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

1. C언어의 기억 클래스(Storage Class)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uto
  2. internal
  3. static
  4. register
(정답률: 68%)
  • "internal"은 C언어의 기억 클래스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C언어에서는 "internal"이라는 기억 클래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C언어의 기억 클래스 종류는 "auto", "static", "regis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프로그램 내에서 양쪽 오퍼랜드에 기억된 내용을 바꾸어야 할 때 사용하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XCHG
  2. EJECT
  3. INC
  4. DEC
(정답률: 72%)
  • "XCHG" 명령은 두 개의 레지스터나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값을 서로 교환하는 명령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내에서 양쪽 오퍼랜드에 기억된 내용을 바꾸어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EJECT", "INC", "DEC" 명령은 각각 프린터 출력, 레지스터 값을 1씩 증가시키는 명령, 레지스터 값을 1씩 감소시키는 명령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셈블리어에서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은?

  1. EQU
  2. ASSUME
  3. ORG
  4. EVEN
(정답률: 71%)
  • "EQU"는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로, 기호적 이름과 상수 값을 연결하여 상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AX_VALUE EQU 100"은 MAX_VALUE라는 기호적 이름에 100이라는 상수 값을 할당하는 것입니다. 이후에 MAX_VALUE를 사용하면 100으로 대체됩니다. 따라서 "EQU"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 하나의 공통된 속성을 표현한 것으로 자료 추상화의 개념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Class
  2. Message
  3. Instance
  4. Method
(정답률: 76%)
  • Class는 객체들을 묶어 공통된 속성을 표현한 것으로, 자료 추상화의 개념을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지만, Class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객체의 속성과 행위를 정의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Class가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 하나의 공통된 속성을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수명 시간동안 고정된 하나의 값과 이름을 가진 자료로서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동안 값이 절대로 바뀌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함수
  2. 포인터
  3. 변수
  4. 상수
(정답률: 75%)
  • 정답은 "상수"이다. 상수는 값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동안 값이 절대로 바뀌지 않는다. 함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이고, 포인터는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변수이며,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객체지향 기법에서 메시지의 전달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어트리뷰트에서 어트리뷰트로
  2. 오브젝트에서 어트리뷰트로
  3. 클래스에서 데이터로
  4. 오브젝트에서 오브젝트로
(정답률: 63%)
  • 객체지향 기법에서 메시지의 전달은 오브젝트에서 오브젝트로 이루어진다. 이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가 다른 객체에게 메시지를 보내면, 그 객체는 해당 메시지를 처리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은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셈블리어에서 라이브러리에 기억된 내용을 프로시저로 정의하여 서브루틴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은?

  1. TITLE
  2. EVEN
  3. INCLUDE
  4. ORG
(정답률: 72%)
  • "INCLUDE" 명령은 어셈블리어에서 다른 파일에 저장된 코드나 데이터를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내용을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INCLUDE"이 정답입니다. "TITLE"은 프로그램의 제목을 지정하는 명령, "EVEN"은 주소가 짝수인지 확인하는 명령, "ORG"는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를 지정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C 언어에서 문자열 입력 함수는?

  1. putchar()
  2. puts()
  3. getchar()
  4. gets()
(정답률: 61%)
  • 정답은 "gets()"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putchar(): 문자 하나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puts():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getchar(): 문자 하나를 입력받는 함수입니다.
    - gets():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문자열을 입력받기 위해서는 gets()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gets() 함수는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이 있어서,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대신 fgets()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작성된 표현식이 BNF의 정의에 의해 바르게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만든 트리는?

  1. parse tree
  2. menu tree
  3. king tree
  4. home tree
(정답률: 76%)
  • BNF는 문법을 나타내는 표기법이며, 이를 이용하여 작성된 표현식이 올바른 문법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를 분석하는 parse tree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parse tree"이다. Menu tree, king tree, home tree는 BNF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C 언어에서 사용되는 반복 구조문이 아닌 것은?

  1. while 문
  2. do ~ while 문
  3. for 문
  4. if ~ else 문
(정답률: 77%)
  • if ~ else 문은 조건문이며, 특정 조건에 따라 실행할 코드를 선택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복 구조문이 아니다. 반면, while 문, do ~ while 문, for 문은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코드를 반복해서 실행하는 반복 구조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객체지향 기법에서 어떤 클래스에 속하는 구체적인 객체를 의미하는 것은?

  1. Information Hiding
  2. Encapsulation
  3. Integration
  4. Instance
(정답률: 64%)
  • 정답은 "Instance"입니다. 객체지향 기법에서 클래스는 추상적인 개념이며, 이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클래스로부터 구체적인 객체를 생성해야 합니다. 이때 생성된 구체적인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합니다. 따라서 "Instance"가 정답인 것입니다. "Information Hiding"은 정보 은닉, "Encapsulation"은 캡슐화, "Integration"은 통합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람바우 모델링에서 상태도 및 자료 흐름도와 각각 관계되는 모델링은?

  1. 상태도 - 기능모델링, 자료 흐름도 - 동적모델링
  2. 상태도 - 동적모델링, 자료 흐름도 - 기능모델링
  3. 상태도 - 객체모델링, 자료 흐름도 - 동적모델링
  4. 상태도 - 객체모델링, 자료 흐름도 - 기능모델링
(정답률: 62%)
  • 상태도는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시스템의 동적인 모습을 나타내므로 동적모델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 자료 흐름도는 시스템의 기능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스템의 기능적인 측면을 나타내므로 기능모델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상태도 - 동적모델링, 자료 흐름도 - 기능모델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프로그래밍 언어의 해독 순서로 옳은 것은?

  1. 컴파일러 → 로더 → 링커
  2. 링커 → 로더 → 컴파일러
  3. 로더 → 컴파일러 → 링커
  4. 컴파일러 → 링커 → 로더
(정답률: 64%)
  • 정답은 "컴파일러 → 링커 → 로더"입니다.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후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로 합치고, 라이브러리와 연결하여 실행 파일을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로더는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적재하여 실행시킵니다. 따라서 컴파일러 → 링커 → 로더 순서로 해독하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어셈블러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으로서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는 명령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오퍼랜드 명령(operand instruction)
  2. 기계어 명령(machine instruction)
  3. 매크로 명령(macro instruction)
  4. 의사 명령(pseudo instruction)
(정답률: 72%)
  •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어셈블러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으로서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는 명령어를 의사 명령(pseudo instruction)이라고 한다. 이는 어셈블러가 번역할 때 해당 명령어를 기계어로 변환하지 않고, 해당 명령어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기계어 명령어들로 대체하여 번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명령어는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지만, 어셈블러는 이를 초기화에 필요한 기계어 명령어들로 대체하여 번역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 언어에서 문자형 자료 선언시 사용하는 것은?

  1. double
  2. float
  3. char
  4. int
(정답률: 72%)
  • 문자형 자료를 선언할 때는 "char"를 사용합니다. 이는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으로, 한 글자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double"과 "float"는 실수형 자료형이며, "int"는 정수형 자료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억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다.
  2. 최적의 실행시간을 고려한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하다.
  3. 오류 검증이 용이하며 호환성이 우수하다.
  4. 기호를 정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기술한다.
(정답률: 63%)
  • 어셈블리어는 기호를 사용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기술하는 저급언어로, 기억장치의 제어가 가능하고 최적의 실행시간을 고려한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오류 검증이 용이하며 호환성이 우수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어셈블리어는 하드웨어에 직접 접근하기 때문에 컴퓨터 아키텍처에 따라 다르게 작성되어야 하며, 다른 아키텍처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오류 검증이 어렵고, 호환성도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객체지향 언어에서 캡슐화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변경시의 부작용을 방지한다.
  2. 객체 간에 결합도를 낮춘다.
  3. 프로그래밍 생산성을 낮춘다.
  4. 객체의 응집도를 높인다.
(정답률: 72%)
  • 캡슐화는 객체의 내부 구현을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숨기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경시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캡슐화가 지나치게 강하게 적용되면 외부에서 객체를 사용하기 어려워져 프로그래밍 생산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캡슐화가 필요하다. 또한, 캡슐화는 객체의 응집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C 언어에서 이스케이프 문자의 의미가 옳지 않은 것은?

  1. \r : carriage return
  2. \f : new line
  3. \b : backspace
  4. \t : tab
(정답률: 79%)
  • 정답은 "\f : new line" 입니다. 이스케이프 문자 중 "\n"이 new line을 나타내는 것이고, "\f"는 form feed를 나타냅니다. Form feed는 프린터에서 용지를 한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므로,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급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였다. 번역 도중에 발생한 문법에러를 모두 수정하여 실행 파일을 만들었으나 실행 결과가 정확하지 않았다.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논리적인 문제점을 검토할 수 있는가?

  1.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2. 어셈블러(assembler)
  3. 디버거(debugger)
  4. 링커(linker)
(정답률: 75%)
  • 디버거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코드의 동작을 추적하고 변수의 값을 확인하며 논리적인 문제점을 찾아내는 도구이다. 따라서 실행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디버거를 사용하여 코드의 동작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낼 수 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어셈블러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한다.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시스템이 알고 있는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미 용도가 정해져 있는 단어로써,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핵심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Constant
  2. Variable
  3. Reserved Word
  4. Array
(정답률: 69%)
  • Reserved Word는 시스템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특별한 단어로,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예약어라고도 불립니다. 따라서 Reserved Word는 상수(Constant), 변수(Variable), 배열(Array)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21. 비동기 전송에서 한문자의 전송과 그 다음 문자의 전송에 대한 구별을 어떻게 하는가?

  1. 문자 처음과 끝에 Block pattern(01111110)을 추가하여 구분한다.
  2. 문자 앞에 (01101101)코드를 추가하여 구분한다.
  3. 문자와 문자 사이에 (11111111)코드를 추가하여 구분한다.
  4. 각 문자코드의 맨 앞에는 시작비트를 두고, 문자코드 맨 뒤에는 정지비트를 두어 구분한다.
(정답률: 72%)
  • 비동기 전송에서 각 문자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비트 패턴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각 문자코드의 맨 앞에 시작비트를 두고, 문자코드 맨 뒤에 정지비트를 두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각 문자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은?

  1. HDLC
  2. PPP
  3. LAPB
  4. LLC
(정답률: 44%)
  • 이 그림은 PPP(Point-to-Point Protocol)의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PPP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접속 시 ISP와의 연결에서 사용됩니다. PPP는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PPP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정답은 "PP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HDLC 프레임 구성에서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 영역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전송 오류 검출
  2. 데이터 처리
  3. 주소 인식
  4. 정보 저장
(정답률: 61%)
  • HDLC 프레임 구성에서 FCS 영역은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영역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 측에서 계산한 CRC 값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신 측에서는 이 값을 다시 계산하여 송신 측과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전송 중 발생한 오류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CS 영역은 전송 오류 검출을 위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PCM(Pulse Code Modu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CM은 음성 정보와 같은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2. 입력 아날로그 데이터를 일정한 주기마다 표본화하여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펄스로 만든다.
  3. Frequency Modulation을 사용하여 변조한다.
  4. 300~3400Hz 범위에 대부분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음성 정보의 경우, 표본화 주파수를 8000Hz로 하면 원래의 음성 정보를 손실 없이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52%)
  • "Frequency Modulation을 사용하여 변조한다."는 PCM과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PCM은 주로 직교 변조(QPSK, QAM 등)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TCP/IP 관련 프로토콜 중 응용계층에 해당하는 것은?

  1. ARP
  2. ICMP
  3. UDP
  4. HTTP
(정답률: 61%)
  •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응용계층에 해당합니다. HTTP는 웹 페이지를 전송하고,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ARP는 주소 결정 프로토콜,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로, 모두 응용계층이 아닌 다른 계층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1. PCM(Pulse Code Modulation)
  2. AM(Amplitude Modulation)
  3. PSK(Phase Shift Keying)
  4.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정답률: 64%)
  •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인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마다 해당 시점의 아날로그 신호 크기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이진 코드로 표현되며, 이진 코드는 디지털 시스템에서 처리하기 용이하므로 전송 및 저장에 용이합니다. 따라서 PCM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HDLC 전송 제어 절차의 세 가지 동작 모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ynchronous Response Mode
  2. Nomal Response Mode
  3. Asynchronous Response Mode
  4. Asynchronous Balanced Mode
(정답률: 44%)
  • "Synchronous Response Mode"는 HDLC 전송 제어 절차의 세 가지 동작 모드 중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 모드는 일반적으로 특수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수신 측에서 요청을 받은 후에 즉시 응답을 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모드는 일반적으로 통신 속도가 빠르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오류 검출 기법은?

  1. Parity Check
  2. Cyclic Redundancy Check
  3. Hamming Coding
  4. Block Sum Check
(정답률: 5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오류 검출 기법은 Cyclic Redundancy Check이다. 이 기법은 데이터를 나누어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나머지 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검사하는 방식으로 오류를 검출한다. 이 방법은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중화(Multiplex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화란 효율적인 전송을 위하여 넓은 대역폭을 가진 하나의 전송링크를 통해 여러 신호를 동시에 실어 보내는 기술을 말한다.
  2.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는 전송시간을 일정한 간격의 슬롯(time slot)으로 나누고, 이를 주기적으로 각 채널에 할당한다.
  3. 주파수 분할 다중화는 여러 신호를 전송 매체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4. 파장 분할 다중화는 각 채널별로 특정한 시간 슬롯이 할당되지 않고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채널만 시간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파장 분할 다중화는 각 채널별로 특정한 시간 슬롯이 할당되지 않고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채널만 시간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이다. 이유는 파장 분할 다중화는 각 채널이 서로 다른 파장을 사용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시간 슬롯이 할당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파장 분할 다중화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와 유사하지만, 주파수 대역 대신 파장을 이용하여 다중화를 수행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 망은?

  1. Value Area Network
  2. Wide Area Network
  3. Metropolitan Area Network
  4. Local Area Network
(정답률: 57%)
  • 이 통신 서비스 망은 "Value Area Network"이다. 이는 지역 내에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로, 지역 내의 중요한 비즈니스나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전송에 최적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 네트워크는 지역 내의 특정한 비즈니스나 생산성에 집중된 네트워크로, 다른 네트워크와는 목적과 구성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트리를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한 결과는?

  1. A B C D E F G
  2. B D E A C F G
  3. D E B A F G C
  4. D E B F G C A
(정답률: 64%)
  • 트리의 후위 순회는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 그리고 부모 노드 순으로 방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트리의 후위 순회는 "D E B F G C A"가 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루트 노드인 A를 방문한다. A의 왼쪽 자식인 B를 방문하고, B의 왼쪽 자식인 D를 방문한다. D는 자식이 없으므로, D를 방문한 후에는 B의 오른쪽 자식인 E를 방문한다. E는 자식이 없으므로, E를 방문한 후에는 B를 방문한 것으로 간주한다.

    다음으로, A의 오른쪽 자식인 C를 방문한다. C의 왼쪽 자식인 F를 방문하고, F의 왼쪽 자식인 G를 방문한다. G는 자식이 없으므로, G를 방문한 후에는 F의 오른쪽 자식인 C를 방문한다. C는 자식이 없으므로, C를 방문한 후에는 F를 방문한 것으로 간주한다.

    마지막으로, B와 C의 부모인 A를 방문한다. A의 왼쪽 자식인 B와 오른쪽 자식인 C를 모두 방문한 후에는 A를 방문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이 트리의 후위 순회는 "D E B F G C 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Degree)”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75%)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루트 노드의 차수는 3이고, 나머지 노드들의 차수는 1 또는 2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값인 4는 보기에서 유일하게 나타나는 값이므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DBMS의 필수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조작(Data Manipulation)
  2. 데이터 변경(Data Modification)
  3. 데이터 정의(Data Definition)
  4. 데이터 제어(Data Control)
(정답률: 68%)
  • DBMS의 필수 기능은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정의, 데이터 제어이다. 데이터 변경은 DBMS의 기능 중 하나이지만 필수 기능은 아니다. 데이터 변경은 데이터를 추가, 수정, 삭제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 작업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DBMS의 필수 기능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해싱 함수의 값을 구한 결과 두 개의 키 값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경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Clustering
  2. Overflow
  3. Relation
  4. Collision
(정답률: 74%)
  • 해싱 함수는 서로 다른 입력 값에 대해 고유한 출력 값을 반환해야 하지만, 때로는 두 개 이상의 입력 값이 동일한 출력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해시 충돌(Collision)이라고 합니다. 충돌이 발생하면 해시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삽입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돌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시 공유(Concurrent Sharing)
  2. 주소에 의한 참조(Location Reference)
  3. 계속적인 변화(Continuous Evolution)
  4. 실시간 접근성(Real-Time Accessibility)
(정답률: 67%)
  • 주소에 의한 참조(Location Reference)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이 아니라 데이터 저장 방식 중 하나이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는 동시 공유, 계속적인 변화, 실시간 접근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자료에 대하여 삽입 정렬을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Pass 2의 결과는?

  1. 28, 33, 64, 76, 55, 12, 43
  2. 28, 64, 33, 76, 55, 12, 43
  3. 12, 28, 64, 33, 76, 55, 43
  4. 12, 28, 33, 55, 64, 76, 43
(정답률: 63%)
  • Pass 1에서는 첫 번째 원소인 33과 두 번째 원소인 28을 비교하여 위치를 바꾸지 않았습니다. Pass 2에서는 세 번째 원소인 64과 두 번째 원소인 28을 비교하여 위치를 바꾸었습니다. 따라서 Pass 2의 결과는 "28, 64, 33, 76, 55, 12, 43" 입니다.

    삽입 정렬은 각 원소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입니다. Pass 1에서는 첫 번째 원소는 이미 정렬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두 번째 원소부터 시작하여 이전 원소들과 비교하여 적절한 위치에 삽입합니다. Pass 2에서는 세 번째 원소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기 위해 두 번째 원소와 비교하고, 이전 원소들과 비교하여 적절한 위치에 삽입합니다. 이 과정을 모든 원소에 대해 반복하여 정렬을 완성합니다.

    따라서 Pass 1에서는 첫 번째 원소는 이미 정렬되어 있으므로 비교하지 않고 넘어가고, 두 번째 원소인 28과 첫 번째 원소인 33을 비교하여 위치를 바꾸지 않았습니다. Pass 2에서는 세 번째 원소인 64와 두 번째 원소인 28을 비교하여 위치를 바꾸었습니다. 이후 Pass 3에서는 네 번째 원소인 76과 세 번째 원소인 33을 비교하여 위치를 바꾸지 않았고, Pass 4에서는 다섯 번째 원소인 55과 네 번째 원소인 76을 비교하여 위치를 바꾸지 않았습니다. Pass 5에서는 여섯 번째 원소인 12와 다섯 번째 원소인 55를 비교하여 위치를 바꾸었고, Pass 6에서는 일곱 번째 원소인 43과 여섯 번째 원소인 12를 비교하여 위치를 바꾸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정렬된 결과는 "12, 28, 33, 55, 64, 76, 4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스택의 응용 분야가 아닌 것은?

  1. 함수 호출의 순서 제어
  2.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
  3. 후위표기법으로 표현된 수식의 연산
  4. 부프로그램 호출시 복귀주소 저장
(정답률: 61%)
  •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은 스택 자료구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택의 응용 분야가 아니다. 스택은 함수 호출의 순서 제어, 후위표기법으로 표현된 수식의 연산, 부프로그램 호출시 복귀주소 저장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데이터베이스의 3층 스키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관계 스키마
  2. 개념 스키마
  3. 외부 스키마
  4. 내부 스키마
(정답률: 70%)
  • 관계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하는 스키마 중 하나이며, 3층 스키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개념 스키마는 전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고, 외부 스키마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분을 정의합니다.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3층 스키마는 개념 스키마, 외부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선형 구조에 해당하는 자료 구조만으로 나열된 것은?

  1. 리스트, 스택, 큐, 트리
  2. 리스트, 스택, 큐
  3. 리스트, 스택, 트리
  4. 스택, 큐, 트리
(정답률: 68%)
  • 선형 구조는 자료를 일렬로 나열한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리스트, 스택, 큐는 모두 선형 구조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트리는 계층 구조를 가지므로 선형 구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스트, 스택, 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개념적설계 → 논리적설계 → 물리적설계
  2. 논리적설계 → 물리적설계 → 개념적설계
  3. 물리적설계 → 개념적설계 → 논리적설계
  4. 개념적설계 → 물리적설계 → 논리적설계
(정답률: 73%)
  •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순서로 진행됩니다.

    1. 개념적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정의하고, 업무 프로세스와 관련된 개념적 모델을 만듭니다. 이 단계에서는 업무 프로세스와 데이터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을 만듭니다.

    2. 논리적 설계: 개념적 모델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개념적 모델을 논리적 모델로 변환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을 정의합니다.

    3. 물리적 설계: 논리적 모델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보안, 가용성 등을 고려하여 물리적 구조를 설계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개념적설계 → 논리적설계 → 물리적설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41. 중앙연산 처리장치에서 micro-operation 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은?

  1. 스위치(switch)
  2. 레지스터(register)
  3. 누산기(accumulator)
  4. 제어신호(control signal)
(정답률: 52%)
  • 중앙연산 처리장치에서 micro-operation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제어신호가 필요합니다. 제어신호는 중앙연산 처리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오퍼레이션을 수행합니다. 스위치, 레지스터, 누산기는 중앙연산 처리장치의 구성 요소이지만,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어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RAM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DRAM은 캐패시터에 전하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2. SRAM은 플립플롭을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방전 현상이 나타난다.
  3. DRAM은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적으며 대용량 메모리 제조에 적합하다.
  4. SRAM은 컴퓨터에서 캐시 메모리로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47%)
  • 정답은 "SRAM은 플립플롭을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방전 현상이 나타난다." 이다. SRAM은 플립플롭을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방전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오히려 DRAM이 캐패시터에 전하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방전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회로의 출력 Y 값은?

(정답률: 65%)
  • 다음 회로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가 연결된 형태이다. AND 게이트는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0이 된다. OR 게이트는 입력 A와 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0이 된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이 출력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OR 게이트의 출력도 1이 된다. 따라서 출력 Y는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데이터 단위가 8비트인 메모리에서 용량이 64Kbyte 인 경우의 어드레스 핀의 개수는?

  1. 12개
  2. 14개
  3. 16개
  4. 18개
(정답률: 60%)
  • 64Kbyte는 64 x 1024 = 65536 바이트이다. 1바이트는 8비트이므로, 65536 바이트는 65536 x 8비트 = 524288비트이다. 이를 2진수로 표현하면 1000000000000000000이 된다. 이진수에서 자릿수는 0부터 시작하므로, 0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 총 16개의 어드레스 핀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6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4×2 RAM을 이용하여 16×4 메모리를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 필요한 4×2 RAM의 수는?

  1. 4개
  2. 8개
  3. 16개
  4. 32개
(정답률: 61%)
  • 16×4 메모리는 16개의 주소선과 4개의 데이터선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의 주소선에는 2개의 비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4×2 RAM 하나는 2개의 주소선과 2개의 데이터선을 가지고 있으므로, 8개의 4×2 RAM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하드웨어 신호에 의하여 특정번지의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것은?

  1. vectored interrupt
  2. handshaking mode
  3. subroutine call
  4. DMA 방식
(정답률: 53%)
  • "vectored interrupt"는 하드웨어 신호에 의해 특정 번지의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인터럽트 발생 시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에서 해당 인터럽트 번호에 해당하는 서브루틴 주소를 찾아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처리 속도가 빠르고 정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64Kbyte인 주소 공간(address space)과 4Kbyte인 기억 공간(memory space)을 가진 컴퓨터의 경우 한 페이지(page)가 512Kbyte로 구성되었다면 페이지와 블록 수는 각각 얼마인가?

  1. 16페이지, 12블록
  2. 128페이지, 8블록
  3. 256페이지, 16블록
  4. 64페이지, 4블록
(정답률: 50%)
  • 한 페이지가 512Kbyte이므로, 64Kbyte인 주소 공간을 모두 채우기 위해서는 128개의 페이지가 필요하다. 또한, 4Kbyte인 기억 공간을 모두 채우기 위해서는 8개의 블록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28페이지, 8블록"이다. 다른 보기들은 페이지나 블록 수가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중처리기 시스템의 상호연결구조 방식이 아닌 것은?

  1. 코드분할 스위치
  2. 공유버스
  3. 크로스바 스위치
  4. 다단계상호연결망
(정답률: 30%)
  • 코드분할 스위치는 다중처리기 시스템의 상호연결구조 방식이 아닙니다. 이는 코드 분할 방식으로 작동하며, 각각의 처리기가 독립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른 처리기와의 상호연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 공유버스, 크로스바 스위치, 다단계상호연결망은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 처리기들 간의 상호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캐시의 쓰기 정책 중 write-through 방식의 단점은?

  1. 쓰기 동작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
  2. 읽기 동작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
  3. 하드웨어가 복잡하다.
  4. 주기억장치의 내용이 무효상태인 경우가 있다.
(정답률: 50%)
  • write-through 방식은 데이터를 캐시와 주기억장치에 동시에 쓰기 때문에 쓰기 동작이 완료되기 전에는 다음 동작을 수행할 수 없어서 쓰기 동작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터럽트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처리하는 내용 중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중앙처리장치는 인터럽트를 요구한 장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입출력장치를 폴링한다.
  2. PSW(Program Status Word)에 현재의 상태를 보관한다.
  3. 인터럽트 서비스 프로그램은 실행하는 중간에는 다른 인터럽트를 처리할 수 없다.
  4. 인터럽트를 요구한 장치를 위한 인터럽트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정답률: 56%)
  • "인터럽트 서비스 프로그램은 실행하는 중간에는 다른 인터럽트를 처리할 수 없다."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이다.

    이유는 인터럽트 서비스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다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새로운 인터럽트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가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럽트 서비스 프로그램은 한 번에 하나의 인터럽트만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상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상기억장치의 목적은 보조기억장치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2. 처리속도가 CPU 속도와 비슷하다.
  3.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다.
  4. 주기억장치의 이용률과 다중 프로그래밍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62%)
  • 가상기억장치의 목적은 보조기억장치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정답이 아님)

    처리속도가 CPU 속도와 비슷하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가상기억장치는 보조기억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므로 처리속도가 CPU 속도보다 느릴 수밖에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RISC 프로세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텔 계열의 거의 모든 프로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다.
  2. 축소 명령어 세트 컴퓨터의 약어이다.
  3. 명령어 코드로 구성하기 위한 bit 수의 증가에 대한 보완으로 개발된 프로세서 이다.
  4. 명령어들의 사용빈도를 조사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명령어만 사용하는 프로세서이다.
(정답률: 45%)
  • "인텔 계열의 거의 모든 프로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RISC 프로세서는 인텔 계열과는 다른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텔 계열의 프로세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RISC 프로세서는 축소 명령어 세트 컴퓨터의 약어이며, 명령어 코드로 구성하기 위한 bit 수의 증가에 대한 보완으로 개발된 프로세서이다. 또한, 명령어들의 사용빈도를 조사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명령어만 사용하는 프로세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PU에 의해서 입출력이 일어나지 않고 별도의 입출력 제어기에 의해서 일어나는 입출력은?

  1. 프로그램에 의한 I/0
  2. 인터럽트에 의한 I/0
  3. DMA 제어기에 의한 I/0
  4. subroutine에 의한 I/0
(정답률: 63%)
  • DMA 제어기는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입출력이 CPU에 의해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DMA 제어기에 의해서 처리되는 입출력을 DMA 제어기에 의한 I/0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중처리기를 사용하여 개선하고자 하는 주된 목표가 아닌 것은?

  1. 수행속도
  2. 신뢰성
  3. 유연성
  4. 대중성
(정답률: 51%)
  • 다중처리기를 사용하여 개선하고자 하는 목표는 수행속도, 신뢰성, 유연성이다. 대중성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보급과 관련된 개념으로, 다중처리기의 개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대중성은 다중처리기를 사용하여 개선하고자 하는 주된 목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채널(Chann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MA 와 달리 여러 개의 블록을 입출력 할 수 있다.
  2. 시스템의 입출력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3. 멀티플렉서 채널은 저속인 여러 장치를 동시에 제어하는데 적합하다.
  4.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CPU의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정답률: 57%)
  •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CPU의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채널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이다. 채널은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CPU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의 입출력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채널은 DMA와 달리 CPU의 개입을 최소화하며 여러 개의 블록을 입출력 할 수 있으며, 멀티플렉서 채널은 여러 장치를 동시에 제어하는데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개의 Full adder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몇 개의 Half adder가 필요한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56%)
  • Full adder는 2개의 입력과 1개의 carry-in 입력을 받아 1개의 출력과 1개의 carry-out 출력을 내보내는 논리 회로이다. Half adder는 2개의 입력을 받아 1개의 출력과 1개의 carry 출력을 내보내는 논리 회로이다. 따라서 Full adder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개의 Half adder가 필요하다. 첫 번째 Half adder는 입력 A와 B를 더하고, 두 번째 Half adder는 첫 번째 Half adder의 출력과 carry-in 입력을 더하여 Full adder의 출력과 carry-out 출력을 내보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체 기억장치 액세스 횟수가 50이고,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있는 횟수가 45라고 할 때, 캐시의 미스율(miss ratio)_은?

  1. 0.9
  2. 0.8
  3. 0.2
  4. 0.1
(정답률: 58%)
  • 캐시 미스율은 캐시에 원하는 데이터가 없어서 전체 기억장치에서 가져와야 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미스율은 (전체 액세스 횟수 - 캐시 히트 횟수) / 전체 액세스 횟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전체 액세스 횟수는 50이고, 캐시 히트 횟수는 45이므로 미스율은 (50-45)/50 = 0.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2의 보수를 사용하여 음수를 표현할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0 은 두 가지로 표현된다.
  2. 보수를 구하기가 쉽다.
  3. 보수를 이용한 연산 과정 중 end around carry 과정이 있다.
  4. 음수의 최대 절대치가 양수의 최대 절대치 보다 1만큼 크다.
(정답률: 53%)
  • 2의 보수를 사용하여 음수를 표현할 때, 양수와 음수를 더했을 때 2의 보수 값인 0이 나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음수는 양수의 보수를 취한 후 1을 더해준 값으로 표현된다. 이 때, 음수의 최대 절대치가 양수의 최대 절대치 보다 1만큼 크다는 이유는 0을 포함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8비트에서 양수의 최대 절대치는 127이지만 음수의 최대 절대치는 -128이 된다. 이는 0을 포함하여 -128부터 127까지의 범위를 모두 표현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8비트로 -9를 부호와 2의 보수(signed-2's complement)로 표현한 것은?

  1. 10001001
  2. 11111001
  3. 11110110
  4. 11110111
(정답률: 47%)
  • 8비트 signed-2's complement에서 음수는 첫 번째 비트가 1이다. 따라서 -9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9를 2진수로 나타낸 후, 첫 번째 비트를 1로 바꾸고, 나머지 비트를 2의 보수로 바꿔야 한다.

    9를 2진수로 나타내면 00001001이다. 첫 번째 비트를 1로 바꾸면 10001001이 된다. 나머지 비트를 2의 보수로 바꾸면 0111011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110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하드와이어 제어방식이 마이크로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 방식보다 좋은 점은?

  1. 비교적 복잡한 명령어들로 구성된 시스템 구현에 적합
  2. 마이크로 명령어를 추가하기 위해 설계 변경이 용이
  3. 비교적 명령어 설계에 유연성과 자율성을 보장
  4. 프로그램 실행속도가 비교적 빠름
(정답률: 52%)
  • 하드웨어 제어 방식은 명령어를 직접 하드웨어에 구현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빠릅니다. 반면에 마이크로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 방식은 명령어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하드웨어 제어 방식보다는 실행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드웨어 제어 방식은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프로세서의 상호 연결 구조 중 하이퍼 큐브 구조에서 프로세서의 총 개수가 65536 일 때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연결점의 수는?

  1. 4
  2. 16
  3. 32
  4. 65536
(정답률: 54%)
  • 하이퍼 큐브 구조에서 각 프로세서는 16개의 연결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4개의 차원에서 각각 2개의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총 65536개의 프로세서가 있다면,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연결점의 수는 1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File)은 연관된 데이터들의 집합이다.
  2. 파일은 각각의 고유한 이름을 갖고 있다.
  3. 파일은 주로 주기억장치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4. 사용자는 파일을 생성하고 수정하며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44%)
  • "파일은 주로 주기억장치에 저장하여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체계이며, 파일은 주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3개의 페이지 프레임을 갖는 시스템에서 페이지 참조 순서가 1, 2, 1, 0, 4, 1, 3 일 경우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에 의한 페이지 대치의 최종 결과는?

  1. 1, 4, 3
  2. 1, 2, 0
  3. 2, 4, 3
  4. 0, 1, 3
(정답률: 43%)
  • 1. 페이지 참조 순서에 따라 페이지 프레임이 차례대로 채워진다.
    - 1
    - 1, 2
    - 1, 2, 0
    2.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페이지 4가 참조된다. 이때 LRU 알고리즘에 따라 가장 오래전에 참조된 페이지 2가 대체된다.
    - 1, 4, 0
    3. 페이지 1이 다시 참조되면서 페이지 프레임 중 가장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 4가 대체된다.
    - 1, 4, 3
    4. 페이지 0, 4, 1, 3이 차례대로 참조되지만 이미 페이지 프레임에 모두 존재하므로 대체되는 페이지는 없다.
    - 1, 4, 3

    따라서 정답은 "1, 4,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교착상태 해결 방법 중 시스템에 교착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하고 교착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와 자원을 발견하는 것으로 자원할당 그래프 등을 사용하는 기법은?

  1. Prevention
  2. Avoidance
  3. Recovery
  4. Detection
(정답률: 49%)
  • 자원할당 그래프는 교착상태를 감지하는 기법으로, 시스템에 교착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하고 교착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와 자원을 발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기법은 교착상태를 감지하는 Detection 방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파일 보호 기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Naming
  2. Password
  3. Access Control
  4. Cryptography
(정답률: 47%)
  • 이미지에서 파일 이름을 변경하여 파일을 보호하는 것이 "Naming" 기법이다. 다른 기법들은 파일 내용을 암호화하거나 액세스 제어를 통해 보호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임계 영역(Critical S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세스들의 상호배제(Mutual Exclusion)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임계 영역에서 수행 중인 프로세스는 인터럽트가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3. 어느 한 시점에서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자원 또는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지정된 공유 영역을 의미한다.
  4. 임계 영역에서의 작업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률: 48%)
  • 정답은 "어느 한 시점에서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자원 또는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지정된 공유 영역을 의미한다."입니다.

    임계 영역에서의 작업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다른 프로세스들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한 프로세스가 임계 영역에서 오랜 시간을 소비한다면, 다른 프로세스들은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계 영역에서의 작업은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주기억장치 관리기법인 최초, 최적, 최악 적합기법을 각각 사용할 때, 각 방법에 대하여 10K의 프로그램이 할당되는 영역을 각 기법의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단, 영역 1, 2, 3, 4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1. 영역2, 영역3, 영역4
  2. 영역1, 영역2, 영역3
  3. 영역2, 영역3, 영역1
  4. 영역1, 영역3, 영역2
(정답률: 54%)
  • 최초 적합 기법은 메모리의 처음부터 순서대로 할당하므로, 10K의 프로그램이 할당되는 영역이 가장 작은 영역 2부터 시작하여 순서대로 할당된다. 최적 적합 기법은 가장 작은 영역에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크기에 가장 근접한 적절한 크기의 영역에 할당하므로, 영역 2, 3, 4 중에서 프로그램의 크기와 가장 근접한 영역에 할당된다. 최악 적합 기법은 가장 큰 영역에 할당하는 것이므로, 10K의 프로그램이 할당되는 가장 큰 영역 4에 할당된다. 따라서, 영역2, 영역3, 영역4가 순서대로 할당되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원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2. 시스템의 오류를 검사하고 복구한다.
  3.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한다.
  4.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정답률: 48%)
  •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이므로 하드웨어 장치를 담당하는 역할은 없다. 따라서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는 옳지 않은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파일을 삭제하는 UNIX 명령은?

  1. rm
  2. delete
  3. mkdir
  4. mv
(정답률: 52%)
  • "rm"은 re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r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 구조 중 주/종(Master/Slave) 처리기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 작업을 수행한다.
  2. 종프로세서는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3. 종프로세서는 입출력 발생시 주프로세서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4. 한 처리기는 주프로세서로 지정하고 다른 처리기들은 종프로세서로 지정하는 구조이다.
(정답률: 62%)
  • "종프로세서는 운영체제를 수행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종프로세서는 주로 입출력 처리나 보조적인 연산 작업을 수행하며, 운영체제를 수행하는 것은 주프로세서의 역할입니다.

    종프로세서는 주로 주프로세서의 요청에 따라 입출력 처리나 보조적인 연산 작업을 수행하며, 주프로세서가 처리할 수 없는 작업이 발생할 경우에는 주프로세서에게 서비스를 요청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종 처리기 시스템은 작업을 분산하여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하나의 CPU는 같은 시점에서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CPU의 전체 사용 기간을 작은 작업 시간량(time slice)으로 나누어서 그 시간량 동안만 번갈아 가면서 CPU를 할당하여 각 작업을 처리하는 기법은?

  1. 실시간 처리 시스템
  2. 시분할 시스템
  3. 다중 처리 시스템
  4. 일괄 처리 시스템
(정답률: 52%)
  • 시분할 시스템은 CPU의 전체 사용 기간을 작은 작업 시간량으로 나누어 각 작업을 번갈아 가면서 처리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시분할 시스템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UNIX 파일 시스템에서 부팅시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은?

  1. 부트 블록
  2. 슈퍼 블록
  3. 데이터 블록
  4. I-NODE 블록
(정답률: 54%)
  • 부트 블록은 UNIX 파일 시스템에서 부팅시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입니다. 이 블록은 파일 시스템의 첫 번째 블록으로 위치하며, 부팅시에 시스템이 이 블록을 읽어서 부팅에 필요한 정보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부트 블록은 파일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블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MFD와 UFD로 구성되며, MFD는 각 사용자의 이름이나 계정 번호 및 UFD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갖고 있으며 UFD는 오직 한 사용자가 갖고 있는 파일들에 대한 파일 정보만 갖고 있는 디렉토리 구조는?

  1. 1단계 디렉토리
  2. 2단계 디렉토리
  3. 트리구조 디렉토리
  4.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정답률: 53%)
  • 해당 디렉토리 구조는 MFD와 UFD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용자의 파일 정보를 UFD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마다 별도의 UFD가 존재하며, 이러한 구조는 2단계 디렉토리 구조에 해당합니다. 1단계 디렉토리는 모든 파일이 하나의 디렉토리에 모여있는 구조이며, 트리구조 디렉토리와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는 다른 형태의 디렉토리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분산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변경을 위한 점진적인 확대 용이성
  2. 고가의 하드웨어에 대한 여러 사용자들 간의 공유
  3. 빠른 응답시간
  4. 향상된 보안성
(정답률: 57%)
  • 분산 운영체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시스템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체제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변경을 위한 점진적인 확대 용이성과 고가의 하드웨어에 대한 여러 사용자들 간의 공유, 빠른 응답시간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향상된 보안성"은 분산 운영체제의 장점 중 하나이다. 분산 운영체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컴퓨터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어서 보안성이 향상된다. 또한 분산 운영체제는 데이터를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 유실이나 손상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현재 헤드 위치가 53에 있고 트랙 0번 방향으로 이동 중이다. 요청 대기 큐에는 다음과 같은 순서의 액세스 요청이 대기 중일 때, SSTF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헤드의 총 이동거리는 얼마인가? (단, 트랙 0번이 가장 안쪽에 위치한다.)

  1. 202
  2. 236
  3. 256
  4. 320
(정답률: 33%)
  • SSTF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요청 대기 큐에서 가장 가까운 43번 트랙을 먼저 처리하고, 이후에는 58번, 36번, 15번 순으로 처리하면 된다. 이렇게 처리하면 헤드는 다음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53 → 43 → 58 → 36 → 15

    따라서 헤드의 총 이동거리는 10 + 15 + 22 + 21 = 6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UNIX 시스템에서 커널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스 관리
  2. 명령어 해석
  3. 기억장치 관리
  4. 입출력 관리
(정답률: 51%)
  •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입출력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명령어 해석은 커널의 기능이 아니다. 명령어 해석은 쉘(shell)이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에서 수행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이해하고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명령어 해석은 커널의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로더의 기능 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억장치 내에 옮겨놓을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은?

  1. Loading
  2. Relocation
  3. Linking
  4. Allocation
(정답률: 41%)
  • 로더의 Allocation 기능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이를 관리하여 충돌이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Allocatio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SJF 기법의 길고 짧은 작업 간의 불평등을 보완하기 위한 기법으로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이용한 우선순위 계산 공식으로 우선순위를 정하는 스케줄링 기법은?

  1. Round-Robin
  2. FIFO
  3. HRN
  4. Multi-level Feedback Queue
(정답률: 62%)
  • HRN 기법은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계산하는 기법으로, 작업의 길고 짧은 간격에 상관없이 작업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SJF 기법의 단점인 작업 간의 불평등을 보완할 수 있으며,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먼저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HR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스케줄링 하고자 하는 세 작업의 도착시간과 실행시간은 다음 표와 같다. 이 작업을 SJF로 스케줄링 하였을 때, “작업번호 2”의 종료 시간은? ( 단, 여기서 오버헤드는 무시한다.)

  1. 3
  2. 6
  3. 9
  4. 13
(정답률: 44%)
  •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은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먼저 도착한 작업 중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부터 처리하면 된다.

    처음에는 작업 1이 도착하고, 작업 1의 실행시간이 6이므로 작업 1을 처리한다. 그 다음에는 작업 2가 도착하고, 작업 2의 실행시간이 3이므로 작업 2를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작업 3이 도착하고, 작업 3의 실행시간이 9이므로 작업 3을 처리한다.

    따라서, 작업 2의 종료 시간은 작업 2의 도착시간(6) + 작업 2의 실행시간(3) = 9이다. 따라서, 정답은 9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4개의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 FIF0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결함의 발생 횟수는?

  1. 4회
  2. 5회
  3. 6회
  4. 7회
(정답률: 52%)
  •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페이지 참조 순서대로 페이지가 메모리에 적재되고, 메모리가 가득 차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한다.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으므로, 페이지 참조 순서대로 1, 2, 3, 4 페이지가 메모리에 적재된다. 이후 1, 2, 5, 1, 2, 3, 4, 5 페이지가 참조되는데, 5 페이지를 적재할 때 메모리가 가득 차 있으므로 가장 먼저 들어온 1 페이지를 교체한다. 이후 1, 2, 5, 1, 2, 3, 4, 5 페이지가 참조되는데, 이번에는 2 페이지를 적재할 때 메모리가 가득 차 있으므로 가장 먼저 들어온 2 페이지를 교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페이지 참조가 계속되면서 페이지 결함이 발생하는 횟수는 6회이다. 따라서 정답은 "6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81. 8085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주소와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는?

  1. ALE(Address Latch Enable) 신호
  2. /WR 신호
  3. /RE 신호
  4. IO/M 신호
(정답률: 49%)
  • 8085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ALE(Address Latch Enable) 신호는 주소와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입니다. ALE 신호는 외부 장치에게 현재 주소를 전달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를 활성화합니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는 주소와 데이터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동기형 계수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링 카운트
  2. BCD 카운트
  3. 2진 카운트
  4. 2진 업다운 카운트
(정답률: 51%)
  • 링 카운트는 동기형 계수기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링 카운터가 비동기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링 카운터는 입력 신호가 바뀔 때마다 출력이 갱신되는 비동기식 계수기이다. 따라서 동기식 계수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반면, BCD 카운트, 2진 카운트, 2진 업다운 카운트는 모두 동기식 계수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일반적으로 DMA 장치가 가지는 3개의 레지스터가 아닌 것은?

  1. 주소 레지스터
  2. 워드 카운터 레지스터
  3. 제어 레지스터
  4. 인터럽트 레지스터
(정답률: 33%)
  • 인터럽트 레지스터는 DMA 장치가 가지는 일반적인 레지스터가 아닙니다. DMA는 인터럽트를 발생시키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터럽트 레지스터는 DMA 장치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레지스터가 일반적인 DMA 레지스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비동기(Asynchronous) 직렬(Serial)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데이터를 block으로 묶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2. 변복조장치(MODEM)를 사용한 장거리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하다.
  3. 단위 데이터의 전후에 스타트(start) 신호와 스톱(stop) 신호가 필요하다.
  4.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입출력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적합하다.
(정답률: 65%)
  • 단위 데이터의 전후에 스타트(start) 신호와 스톱(stop) 신호가 필요한 이유는, 비동기 직렬 입출력 인터페이스에서는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 언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를 알려주는 스타트 신호와 데이터 전송이 끝났음을 알려주는 스톱 신호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의 전송 속도차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임시저장 하는 장소는?

  1. 보조기억 장치
  2. 레지스터
  3. 인터페이스
  4. 버퍼
(정답률: 58%)
  • 버퍼는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의 전송 속도차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장소입니다. 데이터를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기 전에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입출력 장치의 속도에 맞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데이터가 저장된 또는 저장될 기억장치의 장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버스(bus)는?

  1. 레지스터 연결 버스
  2. 데이터 버스
  3. 주소 버스
  4. 제어 버스
(정답률: 49%)
  • 주소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데이터가 저장된 또는 저장될 기억장치의 장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버스입니다. 이 버스는 CPU가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와 통신할 때 사용되며, 주소 버스는 메모리 주소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소 버스는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버스와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용어 중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것은?

  1. 보 레이트(baud rate)
  2. 듀티 팩터(duty factor)
  3. 클록 레이트(clock rate)
  4. 스케일 팩터(scale factor)
(정답률: 59%)
  • 보 레이트(baud rate)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는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나타내며, 데이터 통신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다른 용어들은 데이터 전송과는 관련이 있지만, 보 레이트와 같이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용어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동기 또는 비동기식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간의 원거리 통신을 하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하지 않은 장치는?

  1. MODEM
  2. RS232 Driver/receiver
  3. SIO
  4. PIO
(정답률: 39%)
  • PIO는 입출력 포트를 제어하는 장치로, 마이크로프로세서 간의 원거리 통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은 장치이다. MODEM은 모뎀, RS232 Driver/receiver는 시리얼 통신을 위한 장치, SIO는 직렬/병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이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간의 원거리 통신을 위해 필요한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기계어 번역시 또는 실행시 문법적 오류나 논리적 오류를 바로 잡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ssembly
  2. Loading
  3. Debugging
  4. Editing
(정답률: 70%)
  • Debugging은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계어 번역시 또는 실행시 문법적 오류나 논리적 오류를 바로 잡는 과정은 Debugging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Debugging은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에 집중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스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택은 메모리에만 존재한다.
  2. 스택에서 읽을 때는 pop 명령을 사용한다.
  3.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스택은 인터럽트와 관련이 깊다.
  4. 스택은 LIFO 메모리 장치이다.
(정답률: 50%)
  • "스택은 메모리에만 존재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스택은 메모리 내의 일부 영역에 할당되어 사용되지만, 다른 데이터 구조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추상적인 개념이다. 스택은 메모리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 실행 중에 동적으로 생성되고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우선순위체제 인터럽트 방식에서의 우선순위 식별회로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인터럽트 요청신호는?

  1. X
  2. Y
  3. Z
  4. 구별할 수 없다.
(정답률: 48%)
  • 정답은 "X"이다. 이유는 우선순위 체제에서는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 요청 신호가 먼저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림에서는 X가 가장 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인터럽트 요청 신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에 해당하는 것은?

  1. Intel 8080
  2. Zilog Z80
  3. Intel 8048
  4. Motorola MC6800
(정답률: 47%)
  •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는 CPU, RAM, ROM, 입출력 장치 등이 모두 한 개의 칩 안에 들어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Intel 8048은 CPU, RAM, ROM, 입출력 장치 등이 모두 내장되어 있는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Intel 804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CMOS RAM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제조 공법을 사용한다.
  2. 전원으로부터의 잡음에 대한 허용도가 높다.
  3. 전력 소비량이 높다.
  4. 건전지로 전원이 공급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정답률: 55%)
  • CMOS RAM은 전력 소비량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전력 소비량이 높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잘못된 정보일 수 있으며,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CMOS RAM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전체 CPU를 하나의 단일 IC로 하면 장점도 있으나 프로세서의 구조가 고정되며, 명령어 집합도 바꿀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CPU를 processor Unit, Microprogram Sequencer, Control Memory로 나누어 구성하면 위 단점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런 구조로 된 프로세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vector processor
  2. bit slice microprocessor
  3. pipeline processor
  4. array processor
(정답률: 49%)
  • 정답: bit slice microprocessor

    설명: bit slice microprocessor는 CPU를 processor unit, microprogram sequencer, control memory로 나누어 구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는 CPU의 구조와 명령어 집합을 바꿀 수 있어 유연성이 높고, 고장 발생 시 해당 부분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체 CPU를 하나의 IC로 구성하는 것보다 유연하고 경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TTL 출력 종류 중 논리값이 0도 아니고 1도 아닌 고임피던스 상태를 가지며, 특히 bus 구조에 적합한 것은?

  1. Tri-state 출력
  2. Open collector 출력
  3. Totem-pole 출력
  4. TTL 표준출력
(정답률: 43%)
  • Tri-state 출력은 출력이 논리값 0이나 1이 아닌 고임피던스 상태를 가지므로, 다른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버스 구조에서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즉, 다른 출력장치가 버스를 제어할 때는 Tri-state 출력이 고임피던스 상태를 유지하고, 해당 출력장치가 버스를 제어할 때는 논리값을 출력하여 다른 출력장치들이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Tri-state 출력은 버스 구조에 적합한 출력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과 외부회로 사이의 데이터 전달 입출력(I/O) 방식이 아닌 것은?

  1. programed I/O
  2. interrupt I/O
  3. DMA(Direct Memory Access)
  4. paged I/O
(정답률: 45%)
  • "Paged I/O"는 데이터 전달 입출력 방식이 아닙니다. Paged I/O는 메모리 관리 기법 중 하나로,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여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메모리에 로드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과 외부회로 사이의 데이터 전달 입출력 방식으로는 "programed I/O", "interrupt I/O", "DMA(Direct Memory Access)"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그림]과 같은 어느 프로그램 중 0123 번지에 CALL A 명령이 있다. 이 CALL A를 수행한 PC에 기억된 값은? (단, 모든 명령문은 1 바이크라 한다.)

  1. 0124
  2. 1234
  3. 1285
  4. 2345
(정답률: 43%)
  • CALL A 명령은 A 라는 서브루틴을 호출하는 명령이다. 따라서 PC(Program Counter)는 CALL A 다음의 명령어 주소인 0124를 가리키게 된다. 따라서 답은 "0124"가 아닌 "12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누산기가 꼭 필요한 명령 형식은?

  1. 0-주소 인스트럭션
  2. 1-주소 인스트럭션
  3. 2-주소 인스트럭션
  4. 3-주소 인스트럭션
(정답률: 54%)
  • 누산기는 주로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를 위해서는 연산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결과를 누적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누산기가 꼭 필요한 명령 형식은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1-주소 인스트럭션입니다. 이 형식은 연산할 데이터가 하나의 주소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누산기에 더하거나 빼는 등의 연산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결과를 누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8085 CPU에서 클록은 2.5MHz 이다. LDA 명령을 수행하는데 13개 T 스테이트가 필요하다. 이 때 명령 사이클은 약 몇 ㎲ 인가?

  1. 13
  2. 5.2
  3. 2.5
  4. 3.2
(정답률: 51%)
  • 명령 사이클은 T 스테이트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LDA 명령이 13개 T 스테이트가 필요하므로, 명령 사이클은 13 x (1/2.5) = 5.2 ㎲ 이다. 따라서 정답은 "5.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주변 장치 사이의 입출력 방법들이다. CPU의 부담이 적은 것부터 나열한 것은?

  1. 채널에 의한 입출력 -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 DMA에 의한 입출력
  2.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 DMA에 의한 입출력 - 채널에 의한 입출력
  3. DMA에 의한 입출력 -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4. 채널에 의한 입출력 - DMA에 의한 입출력 -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정답률: 43%)
  • 채널에 의한 입출력이 CPU의 부담이 가장 적다. 채널은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여,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독립적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CPU는 입출력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MA에 의한 입출력은 CPU의 부담이 적지만, DMA 컨트롤러를 통해 입출력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채널에 의한 입출력보다는 부담이 크다.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은 CPU가 직접 입출력 작업을 처리하기 때문에 부담이 가장 크다. 따라서 채널에 의한 입출력 - DMA에 의한 입출력 -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순으로 CPU의 부담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