보조 프로그램
  2. 멀티프로세싱
  3. 멀티프로그래밍
  4. 리얼타임 프로그램
(정답률: 58%)
  • 정답: 멀티프로그래밍

    설명: 멀티프로그래밍은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고, 각각의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주기억장치 처리 방법이다. 따라서 컴퓨터의 윈도우 창에 여러 윈도우를 열어놓고 작업하는 것도 멀티프로그래밍의 예시 중 하나이다. 다른 보기들은 보조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메인 프로그램을 보조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멀티프로세싱은 여러 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리얼타임 프로그램은 정해진 시간 안에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Half - Adder는 2bit(x,y)를 산술적으로 가산하는 조합회로이며, 이에 해당하는 진리표는 이래와 같다. 캐리(c)와 합(s)를 논리적으로 구한 것은?

  1. S=x ⊕ y, C=xy
  2. S=xy+xy', C=x'y
  3. S=x ⊕ y, C=xy'
  4. S=xy'+y, C=xy
(정답률: 79%)
  • Half-Adder는 두 개의 입력 비트(x, y)를 받아서 합(s)과 캐리(c)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합(s)은 입력 비트 중 하나만 1인 경우에 1이 되므로 XOR 연산으로 구할 수 있다.

    캐리(c)는 입력 비트가 모두 1인 경우에만 1이 되므로 AND 연산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S=x ⊕ y, C=xy"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억장치가 아닌 것은?

  1. 자기 드럼 장치
  2. 자기 디스크 장치
  3. 자기 테이프 장치
  4. 자기 잉크 문자 읽어내기 장치
(정답률: 79%)
  • 기억장치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오는 장치를 말하는데, "자기 드럼 장치", "자기 디스크 장치", "자기 테이프 장치"는 모두 기억장치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자기 잉크 문자 읽어내기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오는 기능이 아니라, 인쇄된 문자를 인식하여 읽어내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기억장치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하드웨어 우선 순위 인터럽트의 특징은?

  1. 가격이 싸다.
  2. 응답속도가 빠르다.
  3. 유연성이 있다.
  4. 우선순위는 소프트웨어로 결정한다.
(정답률: 85%)
  • 하드웨어 우선 순위 인터럽트는 하드웨어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하드웨어의 특성 상 주기억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전달의 능력 한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주기억장치 밴드폭
  2. 주기억장치 접근률
  3. 주기억장치 접근 실패
  4. 주기억장치사용의 편의성
(정답률: 89%)
  • 주기억장치 밴드폭은 주기억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의미합니다. 하드웨어의 특성상 주기억장치의 밴드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기억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전달의 능력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억장치 밴드폭은 주기억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전달의 능력 한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0-번지(zero-address) 명령형을 갖는 컴퓨터 구조의 원리는 어느 것을 사용하는가?

  1. accumulator extension register
  2. virtual memory architecture
  3. stack architecture
  4. micro-programming
(정답률: 83%)
  • 0-번지(zero-address) 명령어는 스택 구조에서 사용된다. 스택 구조는 데이터를 저장할 스택 메모리와 스택 포인터를 가지고 있으며, 명령어에서 필요한 데이터는 스택 메모리에 저장되고, 스택 포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한다. 따라서 0-번지 명령어는 스택 구조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8진수 0.54를 십진수로 나타내면?

  1. 0.6875
  2. 0.8756
  3. 0.7568
  4. 0.5687
(정답률: 37%)
  • 8진수 0.54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0.54(8) = 5/8 + 4/64 = 0.625 + 0.0625 = 0.6875(10)

    따라서, 정답은 "0.68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명령을 꺼내서 해독하고, 시스템 전체에 지시 신호를 내는 것은?

  1. channel
  2. ALU
  3. control unit
  4. I/O unit
(정답률: 69%)
  •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해독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시스템 전체에 전달하는 것이 제어 장치의 역할이며, 이를 담당하는 것이 "control unit" 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처리나 입출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반드시 누산기가 필요한 주소지정방식은?

  1. 0-Address 주소지정방식
  2. 1-Address 주소지정방식
  3. 2-Address 주소지정방식
  4. 3-Address 주조지정방식
(정답률: 62%)
  • 1-Address 주소지정방식은 주소에 해당하는 값이 하나의 누산기에 누적되어 계산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누산기가 필요하며, 다른 주소지정방식과는 달리 주소에 해당하는 값이 하나뿐이므로 누산기가 하나면 충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운영체제의 운영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여러 프로그램들이 같이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되어 주기억장치에 적재되고, 이들이 처리장치를 번갈아 사용하며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다중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개념이라고 한다.
  2. 한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대화식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처리속도가 매우 빨라 사용자는 독립적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배치처리(Batch Processing)라고 한다.
  3. 한 대의 컴퓨터에 중앙처리장치(CPU)가 2개 이상 설치되어 여러 명령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을 다중프로 세싱(Multiprocessing) 방식이라고 한다.
  4. 여러 대의 컴퓨터들에 의해 작업들을 나누어 처리하여 그 내용이나 결과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 교환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분산처리(Distributed Processing) 시스템이라고 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한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대화식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처리속도가 매우 빨라 사용자는 독립적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배치처리(Batch Processing)라고 한다." 이다. 배치처리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며, 사용자가 대화식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은 시분할(Time Sharing)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절대로더에서 각각의 기능과 수행 주체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 - 로더
  2. 재배치 - 어셈블러
  3. 적재 - 로더
  4. 기억장소할당 - 프로그래머
(정답률: 50%)
  • "연결 - 로더"가 옳지 않은 것이다. 연결은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여러 개의 모듈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합치는 작업을 의미하며, 이 작업은 링커(Linker)가 수행한다. 로더(Loader)는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연결과 로더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주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프로세스(Process)의 정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2. 실행중인 프로그램
  3. 프로시저의 활동
  4.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
(정답률: 64%)
  •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로,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프로시저의 활동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로서, 다른 프로세스와 통신하거나 입출력 작업을 수행하며, 운영체제의 스케줄링에 따라 CPU를 할당받아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운영체제에서 커널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스 생성, 종료
  2. 사용자 인터페이스
  3. 기억 장치 할당, 회수
  4. 파일 시스템 관리
(정답률: 72%)
  •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커널의 주요 기능은 하드웨어 자원 관리,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등입니다. 반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운영체제의 일부분이지만, 커널의 기능은 아닙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나 명령 줄 인터페이스(CLI)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커널의 기능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UNIX 시스템의 구조 중 사용자와 직접 대화하는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으로 받아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 해석기 역할을 하는 계층은 어느 것인가?

  1. 커널(kernel)
  2. 쉘(shell) 프로그램
  3. 기억장치 관리기
  4. 스케줄러(scheduler)
(정답률: 74%)
  • 쉘 프로그램은 사용자와 직접 대화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하여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 해석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계층은 "쉘(shell) 프로그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한 프로세스가 공유 메모리 혹은 공유 파일을 사용하고 있을 때 다른 프로세스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배제시키는 제어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Deadlock
  2. Mutual Exclusion
  3. Interrupt
  4. Critical Section
(정답률: 56%)
  • Mutual Exclusion은 한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사용하는 동안 다른 프로세스들이 해당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배제시키는 제어 기법이다. 따라서 다른 프로세스들이 동시에 해당 자원에 접근하여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UNIX에서 파일 모드가 다음과 같을 때, 옳은 설명은?

  1. 디렉토리 파일이다.
  2. 입출력장치 화일이다.
  3. 어떤 사용자라도 실행시킬 수 있다.
  4. 어떤 사용자라도 파일의 읽기가 가능하다.
(정답률: 62%)
  • 파일 모드에서 맨 앞의 숫자 1은 일반 파일을 나타내고, 7은 이 파일에 대한 권한을 나타낸다. 7은 111(2)로, 첫 번째 자리는 소유자, 두 번째 자리는 그룹, 세 번째 자리는 기타 사용자의 권한을 나타낸다. 각 자리의 숫자는 4(읽기), 2(쓰기), 1(실행)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777은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 모두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떤 사용자라도 실행시킬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UNIX 에서 파일의 조작을 위한 명령어가 아닌 것은?

  1. cp
  2. mv
  3. ls
  4. rm
(정답률: 70%)
  • "ls"는 파일의 조작을 위한 명령어가 아니라 파일 및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cp"는 파일 복사, "mv"는 파일 이동 또는 이름 변경, "rm"은 파일 삭제를 위한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닉스의 파일 시스템에서 슈퍼블럭(superbloc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가능한 i-node의 개수를 알 수 있다.
  2. 부트 스트랩시에 사용되는 코드를 갖고 있다.
  3. file 시스템마다 각각의 슈퍼블럭을 가지고 있다.
  4. 사용 가능한 디스크 블럭의 개수를 알 수 있다.
(정답률: 47%)
  • 슈퍼블럭은 파일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중 하나로, 파일 시스템의 크기, 사용 가능한 i-node 및 디스크 블록의 개수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부트 스트랩시에 사용되는 코드를 갖고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슈퍼블럭은 부트 스트랩 이후에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디스크 스케줄링에서 SCAN 기법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작업 대기 큐의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헤드의 총 트랙 이동 거리는? (단, 초기 헤드의 위치는 30 이고, 현재 0번 트랙으로 이동 중이다.)

  1. 39
  2. 59
  3. 70
  4. 151
(정답률: 45%)
  • SCAN 기법은 디스크의 한쪽 끝에서부터 시작하여 작업 대기 큐에 있는 모든 작업을 처리한 후, 반대쪽 끝까지 이동하여 다시 작업 대기 큐에 있는 모든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초기 헤드 위치인 30에서 0번 트랙으로 이동한 후, 작업 대기 큐에서 14, 15, 37, 63, 65, 89, 97번 트랙을 처리한 후, 다시 98, 183, 199번 트랙을 처리하기 위해 반대쪽 끝까지 이동해야 한다. 이동 거리는 98 - 0 + 199 - 0 = 297이므로, 작업 대기 큐의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헤드의 총 트랙 이동 거리는 297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동 거리를 4개의 보기 중에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297을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정답인 7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시스템을 설계할 때 최적의 페이지 크기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페이지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크기가 크면 페이지 테이블 공간은 증가한다.
  2. 입출력 전송시 큰 페이지가 더 효율적이다.
  3.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디스크 접근 시간 부담이 감소된다.
  4. 페이지 크기가 작으면 페이지 테이블의 단편화가 발생한다.
(정답률: 47%)
  • "입출력 전송시 큰 페이지가 더 효율적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페이지 크기가 크면 페이지 테이블 공간은 증가한다는 것은 간단하게 말해, 페이지 테이블에 필요한 엔트리 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페이지 테이블은 가상 주소 공간과 물리 주소 공간 간의 매핑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페이지 크기가 크면 더 많은 가상 주소 공간을 매핑할 수 있어야 하므로 페이지 테이블의 크기도 커져야 한다.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디스크 접근 시간 부담이 감소된다는 것은 일부분 맞을 수 있지만, 페이지 크기가 너무 커지면 디스크에서 한 번에 읽어올 수 있는 페이지 수가 줄어들어서 디스크 접근 시간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페이지 크기가 작으면 페이지 테이블의 단편화가 발생한다는 것은 페이지 테이블의 엔트리 수가 증가하면서 페이지 테이블이 물리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고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져서 메모리 공간이 낭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프로세스가 자원을 기다리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무기한 문제를 방지하는 기법은?

  1. 노화(aging) 기법
  2. 재사용(reusable) 기법
  3. 환형대기(circular wait)
  4. 치명적인 포옹(deadly embrace)
(정답률: 62%)
  • 노화 기법은 프로세스가 자원을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선순위를 높여주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자원을 무한정 기다리는 무기한 대기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화 기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SJF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기시간을 고려한 프로세스의 응답률로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프로세스 스케줄링 방법은?

  1. 우선순위(Priority) 스케줄링
  2. 다단계큐(Multilevel Feedback Queue) 스케줄링
  3. HRN 스케줄링
  4. Round-Robin 스케줄링
(정답률: 63%)
  • HRN 스케줄링은 대기시간을 고려한 응답률 우선순위 스케줄링 방법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해당 프로세스의 대기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SJF 방식의 단점인 긴 작업 시간을 가진 프로세스가 계속해서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대기시간이 긴 프로세스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응답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HRN 스케줄링이 대기시간을 고려한 응답률 우선순위 스케줄링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매크로 프로세스가 수행해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매크로 구문 인식
  2. 매크로 호출 인식
  3. 매크로 정의 인식
  4. 매크로 정의 저장
(정답률: 72%)
  • 매크로 구문 인식은 매크로 프로세스가 수행해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다. 매크로 구문 인식은 매크로 코드를 분석하여 구문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매크로 호출 인식과 매크로 정의 인식에 필요한 과정이지만, 매크로 정의 저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병렬 처리 시스템의 형태 중 분리수행(Separate - Execution)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 프로세서의 장애는 전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하나의 주프로세서와 나머지 종프로세서로 구성된다.
  3. 프로세서별 자신만의 파일 및 입출력장치를 제어한다.
  4. 프로세서별 인터럽트는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정답률: 60%)
  • "하나의 주프로세서와 나머지 종프로세서로 구성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분리수행 시스템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프로세서로 구성되며, 각각의 프로세서는 자신만의 파일 및 입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인터럽트를 독립적으로 수행합니다. 따라서 주프로세서와 종프로세서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프로세서가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파일 구성 방식 중 ISAM(Indexed Sequential Access - Method)의 물리적인 색인 구성은 디스크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색인(index)을 구성하는데, 다음 중 3단계 색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실린더 색인(cylinder index)
  2. 트랙 색인(track index)
  3. 마스터 색인(master index)
  4. 볼륨 색인(volume index)
(정답률: 80%)
  • 볼륨 색인은 디스크 내의 여러 개의 ISAM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색인으로, ISAM 파일들의 위치와 구성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파일의 물리적인 색인 구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3단계 색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볼륨 색인(volume index)"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하나의 프로세스가 작업 수행 과정에서 수행하는 기억 장치 접근에서 지나치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여 프로세스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페이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커지는 현상은?

  1. 스레싱(thrashing)
  2. 워킹세트(working set)
  3. 세마포어(semaphore)
  4. 교환(swapping)
(정답률: 91%)
  • 스레싱은 작업 수행 과정에서 페이지 폴트가 지나치게 발생하여 기억 장치 접근이 지연되고, 이로 인해 CPU가 페이지 이동에만 바쁘게 되어 실제 작업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페이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기억 장치의 한계를 초과하여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를 모두 기억 장치에 올리지 못하고 페이지 교체가 지나치게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스레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워킹세트(working set)를 통해 필요한 페이지만 기억 장치에 유지하고, 세마포어(semaphore)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간의 자원 공유를 조절하고, 교환(swapping)을 최소화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디렉토리 구조 중 가장 간단한 형태로 같은 디렉토리에 시스템에 보관된 모든 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는?

  1. 일단계 디렉토리
  2. 트리 구조 디렉토리
  3. 이단계 디렉토리
  4. 비주기 디렉토리
(정답률: 92%)
  • 일단계 디렉토리는 모든 파일이 같은 디렉토리에 보관되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디렉토리 구조이기 때문에 모든 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다른 디렉토리 구조들은 여러 개의 하위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거나 주기적으로 정리되는 등의 특징이 있어서 모든 파일 정보를 포함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일단계 디렉토리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SSTF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헤드의 현재 위치가 53 트랙이고(그전의 위치는 59 트랙이었음), 요구 큐에는 [ 98, 180, 37, 64, 10, 28 ]의 트랙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헤드는 몇 번 트랙으로 이동하겠는가?

  1. 10
  2. 28
  3. 37
  4. 64
(정답률: 67%)
  • SSTF 기법은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을 선택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현재 위치인 53 트랙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은 64 트랙이다. 따라서 헤드는 64 트랙으로 이동하게 된다. 요구 큐에서 64 트랙은 4번째로 가까운 트랙이므로 ["10", "28", "37", "64"]의 순서로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한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각 페이지마다 시간 테이블을 두어 현 시점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은?

  1. LFU
  2. FIFO
  3. LRU
  4. NUR
(정답률: 47%)
  • 정답은 "LRU"입니다. LRU 알고리즘은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으로, 각 페이지마다 시간 테이블을 두어 페이지가 사용된 시간을 기록하고,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합니다. 이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 하나입니다. LFU 알고리즘은 가장 적게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이며, FIFO 알고리즘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입니다. NUR 알고리즘은 페이지의 사용 여부와 참조 여부를 기록하여 교체할 페이지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81. 입/출력 장치와 CPU 사이에 자료 교환시에 사용되는 기법들이다. 성격이 다른 것은?

  1. Parity bit 전송
  2. Synchronous 전송
  3. Cyclic redundancy character 전송
  4. echo back
(정답률: 42%)
  • Synchronous 전송은 송신 측과 수신 측이 동일한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이 정확하게 동기화되어 있어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적다. 반면, Parity bit 전송, Cyclic redundancy character 전송, echo back은 데이터 전송에 대한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기법들이다. 따라서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어드레스 선이 16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터 선이 4비트로 구성 되어있는 메모리의 총 용량은?

  1. 64KB
  2. 32KB
  3. 16KB
  4. 8KB
(정답률: 24%)
  • 주어진 정보로부터, 메모리의 주소 공간은 2^16 (65536) 개의 주소를 가지며, 각 주소마다 4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메모리 용량은 2^16 x 4비트 = 2^14 x 2^2 비트 = 16384 x 4 비트 = 65536 비트 = 8KB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KB" 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데이터가 전송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1. 보 레이트(baud Rate)
  2. 듀티 팩터(duty factor)
  3. 클럭 레이트(clock Rate)
  4. 스케일 팩터(scale factor)
(정답률: 75%)
  • 보 레이트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전송과는 관련이 있지만, 보 레이트와 같이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단위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256 x 2램(RAM)으로 주소100016 ~ 17FF16 사이의 기억장치를 구성하려면 몇 개나 필요한가? (단, 기억장치 한 번지는 8비트로 되어 있다.)

  1. 8
  2. 16
  3. 32
  4. 64
(정답률: 43%)
  • 100016 ~ 17FF16 사이의 주소 범위는 총 16,384 바이트이다. 하나의 바이트는 8비트이므로, 총 필요한 기억장치는 16,384 바이트 / 8비트 = 2,048 바이트가 된다. 256 x 2램(RAM)은 총 512 바이트의 기억장치를 가지므로, 2,048 바이트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2,048 바이트 / 512 바이트 = 4개의 기억장치가 필요하다. 각각의 기억장치는 256 바이트씩을 담당하므로, 총 4개의 기억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휘발성 메모리가 아닌 것은?

  1. dynamic RAM
  2. CCD
  3. static RAM
  4. magnetic bubbl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magnetic bubble"입니다.

    휘발성 메모리란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는 메모리를 말합니다. 이에 반해, magnetic bubble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Dynamic RAM(DRAM)과 Static RAM(SRAM)은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DRAM은 충전된 전하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충전이 필요하며, SRAM은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CCD는 Charge-Coupled Device의 약자로서, 이미지 센서로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 CCD는 빛을 전하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기억장치 중 임의 접근 기억장치(Random Access Memory)가 아닌 것은?

  1. Core Memory
  2. Magnetic Tape
  3. RAM
  4. ROM
(정답률: 77%)
  • Magnetic Tape은 순차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는 저장장치이기 때문에 임의 접근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임의 접근 기억장치가 아니다. Core Memory, RAM, ROM은 모두 임의 접근 기억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 하나 이상의 비트나 문자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는 장치는?

  1. Buffer
  2. Address
  3. Register
  4. Counter
(정답률: 65%)
  • Register는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 데이터나 명령어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는 장치로, CPU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나 문자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Register입니다. Buffer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이며, Address는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는 값이고, Counter는 카운트 값을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CPU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Fetch state
  2. Major state
  3. Stable state
  4. Unstable state
(정답률: 60%)
  • CPU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상태를 "Major state"라고 부릅니다. 이는 CPU가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기를 나타내며, CPU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상태입니다. 다른 상태들은 CPU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데 도움을 주지만, Major state는 CPU의 핵심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반도체 메모리의 내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기억부
  2. 해독부
  3. 연산부
  4. 제어부
(정답률: 42%)
  • 반도체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억부", 저장된 데이터를 해독하여 처리하는 "해독부", 메모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연산부"는 메모리의 내부 구성 요소가 아니며,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에 속하는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산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연산장치에서 수행하는 산술연산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ccumulator
  2. Instruction Register
  3. Program Counter
  4. ALU
(정답률: 85%)
  • Accumulator는 연산장치에서 수행하는 산술연산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명령어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산술논리연산장치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Accumulator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답은 Accumulat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가장 나중에 기억된 장치가 가장 먼저 출력되는 기억장치는?

  1. stack
  2. Queue
  3. FIFO
  4. register
(정답률: 67%)
  • "Stack"은 후입선출(LIFO)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나중에 기억된 항목이 가장 먼저 출력됩니다. 이는 새로운 항목이 기존 항목 위에 쌓이는 구조로, 가장 최근에 추가된 항목이 가장 먼저 처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tack"이 가장 나중에 기억된 장치가 가장 먼저 출력되는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인터럽트 요청 및 서비스에 관한 순서가 옳게 된 것은?

  1. ①-②-③-④-⑦-⑤-⑥
  2. ①-④-②-③-⑦-⑤-⑥
  3. ①-④-③-②-⑦-⑤-⑥
  4. ①-②-④-③-⑦-⑤-⑥
(정답률: 64%)
  • 인터럽트 요청 및 서비스에 관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인터럽트 요청 발생
    ② CPU가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완료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의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현재 상태를 저장
    ③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실행
    ④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서 인터럽트 요청 처리 후, 이전 상태를 복원하고 반환 주소를 찾아 복귀
    ⑤ 복귀 주소로 복귀
    ⑥ CPU가 복귀하면서 저장된 상태를 복원
    ⑦ 다음 명령어 실행

    따라서, 정답은 "①-④-②-③-⑦-⑤-⑥"이다.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하면 CPU는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완료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의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현재 상태를 저장한다. 그 후,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실행되고 인터럽트 요청 처리 후, 이전 상태를 복원하고 반환 주소를 찾아 복귀한다. CPU가 복귀하면서 저장된 상태를 복원하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번역어(Translator)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ssembler
  2. Loader
  3. Interpreter
  4. Compiler
(정답률: 75%)
  • 번역어(Translator)는 소스 코드를 목적 코드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Assembler, Interpreter, Compiler은 모두 번역어에 속하며, 각각 어셈블리어, 인터프리터 언어, 고급 언어를 목적 코드로 변환합니다. 하지만 Loader는 번역어가 아닙니다. Loader는 목적 코드를 메모리에 적재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oader는 번역어가 아닌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유틸리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버퍼에 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입/출력 장치와 중앙처리기의 처리속도 차이 때문에 필요하다.
  2. 주기억 장치의 물리적인 주소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
  3. 중앙처리기와 주기억 장치 사이에 둘 수 있는 버퍼로는 캐시 메모리가 있다.
  4. 입/출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두개 이상의 버퍼를 둘 수 있다.
(정답률: 84%)
  • "주기억 장치의 물리적인 주소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가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버퍼는 입/출력 장치와 중앙처리기의 처리속도 차이 때문에 필요하거나, 중앙처리기와 주기억 장치 사이에 둘 수 있는 캐시 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입/출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버퍼를 둘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버퍼는 데이터 전송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 사용되는 버스가 아닌 것은?

  1. 주소 버스
  2. ALU 버스
  3. 제어신호 버스
  4. 데이터 버스
(정답률: 77%)
  • ALU 버스는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버스입니다. ALU는 산술 논리 연산 장치를 의미하며, ALU 버스는 ALU와 다른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스입니다. 하지만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는 ALU와 다른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버스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ALU 버스는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마이크로컴퓨터를 위한 대규모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할 때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하여 어셈블하려면 여러가지 제한(메모리 용량, 입曺출력장치의 제한 등)을 받게된다.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유틸리티(Utility)는?

  1. Cross assembler
  2. Debugger
  3. Screen editor
  4. simulator
(정답률: 93%)
  •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어셈블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용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큰 프로그램을 한 번에 어셈블할 수 없다. 이 때 큰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작은 모듈로 분할하여 개별적으로 어셈블한 후, 이를 하나로 합쳐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유틸리티가 크로스 어셈블러(Cross assembler)이다. 크로스 어셈블러는 다른 컴퓨터나 운영체제에서 작성된 어셈블리 코드를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코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크로스 어셈블러를 이용하면 메모리 용량 등의 제한을 극복하면서도 대규모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CPU와 여러 개의 I/O 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때 I/O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인터럽트를 요구한 I/O를 찾아내는 인터럽트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벡터링(vectoring)
  2. 폴링(polling)
  3. 매핑(mapping)
  4. 멀티플렉싱(multiplexing)
(정답률: 70%)
  • CPU가 여러 개의 I/O 장치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인터럽트를 요구한 I/O를 찾아내는 방식을 폴링(polling)이라고 한다. 이는 CPU가 직접 I/O 장치를 점검하며,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자원을 소모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폴링 방식은 I/O 장치가 많지 않은 경우에 적합하며, I/O 장치가 많은 경우에는 벡터링(vectoring)이나 매핑(mapping) 등의 방식이 더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컴퓨터 제어 장치의 기본 사이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Fetch Cycle
  2. Direct Cycle
  3. Execute Cycle
  4. Interrupt Cycle
(정답률: 70%)
  • 컴퓨터 제어 장치의 기본 사이클은 Fetch Cycle, Execute Cycle, Interrupt Cycle이다. Direct Cycle은 기본 사이클에 속하지 않는다. Direct Cycle은 메모리 주소를 직접 지정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것으로, 기본 사이클과는 별개로 수행된다. 따라서 Direct Cycle은 컴퓨터 제어 장치의 기본 사이클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전자계산기의 제어 상태 중 명령을 인출하여 해독하는 단계인 Fetch State에 대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다. 괄호 부분을 완성하시오.

  1. ① PC, ② PC ← PC+1
  2. ① IR, ② IR ← IR+1
  3. ① MBR, ② PC ← PC+1
  4. ① PC, ② MAR ← PC+1
(정답률: 80%)
  • Fetch State에서는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PC(Program Counter)에서 가져와야 하므로, ① PC을 가져오고, 동시에 PC의 값을 1 증가시켜 다음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② PC ← PC+1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운영 체제의 목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신뢰도(reliability)의 향상
  2. 처리 능력(throughput)의 향상
  3. 컴퓨터 모델의 다양화
  4. 응답 처리 시간(turnaround time)의 단축
(정답률: 75%)
  • 운영 체제의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컴퓨터 모델의 다양화"는 운영 체제의 목적이 아닙니다. 이는 하드웨어 제조업체의 역할이며, 운영 체제는 다양한 하드웨어 모델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컴퓨터 모델의 다양화"는 운영 체제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