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1-18)

자동차정비기능사
(2009-01-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4행정 기통 가솔린기관에서 점화순서가 1-3-4-2일 대 1번 실린더가 흡입행정을 한다면 다음 중 맞는 것은?

  1. 3번 실린더는 압축행정을 한다.
  2. 4번 실린더는 동력행정을 한다.
  3. 2번 실린더는 흡기행정을 한다.
  4. 2번 실린더는 배기행정을 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4번 실린더는 동력행정을 한다."입니다.

    점화순서가 1-3-4-2일 때, 1번 실린더가 흡입행정을 하면 3번 실린더는 압축행정을 하고, 4번 실린더는 동력행정을 하고, 2번 실린더는 배기행정을 합니다. 따라서 4번 실린더는 피스톤이 상단 중앙에서 가장 많은 힘을 발생시켜서 엔진의 동력을 만드는 동력행정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4행정 4실린더 기관에서 실린더 안지름 80mm, 행정 80mm, 압축비는 10 : 1 이다. 이 기관의 전체 연소실 체적은 약 몇 cc 인가?

  1. 45cc
  2. 179cc
  3. 447cc
  4. 1786cc
(정답률: 65%)
  • 압축비 10 : 1은 실린더 내부 공기를 10배로 압축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행정 80mm에서 실린더 안지름 80mm으로 압축된 공기의 체적은 (80/2)^2 x 3.14 x 80 = 804,160mm^3 입니다. 이를 10으로 나누면 연소실 체적이 되므로, 804,160mm^3 / 10 = 80,416mm^3 = 80.4cc 입니다. 하지만 이 기관은 4개의 실린더가 있으므로, 전체 연소실 체적은 80.4cc x 4 = 321.6cc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79cc"가 아니라, "321.6cc"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단위환산으로 맞는 것은?

  1. 4.2 kcal = 1kJ
  2. 1.6 mile = 1km
  3. 1Nㆍm = 9.8J
  4. 1W = 1J/s
(정답률: 50%)
  • 정답은 "1W = 1J/s" 입니다.

    Watt(와트)는 일정한 시간 동안 일하는 일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인 Joule(주)를 초(second) 단위로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1W는 1J/s로 표현됩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다른 단위들을 서로 환산한 것이기 때문에 단위환산으로 맞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동차 앞면 안개등의 등광색은?

  1. 적색 또는 갈색
  2. 백색 또는 적색
  3. 백색 또는 황색
  4. 황색 또는 적색
(정답률: 87%)
  • 자동차 앞면 안개등의 등광색은 백색 또는 황색입니다. 이는 안개나 비 등 악천후 상황에서 운전자의 시야를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백색 또는 황색이 가시성이 높아 안전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적색이나 갈색은 가시성이 낮아 안개나 비 등 악천후 상황에서는 오히려 시야를 가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크랭크축의 점검부위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축과 베어링 사이의 간극
  2. 축의 축방향 흔들림
  3. 크랭크축의 중량
  4. 크랭크축의 굽힘
(정답률: 81%)
  • 크랭크축의 중량은 점검부위가 아닙니다. 중량은 크랭크축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점검이나 유지보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크랭크축의 점검부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LPG 연료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점화 시기는 가솔린 차의 정규 위치보다 앞당길수 있다.
  2. 가스누설 개소는 액체 패킹이나 LPG 전용 시일 테이프(seal tape)로 막는다.
  3. 가스압력은 최저 1kgf/cm2가 유지될 수 있도록 100%의 프로판으로 되어있는 연료가 적당하다.
  4. 점화플러그는 가솔린 차에 비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8%)
  • 가스압력은 최저 1kgf/cm2가 유지될 수 있도록 100%의 프로판으로 되어있는 연료가 적당하다. -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LPG 연료장치에서는 프로판과 부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0%의 프로판으로 되어있는 연료가 적당하다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방열기 압력식 캡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다. 알맞은 것은?

  1. 냉각범위를 넓게 냉각효과를 크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2. 부압 밸브는 방열기 내의 부압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3. 게이지 압력은 2~3kgf/c㎡이다.
  4. 냉각수량을 약 20% 증가 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정답률: 56%)
  • 방열기 압력식 캡은 냉각수의 증기압을 이용하여 열을 방출하는데, 이 때 냉각범위를 넓게 하면 냉각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된다. 즉,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디젤 커먼레일 엔진의 구성 부품이 아닌 것은?

  1. 인젝터
  2. 커먼레일
  3. 분사펌프
  4. 연료 압력 조정기
(정답률: 47%)
  • 분사펌프는 디젤 커먼레일 엔진의 구성 부품 중 하나가 아닙니다. 디젤 커먼레일 엔진에서는 연료를 고압으로 압축한 후 커먼레일에 저장하고, 인젝터를 통해 정확한 시간과 양으로 분사합니다. 따라서 분사펌프는 커먼레일과 인젝터 사이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부품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관 오일펌프의 종류에 맞지 않는 것은?

  1. 기어 펌프
  2. 피스톤 펌프
  3. 베인 펌프
  4. 로터리 펌프
(정답률: 59%)
  • 기어 펌프, 베인 펌프, 로터리 펌프는 모두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의 오일펌프이지만, 피스톤 펌프는 피스톤의 상하 운동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의 오일펌프이기 때문에 종류에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기량을 측정하는 센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핫 와이어 타입
  2. 핫 필름 타입
  3. 칼만와류 타입
  4. 포토 다이오드 타입
(정답률: 82%)
  • 포토 다이오드는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공기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핫 와이어, 핫 필름, 칼만와류는 모두 공기량을 측정하는 센서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소센서 출력전압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혼합비
  2. 흡입공기온도
  3. 산소센서의 온도
  4. 배기가스 중의 산소 잔존량
(정답률: 56%)
  • 산소센서는 배기가스 중의 산소 잔존량을 측정하여 출력전압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흡입공기온도와 같은 다른 요소들은 산소센서 출력전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과급기에서 공기의 속도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는?

  1. 디플렉터(Deflecter)
  2. 터빈(Turbine)
  3. 디퓨저(Diffuser)
  4. 루트 슈터 차져(loot super charger)
(정답률: 64%)
  • 디퓨저는 공기의 속도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입니다. 공기가 디퓨저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디퓨저는 과급기에서 공기를 압축하고 엔진에 공급하기 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디퓨저가 정답입니다. 디플렉터는 공기의 방향을 바꾸는 장치, 터빈은 공기를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장치, 루트 슈터 차져는 공기를 압축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스로틀(밸브) 위치 센서에 그림과 같이 5V의 전압이 인가된다. 스로틀(밸브) 위치 센서가 완전히 개방시는 몇 V이 전압이 출력축(시그널)에 감지되는가?

  1. 0V
  2. 2 ~ 3V
  3. 4 ~ 5V
  4. 12V
(정답률: 70%)
  • 스로틀(밸브) 위치 센서는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에 따라 출력축(시그널)에 전압을 출력합니다. 그림에서 보면 5V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혀있을 때는 출력축(시그널)에 0V가 감지됩니다. 반면,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개방될 때는 출력축(시그널)에 4 ~ 5V의 전압이 감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 ~ 5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자제어 기관의 공전속도 조절기구(Ield Speed Actuator)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대시포트 작용(DASH-POT)
  2. 공전시 엔진부하에 따른 엔진 회전수 보상
  3. 냉간 운전시 냉각수 온도에 따른 공전시 공기유량 조절
  4. 공기 유량을 검출하여 컴퓨터로 전송
(정답률: 53%)
  • 공전속도 조절기구의 역할은 엔진의 공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엔진의 부하나 온도 등을 감지하여 조절합니다. 따라서 "공기 유량을 검출하여 컴퓨터로 전송"은 공전속도 조절기구의 역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TPS(Throttle Position Sensor)의 기능과 관계가 먼 것은?

  1. TPS는 스로틀 보디(Throttle Body)의 밸브 축과 함께 회전한다.
  2. TPS는 배기량을 감지하는 회전식 가변 저항이다.
  3. 스로틀 밸브의 회전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화한다.
  4. TPS의 결함이 있으면 변속 충격 또는 다른 고장이 발생한다.
(정답률: 64%)
  • TPS는 스로틀 밸브의 회전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화하여 엔진 제어 모듈(ECM)에게 스로틀 밸브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TPS는 배기량을 감지하는 회전식 가변 저항이 아니라, 스로틀 밸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가솔린 분사장치의 연료 중량 보정과 관계가 없는 부품은?

  1. 수온센서
  2. 흡기온도 센서
  3. 스로틀 위치 센서
  4. 진공 스위치
(정답률: 70%)
  • 가솔린 분사장치의 연료 중량 보정과 관계가 없는 부품은 진공 스위치입니다. 이는 분사 시스템에서 진공을 감지하여 엔진 제어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지만, 연료 중량 보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에 수온센서, 흡기온도 센서, 스로틀 위치 센서는 모두 분사 시스템의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센서로, 연료 중량 보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연료 탱크 내의 증발가스를 포집후 엔진으로 유입시켜 연소 시키는 장치는?

  1. 캐니스터와 퍼지솔레노이드
  2. 포지티브 크랭크 케이스 벤틸레이션(P.C.V) 밸브
  3.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EGR)
  4. 삼원촉매
(정답률: 58%)
  • 연료 탱크 내의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장치가 캐니스터이고, 이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가스를 엔진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퍼지솔레노이드입니다. 따라서 캐니스터와 퍼지솔레노이드가 연료 탱크 내의 증발가스를 포집하고 연소시키는 장치입니다. P.C.V 밸브는 엔진 내부의 고압과 저압을 조절하여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역할을 하고, EGR은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으로 유입시켜 연소 효율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삼원촉매는 배기가스 중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젝터 분사시간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센서는?

  1. 수온센서
  2. 공기온도센서
  3. 노크센서
  4. 흡입공기량센서
(정답률: 66%)
  • 인젝터 분사시간은 연료와 공기의 적절한 비율을 유지하기 위해 정확하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이때, 흡입공기량센서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인젝터 분사시간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흡입공기량센서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센서입니다. 수온센서는 엔진의 온도를 측정하고, 공기온도센서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합니다. 노크센서는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노크 현상을 감지합니다. 이러한 센서들은 인젝터 분사시간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만, 흡입공기량센서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외부 펌프로부터 만들어 진다.
  2. 압력은 항상 일정하다.
  3. 압력변화는 항상 대기압에 의해 변화한다.
  4. 스로틀 밸브의 개도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69%)
  •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은 스로틀 밸브의 개도에 따라 달라진다. 스로틀 밸브가 열릴수록 흡기 매니폴드 내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닫힐수록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의 개도는 엔진의 출력과 연료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디젤 기관의 배기가스 중 입자의 형태를 갖는 것은?

  1. PM
  2. CO
  3. HC
  4. NOx
(정답률: 52%)
  • 디젤 기관의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 중 입자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PM (Particulate Matter)이라고 합니다. 디젤 연료는 탄화수소 분자 구조가 복잡하고 연소 온도가 높아서 연소과정에서 미세 입자를 생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미세 입자는 대기오염물질로 인식되어 인체 건강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아래 그림은 EGR량 증가 시의 솔레노이드 파형이다. 구동전압을 나타낸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50%)
  • 정답은 "2"입니다.

    이유는 솔레노이드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데, 전자기장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구동전압이 증가하면 솔레노이드의 작동도 증가하게 되어 파형이 더 높아집니다. 그러므로 이 그림에서 구동전압은 파형의 높이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LPG 차량에서 믹서의 스로틀밸브 개도량을 감지하여 ECU에 신호를 보내는 것은?

  1. 아이들 업 솔레노이드
  2. 대시포트
  3. 공전속도 조절밸브
  4. 스로틀 위치 센서
(정답률: 73%)
  • LPG 차량에서 믹서의 스로틀밸브 개도량을 감지하여 ECU에 신호를 보내는 것은 스로틀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로틀 위치 센서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LPG 차량에서 사용되는 부품이지만, 스로틀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벨로즈형 수온조절기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액체는?

  1. 왁스
  2. 에테르
  3. 경우
  4. 냉각수
(정답률: 57%)
  • 벨로즈형 수온조절기의 내부에는 에테르라는 유기화합물이 밀봉되어 있습니다. 이는 높은 끓는점과 낮은 인화점을 가지고 있어 수온을 조절하는 데 적합하며, 냉각수와 같은 물질보다 더욱 안정적인 온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또한, 왁스와 같은 고체 물질과 달리 액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빠르게 반응하여 정확한 온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종감속기의 감속비가 4 : 1 일 때 구동 피니언이 4회전 하면 링 기어는 몇 회전하는가?

  1. 4회전
  2. 3회전
  3. 2회전
  4. 1회전
(정답률: 75%)
  • 종감속기의 감속비가 4 : 1 이므로, 구동 피니언이 1회전할 때 링 기어는 1/4 회전합니다. 따라서 구동 피니언이 4회전하면 링 기어는 4 x 1/4 = 1회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회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조향 핸들의 유격이 크게 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볼 이음의 마멸
  2. 타이로드의 휨
  3. 조형 너클의 헐거움
  4. 앞바퀴 베어링의 마멸
(정답률: 59%)
  • 타이로드는 앞바퀴와 연결되어 있고, 핸들 조작에 따라 앞바퀴가 움직입니다. 타이로드의 휨은 타이로드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 발생하는 변형으로, 이는 앞바퀴의 각도를 바꾸어 핸들의 유격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타이로드의 휨이 크게 되면 핸들의 유격도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부동식 차구에서 뒤 차축을 탈거작업을 하려고 할 때 맞는 것은?

  1. 허브를 떼어낸 다음 뒤 차축을 탈거작업이 가능하다.
  2. 허브를 떼어내지 않고 뒤 차축을 탈거작업이 가능하다.
  3. 바퀴를 떼어낸 다음 뒤 차축을 탈거작업이 가능하다.
  4. 바퀴를 꽉 조인 다음 뒤 차축을 탈거작업이 가능하다.
(정답률: 61%)
  • 전부동식 차량의 뒤 차축은 허브와 함께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허브를 떼어내지 않고 뒤 차축을 탈거작업할 수 있다. 즉, 허브와 뒤 차축이 분리되지 않고 한 번에 탈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스테빌라이저(stabilizer)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종의 토션바 이다.
  2. 독립 현가식에 주로 설치된다.
  3. 차체의 롤링(rolling)을 방지한다.
  4. 차체가 피칭(pitching) 할 때 작용한다.
(정답률: 56%)
  • 스테빌라이저는 차체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질 때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차체가 피칭할 때 작용한다는 것은 차량이 전방으로 기울거나 뒤로 기울 때 스테빌라이저가 작용하여 차체를 안정시켜준다는 뜻입니다. 이는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자제어 파워스티어링(EPS)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차량속도가 고속이 될수록 조향력이 더 요구된다.
  2. 엔진 회전수에 따라 조향력을 변화시키는 회전수 감응식이 있다.
  3. 차속에 따라 조향력을 변화시키는 차속 감응식이 있다.
  4. 고속 시 스티어링 휠이 가벼울수록 좋다.
(정답률: 78%)
  • 고속 시 스티어링 휠이 가벼울수록 좋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고속에서는 스티어링 휠이 일정한 무게감을 유지하는 것이 안전성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속에서는 스티어링 휠이 가벼울수록 오히려 조향력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압식 제동장치에서 제동력이 떨어지는 원인 중 틀린 것은?

  1. 브레이크 오일의 누설
  2. 엔진 출력 저하
  3. 패드 및 라이닝의 마멸
  4. 유압장치에 공기 유입
(정답률: 71%)
  • 유압식 제동장치에서 제동력이 떨어지는 원인 중 틀린 것은 "엔진 출력 저하"입니다. 이유는 유압식 제동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오일이 유압장치를 통해 제동장치로 전달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엔진 출력 저하는 유압식 제동장치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하이드로 백을 설치한 차량에서 브레이크 패달 조작이 무거운 원인이 아닌 것은?

  1. 진공용 첵밸브의 작동이 불량하다.
  2. 진공 파이프 각 접속부에서 새는 곳이 있다.
  3. 브레이크페달 간극이 크다
  4. 릴레이 밸브 피스톤이 작동이 불량하다.
(정답률: 63%)
  • 하이드로 백은 브레이크 시스템에 진공을 공급하여 브레이크 패달 조작을 가볍게 만들어줍니다. 하지만 브레이크페달 간극이 크다면 하이드로 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브레이크 패달이 무거워집니다. 따라서 브레이크페달 간극을 조절하여 해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차체의 수직가속도를 줄이기 위하여 가상적인 기준면에 감쇠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요철부를 통과할 때 이상으로 활용되는 제어는?

  1. 스카이훅 제어
  2. 롤링 제어
  3. 킥다운 제어
  4. 속도감응 제어
(정답률: 48%)
  • 스카이훅 제어는 차체의 수직가속도를 줄이기 위해 가상적인 기준면에 감쇠기를 설치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이는 요철부를 통과할 때 차체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주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제어 방식은 스카이훅 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클러치 부품 중 플라이휠에 조립되어 플라이휠과 같이 회전하는 부품은?

  1. 클러치 판
  2. 변속기 입력축
  3. 클러치 커버
  4. 릴리스 포크
(정답률: 60%)
  • 플라이휠은 엔진과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는 부품이며, 클러치 커버는 이 플라이휠에 조립되어 함께 회전하는 부품입니다. 클러치 판은 플라이휠과 클러치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변속기 입력축과 릴리스 포크는 클러치 작동에 필요한 부품이지만, 플라이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부품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클러치 커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동변속기에 있는 아이들 기어(idle gear)의 역할은?

  1. 방향 전환
  2. 회전력 증대
  3. 간극 조절
  4. 감속 조절
(정답률: 44%)
  • 수동변속기에서 아이들 기어는 주행 중에 기어를 바꿀 때 사용되며, 주행 중에 기어를 바꾸기 위해서는 엔진과 변속기의 회전수가 일치해야 합니다. 이때 아이들 기어는 엔진과 변속기의 회전수를 일치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아이들 기어는 방향 전환을 위해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향 전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동변속기에서 일정한 차속으로 주행 중 스로틀 밸브 개도를 갑자기 증가시키면 감속 변속되어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은?

  1. 리프트 다운
  2. 킥다운
  3. 킥업
  4. 리프트 풋업
(정답률: 79%)
  • 일정한 차속으로 주행 중 스로틀 밸브 개도를 갑자기 증가시키면 엔진의 회전수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동변속기는 높은 기어에서 낮은 기어로 강제로 변속을 하게 됩니다. 이때 감속 변속이 일어나면서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이를 킥다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킥다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자제어 자동변속기의 TCU(변속기 컴퓨터)에 입력 정보 센서가 아닌 것은?

  1. 스로틀 포지션 센서
  2. 유온 센서
  3. 펄스 제너레이터
  4. 중력 센서
(정답률: 65%)
  • 중력 센서는 자동변속기의 TCU에 입력되는 정보 센서가 아닙니다. 중력 센서는 기울기나 가속도 등을 측정하여 사용되는 센서로, 자동변속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중력 센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동변속기에서 원웨이 클러치의 형식이 아닌 것은?

  1. 랫치형
  2. 스프래그형
  3. 롤러형
  4. 파일럿형
(정답률: 56%)
  • 원웨이 클러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랫치형, 스프래그형, 롤러형은 모두 원웨이 클러치의 형식이며, 파일럿형은 원웨이 클러치의 형식이 아닙니다. 파일럿형은 회전하는 축의 중심에 위치한 작은 원판이 회전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차륜정렬에서 캠버를 두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조향 바퀴의 방향성을 주기 위하여
  2. 조향 핸들의 조작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3. 직진 방향으로 가려는 힘의 향상을 위하여
  4. 타이어의 슬립과 마멸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37%)
  • 차륜정렬에서 캠버를 두는 이유는 "조향 핸들의 조작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입니다. 캠버를 두면 바퀴가 좌우로 기울어져서 조향 핸들을 돌리는 힘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더 쉽게 핸들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ABS(Anti Break System)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휠 스피트 센서
  2. 브레이크 스위치
  3. 프리뷰 센서
  4. 하이드로롤릭 유닛
(정답률: 75%)
  • ABS 시스템은 주행 중에 발생하는 브레이크 잠금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휠 스피드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하이드로릭 유닛 등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프리뷰 센서는 ABS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프리뷰 센서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여 주행 중에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프리뷰 센서는 ABS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동차로 서울에서 대전까지 187.2km를 주행 하였다. 출발시간은 오후 1시 20분, 도착 시간은 오후 3시 8분이었다면 평균 주행속도는?

  1. 약 126.5km/h
  2. 약 104km/h
  3. 약 156km/h
  4. 약 60.78km/h
(정답률: 70%)
  • 출발 시간은 오후 1시 20분이고, 도착 시간은 오후 3시 8분이므로 총 주행 시간은 1시간 48분(= 60분 × 1 + 48분)이다.

    주행 거리는 187.2km이므로, 평균 주행 속도는 총 주행 거리를 총 주행 시간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평균 주행 속도는 187.2km ÷ 1.8시간 = 104km/h (소수점 이하 반올림) 이다.

    정답은 "약 104km/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면과 직접 접촉은 하지 않고 주행 중 가장 많은 완충작용을 하고 타이어 규격 및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은?

  1. 카커스(carcass)부
  2. 트레드(tread)부
  3. 사이드월(side wall)부
  4. 비드(bead)부
(정답률: 59%)
  • 사이드월은 타이어의 측면 부분으로, 지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주행 중에 가장 많은 완충작용을 하게 됩니다. 또한 타이어의 규격 정보와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사이드월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가솔린 기관 무배전기(DLI) 시스템의 장점을 배전기식과 비교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단속 트랜지스터의 수가 적어져 간단하다.
  2. 기계적인 마모가 없다.
  3. 캠축 내의 배전기 구동 장치가 필요 없다.
  4. 코일에서 최대출력을 내기 위하여 1차 전류를 형성하는데 시간이 적게 걸린다.
(정답률: 42%)
  • 단속 트랜지스터의 수가 적어져 간단하다는 이유는, 가솔린 기관 무배전기(DLI) 시스템에서는 각 실린더마다 하나의 단속 트랜지스터만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배전기식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의 단속 트랜지스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가솔린 기관 무배전기(DLI) 시스템은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2V의 배터리에 12V용 전구 2개를 그림과 같이 결선하고① 및 ② 스위치를 연결하였을 때 A에 흐르는 전류는 얼마인가?

  1. 6.5A
  2. 65A
  3. 7.5A
  4. 75A
(정답률: 57%)
  • 전구 1과 전구 2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같다. 따라서 전구 1과 전구 2를 통과하는 전류는 각각 6A이다. 이 두 전류가 A 지점에서 합쳐지므로 A 지점을 통과하는 전류는 6A+6A=12A이다. 하지만 ①과 ②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6A로 제한된다. 따라서 A 지점을 통과하는 전류는 6A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A가 아닌 7.5A로 주었기 때문에, 이는 문제의 오기이다. 따라서 정답은 "6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이오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것이다.
  2.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집합부를 공핍층이라 한다.
  3. 발광 다이오드 PN 접합면에 역방향 전압을 걸면 에너지의 일부가 빛으로 되어 외부에 발산한다.
  4. 제너현상은 역방향 제너전압을 적용하시면 공핍층의 가전자는 역방향 전압의 힘에 전휴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제너현상은 역방향 제너전압을 적용하시면 공핍층의 가전자는 역방향 전압의 힘에 전휴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입니다.

    발광 다이오드는 PN 접합면에 역방향 전압을 걸면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에너지가 방출되어 빛이 발산되는 현상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를 발광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동차용 납산 축전지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일반적으로 축전지의 음극 단자는 양극단자 보다 크다
  2. 정전류 충전이란 일정한 충전 전압으로 충전하는 것을 말한다.
  3. 일반적으로 충전시킬 때는 + 단자는 수소가, - 단자는 산소가 발생한다.
  4. 전해액의 황산 비율이 증가하면 비중은 높아진다.
(정답률: 53%)
  • 전해액의 황산 비율이 증가하면 비중이 높아지는 이유는 황산은 물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산 비율이 높아지면 전해액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어 축전지의 비중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동전동기에서 오버런닝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은?

  1. 벤딕스식
  2. 전기자 섭동식
  3. 피니언 섭동식
  4. 링기어 섭동식
(정답률: 55%)
  • 벤딕스식 기동전동기는 오버런닝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이는 벤딕스 기어를 사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벤딕스 기어는 일정한 속도 이상에서만 회전력을 전달하므로 오버런닝 클러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벤딕스식이 오버런닝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에서 응용한 것은?

  1. 플레밍의 왼손 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3. 옴의 법칙
  4. 자기포화의 법칙
(정답률: 78%)
  •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에서 응용한 것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기장이 발생하며, 이 자기장의 방향은 전류의 방향에 수직으로 결정된다는 법칙입니다. 따라서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에서는 회전하는 자석과 고정된 코일 사이에서 전류가 발생하며, 이때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을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동차의 경음기에서 음질 불량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이어프램의 균열이 발생한다.
  2. 전류 및 스위치 접촉이 불량하다.
  3. 가동판 및 코어의 헐거운 현상이 있다.
  4. 경음기 스위치 쪽 배선의 접지가 되었다.
(정답률: 60%)
  • 경음기 스위치 쪽 배선이 접지되면 전기적인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경음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음질이 불량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퓨즈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퓨즈는 정격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2. 퓨즈는 과대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3. 퓨즈는 용량이 클수록 전류가 정격전류가 낮아진다.
  4. 용량이 작은 퓨즈는 용량을 조정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86%)
  • 퓨즈는 과대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퓨즈 내부의 금속 선이 과열되어 녹아 회로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퓨즈는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자동 에어컨 시스템에서 컨트롤 스위치 신호에 의해 컴퓨터가 제어하지 않는 것은?

  1. 히터 밸브
  2. 송풍기 속도
  3. 컴프레서 클러치
  4. 맵센서
(정답률: 66%)
  • 맵센서는 전자동 에어컨 시스템에서 컨트롤 스위치 신호에 의해 컴퓨터가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엔진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연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맵센서는 에어컨 시스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중앙집중식 제어장치(ETACS 또는 ISU)의 입ㆍ출력 요소의 역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열선스위치 : 열선 작동 여부 감시
  2. INT 스위치 : 운전자의 의지인 볼륨의 위치 검출
  3. 모든 도어 스위치 : 각 도어 잠김 여부 감지
  4. 핸들 록 스위치 : 와셔 작동 여부 감지
(정답률: 72%)
  • 핸들 록 스위치는 와셔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핸들을 잠금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핸들 록 스위치 : 와셔 작동 여부 감지"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안전표지에 사용되는 색체에서 보라색은 주로 어는 용도에 사용하는가?

  1. 방화 표시
  2. 주의 표시
  3. 방향 표시
  4. 방사능 표시
(정답률: 69%)
  • 보라색은 방사능 표시에 사용됩니다. 이는 보라색이 자외선을 포함한 전자기파 중 가장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 방사능을 나타내는 데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라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색상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방사능 표시에 더욱 눈에 띄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기계작업시의 일반적이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주유시는 지정된 오일을 사용하며, 기계는 운전을 정지 시킨다.
  2. 고장의 수리 청소 및 조정시에는 동력을 끊고 다른 사람이 작동시키지 않도록 표시해 둔다.
  3. 운전중 기계로부터 이탈할 때는 운전을 정지시킨다.
  4. 기계운전 중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는 각종 모터의 스위치를 켜둔다.
(정답률: 86%)
  • 기계운전 중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는 각종 모터의 스위치를 켜둔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은 안전사항입니다. 정전이 발생하면 기계를 운전 중지시켜야 하며, 각종 모터의 스위치를 켜두면 정전 후 전원이 복구되었을 때 갑작스러운 기계 작동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기기구 사용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공기기구의 활동부위에는 윤활유가 묻지 않게 할것
  2. 공기기구를 사용할 때는 보호안경을 사용할 것
  3. 고무 호스가 꺽여 공기가 새는 일이 없도록 할 것
  4. 공기기구의 반동으로 생길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것
(정답률: 47%)
  • 공기기구의 활동부위에 윤활유가 묻으면 고무 소재가 부식되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스패너 작업시의 안전수칙에 알맞지 않은 것은?

  1. 주위를 살펴보고 조심성 있게 죌 것
  2. 스패너를 몸 바깥쪽으로 밀지 말고 앞 쪽으로 당길 것
  3. 스패너는 조금씩 돌리며 사용할 것
  4. 힘겨울 때는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서 작업할 것
(정답률: 84%)
  • "힘겨울 때는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서 작업할 것"은 안전수칙에 알맞지 않습니다. 이유는 파이프를 끼워서 작업하면 스패너의 끝이 파이프에 박혀서 움직이지 않을 수 있고, 파이프가 미끄러져서 작업자의 손이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이프 대신에 스패너의 크기를 맞춰서 작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손이나 발이 중량물과 지면 등에 끼어 발생하는 재해는?

  1. 낙하
  2. 충돌
  3. 전도
  4. 협착
(정답률: 76%)
  •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손이나 발이 중량물과 지면 등 사이에 끼어서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협착이라고 합니다. 이는 손이나 발이 갑자기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부상을 입을 수 있으며, 무거운 물체가 떨어져 다른 사람이나 물건에 충돌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중량물을 다룰 때는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앤빌(anvil)과 같은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의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

  1. 인력으로 운반시 다른 사람과 협조하에 조심성 있게 운반한다.
  2. 체인블럭이나 리프트를 이용한다.
  3. 작업장에 내려놓을 때에는 충격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4. 반드시 혼자 힘으로 운반한다.
(정답률: 89%)
  • 반드시 혼자 힘으로 운반한다는 것은 위험하며,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는 다른 사람과 협조하여 운반해야 합니다. 무거운 물건을 혼자 운반하면 부상을 입을 수 있으며, 물건을 떨어뜨리거나 다른 사람에게 부딪힐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는 반드시 다른 사람과 협조하여 조심성 있게 운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관부품을 점검시 작업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기관을 가동과 동시에 부품의 이상 유무를 빠르게 판단한다.
  2. 부품을 정비할 때 점화스위치를 ON 상태에서 축전케이블을 탈거한다.
  3. 산소센서의 내부저항을 측정하지 않는다.
  4. 출력전압은 쇼트시킨후 점검한다.
(정답률: 46%)
  • 산소센서는 내부에 전기적인 회로가 있기 때문에 내부저항을 측정해야 하지만, 이 작업은 전기적인 부하를 가해 센서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측정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부품 중 분해시 솔벤트로 닦으면 안 되는 것은?

  1. 릴리스 베어링
  2. 십자축 베어링
  3. 허브 베어링
  4. 차동장치 베어링
(정답률: 68%)
  • 릴리스 베어링은 클러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솔벤트로 닦으면 내부에 있는 그리스가 제거되어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솔벤트로 닦으면 안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릴리스 베어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납산 축전지(BATTERY) 충전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축전지 충전은 상온의 밀폐된 곳에서 실시한다.
  2. 축전지가 단락하여 스파크가 일어나지 않게 한다.
  3. 환기장치가 적절하지 못한 작업장에서는 축전과 과충전을 하여서는 안된다.
  4. 전해액을 혼합할 /때에는 증류수에 황산을 천천히 붓는다.
(정답률: 74%)
  • 정답은 "전해액을 혼합할 때에는 증류수에 황산을 천천히 붓는다." 입니다.

    축전지 충전은 상온의 밀폐된 곳에서 실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는 충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가스를 방출하기 위함입니다. 충전 중에는 축전지가 단락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충전 작업장에는 적절한 환기장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전해액을 혼합할 때에는 증류수에 황산을 천천히 붓는 것이 아니라, 황산을 먼저 증류수에 넣은 후에 천천히 혼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안전상 보안경 착용의 적합성을 보기 항에서 모두 고른것은?

  1. A-B-C
  2. B-C-D
  3. A-B-D
  4. A-B-C-D
(정답률: 58%)
  • 보안경은 안전을 위해 착용되는 것이므로 A, B 보기는 맞습니다. 하지만 C 보기는 보안경 착용과는 관련이 없는 안전모이므로 틀립니다. D 보기는 모든 보기를 포함하고 있지만, C 보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틀립니다. 따라서 A-B-D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