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8-07)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05-08-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

1. 의사연산 테이블(pseudo operation tabl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가변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에서만 참조한다.
  2. 고정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에서만 참조한다.
  3. 고정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 패스-2에서만 참조한다.
  4. 가변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 패스-2에서만 참조한다.
(정답률: 74%)
  • 의사연산 테이블은 어셈블러의 패스-1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심볼 테이블과 같이 어셈블러가 소스 코드를 스캔하면서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고정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이 정보는 패스-2에서는 참조되지 않으며, 어셈블링 과정에서 사용되는 임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정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에서만 참조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C 언어에서 임의의 수식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산자는?

  1. 비트연산자
  2. 캐스트연산자
  3. 관계 연산자
  4. 논리 연산자
(정답률: 83%)
  • 캐스트 연산자는 변수나 수식의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이를 통해 변수나 수식의 자료형을 원하는 자료형으로 명시적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nt형 변수를 float형으로 변환하거나, 실수형 수식을 정수형으로 변환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캐스트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LC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럽트 처리가 가능하다.
  2. BCD 데이터와 비교가 가능하다.
  3. 디지털 스위치의 수치를 읽을 수 있다.
  4. 아날로그 데이터는 입력만 가능하다.
(정답률: 75%)
  • 아날로그 데이터는 입력만 가능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LC는 아날로그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출력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LC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입력을 모두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 언어에서 참조호출(call by reference)의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형식 매개변수는?

  1. 주소 연산자(&)
  2. 간접값 연산자(*)
  3. 단항 연산자
  4. 증가 연산자
(정답률: 70%)
  • 정답은 "간접값 연산자(*)"입니다.

    형식 매개변수를 선언할 때, 매개변수 이름 앞에 "*"를 붙여서 선언하면 해당 매개변수는 포인터 변수가 됩니다. 이 포인터 변수는 함수 호출 시에 인자로 전달된 변수의 주소를 받아들이게 됩니다.

    따라서 함수 내에서 이 포인터 변수를 이용하여 해당 변수의 값을 직접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참조호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함수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c
    void swap(int *a, int *b) {
    int temp = *a;
    *a = *b;
    *b = temp;
    }
    ```

    이 함수는 두 개의 정수를 받아서 서로의 값을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매개변수로 포인터 변수를 사용하여 값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함수를 호출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인자로 변수의 주소를 전달해주어야 합니다.

    ```c
    int x = 10, y = 20;
    swap(&x, &y);
    ```

    이렇게 하면 함수 내에서 x와 y의 값을 서로 바꾸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셈블리 언어에서 다음 주소지정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1. 직접주소 지정방식
  2. 베이스주소 지정방식
  3. 인덱스주소 지정방식
  4. 베이스인덱스 주소지정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는 주소가 베이스 주소와 오프셋(offset)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베이스 주소는 시작 주소를 의미하고, 오프셋은 시작 주소로부터 떨어진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주소 지정 방식은 "베이스 주소 지정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셈블리 명령어에서 부호있는 수의 나눗셈에 사용되는 명령어는?

  1. MUL
  2. DIV
  3. IMUL
  4. IDIV
(정답률: 79%)
  • 정답은 "IDIV"입니다. 이유는 IDIV 명령어는 부호있는 정수를 나누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MUL 명령어는 부호없는 정수를 곱하는 명령어이고, DIV 명령어는 부호없는 정수를 나누는 명령어입니다. IMUL 명령어는 부호있는 정수를 곱하는 명령어이며, IDIV 명령어는 부호있는 정수를 나누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C 언어에서 부호 없는 10진수 출력 명령은?

  1. %d
  2. %c
  3. %u
  4. %x
(정답률: 93%)
  • 부호 없는 10진수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u"를 사용합니다. 이는 unsigned integer를 의미하며, 부호 없는 정수 값을 출력할 때 사용됩니다. "%d"는 부호 있는 10진수를 출력할 때 사용되며, "%c"는 문자를 출력할 때 사용됩니다. "%x"는 부호 없는 16진수를 출력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어셈블리어의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어셈블리어는 모든 컴퓨터 기종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2.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에 가까운 언어이다.
  3. 어엠블리어는 기계어와 1대1로 대응시켜서 표현한 기호식 표기법이다.
  4. 어셈블리어에서는 데이터가 기억된 번지를 기호(symbol)로 지정한다.
(정답률: 70%)
  • "어셈블리어는 모든 컴퓨터 기종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어셈블리어는 각각의 컴퓨터 아키텍처에 따라 다르게 작성되어야 하며, 따라서 특정한 컴퓨터 아키텍처에 대한 어셈블리어 코드는 다른 아키텍처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PLC의 CPU 구성부가 아닌 것은?

  1. 메모리 부
  2. 연산제어 부
  3. 입출력제어 부
  4. 전원 부
(정답률: 82%)
  • PLC의 CPU 구성부는 메모리 부, 연산제어 부, 입출력제어 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 부품은 PLC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전원 부는 PLC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CPU 구성부의 일부가 아닙니다. 따라서 전원 부가 CPU 구성부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설명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용어는 무엇인가?

  1. 메소드
  2. 구조화
  3. 추상화
  4. 메시지 전송
(정답률: 67%)
  • 추상화는 복잡한 시스템이나 개념을 단순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위의 그림에서도 복잡한 구조를 간단한 도형으로 표현하여 추상화를 한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장 적합한 용어는 "추상화"이다. 메소드, 구조화, 메시지 전송은 추상화와 관련이 있지만, 추상화보다는 좀 더 구체적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PLC 프로그래밍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기계동작의 사양 작성→입출력 할당→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데이터메모리 할당→로딩→테스트 운전
  2. 기계동작의 사양 작성→입출력 할당→데이터메모리 할당→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로딩→테스트 운전
  3. 기계동작의 사양 작성→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로딩→입출력 할당→데이터메모리 할당→테스트 운전
  4. 기계동작의 사양 작성→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로딩→데이터메모리 할당→입출력 할당→테스트 운전
(정답률: 54%)
  • PLC 프로그래밍 과정은 기계동작의 사양 작성, 입출력 할당, 데이터메모리 할당, 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 로딩, 테스트 운전 순서로 진행됩니다. 기계동작의 사양 작성은 PLC가 제어할 기계의 동작을 정의하고, 입출력 할당은 PLC의 입력과 출력을 기계와 연결시키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메모리 할당은 PLC가 사용할 데이터를 저장할 메모리를 할당하는 작업이며, 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은 PLC가 동작할 순서를 프로그래밍하는 작업입니다. 로딩은 작성한 프로그램을 PLC에 저장하는 작업이며, 테스트 운전은 PLC가 기계를 제어하는 동작을 테스트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기계동작의 사양 작성→입출력 할당→시퀀스 프로그램의 작성→데이터메모리 할당→로딩→테스트 운전"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PLC 프로그램 로더의 주요기능이 아닌 것은?

  1. 프로그램 기입
  2. 프로그램 판독
  3. 하드디스크 체크
  4. 프로그램 삭제
(정답률: 74%)
  • PLC 프로그램 로더의 주요 기능은 PLC에 프로그램을 기입하고 판독하며,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것입니다. 하드디스크 체크는 PLC와는 관련이 없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문제를 확인하는 것으로, PLC 프로그램 로더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C 언어에서 공용체 선언시 관계있는 명령어는?

  1. struct
  2. union
  3. enum
  4. static
(정답률: 72%)
  • 공용체는 un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합니다. 다른 키워드(struct, enum, static)는 공용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셈블리에서 연산에 사용되는 레지스터에 해당하는 것은?

  1. SP
  2. BP
  3. SI
  4. AX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리에서 연산에 사용되는 레지스터는 AX, BX, CX, DX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AX는 Accumulator Register로서 산술 연산, 데이터 이동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데이터 이동 명령어에서는 AX를 자주 사용합니다. 따라서 AX가 연산에 사용되는 레지스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셈블리에서 직접번지 지정방식의 명령은?

  1. MOV AX, 12
  2. MOV BL, CL
  3. MOV 모, [2000h]
  4. MOV AL, [Bh]
(정답률: 47%)
  • 직접번지 지정방식의 명령은 "MOV 모, [2000h]" 이다. 이는 모(메모리 주소)에 2000h번지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와서 저장하는 명령이다. MOV 명령어는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며, 대상과 소스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모(메모리 주소)를 대상으로 하고, [2000h]를 소스로 지정하여 2000h번지에 있는 데이터를 모에 저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C 언어의 기본 자료형 중 정수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short
  2. double
  3. unsigned long
  4. int
(정답률: 56%)
  • "double"은 부동소수점 자료형으로, 정수형이 아닌 실수형에 해당된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정수형 자료형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uto 변수
  2. static 변수
  3. register 변수
  4. scope 변수
(정답률: 95%)
  • "scope 변수"는 C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가 아닙니다. "auto 변수", "static 변수", "register 변수"는 모두 C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입니다.

    "scope 변수"는 변수의 범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변수가 선언된 블록 내에서만 유효하며 블록을 벗어나면 소멸하는 변수를 말합니다. 하지만 이는 기억 클래스가 아니라 변수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자료 추상화의 개념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객체
  2. 클래스
  3. 메시지
  4. 메소드
(정답률: 78%)
  • 클래스는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필드와 메소드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객체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특성을 추상화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래스는 자료 추상화의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PLC의 프로그램 방식 중 회로도 방식이 아닌 것은?

  1. 레더도 방식
  2. 동작도 방식
  3. 명령어 방식
  4. 로직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동작도 방식은 PLC의 동작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회로도 방식과는 달리 전기적인 회로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PLC가 수행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회로도 방식, 레더도 방식, 명령어 방식, 로직 방식은 모두 전기적인 회로를 그리는 방식이지만, 동작도 방식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객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트)
  2. &
  3. *
  4. !
(정답률: 34%)
  • ".(도트)"는 객체의 특징이 아니다. ".(도트)"는 객체 내부의 속성이나 메소드에 접근하기 위한 연산자이다. "&"은 HTML에서 특수문자를 표현하기 위한 이스케이프 문자이고, "*"는 곱셈 연산자, "!"는 부정 연산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21. 두 개 이상의 개방형 시스템(QSI)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송신단과 수신단에 미리 정해둔 통신규약(약속)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로토콜
  2. 인터페이스
  3. 컴퓨터통신
  4. 데이터통신
(정답률: 85%)
  • 프로토콜은 컴퓨터통신에서 두 개 이상의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미리 정해둔 통신규약(약속)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송신단과 수신단이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과 전송 방식을 정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QSI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송신단과 수신단이 사용하는 통신규약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ISDN의 기본 인터페이스 채널 구조는?

  1. 23+D
  2. 30B+D
  3. 8B+D
  4. 2B+D
(정답률: 53%)
  • ISDN의 기본 인터페이스 채널 구조는 2개의 B 채널과 1개의 D 채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B 채널은 음성,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D 채널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ISDN의 기본 인터페이스 채널 구조는 "2B+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데이터 통신용이나 마이크로컴퓨터에 많이 사용되는 코드는?

  1. BCD코드
  2. ASCII코드
  3. Gray코드
  4. EBCDIC
(정답률: 94%)
  • ASCII코드는 데이터 통신이나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코드로, 영문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등을 7비트 혹은 8비트의 이진수로 표현하는 코드이다. 따라서 다양한 기기나 시스템에서 호환성이 높고, 간단하게 문자를 표현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데이터 통신망의 구성 형태가 아닌 것은?

  1. 성형
  2. 버스형
  3. 브리지형
  4. 루프형
(정답률: 59%)
  • "브리지형"은 데이터 통신망의 구성 형태가 아닙니다. "성형", "버스형", "루프형"은 데이터 통신망의 구성 형태 중 일부입니다. "브리지형"은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세그먼트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래의 제어 절차 중 전송제어 절차가 바른 것은?

  1. ①→④→②→③→⑤
  2. ⑤→④→③→①→②
  3. ①→②→③→④→⑤
  4. ④→②→①→③→⑤
(정답률: 79%)
  • 전송제어 절차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오류 검출을 위한 체크섬을 계산하는 ①과 오류 검출을 위한 체크섬을 수신측에서 검사하는 ④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 다음으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②가 이루어지고, 수신측에서는 전송된 데이터와 체크섬을 이용하여 오류 검사를 수행하는 ③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오류가 없는 경우 수신측에서는 ACK(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신측으로 보내는 ⑤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①→④→②→③→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분산처리 시스템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복합분산처리 시스템
  2. 일괄분산처리 시스템
  3. 수직분산처리 시스템
  4. 수평분산처리 시스템
(정답률: 59%)
  • 일괄분산처리 시스템은 분산처리 시스템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일괄처리 방식으로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분산처리 시스템의 특징인 작업의 분산과 병렬 처리를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산처리 시스템의 종류에는 복합분산처리 시스템, 수직분산처리 시스템, 수평분산처리 시스템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신 스테이션은 비트 에러나 프레임의 손실을 검사하게 되고, 에러가 검출되면 자동적으로 송신 스테이션에게 재전송을 요청하는 자동 재전송 요청을 하게 되는데 다음 중 ARQ 방식이 아닌 것은?

  1. Go-back-N ARQ
  2. 정지-대기(Stop-and-Wait) ARQ
  3. 선택적 재전송(Selective-Report) ARQ
  4.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Windows) ARQ
(정답률: 82%)
  •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Windows) ARQ은 ARQ 방식이 맞습니다. ARQ는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약자로, 수신 스테이션이 송신 스테이션에게 재전송을 요청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Windows) ARQ은 수신 스테이션이 일정한 크기의 윈도우(Window)를 이용하여 송신 스테이션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프레임을 받아들이고, 이를 확인한 후에 다음 윈도우로 이동하면서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Windows) ARQ도 ARQ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파수 분할 다중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파수 대역폭을 적은 대역폭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2. Time Slot을 이용한다.
  3. 가드밴드의 이용으로 대역폭의 이용률이 낮아진다.
  4. 시분할 다중화에 비해서 구현이 간단하다.
(정답률: 70%)
  • "Time Slot을 이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에서는 주파수 대역폭을 적은 대역폭으로 나누어 사용하며, 각 대역폭은 별도의 채널로 사용된다. 이때 각 채널은 동일한 시간대에 사용되지 않고, 시간을 분할하여 사용된다. 이를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이라고 한다. 따라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에서는 시간 슬롯이 아닌 주파수 채널을 이용한다. 가드밴드의 이용으로 대역폭의 이용률이 낮아지는 것은 맞지만, 시분할 다중화에 비해서 구현이 간단하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X.25의 3레벨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패킷 레벨 프로토콜
  2. 프레임 레벨 프로토콜
  3. 물리 레벨 프로토콜
  4. 전송 레벨 프로토콜
(정답률: 48%)
  • 정답은 "전송 레벨 프로토콜"입니다. X.25 프로토콜은 3레벨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으며, 패킷 레벨, 프레임 레벨, 전송 레벨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전송 레벨 프로토콜"은 X.25의 일부이며, 다른 보기들은 X.25의 3레벨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VAN이 제공하는 4가지 기능의 큰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송 기능
  2. 실시가 기능
  3. 교환 기능
  4. 정보처리 기능
(정답률: 56%)
  • 실시가 기능은 VAN이 제공하는 기능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VAN이 제공하는 기능 중에서는 전송, 교환, 정보처리 기능이 있지만, 실시가 기능은 해당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선형리스트(Linear list)에 해당하지 않는 자료 구조는?

  1. stack
  2. queue
  3. tree
  4. deque
(정답률: 82%)
  • 선형리스트는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한 자료 구조이며,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양쪽 끝에서만 가능합니다. 반면에 트리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자료 구조로, 부모와 자식 노드 간의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는 선형리스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트리의 차수(degree)는?

  1. 2
  2. 3
  3. 4
  4. 7
(정답률: 79%)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각 노드의 차수를 살펴보면 2번 노드는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고, 3번, 4번, 7번 노드는 각각 1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큰 차수는 2번 노드의 2이므로 정답은 2입니다. 보기에서 제시된 3은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DBMS의 필수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조작
  2. 데이터 정의
  3. 데이터 변경
  4. 데이터 제어
(정답률: 79%)
  • DBMS의 필수 기능은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정의, 데이터 제어이다. 데이터 변경은 DBMS의 필수 기능 중 하나가 아니며, 데이터 변경은 데이터 조작 기능을 통해 수행된다. 데이터 변경은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작업은 데이터 조작 기능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데이터 변경은 DBMS의 필수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색인 순차화일(ISAM)의 인덱스 영역과 관계없는 것은?

  1. Track index area
  2. Cylinder index area
  3. Master index area
  4. Control index area
(정답률: 87%)
  • 색인 순차화 파일(ISAM)에서 인덱스 영역은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는 영역이다. 이 중 "Control index area"는 인덱스 영역과 관련이 없는 영역으로, 파일의 물리적인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이 영역은 인덱스 검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중에서 논리적인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것은?

  1. 내부 스키마
  2. 외부 스키마
  3. 개념 스키마
  4. 서브 스키마
(정답률: 60%)
  •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스키마로,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구조를 정의합니다. 다시 말해,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하며,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사용자들이 이를 공유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가장 상위 수준에 위치하며,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해싱(hashing)에서 동일한 버켓 주소를 갖는 레코드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collision
  2. synonym
  3. slot
  4. folding
(정답률: 82%)
  • 해싱에서 동일한 버켓 주소를 갖는 레코드들의 집합을 synonym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해시 함수가 서로 다른 레코드들을 같은 버켓에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충돌(collision)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들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포스트오더(postorder)로 순회한 결과는?

  1. DBAC
  2. BADC
  3. ABCD
  4. CABD
(정답률: 75%)
  • 포스트오더 순회는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 그리고 마지막으로 부모 노드를 방문하는 순회 방법입니다. 따라서 위의 이진 트리를 포스트오더로 순회하면, 먼저 왼쪽 자식인 "D"를 방문하고, 그 다음 오른쪽 자식인 "B"를 방문합니다. "B"의 왼쪽 자식인 "A"를 방문하고, 다시 오른쪽 자식인 "C"를 방문합니다. 마지막으로 부모 노드인 "E"를 방문하면서 순회가 끝나게 됩니다. 따라서 순회 결과는 "DBAC"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ABCD"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포스트오더 순회 결과를 뒤집어서 읽으면 됩니다. 즉, "DBAC"를 뒤집으면 "CABD"가 되고, 이를 다시 뒤집으면 "DCBA"가 됩니다. 이진 트리에서는 자식 노드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DCBA"를 "ABCD"로 바꿔서 정답으로 선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이진수 00001101에 대한 2의 보수는?

  1. 11110011
  2. 11110010
  3. 11110111
  4. 11111010
(정답률: 59%)
  • 2의 보수는 원래 이진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한 값입니다. 따라서 00001101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값은 11110010입니다. 여기에 1을 더하면 1111001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1100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스택과 관계있는 내용은?

  1.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이루어진다.
  2. 선형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가능하다.
  3. 입력은 한쪽에서, 출력은 양쪽에서 이루어진다.
  4. 선입선출(FIFO) 구조이다.
(정답률: 67%)
  • 스택은 데이터를 삽입(push)하거나 삭제(pop)할 때 가장 최근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선입후출(FILO)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의 역할로 거리가 먼 것은?

  1.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분석
  2. DBMS 시스템 자원의 이용도 분석
  3. 데이터 표현 및 문서화의 표준 설정
  4.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조작
(정답률: 72%)
  • DBA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설계, 구축, 운영, 유지보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분석은 DBA의 역할과는 거리가 먼 업무입니다.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분석은 개발자나 시스템 분석가 등의 역할이며, DBA는 이들이 개발한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원활하게 연동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41. 그림과 같은 카운터를 정확하게 표현한 것은?

  1. 3비트 2진 카운터
  2. 3비트 5진 카운터
  3. 3비트 8진 카운터
  4. 3비트 3진 카운터
(정답률: 20%)
  • 이 그림은 3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이진 카운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진 카운터는 0부터 2^n-1까지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비트 이진 카운터는 0부터 7까지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그림은 "3비트 2진 카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터럽트를 처리한 후 다음으로 전환되어야 할 메이저 상태는?

  1. Fetch
  2. Direct
  3. Execute
  4. Indirect
(정답률: 50%)
  • 인터럽트는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인터럽트 처리가 끝나면 이전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다시 Fetch 단계로 돌아가야 합니다. 따라서 다음으로 전환되어야 할 메이저 상태는 "Fetc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컴퓨터 시스템과 주변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루프 입출력 방식
  2. DMA 방식
  3. 인터럽트 입출력 방식
  4. 프로그램 입출력 방식
(정답률: 47%)
  • 루프 입출력 방식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과 주변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실제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DMA 방식은 직접 메모리 접근 방식으로, 인터럽트 입출력 방식은 주변 장치가 CPU에게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방식입니다. 프로그램 입출력 방식은 CPU가 명령어를 실행하면서 입출력 명령어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Interrupt cycle에 대한 micro-operation 중에서 관계가 없는 것은?

  1. MAR ← PC, PC ← PC+1
  2. MBR ← MAR, PC ← 0
  3. M ← MBR, IEN ← 0
  4. GO TO fetch cycle
(정답률: 20%)
  • Interrupt cycle에서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PC 값을 MBR로 옮기고, 인터럽트 처리를 위해 PC 값을 0으로 초기화하기 때문에 "MBR ← MAR, PC ← 0"이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명령어 형식(instruction format)이 opcode, addressing mode, address의 3 부분으로 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주기억 장치가 1024 워드일 경우 명령의 크기는 몇 비트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단, op-code는 4비트 이며, addressing mode는 직접/간접 주소지정방식 구분에만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67%)
  • 명령어 형식이 opcode, addressing mode, address의 3 부분으로 되어 있으므로, 총 4비트(op-code) + 1비트(직접/간접 주소지정방식) + 10비트(주소) = 15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0-번지(zero-address) 명령형을 갖는 컴퓨터 구조의 원리는 어느 것을 사용하는가?

  1. accumulator extension register
  2. virtual memory architecture
  3. stack architecture
  4. micro-programming
(정답률: 70%)
  • 0-번지(zero-address) 명령어는 스택 구조에서 사용된다. 스택 구조는 데이터를 저장할 스택 메모리와 스택 포인터를 가지고 있으며, 명령어에서 필요한 데이터는 스택 메모리에 저장되고, 스택 포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한다. 따라서 0-번지 명령어는 스택 구조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인터럽트 우선순위 체제의 방법이 아닌 것은?

  1. 폴링
  2. 인터럽트 요청 체인
  3.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4. 인터럽트 우선순위 체인
(정답률: 47%)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은 인터럽트 처리를 위한 코드를 담고 있는 함수이며, 인터럽트 우선순위 체인과 함께 사용되어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가 먼저 처리되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우선순위 체제의 방법이 아닌 것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명령의 수행 시 거치지 않는 사이클은?

  1. Fetch cycle
  2. Indirect cycle
  3. Execute cycle
  4. Interrupt cycle
(정답률: 55%)
  • Interrupt cycle은 CPU가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사이클이기 때문에 거치지 않는 사이클은 없다. 모든 인터럽트는 Interrupt cycle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보기의 명령들은 연산자의 기능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함수연산기능
  2. 제어기능
  3. 전달기능
  4. 입출력기능
(정답률: 54%)
  • 이 명령들은 값을 다른 함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전달기능"에 속합니다. 이 명령들은 변수나 상수의 값을 다른 함수에 전달하거나, 함수의 인자로 값을 전달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명령어 형식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항은?

  1. 명령은 보통 OP코드부분과 오ㅓ랜드 부분으로 나누며 오퍼랜드는 수행해야 할 동작을 명시하는 부분이고, OP코드는 연산의 대상물이다.
  2. 기억장치의 주소나 레지스터를 지정하거나 실제 데이터 값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 오퍼랜드이다.
  3. 오퍼랜드의 비트 수가 n비트인 경우 2n 가지의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 오퍼랜드는 유효번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드 비트를 가질 수 없다.
(정답률: 74%)
  • - 명령은 보통 OP코드부분과 오퍼랜드 부분으로 나누며 오퍼랜드는 수행해야 할 동작을 명시하는 부분이고, OP코드는 연산의 대상물이다. (O)
    - 기억장치의 주소나 레지스터를 지정하거나 실제 데이터 값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 오퍼랜드이다. (O) : 오퍼랜드는 명령어에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나 주소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 오퍼랜드의 비트 수가 n비트인 경우 2n 가지의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X) : 오퍼랜드의 비트 수가 많을수록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넓어지지만, 오퍼랜드 자체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 오퍼랜드는 유효번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드 비트를 가질 수 없다. (X) : 명령어에서 오퍼랜드의 주소 지정 방식을 결정하는 모드 비트가 존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입출력 동작 시 하드웨어적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은?

  1. 폴링 입출력
  2. 핸드셰이킹 입출력
  3. 데이지-체인 입출력
  4. 다중 인터럽트 입출력
(정답률: 70%)
  • 데이지-체인 입출력은 하드웨어적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여러 개의 입출력 장치를 하나의 버스에 연결하고, 각 장치에 고유한 주소를 할당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합니다. 이 때, 우선순위가 높은 장치가 먼저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다음 우선순위가 높은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출력 장치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명령 레지스터에 호출된 OP code를 해독하여 그 명령을 수행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 신호를 만들어내는 장치는?

  1. Instruction Decoder
  2. Instruction Encoder
  3. Instruction Counter
  4. Instruction Multiplexor
(정답률: 67%)
  • 명령 레지스터에 저장된 OP code는 컴퓨터가 수행해야 할 명령을 나타내는데, 이를 해독하여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를 만들어내는 장치가 "Instruction Decoder"이다. 이 장치는 OP code를 분석하여 해당 명령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른 하드웨어 장치들에 전달하여 명령을 수행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논리회로에 의해 계산된 결과 X는?

(정답률: 57%)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C에 1이 입력되어 C의 출력이 1이 된다. 그리고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되므로, C와 D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X의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이고, C와 D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X의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간접 사이클(Indirect cycle)을 옳게 나타낸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은?

  1. MAR←MBR(AD)
    MBR←M(MAR)
  2. MAR←PC,
    MBR←M(MAR), PC←PC+1
    OPR←MBR(OP), I←MBR(I)
  3. MAR←MBR(AD),
    MBR←AC,
    M←MBR
  4. MAR(AD)PC, PC←0,
    MAR←PC, PC←PC+1
    M←MBR, IEN←0
(정답률: 47%)
  • 간접 사이클은 주소를 간접적으로 참조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을 말합니다.

    "MAR←MBR(AD) MBR←M(MAR)"은 MAR 레지스터에 MBR 레지스터의 값(주소)을 저장하고, 그 주소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MBR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간접 사이클의 기본적인 형태입니다.

    따라서 이 옵션은 간접 사이클을 옳게 나타낸 마이크로오퍼레이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명령어의 연산자 코드가 8비트, 오퍼랜드가 10비트일 때 이 명령어로 몇 가지 연산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가?

  1. 8
  2. 18
  3. 256
  4. 1024
(정답률: 82%)
  • 연산자 코드가 8비트이므로 2^8 = 256개의 서로 다른 연산자 코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오퍼랜드가 10비트이므로 2^10 = 1024개의 서로 다른 오퍼랜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로는 256 x 1024 = 262,144 가지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유효한 연산의 개수는 실제로 사용되는 연산자 코드와 오퍼랜드에 따라 다르므로 정확한 수는 알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터럽트 서비스가 진행되면 다른 인터럽트를 금지시켜야 하는데 이 때 변경시켜야 하는 flag는 무엇이며, 어떻게 변경하여야 하는가?

  1. IEN ← 1
  2. IEN ← 0
  3. VAD ← 0
  4. VAD ← 1
(정답률: 93%)
  • 인터럽트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다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면서 현재 진행 중인 인터럽트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인터럽트를 금지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인터럽트를 허용하거나 금지하는 flag가 필요한데, 이 flag가 "IEN"입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IEN ← 0"으로 변경하여 다른 인터럽트를 금지시켜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현재 진행 중인 인터럽트 서비스가 완료될 때까지 다른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폰 노이만형의 컴퓨터 연산장치가 갖는 기능 중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제어 기능
  2. 함수 연산 기능
  3. 전달 기능
  4. 번지 기능
(정답률: 67%)
  • 폰 노이만형의 컴퓨터 연산장치는 프로그램에 따라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데, 이때 각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접근하는 기능이 "번지 기능"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연산장치가 수행하는 기능 중 하나이지만, 번지 기능은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접근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른 기능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터럽트 요청신호 플래그를 차례로 검사하여 인터럽트의 원인을 판별하는 방식은?

  1. 스트로브 방식
  2. 데이지체인 방식
  3. DMA 제어기
  4. 하드웨어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 요청신호 플래그를 차례로 검사하여 인터럽트의 원인을 판별하는 방식은 "폴링 방식"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방식은 CPU가 인터럽트 요청을 지속적으로 검사하면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CPU의 부하가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DMA 제어기는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DMA 제어기는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CPU에게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DMA 제어기는 CPU의 부하를 줄이고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요청신호 플래그를 차례로 검사하여 인터럽트의 원인을 판별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DMA 제어기가 정답인 이유는 DMA 제어기가 CPU의 부하를 줄이고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입출력에 필요한 하드웨어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입출력 버스
  2. 입출력 인터페이스
  3. DMA 제어기
  4. 메모리 제어기
(정답률: 39%)
  • 메모리 제어기는 주로 메모리와 관련된 작업을 처리하는데, 입출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입출력에 필요한 하드웨어 기능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연관(associative)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주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2. 주소 공간의 확대가 목적이다.
  3.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이라고도 한다.
  4. 데이터의 내용에 의해 접근되는 메모리 방식이다.
(정답률: 73%)
  • "주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연관 기억장치의 특징 중 하나이며, "주소 공간의 확대가 목적이다."는 연관 기억장치의 목적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주소 공간의 확대가 목적이다."가 아닌 것이다. 연관 기억장치는 데이터의 내용에 의해 접근되는 메모리 방식이며,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이라고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UNIX의 디렉토리 구조는 어떠한 구조인가?

  1. single level directory
  2. two level directory
  3. tree structured directory
  4. hashing structured directory
(정답률: 67%)
  • UNIX의 디렉토리 구조는 "tree structured directory"이다. 이는 디렉토리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며, 각 디렉토리는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트리와 유사하다는 의미이다. 이 구조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쉽게 구분하고, 파일의 경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일의 이름이 중복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파일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컴퓨터 시스템을 교란시킬 목적으로 작성된 악성프로그램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트랩도어 : 일반적인 보안 절차를 거치지 않고 프로그램에 의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비밀 침입정이다.
  2. 논리폭탄 : 합법적인 프로그램 내에 내재된 코드로서 어떤 조건이 만족되면 예기치 않은 동작으로 시스템에 해를 끼친다.
  3. 웜 : 전자우편, 원격로그인 등을 통해 자신을 복사 하여 다른 시스템으로 자신의 복사본을 전파한다. 이것의 유일한 목적은 자신을 복사하는 것이므로 시스템에 아무런 해악을 끼치지 않는다.
  4. 디도스 : 특정 서버에게 수많은 접속 시도를 발생시켜 다른 이용자가 정상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하지 못하게 한다.
(정답률: 75%)
  • 웜은 자신을 복사하여 전파하는 악성프로그램이지만, 시스템에 해악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의 유일한 목적은 자신을 복사하는 것이므로 시스템에 아무런 해악을 끼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PCB(Process Control Block)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프로세스 식별자
  2.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3. 할당자원에 대한 포인터
  4.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한 조사와 통제정보
(정답률: 60%)
  • PCB(Process Control Block)가 가지고 있는 정보 중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한 조사와 통제정보"는 해당 PCB가 속한 프로세스의 상태뿐만 아니라 시스템 내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를 조사하고 통제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정보는 PCB가 가지고 있는 정보 중 하나가 아니라 모든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레벨의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시분할 시스템의 스케줄 알고리즘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Round-Robin
  2. SJT
  3. FIFO
  4. SRT
(정답률: 74%)
  • 시분할 시스템은 CPU를 여러 작은 시간 단위로 분할하여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CPU를 어떤 순서로 할당할지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Round-Robin"은 시분할 시스템에서 가장 적합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다. 이는 각 프로세스에 일정한 시간 할당을 하고, 할당된 시간이 지나면 다음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기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를 통해 모든 프로세스가 공평하게 CPU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응답 시간도 빠르게 보장할 수 있다.

    반면, "SJT"는 최단 작업 우선 스케줄링 알고리즘이지만, 시분할 시스템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각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미리 알아야 하기 때문에, 시분할 시스템에서는 예측이 어렵다.

    "FIFO"는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지만, 이는 응답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SRT"는 최단 잔여 시간 우선 스케줄링 알고리즘이지만, 시분할 시스템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각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미리 알아야 하기 때문에, 시분할 시스템에서는 예측이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페이지 기억장치 할당기법에서, 한 페이지의 크기가 512바이트이고 페이지 번호는 0부터 시작한다면 논리적인 주소 1224 번지는 어디로 변환되는가?

  1. 페이지 1, 변위 200
  2. 페이지 200, 변위 1
  3. 페이지 2, 변위 200
  4. 페이지 200, 변위 2
(정답률: 70%)
  • 논리적인 주소 1224번지는 2번째 페이지에 속하며, 해당 페이지에서의 변위는 200이 된다. 이는 2*512 + 200 = 1224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페이지 2, 변위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것은?

  1. 로더
  2. 인터프리터
  3. 어셈블러
  4. 컴파일러
(정답률: 74%)
  • 로더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인터프리터, 어셈블러, 컴파일러는 모두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로더는 다른 세 가지 소프트웨어와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ISAM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Overflow Area
  2. Prime Area
  3. Index Area
  4. Block Area
(정답률: 50%)
  • ISAM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영역은 Overflow Area, Prime Area, Index Area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lock Area는 ISAM 파일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입니다. 이 영역은 파일의 물리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Block Area는 ISAM 파일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영역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페이징(paging) 기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가상기억 장치
  2. 외부 단편화 현상
  3. 교체(swapping)
  4. LRU 알고리즈
(정답률: 46%)
  • 페이징 기법은 가상기억 장치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관리 기법 중 하나로, 물리적인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 가상 주소와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 방식입니다. 교체(swapping)는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프로세스 중 일부를 디스크로 내보내고, 다른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올리는 작업을 말합니다. LRU 알고리즘은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 하나로,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외부 단편화 현상은 메모리 할당과 해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사용하지 않는 작은 메모리 조각들이 쌓여서 큰 메모리 공간을 할당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는 페이징 기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운영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시스템의 한정된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사용자 프로그램은 운영체제 호출을 이용하여 운영체제의 서비스를 호출한다.
  3. 운영체제는 일종의 시스템 명령어이므로 사용자들이 운영체제가 직접상호 작용할 수 없다.
  4.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작동한다.
(정답률: 67%)
  •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작동하며, 사용자들은 운영체제를 직접 상호작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일종의 시스템 명령어이므로 사용자들이 운영체제가 직접상호 작용할 수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분산처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는 각 컴퓨터의 위치를 몰라도 지원을 사용할 수 있다.
  2. 업무량 증가에 따른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다.
  3.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소프트웨어 개발이 쉽다.
  4.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정답률: 54%)
  •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소프트웨어 개발이 쉽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분산처리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중 처리기(Multi-Processor)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칭적 다중처리 방식과 비대칭적 다중 처리 방식이 있다.
  2. 매우 밀접한 통신을 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기들을 가지며 컴퓨터 버스, 클럭, 메모리와 주변장치를 공유한다.
  3. 비대칭적 다중 처리 방식은 별도의 주 처리기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하며 제어를 담당한다.
  4. 대칭적 다중처리(SMP) 방식은 처리기간에 주종간의 관계가 설정되어 있어 우아한 퇴보를 기대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정답은 "대칭적 다중처리(SMP) 방식은 처리기간에 주종간의 관계가 설정되어 있어 우아한 퇴보를 기대할 수 있다."가 아닙니다.

    대칭적 다중처리(SMP) 방식은 처리기간에 주종간의 관계가 설정되어 있어 우아한 퇴보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입니다.

    다중 처리기 시스템은 여러 개의 처리기를 가지고 작업을 분산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대칭적 다중처리(SMP) 방식과 비대칭적 다중 처리 방식이 있으며, SMP 방식은 처리기 간에 균등하게 작업을 분산하여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비대칭적 다중 처리 방식은 별도의 주 처리기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하며 제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유닉스의 i-node에 포함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디스크 상의 물리적 주소
  2.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
  3. 파일이 처음 사용된 시간
  4. 파일에 대한 링크 수
(정답률: 65%)
  • 파일이 처음 사용된 시간은 i-node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파일의 메타데이터 중 하나로, 파일이 생성된 시간과는 다른 개념이다. 파일이 처음으로 사용된 시간은 파일이 읽혀지거나 쓰여졌을 때의 시간을 의미하며, 이 정보는 파일 시스템의 로그 파일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인터럽트의 종류 중 외부 인터럽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타이머에 의한 인터럽트
  2. 콘솔의 인터럽트 키에 의한 인터럽트
  3. 입출력 완료시 입출력 기기에 의한 인터럽트
  4. 다른 프로세서로 부터의 신호에 의한 인터럽트
(정답률: 알수없음)
  • 입출력 완료시 입출력 기기에 의한 인터럽트는 외부 인터럽트가 아니라 내부 인터럽트에 해당합니다. 외부 인터럽트는 다른 프로세서로 부터의 신호에 의한 인터럽트, 콘솔의 인터럽트 키에 의한 인터럽트, 타이머에 의한 인터럽트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UNIX의 쉘(shell)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명령어를 해석한다.
  2. UNIX 커널의 일부이다.
  3. 문서처리 기능을 갖는다.
  4. 디렉토리 관리 기능을 갖는다.
(정답률: 56%)
  • UNIX의 쉘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이해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UNIX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명령어를 해석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HRN 스케줄링에서 우선순위 계산식으로 올바른 것은?

  1. (대기시간+서비스시간)/서비스시간
  2. (대기시간+서비스시간)/대기시간
  3. (대기사긴+응답시간)/응답시간
  4. (대기시간+응답시간)/대기시간
(정답률: 39%)
  • 정답은 "(대기시간+서비스시간)/서비스시간" 입니다. 이유는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요소는 대기시간과 서비스시간입니다. 대기시간이 길면 우선순위가 높아지고, 서비스시간이 짧으면 우선순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대기시간과 서비스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대기시간과 서비스시간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이 올바른 우선순위 계산식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디스크 대기 큐가 65, 112, 40, 16, 90, 165, 35이고 입출력 헤드의 처음 위치가 100, 전체 트랙길이가 200일 때 트랙 접근 순서가 90, 65, 40 35, 16, 112, 165이고 헤드 이동거리가 10, 25, 25, 5, 19, 96, 53이라면 사용된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은?

  1. SCAN
  2. LOOK
  3. S-SCAN
  4. FCFS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된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은 "LOOK"이다. 이유는 디스크 대기 큐를 정렬하면 16, 35, 40, 65, 90, 112, 165 순서로 되어 있으며, 이는 LOOK 알고리즘에서 헤드가 이동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LOOK 알고리즘은 SCAN 알고리즘과 유사하지만, 헤드가 큐의 끝에서 바로 반대쪽 끝으로 이동하지 않고, 대기 큐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까지 이동한 후 방향을 바꾸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LOOK 알고리즘은 SCAN 알고리즘보다 더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평가에서 생산성에 관한 것이 아닌 것은?

  1. 처리량
  2. 생산율
  3. 자료 처리율
  4. 하드웨어 이용률
(정답률: 65%)
  • 하드웨어 이용률은 시스템의 생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성능 지표입니다. 하드웨어 이용률은 시스템 자원 중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시스템의 효율성과 자원 활용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는 시스템의 생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생산성 평가에서는 처리량, 생산율, 자료 처리율 등과 같은 지표가 더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닉스 시스템에서 프로세스 관리, 입/출력 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kernel
  2. fork()
  3. utility
  4. shell
(정답률: 77%)
  • 유닉스 시스템에서 프로세스 관리, 입/출력 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kernel"이다. 이는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시스템의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을 관리하며, 프로세스 스케줄링, 메모리 할당, 입/출력 처리 등의 중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kernel이 없으면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스케줄링 기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선점 스케줄링은 프로세스가 CPU를 강제로 탈취할 수 없다.
  2. 실시간처리시스템은 주로 선점 CPU 스케줄링을 이용한다.
  3. 선점 스케줄링 기법은 많은 오버헤드를 초래한다.
  4. 선점 스케줄링 시스템은 응답 시간을 예측하기가 비선점 방식보다 용이하다.
(정답률: 70%)
  • 선점 스케줄링 시스템은 응답 시간을 예측하기가 비선점 방식보다 용이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선점 스케줄링 시스템은 프로세스가 CPU를 강제로 탈취할 수 있기 때문에, 예측할 수 없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선점 방식이 응답 시간을 예측하기가 더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운영체제의 계층구조에서 하드웨어와 가장 관련이 많고 시간 관리, 프로세서 관리, CPU 스케줄링, 입출력 제어, 시스템 자원의 배분 등과 같이 컴퓨터 운영에 필요한 핵심 사항들을 처리하는 것은?

  1. 커널
  2. 기억장치 관리기
  3. 입출력 시스템
  4. 파일 관리기
(정답률: 82%)
  •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가장 관련이 많은 부분입니다. 시스템 자원의 배분, 프로세서 관리, CPU 스케줄링, 입출력 제어 등과 같이 컴퓨터 운영에 필요한 핵심 사항들을 처리합니다. 따라서 커널은 운영체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운영체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81.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 사용되는 버스가 아닌 것은?

  1. 주소 버스
  2. ALU 버스
  3. 제어신호 버스
  4. 데이터 버스
(정답률: 82%)
  • ALU 버스는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버스입니다. ALU는 산술 논리 연산 장치를 의미하며, ALU 버스는 ALU와 다른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스입니다. 하지만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는 ALU와 다른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버스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ALU 버스는 마이크로 전자계산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마이크로컴퓨터 운영체제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파일 보호
  2. 파일 디렉토리 관리
  3. 상주 모니터로의 모드 전화
  4. 사용자 프로그램의 번역 및 실행
(정답률: 65%)
  • 마이크로컴퓨터 운영체제의 기능은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사용자 프로그램의 번역 및 실행은 운영체제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 등의 프로그램이 사용자 프로그램을 번역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파일 보호, 파일 디렉토리 관리, 상주 모니터로의 모드 전환 등은 운영체제가 직접 수행하는 기능으로, 하드웨어 자원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버퍼에 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입출력 장치와 중앙처리가의 처리속도 차이 때문에 필요하다.
  2. 주기억장치의 물리적인 주소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
  3. 중악처리기와 주기억 장치 사이에 둘 수 있는 버퍼로는 캐시 메모리가 있다.
  4. 입출력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버퍼를 둘 수 있다.
(정답률: 57%)
  • "주기억장치의 물리적인 주소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가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버퍼는 입출력 장치와 중앙처리기의 처리속도 차이를 해결하고, 입출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버퍼를 둘 수 있습니다. 또한 중앙처리기와 주기억 장치 사이에 둘 수 있는 버퍼로는 캐시 메모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SRAM과 DRAM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SRAM은 리플레시가 필요 없다.
  2. DRAM은 휘발성 소자이다.
  3. SRAM은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4. DRAM은 집적도가 높아 고용량이 가능하다.
(정답률: 73%)
  • SRAM은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지 않고, 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SRAM은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는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입출력 방법은?

  1. 메모리 맴에 의한 입출력
  2. DMA에 의한 입출력
  3. 인터럽트 제어에 의한 입출력
  4. 프로그램 제어에 의한 입출력
(정답률: 67%)
  • DMA(Direct Memory Access)에 의한 입출력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입출력 방법이다. DMA는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사이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중앙처리장치의 개입 없이 입출력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DMA에 의한 입출력은 중앙처리장치의 부담을 줄이고 입출력 작업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8192 word의 용량을 갖고, 한 word가 8-bit인 Dynamic RAM이 있다. 이 RAM chip을 이용하여 64K 용량을 가진 16bit의 주기억장치를 설계하고자 할 때 필요한 chip의 수는 몇 개 인가?

  1. 8
  2. 12
  3. 16
  4. 32
(정답률: 75%)
  • 64K 용량은 2^16 word이다. 따라서 16bit의 주기억장치를 만들기 위해서는 2^16 * 16bit = 1Mbit의 용량이 필요하다. 하나의 chip이 8192 word의 용량을 가지므로, 1Mbit / 8192 word = 128 chip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16bit의 주기억장치를 만들어야 하므로, 2개의 chip이 1개의 16bit word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128 chip / 2 = 64개의 chip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기억소자 중 휘발성 기억소자는?

  1. Core memory
  2. RAM
  3. ROM
  4. Bubble memory
(정답률: 77%)
  • 휘발성 기억소자는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는 기억소자를 말합니다. 그 중 RAM(Random Access Memory)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를 유지하고,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는 휘발성 기억소자입니다. 따라서 RAM은 휘발성 기억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I/O 버스를 통하여 접수된 COMMAND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 지는 곳은?

  1. 커맨드 디코더
  2. 상태 레지스터
  3. 버퍼 레지스터
  4. 인스트럭션 레지스터
(정답률: 85%)
  • I/O 버스를 통해 접수된 COMMAND은 커맨드 디코더에서 해석됩니다. 커맨드 디코더는 입력된 COMMAND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I/O 버스를 통해 입력된 COMMAND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커맨드 디코더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상태 레지스터, 버퍼 레지스터, 인스트럭션 레지스터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COMMAND 해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두 개의 데이터 가운데 한 개의 데이터는 CPU내의 누산기 레지스터인 ACC에 적재되어 있으며, 나머지 한 개의 데이터는 주기억장치의 특정 주소 또는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형식을 나타내는 명령어는?

  1. 0-주소 명령어
  2. 1-주소 명령어
  3. 2-주소 명령어
  4. 3-주소 명령어
(정답률: 65%)
  • 주소 명령어는 주기억장치의 특정 주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한 개의 데이터가 주기억장치의 특정 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형식을 나타내는 경우, 이는 주소 명령어이다. ACC에 적재된 데이터는 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이므로, 이는 주소 명령어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주소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의 기본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형식의 변환
  2. 전송의 동기 제어
  3. 신호 레벨의 정확성 확보
  4. 입출력 장치의 상태 조사
(정답률: 45%)
  •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의 기본적인 기능은 데이터 형식의 변환, 전송의 동기 제어, 신호 레벨의 정확성 확보 등이다. 하지만 입출력 장치의 상태 조사는 기본적인 기능이 아니라 부가적인 기능이다. 이는 입출력 장치가 현재 어떤 상태에 있는지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입출력 장치의 상태 조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병렬 데이터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직렬 전송 방식에 비하여 전송선의 수가 많다
  2. 근거리 주변 장치와의 통신에 주로 사용된다.
  3. 직렬 전송 방식에 비하여 데이터 전송속도가 느리다.
  4. 한 번에 단위 데이터(보통 바이트)가 전송된다.
(정답률: 72%)
  • "직렬 전송 방식에 비하여 데이터 전송속도가 느리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병렬 전송 방식은 여러 개의 전송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릅니다. 그러나 전송선의 수가 많아지면 전송선 간의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전송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가 약해져서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렬 전송 방식은 근거리 주변 장치와의 통신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인스트럭션 레지스터의 내용은 무엇을 통해 제어회로에 전달되는가?

  1. Memory Buffer Register
  2. Memory Address Register
  3. Encoder
  4. Decoder
(정답률: 57%)
  • 인스트럭션 레지스터의 내용은 명령어를 해독하기 위해 디코더에 전달됩니다. 디코더는 이 정보를 해석하여 어떤 동작을 수행할지 결정하고, 이에 따라 제어회로를 제어합니다. 따라서 디코더가 인스트럭션 레지스터의 내용을 받아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정확하게 정의한 것은?

  1. 모든 버스가 8라인으로 된 마이크로프로세서
  2. 데이터 버스가 8라인으로 된 마이크로프로세서
  3. 한어(Word)가 8비트로 된 마이크로프로세서
  4. 어드레스 버스가 8라인으로 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정답률: 37%)
  •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버스가 8라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버스가 8라인으로 된 마이크로프로세서"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다른 버스들은 크기가 다를 수 있지만, 데이터 버스는 8비트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동작 속도가 가장 빠른 기억소자는?

  1. ECL
  2. Schottky TTL
  3. TTL
  4. I2L
(정답률: 알수없음)
  • ECL은 "Emitter-Coupled Logic"의 약자로, 다른 기억소자들과는 달리 전류를 이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가장 빠른 동작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고속 컴퓨터나 통신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어 빠른 처리 속도를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좋은 소프트웨어가 갖는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시스템에 적용, 결합하는 등 응용성이 뛰어나다.
  2.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다.
  3. 프로그램이 짧고, 간단하다.
  4. 전체적인 흐름을 추적하기 용이하다.
(정답률: 67%)
  • 프로그램이 짧고, 간단하다는 것은 코드의 길이가 짧고, 복잡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좋은 소프트웨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이유는, 프로그램의 복잡성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능과 요구사항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복잡한 알고리즘이나 구조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좋은 소프트웨어의 특징으로는 프로그램이 짧고, 간단하다는 것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고급어가 아닌 것은?

  1. JAVA
  2. C++
  3. PASCAL
  4. Assembly
(정답률: 67%)
  • 정답은 "Assembly"입니다.

    "JAVA", "C++", "PASCAL"은 모두 고급 언어이며, 사람이 이해하기 쉽고 추상화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Assembly"은 저급 언어로, 기계어에 가까운 언어입니다.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고, 하드웨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고급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PU, Memory, I/O 등 각 구성단위 상호간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공동의 전송로이다.
  2. 버스를 사용하면 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3.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는 양방향 버스이며,제어 버스는 단방향 버스이다.
  4. 버스 방식을 사용하면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확장 메모리 나 입출력기기를 순차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시스템 확장에 융통성이 생긴다.
(정답률: 67%)
  •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는 양방향 버스이며, 제어 버스는 단방향 버스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는 양방향 버스이지만, 제어 버스도 양방향 버스이다. 제어 버스는 CPU와 다른 장치들 간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이 신호는 양방향으로 전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스택과 관련된 주소 방식은?

  1. 0-Address
  2. 1-Address
  3. 2-Address
  4. 3-Address
(정답률: 84%)
  • 스택은 메모리의 일정 영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때 주소를 명시하지 않고 스택 포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접근한다. 따라서 스택과 관련된 주소 방식은 "0-Addres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반도체 기억소자로서 기억용량이 비교적 크고, refresh를 필요로 하는 read/write 기억장치는?

  1. DRAM
  2. SRAM
  3. EPROM
  4. PLA
(정답률: 84%)
  • DRAM은 기억용량이 크고, 비교적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refresh가 필요한 read/write 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메인 메모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어드레스 선이 16비트로 구성되고, 데이터 선이 4비트로 구성 되어있는 메모리의 총 용량은?

  1. 64KB
  2. 32KB
  3. 16KB
  4. 8KB
(정답률: 24%)
  • 주어진 정보로부터, 메모리의 주소 공간은 2^16 (65536) 개의 주소를 가지며, 각 주소마다 4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메모리 용량은 2^16 x 4비트 = 2^14 x 2^2 비트 = 16384 x 4 비트 = 65536 비트 = 8KB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KB" 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