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0-02)

자동차정비기능사
(2005-10-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점화장치의 고전압을 구성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배전기
  2. 점화 코일
  3. 고압 케이블
  4. 다이오드
(정답률: 76%)
  • 다이오드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로, 고전압을 생성하는 점화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점화장치에서는 배전기, 점화 코일, 고압 케이블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자제어 연료분사장치에서 시동시에 이루어지는 분사는?

  1. 순차 분사
  2. 동시 분사
  3. 그룹 분사
  4. 독립 분사
(정답률: 65%)
  • 전자제어 연료분사장치에서 시동시에는 동시 분사가 이루어집니다. 이는 모든 실린더에서 연료가 동시에 분사되어 실린더 내부에 고압 연료가 고르게 분사되어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순차 분사는 각 실린더마다 연료가 차례로 분사되는 방식이며, 그룹 분사는 일부 실린더에서 동시에 연료가 분사되는 방식이고, 독립 분사는 각 실린더마다 독립적으로 연료가 분사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자동차용 납산 축전지에서 기전력을 발생시킬 때 어떤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시키는가?

  1. 전자결합을 통해서
  2. 이온결합을 통해서
  3. 원자결합을 통해서
  4. 전해결합을 통해서
(정답률: 56%)
  • 자동차용 납산 축전지에서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화학반응은 이온결합을 통해서 발생합니다. 축전지 내부에서 화학물질인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질인 전해액이 존재하며, 이 전해액을 통해 이온들이 이동하면서 전기적인 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이온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축전지에서 기전력으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동차에서 제동시의 슬립비를 표시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자동차속도- 바퀴속도) / 자동차속도 × 100
  2. (자동차속도- 바퀴속도) / 바퀴속도 × 100
  3. (바퀴속도 - 자동차속도) / 자동차속도 × 100
  4. (바퀴속도 - 자동차속도) / 바퀴속도 × 100
(정답률: 78%)
  • 정답은 "(자동차속도- 바퀴속도) / 자동차속도 × 100" 입니다. 이유는 자동차에서 제동을 걸었을 때 바퀴의 회전속도가 자동차의 속도보다 느려지게 됩니다. 이 때 바퀴와 지면 사이에 일어나는 마찰력이 작용하여 자동차가 멈추게 됩니다. 이때 바퀴의 회전속도와 자동차의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슬립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속도- 바퀴속도) / 자동차속도 × 100 공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2륜 자동차의 총질량은 운전자와 동승자를 포함해서 370㎏이다. 이 이륜 자동차가 3.5m/s2의 가속도로 가속 하려면 구동륜에 작용하는 여유 구동력의 크기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5.7N
  2. 1295N
  3. 1057N
  4. 12950N
(정답률: 57%)
  • 운동 방정식 F = ma를 이용하여 구해보자.

    여기서, F는 구동력, m은 총질량, a는 가속도이다.

    F = ma = 370kg × 3.5m/s² = 1295N

    따라서, 구동륜에 작용하는 여유 구동력의 크기는 1295N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조향장치에서 많이 사용되는 조향기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래크-피니언(rack and pinion)형식
  2. 윔-섹터 롤러(worm and sector roller)형식
  3. 롤러-베어링(roller and bearing)형식
  4. 볼-너트(ball and nut)형식
(정답률: 53%)
  • 롤러-베어링 형식은 조향장치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롤러-베어링은 일반적으로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데, 조향장치는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향기어의 종류로는 래크-피니언, 윔-섹터 롤러, 볼-너트 형식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삼원촉매장치에서 삼원 물질에 들지 않는 가스는?

  1. CO
  2. HC
  3. CO2
  4. NOX
(정답률: 79%)
  • 삼원촉매장치에서는 CO, HC, NOX를 감소시키기 위해 산화작용이 일어나는데, CO2는 이미 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삼원 물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삼원촉매장치에서 삼원 물질에 들지 않는 가스는 C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고속 기관에서 오버 스퀘어기관(over square engine)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흡배기 밸브의 지름을 크게 하여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2. 기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3. 피스톤이 과열되지 않는다.
  4. 피스톤의 평균속도를 올리지 않고 기관의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정답률: 54%)
  • 오버 스퀘어기관은 스트로크보다 보어가 큰 엔진으로, 피스톤의 이동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평균속도가 높아지고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효율이 증대되고 기관의 높이를 낮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피스톤이 과열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이는 보어가 크기 때문에 피스톤과 실린더 벽면 사이의 공간이 작아져서 열이 잘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스톤이 과열되지 않는 것은 오버 스퀘어기관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4실린더 기관에서 실린더 당 3개의 링이 있고, 링 1개당 마찰력이 0.25kgf이라면 총 마찰력은?

  1. 1kgf
  2. 3kgf
  3. 6kgf
  4. 8kgf
(정답률: 70%)
  • 4실린더 기관에서 실린더당 링이 3개이므로 총 링의 개수는 4 x 3 = 12개입니다. 각 링의 마찰력이 0.25kgf이므로 12개의 링의 총 마찰력은 0.25 x 12 = 3kgf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kg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자에어 엔진 시동시 라디오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 이유는?

  1. 시동모터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2. 발전기 작동을 원활하게 시키기 위하여
  3. 에어컨 작동을 원활하게 시키기 위하여
  4. 고장발생 원인이다.
(정답률: 76%)
  • 전자에어 엔진 시동시 시동모터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라디오가 작동되지 않도록 합니다. 라디오가 작동하면 배터리에서 더 많은 전기를 소모하게 되어 시동모터에 충분한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시동이 잘 안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자동변속기의 오일펌프 종류가 아닌 것은? (단, 토크 컨버터는 제외)(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내접기어 펌프
  2. 베인 펌프
  3. 로터리 펌프
  4. 원심 펌프
(정답률: 51%)
  • 자동변속기의 오일펌프 종류 중 원심 펌프는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 회전수가 변화하여 오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반면에 내접기어 펌프, 베인 펌프, 로터리 펌프는 회전수와 상관없이 일정한 압력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원심 펌프는 다른 세 가지 펌프와는 작동 원리가 다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스퀘어 엔진이란?

  1. 행정과 커넥팅 로드의 길이가 같은 기관
  2. 실린더의 지름이 행정의 제곱에 해당하는 기관
  3. 행정과 크랭크 저널의 지름이 같은 기관
  4. 행정과 실린더 내경이 같은 기관
(정답률: 61%)
  • 스퀘어 엔진은 실린더의 내경과 행정의 길이가 같은 기관으로, 이로 인해 더 많은 실린더를 한 번에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고, 더 많은 연소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행정과 실린더 내경이 같은 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중 0.75 발열량 10000kcal/kg인 연료를 30분간 시험했을 때의 소비량이 4ℓ이다. 연료마력(PHP)은?

  1. 83.4
  2. 95.2
  3. 103.4
  4. 109.7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C(교류) 발전기에서 전류가 발생하는 곳은?

  1. 전기자
  2. 스테이터
  3. 로터
  4. 브러시
(정답률: 61%)
  • AC 발전기에서 전류가 발생하는 곳은 스테이터입니다. 스테이터는 회전자인 로터 주위에 위치한 고정자로, 자석을 가지고 있어 회전자와 상호작용하여 전기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스테이터는 AC 발전기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핵심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차륜정렬 중 앞 차축의 처짐을 적게 하기 위하여 둔 것은?

  1. 캠버
  2. 캐스터
  3. 토인
  4. 토아웃
(정답률: 56%)
  • 캠버는 앞 차축의 바퀴를 차체 중심선보다 내쪽으로 기울여서 바퀴가 주행 중에도 수직으로 바닥을 밟을 수 있도록 하여 앞 차축의 처짐을 적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이리스터의 구성부가 아닌 것은?

  1. 캐소드
  2. 게이트
  3. 애노드
  4. 컬렉터
(정답률: 72%)
  • 사이리스터는 NPN 또는 PNP 구조의 양방향 반도체 스위치로,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스위칭을 제어합니다. 게이트는 제어 전극으로,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류를 제어합니다. 하지만 컬렉터는 다른 반도체 소자인 트랜지스터에서 사용되는 전극으로, 사이리스터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컬렉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자 점화시기 조정 차량들은 점화시기 조정시 점검 단자를 접지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적당한 것은?

  1. 자기진단 내용을 보면서 점화시기를 조정하기 위해
  2. 컴퓨터의 점화시기 진각 보정을 차단하기 위해
  3. 엔진을 공회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4. 연료 압력을 규정값으로 하기 위해
(정답률: 39%)
  • 전자 점화시기 조정 차량들은 컴퓨터가 자동으로 점화시기를 조정하는데, 이때 점검 단자를 접지시키면 컴퓨터의 점화시기 진각 보정이 차단되어 적절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점화시기를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점검 단자를 접지시키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디젤 연료의 발화 촉진제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질산에틸(C2H5NO3)
  2. 아질산아밀(C5H1NO2)
  3. 아황산에틸(C2H5SO3)
  4. 질산아밀(C5H11NO3)
(정답률: 70%)
  • 아황산에틸(C2H5SO3)은 디젤 연료의 발화 촉진제로 적당치 않은 것입니다. 이는 아황산에틸이 연료 속에 존재할 경우 환경오염물질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황산에틸은 연소 시 황산가스를 방출하며, 이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와 반응하여 황산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황산은 산성비를 유발하여 대기오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환경보호를 위해 아황산에틸은 디젤 연료의 발화 촉진제로 적당치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ABS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모든 차륜에 동시에 최대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2. 페달 답력에 따라 각 차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한다.
  3. 차륜이 블로킹되지 않고 회전을 계속하도록 각 차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한다.
  4. 차륜과 노면 사이에 미끄럼마찰이 발생되도록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한다.
(정답률: 56%)
  • ABS는 차륜이 블로킹되지 않고 회전을 계속하도록 각 차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합니다. 이는 브레이크를 밟을 때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빠르게 멈출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차륜이 블로킹되지 않고 회전을 계속하도록 각 차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압력을 제어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에서 컴퓨터로 입력되는 센서가 아닌 것은?

  1. 차속 센서
  2. 스로틀 포지션 센서
  3. 유온 센서
  4. 대기압 센서
(정답률: 55%)
  •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에서 차속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유온 센서는 모두 변속기 작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이지만, 대기압 센서는 공기압 정보를 제공하여 엔진의 연소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대기압 센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특수 자동차의 총중량은 몇 톤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되는가?

  1. 50톤
  2. 60톤
  3. 30톤
  4. 40톤
(정답률: 78%)
  • 국내 도로법상 특수 자동차의 총중량은 40톤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0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속도제한장치의 최고속도가 100㎞/h가 아닌 것은?

  1. 47인승 시외버스
  2. 45인승 일반 시내버스
  3. 27인승 우등 고속버스
  4. 45인승 표준형 전세버스
(정답률: 55%)
  • 속도제한장치의 최고속도가 100㎞/h가 아닌 것은 "45인승 일반 시내버스"입니다. 이는 시내버스이기 때문에 시내 도로에서 운행되며, 시내 도로의 속도 제한은 보통 60㎞/h 이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버스의 최고속도는 60㎞/h 이하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제작자동차 창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 측정조건 중 광원과 수광기와의 거리는 몇 m 이내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1. 1
  2. 4
  3. 7
  4. 10
(정답률: 41%)
  • 제작자동차 창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 측정조건 중 광원과 수광기와의 거리는 10m 이내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이는 광원과 수광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흩어져서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광원과 수광기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측면 보호대(공차상태에서)의 가장 아랫부분과 지상과의 간격은 몇 cm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0
  2. 30
  3. 40
  4. 50
(정답률: 28%)
  • 측면 보호대의 가장 아랫부분과 지상과의 간격은 50cm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도로 안전 규정에서 정해진 기준이며, 이 간격을 벗어나면 보행자나 자전거 탑승자 등이 보호대 아래로 들어가 다치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동차의 앞, 뒷면 양쪽 또는 옆면에 차량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게 설치한다.
  2. 등화의 중심점은 공차상태에서 지상 35cm 이상 200cm이하의 높이가 되게 한다.
  3. 매분 60회 이상 100회 이하의 점멸횟수를 가진다.
  4. 등광색은 황색 또는 호박색이어야 한다.
(정답률: 50%)
  • "매분 60회 이상 100회 이하의 점멸횟수를 가진다."가 틀린 것은, 실제로는 매분 60회 이상 120회 이하의 점멸횟수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국내 도로교통법상의 규정입니다. 이유는 차량의 방향지시등이 너무 빠르게 깜빡이면 다른 운전자들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토크렌치를 사용할 때 안전하지 못한 것은?

  1. 볼트나 너트를 조일 때 조임력을 측정한다.
  2. 핸들을 잡고 몸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3. 조임력은 규정 값에 정확히 맞도록 한다.
  4. 손잡이에 파이프를 끼우고 돌리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1%)
  • 핸들을 잡고 몸 바깥쪽으로 밀어낸다는 것은 작업 중에 몸을 뒤로 기울이거나 밀어내는 행동을 말하는데, 이는 작업 도중에 균형을 잃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지 못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안전표시에서 주의표시로 주로 사용하는 색은?

  1. 녹색
  2. 백색
  3. 황색
  4. 적색
(정답률: 60%)
  • 황색은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색으로, 시설물이나 기계 등 위험한 곳에서 사용되어 사람들이 주의를 기울이도록 합니다. 또한, 밤에도 눈에 잘 띄어 안전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안전표시에서 주의표시로 주로 사용하는 색은 황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기계를 운전할 때 운전 상태에서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클러치의 상태
  2. 기어 부분의 이상음
  3. 기어의 급유 상태
  4. 베어링 마찰부 온도상승 여부
(정답률: 59%)
  • 기어의 급유 상태는 기계를 운전할 때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기어의 급유 상태는 기어 오일의 유량과 압력을 확인하는 것으로, 기계를 운전하기 전에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인 유지보수 시에 확인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기어의 급유 상태는 이 문제에서 제외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관 오일의 점검과 교환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기관이 공회전일 때 오일의 양을 점검한다.
  2. 가급적 오래 사용하는 편이 유리하다.
  3. 운전 조건에 관계없이 일정시기마다 교환한다.
  4. 정상 작동온도에서 교환한다.
(정답률: 42%)
  • 기관 오일은 정상 작동온도에서 교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오일이 뜨거운 상태에서 더욱 순환되어 오일 시스템 내부의 더러움과 녹슬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뜨거운 상태에서 오일을 교환하면 오일이 더욱 쉽게 배출되어 교환 효율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정상 작동온도에서 교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공기공구에 사용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공구의 교체시에는 반드시 밸브를 꼭 잠그고 하여야 한다.
  2. 활동 부분은 항상 윤활유 또는 그리스를 급유한다.
  3. 사용시에는 반드시 방진마스크나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4. 공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밸브를 일시에 열고 닫는다.
(정답률: 61%)
  • "공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밸브를 일시에 열고 닫는다."가 틀린 것이다. 공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밸브를 열어놓고 사용해야 한다. 이유는 공기구 내부에 압축된 공기가 사용될 때마다 밸브를 열고 닫으면서 압력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밸브를 계속 열어놓고 사용하면 편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 작업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처음보다 잘 맞게 하여 차차 강하게 때린다.
  2. 정 머리에 기름을 묻혀 사용한다.
  3. 머리가 찌그러진 것은 수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4. 공작물 재질에 따라 날 끝의 각도를 바꾼다.
(정답률: 77%)
  • 정 머리에 기름을 묻혀 사용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정이 기름에 묻으면 제어하기 어려워져서 정확한 위치에 맞추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을 깨끗하게 닦아서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조등의 조정 및 점검 시험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광도는 안전기준에 맞아야 한다.
  2. 광도를 측정할 때는 헤드라이트를 깨끗이 닦아야 한다.
  3. 타이어 공기압과는 관계가 없다.
  4. 퓨즈는 항상 정격용량의 것을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76%)
  • 전조등의 광도와 타이어 공기압은 서로 관계가 없습니다. 전조등의 광도는 안전기준에 맞춰야 하며, 측정할 때는 헤드라이트를 깨끗이 닦아야 합니다. 또한, 전조등의 퓨즈는 항상 정격용량의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접 작업시 유해 광선으로 눈에 이상이 생겼을 때 응급처치 요령으로 적당한 것은?

  1. 온수 찜질 후 치료한다.
  2. 냉수 찜질 후 치료한다.
  3. 바람을 마주보고 눈을 깜박거린다.
  4. 안약을 넣고 안대를 한다.
(정답률: 61%)
  • 냉수 찜질 후 치료한다. - 유해 광선으로 인한 눈의 열을 식히기 위해 냉수 찜질을 하여 열을 내려주고, 눈 주위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염증을 완화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운반차를 이용하여 긴 물건을 이동할 때 무슨 색으로 위험을 표시하는가?

  1. 황색
  2. 적색
  3. 녹색
  4. 청색
(정답률: 77%)
  • 운반차를 이용하여 긴 물건을 이동할 때는 적색으로 위험을 표시합니다. 이는 긴 물건이 다른 차량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변 차량들에게 경고하고 안전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적색은 일반적으로 위험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재해사고 발생원인 중 직접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1. 사회적 환경
  2. 유전적 요소
  3. 안전교육의 불충분
  4. 불안전한 행동
(정답률: 81%)
  • "불안전한 행동"은 사고 발생 시 직접적으로 원인이 되는 요소입니다. 사람들이 안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경험이 없어서 무분별한 행동을 하거나 안전규정을 무시하는 등의 행동이 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불안전한 행동"은 사고 발생 시 가장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에서 클러치 페이싱의 마모가 촉진되는 가장 큰 원인은?

  1. 클러치 커버의 스프링 장력 과다.
  2. 클러치 페달의 자유간극 부족
  3. 스러스트 베어링에 기름 부족
  4. 클러치판 허브의 스플라인 마모
(정답률: 50%)
  • 클러치 페달의 자유간극 부족은 클러치 플레이트와 프레셔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을 유발하여 클러치 페이싱의 마모를 촉진시키는 가장 큰 원인입니다. 클러치 페달의 자유간극이 부족하면 클러치 플레이트와 프레셔 플레이트가 계속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클러치 페이싱이 빨리 마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변속기 정비시 측정해야 할 항목으로 적절치 않는 것은?

  1. 주축 엔드플레이
  2. 주축의 휨
  3. 기어의 직각도
  4. 부축의 엔드플레이
(정답률: 64%)
  • 기어의 직각도는 변속기 정비시 측정해야 할 항목 중 적절치 않은 것입니다. 이는 기어의 정확한 위치와 회전을 보장하기 위한 측정 항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주축 엔드플레이는 주축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주축의 휨은 주축의 굽힘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부축의 엔드플레이는 부축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기어의 정확한 위치를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타이어 트레드 패턴의 형식이 아닌 것은?

  1. 리브형
  2. 러그형
  3. 블록형
  4. 링형
(정답률: 72%)
  • 링형은 타이어 트레드 패턴의 형식이 아닙니다. 이유는 링형은 타이어의 중앙에 동그란 링 모양의 패턴이 있고, 이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패턴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링형은 타이어의 그립력이나 주행 안정성 등의 성능이 다른 패턴에 비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포토다이오드를 표시한 것은 무엇인가?

(정답률: 52%)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포토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빛이 들어오면 전류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콘덴서 등 다른 전자부품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브레이크에서 처음엔 정상적이던 유격이 커진 이유는 어느 것인가?

  1. 브레이크 오일이 나쁘다.
  2. 타이어 공기압력이 고르지 않다.
  3.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모되었다.
  4. 브레이크 라이닝에 오일이 묻었다.
(정답률: 70%)
  •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모되었다는 것은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어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할 때 생기는 마찰력이 감소하고, 따라서 유격이 커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전자제어 기관에서 연료펌프 내의 압력이 과대시 연료 누설방지를 위한 밸브는?

  1. 체크 밸브(check valve)
  2. 젯트 밸브(jot valve)
  3.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4. 리턴 밸브(Return valve)
(정답률: 71%)
  • 릴리프 밸브는 연료펌프 내의 압력이 과대될 경우,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연료 누설 방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실린더를 보링하기 위해 내경을 측정하였더니, 측정 최대값이 78.25㎜였다. 수정 값은? (단, 실린더 표준 내경은 78.00㎜ 이다.)

  1. 78㎜
  2. 78.25㎜
  3. 78.50㎜
  4. 78.75㎜
(정답률: 56%)
  • 측정 최대값이 78.25㎜이고, 실린더 표준 내경이 78.00㎜이므로, 실린더 내경이 0.25㎜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값을 보정하여 내경을 78.25㎜에서 78.00㎜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0.25㎜만큼 더 큰 값인 78.50㎜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8.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축전지를 충전하려고 한다. 충전전의 준비 사항이 아닌 것은?

  1. 단자에 부착한 오물을 씻어낸다.
  2. 축전지의 액량이 적을 때는 증류수를 보충한다.
  3. 차 위에서 행할 때는 축전지 선을 떼어 놓는다.
  4. 축전지 벤트 플러그는 일부만 연다.
(정답률: 60%)
  • 축전지를 충전할 때는 축전지 벤트 플러그를 모두 열어야 한다. 이유는 충전 중 발생하는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축전지 벤트 플러그는 일부만 연다."는 올바르지 않은 준비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극판의 크기, 극판의 수 및 황산의 량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은?

  1. 축전지의 용량
  2. 축전지의 전압
  3. 축전지의 전류
  4. 축전지의 전력
(정답률: 73%)
  • 축전지의 용량은 축전지가 저장할 수 있는 전하의 양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크기, 극판의 수 및 황산의 량에 따라 축전지의 용량이 결정됩니다. 축전지의 용량이 크면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축전지의 사용 가능한 전력량도 더 많아집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용량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조등 광원의 광도가 20000cd 거리 20m 일 때 조도는 몇 Lux 인가?

  1. 50Lux
  2. 100Lux
  3. 150Lux
  4. 200Lux
(정답률: 42%)
  • 조도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루멘)이 일정한 면적(제곱미터)에 도달하는 양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조도는 루멘/제곱미터 (lx)로 표시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조등 광원의 광도가 20000cd이고, 거리가 20m이므로 광원에서 1m^2 면적으로 도달하는 광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도 = 루멘/스테라디안
    20000cd = 루멘/4π
    루멘 = 20000cd × 4π ≈ 100530.97lm

    따라서, 1m^2 면적에 도달하는 광량은 100530.97lm/4π ≈ 7968.17lm입니다.

    이제 조도를 구하기 위해, 1m^2 면적에 도달하는 광량을 20m^2 면적에 적용합니다.

    조도 = 루멘/제곱미터
    조도 = 7968.17lm/20m^2
    조도 ≈ 398.41lx

    따라서, 정답은 "50Lux"가 아닌 "398.41Lux"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진공계로써 판단할 수 없는 것은?

  1. 점화시기의 적당 여부
  2. 밸브의 정밀 밀착 불량 여부
  3. 점화 플러그의 실화 상태
  4. 인젝터의 연료분사 상태 여부
(정답률: 49%)
  • 인젝터의 연료분사 상태 여부는 진공계로써 판단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인젝터가 연료를 분사하는 부분이 진공계 밖에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공계 내부에서는 인젝터의 연료분사 상태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솔린 분사장치의 점화시기 제어에 필요한 입력신호와 관계없는 것은?

  1. 기관회전속도
  2. 상사점
  3. 스로틀 밸브 개도
  4. O2 센서 전압
(정답률: 62%)
  • 가솔린 분사장치의 점화시기 제어는 기관회전속도, 상사점, 스로틀 밸브 개도와 같은 입력신호에 따라 결정됩니다. 하지만 O2 센서 전압은 연료-공기 혼합물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엔진의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점화시기 제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O2 센서 전압은 입력신호와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차속 센서(Vehicle Speed Sensor)는 무엇을 이용하여 ECU에서 속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가?

  1. 저항
  2. 전류
  3. TR(트랜지스터)
  4. 홀 센서
(정답률: 46%)
  • 차속 센서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ECU에서 속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홀 센서는 회전하는 톱니바퀴나 기어 등에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할 때마다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 신호를 이용하여 ECU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자제어 연료분사 차량에서 공전시 부하에 따라 안정된 공전속도를 유지하게 하는 것은?

  1. 컨트롤 릴레이
  2. 연료압력조절기
  3. ISC서보(스텝모터)
  4. 파워TR
(정답률: 55%)
  • ISC서보(스텝모터)는 Idle Speed Control의 약자로, 공전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부하가 증가하면 엔진의 회전수가 떨어지는데, 이때 ISC서보(스텝모터)는 공기흡입량을 조절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따라서 부하에 따라 안정된 공전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자제어 기관(MPI)에 관계된 센서이다. 센서의 신호 검출 위치로 보아 성격이 다른 센서는?

  1. 공기유량센서(AFS)
  2. 흡기온도센서(ATS)
  3. 스로틀포지션센서(TPS)
  4. 산소센서(O2 sensor)
(정답률: 67%)
  • 다른 센서들은 엔진의 공기 유량, 온도, 스로틀 위치 등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지만, 산소센서는 엔진의 배기가스에서 산소 농도를 검출하여 연료-공기 혼합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성격이 다른 센서는 산소센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노킹이 기관에 미치는 영향 가운데 옳지 못한 것은?

  1. 기관 주요 각부의 응력이 감소한다.
  2. 기관의 열효율이 저하한다.
  3. 실린더가 과열한다.
  4. 출력이 저하한다.
(정답률: 57%)
  • 정답: "실린더가 과열한다."

    노킹은 연소가 일어나는 시점에서 폭발적인 압력파가 발생하여 실린더 벽면에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실린더 벽면에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노킹이 발생하면 이 응력이 더욱 증가합니다. 따라서 노킹이 일어나면 기관 주요 각부의 응력이 증가하는 것이 옳고, 감소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또한, 노킹으로 인해 연소가 원활하지 않아 기관의 열효율이 저하되고, 출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노킹으로 인해 실린더가 과열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소음이 나거나 차가 떨리는 요인에 가장 근접한 내용은?

  1. 브레이크 계통에 공기가 유입됨
  2. 패드의 접촉면이 뷸균일 함
  3. 브레이크 페달 리턴 스프링이 약함
  4. 패드 면에 그리스나 오일이 묻어 있을 때
(정답률: 57%)
  • 패드의 접촉면이 불균일하면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한 압력이 전달되지 않아서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차가 떨리거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패드의 마모나 변형, 디스크의 변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자제어 현가장치가 제어하는 3가지 기능이 아닌 것은?

  1. 조향력
  2. 스프링 상수
  3. 감쇠력
  4. 차고 조정
(정답률: 44%)
  •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차량의 운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스프링 상수와 감쇠력, 차고 조정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조향력은 전자제어 현가장치가 제어하는 기능이 아닙니다. 조향력은 조향장치와 관련된 기능으로, 전자제어 현가장치와는 별개의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향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자제어 기관에서 연료 압력조절기는 무엇에 대응하여 연료 압력을 조절하는가?

  1. 압축압력
  2. 흡기다기관 내의 부압
  3. 점화시기
  4. 기관온도
(정답률: 51%)
  • 연료 압력조절기는 흡기다기관 내의 부압에 대응하여 연료 압력을 조절합니다. 이는 흡기다기관 내의 부압이 변화함에 따라 연료의 양도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흡기다기관 내의 부압이 높아지면 연료의 양을 늘려서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유지하고, 부압이 낮아지면 연료의 양을 줄여서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연료 압력조절기는 흡기다기관 내의 부압 변화에 따라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여 최적의 공기/연료 비율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파워 트랜지스터의 구성요소 중 일반적으로 ECU에 의해 제어되는 단자는?

  1. 1차 점화코일
  2. 컬렉터
  3. 베이스
  4. 이미터
(정답률: 47%)
  • 파워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으로 콜렉터, 베이스, 에미터 세 개의 단자로 구성됩니다. 그 중 ECU에 의해 제어되는 단자는 베이스입니다. 이는 ECU가 전압을 가하여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의 전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CU는 파워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베이스 단자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냉각장치의 냉각수 비등점을 올리기 위한 장치는?

  1. 압력식 캡
  2. 코어
  3. 라디에이터
  4. 물 재킷
(정답률: 62%)
  • 압력식 캡은 냉각수의 비등점을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이는 캡 내부에 압력을 유지하여 냉각수의 비등점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냉각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코어, 라디에이터, 물 재킷은 냉각장치의 구성 요소 중 일부이지만, 냉각수의 비등점을 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오버드라이브 장치를 설치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 중에 들지 않는 것은?

  1. 기관회전수가 같을 때 차의 속도를 30% 가량 빨리 할 수 있다.
  2. 기관의 수명이 20% 가량 줄어든다.
  3. 평지에서 연료가 20% 정도 절약된다.
  4. 기관의 운전이 정숙하다.
(정답률: 73%)
  • 오버드라이브 장치는 차량의 기어비를 높여서 기관의 회전수를 낮추고 차량의 속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기관의 부하가 줄어들어서 연비가 향상되고, 운전이 더 부드러워지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어비가 높아지면서 기관의 회전수가 낮아지기 때문에 기관의 부하가 더욱 커지게 되어 기관의 수명이 20% 가량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에서 히터 모터와 히터 저항기의 연결 방식은 어느 것인가?

  1. 병렬연결
  2. 직렬연결
  3. 분류식연결
  4. 직, 병렬연결
(정답률: 45%)
  • 히터 모터와 히터 저항기가 직렬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장치가 한 흐름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류가 흐를 때 두 장치를 거쳐 전압이 분배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히터 모터와 히터 저항기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전류가 흐를 때 함께 작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동 정속 주행장치의 오토 크루즈 컨트롤 유닛(auto cruise control unit)에 입력되는 신호가 아닌 것은?

  1. 클러치 스위치 신호
  2. 브레이크 스위치 신호
  3. 크루즈 컨트롤 스위치 신호
  4. 킥다운 스위치 신호
(정답률: 62%)
  • 킥다운 스위치 신호는 자동 정속 주행장치의 오토 크루즈 컨트롤 유닛에 입력되지 않습니다. 이는 킥다운 스위치가 오토 크루즈 시스템과 관련이 없는 기능으로, 엔진의 RPM을 강제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토 크루즈 시스템과는 별개의 신호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엔진이 작동 중 매연이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점검 및 수리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엔진의 불완전 연소 및 연료 계통 점검
  2. 점화시기 및 점화 플러그 배선 점검
  3. EGR 밸브 및 산소센서 점검
  4. 냉각수 계통 및 수온센서 점검
(정답률: 57%)
  • 엔진이 작동 중 매연이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 냉각수 계통 및 수온센서 점검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냉각수가 충분하지 않아 엔진이 과열되어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각수 계통 및 수온센서를 점검하여 엔진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연소가 완전하게 일어나도록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