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

1. 어셈블러를 두 개의 pass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1.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하여 유지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2.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하여 처리 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3.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기호를 모두 정의한 뒤에 해당 기호를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4. 패스 1, 2의 어셈블러 프로그램이 작아서 경제적이기 때문에
(정답률: 27%)
  •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하여 처리 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객체 지향 언어의 개념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은?

  1. Instance
  2. Method
  3. Message
  4. Class
(정답률: 83%)
  • Class는 객체 지향 언어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는 개념입니다. 즉, Class는 객체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이며,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Instance는 Class를 기반으로 생성된 실제 객체를 의미하며, Method는 객체가 가지고 있는 동작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Message는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전달되는 요청이며, Class는 이러한 객체들을 묶어서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원시 프로그램을 하나의 긴 스트링으로 보고 원시 프로그램을 문자 단위로 스캐닝 하여 문법적으로 의미 있는 일련의 문자들로 분할해 내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1. 어휘분석
  2. 구문분석
  3. 바인딩
  4. 정규표현
(정답률: 47%)
  • 어휘분석은 원시 프로그램을 문자 단위로 스캐닝하여 문법적으로 의미 있는 일련의 문자들로 분할해 내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작업은 프로그램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구문분석은 어휘분석 이후에 이어지는 작업으로, 어휘분석에서 분할된 문자열들을 문법적으로 해석하여 프로그램의 구조를 파악하는 작업입니다. 바인딩은 변수나 함수 등의 이름과 그것에 대한 메모리 주소를 연결하는 작업이며, 정규표현은 문자열 패턴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들 중 어휘분석이 원시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므로 정답은 "어휘분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 언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식성이 높은 언어이다.
  2.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로 적합하다.
  3. 인터프리터 기법을 사용한다.
  4. 많은 데이터형과 풍부한 연산자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75%)
  • C 언어는 컴파일러 기법을 사용하며, 인터프리터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인터프리터 기법은 소스 코드를 한 줄씩 해석하며 실행하는 방식인데, C 언어는 소스 코드를 전체 컴파일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하고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인터프리터 기법을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매크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다른 컴퓨터의 기계어로 변환시키는 기능이다.
  2.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 내에 다른 고급 언어를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이다.
  3.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내에0 어셈블리 언어의 문장 및 함수 등을 삽입시키는 기능이다.
  4. 어셈블리 프로그램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코드들을 묶어 하나의 새로운 명령으로 정의시키는 기능이다.
(정답률: 86%)
  • "어셈블리 프로그램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코드들을 묶어 하나의 새로운 명령으로 정의시키는 기능이다."는 매크로 기능에 대한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이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를 매크로로 정의하여 코드의 길이를 줄이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셈블리언어에서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할 때 현재의 오퍼랜드에 있는 값을 다음 명령어의 번지로 할당하는 것은?

  1. TITLE
  2. INCLUDE
  3. EVEN
  4. ORG
(정답률: 73%)
  • "ORG"는 어셈블리언어에서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할 때 현재의 오퍼랜드에 있는 값을 다음 명령어의 번지로 할당하는 지시어입니다. 즉, "ORG"는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를 설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ORG"가 정답입니다. "TITLE"은 프로그램의 제목을 설정하는 지시어이고, "INCLUDE"는 다른 파일을 포함하는 지시어입니다. "EVEN"은 변수를 짝수 주소에 할당하는 지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C 언어에서 문자열 입력 함수는?

  1. getcher()
  2. gets()
  3. putchar()
  4. puts()
(정답률: 72%)
  • 정답은 "gets()"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getcher()"는 단일 문자를 입력받는 함수입니다.
    - "putchar()"는 단일 문자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puts()"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는 "gets()"입니다. "gets()" 함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열을 버퍼에 저장하고, NULL 문자를 추가하여 문자열을 완성합니다. 하지만, "gets()" 함수는 버퍼 오버플로우 등의 보안 문제가 있어서, 대신 "fgets()"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C 언어에서 이스케이프 시퀀스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n : null character
  2. \t : tab
  3. \b : backspace
  4. \r : carriage return
(정답률: 79%)
  • \n은 개행 문자(newline)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시퀀스이며, null character는 \0으로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객체지향 기법에서 이미 정의된 상위 클래스(부모 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연산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적응성
  2. 상속성
  3. 정보은닉
  4. 캡슐화
(정답률: 82%)
  • 상속성은 객체지향 기법에서 이미 정의된 상위 클래스(부모 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연산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추가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단항 연산자에 해당하는 것은?

  1. AND
  2. XOR
  3. OR
  4. NOT
(정답률: 75%)
  • 단항 연산자는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이며, "NOT"은 단항 연산자에 해당합니다. "NOT"은 논리 부정 연산자로, 피연산자의 논리값을 반대로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NOT True"는 "False"를 반환하고, "NOT False"는 "True"를 반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C 언어에서프로그램의 변수 선언을 "int c;"로 했을 경우 "&c"는 어떤 의미인가?

  1. c의 절대값
  2. c에 저장된 값
  3. c의 기억장소 주소
  4. c의 범위
(정답률: 80%)
  • "&c"는 "c의 기억장소 주소"를 의미한다. 이는 변수 c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며, 이 주소를 사용하여 변수 c에 접근하거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 언어의 기억 클래스 중 “extern"을 사용하여 선언하는 변수는?

  1. 자동변수
  2. 정적변수
  3. 외부변수
  4. 레지스터변수
(정답률: 78%)
  • extern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하는 변수는 다른 소스 파일에서 선언된 전역 변수를 참조하기 위한 변수로, 외부변수라고 불린다. 이 변수는 다른 소스 파일에서 선언되었지만, 현재 소스 파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선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서브루틴에서 자신을 호출한 곳으로 복귀시키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RET
  2. CALL
  3. LOOP
  4. NOP
(정답률: 65%)
  • RET는 "Return"의 약자로, 서브루틴에서 자신을 호출한 곳으로 돌아가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ET가 정답이다. CALL은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명령어이며, LOOP는 반복문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이고, NOP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빈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BNF 표기법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기호는?

  1. ==
  2. <>
  3. |
  4. ::=
(정답률: 71%)
  • BNF 표기법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이는 "정의됨"을 의미하는데, 왼쪽에 있는 기호가 오른쪽에 있는 기호로 정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 B는 A가 B로 정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은 BNF 표기법에서 가장 중요한 기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그램 수행 순서로 옳은 것은?

  1. 컴파일러 → 목적 프로그램 → 원시 프로그램
  2. 원시 프로그램 → 목적 프로그램 → 컴파일러
  3. 원시 프로그램 → 컴파일러 → 목적 프로그램
  4. 목적 프로그램 → 원시 프로그램 → 컴파일러
(정답률: 82%)
  • 원시 프로그램은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이며, 이를 컴파일러가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프로그램 수행 순서는 "원시 프로그램 → 컴파일러 → 목적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 기능을 쉽게 연상할 수 있는 기호를 기계어와 1:1로 대응시켜 코드화한 기호 언어이다.
  2. 프로그램에 기호화된 명령 및 주소를 사용한다.
  3.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은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아도 실행 가능하다.
  4. 어셈블리어의 기본 동작은 동일하지만 작성한 CPU마다 사용되는 어셈블리어가 다를 수 있다.
(정답률: 73%)
  •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은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아도 실행 가능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어셈블러(assembler)를 사용하여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으로 변환되어야 실행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 언어에서 정수형 변수 선언 시 사용하는 것은?

  1. float
  2. long
  3. char
  4. int
(정답률: 71%)
  •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는 "int"를 사용합니다. 이는 정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가장 적합한 자료형이기 때문입니다. "float"는 실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며, "long"은 큰 범위의 정수를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char"는 문자를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고수준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컴퓨터 주메모리에 적재해 두고, 그 중 한 명령문씩 꺼내어 이를 해석기에서 중간어로 전환하여 곧바로 실행시키는 것은?

  1. Loader
  2. Linker
  3. Compiler
  4. Interpreter
(정답률: 75%)
  • Interpreter는 고수준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컴퓨터 주메모리에 적재해 두고, 그 중 한 명령문씩 꺼내어 이를 해석기에서 중간어로 전환하여 곧바로 실행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Interpre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 언어에서 정수형 변수 a에 256이 저장되어 있다. 이를 7자리로 잡아 왼쪽으로 붙여 출력하고자 할 경우 printf() 내의 변환문자 사용으로 옳은 것은?

  1. %7f
  2. %-7d
  3. %7d
  4. %7s
(정답률: 62%)
  • 정수형 변수 a에 256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7자리로 잡아 왼쪽으로 붙여 출력하려면 "%-7d"를 사용해야 한다.

    - "%7f": 소수점 이하 7자리까지 출력하는 실수형 변환문자. 정수형 변수를 출력할 때는 사용할 수 없다.
    - "%-7d": 7자리를 확보하고, 왼쪽 정렬하여 정수형 변수를 출력하는 변환문자. 256을 7자리로 왼쪽 정렬하면 "256 "이 출력된다.
    - "%7d": 7자리를 확보하고, 오른쪽 정렬하여 정수형 변수를 출력하는 변환문자. 256을 7자리로 오른쪽 정렬하면 " 256"이 출력된다.
    - "%7s": 7자리를 확보하고, 문자열을 출력하는 변환문자. 정수형 변수를 출력할 때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셈블리어에서 논리적인 비교와 결과가 양수 또는 음수인지를 검사하여 상태 레지스터의 상태 비트를 설정하는 명령은?

  1. TEST
  2. NEG
  3. CWD
  4. LEA
(정답률: 52%)
  • TEST 명령은 두 개의 레지스터나 메모리 위치에 대해 논리적인 AND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가 0이면 상태 레지스터의 Zero 비트를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Zero 비트를 0으로 설정합니다. 또한, 결과가 양수인지 음수인지를 검사하여 Sign 비트를 설정합니다. 따라서 TEST 명령은 논리적인 비교와 결과의 부호를 모두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21. IP 주소로부터 물리적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은?

  1. ARP
  2. RARP
  3. ICMP
  4. DNS
(정답률: 67%)
  • IP 주소는 논리적인 주소이고, 물리적인 주소는 MAC 주소입니다. ARP 프로토콜은 IP 주소를 가진 호스트의 MAC 주소를 찾아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ARP가 IP 주소로부터 물리적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부호화(encoding)하는 방식은?

  1. PSK
  2. MRZ
  3. FM
  4. PM
(정답률: 60%)
  • PSK는 "Phase Shift Keying"의 약자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부호화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SK는 신호의 위상(phase)을 변화시켜서 0과 1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0은 위상이 0도인 신호를, 1은 위상이 180도인 신호를 사용하여 부호화합니다. 이렇게 변화된 아날로그 신호는 전파로 송신되어 수신측에서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복호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HDLC의 ABM의 부분집합으로 X.25의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LAPB
  2. LAPD
  3. LAPX
  4. LAPM
(정답률: 52%)
  • X.25의 링크 계층에서는 HDLC의 ABM 중에서도 비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LAPB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LAPB는 HDLC의 ABM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또한, X.25의 가상 회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LAPB는 가상 회선 식별자(VCI)와 가상 경로 식별자(VPI)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X.25의 링크 계층에서는 LAPB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점-대-점 링크뿐만 아니라 멀티 포인트 링크를 위하여 ISO에서 개발한 국제 표준프로토콜은?

  1. HDLC(High Data Link Control)
  2. BSC(Binary Synchronous Control)
  3. SWFC(Sliding Window Flow Control)
  4. LLC(Logic Link Control)
(정답률: 65%)
  • HDLC는 점-대-점 링크뿐만 아니라 멀티 포인트 링크를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이다. HDLC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며,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오류 검출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HDLC는 다양한 통신망에서 사용되며, 이식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HDLC는 멀티 포인트 링크를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망(network) 구조의 기본 유형이 아닌 것은?

  1. 버스형
  2. 링형
  3. 트리형
  4. 십자형
(정답률: 75%)
  • 십자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네트워크 구조이기 때문에 기본 유형이 아닙니다. 버스형, 링형, 트리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OSI 7계층에서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은?

  1. 데이터 링크 계층
  2. 물리 계층
  3. 응용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HTTP는 OSI 7계층 중 응용 계층에 속하며, 이 계층은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용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파수 분할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사람의 음성이나 데이터가 아날로그형태로 전송된다.
  2. 인접채널 사이의 간섭을 막기 위해 보호대역을 둔다.
  3. 터미널의 수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4. 주로 유선방송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정답률: 45%)
  • 주파수 분할 방식은 통신 채널을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 채널마다 고유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터미널의 수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은 채널의 수가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통신 환경이 변화할 때 채널 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의 통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인터넷 도메인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www : 호스트 컴퓨터이름
  2. hankook : 소속 기관
  3. co : 소속 기관의 서버이름
  4. kr : 소속 국가
(정답률: 62%)
  • "co"는 소속 기관의 서버 이름이 아니라, 상업적인 목적을 가진 기업이나 조직을 나타내는 인터넷 도메인이다. 예를 들어, "google.co"나 "apple.co"와 같은 도메인이 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무선 LAN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 중 경쟁에 의해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것은?

  1. PSK
  2. ASK
  3. DCF
  4. PCF
(정답률: 52%)
  • DCF는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의 약자로, 무선 LAN에서 경쟁에 의해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무선 LAN에서 노드들이 채널을 공유하며 데이터를 전송할 때, 먼저 채널을 점유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채널을 감지하여 다른 노드가 전송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송 중이 아닐 때에만 채널을 점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무선 LAN에서 충돌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ARQ 방식은?

  1. Stop-and-Wait ARQ
  2. Selective-Repeat ARQ
  3. Go-back-N ARQ
  4. Sequence-Number ARQ
(정답률: 71%)
  • 이 방식은 송신측이 일정 개수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이 이를 확인한 후에 다음 일정 개수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송신측이 일정 개수의 프레임을 전송하면 수신측은 이를 확인하고,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ACK)을 송신측에게 보내고, 송신측은 이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다음 일정 개수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Go-back-N ARQ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3단계 스키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부 스키마
  2. 외부 스키마
  3. 관계 스키마
  4. 개념 스키마
(정답률: 75%)
  • 관계 스키마는 2단계 스키마인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에서 생성되는 개념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테이블의 구조와 관계를 정의하는 스키마이다. 따라서 3단계 스키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관계 스키마"이다. 3단계 스키마는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에서 생성되는 스키마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성능과 관련된 세부적인 사항을 정의한다. 3단계 스키마에는 내부 스키마와 외부 스키마가 포함된다. 개념 스키마는 1단계 스키마로, 전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개념을 정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설명과 관계되는 트랜잭션의 특성은?

  1. Isolation
  2. Consistency
  3. Atomicity
  4. Durability
(정답률: 73%)
  • 이 트랜잭션은 "전체 또는 아무것도" (All or Nothing) 원칙을 따르며, 모든 작업이 완료되거나 아무것도 수행되지 않는 원자성(Atomicity)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커밋되고, 하나의 작업이라도 실패하면 롤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그림에서 Tree의 디그리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75%)
  • Tree의 디그리란 한 노드에 연결된 자식 노드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Tree의 디그리는 3입니다. 이유는 루트 노드에서 자식 노드가 3개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자료에 대하여 버블 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1회전 후의 결과는?

  1. 4, 2, 5, 6, 8
  2. 2, 4, 5, 6, 8
  3. 5, 2, 4, 6, 8
  4. 5, 6, 2, 4, 8
(정답률: 77%)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정렬 방법입니다.

    1회전에서는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냅니다. 이어서 세 번째 원소와 네 번째 원소, 네 번째 원소와 다섯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냅니다.

    따라서 1회전 후의 결과는 "5, 6, 2, 4, 8" 입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5, 6, 2, 4, 8" 인 이유는 1회전에서 2와 5를 비교하여 5가 뒤로 가고, 6과 5를 비교하여 6이 그 자리에 그대로 있기 때문입니다. 이어서 6과 2를 비교하여 6이 뒤로 가고, 6과 4를 비교하여 6이 뒤로 가고, 마지막으로 6과 8을 비교하여 8이 뒤로 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DBMS의 필수기능이 아닌 것은?

  1. 관리 기능
  2. 정의 기능
  3. 조작 기능
  4. 제어 기능
(정답률: 70%)
  • DBMS의 필수기능은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고 조작하며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 기능"은 필수기능이 아니며, 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데이터베이스의 백업, 복원, 보안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큐(Que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Top에서 이루어진다.
  2. FIFO 방식으로 처리한다.
  3. Front와 Real의 포인터 2개를 갖고 있다.
  4.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시 사용된다.
(정답률: 67%)
  • 큐(Queue)는 자료구조 중 하나로,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처리하는 선형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Top에서 이루어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올바른 설명은 "자료의 삽입은 Rear에서, 삭제는 Front에서 이루어진다."이다. 또한, 큐는 Front와 Rear의 포인터 2개를 갖고 있으며,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의 역할로 거리가 먼 것은?

  1.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분석
  2. DBMS 시스템 자원의 이용도 분석
  3. 데이터 표현 및 문서화의 표준 설정
  4.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조작
(정답률: 73%)
  • DBA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설계, 구축, 운영, 유지보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분석은 DBA의 역할과는 거리가 먼 업무입니다.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분석은 개발자나 시스템 분석가 등의 역할이며, DBA는 이들이 개발한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원활하게 연동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트리를 "Pre-Order"로 운행한 결과는?

  1. A B D E C F G H i
  2. D B E F C H G i A
  3. A B C D E F G H i
  4. D E B F H i G C A
(정답률: 75%)
  • Pre-Order는 루트 노드를 가장 먼저 방문하고, 왼쪽 서브트리를 방문한 후에 오른쪽 서브트리를 방문하는 순서이다. 따라서, 이 트리를 Pre-Order로 운행하면 "A B D E C F G H i"가 된다.

    처음에 루트 노드인 A를 방문하고, 왼쪽 서브트리인 B를 방문한다. B의 왼쪽 서브트리인 D를 방문하고, D의 왼쪽 서브트리인 E를 방문한다. E는 더 이상 자식 노드가 없으므로, 다시 D의 오른쪽 서브트리인 F를 방문한다. F의 왼쪽 서브트리인 G를 방문하고, G의 왼쪽 서브트리인 H를 방문한다. H는 더 이상 자식 노드가 없으므로, 다시 G의 오른쪽 서브트리인 i를 방문한다. 이제 F의 오른쪽 서브트리인 C를 방문한다. C의 왼쪽 서브트리인 없으므로, C의 오른쪽 서브트리인 없으므로, 이제 전체 트리를 모두 방문했으므로 운행을 종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색인 순차 파일(Indexed Sequential File)에서 색인영역(indexed Area)의 구성이 아닌 것은?

  1. 트랙 색인(track area) 영역
  2. 실린더 색인(cylinder area) 영역
  3. 마스터 색인(master area) 영역
  4. 오버플로우 색인(overflow area) 영역
(정답률: 77%)
  • 색인 순차 파일에서 오버플로우 색인 영역은 색인 영역에 더 이상 색인할 수 없는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이를 저장하는 영역입니다. 따라서 색인 영역의 구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선형리스트(linear list)에 해당하지 않는 자료 구조는?

  1. stack
  2. queue
  3. tree
  4. deque
(정답률: 79%)
  • 선형리스트는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한 자료 구조이며,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양쪽 끝에서만 가능합니다. 반면에 트리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자료 구조로, 부모와 자식 노드 간의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는 선형리스트와 달리 데이터의 구조가 계층적이며, 삽입과 삭제가 양쪽 끝이 아닌 중간에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트리는 선형리스트에 해당하지 않는 자료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41. propagation dela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ate상의 operating speed는 propagation delay에 비례한다.
  2. carry propagation은 ALU(arithmetic logic unit)path에서 가장 긴 delay를 말한다.
  3. 더 빠른 gate를 사용함으로써 propagation delay time을 줄일 수 있다.
  4. ALU의 parallel-adder에 carry propagation을 줄이기 위해 carry lock ahead를 사용한다.
(정답률: 33%)
  • "gate상의 operating speed는 propagation delay에 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gate가 입력 신호를 받아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데 걸리는 시간이 propagation delay이며, 이 시간이 짧을수록 gate의 operating speed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gate상의 operating speed는 propagation delay에 비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 아니라 옳은 설명이다.

    "carry propagation은 ALU(arithmetic logic unit)path에서 가장 긴 delay를 말한다.", "더 빠른 gate를 사용함으로써 propagation delay time을 줄일 수 있다.", "ALU의 parallel-adder에 carry propagation을 줄이기 위해 carry lock ahead를 사용한다."는 모두 propagation delay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중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행속도의 성능 개선이 목적이다.
  2. 하나의 복합적인 운영체제에 의하여 전체 시스템이 제어된다.
  3. 각 프로세서의 기억장치만 있으며 공유 기억장치는 없다.
  4. 프로세서들 중 하나가 고장나도 다른 프로세서들에 의해 고장난 프로세서의 작업을 대신 수행하는 장애극복이 가능하다.
(정답률: 45%)
  • "각 프로세서의 기억장치만 있으며 공유 기억장치는 없다."는 다중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다중처리기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공유 기억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이는 수행속도의 성능 개선을 위해 고안된 것이며, 하나의 복합적인 운영체제에 의해 전체 시스템이 제어됩니다. 또한, 프로세서들 중 하나가 고장나도 다른 프로세서들에 의해 고장난 프로세서의 작업을 대신 수행하는 장애극복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터럽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CPU의 상태는 보존하지 않아도 된다.
  2.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면 CPU는 인터럽트 사이클이 끝날 때까지 동작을 멈춘다.
  3.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할 때 인터럽트 플래그(IF)를 0으로 하면 인터럽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4.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처리를 수행한 후 이전에 수행 중이던 프로그램의 처음상태로 복귀한다.
(정답률: 36%)
  • 정답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할 때 인터럽트 플래그(IF)를 0으로 하면 인터럽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다. 이유는 인터럽트 플래그(IF)가 0이면 인터럽트가 비활성화되어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하기 전에 IF를 0으로 설정하면 인터럽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PU에 의해 참조되는 각 주소는 가상주소를 주기억장치의 실제주소로 변환하여야 한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mapping
  2. blocking
  3. buffering
  4. interleaving
(정답률: 63%)
  • 이것을 "mapping" 이라고 한다. CPU가 참조하는 가상주소는 실제 주기억장치의 주소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가상주소를 실제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운영체제는 페이지 테이블이라는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가상주소와 실제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유지하고, CPU가 참조하는 각 주소에 대해 페이지 테이블을 검색하여 실제주소로 변환한다. 이 과정을 "mapping" 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짝수 패리티 비트의 해밍 코드로 0011011을 받았을 때 오류가 수정된 정확한 코드는?

  1. 0111011
  2. 0001011
  3. 0011001
  4. 0010101
(정답률: 42%)
  • 해밍 코드는 오류 검출과 수정을 위한 코드이다. 이 코드는 데이터 비트와 패리티 비트를 결합하여 생성된다. 패리티 비트는 데이터 비트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며, 해당 비트의 값은 해당 비트를 포함하는 모든 데이터 비트의 합의 패리티에 따라 결정된다.

    주어진 데이터 "0011011"의 짝수 패리티 비트는 "101"이다. 이진수에서 1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패리티 비트는 1이 된다. 따라서, 이 데이터의 오류 검출 비트는 "0011011101"이 된다.

    이제, 이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3번째 비트가 뒤집혔다고 하자. 이 경우, 오류 검출 비트는 "0011111101"이 된다. 이제, 이 비트를 사용하여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오류 검출 비트에서 1의 개수가 홀수인 비트는 오류가 발생한 비트이다. 따라서, 3번째 비트가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비트를 뒤집으면, 오류가 수정된 데이터는 "001100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110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레지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레지스터는 워드를 구성하는 비트 개수만큼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2. 여러 개의 플립플롭은 공통 클록의 입력에 의해 동시에 여러 비트의 입력 자료가 저장된다.
  3. 레지스터에 사용되는 플립플롭은 외부입력을 그대로 저장하는 T 플립플롭이 적당하다.
  4.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플립플롭은 저장하는 값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해 별도의 입력단자를 추가할 수 있으며, 저장값을 0 으로 하는 것을 설정해제(CLR)라 한다.
(정답률: 58%)
  • "레지스터에 사용되는 플립플롭은 외부입력을 그대로 저장하는 T 플립플롭이 적당하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레지스터에 사용되는 플립플롭은 D 플립플롭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D 플립플롭은 입력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레지스터에 적합합니다. T 플립플롭은 입력값을 토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레지스터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중앙 연산 처리장치의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1. IR
  2. MAR
  3. MODEM
  4. PC
(정답률: 65%)
  • 중앙 연산 처리장치의 하드웨어적인 요소는 IR(명령어 레지스터), MAR(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PC(프로그램 카운터) 등과 같은 레지스터, ALU(산술 논리 연산 장치), 캐시 메모리, 버스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말합니다. 하지만 MODEM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장치로, 중앙 연산 처리장치의 하드웨어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따라서 MODE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1의 보수로 음수를 표현하는 방식에 비하여 2의 보수로 음수를 표현하는 방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디지털 장치에서 음수화 구현이 쉽지 않다.
  2. 연산과정이 간단하다.
  3. 0 이 두 개이다.
  4. 4비트로 수를 표현하면 -7 ~ +7 범위의 수를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44%)
  • 2의 보수로 음수를 표현하는 방식은 1의 보수와 달리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으며, 덧셈과 뺄셈을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어 연산과정이 간단하다. 이는 1의 보수로 음수를 표현하는 방식에서는 덧셈과 뺄셈을 처리할 때 매번 1을 더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하드웨어의 특성상 주기억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전달의 능력 한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주기억장치 대역폭
  2. 주기억장치 접근율
  3. 주기억장치 접근 실패
  4. 주기억장치 사용의 편의성
(정답률: 62%)
  • 주기억장치 대역폭은 주기억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전달의 능력 한계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기억장치와 CPU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주기억장치 대역폭이 낮을수록 CPU가 주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속도가 느려지므로 시스템 전체적인 성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주기억장치 대역폭은 시스템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cycle stealing과 관계있는 것은?

  1. memory-maooed I/O
  2. isolated I/O
  3. interrupt-driven I/O
  4. DMA
(정답률: 45%)
  • DMA는 cycle stealing을 사용하여 CPU의 주기를 훔치지 않고 직접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cycle stealing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256×8 RAM 소자를 이용해서 2Kbyte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를 구성하려고 한다. 필요한 RAM 소자의 개수는?

  1. 8개
  2. 16개
  3. 24개
  4. 32개
(정답률: 41%)
  • 256×8 RAM 소자 하나는 256 바이트의 용량을 갖는다. 따라서 2Kbyte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를 구성하려면 2Kbyte ÷ 256 바이트 = 8개의 RAM 소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8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반감산기에서 차를 얻기 위하여 사용하는 게이트는 EX-OR이다. 이 EX-OR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게이트를 조합할 때, 필요한 게이트와 개수는?

  1. NOR Gate, 3개
  2. NAND gate, 5개
  3. OR Gate, 6개
  4. AND Gate, 6개
(정답률: 48%)
  • EX-OR 게이트는 두 입력 중 하나만 1일 때 1을 출력하는 게이트이다. 이를 만족하는 게이트 조합은 NAND 게이트 2개와 OR 게이트 1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필요한 게이트의 개수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NAND 게이트 2개를 만들기 위해서는 NAND 게이트 3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NAND 게이트 3개와 OR 게이트 1개를 합쳐서 EX-OR 게이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총 필요한 게이트는 NAND 게이트 3개와 OR 게이트 1개로 총 4개가 필요하다. 그러나 NAND 게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가 필요하므로, NAND 게이트 3개를 만들기 위해서는 AND 게이트 6개와 NOT 게이트 3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EX-OR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NAND 게이트 5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은 DMA의 데이터 전송 절차를 나열한 것이다. 순서가 옳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45%)
  • 정답은 "ⓑ→ⓓ→ⓐ→ⓒ"이다.

    먼저 DMA 컨트롤러는 CPU에게 DMA 전송을 요청한다. 이후 DMA 컨트롤러는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를 연결한다. 그리고 DMA 컨트롤러는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CPU에게 전송 완료를 알린다. 따라서 "ⓑ→ⓓ→ⓐ→ⓒ"가 옳은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프로그램이 가능한 논리소자로, n개의 입력에 대하여 개 이하의 출력을 만들 수 있는 논리회로는?

  1. RAM
  2. ROM
  3. PLA
  4. pipeline register
(정답률: 64%)
  • PLA는 Programmable Logic Array의 약자로,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소자 중 하나입니다. PLA는 AND 게이트 배열과 OR 게이트 배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 신호를 AND 게이트 배열에 적용하여 중간 결과를 만들고, 이 중간 결과를 OR 게이트 배열에 적용하여 최종 출력을 만듭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PLA는 n개의 입력에 대하여 개 이하의 출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PLA가 정답입니다. RAM, ROM, pipeline register는 모두 다른 종류의 논리소자이며, 입력과 출력의 개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하드웨어 신호에 의하여 특정 번지의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DMA
  2. vectored interrupt
  3. subroutine call
  4. handshaking mode
(정답률: 49%)
  • "Vectored interrupt"는 하드웨어 신호에 의해 특정 번지의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다른 옵션인 "DMA", "subroutine call", "handshaking mode"와는 다르게,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컴퓨터가 미리 정해놓은 주소로 바로 이동하여 해당 서브루틴을 실행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응답성과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DMA(Direct Memory Access) 과정에서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시점은?

  1. DMA가 메모리 참조를 시작할 때
  2. DMA 제어기가 자료 전송을 종료 했을 때
  3. 중앙처리장치가 DMA 제어기를 초기화 할 때
  4. 사이클 훔침(cycle stealing)이 발생하는 순간
(정답률: 42%)
  • DMA 제어기가 자료 전송을 종료 했을 때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이유는 DMA 제어기가 자료 전송을 완료하면 CPU에게 알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DMA 제어기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CPU에게 자료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됩니다. 따라서 DMA 제어기가 자료 전송을 종료 했을 때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그림은 입출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입출력 제어기, 입출력 장치제어기, 인터페이스, 입출력 장치
  2. 입출력 장치제어기, 입출력 제어기, 인터페이스, 입출력 장치
  3. 입출력 제어기, 인터페이스, 입출력 장치제어기, 입출력 장치
  4. 인터페이스, 입출력 장치제어기, 입출력 제어기, 입출력 장치
(정답률: 39%)
  • 입출력 시스템은 입출력 제어기와 입출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간의 통신을 위해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입출력 제어기, 인터페이스, 입출력 장치제어기, 입출력 장치"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플립플롭이 가지고 있는 기능은?

  1. 전송 기능
  2. 기억 기능
  3. 증폭 기능
  4. 전원 기능
(정답률: 58%)
  •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기억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해당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를 출력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플립플롭은 디지털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computer의 메모리 용량은 1024 word이고 1 word는 16 bit로 구성되어 있다면 MAR과 MBR은 최소 몇 bit로 구성되어 있는가?

  1. MAR=10, MBR=8
  2. MAR=10, MBR=16
  3. MAR=11, MBR=8
  4. MAR=11, MBR=16
(정답률: 68%)
  • 메모리 용량이 1024 word이므로, 주소를 나타내는 MAR은 10 bit가 필요하다. 또한, 1 word는 16 bit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MBR은 16 bit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MAR=10, MBR=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명령어 파이프라이닝을 사용하는 목적은?

  1. 기억용량 증대
  2. 메모리 액세스의 효율증대
  3. CPU의 프로그램 처리속도 개선
  4. 입출력 장치의 증설
(정답률: 55%)
  • 명령어 파이프라이닝은 CPU가 여러 개의 명령어를 동시에 처리하여 프로그램 처리속도를 개선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PU의 프로그램 처리속도 개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분산 처리 운영체제 시스템을 설계하는 주된 이유가 아닌 것은?

  1. 신뢰도 향상
  2. 자원 공유
  3. 보안의 향상
  4. 연산 속도 향상
(정답률: 70%)
  • 분산 처리 운영체제 시스템을 설계하는 주된 이유는 신뢰도 향상, 자원 공유, 연산 속도 향상입니다. 보안의 향상은 분산 처리 운영체제 시스템을 설계하는 이유 중 하나이지만, 가장 주된 이유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디스크 스케줄링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율 극대화
  2. 평균 반응 시간의 단축
  3. 응답시간 편차의 최소화
  4. 디스크 공간 확보
(정답률: 55%)
  • 디스크 스케줄링은 디스크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입출력 요청을 조율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디스크 공간 확보는 디스크 스케줄링과는 거리가 먼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UNIX에서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1. ls
  2. cat
  3. fcsk
  4. cp
(정답률: 68%)
  • 정답은 "ls"이다. "ls"는 "list"의 약자로,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ls"를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cat"은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fcsk"는 파일 시스템 체크를 수행하는 명령어, "cp"는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메모리 관리 기법 중 Worst fit 방법을 사용할 경우 10K 크기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서는 어느 부분이 할당되는가?

  1. NO. 2
  2. NO. 3
  3. NO. 4
  4. NO. 5
(정답률: 62%)
  • Worst fit 방법은 가장 큰 메모리 공간을 찾아서 할당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0K 크기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12K 크기의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NO.5는 8K 크기의 공간이므로 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NO.5는 정답이 아니다. NO.2, NO.3, NO.4 중에서는 10K 크기의 공간을 할당할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모두 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Worst fit 방법을 사용할 경우 10K 크기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서는 어느 부분도 할당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일정량 또는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를 한꺼번에 모아서 처리하는 운영체제의 운영 기법은?

  1. 일괄 처리 시스템
  2.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3. 시분할 시스템
  4. 실시간 처리 시스템
(정답률: 70%)
  • 일괄 처리 시스템은 일정량 또는 일정 기간 동안 모아진 작업들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운영 기법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작업을 제출하면 대기열에 저장되어 일괄적으로 처리되며, 처리 결과는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됩니다. 따라서 일괄 처리 시스템은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며,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 형태 중 주/종(Master/Slave) 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lave 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할 수 있다.
  2. Master에 문제가 발생하면 입출력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3.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4. 하나의 처리기를 Master로 지정하고 다른 처리기들은 Slave로 지정한다.
(정답률: 61%)
  • "Slave 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주/종 처리기 구조에서는 하나의 처리기를 Master로 지정하고 다른 처리기들은 Slave로 지정합니다. Master는 운영체제를 수행하고, Slave는 Master의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Slave도 운영체제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1. Throughout
  2. Reliability
  3. Integrity
  4. Turn Around Time
(정답률: 44%)
  •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기준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지만, "Integrity"는 데이터나 시스템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Integrity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데이터의 무결성이 깨지면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프로세스 내에서의 작업 단위로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를 의미하는 것은?

  1. Thread
  2. Working Set
  3. Semaphore
  4. Monitor
(정답률: 55%)
  • Thread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업 단위로, 프로세스의 자원을 공유하여 실행됩니다. 따라서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개의 Thread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Working Set은 메모리 관리에 사용되는 용어이며, Semaphore와 Monitor는 동기화를 위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프로세스의 정의와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
  2. PCB를 가진 프로그램
  3. 프로시저가 활동 중인 것
  4.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정답률: 56%)
  •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는데, 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동기적인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가 바로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가 프로세스의 정의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프로세스와 관련이 있지만, 정의와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파일 시스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파일의 생성, 변경, 제거
  2. 파일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 제어 방법 제공
  3. 정보 손실이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
  4.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의 번역
(정답률: 66%)
  • 파일 시스템은 파일의 생성, 변경, 제거와 파일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정보 손실이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의 번역은 파일 시스템의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 처리 도구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점유 및 대기 조건 방지, 비선점 조건 방지, 환형 대기 조건 방지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Prevention
  2. Avoidance
  3. Detection
  4. Recovery
(정답률: 58%)
  •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점유 및 대기 조건 방지, 비선점 조건 방지, 환형 대기 조건 방지는 모두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들이다. 따라서 이들 방법은 모두 "Prevention"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UNIX에서 커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NIX 시스템의 중심부에 해당한다.
  2.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3.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을 담당한다.
  4. 컴퓨터 부팅시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상주하면서 실행된다.
(정답률: 59%)
  • 정답은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이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을 담당하며, 컴퓨터 부팅시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상주하면서 실행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는 것은 쉘(shell)이라는 프로그램이 담당한다. 쉘은 사용자와 커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일 디스크립터의 내용에는 파일의 ID 번호, 디스크 내 주소, 파일 크기 등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2. 파일이 엑세스되는 동안 운영체제가 관리 목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모아 놓은 자료구조이다.
  3. 해당 파일이 Open되면 FCB(File Control Block)가 메모리에 올라와야 한다.
  4. 모든 시스템에 동일한 자료구조를 갖는다.
(정답률: 67%)
  • "모든 시스템에 동일한 자료구조를 갖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운영체제마다 다른 자료구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파일 디스크립터가 정수형으로 표현되며,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파일 핸들(File Handle)이라는 자료구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분산 운영체제의 구조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Multi-access Bus Connection
  2. Hierarchy Connection
  3. Star Connection
  4. Ring Connection
(정답률: 60%)
  • 이 구조는 Multi-access Bus Connection이다. 이는 모든 노드가 하나의 버스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를 전송할 때 버스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노드 간의 통신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버스를 통해 전달되는 방식이다. 이 구조는 구현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노드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NUR(Not-Used-Recently) 페이지 교체방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교체 대상이 되는 것은?

  1. 참조되고 변형된 페이지
  2. 참조는 안 되고 변형된 페이지
  3. 참조는 되었으나 변형 안 된 페이지
  4. 참조도 안 되고 변형도 안 된 페이지
(정답률: 57%)
  • "참조도 안 되고 변형도 안 된 페이지"가 가장 우선적으로 교체 대상이 되는 이유는, 이 페이지는 최근에 사용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도 변형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페이지들과 비교했을 때 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페이지를 교체함으로써, 더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pass)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1.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하여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
  2.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하여 처리속도가 감소하기 때문
  3.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기호를 모두 정의한 뒤에 해당 기호를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
  4. 패스 1, 2의 어셈블러 프로그램이 작아서 경제적이기 때문
(정답률: 52%)
  •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기호를 모두 정의한 뒤에 해당 기호를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즉, 한 번에 모든 기호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두 번의 패스를 통해 기호를 먼저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 LR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몇 번의 페이지 결함이 발생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47%)
  • LR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초기에는 모두 비어있는 상태이므로 페이지 결함이 발생한다.

    순서대로 페이지를 참조하면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페이지를 가장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로 갱신한다.

    1. 3 - [3] (페이지 결함 발생)
    2. 4 - [3, 4] (페이지 결함 발생)
    3. 5 - [3, 4, 5] (페이지 결함 발생)
    4. 6 - [3, 4, 5, 6] (페이지 결함 발생)

    따라서, 총 4번의 페이지 결함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UNIX 파일 시스템 구조에서 디렉토리별 디렉토리 엔트리와 실제 파일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은?

  1. I-node 블록
  2. 슈퍼 블록
  3. 부트 블록
  4. 데이터 블록
(정답률: 28%)
  • 디렉토리별 디렉토리 엔트리와 실제 파일에 대한 데이터는 모두 데이터 블록에 저장됩니다. 이는 파일 시스템에서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I-node 블록은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슈퍼 블록은 파일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하며, 부트 블록은 파일 시스템이 부팅될 때 필요한 정보를 저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디렉토리 구조는?

  1.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2. 1단계 디렉토리 구조
  3. 트리 디렉토리 구조
  4. 2단계 디렉토리 구조
(정답률: 53%)
  • 정답은 "트리 디렉토리 구조"입니다. 이는 디렉토리 구조가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하여 하위 디렉토리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디렉토리는 하나의 부모 디렉토리와 여러 개의 자식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파일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며, 파일 및 디렉토리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HRN(Highest Response Scheduling) 스케줄링 기법에서 우선순위 결정 방법은?

  1.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대기시간
  2.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시간
  3. 대기시간 / (대기 시간 + 서비스 시간)
  4. 서비스 시간 / 본문 (대기 시간 + 서비스 시간)
(정답률: 56%)
  • HRN 스케줄링 기법에서 우선순위 결정 방법은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시간"이다. 이는 대기시간과 서비스 시간의 합을 서비스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 값이 높을수록 해당 프로세스는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게 된다. 이유는 대기시간이 길고 서비스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일수록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이 공정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대기시간이 길면 사용자는 더 오래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81. 신호(signal)가 Low라면 모뎀 또는 데이터 셋이 UART와 통신을 성립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1. TXD
  2. nDSR
  3. nRI
  4. nDCD
(정답률: 56%)
  • nDSR은 데이터셋 준비 신호(Data Set Ready)로, 모뎀이 UART와 통신할 준비가 되어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신호가 Low일 때는 모뎀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UART와 통신을 성립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동기형 계수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리플 카운터
  2. BCD 카운터
  3. 2진 카운터
  4. 2진 업다운 카운터
(정답률: 58%)
  • 동기형 계수기는 모든 비트가 동시에 업데이트되는 반면, 리플 카운터는 가장 낮은 자리수부터 차례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동기형 계수기로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화상회의에서 사용되는 압축부호화 방식의 표준으로 p×64kbps (p = 1~30)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것은?

  1. H.261
  2. JPEG
  3. MPEG
  4. DSP
(정답률: 54%)
  • H.261은 화상회의에서 사용되는 표준 비디오 압축 부호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p×64kbps (p = 1~30)의 전송 속도를 가지며, 화상회의에서 사용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전송 속도와 일치하며, 화상회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압축 부호화 방식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인 JPEG는 정지 이미지 압축에 사용되는 방식이며, MPEG는 동영상 압축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DSP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마이크로컴퓨터와 외부장치 간에 적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은?

  1. 블루투스(Bluetooth)
  2. IrDA
  3. USB
  4. IEEE1394
(정답률: 49%)
  • IrDA는 Infrared Data Association의 약자로, 적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이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와 외부장치 간에 적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은 IrDA를 사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클록(Clock)에 의해 제어된다. 이 클록을 발생하는 회로는?

  1. 수정발진
  2. LC발진
  3. RC발진
  4. 마이크로발진
(정답률: 53%)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클록 회로는 수정발진 회로를 사용한다. 이는 안정적인 클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수정회로와 발진회로를 결합한 것으로, 수정회로는 안정적인 주파수를 유지하고 발진회로는 이를 발진시켜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수정발진 회로는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한 클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동기식 비트 직렬 전송의 동작 순서로 옳은 것은?

  1. ②-①-③-④
  2. ①-③-④-②
  3. ①-④-②-③
  4. ④-①-③-②
(정답률: 47%)
  • 동기식 비트 직렬 전송의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송신 측에서 시작 비트를 전송한다.
    ② 데이터 비트를 전송한다.
    ③ 패리티 비트를 전송한다.
    ④ 종료 비트를 전송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④-②-③"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IEE 488 버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6 Single line로 구성되어 있다.
  2. 3 line의 전송 제어선은 기기의 데이터 입출력 시에 handshaking 하는데 사용된다.
  3. sereal data 전송에 적합하다.
  4. GPIB라고도 하며 시스템간 통신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47%)
  • IEE 488 버스에 대한 설명 중 "sereal data 전송에 적합하다."는 틀린 설명이다. IEE 488 버스는 병렬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버스이며, 데이터 비트를 한 번에 여러 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병렬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기기 간의 통신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CPU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fetch state
  2. major state
  3. stable state
  4. unstable state
(정답률: 60%)
  • CPU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상태를 "major state"라고 부릅니다. 이는 CPU가 명령어를 가져오는(fetching), 명령어를 실행하는(executing), 입출력을 처리하는(input/output), 인터럽트를 처리하는(interrupt) 등의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상태는 CPU의 동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며, 다른 상태들과 구분되어 "major" state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요 구성블록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ALU
  2. 제어부
  3. 레지스터부
  4. 주기억장치
(정답률: 53%)
  • 주기억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요 구성블록이 아닙니다. 주기억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처리하는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는 별개의 장치입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요 구성블록은 ALU(산술논리연산장치), 제어부, 레지스터부입니다. ALU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레지스터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들로 구성된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최근 마이크로컴퓨터의 병렬 포트 표준 모드 중 고속 DMA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드는?

  1. SPP(Standard Parallel Port)
  2. Byte
  3. EPP(Enhanced Parallel Port)
  4. ECP(Extended Capability Port)
(정답률: 35%)
  • ECP 모드는 고속 DMA(Direct Memory Access) 전송을 지원하기 때문에 다른 모드에 비해 더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이 모드는 데이터 전송 중에 CPU의 부담을 줄여주기 때문에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ECP 모드를 지원하는 병렬 포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서브루틴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Stack
  2. Queue
  3. Linked list
  4. Array
(정답률: 57%)
  • 서브루틴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스택이다. 이는 서브루틴이 호출될 때 호출한 함수의 반환 주소와 호출 시 사용되는 변수 등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되어 있어,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어지기 때문에 서브루틴이 끝나고 원래 함수로 돌아갈 때에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반환 주소가 먼저 꺼내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서브루틴의 수행이 끝난 후에도 원래 함수의 실행 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인출 사이클(fetch cycle)에서 active low로 되지 않는 신호는? (단, Z80 기준)

(정답률: 46%)
  • ""가 정답이다. 이는 Z80에서 인출 사이클(fetch cycle) 동안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MREQ 신호이며, active low로 동작한다. 나머지 세 개의 신호는 모두 active low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제어 신호를 위한 마이크로 명령어를 저장한다.
  2. 제어 내용을 변경하기가 쉽다.
  3. 유지, 보수서이 좋다.
  4.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47%)
  •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 방식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제어 신호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 방식은 제어 신호를 위한 마이크로 명령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해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제어 내용을 변경하기가 쉽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CMOS RAM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제조 공법을 사용한다.
  2. 전원으로부터의 잡음에 대한 허용도가 낮다.
  3. 전력 소비랑이 낮다.
  4. 건전지로 전원이 공급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정답률: 54%)
  • CMOS RAM은 전원 소비가 낮고 건전지로 전원이 공급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제조 공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전원으로부터의 잡음에 대한 허용도가 낮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오히려 CMOS RAM은 전원으로부터의 잡음에 민감하므로, 전원 필터링이나 적절한 전원 공급 회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I/O 버스를 통하여 접수된 command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지는 곳은?

  1. 커맨더 디코더
  2. 상태 레지스터
  3. 버퍼 레지스터
  4. 인스트럭션 레지스터
(정답률: 65%)
  • I/O 버스를 통해 접수된 command는 커맨더 디코더에서 해석됩니다. 커맨더 디코더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I/O 버스를 통해 전달된 명령어를 해석하여 CPU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JTAG(Joint Test Action Group) 인터페이스에서 핀으로 칩 안에 구성되지 않는 것은?

  1. TDI(데이터 입력)
  2. TMS(모드)
  3. TTS(전송)
  4. TRST(리셋)
(정답률: 34%)
  • JTAG 인터페이스에서 TDI는 데이터 입력, TMS는 모드, TRST는 리셋을 담당하지만 TTS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TTS가 핀으로 칩 안에 구성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하나의 서브루틴 속에 존재하는 또 하나의 서브루틴, 즉, 서로 다른 서브루틴 중에서 호출되는 서브루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Nested Subroutine
  2. Open Subroutine
  3. Closed Subroutine
  4. Cross Subroutine
(정답률: 44%)
  • 정답: "Nested Subroutine"

    설명: Nested Subroutine은 하나의 서브루틴 안에 또 다른 서브루틴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서브루틴은 호출되는 서브루틴과 호출하는 서브루틴 사이에 중첩되어 있으며, 호출되는 서브루틴은 호출하는 서브루틴의 일부분으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중첩된 서브루틴은 코드의 재사용성과 모듈화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Nested Subroutine"이 정답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거나, 서브루틴의 특정 유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PLA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ND와 OR 배열 모두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2. AND 배열만 프로그래밍 한다.
  3. OR 배열만 프로그래밍 한다.
  4. 프로그래밍을 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60%)
  • PLA는 Programmable Logic Array의 약자로, 입력 신호를 AND와 OR 게이트로 구성된 배열을 통해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논리 회로입니다. 이러한 배열은 프로그래밍 가능하며, 입력과 출력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논리 회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ND와 OR 배열 모두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4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한 4비트 리플카운터(ripple counter)는 입력 주파수를 어떤 주파수의 파형으로 변환하는가?

  1. 1/4 주파수의 파형
  2. 1/8 주파수의 파형
  3. 1/16 주파수의 파형
  4. 1/32 주파수의 파형
(정답률: 63%)
  • 4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한 4비트 리플카운터는 2의 4승인 16개의 카운트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 카운트마다 플립플롭의 출력이 바뀌므로, 출력 주기는 입력 주파수의 1/16이 됩니다. 따라서, 4비트 리플카운터는 입력 주파수를 1/16 주파수의 파형으로 변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제어논리가 마이크로프로그램 기억 장치인 읽기용 기억 장치(ROM)에 구성되어 있어, 여러 대규모 집적회로군이 이미 마이크로프로그램 되어 있는 것은?

  1. 가상 CPU
  2. 슈퍼 워크스테이션
  3. 슈퍼 VHS
  4. 쇼트키 쌍극형 마이크로컴퓨터 세트
(정답률: 60%)
  • 제어논리가 마이크로프로그램 기억 장치인 ROM에 구성되어 있어, 이미 마이크로프로그램 된 대규모 집적회로군을 가지고 있는 것은 마이크로컴퓨터이다. 그 중에서도 쇼트키 쌍극형 마이크로컴퓨터 세트는 이미 제어논리가 ROM에 구성되어 있어, 추가적인 프로그래밍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세트이다. 따라서 정답은 "쇼트키 쌍극형 마이크로컴퓨터 세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