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7-22)

자동차정비기능사
(2012-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기관에서 흡입밸브의 밀착이 불량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압축압력 저하
  2. 가속 불량
  3. 출력 향상
  4. 공회전 불량
(정답률: 88%)
  • 흡입밸브의 밀착이 불량하면 압축압력 저하, 가속 불량, 공회전 불량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출력 향상은 흡입밸브의 밀착이 불량할 때 나타나지 않는 현상입니다. 오히려 흡입밸브의 밀착이 불량하면 공기가 누설되어 압력이 감소하고, 따라서 출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력 향상"은 올바르지 않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3원 촉매장치의 촉매 컨버터에서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가 아닌 것은?

  1. CO
  2. NOx
  3. SO2
  4. HC
(정답률: 89%)
  • 3원 촉매장치는 일반적으로 CO, NOx, HC를 처리하는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SO2는 이러한 촉매장치에서 처리되지 않습니다. 이는 SO2가 촉매를 오염시키고 손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O2는 다른 방법으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삼원 촉매 컨버터 장착차량의 2차 공기 공급을 하는 목적은?

  1. 배기 매니폴드 내의 HC와 CO의 산화를 돕는다.
  2. 공연비를 돕는다.
  3. NOx의 생성이 되지 않도록 한다.
  4. 배기가스의 순환을 돕는다.
(정답률: 66%)
  • 삼원 촉매 컨버터는 배기 가스 중에 있는 유해 물질인 HC, CO, NOx를 화학 반응을 통해 덜 유해한 물질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산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2차 공기 공급 시스템은 배기 매니폴드 내의 HC와 CO의 산화를 돕기 위해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평균 유효압력이 7.5 kgf/㎠. 행정체적 200cc, 회전수 2400rpm일 때 4행정 4기통 기관의 지시마력은?

  1. 14 PS
  2. 16 PS
  3. 18 PS
  4. 20 PS
(정답률: 68%)
  • 지시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지시마력 = 행정체적 x 평균 유효압력 x 회전수 ÷ 60 ÷ 75

    여기에 문제에서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지시마력 = 200 x 7.5 x 2400 ÷ 60 ÷ 75
    지시마력 = 16 PS

    따라서, 정답은 "16 P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한 개의 실린더 배기량이 1400cc이고, 압축비가 8일 때 연소실 체적은?

  1. 175 cc
  2. 200 cc
  3. 100 cc
  4. 150 cc
(정답률: 58%)
  • 압축비는 압축 상태의 체적과 편향 상태의 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8이라면 압축 상태의 체적은 편향 상태의 체적의 8배가 됩니다.

    한편, 연소실 체적은 실린더의 배기량과 압축비에 따라 결정됩니다. 연소실 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연소실 체적 = 배기량 ÷ 압축비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연소실 체적 = 1400cc ÷ 8 = 175cc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연소실 체적이 175cc가 아닌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75cc가 아닌 200cc입니다.

    이유는 연소실 체적은 압축비와 배기량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같은 경우 배기량이 더 큰 실린더일수록 연소실 체적도 더 크게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배기량이 1400cc로 동일하므로, 보기에서 연소실 체적이 200cc인 답안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자제어 가솔린기관에서 컨트롤유닛(ECU)으로 입력되는 센서가 아닌 것은?

  1. 수온 센서
  2. 크랭크각 센서
  3. 흡기온도 센서
  4. 휠 스피드 센서
(정답률: 79%)
  • 휠 스피드 센서는 가솔린기관의 동작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센서들은 엔진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지만, 휠 스피드 센서는 차량의 속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스톤 링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고온에서도 탄성을 유지할 것
  2. 오래 사용하여도 링 자체나 실린더 마멸이 적을 것
  3. 열팽창률이 작을 것
  4. 실린더 벽에 편심된 압력을 가할 것
(정답률: 77%)
  • "실린더 벽에 편심된 압력을 가할 것"이 틀린 구비조건입니다. 피스톤 링은 실린더 벽에 밀착하여 압력을 가해 실린더 내부의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피스톤 링은 실린더 벽에 수직으로 압력을 가해야 하며, 편심된 압력을 가할 경우 실린더 벽과의 밀착이 떨어져 가스 누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솔린 분사장치에서 분사 밸브의 설치위치가 흡기다기관 또는 흡입통로에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SPI 방식
  2. MPI 방식
  3. TBI 방식
  4. GDI 방식
(정답률: 69%)
  • GDI 방식은 가솔린 직접분사 방식으로, 흡기다기관이나 흡입통로에 분사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엔진 실린더 내부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흡기다기관이나 흡입통로에 설치하는 SPI, MPI, TBI 방식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솔린기관에서 행정 체적을 Vs, 연소실 체적을 Vc라고 할 때 압축비는 어느 것인가?

(정답률: 66%)
  • 압축비는 연소실 체적(Vc)과 행정 체적(Vs)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압축비는 Vc/Vs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압축비가 "" 인 이유는 Vc와 Vs의 비율이 해당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솔린기관의 노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점화시기를 적절하게 한다.
  2. 기관의 부하를 적게 한다.
  3. 연료의 옥탄가를 높게 한다.
  4. 흡기온도를 높게 한다.
(정답률: 64%)
  • 흡기온도를 높게 하는 것은 노크를 유발하는 열의 생성을 줄이기 때문에 가솔린기관의 노크를 방지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흡기온도를 높게 한다."는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엔진 회전수에 따라 최대의 토크가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가변흡기 장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흡기관로 길이를 엔진회전속도가 저속 시는 길게 하고 고속 시는 짧게 한다.
  2. 흡기관로 길이를 엔진회전속도가 저속 시에는 짧게 하고 고속 시에는 길게 한다.
  3. 흡기관로 길이를 가ㆍ감속시는 길게 한다.
  4. 흡기관로 길이를 감속 시는 짧게 하고 가속 시는 길게 한다.
(정답률: 62%)
  • 엔진 회전수가 낮을 때는 흡기관로를 길게 하여 공기의 흐름을 늦추어서, 엔진실린더에 충분한 공기와 연료 혼합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엔진 회전수가 높아질수록 흡기관로를 짧게 하여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엔진실린더에 더 많은 공기와 연료 혼합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엔진 회전수에 따라 최대의 토크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흡기관로 길이를 엔진회전속도가 저속 시는 길게 하고 고속 시는 짧게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향륜 윤중의 합은 차량중량 및 차량총중량의 각각에 대하여 얼마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10 %
  2. 20 %
  3. 30 %
  4. 40 %
(정답률: 56%)
  • 조향륜은 차량의 운전 안정성과 조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차량 중량이나 총중량이 증가하면 조향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차량 중량이나 총중량에 따라 조향륜 윤중의 최소 비율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차량 중량이 1,000kg 이하인 경우에는 조향륜 윤중이 차량중량의 10% 이상, 차량 총중량의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0 %"입니다. 즉, 차량 총중량이 1,000kg 이하인 경우에는 조향륜 윤중이 차량 총중량의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LPG 사용 차량의 점화 시기는 가솔린 사용 차량에 비해 어떻게 해야 되는가?

  1. 다소 늦게 한다.
  2. 빠르게 한다.
  3. 시동 시 빠르게 하고 시동 후에는 늦춘다.
  4. 점화 시기는 상관없다.
(정답률: 61%)
  • LPG는 가솔린보다 연소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점화 시기를 빠르게 하면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효율적인 동력 발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LPG 사용 차량의 점화 시기는 가솔린 사용 차량에 비해 빠르게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흡기다기관의 압력으로 흡입 공기량을 간접 계측하는 것은?

  1. 칼만 와류 방식
  2. 핫필름 방식
  3. MAP 센서 방식
  4. 베인 방식
(정답률: 74%)
  • MAP 센서 방식은 흡기다기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흡입 공기량을 간접적으로 계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흡기다기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MAP 센서 방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자제어 연료분사 장치에 사용되는 크랭크 각(Crank Angle)센서의 기능은?

  1. 엔진 회전수 및 크랭크 축의 위치를 검출한다.
  2. 엔진 부하의 크기를 검출한다.
  3. 캠 축의 위치를 검출한다.
  4. 1번 실린더가 압축 상사점에 있는 상태를 검축한다.
(정답률: 84%)
  • 크랭크 각 센서는 엔진 회전 중 크랭크 축의 위치를 감지하여 엔진 회전수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료분사 시점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엔진 회전수 및 크랭크 축의 위치를 검출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자제어 가솔린기관에서 연료펌프 내 체크밸브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연료계통의 압력이 일정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를 리턴 시킨다.
  2. 연료의 압송이 정지될 때 체크밸브가 열려 연료 라인 내의 연료압력을 상승시킨다.
  3. 연료의 압송이 정지될 때 체크밸브가 닫혀 연료 라인 내의 잔압을 유지시키고 고온 시 베이퍼록 현상을 방지하고 재시동성을 향상시킨다.
  4. 연료가 공급될 때 체크밸브가 닫혀 연료 연료압력을 상승시켜 베이퍼록 현상을 방지한다.
(정답률: 79%)
  • 연료펌프 내 체크밸브는 연료의 압송이 정지될 때 닫혀 연료 라인 내의 잔압을 유지시키고 고온 시 베이퍼록 현상을 방지하고 재시동성을 향상시킨다. 이는 연료가 연소실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연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4 행정 직렬 8실린더 엔진의 폭발행정은 몇 도 마다 일어나는가?

  1. 45°
  2. 90°
  3. 120°
  4. 180°
(정답률: 61%)
  • 4행정 엔진은 2개의 실린더가 동시에 폭발하므로, 폭발 행정은 180° 주기로 일어납니다. 따라서, 8실린더 엔진에서는 폭발 행정이 360° 주기로 일어나며, 이를 8등분하여 45°씩 나누면 됩니다. 따라서, 4행정 8실린더 엔진의 폭발 행정은 180°/2 = 90° 마다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열기관에서 열원으로부터 받은 열량을 얼마만큼 유효한 일로 변환하였는가의 비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열감정
  2. 열효율
  3. 연료소비율
  4. 평균유효압력
(정답률: 84%)
  • 열효율은 열원으로부터 받은 열량을 유효한 일로 변환한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열기관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효율"입니다. 열감정은 열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연료소비율은 연료를 사용하여 발생한 열에 대한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평균유효압력은 열기관 내부에서 일어나는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관이 과열 할 때의 원인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라디에이터 코어의 파손
  2. 냉각수 부족
  3. 물펌프의 고속 회전
  4. 냉각계통의 냉각수 흐름 불량
(정답률: 81%)
  • 물펌프의 고속 회전은 기관의 과열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물펌프는 냉각수를 움직여 냉각계통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고속 회전이 과열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물펌프의 고속 회전은 이 문제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가솔린기관에서 점화 플러그가 점화되면 연소상태의 화염이 거의 균일한 속도로 전파되는 정상 연소속도는?

  1. 약 2~3 m/s
  2. 약 20 ~ 30 m/s
  3. 약 200 ~ 300 m/s
  4. 약 2000 ~ 3000 m/s
(정답률: 65%)
  • 가솔린기관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되면, 점화 플러그가 점화되어 연소가 시작됩니다. 이때 연소상태의 화염은 거의 균일한 속도로 전파됩니다. 이 속도는 약 20 ~ 30 m/s 정도로 추정됩니다. 이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 엔진 디자인, 연소실의 크기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약 20 ~ 30 m/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일반 디젤기관 연료장치에서 여과지식 연료 여과기의 기능은?

  1. 불순물만 제거
  2. 불순물과 수분 제거
  3. 수분만 제거
  4. 기름 성분만 제거
(정답률: 80%)
  • 일반 디젤기관 연료장치에서 여과지식 연료 여과기의 기능은 불순물과 수분 제거입니다. 이는 연료가 엔진 내부로 유입될 때 불순물과 수분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여 엔진 내부의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하고 연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여과지식 연료 여과기는 불순물과 수분을 함께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솔린기관의 압축압력 측정값이 140 lb/in2(psi)일 때 kgf/cm2 의 단위로 환산하면?

  1. 약 9.85 kgf/cm2
  2. 약 11.25 kgf/cm2
  3. 약 12.54 kgf/cm2
  4. 약 19.17 kgf/cm2
(정답률: 36%)
  • 1 lb/in2 = 0.07031 kgf/cm2 이므로, 140 lb/in2을 kgf/cm2으로 환산하면:

    140 lb/in2 × 0.07031 kgf/cm2/lb/in2 = 9.85 kgf/cm2

    따라서 정답은 "약 9.85 kgf/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관 각 운동부에서 윤활장치의 윤활유 역할이 아닌 것은?

  1. 동력손실을 적게 한다.
  2. 노킹현상을 방지한다.
  3. 기계적 손실을 적게 하며, 냉각작용도 한다.
  4. 부식과 침식을 예방한다.
(정답률: 68%)
  • 윤활유는 노킹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노킹현상은 연소가 일어나는 엔진에서 연소가 일어날 때 폭발음과 함께 발생하는 현상으로, 연료의 품질, 엔진 내부 온도, 압력 등이 영향을 미치며, 윤활유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윤활유의 역할은 동력손실을 적게 하며, 기계적 손실을 적게 하며, 냉각작용도 하며, 부식과 침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자제어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출력이 60% 정도 밖에 나오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킥다운 불량
  2. 오버 드라이브 안 됨
  3. 3속에서 4속 변속 안됨
  4. 전체적으로 기어 변속 안 됨
(정답률: 62%)
  • 킥다운은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감속 중에 엔진 회전수를 높여서 더 빠른 감속을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출력이 60% 정도 밖에 나오지 않으면 엔진의 출력이 충분하지 않아 킥다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킥다운 불량"이 가장 적당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압식 제동장치에서 마스터 실린더의 내경이 2 cm, 푸시로드에 100 kgf의 힘이 작용할 때 브레이크 파이프에 작용하는 압력은?

  1. 약 32 kgf/㎠
  2. 약 25 kgf/㎠
  3. 약 10 kgf/㎠
  4. 약 2 kgf/㎠
(정답률: 41%)
  • 유압식 제동장치에서는 파스칼의 원리에 따라 작용하는 압력이 동일하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 작용하는 100 kgf의 힘은 브레이크 파이프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변환된다.

    압력은 힘에 면적을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의 내경이 2 cm이면 반지름은 1 cm이다. 이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면 πr² = 3.14 x 1² = 3.14 cm² 이다.

    따라서 브레이크 파이프에 작용하는 압력은 100 kgf / 3.14 cm² = 약 31.85 kgf/㎠ 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답은 "약 32 kgf/㎠"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타이어 종류 중 튜브리스 타이어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못 등이 박혀도 공기누출이 적다.
  2. 림이 변형되어도 공기누출의 가능성이 적다.
  3. 고속 주행 시에도 발열이 적다.
  4. 펑크 수리가 간단하다.
(정답률: 58%)
  • 튜브리스 타이어는 내부에 내장된 특수한 소재의 씰러nt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누출을 막아주기 때문에 못 등이 박혀도 공기누출이 적습니다. 또한, 튜브리스 타이어는 튜브가 없기 때문에 림과 타이어 사이에 공기누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어 림이 변형되어도 공기누출의 가능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에서 ECU 신호계통, 유압계통 이상 발생시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공급 릴레이 "OFF" 함과 동시에 제어 출력신호를 정지하는 기능은?

  1. 연산 기능
  2. 최초점검 기능
  3. 페일 세이프 기능
  4. 입ㆍ출력신호 기능
(정답률: 59%)
  • 이 기능은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ECU 신호계통이나 유압계통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공급 릴레이를 끄고 제어 출력신호를 정지시켜서 시스템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도록 막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페일 세이프 기능이라고 불리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독립 현가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위시본 형식
  2. 스트럿 형식
  3. 트레일링 암 형식
  4. 옆방향 판 스프링 형식
(정답률: 64%)
  • 옆방향 판 스프링 형식은 독립 현가장치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옆방향 판 스프링 형식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륜에 사용되는 형식으로, 독립 현가장치가 아닌 반횡형 서스펜션 형식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옆방향 판 스프링 형식은 독립 현가장치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주행속도가 100km/h 인 자동차의 초당 주행속도는?

  1. 약 16 m/s
  2. 약 23 m/s
  3. 약 28 m/s
  4. 약 32 m/s
(정답률: 52%)
  • 1km/h는 0.2778m/s이므로, 100km/h는 27.78m/s이다. 따라서, 주행속도가 100km/h인 자동차의 초당 주행속도는 약 28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의 구성 요소 중 차속과 조향각 신호를 기초로 최적 상태의 유량을 제어하여 조향 휠의 조향력을 적절히 변화 시키는 것은?

  1. 댐퍼 제어 밸브
  2. 유량 제어 밸브
  3. 동력 실린더 밸브
  4. 매뉴얼 밸브
(정답률: 67%)
  •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는 차속과 조향각 신호를 기반으로 최적 상태의 유량을 제어하여 조향 휠의 조향력을 조절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가 유량 제어 밸브입니다. 유량 제어 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조향 휠의 조향력을 적절히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량 제어 밸브는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이 아닌 것은?

  1. 조향 휠
  2. 타이로드
  3. 피트먼암
  4. 토션바 스프링
(정답률: 60%)
  • 토션바 스프링은 조향장치에서 사용되는 주요 부품 중 하나가 아닙니다. 토션바 스프링은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으로는 조향 휠, 타이로드, 피트먼암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안티 롤 자세제어 시 입력신호로 사용되는 것은?

  1. 브레이크 스위치 신호
  2. 스로틀 포지션 신호
  3. 휠 스피드 센서 신호
  4. 조향휠 각센서 신호
(정답률: 56%)
  • 안티 롤 자세제어는 차량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차량이 기울어질 때마다 해당 방향의 바퀴를 브레이크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때, 조향휠 각센서 신호가 입력 신호로 사용됩니다. 이는 조향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차량의 방향을 파악하고, 기울기가 발생할 때 해당 방향의 바퀴를 브레이크하여 안정성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향휠 각센서 신호가 안티 롤 자세제어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행 시 혹은 제동 시 핸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좌ㆍ우 타이어 공기 압력이 같지 않다.
  2. 앞바퀴의 정렬이 불량하다.
  3. 조향 핸들축의 축 방향 유격이 크다.
  4. 한쪽 브레이크 라이닝 간격 조정이 불량하다.
(정답률: 7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동변속기 차량에서 클러치가 미끄러지는 원인은?

  1. 클러치 페달 자유간극 과다
  2. 클러치 스프링의 장력 약화
  3. 릴리스 베어링 파손
  4. 유압라인 공기 혼입
(정답률: 55%)
  • 수동변속기 차량에서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클러치 디스크와 플라이휠이 분리되어 엔진과 변속기가 분리됩니다. 이때 클러치 스프링은 디스크와 플라이휠을 다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장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클러치 스프링의 장력이 약화되면 디스크와 플라이휠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아 클러치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클러치 스프링의 장력이 약화되면 클러치가 미끄러지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동변속기에서 토크컨버터의 터빈축이 연결되는 곳은?

  1. 변속기 입력부분
  2. 변속기 출력부분
  3. 가이드링 부분
  4. 임펠러 부분
(정답률: 57%)
  • 토크컨버터의 터빈축은 엔진에서 생성된 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기 위해 변속기 입력부분에 연결됩니다. 이 부분은 변속기의 첫 번째 단계로, 엔진에서 생성된 동력을 변속기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속기 입력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수동변속기에서 기어 변속이 힘든 경우로 틀린 것은?

  1. 클러치 자유간극(유격)이 부족 할 경우
  2. 싱크로나이저 스프링이 약화된 경우
  3. 변속 축 혹은 포크가 마모된 경우
  4. 싱크로나이저 링과 기어콘의 접촉이 불량한 경우
(정답률: 61%)
  • 클러치 자유간극(유격)이 부족할 경우, 기어를 변속할 때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엔진과 변속기의 회전수가 일치하지 않아 기어 변속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클러치 자유간극(유격)이 충분하지 않으면 기어 변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시동이 가능한 변속레버 위치는?

  1. P, N
  2. P, D
  3. 전구간
  4. N, D
(정답률: 89%)
  •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시동이 가능한 변속레버 위치는 "P, N" 입니다.

    "P"는 파킹(Parking) 모드로서, 차량을 정지시키고 시동을 끌 때 사용하는 모드입니다. 이 모드에서는 엔진과 변속기가 차체와 분리되어 차량이 움직이지 않습니다.

    "N"은 네트럴(Neutral) 모드로서, 변속기가 중립상태이며, 차량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 모드에서는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고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따라서 "P, N" 위치에서는 차량이 정지상태이며, 시동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시동이 가능한 변속레버 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동차의 동력 전달장치에서 슬립조인트(slip joint)가 있는 이유는?

  1. 회전력을 직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2. 출발을 쉽게 하기 위해서
  3. 추진축의 길이 변화를 주기 위해서
  4. 추진축의 각도 변화를 주기 위해서
(정답률: 66%)
  • 슬립조인트는 추진축의 길이 변화를 허용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고, 차량의 움직임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추진축의 길이 변화를 주기 위해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기관의 최고 출력이 70PS, 4800rpm인 자동차가 최고 출력을 낼 때의 총감속비가 4.8:1 이라면 뒤차축의 액슬축은 몇 rpm인가?

  1. 336rpm
  2. 1000rpm
  3. 1250rpm
  4. 1500rpm
(정답률: 63%)
  • 총감속비는 엔진출력/액슬출력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액슬출력은 엔진출력/총감속비가 됩니다.

    최고 출력이 70PS, 4800rpm이므로, 엔진출력은 70PS입니다.

    총감속비가 4.8:1 이므로, 액슬출력은 70PS/4.8 = 14.58PS입니다.

    따라서, 액슬축의 출력은 14.58PS이며, 이를 rpm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액슬축의 출력 = (액슬축의 토크 × 액슬축의 회전수) ÷ 9549

    액슬축의 토크는 엔진출력과 총감속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액슬축의 토크 = (엔진출력 × 735.5) ÷ (총감속비 × 액슬축의 회전반경)

    액슬축의 회전반경은 바퀴 반지름과 총감속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액슬축의 회전반경 = 바퀴 반지름 × 총감속비

    따라서,

    액슬축의 토크 = (70PS × 735.5) ÷ (4.8 × 0.3m × 0.48) = 107.8N·m

    액슬축의 출력 = (107.8N·m × 액슬축의 회전수) ÷ 9549

    14.58PS = (107.8N·m × 액슬축의 회전수) ÷ 9549

    액슬축의 회전수 = 14.58PS × 9549 ÷ 107.8N·m ≈ 1000rpm

    따라서, 뒤차축의 액슬축은 1000r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압식 제동장치에서 브레이크 라인 내에 잔압을 두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베이퍼 록을 방지한다.
  2. 브레이크 작동을 신속하게 한다.
  3. 페이드 현상을 방지한다.
  4. 유압회로에 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57%)
  • 페이드 현상은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사이에 고온과 압력이 발생하여 브레이크 성능이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잔압을 두어 유압식 제동장치에서 브레이크 라인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페이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자동차 전기장치에서 "임의의 한 점으로 유입된 전류의 총합은 유출한 전류의 총합과 같다."는 현상을 설명한 것은?

  1. 앙페르의 법칙
  2.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3. 뉴턴의 제1법칙
  4. 렌츠의 법칙
(정답률: 77%)
  •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보존 법칙을 나타내며, 임의의 한 점으로 유입된 전류의 총합은 유출한 전류의 총합과 같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는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원리를 나타내며, 전기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2개이상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방식에 따라 용량과 전압 관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직렬 연결시 1개 배터리 전압과 같으며 용량은 배터리 수만큼 증가한다.
  2. 병렬 연결시 용량은 배터리 수 만큼 증가하지만 전압은 1개 배터리 전압과 같다.
  3. 병렬 연결이란 전압과 용량이 동일한 배터리 2개 이상을 (+)단자와 연결대상 배터리 (-)단자에, (-)단자는 (+)단자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4. 직렬연결이란 전압과 용량이 동일한 배터리 2개 이상을 (+)단자와 연결대상 배터리의 (+)단자에 서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70%)
  • 병렬 연결은 각 배터리의 (+)단자와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방식이며, 이 때 전압은 각 배터리의 전압과 같아지고 용량은 배터리 수 만큼 증가합니다. 이는 각 배터리가 병렬로 연결되어 전류가 나누어져 흐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압은 변하지 않고 용량만 증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축전기(Condenser)와 관련된 식 표현으로 틀린 것은?(Q = 전기량, E = 전압, C = 비례상수)

  1. Q = CE
  2. C = Q/E
  3. E = Q/C
  4. C = QE
(정답률: 63%)
  • 정답은 "C = QE"입니다.

    축전기의 정의는 전기를 저장하는 기기로,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용량(C)이 있습니다. 이 때,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의 양(Q)은 축전기에 가해진 전압(E)과 용량(C)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Q = CE"이며, 이를 변형하여 "C = Q/E"와 "E = Q/C"도 성립합니다. 하지만 "C = QE"는 올바른 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라디에이터 앞쪽에 설치되며,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냉각시켜 액화상태로 변화 시키는 것은?

  1. 압축기
  2. 응축기
  3. 건조기
  4. 증발기
(정답률: 82%)
  •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냉각시켜 액화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은 응축기입니다. 응축기는 냉장고나 에어컨 등에서 사용되며, 냉매가 압축되어 고온 고압 상태로 되어 있는데, 이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액화된 냉매는 다시 증발기로 보내져 냉방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떤 6기통 디젤기관의 예열회로를 점검해보니 예열 플러그 1개당 저항이 1/12 Ω이었다. 각각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전압이 12 V일 때 예열플러그 전체에 전류는?

  1. 12 A
  2. 24 A
  3. 36 A
  4. 144 A
(정답률: 53%)
  • 예열 플러그 1개당 저항이 1/12 Ω이므로, 6개의 플러그가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저항은 1/12 + 1/12 + 1/12 + 1/12 + 1/12 + 1/12 = 1/2 Ω이다.

    전압이 12 V일 때, 전류는 전압/저항 = 12/1/2 = 24 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 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반도체에서 사이리스터의 구성부가 아닌 것은?

  1. 캐소드
  2. 게이트
  3. 애노드
  4. 컬렉터
(정답률: 74%)
  • 사이리스터는 양극간의 전압이 특정 값 이상이 되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때, 사이리스터의 구성부는 캐소드, 애노드,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컬렉터는 사이리스터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소자인 트랜지스터에서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컬렉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점화장치에서 DLI(Distributor Less Ignition) 시스템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점화진각 폭의 제한이 크다.
  2. 고전압 에너지 손실이 적다.
  3. 점화에너지를 크게 할 수 있다.
  4. 내구성이 크고 전파방해가 적다.
(정답률: 66%)
  • DLI 시스템의 장점으로 "점화진각 폭의 제한이 크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DLI 시스템은 점화진각 폭이 넓어서 더욱 정확한 점화가 가능하며, 이는 DLI 시스템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동차의 레인센서 와이퍼 제어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엔진오일의 양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는 센서이다.
  2. 자동차의 와셔액량을 감지하여 와이퍼가 작동시 와셔액을 자동조절 하는 장치이다.
  3. 앞창 유리 상단의 강우량을 감기하여 자동으로 와이퍼 속도를 제어하는 센서이다.
  4. 온도에 따라서 와이퍼 조작시 와이퍼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78%)
  • 앞창 유리 상단의 강우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와이퍼 속도를 제어하는 센서는 비와 눈 등의 강수량이 많을 때 와이퍼 속도를 높이고, 적을 때는 와이퍼 속도를 낮추어 운전자의 시야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창 유리 상단의 강우량을 감기하여 자동으로 와이퍼 속도를 제어하는 센서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교류발전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저속에서의 충전 성능이 좋다.
  2. 속도 변동에 따른 적응 범위가 넓다.
  3. 다이오드를 사용하므로 정류 특성이 좋다.
  4. 스테이터 코일이 로터 안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열성이 좋다.
(정답률: 57%)
  • 스테이터 코일이 로터 안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열성이 좋다는 것은, 스테이터 코일이 로터와 가까이 위치해 있어서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방열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퓨즈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퓨즈는 정격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2. 퓨즈는 과대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3. 퓨즈는 용량이 클수록 전류가 정격전류가 낮아진다.
  4. 용량이 작은 퓨즈는 용량을 조정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86%)
  • 퓨즈는 과대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퓨즈 내부의 금속 선이 과열되어 녹아 회로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퓨즈는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조정렌치를 취급하는 방법 중 잘못된 것은?

  1. 조정 조(jaw) 부분에 렌치의 힘이 가해지도록 할 것
  2. 렌치에 파이프 등을 끼워서 사용 하지 말 것
  3. 작업시 몸쪽으로 당기면서 작업 할 것
  4. 볼트 또는 너트의 치수에 밀착 되도록 크기를 조절할 것
(정답률: 69%)
  • "조정 조(jaw) 부분에 렌치의 힘이 가해지도록 할 것"이 잘못된 방법입니다. 이는 조정 조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에 힘이 가해져 렌치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정 조 부분에만 힘이 가해지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산소용기의 가스 누설검사 시 사용하는 검사액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비눗물
  2. 솔벤트
  3. 순수한 물
  4. 알코올
(정답률: 78%)
  • 가스 누설검사 시 사용하는 검사액은 가스 누설 시 누설 부위에서 거품이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검사액은 비눗물입니다. 비눗물은 물에 쉽게 녹아들어가며, 가스와 반응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비눗물은 인체에 해로울 우려가 없으며, 쉽게 구할 수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재해 발생 형태별 재해 분류 중 분류항목과 세부항목이 일치되지 않은 것은?

  1. 충돌 - 사람이 정지물에 부딪친 경우
  2. 협착 - 물건에 끼워지거나 말려든 상태
  3. 전도 - 고온이나 저온에 접촉한 경우
  4. 낙하 - 물건이 주체가 되어 사람이 맞은 경우
(정답률: 70%)
  • 전도는 전기, 열, 빛 등이 물체나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발생하는 재해를 의미하는데, 고온이나 저온에 접촉한 경우는 열에 의한 전도로 분류되어야 하지만, 현재 분류항목인 전도에 포함되어 있어 일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기를 사용한 동력 공구 사용시 주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간편한 사용을 위하여 보호구는 사용하지 않는다.
  2. 에어 그라인더는 회전시 소음과 진동의 상태를 점검한 후 사용한다.
  3. 규정 공기압력을 유지한다.
  4. 압축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준다.
(정답률: 87%)
  • 보호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를 사용한 동력 공구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해야 하며, 간편한 사용을 위해 보호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산업안전 표시 중 주의 표시로 사용되는 색은?

  1. 백색
  2. 적색
  3. 황색
  4. 녹색
(정답률: 64%)
  • 주의 표시는 위험하지 않지만 주의가 필요한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황색이 사용됩니다. 황색은 주의를 뜻하는 색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상황을 나타내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부품 분해시 솔벤트로 닦으면 안되는 것은?

  1. 릴리스 베어링
  2. 십자축 베어링
  3. 허브 베어링
  4. 차동장치 베어링
(정답률: 72%)
  • 릴리스 베어링은 클러치 작동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솔벤트로 닦으면 기름이 제거되어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솔벤트 대신 클린타워나 브레이크 클리너 등의 전용 청소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기장치의 점검시 점프와이어(jump wire)에 대한 설명중 ( )안에 적합한 것은?

  1. a : 전원, b : 통전 또는 접지
  2. a : 통전 또는 접지, b : 점프
  3. a : 통전 또는 접지, b : 연결부위를 제거한
  4. a : 점프, b : 통전 또는 접지
(정답률: 58%)
  • 전기장치의 점검시에는 전원이 차단되어야 하므로 a는 전원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b는 전기적인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통전 또는 접지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a : 전원, b : 통전 또는 접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엔진의 밸브간극 조정 시 안전상 가장 좋은 방법은?

  1. 엔진을 정지상태에서 조정
  2. 엔진을 공전상태에서 조정
  3. 엔진을 가동상태에서 조정
  4. 엔진을 크랭킹하면서 조정
(정답률: 82%)
  • 엔진을 정지상태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이유는 엔진이 가동 중일 때 밸브간극을 조정하면 엔진 내부에서 큰 압력과 열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조정 작업 중에 인명사고나 엔진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엔진을 정지상태에서 조정하는 것이 안전하며, 엔진 가동 전에 밸브간극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분진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특히 신경 써야 하는 작업은?

  1. 도장작업
  2. 타이어 교환작업
  3. 기관 분해 조립작업
  4. 냉각수 교환작업
(정답률: 79%)
  • 도장작업은 표면에 색을 입히는 작업으로, 분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분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장 내부의 환기 시스템을 강화하고, 작업자들은 마스크 등의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자동차엔진에 냉각수보충이 필요하여 보충하려고 할 때 가장 안전한 방법은?

  1. 주행중 냉각수 경고등이 점등되면 라디에이터 캡을 바로 냉각수를 보충한다.
  2. 주행중 냉각수 경고등이 점등되면 라디에이터 캡을 열고 바로 엔진오일을 보충한다.
  3. 주행중 냉각수 경고등이 점등되면 엔진을 냉각시킨 후 라디에이터 캡을 열고 냉각수를 보충한다.
  4. 주행중 냉각수 경고등이 점등되면 엔진을 냉각시킨 후 라디에이터 캡을 열고 엔진오일을 보충한다.
(정답률: 83%)
  • 주행중 냉각수 경고등이 점등되면 엔진을 냉각시킨 후 라디에이터 캡을 열고 냉각수를 보충해야 합니다. 이유는 냉각수가 부족하면 엔진이 과열되어 엔진 내부 부품들이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라디에이터 캡을 열기 전에 엔진이 충분히 식어야 하므로 냉각시키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엔진오일을 보충하는 것은 냉각수와는 전혀 상관이 없으므로 올바르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