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2-12)

자동차정비기능사
(2012-02-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의 연료펌프에서 첵밸브의 역할은?

  1. 잔압 유지와 재시동을 용이 하게 한다.
  2. 연료 압력의 맥동을 감소시킨다.
  3. 연료가 막혔을 때 압력을 조절한다.
  4. 연료를 분사한다.
(정답률: 75%)
  • 체크 밸브는 연료펌프에서 나오는 연료의 유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연료펌프에서 연료를 흡입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압력 변화로 인해 연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체크 밸브는 연료 시스템에서 잔압을 유지하고, 연료가 막혔을 때 압력을 조절하여 재시동을 용이하게 합니다. 따라서 "잔압 유지와 재시동을 용이 하게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내연기관에 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실린더의 이론적 발생마력을 제동마력이라 한다.
  2. 6실린더 엔진의 크랭크축의 위상각은 90도이다.
  3. 베어링 스프레드는 피스톤 핀 저널에 베어링을 조립시 밀착되게 끼울 수 있게 한다.
  4. DOHC 엔진의 밸브 수는 16개이다.
(정답률: 74%)
  • 베어링 스프레드는 피스톤 핀 저널에 베어링을 조립시 밀착되게 끼울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엔진 내부에서 부품들이 움직일 때 마찰을 최소화하고, 부품 간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4사이클 가솔린 엔진에서 최대 압력이 발생되는 시기는 언제인가?

  1. 배기 행정의 끝 부근에서
  2. 피스톤의 TDC 전 약 10~15° 부근에서
  3. 압축 행정 끝 부근에서
  4. 동력행정에서 TDC 후 약 10~15°에서
(정답률: 64%)
  • 4사이클 가솔린 엔진에서 최대 압력은 동력행정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피스톤이 상단 중심 위치인 TDC(Top Dead Center)를 지난 후, 실린더 내부의 공기와 연료 혼합물이 가장 압축된 상태에서 발생합니다. 이때 약 10~15° 정도 지난 시점에서 최대 압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연소가 완료되어 가스가 가장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는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력행정에서 TDC 후 약 10~15°에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자제어 엔진의 흡입 공기량 검출에 사용되는 MAP센서 방식에서 진공도가 크면 출력 전압값은 어떻게 변하는가?

  1. 낮아진다.
  2. 높아진다.
  3. 낮아지다가 갑자기 높아진다.
  4. 높아지다가 갑자기 낮아진다.
(정답률: 58%)
  • MAP센서는 진공도가 높을수록 출력 전압값이 낮아지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는 진공도가 높을수록 엔진 내부의 공기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정한 체적 하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대표적인 가솔린 기관의 사이클은?

  1. 오토사이클
  2. 디젤사이클
  3. 사바테사이클
  4. 고속사이클
(정답률: 83%)
  • 오토사이클은 일정한 체적 하에서 가솔린과 공기가 혼합된 후 압축되어 폭발하고, 이후 폭발 가스가 팽창하면서 일어나는 사이클입니다. 이 사이클은 가솔린 기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4가지 사이클 중 가장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행정이 100㎜이고 회전수가 1500rpm인 4행정 사이클 가솔린 엔진의 피스톤 평균속도는?

  1. 5m/sec
  2. 15m/sec
  3. 20m/sec
  4. 50m/sec
(정답률: 39%)
  • 피스톤 평균속도는 행정길이 × 회전수 ÷ 60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0 × 1500 ÷ 60 = 2500 (mm/sec) 입니다. 이를 m/sec로 변환하면 2.5m/sec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평균속도이므로 실제 속도는 이보다 더 높을 것입니다. 따라서, 가장 근접한 값인 5m/se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일반 디젤기관의 분사펌프에서 최고회전을 제어하며 과속(over run)을 방지하는 기구는?

  1. 타이머
  2. 조속기
  3. 세그먼트
  4. 피드펌프
(정답률: 83%)
  • 조속기는 일반 디젤기관의 분사펌프에서 최고회전을 제어하며 과속을 방지하는 기구입니다. 이는 분사펌프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과속으로 인한 엔진 손상을 방지하고, 연료소모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조속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솔린기관의 노킹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화염 진행거리를 단축시킨다.
  2. 자연착화 온도가 높은 연료를 사용한다.
  3. 화염전파 속도를 빠르게 하고 와류를 증가시킨다.
  4. 냉각수의 온도를 높여 주고 흡기 온도를 높인다.
(정답률: 61%)
  • 냉각수의 온도를 높여 주고 흡기 온도를 높이는 것은 노킹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노킹을 유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냉각수의 온도를 높이면 엔진 내부 온도가 높아져 노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흡기 온도를 높이면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가 높아져 노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디젤기관에서 과급기의 사용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엔진의 출력이 증대된다.
  2. 체적효율이 작아진다.
  3. 평균유효압력이 향상된다.
  4. 회전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80%)
  • 과급기는 엔진의 공기흐름을 증가시켜 연소효율을 높이고, 따라서 엔진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공기의 압축과정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엔진 내부의 체적효율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곧 더 많은 연료를 필요로 하게 되어 연비가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2행정 사이클 기관에서 2회의 폭발 행정을 하였다면 크랭크축은 몇 회전 하겠는가?

  1. 1회전
  2. 2회전
  3. 3회전
  4. 4회전
(정답률: 69%)
  • 한 번의 폭발 행정 사이클에서 크랭크축은 한 번 회전하므로, 2회의 폭발 행정 사이클에서는 총 2번 회전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회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소형 승용차 엔진의 실린더 헤드를 대부분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드는 이유로 알맞은 것은?

  1. 가볍고 열전달이 좋기 때문에
  2. 녹슬지 않기 때문에
  3. 주철에 비해 열팽창 계수가 작기 때문에
  4. 연소실 온도를 높여 체적효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정답률: 85%)
  • 알루미늄 합금은 가볍고 열전달이 좋기 때문에 소형 승용차 엔진의 실린더 헤드로 많이 사용됩니다. 가볍기 때문에 차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열전달이 좋기 때문에 열이 잘 전달되어 열 확장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엔진의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내연기관 피스톤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가벼울 것
  2. 열팽창이 적을 것
  3. 열전도율이 낮을 것
  4. 높은 온도와 폭발력에 견딜 것
(정답률: 77%)
  • 내연기관 피스톤은 높은 온도와 폭발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높은 온도와 폭발력에 견딜 것"은 맞는 조건입니다. 그러나 열전도율이 낮을 것은 틀린 조건입니다. 피스톤은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효율적인 열 전달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내연기관 피스톤의 구비조건으로는 열전도율이 높을 것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신품 방열기의 용량이 3.0L 이고, 사용 중인 방열기의 용량이 2.4L 일 때 코어 막힘률은?

  1. 55%
  2. 30%
  3. 25%
  4. 20%
(정답률: 60%)
  • 코어 막힘률은 사용 중인 방열기의 용량 대비 신품 방열기의 용량에서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3.0 - 2.4) / 3.0 x 100 = 20% 입니다.

    즉, 사용 중인 방열기의 용량 대비 20% 정도 코어가 막혀있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LPG기관의 연료장치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 때 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작동되는 밸브는?

  1. 기상밸브
  2. 액상밸브
  3. 안전밸브
  4. 과류방지밸브
(정답률: 78%)
  • LPG기관의 연료장치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 때 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작동되는 밸브는 기상밸브입니다. 이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아 LPG가 기화되지 않을 경우, 기상밸브가 열림으로써 공기를 흡입하여 시동성을 개선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린더 배기량이 376.8cc 이고 연소실 체적이 47.1cc 일 때 기관의 압축비는 얼마인가?

  1. 7:1
  2. 8:1
  3. 9:1
  4. 10:1
(정답률: 68%)
  • 압축비는 실린더 배기량과 연소실 체적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비는 376.8cc / 47.1cc = 8:1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1이 없고 9:1이 있으므로, 이는 일반적으로 엔진 설계 시 압축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조정된 값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이 엔진은 압축비를 9:1로 조정하여 설계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3원 촉매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CO와 HC는 산화되어 CO2와 H20로 된다.
  2. NOx는 환원되어 N2와 O로 분리된다.
  3. 유연휘발유를 사용하면 촉매장치가 막힐 수 있다.
  4. 차량을 밀거나 끌어서 시동하면 농후한 혼합기가 촉매장치 내에서 점화 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차량을 밀거나 끌어서 시동하면 농후한 혼합기가 촉매장치 내에서 점화 할 수 있다."는 촉매장치와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차량을 밀거나 끌어서 시동하면 농후한 혼합기가 촉매장치 내에서 점화 할 수 있다."입니다.

    NOx는 촉매장치에서 환원되어 N2와 O로 분리되는 이유는 촉매장치 내부에서 NOx가 환원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촉매장치 내부에서는 환원제인 CO나 HC가 NOx와 반응하여 N2와 O로 분리시키는 환원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환원 반응으로 인해 NOx가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솔린연료에서 노크를 일으키기 어려운 성질인 내폭성을 나타내는 수치는?

  1. 옥탄가
  2. 점도
  3. 세탄가
  4. 베이퍼 록
(정답률: 84%)
  • 옥탄가는 가솔린 연료에서 노크를 일으키기 어려운 성질인 내폭성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옥탄가가 높을수록 연료가 노크를 일으키기 어려워지므로, 높은 옥탄가를 가진 연료가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옥탄가는 가솔린 연료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자제어 기관에서 냉각수 온도 감지센서의 반도체 소자로 맞는 것은?

  1. NTC 저항체
  2. 제너 다이오드
  3. 발광다이오드
  4. 압전소자
(정답률: 65%)
  • 냉각수 온도가 올라갈수록 NTC 저항체의 저항값이 낮아지기 때문에, 냉각수 온도 감지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NTC 저항체가 가장 적합한 반도체 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동차 기관윤활유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변화가 적을 것
  2. 열과 산에 대하여 안정성이 있을 것
  3. 발화점 및 인화점이 낮을 것
  4. 카본 생성이 적으며 강인한 유막을 형성할 것
(정답률: 86%)
  • 발화점 및 인화점이 낮을 것은 오히려 위험한 성질을 가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발화점은 유체가 일정한 온도에서 불꽃, 스파크, 열 등에 의해 발화되는 온도를 말하며, 인화점은 유체가 일정한 온도에서 증기가 발생하여 불꽃, 스파크, 열 등에 의해 폭발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발화점 및 인화점이 낮을수록 유체가 쉽게 발화되거나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안전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자제어 가솔린분사장치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배기가스 유해성분이 감소된다.
  2. 벤투리가 없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 저항이 증가된다.
  3.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여 냉간시 시동성이 향상된다.
  4. 엔진의 응답성능이 좋다.
(정답률: 70%)
  • 벤투리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조물로, 가솔린 분사 시 공기와 연료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연소를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벤투리가 없으면 공기의 흐름 저항이 증가하여 연료와 공기의 혼합이 원활하지 않아 연소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벤투리가 없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 저항이 증가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자동차용 가솔린 연료의 물리적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인화점은 약 –40℃ 이하이다.
  2. 비중은 약 0.65~0.75정도이다.
  3. 자연 발화점은 약 250℃로서 경유에 비하여 낮다.
  4. 발열량은 약 11000kcal/kg로서 경유에 비하여 높다.
(정답률: 59%)
  • 자동차용 가솔린 연료의 물리적 특성 중에서 틀린 것은 "자연 발화점은 약 250℃로서 경유에 비하여 낮다." 입니다. 이유는 가솔린의 성분 중 일부가 경유보다 쉽게 증발하기 때문에 자연 발화점이 낮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속성능의 향상을 위해 급가속시에는 차단된다.
  2. 동력 행정시 연소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3. 질소산화물(NOx)의 량은 현저하게 증가한다.
  4. 탄화수소와 일산화탄소량은 저감되지 않는다.
(정답률: 82%)
  • "질소산화물(NOx)의 량은 현저하게 증가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EGR은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NOx의 양을 줄이기 위해 배기 가스를 다시 연료와 함께 연소실로 보내는 장치입니다. 이로 인해 연소 온도가 낮아지고, NOx의 양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동력 행정시 연소온도가 낮아지게 된다."와 "질소산화물(NOx)의 량은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반대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력 행정시 연소온도가 낮아지게 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관 작동 중 냉각수의 온도가 83℃를 나타낼 때 절대 온도는?

  1. 약 563K
  2. 약 456K
  3. 약 356K
  4. 263K
(정답률: 69%)
  • 절대온도는 섭씨온도에 273.15를 더한 값이므로, 83℃ + 273.15 = 356.15K 입니다. 따라서, 약 356K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자제어 현가장치(ECS)에서 각 쇽업소버에 장착되어 컨트롤 로드를 회전시켜 오일 통로가 변화되면 Hard나 Soft로 감쇠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1. ECS 지시 패널
  2. 액추에이터
  3. 스위칭 로드
  4. 차고센서
(정답률: 59%)
  • 액추에이터는 전자제어 현가장치(ECS)에서 각 쇽업소버에 장착되어 컨트롤 로드를 회전시켜 오일 통로가 변화되면 Hard나 Soft로 감쇠력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ECS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나 장치를 움직이는 역할을 하며, 이 경우에는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물이 고여 있는 도로주행 시 하이드로플레이닝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저속 운전을 한다.
  2. 트레드 마모가 적은 타이어를 사용한다.
  3. 타이어 공기압을 낮춘다.
  4. 리브형 패턴을 사용한다.
(정답률: 68%)
  • 타이어 공기압을 낮추면 타이어와 도로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어 하이드로플레이닝 현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저속 운전을 하거나 트레드 마모가 적은 타이어를 사용하거나 리브형 패턴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행 중 제동시 좌우 편제동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드럼의 편 마모
  2. 휠 실린더 오일 누설
  3. 라이닝 접촉불량, 기름부착
  4.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 구멍 막힘
(정답률: 74%)
  • 마스터 실린더는 제동 압력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제동을 해제할 때는 마스터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해제해야 합니다. 이때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 구멍이 막혀있으면 압력이 해제되지 않아 좌우 편제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 구멍이 막힌 경우에는 좌우 편제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관의 회전속도가 2000rpm, 제2속의 변속비가 2:1, 종감속비가 3:1, 타이어의 유효반지름이 50cm일 때 차량의 속도는?

  1. 약 62.8km/h
  2. 약 46.8km/h
  3. 약 34.8km/h
  4. 약 17.8km/h
(정답률: 35%)
  • 회전속도 2000rpm은 1분당 2000회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초당 회전수는 2000/60 = 33.33회전입니다.

    제2속의 변속비가 2:1이므로, 엔진의 회전수를 절반으로 줄여줍니다. 따라서 1초당 회전수는 33.33/2 = 16.67회전입니다.

    종감속비가 3:1이므로, 타이어의 회전수를 3분의 1로 줄여줍니다. 따라서 1초당 회전수는 16.67/3 = 5.56회전입니다.

    타이어의 유효반지름이 50cm이므로, 1회전당 주행거리는 2πr = 2π x 0.5m = 3.14m입니다.

    따라서 1초당 주행거리는 5.56 x 3.14 = 17.45m입니다.

    1시간은 3600초이므로, 1시간당 주행거리는 17.45 x 3600 = 62820m입니다.

    1km는 1000m이므로, 62820m는 62.82km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차량의 속도는 약 62.8km/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압식 브레이크 원리는 어디에 근거를 두고 응용 한 것인가?

  1. 브레이크액의 높은 비등점
  2. 브레이크액의 높은 흡습성
  3. 밀폐된 액체의 일부에 작용하는 압력은 모든 방향에 동일하게 작용한다.
  4. 브레이크액은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킨다.
(정답률: 67%)
  • 유압식 브레이크 원리는 밀폐된 액체의 일부에 작용하는 압력은 모든 방향에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베르누이 원리에 근거하여 응용된 것입니다. 이는 액체 분자들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이 일어나면 모든 방향으로 전달되어 액체의 모든 부분에 동일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유압식 브레이크에서도 브레이크액이 작용하는 압력이 모든 방향으로 전달되어 브레이크 시스템 전체에 일정한 압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동력전달장치에서 동력전달 각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음은?

  1. 슬립이음
  2. 스플라인이음
  3. 플랜지 이음
  4. 자재이음
(정답률: 72%)
  • 자재이음은 두 개의 축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두 축의 끝을 평행하게 다듬어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가며, 작은 동력전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동차가 선회할 때 차체의 좌우 진동을 억제하고 롤링을 감소시키는 것은?

  1. 스태빌라이저
  2. 겹판 스프링
  3. 타이로드
  4. 킹핀
(정답률: 80%)
  • 스태빌라이저는 차체의 좌우 진동을 억제하고 롤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스태빌라이저가 차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부착되어 있어서 차체의 좌우 흔들림을 제어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의 요구조건이 아닌 것은?

  1. 저속 시 조향 휠의 조작력이 적을 것
  2. 고속 직진 시 복원 반력이 감소할 것
  3. 긴급 조향 시 신속한 조향 반응이 보장될 것
  4. 직진 안정감과 미세한 조향 감각이 보장될 것
(정답률: 65%)
  • 고속 직진 시 복원 반력이 감소할 것은 요구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고속 직진 시에는 조향 휠을 조작하여 방향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주행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원 반력이 감소해도 직진 안정감과 미세한 조향 감각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동차가 1.5km의 언덕길을 올라가는데 10분, 내려오는데 5분 걸렸다면 평균 속도는?

  1. 8km/h
  2. 12km/h
  3. 16km/h
  4. 24km/h
(정답률: 57%)
  • 평균 속도는 이동한 거리를 이동에 걸린 시간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경우, 올라가는데 걸린 시간과 내려오는데 걸린 시간이 다르므로 이동한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언덕길을 올라가고 내려오는 거리는 같으므로, 이동한 거리는 1.5km + 1.5km = 3km 입니다. 이동에 걸린 시간은 올라가는데 10분, 내려오는데 5분이므로 총 이동에 걸린 시간은 10분 + 5분 = 15분 입니다.

    따라서, 평균 속도는 3km ÷ 15분 = 0.2km/분 입니다. 이를 km/h로 변환하면 0.2 × 60 = 12km/h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km/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휠 스피드 센서
  2. 전자제어 유닛
  3. 하이드로릭 컨트롤 유닛
  4. 각속도 센서
(정답률: 68%)
  • 각속도 센서는 ABS 시스템에서 사용되지만,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ABS 시스템은 휠 스피드 센서, 전자제어 유닛, 하이드로릭 컨트롤 유닛으로 구성됩니다. 각속도 센서는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동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변속기 오일 온도
  2. 변속 레버 위치
  3. 엔진 부하(스로틀 개도)
  4. 차량 속도
(정답률: 69%)
  • 변속기 오일 온도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 중 하나가 아닙니다. 변속 레버 위치, 엔진 부하(스로틀 개도), 차량 속도는 모두 자동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입니다. 그러나 변속기 오일 온도는 자동변속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변속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조향장치에서 많이 사용되는 조향기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래크-피니언(rack and pinion)형식
  2. 웜-섹터 롤러(worm and sector roller)형식
  3. 롤러-베어링(roller and bearing)형식
  4. 볼-너트(ball and nut)형식
(정답률: 54%)
  • 롤러-베어링 형식은 조향기어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롤러-베어링은 일반적으로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베어링이며, 조향장치에서는 주로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전달하는 래크-피니언, 웜-섹터 롤러, 볼-너트 형식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토크 컨버터의 성능을 나타낸 사항이 아닌 것은?

  1. 속도 비
  2. 클러치 비
  3. 전달 효율
  4. 토크 비
(정답률: 53%)
  • 클러치 비는 수동변속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자동변속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클러치 비는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토크 컨버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사항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동차의 앞바퀴 정령에서 토인 조정은 무엇으로 하는가?

  1. 드래그 링크의 길이
  2. 타이로드의 길이
  3. 시임의 두께
  4. 와셔의 두께
(정답률: 82%)
  • 토인 조정은 앞바퀴의 내측과 외측 바퀴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조정하는 것입니다. 이때, 타이로드의 길이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타이로드는 앞바퀴의 회전축과 스티어링 기어 및 드래그 링크 등을 연결하는 부품으로, 타이로드의 길이가 짧으면 내측 바퀴가 외측 바퀴보다 더 많이 회전하게 되고, 길면 외측 바퀴가 더 많이 회전하게 됩니다. 따라서, 타이로드의 길이를 조정하여 내측과 외측 바퀴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토인 조정의 핵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제동장치에서 후륜의 잠김으로 인한 스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릴리프 밸브
  2. 컷 오프 밸브
  3. 프로포셔닝 밸브
  4. 솔레노이드 밸브
(정답률: 54%)
  • 프로포셔닝 밸브는 제동력을 조절하여 후륜의 잠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동력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속도와 도로 상황에 맞게 후륜의 회전을 조절하여 스핀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동장치에서 후륜의 잠김으로 인한 스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프로포셔닝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동변속기 장치에서 클러치 압력판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기관의 동력을 받아 속도를 조절한다.
  2. 제동거리를 짧게 한다.
  3. 견인력을 증가시킨다.
  4. 클러치판을 밀어서 플라이휠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81%)
  • 수동변속기 장치에서 클러치 압력판은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위치하며,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클러치판은 엔진의 동력을 플라이휠에 전달하기 위해 밀어서 압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클러치판을 밀어서 플라이휠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동변속기 자동차에서 변속이 어려운 이유 중 틀린 것은?

  1. 클러치의 끊김 불량
  2. 컨트롤 케이블의 조정불량
  3. 기어오일 과다 주입
  4. 싱크로 메시 기구의 불량
(정답률: 73%)
  • 기어오일 과다 주입은 수동변속기 자동차에서 변속이 어려운 이유가 아닙니다. 기어오일 과다 주입은 기어오일이 너무 많아져서 기어오일이 과도하게 압축되어 변속이 어려워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어오일이 너무 많아져서 기어오일이 누출되거나 기어오일이 더러워져서 기어오일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동변속기 자동차에서 변속이 어려운 이유는 클러치의 끊김 불량, 컨트롤 케이블의 조정불량, 싱크로 메시 기구의 불량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축전지의 자기 방전율은 온도가 높아지면 어떻게 되는가?

  1. 일정하다.
  2. 높아진다.
  3. 관계없다.
  4. 낮아진다.
(정답률: 71%)
  • 축전지의 자기 방전율은 온도가 높아지면 높아진다. 이는 온도가 높아지면 축전지 내부의 화학 반응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축전지 내부의 화학물질이 빠르게 소모되어 축전지의 용량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자기 방전율이 높아지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가속도(G) 센서가 사용되는 전자제어 장치는?

  1. 에어백(SRS)장치
  2. 배기장치
  3. 정속 주행 장치
  4. 분사장치
(정답률: 72%)
  • 에어백(SRS)장치는 차량 충격 시 안전을 위해 에어백을 작동시키는데, 이때 가속도(G) 센서를 사용하여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고 충격을 판단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킵니다. 따라서 가속도(G) 센서가 사용되는 전자제어 장치는 에어백(SRS)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자제어 에어컨 장치(FATC)에서 컨트롤 유닛(컴퓨터)이 제어하지 않는 것은?

  1. 히터 밸브
  2. 송풍기 속도
  3. 컴프레서 클러치
  4. 리시버 드라이어
(정답률: 55%)
  • 리시버 드라이어는 에어컨 시스템에서 냉매를 제어하는 부품으로, 컨트롤 유닛이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인 히터 밸브, 송풍기 속도, 컴프레서 클러치는 모두 컨트롤 유닛이 제어하는 부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동차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발전기는?

  1. 단상 교류
  2. Y상 직류
  3. 3상 교류
  4. 3상 직류
(정답률: 72%)
  • 자동차용 발전기는 3상 교류를 사용합니다. 이는 자동차용 전기 시스템에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3상 교류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기 공급을 가능하게 하며,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에서 필요한 다양한 전기 부품들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데에도 적합합니다. 또한, 3상 교류 발전기는 작은 크기와 높은 출력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에 적합한 발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반도체 소자 중 광센서가 아닌 것은?

  1. 발광 다이오드
  2. 포토 트랜지스트
  3. cds-광전소자
  4. 노크 센서
(정답률: 80%)
  • 반도체 소자 중 광센서는 빛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이지만, 노크 센서는 소리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광센서와는 다른 센서이므로 정답은 "노크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기동전동기의 시동(크랭킹)회로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B 단자까지의 배선은 굵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2. B 단자와 ST 단자를 연결해 주는 것은 점화 스위치(key)이다.
  3. B 단자와 M 단자를 연결해 주는 것은 마그네트 스위치(key)이다.
  4. 축전지 접지가 좋지 않더라도 (+) 선의 접촉이 좋으면 작동에는 지장이 없다.
(정답률: 77%)
  • 기동전동기의 시동 회로에서는 축전지의 (+) 선과 ST 단자를 연결하여 크랭킹을 발생시키고, B 단자와 M 단자를 연결하여 모터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축전지 접지가 좋지 않더라도 (+) 선의 접촉이 좋으면 크랭킹이 발생하여 작동에는 지장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축전지 접지가 좋지 않더라도 (+) 선의 접촉이 좋으면 작동에는 지장이 없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ND 게이트 회로의 입력 A, B, C, D에 각각 입력으로 A=1, B=1, C=1, D=0이 들어갔을 때 출력 X는?

  1. 0
  2. 1
  3. 2
  4. 3
(정답률: 64%)
  • AND 게이트는 모든 입력이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입력 A, B, C가 모두 1이어도 입력 D가 0이므로 출력 X는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조등 광원의 광도가 20000cd 이며 거리가 20m일 때 조도는?

  1. 50 Lx
  2. 100 Lx
  3. 150 Lx
  4. 200 Lx
(정답률: 41%)
  • 조도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루멘)이 일정한 면적(제곱미터)에 도달하는 양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조도는 광원의 광도와 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조등의 광도가 20000cd이고 거리가 20m이므로, 조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조도 = 광도 / (거리의 제곱) = 20000 / (20^2) = 50 Lx

    따라서 정답은 "50 Lx"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점화장치에서 파워트랜지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베이스 신호는 ECU에서 받는다.
  2. 점화코일 1차 전류를 단속한다.
  3. 이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4. 컬렉터 단자는 점화 2차코일과 연결 되어 있다.
(정답률: 51%)
  • 컬렉터 단자는 점화 2차코일과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점화 2차코일은 이중 절연된 와이어를 통해 점화플러그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반도체 소자 중 사이리스터(SCR)의 단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애노드(Anode)
  2. 게이트(Gate)
  3. 캐소드(Cathode)
  4. 컬렉터(Collector)
(정답률: 69%)
  • SCR은 양방향 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애노드와 캐소드 단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게이트 단자는 SCR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단자로서,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에 컬렉터는 SCR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소자인 트랜지스터에서 사용되는 단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컬렉터(Collect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리벳이음 작업을 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알맞은 리벳을 사용한다.
  2. 간극이 있을 때는 두 일감 사이에 여유 공간을 두고 리벳이음을 한다.
  3. 리벳머리 세트나 일감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다.
  4. 일감과 리벳을 리벳세트로 서로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정답률: 64%)
  • 간극이 있을 때는 두 일감 사이에 여유 공간을 두고 리벳이음을 한다는 것은, 일감과 리벳이 서로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간극 없이 바로 이음을 한다면, 일감과 리벳이 제대로 맞지 않아서 강도가 떨어지거나, 리벳이 빠져나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극을 두고 여유 공간을 두어서 일감과 리벳이 제대로 맞물리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위험성 정도에 따라 제2종으로 구분되는 유기용제의 색 표시는?

  1. 빨강
  2. 파랑
  3. 노랑
  4. 초록
(정답률: 65%)
  • 노란색은 제2종 유기용제 중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분류되는 색상입니다. 이는 노란색 유기용제가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란색 유기용제를 다룰 때에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기압축기의 안전장치 중에서 규정 이상의 압력에 달하면 작동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은?

  1. 배수 밸브
  2. 체크 밸브
  3. 압력계
  4. 안전밸브
(정답률: 64%)
  • 안전밸브는 공기압축기 내부의 압력이 규정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과도한 압력을 방출하여 공기압축기의 파손 등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안전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기 기계나 기구의 노출된 충전부에 직접접촉에 의한 감전 방지책이 아닌 것은?

  1.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2. 충전부에 방호망 또는 절연 덮개를 설치한다.
  3. 발전소, 변전소 및 개폐소에 관계근로자 외 출입을 금지한다.
  4. 작업장 바닥 절연처리와 절연물 마감처리를 한다.
(정답률: 62%)
  • 작업장 바닥 절연처리와 절연물 마감처리를 한다는 것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환경을 만들어 감전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충전부에 직접접촉에 의한 감전 방지책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렛대를 사용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깨진 부분이나 마디 부분에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손잡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다.
  3. 화물의 치수나 중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4. 파이프를 철제 대신 사용한다.
(정답률: 90%)
  • 파이프를 철제 대신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지렛대 사용 방법이 아닙니다. 철제는 파이프보다 더 견고하고 강력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지렛대 사용 방법은 파이프 대신 철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동차 에어컨 가스 냉매용기의 취급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냉매 용기는 직사광선이 비치는 곳에 방치 하지 않는다.
  2. 냉매 용기의 보호 캡을 항상 씌워 둔다.
  3. 냉매가 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4. 냉매 충전 시에는 냉매 용기에 완전히 채우도록 한다.
(정답률: 85%)
  • "냉매 충전 시에는 냉매 용기에 완전히 채우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냉매 용기에 완전히 채우지 않고 일정량 이하로 남겨두는 것이 안전하다. 이유는 냉매 용기 안에는 압력이 존재하고, 냉매를 사용하면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 용기 내부의 냉매 액체가 기체로 변화하여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공간을 남겨두어 압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압축 압력계를 사용하여 실린더의 압축 압력을 점검할 때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기관을 시동하여 정상온도(워밍업)가 된 후에 시동을 건 상태에서 점검한다.
  2. 점화계통과 연료계통을 차단시킨 후 크랭킹 상태에서 점검한다.
  3. 시험기는 밀착하여 누설이 없도록 한다.
  4. 측정값이 규정값 보다 낮으면 엔진 오일을 약간 주입 후 다시 측정한다.
(정답률: 56%)
  • "기관을 시동하여 정상온도(워밍업)가 된 후에 시동을 건 상태에서 점검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동변속기 전자제어장치 정비 시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펄스제너레이터 출력전압 파형 측정시 주행 중에 측정한다.
  2. 컨트롤 케이블을 점검할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주차브레이크를 완전히 채우고 점검한다.
  3. 차량을 리프트에 올려놓고 바퀴 회전시 주위에 떨어져 있어야 한다.
  4. 부품센서 교환시 점화 스위치 off 상태에서 축전기 접지 케이블을 탈거 한다.
(정답률: 69%)
  • "펄스제너레이터 출력전압 파형 측정시 주행 중에 측정한다."는 옳은 내용입니다. 이유는 자동변속기의 펄스제너레이터는 주행 중에만 출력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주행 중에 측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차량을 리프트에 올려놓고 바퀴 회전시 주위에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오히려 바퀴 회전 시 주위에 가까이 있으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차량에서 캠버, 캐스터 측정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수평인 바닥에서 한다.
  2. 타이어 공기압을 규정치로 한다.
  3. 차량의 화물은 적재상태로 한다.
  4. 새시스프링은 안정 상태로 한다.
(정답률: 84%)
  • 정답: "차량의 화물은 적재상태로 한다."

    설명: 캠버와 캐스터 측정 시에는 차량의 화물 상태와는 무관하므로 유의사항이 아닙니다. 하지만 캠버와 캐스터 측정 시에는 수평인 바닥에서 하고, 타이어 공기압을 규정치로 맞추며, 새시스프링은 안정 상태로 유지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기관의 냉각장치를 점검, 정비할 때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방열기 코어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2. 워터 펌프 베어링은 세척하지 않는다.
  3. 방열기 캡을 열 때는 압력을 서서히 제거하며 연다.
  4. 누수 여부를 점검할 때 압력시험기의 지침이 멈출 때 까지 압력을 가압한다.
(정답률: 70%)
  • "누수 여부를 점검할 때 압력시험기의 지침이 멈출 때 까지 압력을 가압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누수 여부를 점검할 때는 압력을 서서히 제거하며 점검해야 합니다. 지침이 멈출 때까지 압력을 가압하면 냉각장치나 압력시험기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