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10-05)

자동차정비기능사
(2008-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4행정 기관에서 크랭크축이 1500rpm일 때 캠축은 몇 rpm인가?

  1. 750rpm
  2. 1500rpm
  3. 3000rpm
  4. 4500rpm
(정답률: 67%)
  • 캠축의 회전수는 크랭크축의 회전수의 반인 750rpm이다. 이는 4행정 엔진에서 한 싸이클 동안 크랭크축이 두 번 회전하고, 이에 따라 캠축은 한 번 회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캠축의 회전수는 크랭크축의 회전수의 반인 750rp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자제어 엔진에서 플랩(FLAP) 타이어의 공기량 감지기 설치 위치는?

  1. 에어클리너와 스로틀바디 사이
  2. 스로틀바디와 흡입
  3. 흡입 매니폴드와 흡입밸브 사이
  4. 흡입밸브와 배기밸브 사이
(정답률: 53%)
  • 플랩(FLAP) 타이어의 공기량 감지기는 엔진의 공기흐름을 감지하여 엔진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입니다. 이 센서는 공기의 유동성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에어클리너와 스로틀바디 사이에 위치하는 이유는 이 구간이 공기의 유동성이 높은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에어클리너와 스로틀바디 사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료펌프 라인에 고압이 걸릴 경우 연료의 누출이나 연료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1. 사일렌서(silencer)
  2. 첵 밸브(check valve)
  3. 안전 밸브(relief valve)
  4. 축압기(accumulator)
(정답률: 80%)
  • 안전 밸브는 연료펌프 라인에 고압이 걸릴 경우, 과도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하여 연료의 누출이나 연료배관 파손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안전 밸브가 연료펌프 라인에 설치되어 있으면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노킹이 기관에 미치는 영향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관 주요 각부의 응력이 감소한다.
  2. 기관의 열효율이 저하한다.
  3. 실린더가 과열한다.
  4. 출력이 저하한다.
(정답률: 61%)
  • "실린더가 과열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노킹은 연소가 일어나는 시점에서 폭발적인 압력파가 발생하여 실린더 벽면에 충격을 주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실린더 벽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또한 노킹으로 인해 기관 내부의 응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기관 주요 각부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킹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연료와 점화 시점, 실린더 헤드와 피스톤의 설계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조향장치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노면의 충격이 조향 휠에 전달되지 않아야 한다.
  2. 회전 반지름이 커야 한다.
  3. 진행 방향을 바꿀 때 섀시 및 보디 각부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야 한다.
  4. 고속주행 중에는 조향 휠이 안정되고 복원력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87%)
  • "회전 반지름이 커야 한다."가 틀린 것이며, 이유는 회전 반지름이 작을수록 차량이 좁은 공간에서 움직이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향장치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회전 반지름이 작아야 한다."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행정별 피스톤 압출 링의 호흡작용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흡입 : 피스톤의 홈과 링의 윗면이 접촉하여 홈에 있는 소량이 오일의 침입을 막는다.
  2. 압축 : 피스톤이 상승하면 링은 아래로 밀리게 되어 위로부터의 혼합기가 아래로 새지 않게 한다.
  3. 동력 : 피스톤의 홈과 링의 윗면이 접촉하여 링의 윗면으로부터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4. 배기 : 피스톤이 상승하면 링은 아래로 밀리게 되어 뒤로부터의 연소가스가 아래로 새지 않게 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동력 : 피스톤의 홈과 링의 윗면이 접촉하여 링의 윗면으로부터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가 아닙니다.

    해당 내용은 "압축" 단계에서 맞는 설명입니다. "동력" 단계에서는 피스톤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고, 이 혼합기가 불에 의해 폭발하여 엔진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링의 윗면으로부터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은 "압축"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력 : 피스톤의 홈과 링의 윗면이 접촉하여 링의 윗면으로부터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입니다. 이유는 링의 윗면과 피스톤의 홈이 접촉하여 가스가 새는 것을 막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자동차용 기관의 연료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단위 중량 또는 체적당의 발열량이 클 것
  2. 점도가 클 것
  3. 상온에서 기화가 용이할 것
  4. 연소가 빠르고 이상 연소를 일으키지 않을 것
(정답률: 77%)
  • 점도가 클수록 연료의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동차 엔진 내에서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엔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용 기관의 연료는 점도가 낮을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밸브 스템의 끝부분 면은 어떤 형상으로 다듬어져야 하는가?

  1. 평면
  2. 오목
  3. 볼록
  4. 원추
(정답률: 60%)
  • 밸브 스템의 끝부분은 밸브 시트와 밀착되어 밀폐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밸브 스템의 끝부분은 평면으로 다듬어져야 하며, 이는 밸브 시트와 최대한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평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후퇴등은 등화의 중심점이 공차상태에서 어느 범위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지상 15cm 이상 - 100cm 이하
  2. 지상 20cm 이상 - 110cm 이하
  3. 지상 15cm 이상 - 95cm 이하
  4. 지상 25cm 이상 - 120cm 이하
(정답률: 53%)
  • 후퇴등은 보행자나 차량 등이 충돌할 경우 안전을 위해 설치하는 것이므로, 지상에서 너무 낮거나 높으면 충돌 시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상 25cm 이상부터는 충돌 시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120cm 이하까지는 후퇴등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범위 내에서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승용차에 전자제어식 가솔린 분사기관을 채택하는 이유 중 틀린것은?

  1. 회전수 향상
  2. 유해배출가스 저감
  3. 연료소비율 개선
  4. 신속한 응답성
(정답률: 57%)
  • 전자제어식 가솔린 분사기관을 채택하는 이유 중 "회전수 향상"은 틀린 이유입니다. 전자제어식 가솔린 분사기관은 연료를 정확하게 분사하여 연비를 개선하고 유해배출가스를 저감시키며, 또한 신속한 응답성을 가지고 있어서 차량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킵니다. 하지만 회전수를 향상시키는 것은 분사기관이 아닌 엔진의 구조나 튜닝 등 다른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자제어 차량의 컴퓨터(ECU, ECM)에는 크게 입력신호와 출력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에서 입력신호가 아닌 것은?

  1. 냉각수 온도 센서(W.T.S)
  2. 흡기온도 센서(A.T.S)
  3. 스로틀 포지션 센서(T.P.S)
  4. 인젝터(injector)
(정답률: 80%)
  • 인젝터는 출력단에 해당하는 부품으로, 연료를 분사하여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아닌 것이다. 반면, 냉각수 온도 센서, 흡기온도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는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컴퓨터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윤활장치 내의 압력이 지나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회로 내의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오일펌프
  2. 유압조절밸브
  3. 오일여과기
  4. 오일 냉각기
(정답률: 92%)
  • 유압조절밸브는 윤활장치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회로 내의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용 중인 중고 자동차의 냉각수(부동액)를 넣었더니 14리터가 주입되었다. 신품 라디에이터에는 16리터의 냉각수가 주입된다면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을 얼마인가?

  1. 12.5%
  2. 15.5%
  3. 20.5%
  4. 22.5%
(정답률: 64%)
  • 라디에이터에 주입되는 냉각수의 양은 16리터이고, 중고 자동차에 주입된 냉각수의 양은 14리터이므로, 라디에이터 코어에는 2리터의 냉각수가 더 주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라디에이터 코어의 막힘 비율은 (2/16) × 100 = 1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중 0.75 발열량 10,000kcal/kg인 연료를 사용하여 30분간 시험했을 때의 연료소비량이 8ℓ 이었다. 이 기관의 연료 마력은?

  1. 약 95 마력
  2. 약 109 마력
  3. 약 190 마력
  4. 약 250 마력
(정답률: 38%)
  • 연료소비량 = 연료밀도 x 비중 x 시간당 연소량
    여기서 연소량 = 발열량 / 연소열효율

    30분 = 0.5시간 이므로,
    연료소비량 = 10,000 x 0.75 x (8 / 0.5) = 120,000 kcal/h

    이 기관의 연소열효율을 알 수 없으므로, 연료소비량으로부터 연료 마력을 구할 수 없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연소열효율은 30% ~ 40% 정도이다. 따라서, 연소열효율을 0.35로 가정하면,

    연료 마력 = 120,000 x 0.35 / 4.18 = 약 10,150 kW
    (단위 환산: 1 kcal/h = 0.00418 kW)

    약 10,150 kW는 약 13,600 마력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는 순수한 연료 마력이며, 기관의 효율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효율은 20% ~ 30% 정도이므로, 이를 고려하면,

    기관 마력 = 10,150 x 0.25 = 약 2,540 kW
    (단위 환산: 1 kW = 1.34 마력)

    따라서, 이 기관의 연료 마력은 약 2,540 kW, 즉 약 190 마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는 배기가스 중 무엇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가?

  1. CO2
  2. CO
  3. HC
  4. NOx
(정답률: 81%)
  • EGR은 배기가스 중 NOx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NOx는 질소산화물로,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입니다. EGR은 일부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으로 보내어 연소 온도를 낮추고, 이로 인해 NOx를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EGR은 환경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내연기관에서 오버스퀘어 기관(over square engine)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기관의 높이를 낮게 설계할 수 있다.
  2. 기관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3. 흡ㆍ배기 밸브의 지름을 크게 하여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4. 피스톤이 과열되지 않는다.
(정답률: 61%)
  • 오버스퀘어 엔진은 스트로크보다 보어가 더 긴 엔진으로, 피스톤의 이동 거리가 짧아지므로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보어가 길어지면 기관의 높이를 낮게 설계할 수 있어서 더 낮은 중심 높이를 가지게 되어 차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흡ㆍ배기 밸브의 지름을 크게 하여 효율을 증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들과는 별개로, 피스톤이 과열되지 않는 것은 오버스퀘어 엔진의 특징이 아니며, 엔진의 냉각 시스템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디젤기관의 진동원인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연료공급 계통에 공기가 침입되었다.
  2. 크랭크축의 무게가 평형하다.
  3. 분사량 분사시기 및 분사 압력이 틀려져 있다.
  4. 다기통 기관에서 어느 한 개의 분사 노즐이 막혔다.
(정답률: 83%)
  • 크랭크축의 무게가 평형하다는 것은 크랭크축이 균형잡힌 상태로 회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진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불균형한 회전 운동을 방지하므로 디젤기관의 진동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크랭크축의 무게가 평형하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소센서 값은 무엇에 의해 그 값이 변화됨을 알수 있는가?

  1. 기전력
  2. 전류
  3. 저항
  4. 배기온도
(정답률: 50%)
  • 산소센서는 기전력에 의해 그 값이 변화됩니다. 산소센서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에서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데, 이때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기전력이 발생합니다. 이 기전력을 측정하여 산소 농도를 파악하는 것이 산소센서의 역할입니다. 따라서 산소센서 값은 기전력에 의해 변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디젤기관에서 예연소실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단공 노즐을 사용할 수 있다.
  2. 분사개시 압력이 낮아 연료장치의 고장이 적다.
  3. 작동이 부드럽고 진동이나 소음이 적다.
  4. 실린더 헤드가 간단하여 열 변형이 적다.
(정답률: 52%)
  • 실린더 헤드가 간단하면 열이 전달되는 부분이 적어서 열 변형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동차 배출가스 중 탄화수소(HC)의 생성 원인과 무관한 것은?

  1. 농후한 연료로 인한 불완전 연소
  2. 화염전파 후 연소실 내의 냉각작용으로 타다 남은 혼합기
  3. 희박한 혼합기에서 점화 실화로 인한 원인
  4. 배기 머플러 불량
(정답률: 72%)
  • 배기 머플러는 차량의 배출가스를 조절하고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배기 머플러의 불량은 탄화수소(HC)의 생성 원인과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LPG 연료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화시기는 가솔린 차량의 정규위치보다 앞당길수 있다.
  2. 가스누설 개소는 액체 패킹이나 LPG 전용 실 테이프로 막는다.
  3. LPG용기 본체는 항장력 즉, 인장강도가 30kgf/cm2 이하의 기밀 강도를 가져야 한다.
  4. 점화 플러그의 수명이 가솔린 차량에 비하여 길다.
(정답률: 50%)
  • "점화시기는 가솔린 차량의 정규위치보다 앞당길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LPG용기 본체는 항장력 즉, 인장강도가 30kgf/cm2 이하의 기밀 강도를 가져야 하는 이유는, LPG는 압축 가스이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서 매우 높은 압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용기 본체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않으면 용기가 파열하거나 누출될 수 있습니다. 이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LPG용기 본체는 항장력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자제어 엔진에서 연료 분사량에 영향을 가장 적게 주는 것은?

  1. 노즐의 크기와 행정
  2. 인젝터의 걸리는 연료 압력
  3. 인젝터의 서지 전압
  4. 인젝터의 분사 시간
(정답률: 47%)
  • 인젝터의 서지 전압은 인젝터가 연료를 분사할 때 필요한 전압을 의미합니다. 이 전압이 안정적이고 일정하게 유지되면 인젝터가 일관된 양의 연료를 분사할 수 있어서 연료 분사량에 영향을 덜 주게 됩니다. 따라서 인젝터의 서지 전압이 연료 분사량에 영향을 가장 적게 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엔진의 출력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동 평균 유효압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중 틀린 것은?

  1. 배기밸브 직후 압력인 배압을 낮게 하여 잔류가스량을 감소시킨다.
  2. 흡ㆍ배기 때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킨다.
  3. 흡기 온도를 흡기구의 배치 등을 고려하려 가급적 낮게 한다.
  4. 흡기압력을 낮추어서 흡기의 비중량을 작게한다.
(정답률: 49%)
  • 흡기압력을 낮추어서 흡기의 비중량을 작게하는 것은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줄이기 때문에 출력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엔진의 출력성능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후차축 케이스에서 오일이 누유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오일의 점성이 높다.
  2. 오일이 너무 많다.
  3. 오일 시일이 파손 되었다.
  4. 액슬 축 베어링의 마멸이 크다.
(정답률: 64%)
  • 오일의 점성이 높다는 것은 오일이 더 끈적거리고 더 느리게 흐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후차축 케이스에서 오일이 누유되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토크컨버터에서 터빈런너의 회전 속도가 펌프레임펠러의 회전속도에 가까워져 스테이터가 공전하기 시작하는 점은?

  1. 클러치점
  2. 임계점
  3. 영점
  4. 변속점
(정답률: 58%)
  • 토크컨버터에서 터빈런너와 펌프레임펠러는 유체를 통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때, 터빈런너의 회전 속도가 높아질수록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펌프레임펠러의 회전 속도와 비슷해지게 됩니다. 이 때, 토크컨버터 내부에서는 터빈런너와 펌프레임펠러가 서로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스테이터가 공전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클러치점이라고 합니다. 즉, 터빈런너와 펌프레임펠러의 회전 속도가 서로 맞물리는 지점이 클러치점이며, 이 지점에서부터 스테이터가 회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자동변속기 스톨시험으로 알 수 없는 것은?

  1. 엔진의 구동력
  2. 토크컨버터의 동력차단 기능
  3. 토크컨버터의 동력전달 상태
  4. 클러치 미끄러짐 유무
(정답률: 40%)
  • 자동변속기 스톨시험은 엔진과 변속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엔진의 구동력", "토크컨버터의 동력전달 상태", "클러치 미끄러짐 유무"는 스톨시험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이다. 하지만 "토크컨버터의 동력차단 기능"은 스톨시험으로 확인할 수 없는 항목이다. 토크컨버터의 동력차단 기능은 주행 중에 차량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스톨시험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레이디얼(radial) 타이어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미끄럼이 적고 견인력이 좋다.
  2. 선회시 안전하다.
  3. 조종 안정성이 좋다.
  4. 저속 주행 험한 도로 주행시에 적합하다.
(정답률: 74%)
  • 레이디얼 타이어는 고속 주행에 적합하며, 높은 속도에서의 주행 안정성과 조종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저속 주행이나 험한 도로 주행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속 주행 험한 도로 주행시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행거리 1.6km를 주행하는데 40초가 걸렸다. 이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초속과 시속으로 표시하면?

  1. 40m/s, 144km/h
  2. 40m/s, 11.1km/h
  3. 25m/s, 14.4km/h
  4. 64m/s, 230.4km/h
(정답률: 70%)
  • 속도 = 거리 ÷ 시간

    주행거리 1.6km를 주행하는데 40초가 걸렸으므로,

    속도 = 1.6km ÷ 40초 = 0.04km/s = 40m/s

    시속으로 변환하면, 40m/s × 3600초 ÷ 1000m = 144km/h

    따라서 정답은 "40m/s, 144km/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관의 회전력을 액체의 운동에너지로 바꾸고 이 에너지를 다시 동력으로 바꾸어 변속기에 전달하는 클러치는?

  1. 다판 클러치
  2. 단판 클러치
  3. 유체 클러치
  4. 리어 클러치
(정답률: 80%)
  • 유체 클러치는 액체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입니다. 액체가 회전하는 부분과 정지한 부분 사이에 압력을 가해 액체를 압축시키면 압축된 액체는 회전하는 부분으로 이동하여 회전력을 전달합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유체 클러치는 회전력을 부드럽게 전달할 수 있어 자동차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타이로드(tie rod)로 조정하는 것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캠버(camber)
  2. 캐스터(caster)
  3. 킹핀(kingpin)
  4. 토인(toe in)
(정답률: 70%)
  • 타이로드는 바퀴의 방향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이 중에서도 토인은 바퀴의 앞쪽 부분이 서로 가까이 위치하도록 바퀴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타이로드로 조정하는 것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토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회전하는 슬릿 디스크를 끼우고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에서 검출하는 포터 인터럽터 방식을 사용하여 차체와 로어 컨트롤암 또는 차축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는?

  1. 조향각 센서
  2. 요레이트 센서
  3. 차고 센서
  4. G 센서
(정답률: 54%)
  • 회전하는 슬릿 디스크와 포터 인터럽터 방식을 사용하여 차체와 로어 컨트롤암 또는 차축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것은 차고 센서입니다. 다른 센서들은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브레이크 드럼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정적, 동적 평형이 잡혀 있을 것
  2. 슈와 마찰면에 내마멸성이 있을 것
  3. 방열이 잘되지 않을 것
  4. 충분한 강섬이 있을 것
(정답률: 75%)
  • 브레이크 드럼은 브레이크 패드와 마찰하여 차량을 멈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드럼은 정적, 동적 평형이 잡혀 있어야 하며, 슈와 마찰면에 내마멸성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충분한 강섬이 있어야 하지만, 방열이 잘되지 않아도 브레이크 드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브레이크 드럼이 방열이 잘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패드와 마찰하여 열이 발생할 때 브레이크 드럼이 빠르게 냉각되지 않아 브레이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열이 잘되지 않는 브레이크 드럼은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동변속기에서 싱크로메시(synchro mesh) 기구가 작동하는 시기는?

  1. 변속기어가 물려있을 때
  2. 클러치 페달을 놓을 때
  3. 변속기어가 물릴 때
  4.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
(정답률: 73%)
  • 수동변속기에서 싱크로메시 기구는 변속기어가 물려있을 때 작동합니다. 이는 변속기어가 회전 중인 상태에서 다른 기어와 맞물리기 위해 정확한 위치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싱크로메시 기구는 기어와 회전속도를 맞추어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부드러운 기어 전환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변속기어가 물려있을 때 싱크로메시 기구가 작동하여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부드러운 기어 전환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변속비 4.3, 종감속비 2.5일 때 총 감속비는?

  1. 1.72
  2. 6.8
  3. 1.8
  4. 10.75
(정답률: 52%)
  • 총 감속비는 변속비와 종감속비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3 x 2.5 = 10.75 이므로 정답은 10.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토인(toe in)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직방향의 하중에 의한 앞차축 휨을 방지 한다.
  2. 조향 링키지의 마멸에 의해 토아웃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3. 앞바퀴를 평행하게 회전시킨다.
  4. 바퀴가 옆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과 타이어의 마멸을 방지한다.
(정답률: 47%)
  • 토인은 앞바퀴의 내측부분이 약간 안으로 향하도록 조정하는 것으로, 이는 주행 중에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하중에 의한 앞차축 휨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수직방향의 하중에 의한 앞차축 휨을 방지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동변속기의 싱글 피니언 단순 유성기어장치에서 선기어를 고정하고 캐리어를 구동하 면 차속(출력 : 링기어)은 어떻게 되는가?

  1. 종속된다.
  2. 감속된다.
  3. 역전 종속된다.
  4. 역전 감속된다.
(정답률: 52%)
  • 선기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어의 회전에 따라 링기어의 속도가 결정되므로 차속은 캐리어의 회전속도에 종속된다. 따라서 정답은 "종속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제동력 상태가 비정상적일 경우 그 고장 원인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브레이크 오일의 누설
  2. 브레이크 슈 라이닝의 과대 마모
  3. 브레이크 오일 부족 또는 공기 흡입
  4. 브레이크 드럼의 밸런스 불균형
(정답률: 54%)
  • 제동력 상태가 비정상적일 경우, 브레이크 시스템의 문제가 일반적인 원인입니다. 브레이크 드럼의 밸런스 불균형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부분이 더 많은 압력을 받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브레이크 드럼의 두께나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제동력이 불균형하게 분배되어서 차량의 안정성을 해치고, 브레이크 시스템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자제어 현가장치 고장 진단시 액추에이터 시험의 선행조건으로 맞는 것은?

  1. 점화 스위치 OFF
  2. 점화 스위치 ON
  3. 고장 경고등 점등
  4. 차속이 30km/h 일 때
(정답률: 53%)
  • 액추에이터는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품으로, 엔진의 상태에 따라 작동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고장 진단을 위해서는 엔진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시험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점화 스위치를 ON으로 하여 엔진을 가동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점화 스위치 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자식 조향제어 장치의 조향력 제어에서 차량 속도가 저속에서는 가볍고 고속에서는 무거운 조향이 되도록 하는 방식은?

  1. 조향속도 감응방식
  2. 슬립 감응방식
  3. 차속 감응방식
  4. 로터회전 감응방식
(정답률: 61%)
  • 차속 감응방식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조향력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저속에서는 가볍게 조향하고 고속에서는 무거운 조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고속 주행 시에는 더 많은 조향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속 감응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동차에서 판 스프링은 무엇에 의해 프레임에 설치되는가?

  1. 킹핀
  2. 코터핀
  3. 새클핀
  4. U 볼트
(정답률: 55%)
  • 판 스프링은 새클핀에 의해 프레임에 설치됩니다. 새클핀은 판 스프링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요한 부품으로, 판 스프링이 차체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새클핀을 통해 판 스프링이 프레임에 고정됩니다. 따라서 새클핀은 판 스프링의 안정성과 차량의 안전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다음과 같은 전기 회로용 기본 부호의 명칭은?

  1. 발광다이오드
  2. 트랜지스터
  3. 제너다이오드
  4. 포토다이오드
(정답률: 58%)
  • 위의 기본 부호는 "다이오드"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다이오드를 나타내는 부호는 "발광다이오드", "제너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이 부호는 빛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포토다이오드"를 나타내므로 정답은 "포토다이오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점화플러그에서 자기청정온도가 정상보다 높아졌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은?

  1. 실화
  2. 후화
  3. 조기점화
  4. 역화
(정답률: 70%)
  • 점화플러그에서 자기청정온도가 정상보다 높아졌을 때, 연소가 조기에 시작되어 조기점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연소가 일어나는 시점이 정상적인 시점보다 빨라져서, 실린더 내부의 압력과 온도가 증가하게 되어 엔진에 부하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점화는 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그림은 교류신호를 측정한 파형이다. 아날로그 멀티메터로 측정한 평균치가 (+)80V라고 할 때 오실로스코프에서 디지털 신호로 받아들이는 P-P 전압은 약 몇 V에 상당하는가?

  1. 110V
  2. 160V
  3. 170V
  4. 220V
(정답률: 46%)
  • P-P 전압은 파형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파형을 보면 최고점은 약 (+)150V, 최저점은 약 (-)10V 정도이므로 P-P 전압은 약 150V - (-10V) = 160V 정도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0V"이다. 보기에서 "220V"가 정답인 이유는 오류일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어느 기관의 회전서항이 7kgfㆍm 이고, 플라이휠의 링기어 잇수가 115개, 기동전동기 피니언의 잇수가 9개일 때 기동 전동기에 필요한 회전력은?

  1. 약 0.3kgfㆍm
  2. 약 0.55kgfㆍm
  3. 약 1.52kgfㆍm
  4. 약 3.27kgfㆍm
(정답률: 46%)
  • 회전서항과 링기어, 피니언의 잇수를 이용하여 기동 전동기에 필요한 회전력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전력 = 회전서항 × 링기어 잇수 ÷ 피니언 잇수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회전력 = 7kgfㆍm × 115 ÷ 9
    ≈ 89.44kgfㆍm ÷ 9
    ≈ 9.94kgfㆍm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는 kgfㆍm이 아니라 약 0.55kgfㆍm입니다. 따라서, 단위를 맞추기 위해 계산 결과를 9.94kgfㆍm에서 0.55kgfㆍm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회전력을 링기어 잇수로 나누어주면 다음과 같습니다.

    회전력 = 9.94kgfㆍm ÷ 115
    ≈ 0.086kgfㆍm

    그러나, 이 값은 피니언의 잇수가 1개일 때의 회전력이므로, 피니언 잇수가 9개일 경우에는 9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기동 전동기에 필요한 회전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전력 = 0.086kgfㆍm × 9
    ≈ 0.55kgfㆍm

    따라서, 정답은 "약 0.55kgfㆍ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계기판의 온도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점검을 해야 할 곳은?

  1. MAT(Manifold Air Temperature Sensor)
  2. CTS(Coolant Temperature Sensor)
  3. ACP(Air Conditioning Pressure Sensor)
  4. CPS(Crankshaft Position Sensor)
(정답률: 63%)
  • 온도계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여 표시하는데, 이를 측정하는 센서가 CTS(Coolant Temperature Sensor)입니다. 따라서 온도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CTS를 점검해야 합니다. MAT는 흡기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ACP는 에어컨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CPS는 크랭크 샤프트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편의장치 중 중앙집중식 제어장치(ETACS 또는 ISU) 입ㆍ출력 요소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NT 스위치 : 운전자의 의지인 와이퍼 볼륨의 위치 검출
  2. 오픈 도어스위치 : 각 도어 잠김 여부 감지
  3. 핸들 록 스위치 : 키 삽입 여부 감지
  4. 와셔스위치 : 열선 작동 여부 감지
(정답률: 71%)
  • 와셔스위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부착된 열선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와이퍼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기유도작용과 상호유도작용 원리를 이용한 것은?

  1. 발전기
  2. 점화코일
  3. 기동모터
  4. 축전지
(정답률: 53%)
  • 점화코일은 자기유도작용과 상호유도작용 원리를 이용하여 고전압을 발생시켜 점화플러그에 전기를 공급하여 연료를 불태우는 역할을 합니다. 자기유도작용은 전류가 변화하면 자기장이 변화하고, 상호유도작용은 자기장이 변화하면 전류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전압을 증폭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점화코일은 저전압의 전기를 고전압으로 증폭시켜서 연료를 불태우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에어컨 냉매가 순환하는 과정이다. 보기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에 해당되는 것은?

  1. 진공
  2. 팽창밸브
  3. 매니폴드
  4. 냉동오일
(정답률: 75%)
  • 이미 압축된 냉매가 팽창밸브를 통해 갑자기 확장되면서 압력과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냉매가 냉방기로 흐르면서 공기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팽창밸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축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충전 중의 전압은 셀당 2.0V를 초과할 수 없다.
  2. 전해액은 진한 황산으로 한다.
  3. 전해액의 비중은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4. 충전하면 전해액의 온도는 저하한다.
(정답률: 69%)
  • 전해액은 일반적으로 물과 황산을 혼합한 용액을 사용합니다. 이 용액의 비중은 온도에 따라 변화합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아질수록 전해액의 비중은 증가하고, 온도가 높아질수록 전해액의 비중은 감소합니다. 이는 전해액의 화학적 성질에 의한 것으로, 충전 중에도 전해액의 온도가 변화하면 충전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교류발전기에서 직류발전기 컷아우트 릴레이와 같은 일을 하는 것은?

  1. 다이오드
  2. 로터
  3. 전압조정기
  4. 브러시
(정답률: 67%)
  • 교류발전기에서 직류발전기 컷아웃 릴레이는 전류가 역행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행 방지 장치입니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다이오드입니다.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소자로, 역행 방지뿐만 아니라 전압 정류, 전압 강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정 작업에서 안전한 사용방법이 아닌 것은?

  1. 안전을 위해서 정 작업은 마주보고 작업한다.
  2. 정 작업은 시작과 끝에 특히 조심한다.
  3. 열처리한 재료는 정으로 작업하지 않는다.
  4. 정 작업시 버섯 머리는 그라인더로 갈아서 사용한다.
(정답률: 64%)
  • 정 작업시 버섯 머리는 그라인더로 갈아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그라인더로 갈 때 먼지와 함께 작은 조각들이 발생하여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재해건수/연근로시간수×1,000,000의 식이 나타내는 것은?

  1. 강도율
  2. 도수율
  3. 휴업율
  4. 천인율
(정답률: 64%)
  • 이 식은 "재해건수와 연근로시간수의 비율에 1,000,000을 곱한 것"을 나타냅니다. 이 비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재해건수와 해당 기간 동안 근로자들이 일한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이를 1,000,000으로 곱함으로써 보다 큰 수로 표현합니다. 이러한 비율을 도수율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수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부품의 바깥지름, 안지름, 길이, 깊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기구는?

  1. 마이크로미터
  2. 버니어 캘리퍼스
  3. 다이얼 게이지
  4. 직각자
(정답률: 57%)
  • 버니어 캘리퍼스는 바깥지름, 안지름, 길이, 깊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기구입니다. 다른 측정 기구들도 일부 측정이 가능하지만, 버니어 캘리퍼스는 다양한 측정 범위와 정밀도를 가지고 있어서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측정값을 디지털로 표시하는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도 있어서 측정 결과를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안전ㆍ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에서 경고표지 색깔로 맞는 것은?

  1. 검정색 바탕에 노란색 테두리
  2. 노란색 바탕에 검정색 테두리
  3. 빨강색 바탕에 흰색 테두리
  4. 흰색 바탕에 빨강색 테두리
(정답률: 51%)
  • 노란색은 주의를 요하는 색상으로, 경고표지에 적합합니다. 검정색은 노란색과 대비가 잘 되어 경고표지의 내용을 더욱 강조해줍니다. 또한, 검정색은 안정감과 신뢰감을 불러일으키는 색상으로, 경고표지의 중요성을 강조해줍니다. 따라서, 노란색 바탕에 검정색 테두리가 경고표지에 적합한 색상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드릴작업을 할 때 주의할 점으로 틀린 것은?

  1. 일감은 정확히 고정한다.
  2. 작은 일감은 손으로 잡고 작업한다.
  3. 작업복을 입고 작업한다.
  4. 테이블 위에 가공물을 고정시켜서 작업한다.
(정답률: 86%)
  • 작은 일감은 손으로 잡고 작업해야 하는 이유는 드릴 작업 중 작은 일감은 고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작은 일감을 테이블 위에 고정시키면 드릴 작업 중에 일감이 움직여서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일감은 손으로 잡고 작업하여 정확하고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안전ㆍ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에서 그림이 나타내는 것은?

  1. 저온경고
  2. 고온경고
  3. 고압전기경고
  4. 방화성 물질경고
(정답률: 88%)
  • 그림에서 전기선과 번개 모양이 그려져 있으며, 빨간색으로 강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전기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표지이다. 따라서 정답은 "고압전기경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엔진작업에서 실린더 헤드 볼트를 올바르게 풀어내는 방법은?

  1. 반드시 토크 렌치를 사용한다.
  2. 풀기 쉬운 것부터 푼다.
  3.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푼다.
  4. 시계 방향으로 차례대로 푼다.
(정답률: 86%)
  •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푸는 것은 실린더 헤드를 균일하게 풀어내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헤드가 왜곡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풀기 쉬운 것부터 푸는 것보다는 대각선 방향으로 푸는 것이 더 안전하며, 반드시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정확한 토크 값을 유지해야 합니다. 시계 방향으로 차례대로 푸는 것은 균일한 힘을 가하지 못하고, 헤드를 왜곡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전지 충전시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염산을 준비하여 만일의 경우에 대비한다.
  2. 환기장치를 한다.
  3. 불꽃이나 인화물질의 접근을 금한다.
  4. 축전지 전해액의 온도가 45℃ 이상 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5%)
  • "염산을 준비하여 만일의 경우에 대비한다."는 틀린 주의사항입니다. 축전지 충전시에는 염산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염산은 충전된 축전지에서 전해액을 제거할 때 사용됩니다. 충전시에는 환기장치를 하고, 불꽃이나 인화물질의 접근을 금하며, 축전지 전해액의 온도가 45℃ 이상 되지 않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차량에서 캠버, 캐스터 측정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수평인 바닥에서 한다.
  2. 타이어 공기압을 규정치로 한다.
  3. 차량의 화물은 적재상태로 한다.
  4. 새시스프링은 안전상태로 한다.
(정답률: 87%)
  • 정답: "차량의 화물은 적재상태로 한다."

    설명: 캠버와 캐스터 측정 시에는 수평인 바닥에서 하고, 타이어 공기압을 규정치로 맞추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새시스프링은 안전상태로 유지해야 하지만, 차량의 화물은 적재상태로 두어야 하는 것은 측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귀 마개를 착용하여야 하는 작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압축기가 가동되는 기계실내에서 작업
  2. 디젤엔진 시동 작업
  3. 단조 작업
  4. 제관 작업
(정답률: 69%)
  • 귀 마개는 소음이 큰 작업환경에서 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디젤엔진 시동 작업은 귀 마개를 착용할 필요가 없는 작업입니다. 디젤엔진 시동 작업은 소음이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공기압축기가 가동되는 기계실내에서 작업, 단조 작업, 제관 작업은 소음이 큰 작업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귀 마개를 착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디젤엔진 시동 작업이 가장 거리가 먼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