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8-26)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12-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

1. 매크로 관련 용어 중 매크로 호출 부분에 정의된 매크로 코드를 삽입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매크로 확장
  2. 매크로 호출
  3. 매크로 정의
  4. 매크로 라이브러리
(정답률: 77%)
  • 매크로 확장은 매크로 호출 부분에서 정의된 매크로 코드를 실제 코드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매크로 호출 부분에 정의된 매크로 코드를 실제 코드로 확장시켜주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변수의 값이 저장된 기억장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변수의 어떤 구성 요소에 의해서 가능한가?

  1. 대입기능
  2. 이름
  3. 참조기능
(정답률: 79%)
  • 변수의 값이 저장된 기억장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변수의 참조기능에 의해서 가능합니다. 변수의 이름을 통해 해당 변수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참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변수의 값을 읽거나 변경하려면 해당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참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C 언어에서 논리 곱(AND)을 나타내는 논리 연산자는?

  1. ||
  2. &&
  3. !
  4. >
(정답률: 85%)
  • C 언어에서 논리 곱(AND)을 나타내는 논리 연산자는 "&&"이다. 이는 두 개의 조건이 모두 참일 때만 전체 조건이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자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if (a > 5 && b < 10)"는 a가 5보다 크고 b가 10보다 작을 때만 조건이 참이 된다. "&"는 비트 연산자로서, 논리 연산자로 사용할 경우 논리 곱 대신 비트 단위 AND 연산을 수행하므로, 논리 곱을 나타내는 논리 연산자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셈블리어에서 라이브러리에 기억된 내용을 프로시저로 정의하여 서브루틴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은?

  1. SEGMENT
  2. ORG
  3. INCLUDE
  4. EXTRN
(정답률: 88%)
  • "INCLUDE" 명령은 어셈블리어에서 다른 파일에 저장된 코드나 데이터를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내용을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따라서 "INCLUDE" 명령은 서브루틴으로 정의된 라이브러리를 현재의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명령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어셈블러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으로서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는 명령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macro instruction
  2. pseudo instruction
  3. machine instruction
  4. operand instruction
(정답률: 77%)
  •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어셈블러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으로서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는 명령어를 "pseudo instruction" 이라고 한다. 이는 어셈블러가 해당 명령어를 해석하여 여러 개의 기계어 명령어로 변환하거나, 다른 기계어 명령어를 대신하여 처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LOAD"나 "STORE"와 같은 명령어는 기계어로 직접 변환될 수 있지만, "ORG"나 "EQU"와 같은 명령어는 어셈블러가 해석하여 다른 명령어로 변환하거나 처리해야 한다. 이러한 명령어를 "pseudo instruction"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C 언어에서 이스케이프 시퀀스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f : form feed
  2. \b : backspace
  3. \r : carriage return
  4. \t : total sum
(정답률: 86%)
  • \t는 이스케이프 시퀀스가 아니며, C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셈블리어에서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은?

  1. INCLUDE
  2. ASSUME
  3. EQU
  4. ORG
(정답률: 85%)
  • "EQU"는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로, 기호적 이름과 상수 값을 연결하여 상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INCLUDE"는 다른 파일을 현재 파일에 포함시키는 명령어이고, "ASSUME"은 레지스터와 세그먼트 레지스터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ORG"는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를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C 언어의 기억 클래스(Storage Class)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external
  2. dynamic
  3. register
  4. auto
(정답률: 80%)
  • 정답은 "dynamic"입니다.

    C 언어의 기억 클래스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uto: 지역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생성되고 함수가 종료될 때 소멸됩니다.

    2. register: auto와 비슷하지만, 변수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려고 시도합니다.

    3. static: 지역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생성되지 않고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메모리에 상주합니다.

    4. external: 다른 파일에서 선언된 전역 변수를 사용할 때 사용됩니다.

    "dynamic"은 기억 클래스가 아니며, 동적 메모리 할당을 위한 함수인 malloc()과 free()를 사용하여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C 언어에서 나머지를 구하는 잉여 연산자(modular operation)는?

  1. #
  2. $
  3. &
  4. %
(정답률: 82%)
  • C 언어에서 "%" 기호는 나머지를 구하는 잉여 연산자이다. 이 연산자는 왼쪽 피연산자를 오른쪽 피연산자로 나눈 후, 나머지 값을 반환한다. 예를 들어, 7 % 3은 1을 반환한다. 따라서, "%" 기호가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인 이유는 이러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C 언어에서 이 기호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1. 패스 1, 2의 어셈블러 프로그램이 작아서 경제적이기 때문에
  2.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메모리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3.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하여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4.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정답률: 72%)
  •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기 때문에"입니다. 첫 번째 패스에서는 기호를 정의하고, 두 번째 패스에서는 실제 기계어 코드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하면 기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으며,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어서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객체지향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객체지향 방법론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의 한계와 소프트웨어 개발의 위기에서 비롯되었다.
  2. 정보은닉을 위해 객체의 캡슐화(encapsulation)를 행하며 모듈의 재사용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3. 객체지향 언어에 있어 각 객체는 속성과 메소드의 결합을 통해 연산을 수행한다.
  4. 실체(instance)의 개념은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정답률: 72%)
  • 객체지향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실체(instance)의 개념은 객체지향 언어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클래스(class)를 기반으로 생성된 객체(object)를 의미한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이며, 실체는 이 틀을 기반으로 생성된 실제 객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실체(instance)의 개념은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서브루틴으로 작성되는 프로시저는 주프로시저에서 호출되어 실행하고, 실행이 끝나면 자신을 호출한 CALL의 다음 명령으로 복귀시켜야 한다. 서브루틴에서 자신을 호출한 곳으로 복귀시키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END
  2. SAR
  3. CMP
  4. RET
(정답률: 79%)
  • RET는 Return의 약자로, 서브루틴에서 실행을 마치고 자신을 호출한 CALL의 다음 명령으로 복귀시키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RE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가 소프트웨어 설계상 가장 크게 공헌한 점은?

  1. 코드의 재사용
  2. 코드의 종속성
  3. 코드의 자동성
  4. 코드의 정확성
(정답률: 73%)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는 코드를 객체 단위로 구성하고, 이러한 객체들을 조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합니다. 이렇게 작성된 코드는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재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줍니다. 따라서 "코드의 재사용"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가 소프트웨어 설계상 가장 크게 공헌한 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그램 수행 순서로 옳은 것은?

  1. ① → ② → ⑤ → ③ → ④
  2. ④ → ① → ② → ⑤ → ③
  3. ② → ⑤ → ③ → ④ → ①
  4. ③ → ④ → ① → ② → ⑤
(정답률: 90%)
  • 프로그램의 수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③: 변수 a에 10을 대입합니다.
    ④: 변수 b에 20을 대입합니다.
    ①: 변수 c에 a와 b를 더한 값을 대입합니다.
    ②: 변수 d에 a와 b를 뺀 값을 대입합니다.
    ⑤: 변수 e에 c와 d를 곱한 값을 대입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 ④ → ① → ② → 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셈블리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셈블리어는 모든 컴퓨터 기종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2.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에 가까운 언어이다.
  3.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1대1로 대응시켜서 표현한 기호식 표기법이다.
  4. 어셈블리어에서는 데이터가 기억된 번지를 기호(symbol)로 지정한다.
(정답률: 89%)
  • 정답: "어셈블리어는 모든 컴퓨터 기종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설명: 어셈블리어는 컴퓨터의 아키텍처에 따라 다르게 작성되어야 하므로 모든 컴퓨터 기종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C 언어의 printf() 함수에서 실수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형식지정자는?

  1. %c
  2. %d
  3. %f
  4. %s
(정답률: 76%)
  • "%f"는 실수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형식지정자이다. 이유는 "f"가 floating point(부동소수점)의 약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printf() 함수에서 실수를 출력할 때는 "%f"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해당 내용을 각 페이지 상단에 출력토록 하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TITLE
  2. INC
  3. REP
  4. INT
(정답률: 89%)
  • 정답은 "TITLE"입니다.

    "TITLE" 명령은 어셈블리어에서 프로그램의 제목을 지정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상단에 지정한 제목이 출력됩니다. 따라서 해당 내용을 각 페이지 상단에 출력하려면 "TITLE" 명령을 사용하면 됩니다.

    "INC" 명령은 레지스터나 메모리의 값을 1 증가시키는 명령입니다. "REP" 명령은 반복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며, "INT" 명령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명령입니다. 이들 명령은 해당 내용을 출력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나의 오퍼랜드에 호출할 가로채기 벡터의 번호를 표현하여 가로채기를 요청하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TITLE
  2. INC
  3. INT
  4. REP
(정답률: 70%)
  • 정답은 "INT"이다. INT는 Interrupt(인터럽트)를 의미하는데, 이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다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여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로채기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INT 명령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 언어에서 정수형 변수 선언시 사용하는 것은?

  1. float
  2. char
  3. int
  4. double
(정답률: 83%)
  •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는 "int"를 사용합니다. 이는 정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으로, 32비트(4바이트) 크기의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float"는 실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이며, "char"는 문자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double"은 더 큰 범위의 실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작성된 표현식이 BNF의 정의에 의해 바르게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만든 트리는?

  1. Define Tree
  2. Control Tree
  3. Parse Tree
  4. Manipulation Tree
(정답률: 85%)
  • BNF는 문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메타언어이며, 이를 통해 작성된 표현식은 구문 분석(parse)을 통해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때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트리를 파스 트리(parse tree)라고 합니다. 따라서 BNF로 작성된 표현식을 구문 분석하여 생성된 트리는 파스 트리이며, 정답은 "Parse Tre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21.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으로부터 ACK 및 NA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정보 전송을 중지하고 기다리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은?

  1. CRC 방식
  2. Go-back-N 방식
  3. Stop-and-wait 방식
  4. Selective repeat 방식
(정답률: 83%)
  • Stop-and-wait 방식은 한 번에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으로부터 ACK(정상 수신 확인) 및 NAK(오류 발생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정보 전송을 중지하고 기다리는 ARQ 방식입니다. 따라서, 전송한 프레임에 대한 수신 확인이 올 때까지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고 기다리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LAN 토폴로지는?

  1. 스타(Star)형
  2. 링(Ring)형
  3. 버스(Bus)형
  4. 그물(Mesh)형
(정답률: 72%)
  • 각 컴퓨터가 한 개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고, 이 케이블이 중앙의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버스(Bus)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패킷 교환망에 접속되는 단말기 중 비패킷형 단말기(Non-Packet Mode Terminal)에서 패킷의 조립ㆍ분해 기능을 제공해 주는 일종의 어댑터는?

  1. GFI
  2. PTI
  3. SVC
  4. PAD
(정답률: 65%)
  • PAD는 Packet Assembler/Disassembler의 약자로, 비패킷형 단말기에서 패킷 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패킷의 조립과 분해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PAD입니다. GFI는 Group Function Indicator, PTI는 Packet Type Identifier, SVC는 Switched Virtual Circuit의 약자로, 이들은 패킷 교환망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비패킷형 단말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트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2. 비연결형 서비스이다.
  3. 전이중 서비스를 제공한다.
  4. 신뢰성 있는 전송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81%)
  • TCP 프로토콜은 비연결형 서비스가 아닌 연결형 서비스이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 후에는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결 과정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신호를 구성하는 주파수에 따라서 전파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전송 손상 현상은?

  1. 감쇠현상
  2. 상호변조잡음
  3. 누화잡음
  4. 지연왜곡
(정답률: 75%)
  • 신호를 구성하는 주파수에 따라 전파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신호가 도착하는 시간이 서로 다르게 되어 신호의 모양이 왜곡되는 현상을 지연왜곡이라고 합니다. 이는 특히 고속 데이터 전송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통신에서는 이를 보상하기 위한 기술들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패킷 교환에서 가상회선 방식에 비해 데이터그램 방식이 갖는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패킷이 동일한 경로로 전달되므로 항상 보내어진 순서대로 도착이 보장된다.
  2. 호 설정 과정이 없기 때문에 몇 개의 패킷으로 된 짧은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훨씬 빠르다.
  3. 망의 혼잡 상황에 따라 적절한 경로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융통성이 크다.
  4. 한 노드가 고장 나면, 이 노드를 경유하는 가상회선이 두절되는데 비해 데이터그램 방식은 우회 경로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다.
(정답률: 68%)
  • "패킷이 동일한 경로로 전달되므로 항상 보내어진 순서대로 도착이 보장된다."는 가상회선 방식의 장점이며, 데이터그램 방식은 이와 달리 패킷이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보내어진 순서대로 도착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Information Frame
  2. Supervisor Frame
  3. Control Frame
  4. Unnumbered Frame
(정답률: 46%)
  • HDLC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종류 중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모두 유효한 프레임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과 같은 전송 방식으로 옳은 것은?

  1. 문자 위주 동기방식
  2. 비트지향형 동기방식
  3. 조보식 동기방식
  4. 프레임 동기방식
(정답률: 81%)
  • 정답은 "문자 위주 동기방식"이다. 이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문자 단위로 전송되며, 문자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수한 문자를 이용하여 동기화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의 신뢰성이 중요한 통신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전화나 팩스 등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IP주소의 클래스로 옳은 것은?

  1. A 클래스
  2. B 클래스
  3. C 클래스
  4. D 클래스
(정답률: 70%)
  • 이 IP 주소는 첫 번째 옥텟이 224 이상이므로 D 클래스에 해당한다. D 클래스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할당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OSI 7계층 중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송 계층으로부터 받은 비트 스트림을 프레임(frame)이라는 데이터 단위로 나눈다.
  2. 두 노드 간을 직접 연결하는 링크 상에서 프레임의 전달을 담당한다.
  3. 흐름제어와 오류복구를 통하여 신뢰성 있는 프레임 단위의 전달을 제공한다.
  4. 대표적인 데이터링크 계층의 프로토콜로는 HDLC, PPP, LLC 등이 있다.
(정답률: 42%)
  • 정답은 "전송 계층으로부터 받은 비트 스트림을 프레임(frame)이라는 데이터 단위로 나눈다."가 아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비트열을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물리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해석하여 비트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과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산술식을 Pre-fix로 옳게 표현한 것은?

  1. **a+bcd
  2. *+a*bcd
  3. abc*+d*
  4. abc+*d*
(정답률: 61%)
  • Pre-fix 표기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위치하는 표기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산술식을 Pre-fix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 a * b c d

    이 식을 계산하면, 먼저 * b c d 를 계산하여 결과값을 얻습니다. 그리고 a와 이 결과값을 더하여 최종 결과값을 얻습니다. 따라서 이 식의 Pre-fix 표기법은 **a+bcd 입니다.

    이유는 연산자 * 가 가장 앞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연산자가 가장 먼저 계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 연산자가 계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Pre-fix 표기법에서는 가장 먼저 계산되어야 하는 연산자가 가장 앞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트리의 차수(Degree)는?

  1. 2
  2. 3
  3. 4
  4. 9
(정답률: 82%)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에서 분기되는 가지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각 노드에서 분기되는 가지의 수를 셀 때 보면, 루트 노드는 4개의 가지가 분기되어 있고, 그 다음 레벨의 노드들은 각각 2개, 3개, 4개, 1개의 가지가 분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많은 가지를 분기하는 루트 노드의 차수가 4이므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해싱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키 값이 같은 해시(hash) 주소를 갖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Mid-square
  2. Chaining
  3. Parsing
  4. Collision
(정답률: 94%)
  • 서로 다른 두 개의 키 값이 같은 해시 주소를 갖는 현상을 Collision이라고 한다. 이는 해시 함수가 키 값의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해시 주소를 계산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물리적 설계
  2. 개념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논리적 설계
  3.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4.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정답률: 84%)
  •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추상화 수준이 점점 하향되는 과정을 반영합니다. 개념적 설계는 업무 프로세스와 개체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논리적 설계는 개념적 모델을 데이터베이스 관계 모델로 변환하며, 물리적 설계는 논리적 모델을 실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구현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자료에 대하여 버블 정렬(bubble sort)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pass 1"의 실행 결과는?

  1. 3, 1, 4, 5, 2, 6, 7, 8
  2. 1, 3, 4, 2, 5, 6, 7, 8
  3. 4, 3, 1, 5, 7, 2, 6, 8
  4. 1, 3, 2, 4, 5, 6, 7, 8
(정답률: 91%)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pass 1"에서는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pass 1"의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3, 1, 5, 7, 2, 6, 8

    이유는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4가 3보다 크므로 두 원소의 위치를 바꾸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3이 1보다 크므로 두 원소의 위치를 바꾸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큰 값들이 뒤로 이동하게 되어 오름차순으로 정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트랜잭션의 특성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Atomicity, Consistency, Durability, Integrity
  2. Atomicity, Consistency, Durability, Isolation
  3. Automacity, Consistency, Durability, Isolation
  4. Atomicity, Coverage, Durability, Isolation
(정답률: 91%)
  • 정답은 "Atomicity, Consistency, Durability, Isolation" 입니다.

    - Atomicity (원자성): 트랜잭션은 작업의 일부분이라도 실패하면 전체 작업이 실패해야 합니다.
    - Consistency (일관성): 트랜잭션이 실행되기 전과 실행된 후의 데이터 상태는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 Durability (지속성):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그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합니다.
    - Isolation (고립성): 여러 개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될 때, 각각의 트랜잭션은 다른 트랜잭션의 연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DBMS의 필수 기능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조작기능, 제어기능, 연쇄기능
  2. 정의기능, 조작기능, 독립기능
  3. 정의기능, 제어기능, 보안기능
  4. 정의기능, 조작기능, 제어기능
(정답률: 94%)
  • DBMS의 필수 기능은 데이터를 정의하고 저장하는 정의기능,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삭제하는 조작기능,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제어기능입니다. 따라서 정의기능, 조작기능, 제어기능이 옳은 짝이 됩니다. 연쇄기능은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이며, 독립기능은 다른 시스템과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보안기능은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점 사용
  2. 내용에 의한 참조
  3. 계속적인 변화
  4. 실시간 접근성
(정답률: 88%)
  • 독점 사용은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독점 사용이란 특정 DBMS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DBMS에서만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DBMS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데이터 이전이나 다른 DBMS로의 이관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DBMS는 표준 SQL을 지원하고 있어 다른 DBMS로의 이전이나 공유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큐의 응용 분야로 적합한 것은?

  1.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
  2. 컴파일러를 이용한 언어번역
  3. 부프로그램 호출시 복귀주소 지정
  4. 인터럽트의 처리
(정답률: 87%)
  • 큐는 작업을 순서대로 처리하기 위한 자료구조로,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에 적합합니다. 운영체제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실행하며, 이들을 어떤 순서로 실행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때, 큐를 이용하여 프로세스를 대기열에 넣고, 우선순위에 따라 실행 순서를 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큐는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에 필수적인 자료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순차 파일(Sequential Fi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괄 처리보다 대화식 처리에 적합한 구조이다.
  2. 기억 장치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3. 필요한 레코드를 삽입, 삭제, 수정하는 경우 파일 전체를 복사해야 한다.
  4. 파일 탐색시 효율이 나쁘다.
(정답률: 72%)
  • "일괄 처리보다 대화식 처리에 적합한 구조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순차 파일은 일괄 처리에 적합한 구조이며, 대화식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파일의 끝까지 순차적으로 탐색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41. 인터프리터(interpreter)를 사용하는 언어는?

  1. BASIC
  2. FORTRAN
  3. PASCAL
  4. Machine Code
(정답률: 69%)
  • BASIC은 인터프리터를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BASIC 코드는 실행하기 전에 컴파일되지 않고, 라인 단위로 바로 실행됩니다. 따라서 BASIC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이 빠르고 간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가상기억장치에서 주소 공간이 1024K이고 기억공간은 32K라고 가정할 때 주기억장치의 주소레지스터는 몇 비트로 구성되는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53%)
  • 가상기억장치의 주소 공간이 1024K이므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20비트가 필요하다. (2^20 = 1024K)

    기억공간이 32K이므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15비트가 필요하다. (2^15 = 32K)

    따라서, 주기억장치의 주소레지스터는 20비트에서 15비트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15비트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JK 플립플롭에서 J=1, K=1일 때 Qn+1의 출력은?

  1. Qn
  2. 0(reset)
  3. 1(set)
  4. toggle
(정답률: 52%)
  • JK 플립플롭에서 J=1, K=1일 때는 이전 상태와 반대로 출력이 변경되는 "toggle" 동작이 발생합니다. 이는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 이전 상태와 반대로 출력이 변경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togg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명령어 파이프라인이 정상적인 동작에서 벗어나게 하는 일반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1. 자원 충돌
  2. 유효주소의 계산
  3. 데이터 의존성
  4. 분기 곤란
(정답률: 49%)
  • 명령어 파이프라인이 정상적인 동작에서 벗어나게 하는 일반적인 원인은 자원 충돌, 데이터 의존성, 분기 곤란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유효주소의 계산은 명령어 파이프라인의 동작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유효주소의 계산은 명령어 파이프라인의 정상적인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인터럽트 발생시 동작 순서로 옳은 것은?

  1. ② → ⑤ → ① → ④ → ③
  2. ② → ① → ④ → ⑤ → ③
  3. ② → ④ → ① → ⑤ → ③
  4. ② → ① → ⑤ → ④ → ③
(정답률: 64%)
  •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수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②에서 현재 수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ISR로 이동한다. ISR에서는 인터럽트를 처리하고, 처리가 끝나면 원래 수행하던 작업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①에서 ISR에서 원래 수행하던 작업으로 복귀한다. 그 후, ⑤에서 인터럽트가 발생한 위치로 돌아가서 수행을 재개한다. 그리고 ④에서 현재 수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시 ISR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ISR에서 처리가 끝나면 ③에서 원래 수행하던 작업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정답은 "② → ① → ⑤ → ④ → ③"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출력 제어 처리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작의 타이머를 조정하는 방식은 프로그램에 의해서 프로세서가 조정하는 중앙처리장치 제어방식과 별도의 제어장치를 두어 조정하는 전용장치 제어 방식이 있다.
  2. 중앙처리장치 제어방식은 입출력 시점을 중앙처리장치 동작 타이밍에 맞추는 동기방식과 입출력 장치의 동작 타이밍에 맞추는 비동기방식이 있다.
  3. 비동기 방식은 입출력 장치의 준비 상태를 중앙처리장치가 직접 검사하는 플래그 검사 방식과 입출력 장치에서 하드웨어적인 외부신호를 발생시켜 중앙처리장치에 알리는 인터럽트 제어 방식이 있다.
  4. 중앙처리장치 제어방식의 경우 동기방식과 비동기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인터럽트 제어방식은 동기방식에 해당된다.
(정답률: 37%)
  • "중앙처리장치 제어방식의 경우 동기방식과 비동기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인터럽트 제어방식은 동기방식에 해당된다."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인터럽트 제어방식은 비동기방식에 해당됩니다. 인터럽트는 입출력 장치나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서 발생하는 외부 신호에 의해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을 중단하고 해당 장치의 처리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제어방식은 비동기방식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컴퓨터의 메이저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행 상태가 끝나면 항상 패치 상태로만 간다.
  2. 간접 주소 명령어 형식인 경우 패치-간접-실행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3. 실행 상태는 연산자 코드의 내용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4. 패치 상태에서는 기억 장치에서 인스트럭션을 읽어 중앙처리장치로 가져온다.
(정답률: 64%)
  • "실행 상태가 끝나면 항상 패치 상태로만 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행 상태가 끝나면 다음 인스트럭션을 가져와서 실행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실행 상태와 패치 상태는 번갈아가며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ADD 명령어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다. t2 시간에 가장 알맞은 동작은? (단, MAR : Memory Address Register, MBR : memory Buffer Register, M(addr) : Memory, AC : 누산기)

  1. AC ← MBR
  2. MBR ← AC
  3. M(MBR) ← MBR
  4. AC ← AC+MBR
(정답률: 62%)
  • ADD 명령어는 누산기 AC에 메모리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더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AC와 MBR을 더한 값을 AC에 저장하는 "AC ← AC+MBR" 동작이 가장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명령어를 구성하는 명령어 내 비트들의 할당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버스 개수
  2. 주소지정방식의 개수
  3. 주소 영역
  4. 연산코드
(정답률: 37%)
  • 명령어 내 비트들의 할당은 명령어 형식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주소지정방식의 개수, 주소 영역, 연산코드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버스 개수는 명령어 내 비트들의 할당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버스 개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되며, 명령어 내 비트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버스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버스 개수"가 명령어 내 비트들의 할당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양수 A와 B가 있다. 2의 보수 표현 방식을 사용하여 A-B를 수행하였을 때 최상위비트에서 캐리(carry)가 발생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캐리가 발생한 것으로 보아 A는 B보다 작은 수이다.
  2. B-A를 수행하면 최상위비트에서 캐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3. A+B를 수행하면 최상위비트에서 캐리가 발생한다.
  4. A-B의 결과에 캐리를 제거하고 1을 더해주면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42%)
  • 정답은 "캐리가 발생한 것으로 보아 A는 B보다 작은 수이다."이다.

    2의 보수 표현 방식에서 A-B를 수행할 때, 먼저 B의 1의 보수를 취한 후 1을 더해준다. 그리고 이 값을 A와 더해준다. 이 때 최상위비트에서 캐리가 발생한다면, 이는 A와 B의 부호가 다르고 A가 B보다 작은 수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B-A를 수행하면 최상위비트에서 캐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부호가 같거나 A가 B보다 큰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위의 설명과는 상반된 경우이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사용자의 의도적인 인터럽트에 해당되는 것은?

  1. 스택 오버플로우
  2. 정전
  3. 시스템 호출
  4. 입출력 장치의 데이터 전송 요청
(정답률: 37%)
  • 사용자가 시스템에 명령을 내리거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으로, 시스템 호출은 사용자의 의도적인 인터럽트에 해당된다. 스택 오버플로우는 메모리 오버플로우로 인한 예기치 않은 동작을 유발하는 것이고, 정전은 전기적 문제로 시스템이 갑자기 종료되는 것이며, 입출력 장치의 데이터 전송 요청은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것이지만, 사용자의 명시적인 요청이 아니므로 의도적인 인터럽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인터럽트 서비스가 진행되면 다른 인터럽트를 배제시켜야 하는데 이 때 변경시켜야 하는 flag는 무엇이며, 어떻게 변경하여야 하는가?

  1. IEN ← 1
  2. IEN ← 0
  3. VAD ← 0
  4. VAD ← 1
(정답률: 45%)
  • 인터럽트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다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인 인터럽트 서비스를 끝내고 다음 인터럽트를 처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인터럽트를 비활성화하는 flag를 변경해야 하는데, 이 flag는 IEN입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IEN을 0으로 변경하여 다른 인터럽트를 배제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제어 주소 레지스터(control address register)에 적재될 수 없는 것은?

  1. MAR(memory address register)의 내용
  2. 사상(mapping)의 결과값
  3. 주소 필드(address field)
  4. 서브루틴 레지스터(subroutine register)의 내용들
(정답률: 33%)
  • 제어 주소 레지스터는 CPU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사용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제어 주소 레지스터에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해야 한다. 그러나, 서브루틴 레지스터의 내용은 서브루틴 호출 시 반환 주소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어 주소 레지스터에 적재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사상(mapping)의 결과값과 주소 필드(address field)도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는 값이 아니므로 제어 주소 레지스터에 적재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MAR(memory address register)의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프로그램 카운터가 명령어의 주소부분과 더해져서 유효번지를 결정하는 주소지정방식은?

  1.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2. 상대 주소지정방식
  3. 간접 주소지정방식
  4. 인덱스 주소지정방식
(정답률: 41%)
  • 프로그램 카운터가 명령어의 주소부분과 더해져서 유효번지를 결정하는 주소지정방식은 상대 주소지정방식이다. 이는 명령어가 실행될 때 현재 위치에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프로그램 카운터가 가리키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명령어의 주소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유연성이 높고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컴퓨팅이다.
  2. 사용자는 IT 자원을 필요한 만큼 빌려서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비용을 지불한다.
  3.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 제공자가 장애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면 자료에 접근이 불가능하다.
  4. PaaS는 서버, 데스크탑 컴퓨터, 스토리지 같은 IT 하드웨어 자원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빌려 쓰는 형태를 말한다.
(정답률: 56%)
  •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 제공자가 장애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면 자료에 접근이 불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여러 대의 서버를 이용하여 자원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한 대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서버에서 자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라우드 컴퓨팅에서는 서비스 제공자의 장애로 인해 자료에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는 드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불 함수를 간소화한 결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d()는 무관 조건임)

(정답률: 20%)
  • 답은 "" 이다.

    이유는 Karnaugh map을 이용하여 간소화한 결과를 보면, d()가 무관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1로 묶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최대한 적은 수의 묶음으로 모두를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선명(HD)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짧은 파장(405나노미터)을 갖는 레이저를 사용하는 광기록방식 저장매체는?

  1. Blu-ray 디스크
  2. CD
  3. DVD
  4. 플래시 메모리
(정답률: 68%)
  • Blu-ray 디스크는 짧은 파장(405나노미터)을 갖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기록방식 저장매체이기 때문입니다. CD와 DVD는 더 긴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반적인 제어 장치 모델에서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CPU 내의 제어 신호들
  2. 클록
  3. 명령어 레지스터
  4. 플래그
(정답률: 24%)
  • 일반적인 제어 장치 모델에서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항목은 클록, 명령어 레지스터, 플래그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CPU 내의 제어 신호들"은 입력되는 항목이 아닙니다. 이는 CPU 내부에서 발생하는 제어 신호들로, 제어 장치가 아닌 CPU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들입니다. 따라서 "CPU 내의 제어 신호들"은 일반적인 제어 장치 모델에서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반가산기에서 입력을 X, Y라 할 때 출력 부분의 캐리(carry) 값은?

  1. XY
  2. X
  3. Y
  4. X+Y
(정답률: 54%)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 X와 Y를 받아서 합과 캐리 값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캐리 값은 X와 Y가 모두 1일 때 발생하므로, 출력 부분의 캐리 값은 "XY"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직 마이크로명령어 방식의 명령어가 다음의 형식을 갖는다면 이 제어장치는 최대 몇 개의 제어 신호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37%)
  • 주어진 마이크로명령어는 4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총 2^4 = 16개의 명령어를 표현할 수 있다. 각 명령어는 3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므로, 이 제어장치는 최대 16 x 3 = 48개의 제어 신호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개"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운영체제의 운영 기법 중 "Quantum"과 관계되는 것은?

  1. Real-time processing system
  2. Batch processing system
  3. Time-sharing system
  4.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정답률: 40%)
  • Quantum은 CPU가 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Time-sharing system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PU 시간을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할당하는 운영 기법입니다. 이 때, 각 사용자는 자신의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CPU 시간을 할당받아 실행하게 되는데, 이 때 할당되는 시간 단위가 Quantum입니다. 따라서 Time-sharing system은 Quantum과 관련된 운영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은?

  1. 스케줄링
  2. 스래싱
  3. 프리페이징
  4. 워킹 셋
(정답률: 70%)
  • 스래싱은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스크래싱이 해당하는 것입니다. 스크래싱은 CPU가 페이지 교체를 처리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이 줄어들어 성능 저하가 발생합니다. 이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의 선택과 메모리 크기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운영체제의 역할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의 오류 검사 및 복구
  2.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 제공
  3. 원시 프로그램에 대한 토큰 생성
  4. 자원 보호 기능 제공
(정답률: 59%)
  • 운영체제는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자원을 관리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오류 검사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하며, 자원의 스케줄링을 통해 효율적인 자원 사용을 도와주며, 자원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원시 프로그램에 대한 토큰 생성은 운영체제의 역할 중에서는 거리가 먼 역할입니다. 이는 주로 보안 관련 기능에서 사용되며, 사용자 인증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디렉토리의 구조 중 중앙에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가 있고 하부에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가 있는 구조는?

  1. 단일 디렉토리 구조
  2. 2단계 디렉토리 구조
  3. 트리 디렉토리 구조
  4.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정답률: 62%)
  • 이 구조는 디렉토리를 중앙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와 하부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로 나누어 관리하는 구조입니다. 중앙에 있는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는 모든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를 관리하며,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는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2단계 디렉토리 구조라고 불리며, 디렉토리를 중앙과 하부로 나누어 관리함으로써 파일의 검색과 관리를 용이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자원 보호 기법은?

  1. 전역 테이블
  2. 접근 제어 리스트
  3. 권한 리스트
  4. 잠금-키(Lock-Key)
(정답률: 44%)
  • 이 그림은 접근 제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의 자원에 대해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들의 목록을 관리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SCAN의 무한 대기 발생 가능성을 제거한 것으로 SCAN 보다 응답시간의 편차가 적고, SCAN과 같이 진행 방향상의 요청을 서비스하지만, 진행 중에 새로이 추가된 요청은 서비스하지 않고 다음 진행시에 서비스하는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은?

  1. N-step SCAN 스케줄링
  2. C-SCAN 스케줄링
  3. SSTF 스케줄링
  4. FCFS 스케줄링
(정답률: 48%)
  • N-step SCAN 스케줄링은 SCAN과 같이 진행 방향상의 요청을 서비스하지만, 새로 추가된 요청은 다음 진행시에 서비스하므로 SCAN의 무한 대기 발생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CAN보다 응답시간의 편차가 적습니다. C-SCAN 스케줄링은 SCAN과 비슷하지만, 디스크의 끝과 시작 지점을 연결하여 순환 구조로 만들어 SCAN의 무한 대기 발생 가능성을 제거합니다. SSTF 스케줄링은 가장 가까운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응답시간을 최소화합니다. FCFS 스케줄링은 먼저 도착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가장 간단한 스케줄링 기법입니다. 따라서 N-step SCAN 스케줄링이 SCAN과 유사하면서도 대기 발생 가능성을 제거하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주기억장치 관리기법인 최악, 최초, 최적적합기법을 각각 사용할 때, 각 방법에 대하여 10K의 프로그램이 할당되는 영역을 각 기법의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단, 영역 A, B, C, D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문제 복원 오류로 그림이 없습니다. 정답은 4번 입니다.)

  1. 영역 D, 영역 A, 영역 A
  2. 영역 D, 영역 A, 영역 B
  3. 영역 B, 영역 A, 영역 A
  4. 영역 D, 영역 B, 영역 C
(정답률: 55%)
  • 최악적합 기법은 가장 큰 영역을 찾아서 할당하는 방법이므로, 10K의 프로그램이 할당될 수 있는 가장 큰 영역인 영역 D에 먼저 할당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남은 영역 중에서 가장 큰 영역인 영역 B에 할당하게 된다. 마지막으로는 남은 영역 중에서 가장 작은 영역인 영역 C에 할당하게 된다. 따라서 영역 D, 영역 B, 영역 C 순서로 할당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분산처리 운영체제에서 구체적인 시스템 환경을 사용자가 알 수 없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들로 하여금 이에 대한 정보가 없어도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Naming
  2. Transparency
  3. Encryption
  4. Locality
(정답률: 38%)
  • Transparency는 사용자가 시스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알 필요 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이 개념은 사용자에게 시스템의 Naming, Encryption, Locality 등의 세부 정보를 숨기고, 사용자가 필요한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정답은 Transparenc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RR(Round Robin)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ime slice를 크게 하면 입출력 위주의 작업이나 긴급을 요하는 작업에 신속히 반응하지 못한다.
  2. Time slice가 작을 경우 FCFS 스케줄링과 같아진다.
  3. 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
  4. Time slice가 작을수록 문맥교환에 따른 오버헤드가 자주 발생한다.
(정답률: 47%)
  • "Time slice가 작을 경우 FCFS 스케줄링과 같아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오히려 Time slice가 작을수록 Round Robin 스케줄링의 특징이 더욱 강조된다. Time slice가 작을수록 프로세스들이 빠르게 번갈아가며 실행되기 때문에, FCFS 스케줄링과는 달리 모든 프로세스들이 공평하게 CPU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UNIX의 파일 시스템 구조와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 블록
  2. i-node 블록
  3. 데이터 블록
  4. 슈퍼 블록
(정답률: 46%)
  • 사용자 블록은 UNIX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는 블록으로, 파일 시스템의 구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i-node 블록은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 블록은 파일의 실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슈퍼 블록은 파일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 블록은 파일 시스템의 구조와는 별개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만들어서 사용하는 블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표와 같이 작업이 할당되었을 경우 내부단편화 및 외부단편화 크기는 얼마인가?

  1. 내부단편화 : 200 K, 외부단편화 : 200 K
  2. 내부단편화 : 50 K, 외부단편화 : 150 K
  3. 내부단편화 : 650 K, 외부단편화 : 470 K
  4. 내부단편화 : 250 K, 외부단편화 : 170 K
(정답률: 54%)
  • 작업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이 차례대로 할당되면, 총 메모리 사용량은 2000K가 된다. 하지만 2000K의 메모리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200K의 내부단편화와 200K의 외부단편화가 발생한다. 내부단편화는 마지막 작업인 20번 작업이 800K의 메모리를 할당받았을 때 발생하며, 600K의 메모리가 남게 된다. 외부단편화는 200K, 150K, 120K의 크기로 발생하며, 총 470K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내부단편화 : 200 K, 외부단편화 : 200 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하이퍼 큐브에서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다른 프로세서의 수가 3개일 경우 필요한 총 프로세서의 수는?

  1. 4
  2. 8
  3. 16
  4. 32
(정답률: 56%)
  • 하이퍼 큐브에서 한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다른 프로세서의 수가 3개일 경우, 각각의 연결된 프로세서는 또 다른 3개의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연결된 프로세서들은 모두 같은 레벨에 위치하며, 이를 하이퍼 큐브의 한 레벨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레벨에서는 1개의 프로세서가 있고, 두 번째 레벨에서는 각각의 3개의 프로세서가 연결되어 총 3개의 프로세서가 있습니다. 세 번째 레벨에서는 각각의 3개의 프로세서가 연결되어 총 9개의 프로세서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레벨이 증가할 때마다 연결된 프로세서의 수는 3배씩 증가합니다.

    따라서, 3개의 프로세서가 연결된 하이퍼 큐브에서 3레벨까지 구성하면 총 1 + 3 + 9 = 13개의 프로세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하이퍼 큐브는 2의 거듭제곱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2의 거듭제곱인 16개의 프로세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은행가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은 다음 교착상태 해결 방법 중 어떤 분야에 속하는가?

  1. 교착 상태의 예방
  2. 교착 상태의 회피
  3. 교착 상태의 발견
  4. 교착 상태의 회복
(정답률: 69%)
  • 교착 상태의 회피에 속한다. 은행가 알고리즘은 시스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자원 할당을 조절함으로써 교착 상태를 회피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각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자원의 최대치와 현재 할당된 자원의 양을 파악하고, 시스템 내 자원의 총량과 사용 중인 자원의 양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4개의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결함의 발생 횟수는?

  1. 6회
  2. 7회
  3. 8회
  4. 9회
(정답률: 45%)
  •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마다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부터 차례대로 교체하면 된다.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으므로 참조된 페이지를 차례대로 채워 넣는다. 하지만 4개의 프레임을 모두 채우고 나서는 새로운 페이지가 들어올 때마다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한 순서대로 페이지를 채워 넣으면 다음과 같다.
    1 2 3 4 (1)
    1 2 3 4 (2)
    1 2 5 4 (3)
    6 2 5 4 (4)
    6 7 5 4 (5)
    6 7 8 4 (6)
    6 7 8 9 (7)
    따라서 페이지 결함의 발생 횟수는 7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파일 디스크립터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류 발생시 처리 방법
  2. 보조기억장치 정보
  3. 파일 구조
  4. 접근 제어 정보
(정답률: 49%)
  • 파일 디스크립터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오류 발생시 처리 방법"이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운영체제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 정보에는 파일 구조, 보조기억장치 정보, 접근 제어 정보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파일 디스크립터는 오류 발생시 처리 방법을 담고 있지 않다. 오류 처리는 운영체제가 파일을 열거나 읽거나 쓸 때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을 처리하는 방법이며, 이는 운영체제의 파일 시스템이나 파일 처리 라이브러리에서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시스템 성능 평가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도
  2. 처리 능력
  3. 응답 시간
  4. 프로그램 크기
(정답률: 68%)
  • 거리와 관련된 요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성능 평가 요인들은 시스템의 처리 능력, 응답 시간, 신뢰도 등과 관련이 있지만, 프로그램 크기는 시스템의 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프로그램 크기는 단지 프로그램의 코드 양과 관련된 것으로, 시스템의 성능과는 별개의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UNIX에서 I-node는 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번호
  2. 파일이 만들어진 시간
  3. 데이터가 담긴 블록의 주소
  4. 파일이 가장 처음 변경된 시간 및 파일의 타입
(정답률: 56%)
  • I-node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파일의 타입은 파일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I-node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파일이 가장 처음 변경된 시간은 파일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는 파일의 메타데이터 정보이기 때문에 I-node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파일이 가장 처음 변경된 시간 및 파일의 타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두 개의 프로세스 간 선행순서를 Pa<Pb로 표현할 경우 Pb가 먼저 실행된다고 가정한다면, P2<P1,P4<P2, P4<P3의 선행관계가 있는 경우에 병행으로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로 짝지어진 것은?

  1. P1, P3
  2. P1, P4
  3. P2, P4
  4. P3, P4
(정답률: 49%)
  • P4가 가장 먼저 실행되어야 하므로, P2와 P3는 P4가 실행되기 전까지는 실행될 수 없다. 따라서 P2와 P3는 병행으로 실행될 수 없다. P1과 P4는 P4가 실행된 후에 실행될 수 있으므로, P1과 P4는 병행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P1, P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분산 운영체제의 특징 중 다음 설명과 관계되는 것은?

  1. Availability
  2. Expandability
  3. Resource Sharing
  4. Reliability
(정답률: 40%)
  • 분산 운영체제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므로, 하나의 컴퓨터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컴퓨터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Reliability)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UNIX 운영체제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갖는다.
  2. Multi-Tasking은 지원하지만 Multi-User는 지원하지 않는다.
  3. 높은 이식성과 확장성이 있다.
  4. 대부분 C 언어로 작성되어 있다.
(정답률: 66%)
  • "Multi-User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UNIX 운영체제는 Multi-User를 지원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81. 포팅을 통해 리눅스 프로그램/유틸리티를 MS윈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은?

  1. cygwin
  2. perl
  3. JDK
  4. driver development kit
(정답률: 59%)
  • cygwin은 리눅스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MS윈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포팅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MS윈도에서 리눅스 프로그램/유틸리티를 사용하고자 할 때 cygwin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프로그램/유틸리티를 사용하기 위한 도구나 개발 키트 등으로, cygwin과는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마이크로컴퓨터 개발이 용이하다.
  2.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3. 새로운 명령어를 쉽게 추가할 수 있다.
  4. 하드와이어드 방식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62%)
  •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 방식은 소프트웨어적인 제어 방식이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제어 방식인 하드와이어드 방식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없다. 오히려 하드와이어드 방식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 따라서, "하드와이어드 방식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입출력장치의 비동기식 제어방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1. open loop 방식
  2. closed loop 방식
  3. handshake 방식
  4. inter lock 방식
(정답률: 68%)
  • 입출력장치의 비동기식 제어방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handshake 방식"입니다. 이는 입출력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이 서로의 상태를 확인하고 동기화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송신측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측이 준비되었는지 확인하고, 수신측이 준비되었다는 신호를 받은 후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후 수신측은 데이터를 받았다는 신호를 송신측에 보내고, 송신측은 이를 확인한 후에 다음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데이터 전송을 완료합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는?

  1. Reset
  2. Bus Request
  3. Interrupt Request
  4. Read
(정답률: 53%)
  • 이 제어신호는 다른 장치들이 시스템 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신호인 "Bus Request"이다. 다른 제어신호들은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되지만, Bus Request는 다른 장치들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신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그림은 입출력 제어장치와 입출력 버스의 연결을 나타낸 것이다. 빈 블록 ?에 알맞은 내용은?

  1. Accumulator
  2. Status Register
  3. Shift Register
  4. Control Register
(정답률: 40%)
  • 그림에서 빈 블록 ?에는 "입출력 버스"가 들어가야 한다.

    정답이 "Status Register"인 이유는, 입출력 제어장치는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데, 이때 입출력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Status Register"를 사용한다. 따라서 입출력 제어장치와 연결된 블록은 "Status Regis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입출력 방식 중 microprocessor가 I/O divice의 동작속도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 방식은?

  1. 동기식 입출력
  2. 비동기식 입출력
  3. 핸드쉐이크 입출력
  4. 채널
(정답률: 50%)
  • 동기식 입출력은 microprocessor와 I/O device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며, microprocessor가 I/O device의 동작 속도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 시간이 일정하고, 데이터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므로 빠른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microprocessor와 I/O device의 동기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clock 신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좋은 소프트웨어가 갖는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시스템에 적용, 결합하는 등 응용성이 뛰어나다.
  2.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다.
  3. 프로그램이 짧고, 간단하다.
  4. 전체적인 흐름을 추적하기에 용이하다.
(정답률: 59%)
  • 프로그램이 짧고, 간단한 것은 좋은 소프트웨어의 특징이 아니다. 오히려 프로그램의 기능과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만큼의 코드와 복잡성이 적절한 것이 좋은 소프트웨어의 특징이다. 이유는 프로그램이 짧고 간단하다고 해서 기능이 충분하지 않거나 유지보수가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CPU의 상태 플래그(status flag)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보조캐리 플래그(auxiliary carry flag)는 BCD 연산에 사용된다.
  2. Z 플래그(zero flag)는 ALU 연산 결과가 0인지 여부에 따라 셋트 된다.
  3. N 플래그(negative flag)는 ALU 연산 결과가 음수인지 여부에 따라 셋트 된다.
  4. 제일 왼쪽 비트에서 발생되는 올림수를 Cp, 왼쪽의 2번째 비트에서 발생되는 올림수를 Cs라 할 때 오버플로우(overflow) 발생 조건은 Cs+Cp로 주어지게 된다.
(정답률: 51%)
  • "제일 왼쪽 비트에서 발생되는 올림수를 Cp, 왼쪽의 2번째 비트에서 발생되는 올림수를 Cs라 할 때 오버플로우(overflow) 발생 조건은 Cs+Cp로 주어지게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올림수는 이진수 연산에서 자릿수를 넘어가는 경우 발생하는 수를 말하며, 오버플로우는 연산 결과가 표현 가능한 범위를 넘어선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오버플로우 발생 조건은 Cp와 Cs가 같을 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프로그램 제어에 의한 전송(programmed I/O) 방식에서 중앙처리 장치와 입출력 기기 간에 주고받는 정보로서 필수적인 정보가 아닌 것은?

  1. 우선순위(priority)
  2. 데이터(data)
  3. 상태(status)
  4. 커맨드(command)
(정답률: 35%)
  • 우선순위(priority)는 입출력 기기가 처리해야 할 작업들 중 어떤 작업을 먼저 처리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정보이며, 입출력 기기의 처리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중앙처리 장치와 입출력 기기 간에 주고받는 정보 중에서 필수적인 정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서브루틴 호출이나 인터럽트 서비스와 같은 동작 후에 되돌아갈 주소를 저장하는 것은?

  1.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
  2.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
  3.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emory address register)
  4. 스택(Stack)
(정답률: 60%)
  • 서브루틴 호출이나 인터럽트 서비스와 같은 동작 후에 되돌아갈 주소를 저장하는 것은 스택(Stack)이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주소가 가장 먼저 꺼내어지게 되며, 이를 통해 되돌아갈 주소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꺼내올 수 있다. 따라서 서브루틴 호출이나 인터럽트 서비스와 같은 동작 후에 되돌아갈 주소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주기억장치로 읽어오는 작업을 의미하는 것은?

  1. transfer
  2. load
  3. store
  4. compile
(정답률: 83%)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주기억장치로 가져오는 작업은 "load"라고 부릅니다. 이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옮겨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firmware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mask ROM
  2. static RAM
  3. EPROM
  4. PROM
(정답률: 64%)
  • firmware는 일반적으로 읽기 전용 메모리(ROM)에 저장되는데, static RAM은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irmware에는 static RAM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시스템 동작 개시 후 최초로 주기억 장치에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것은?

  1. IPL(Initial Program Load)
  2. Assembler
  3. Listing Program
  4. Utility Program
(정답률: 67%)
  • 시스템 동작 개시 후 최초로 주기억 장치에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것은 IPL(Initial Program Load)이다. 이는 컴퓨터 시스템이 부팅될 때, 운영체제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과정을 말한다. IPL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컴퓨터 시스템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어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시킨다. Assembler, Listing Program, Utility Program은 IPL과는 다른 프로그램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LU
  2. REGISTER
  3. PROGRAM COUNTER
  4. CLOCK
(정답률: 68%)
  • CLOCK은 MPU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MPU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MPU는 ALU, REGISTER, PROGRAM COUNTER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CLOCK은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그림은 1bit의 기억소자를 개념적으로 그린 것이다. 각 단자 중 자료를 기억시키기 위하여 입력되는 단자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49%)
  • 정답은 A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입력"이라고 써있는 단자가 A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이 입력 단자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1bit의 기억소자에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B는 출력 단자, C는 전원 단자, D는 접지 단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그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어 신호가 낮은 상태(Low)일 때 자료출력은 1이다.
  2. 인버팅 버터이다.
  3. 신호 증폭에 사용될 수 있다.
  4. 이와 같은 종류의 버퍼를 3상태(Tri-State) 장치라고 한다.
(정답률: 52%)
  • 제어 신호가 낮은 상태일 때 자료출력이 1이 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인버팅 버터는 입력 신호와 반대로 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기능을 가지며, 제어 신호가 높은 상태(High)일 때만 출력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제어 신호가 낮은 상태일 때는 출력이 없습니다. 이와 같은 버퍼를 3상태(Tri-State) 장치라고 하는 것은 맞지만, 신호 증폭에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는 해당 그림에서는 알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Read/Write signal이나 Chip Select signal 등의 신호는 어느 버스에 싣게 되는가?

  1. 자료 버스
  2. 주소 버스
  3. 제어 버스
  4. 보조 버스
(정답률: 73%)
  • Read/Write signal이나 Chip Select signal 등의 신호는 제어 버스에 싣게 된다. 이는 제어 버스가 시스템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이기 때문이다. 자료 버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스, 주소 버스는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의 주소를 전송하는 버스, 보조 버스는 추가적인 기능을 위한 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컴퓨터의 모든 행위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일련의 거대한 소프트웨어의 집합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2. 어셈블러(assembler)
  3. 컴파일러(compiler)
  4. 로더(loader)
(정답률: 76%)
  •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며,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모든 행위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일련의 거대한 소프트웨어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어셈블러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고, 컴파일러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로더는 기계어로 변환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들은 모두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련된 역할을 하지만,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이들을 포함하고 있는 더 큰 개념이며,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시 디버깅하기 위한 장비는?

  1. JNI
  2. JAVA
  3. ZTAG
  4. JTAG
(정답률: 56%)
  • JTAG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디버깅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JTAG을 이용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 상태를 살펴볼 수 있고, 프로그램 실행 중에 레지스터 값을 읽거나 쓸 수 있다. 또한 JTAG을 이용하면 소프트웨어 디버깅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시 디버깅하기 위한 장비로 JTAG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캐스케이드(cascade) 스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스택 포인터를 따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
  2. PUSH할 때마다 스택 포인터가 증가한다.
  3. 기억 번지 내에 구성되므로 융통성이 높다.
  4. 스택의 bottom이 정의되지 않는다.
(정답률: 44%)
  • 정답: "PUSH할 때마다 스택 포인터가 증가한다."

    캐스케이드 스택은 PUSH할 때마다 스택 포인터가 증가하며, POP할 때마다 스택 포인터가 감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스택 포인터를 따로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기억 번지 내에 구성되므로 융통성이 높지만, 스택의 bottom이 정의되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