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20)

자동차정비기능사
(2012-10-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가솔린 성분 중 이소옥탄이 80%, 노말 헵탄이 20% 일 때 옥탄가는?

  1. 80
  2. 70
  3. 40
  4. 20
(정답률: 89%)
  • 옥탄가는 연료가 순수 옥탄일 때 100이며, 이소옥탄은 옥탄가가 100보다 낮고, 노말 헵탄은 옥탄가가 100보다 높습니다. 따라서 이소옥탄이 80%, 노말 헵탄이 20%인 경우, 이소옥탄의 옥탄가가 80이고, 노말 헵탄의 옥탄가가 70이므로, 가솔린의 평균 옥탄가는 (80 x 0.8) + (70 x 0.2) = 76이 됩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솔린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유해 배출가스 중 규제 대상이 아닌 것은?

  1. CO
  2. SO2
  3. HC
  4. NOx
(정답률: 88%)
  • SO2은 가솔린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유해 배출가스 중 규제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SO2이 가솔린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디젤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디젤 자동차에서는 NOx와 함께 SO2도 규제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분사펌프의 캠축에 의해 연료 송출 기간의 시작은 일정하고 분사 끝이 변화하는 플런저의 리드형식은?

  1. 양 리드형
  2. 변 리드형
  3. 정 리드형
  4. 역 리드형
(정답률: 72%)
  • 분사펌프의 캠축에 의해 연료 송출 기간의 시작은 일정하므로, 분사 끝이 변화하는 것은 플런저의 리드형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정 리드형은 플런저가 캠축과 접촉하는 지점에서 분사가 시작되고, 일정한 시간 후에 플런저가 캠축과 접촉을 끊어 분사가 종료되는 형식입니다. 따라서 분사 끝이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라디에이터의 점검에서 누설 실험을 하기 위한 공기압은?

  1. 1 kgf/cm2
  2. 3 kgf/cm2
  3. 5 kgf/cm2
  4. 7 kgf/cm2
(정답률: 53%)
  • 라디에이터는 자동차 엔진에서 열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열을 흡수하고, 이를 외부로 방출합니다. 이때 라디에이터 내부에 누설이 발생하면 냉각수가 외부로 새어나가게 되어 엔진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의 점검에서는 누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공기압을 이용한 실험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공기압은 라디에이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의 내부 압력은 1 kgf/cm2 정도이므로, 이와 비슷한 압력의 공기압을 사용하여 누설 여부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 kgf/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최대적재량이 15톤인 일반형 화물자동차를 15000 리터 휘발유 탱크로리로 구조변경승인을 얻은 후 구조변경 검사를 시행할 경우 검사하여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1. 제동장치
  2. 물품적재장치
  3. 조향장치
  4. 제원측정
(정답률: 67%)
  • 화물자동차의 구조변경 검사 시 조향장치는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구조변경 후 조향장치에 대한 변경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동장치, 물품적재장치, 제원측정은 검사 대상이 되지만, 조향장치는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점화순서가 1-3-4-2인 직렬 4기통 기관에서 1번 실린더가 흡입 중 일 때 4번 실린더는?

  1. 배기행정
  2. 동력행정
  3. 압축행정
  4. 흡입행정
(정답률: 7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부특성 흡기온도 센서(A.T.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흡기온도가 낮으면 저항값이 커지고, 흡기온도가 높으면 저항값은 작아진다.
  2. 흡기온도의 변화에 따라 컴퓨터는 연료분사 시간을 증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3. 흡기온도 변화에 따라 컴퓨터는 점화시기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4. 흡기온도를 뜨겁게 감지하면 출력전압이 커진다.
(정답률: 56%)
  • "흡기온도를 뜨겁게 감지하면 출력전압이 커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부특성 흡기온도 센서의 출력전압은 흡기온도가 낮을수록 커지고, 흡기온도가 높을수록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부특성 흡기온도 센서의 내부 저항값이 흡기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인젝터의 점검 사항 중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해야 하는 것은?

  1. 저항
  2. 작동 음
  3. 분사시간
  4. 분사량
(정답률: 55%)
  • 인젝터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양의 연료를 분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젝터의 점검 사항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분사시간입니다. 이는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분사시간이 정확하지 않으면 연료의 양과 타이밍이 맞지 않아 엔진의 성능과 연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분사시간은 인젝터의 정확한 작동을 확인하기 위해 반드시 측정해야 하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옥탄가를 측정키 위하여 특별히 장치한 기관으로서 압축비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는 기관은?

  1. L.P.G
  2. C.F.R 기관
  3. 디젤 기관
  4. 오토 기관
(정답률: 78%)
  • C.F.R 기관은 옥탄가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시험 방법 중 하나인 CFR 방법에서 사용되는 기관입니다. 이 기관은 압축비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어서 다양한 옥탄수를 시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옥탄가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C.F.R 기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관의 오일펌프 사용 종류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기어 펌프
  2. 피드 펌프
  3. 베인 펌프
  4. 로터리 펌프
(정답률: 62%)
  • 피드 펌프는 오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일을 펌핑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따라서 오일을 펌핑하는 기관의 오일펌프 사용 종류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피스톤 행정이 84mm, 기관의 회전수가 3000 rpm 인 4행정 사이클 기관의 피스톤 평균속도는 얼마인가?

  1. 7.4m/s
  2. 8.4m/s
  3. 9.4m/s
  4. 10.4m/s
(정답률: 68%)
  • 피스톤 평균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피스톤 평균속도 = (피스톤 이동거리) / (한 회전당 이동횟수)

    피스톤 이동거리는 행정길이인 84mm이고, 한 회전당 이동횟수는 4행정 사이클이므로 2회 이동합니다. 따라서,

    피스톤 평균속도 = 84mm / (2회 × 3000 rpm × 60s) = 0.00007m/회전

    이므로, 1초당 회전수를 곱해주면 피스톤 평균속도는 8.4m/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LPG 기관에서 액체 LPG를 기체 LPG로 전환시키는 장치는?

  1. 믹서
  2. 연료 붐베
  3. 솔레노이트 밸브
  4. 베이퍼라이저
(정답률: 83%)
  • 액체 LPG는 기관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체 상태여야 하기 때문에, 액체 LPG를 기체 LPG로 전환시키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장치를 베이퍼라이저라고 합니다. 베이퍼라이저는 액체 LPG를 고온과 고압으로 처리하여 기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베이퍼라이저는 LPG 기관에서 필수적인 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엔진 출력과 최고 회전속도와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회전시 흡기의 유속이 음속에 달하면 흡기량이 증가되어 출력이 증가한다.
  2. 동일한 배기량으로 단위시간당의 폭발횟수를 증가시키면 출력은 커진다.
  3. 평균 피스톤 속도가 커지면 왕복운동 부분의 관성력이 증대되어 출력 또한 커진다.
  4. 출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행정을 길게 하고 회전 속도를 높이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률: 56%)
  • 동일한 배기량으로 단위시간당의 폭발횟수를 증가시키면 출력은 커진다. 이는 폭발횟수가 증가하면서 연료와 공기가 더 많이 연소되어 더 많은 에너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엔진의 출력은 폭발횟수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흡입공기량을 간접적으로 검출하기위해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는?

  1. 대기압 센서
  2. 노트 센서
  3. MAP 센서
  4. TPS
(정답률: 76%)
  •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은 엔진의 흡입공기량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인 MAP 센서는 엔진의 흡입공기량을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대기압 센서는 대기압을 측정하는 센서이며, 노트 센서는 음계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TPS는 스로틀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린더 헤드의 평면도 점검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마이크로미터로 평면도를 측정 점검한다.
  2. 곧은자와 틈새게이지로 측정 점검한다.
  3. 실린더 헤드를 3개 방향으로 측정 점검한다.
  4. 틈새가 0.02mm 이상이면 연삭한다.
(정답률: 78%)
  • 실린더 헤드의 평면도는 평면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곧은자와 틈새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을 점검한다. 곧은자는 평면도의 평행성을 확인하고, 틈새게이지는 평면도의 평평함을 확인한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고속회전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에서 흡기밸브와 배기밸브 중 어느 것이 더 크게 만들어져 있는가?

  1. 흡기밸브
  2. 배기밸브
  3. 동일하다.
  4. 1번 배기밸브
(정답률: 78%)
  • 고속회전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에서는 공기를 빠르게 흡입하여 연소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흡기밸브를 크게 만들어야 합니다. 반면에 배기밸브는 연소 후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흡기밸브보다는 작게 만들어도 충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기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활성탄 캐니스터(charocoal canister)는 무엇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하는가?

  1. CO2증발가스
  2. HC 증발가스
  3. NOx 증발가스
  4. CO 증발가스
(정답률: 80%)
  • 활성탄 캐니스터는 차량의 배기가스 중 HC 증발가스를 제어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HC 증발가스는 유기화합물이 고온에서 증발하여 발생하는 가스로,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입니다. 활성탄 캐니스터는 이러한 HC 증발가스를 흡착하여 제거함으로써 대기오염을 예방하고 환경을 보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동차 기관의 실린더 벽 마모량 측정기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실린더 보어 게이지
  2. 내측 마이크로미터
  3. 텔레스코핑 게이지와 외측 마이크로미터
  4. 사인바 게이지
(정답률: 69%)
  • 사인바 게이지는 실린더 벽의 마모량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린더 벽의 굴곡을 측정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자동차 기관의 실린더 벽 마모량 측정기기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인바 게이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흡기 다기관 진공도 시험으로 알아 낼 수 없는 것은?

  1. 밸브 작동의 불량
  2. 점화 시기의 틀림
  3. 흡ㆍ배기 밸브의 밀착 상태
  4. 연소실 카본누적
(정답률: 66%)
  • 흡기 다기관 진공도 시험은 엔진의 공기흡입 상태를 확인하는 시험이지만, 연소실 카본누적은 공기흡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흡기 다기관 진공도 시험으로는 연소실 카본누적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00 PS의 엔진이 적합한 기구(마찰을 무시)를 통하여 2500kgf의 무게를 3m 올리려면 몇 초나 소요되는가?

  1. 1초
  2. 5초
  3. 10초
  4. 15초
(정답률: 41%)
  • 100 PS는 735.5 kW에 해당하며, 1 kW는 1초당 1000 J의 일을 할 수 있다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735.5 kW의 엔진은 1초당 735,500 J의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무게를 올리는 일은 일종의 일을 하는 것이며, 일의 크기는 힘과 이동 거리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필요한 일의 크기는 2500kgf × 3m = 7,500 J입니다.

    따라서, 735,500 J의 일을 7,500 J씩 나누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계산하면 735,500 J ÷ 7,500 J = 98 초가 나오지만, 이는 마찰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따라서, 실제로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초"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마찰을 무시한다는 가정하에 계산한 결과를 따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 기관에서 스로틀 바디 인젝터(TBI)방식 차량의 인젝터 설치 위치로 가장 적합한 곳은?

  1. 스로틀 밸브 상부
  2. 스로틀 밸브 하부
  3. 흡기 밸브 전단
  4. 흡기 다기관 중안
(정답률: 63%)
  • 스로틀 밸브 상부에 인젝터를 설치하면,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는 지점에서 직접 분사되어 연료의 분사량과 시점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스로틀 밸브 상부에 설치하면 흡기 다기관 중앙보다는 더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연료의 즉각적인 반응이 가능하며, 스로틀 밸브 하부에 비해 공기의 흐름이 더 안정적이기 때문에 연료 분사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 상부가 가장 적합한 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디젤 기관용 연료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착화성이 좋을 것
  2. 부식성이 적을 것
  3. 인화성이 좋을 것
  4. 적당한 점도를 가질 것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계식 분사시스템으로 공기유량을 기계적 변위로 변환하여 연료가 인젝터에서 연속적으로 분사되는 시스템은?

  1. K-제트로닉
  2. D-제트로닉
  3. L-제트로닉
  4. Mono-제트로닉
(정답률: 62%)
  • K-제트로닉은 기계식 분사시스템으로, 공기유량을 기계적 변위로 변환하여 연료가 인젝터에서 연속적으로 분사되는 시스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자식 분사시스템이나, K-제트로닉은 기계식 분사시스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관련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급제동시 노즈 다운 현상 방지
  2. 고속 주행시 차량의 높이를 낮추어 안정성 확보
  3. 제동시 휠의 로킹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성 증대
  4. 주행조건에 따라 현가장치의 감쇠력을 조절
(정답률: 55%)
  • 제동시 휠의 로킹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성 증대는 틀린 내용이 아닙니다. 이는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주요 기능 중 하나입니다. 제동 시에는 휠이 회전하면서 지면과 마찰하게 되는데, 이 때 휠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로킹 현상이 발생하여 차량의 안정성이 감소합니다.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이러한 로킹 현상을 감지하여 휠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선회 주행시 뒷바퀴 원심력이 작용하여 일정한 조향 각도로 회전해도 자동차의 선회 반지름이 작아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코너링 포스 현상
  2. 언더 스티어 현상
  3. 캐스터 현상
  4. 오버 스티어 현상
(정답률: 70%)
  • 선회 주행시 뒷바퀴 원심력이 작용하여 일정한 조향 각도로 회전해도 자동차의 선회 반지름이 작아지는 현상을 "오버 스티어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조향각이 너무 크게 설정되어 있거나, 고속 주행 중에 급격한 조향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조향을 조금 덜 하거나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현가장치에서 스프링 강으로 만든 가늘고 긴 막대 모양으로 비틀림 탄성을 이용하여 완충 작용을 하는 부품은?

  1. 공기 스프링
  2. 토션 바 스프링
  3. 판 스프링
  4. 코일 스프링
(정답률: 73%)
  • 토션 바 스프링은 가늘고 긴 막대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비틀림 탄성을 이용하여 완충 작용을 합니다. 따라서 현가장치에서 스프링 강으로 만든 가늘고 긴 막대 모양으로 비틀림 탄성을 이용하여 완충 작용을 하는 부품은 토션 바 스프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에서 사용되는 센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휠 스피드 센서
  2. 펄스 제너레이터
  3. 스로틀 포지션 센서
  4. 차속 센서
(정답률: 53%)
  •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에서는 휠 스피드 센서를 사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감지합니다. 이 정보는 변속기 제어 모듈에 전달되어 변속기가 적절한 기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다른 센서들과는 달리, 휠 스피드 센서는 변속기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가장 거리가 먼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기식 제동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부품은?

  1. 릴레이 밸브
  2. 브레이크 밸브
  3. 브레이크 챔버
  4. 마스터 백
(정답률: 63%)
  • 공기식 제동장치에서 마스터 백은 제동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마스터 백은 제동장치에서 공기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마스터 백은 공기식 제동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향 핸들의 유격이 크게 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볼 이음의 마멸
  2. 타이로드의 휨
  3. 조향 너클의 헐거움
  4. 앞바퀴 베어링의 마멸
(정답률: 57%)
  • 타이로드의 휨은 앞바퀴와 조향 핸들을 연결하는 타이로드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앞바퀴의 움직임이 조향 핸들로 전달되지 않고 유격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타이로드의 휨이 조향 핸들의 유격이 크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브레이크 장치에서 급제동 시 마스터 실린더에 발생된 유압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휠 실린더 쪽으로 전달되는 유압상승을 제어하여 차량의 쏠림을 방지하는 장치는?

  1. 하이드로릭 유니트(hydraulic unit)
  2. 리미팅 밸브(limiting valve)
  3. 스피드 센서(speed sensor)
  4. 솔레노이트 밸브(solenoid valve)
(정답률: 52%)
  • 리미팅 밸브는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압력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휠 실린더로 전달되는 유압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에서 급제동 시 발생하는 차량의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리미팅 밸브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클러치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회전관성이 클 것
  2. 회전부분의 평형이 좋을 것
  3. 구조가 간단할 것
  4. 동력을 차단할 경우에는 신속하고 확실할 것
(정답률: 86%)
  • 회전관성이 클 것은 클러치의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클러치가 회전하는 부분의 질량과 반지름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클러치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회전관성이 크거나 작은 경우 모두 클러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자제어 조향장치의 ECU 입력 요소로 틀린 것은?

  1. 스로틀 위치 센서
  2. 차속 센서
  3. 조향각 센서
  4. 전류 센서
(정답률: 60%)
  • 전류 센서는 전자제어 조향장치의 입력 요소가 아닙니다. 전류 센서는 전기적인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로, 주로 배터리나 발전기의 전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자제어 조향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자동변속기에서 기관속도가 상승하면 오일펌프에서 발생되는 유압도 상승한다. 이 때 유합을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하는 밸브는?

  1. 매뉴얼 밸브
  2. 스로틀 밸브
  3. 압력조절밸브
  4. 거버너밸브
(정답률: 84%)
  • 자동변속기에서 기관속도가 상승하면 오일펌프에서 발생되는 유압도 상승하게 됩니다. 이 때 유압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자동변속기 내부의 부품들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유합을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하는 밸브가 필요합니다. 이 밸브가 바로 압력조절밸브입니다. 압력조절밸브는 유압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밸브가 열리고, 유압압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밸브가 닫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변속기 내부의 유압압력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십자형 자재이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로 후륜 구동 식 자동차의 추진축에 사용된다.
  2. 십자 축과 두개의 요크로 구성되어 있다.
  3. 롤러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축과 요크가 설치되어 있다.
  4. 자재이음과 슬립이음 역할을 동시에 하는 형식이다.
(정답률: 71%)
  • 자재이음과 슬립이음은 서로 역할이 다른 것이기 때문에 동시에 하는 형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재이음과 슬립이음 역할을 동시에 하는 형식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관의 회전수가 5500rpm이고 기관출력이 70PS이며 총 감속비가 5.5일 때 뒤 액슬축의 회전수는?

  1. 800rpm
  2. 1000rpm
  3. 1200rpm
  4. 1400rpm
(정답률: 63%)
  • 총 감속비는 기어비와 차동기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감속비 = 기어비 x 차동기비 = 5.5 입니다. 기관출력과 회전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됩니다.

    기관출력 = (회전수 x 토크) / 7120

    여기서 7120은 단위 변환 상수입니다. 따라서, 토크 = (기관출력 x 7120) / 회전수 입니다. 뒤 액슬축의 회전수는 기관의 회전수를 감속비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뒤 액슬축 회전수 = 기관 회전수 / 감속비

    토크는 회전수에 반비례하므로, 감속비가 증가하면 뒤 액슬축의 회전수는 증가합니다. 따라서, 총 감속비가 5.5일 때 뒤 액슬축의 회전수는 기관의 회전수를 5.5으로 나눈 값인 1000rp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동차의 타이어에서 60 또는 70시리즈라고 할 때 시리즈란?

  1. 단면 폭
  2. 단면 높이
  3. 편평비
  4. 최대속도표시
(정답률: 78%)
  • 시리즈는 타이어의 단면 높이와 관련된 값으로, 타이어의 폭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60시리즈는 타이어의 단면 높이가 타이어 폭의 60%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편평비는 타이어의 단면 높이와 관련된 값으로, 타이어의 폭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타이어의 편평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주축기어와 부축기어가 항상 맞물려 공전하면서 클러치 기어를 이용해서 축상과 고정시키는 변속기 형식은?

  1. 점진 기어식
  2. 섭동 물림식
  3. 상시 물림식
  4. 유성 기어식
(정답률: 67%)
  • 주축기어와 부축기어가 항상 맞물려 공전하면서 클러치 기어를 이용해서 축상과 고정시키는 변속기 형식은 상시 물림식입니다. 이는 주축과 부축이 항상 맞물려 있어서 변속 시에도 기어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변속이 빠르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의 적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차량의 스핀 방지
  2. 휠 잠김(lock) 유지
  3. 차량의 방향성 확보
  4. 차량의 조종성 확보
(정답률: 71%)
  •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의 적용 목적은 차량의 스핀 방지, 차량의 방향성 확보, 차량의 조종성 확보입니다. 하지만 휠 잠김(lock) 유지는 ABS의 적용 목적이 아닙니다. ABS는 휠 잠김(lock)을 방지하여 차량의 제동 거리를 줄이고, 조향 능력을 유지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더욱 안전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휠 잠김(lock) 유지는 ABS의 적용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동차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는 무엇인가?

  1. 차속센서
  2. 크랭크각센서
  3. TDC센서
  4. 경사각센서
(정답률: 87%)
  • 자동차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는 "차속센서"입니다. 이는 바퀴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는 센서로, 차량의 안전 운전과 제어 시스템의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브레이크 장치에서 페달을 40 kgf의 힘으로 밟았을 때 푸시로드에 작용되는 힘은?

  1. 100 kgf
  2. 200kgf
  3. 250kgf
  4. 300kgf
(정답률: 73%)
  • 푸시로드에 작용되는 힘은 페달에 작용되는 힘의 5배이므로, 40 kgf x 5 = 200 kgf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kg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전자제어 점화장치에서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순서는?

  1. 각종센서 - ECU - 파워 트랜지스터 - 점화코일
  2. 각종센서 - ECU - 점화코일 - 파워 트랜지스터
  3. 파워 트랜지스터 - 점화코일 - ECU - 각종센서
  4. 파워 트랜지스터 - ECU - 각종센서 - 점화코일
(정답률: 72%)
  • 전자제어 점화장치에서는 먼저 각종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ECU가 분석하여 적절한 점화시기를 결정합니다. 이후에는 파워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기 신호가 점화코일로 전달되어 점화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각종센서 - ECU - 파워 트랜지스터 - 점화코일"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PTC서미스터에서 온도와 저항값의 변화 관계가 맞는 것은?

  1. 온도 증가와 저항값은 관련 없다.
  2.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한다.
  3.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한다.
  4.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 감소 반복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한다."입니다. 이는 전자기학의 기본 법칙 중 하나인 옴의 법칙에 따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옴의 법칙은 전기 저항이 전류와 전압에 비례하는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 때 온도가 증가하면 전자의 운동이 더 많아져 전기 저항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값도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점화키 홀 조명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야간에 운전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2. 야간 주행시 사각지대를 없애준다.
  3. 이그니션 키 주변에 일정시간 동안 램프가 점등된다.
  4. 이그니션 키 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정답률: 79%)
  • "야간 주행시 사각지대를 없애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점화키 홀 조명은 이그니션 키 주변에 일정시간 동안 램프가 점등되어 이그니션 키 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사각지대를 없애주는 기능은 차량의 헤드램프나 라이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동차 등화장치에서 12 V 축전지에서 30 W의 전구를 사용하였다면 저항은?

  1. 4. 8 Ω
  2. 5.4 Ω
  3. 6.3 Ω
  4. 7.6 Ω
(정답률: 58%)
  • 전력과 저항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력 = 전압^2 / 저항

    주어진 문제에서 전압은 12V, 전력은 30W입니다. 따라서 위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저항을 구할 수 있습니다.

    30 = 12^2 / 저항

    30저항 = 12^2

    저항 = 12^2 / 30

    저항 = 4.8 Ω

    따라서 정답은 4번, 8 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몇 개의 저항을 병렬 접속 했을 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 저항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이 합은 전원에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같다.
  2. 합성 저항은 각 저항의 어느 것보다도 작다.
  3. 각 저항에 가해지는 전압의 합의 전원 전압과 같다.
  4. 어느 저항에서나 동일한 전압이 가해진다.
(정답률: 39%)
  • 각 저항에 가해지는 전압의 합의 전원 전압과 같다는 것은, 병렬 접속된 저항들이 전원에 직렬 접속된 것처럼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원 전압이 각 저항에 고르게 분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로 인해 각 저항에 가해지는 전압의 합이 전원 전압과 같아지게 됩니다. 이는 오옴의 법칙에 따른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와셔 연동 와이퍼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와셔 액의 분사와 같이 와이퍼가 작동한다.
  2. 연료를 절약하기 위해서이다.
  3. 전면 유리에 이물질 제거를 위해서이다.
  4. 와이퍼 스위치를 별도로 작동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이다.
(정답률: 81%)
  • 정답: "연료를 절약하기 위해서이다."

    와셔 연동 와이퍼는 와이퍼 작동 시 전면 유리에 와셔 액을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와이퍼 스위치를 별도로 작동하지 않아도 되어 불편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료를 절약하기 위한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암 전류(parasitic curre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자제어장치 차량에서는 차종마다 정해진 규정치 내에서 암 전류가 있는 것이 정상이다.
  2. 일반적으로 암 전류의 측정은 모든 전기장치를 OFF 하고, 전체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실시한다.
  3. 배터리 자체에서 저절로 소모되는 전류이다.
  4. 암 전류가 큰 경우 배터리 방전의 요인이 된다.
(정답률: 53%)
  • 정답은 "배터리 자체에서 저절로 소모되는 전류이다."가 아닙니다.

    암 전류는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류 중에서, 전기장치가 OFF 상태일 때에도 배터리에서 계속해서 흐르는 전류를 말합니다. 이는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손실 전류로, 배터리 자체에서 소모되는 전류는 아닙니다. 따라서 "배터리 자체에서 저절로 소모되는 전류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동차용 배터리의 급속 충전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배터리를 자동차에 연결한 채 충전할 경우, 접지(-) 터미널을 떼어 놓는다.
  2. 잘 밀폐된 곳에서 충전한다.
  3. 충전 중 축전지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다.
  4. 전해액의 온도가 45℃가 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0%)
  • 잘 밀폐된 곳에서 충전해야 하는 이유는 배터리 충전 중 발생하는 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이 가스는 폭발성이 있으므로 충전 중에는 환기가 잘 되지 않는 밀폐된 곳에서 충전하면 위험합니다. 따라서 잘 환기되는 곳에서 충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교류발전기에서 직류발전기 컷아웃 릴레이와 같은 일을 하는 것은?

  1. 다이오드
  2. 로터
  3. 전압조정기
  4. 브러시
(정답률: 63%)
  • 교류발전기에서 직류발전기 컷아웃 릴레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다이오드입니다.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소자로, 교류를 전류의 방향을 바꿔가며 발생시키는 교류발전기에서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직류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역할 때문에 다이오드는 교류발전기에서 컷아웃 릴레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동전동기의 시험과 관계없는 것은?

  1. 저항시험
  2. 회전력시험
  3. 고부하시험
  4. 무부하시험
(정답률: 55%)
  • 기동전동기의 고부하시험은 전기적인 성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내구성과 열적인 안정성을 시험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기적인 성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고부하시험은 시험과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연삭기를 사용하여 작업할 시 맞지 않는 것은?

  1. 숫돌 보호덮개를 튼튼한 것을 사용한다.
  2. 정상적인 플렌지를 사용한다.
  3. 단단한 지석(砥石)을 사용한다.
  4. 공작물을 연삭숫돌의 측면에서 연삭한다.
(정답률: 76%)
  • 공작물을 연삭숫돌의 측면에서 연삭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연삭숫돌의 측면은 연마용이 아니기 때문에 공작물을 연마할 때는 연삭숫돌의 플렌지 부분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기계가공 작업 중 갑자기 정전이 되었을 때 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 위해 스위치를 넣어둔다.
  2. 퓨즈를 점검한다.
  3. 공작물과 공구를 떼어 놓는다.
  4. 즉시 스위치를 끈다.
(정답률: 81%)
  •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 위해 스위치를 넣어둔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정전이 발생하면 기계가 작동을 멈추기 때문에 스위치를 넣어두면 전기가 다시 들어오면 기계를 다시 가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업현장에서 재해의 원인으로 가장 높은 것은?

  1. 작업환경
  2. 장비의 결함
  3. 작업순서
  4. 불안전한 행동
(정답률: 84%)
  • 작업환경이나 장비의 결함은 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들은 대부분 예방 가능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불안전한 행동은 예방하기 어렵고, 작업자의 개인적인 책임과 인식 문제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가장 높은 원인으로 꼽힙니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항상 안전한 행동을 유지하고 위험을 인식하며 예방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렌치 사용시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렌치를너트가 손상이 안 되도록 가급적 얕게 물린다.
  2. 해머 대용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3. 렌치를 몸 안쪽으로 잡아당겨 움직이게 한다.
  4. 렌치에 파이트 등의 연장대를 끼우고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76%)
  • 렌치를 너트가 손상이 안 되도록 얕게 물리는 것은 너트를 깨끗하게 돌리기 위해서입니다. 너트를 깨끗하게 돌리면서도 렌치와 너트가 서로 밀착되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렌치를 너트가 손상이 안 되도록 가급적 얕게 물린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안전표지 색체의 연결이 맞는 것은?

  1. 주황색 - 화재의 방지에 관련되는 물건의 표시
  2. 흑색 - 방사능 표시
  3. 노란색 - 충돌, 추락 주의 표시
  4. 청색 - 위험, 구급 장소 표시
(정답률: 65%)
  • 노란색은 주로 충돌이나 추락과 같은 위험에 대한 주의를 나타내는 안전표지 색체입니다. 이는 노란색이 시각적으로 눈에 띄고 경고와 주의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란색 안전표지는 보행자나 운전자들이 주의해야 할 위험한 지점을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엔진블록에 균열이 생길 때 가장 안전한 검사 방법은?

  1. 자기 탐상법이나 염색법으로 확인한다.
  2. 공전 상태에서 소리를 듣는다.
  3. 공전 상태에서 해머로 두들겨 본다.
  4. 정지 상태로 놓고 해머로 가겹게 두들겨 확인한다.
(정답률: 62%)
  • 엔진블록에 균열이 생길 경우, 가장 안전한 검사 방법은 자기 탐상법이나 염색법으로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는 공전 상태에서 소리를 듣거나 해머로 두들겨보는 방법보다 더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자기 탐상법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균열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염색법은 특수한 염료를 사용하여 균열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균열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전한 운전을 위해 균열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조등의 조정 및 점검 시험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광도는 안전기준에 맞아야 한다.
  2. 광도를 측정할 때는 헤어라이트를 깨끗이 닦아야 한다.
  3. 타이어 공기압과는 관계가 없다.
  4. 퓨즈는 항상 정격용량의 것을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75%)
  • 전조등의 광도와 타이어 공기압은 서로 관계가 없습니다. 전조등의 광도는 광원과 렌즈의 상태, 조정 등에 따라 결정되며, 타이어 공기압은 타이어와 바퀴의 상태, 차량의 무게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전조등의 조정 및 점검 시험에서는 타이어 공기압과는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동차 정비공장에서 호이스트 사용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규정 하중의 이상으로 들지 않는다.
  2. 무게 중심은 들어 올리는 물체의 크기(size) 중심이다.
  3. 사람이 매달려 운반하지 않는다.
  4. 들어 올릴 때에는 천천히 올려 상태를 살핀 후 완전히 들어올린다.
(정답률: 77%)
  • "무게 중심은 들어 올리는 물체의 크기(size) 중심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무게 중심은 물체 내부의 모든 물질의 무게를 고려하여 계산된 중심점으로, 크기와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올리는 물체의 크기가 작더라도 무게 중심이 안정적인 위치에 있어야 안전하게 호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작업장에서 작업자가 가져야 할 태도 중 틀린 것은?

  1. 작업장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한다.
  2. 작업에 임해서는 아무런 생각 없이 작업한다.
  3. 자신의 안전과 동료의 안전을 고려한다.
  4. 작업안전 사항을 준수한다.
(정답률: 89%)
  • "작업에 임해서는 아무런 생각 없이 작업한다."는 작업자가 가져서는 안 되는 태도입니다. 작업에 대한 계획과 준비 없이 작업을 진행하면 안전사고나 품질 이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에 대한 계획과 준비를 철저히 하고, 안전사항과 품질을 고려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차량 밑에서 정비할 경우 안전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차량은 반드시 평지에 받침목을 사용하여 세운다.
  2. 차를 들어 올리고 작업할 때에는 반드시 잭으로 들어 올린 다음 스탠드로 지지해야 한다.
  3.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에는 반드시 앞치마를 이용한다.
  4.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에는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한다.
(정답률: 81%)
  • 정답은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에는 반드시 앞치마를 이용한다."이다. 이유는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에는 먼지나 기름 등이 옷에 묻을 수 있기 때문에 앞치마를 이용하여 옷을 보호해야 한다. 하지만 이외의 안전조치 사항으로는 차량은 평지에 받침목을 사용하여 세우고, 작업할 때에는 잭으로 들어 올린 다음 스탠드로 지지해야 하며, 보안경을 착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