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자동차정비기능사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전자제어 연료장치에서 기관이 정지 후 연료압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원인 중 가장 알맞은 것은?

  1. 연료 휠터가 막혔을 때
  2. 연료 펌프의 첵 밸브가 불량할 때
  3. 연료의 리턴 파이프가 막혔을 때
  4. 연료 펌프의 릴리프밸브가 불량할 때
(정답률: 63%)
  • 연료 펌프의 첵 밸브가 불량하면, 연료가 역류하여 연료압력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첵 밸브는 일방향으로만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연료가 역류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첵 밸브가 불량하면, 연료가 역류하여 연료압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기관이 정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젤기관에서 연료분사의 3대 요인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무화
  2. 분포
  3. 디젤 지수
  4. 관통력
(정답률: 81%)
  • 디젤기관에서 연료분사의 3대 요인은 무화, 분포, 관통력입니다. 이 중 디젤 지수는 연료의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연료의 불완전 연소와 연관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연료분사의 3대 요인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디젤 지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활성탄 캐니스터(charcoal canister)는 무엇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하는가?

  1. CO2증발가스
  2. HC 증발가스
  3. NOx 증발가스
  4. CO 증발가스
(정답률: 75%)
  • 활성탄 캐니스터는 차량의 연료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HC 증발가스를 제어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HC 증발가스는 연료가 완전하게 연소되지 않아 발생하는 유해 가스로,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활성탄 캐니스터는 이러한 유해 가스를 흡착하여 대기 오염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CO2 증발가스, NOx 증발가스, CO 증발가스는 모두 차량의 연료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이지만, 활성탄 캐니스터는 이들을 제어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윤활유 특성에서 요구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점도지수가 적당 할 것
  2. 산화 안정성이 좋을 것
  3. 발화점이 낮을 것
  4. 기포 발생이 적을 것
(정답률: 86%)
  • 발화점이 낮을 것이 요구되는 사항이 아닙니다. 오히려 윤활유는 안전성을 위해 발화점이 높을수록 좋습니다. 발화점이 낮을수록 윤활유가 쉽게 증발하여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발화점이 높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동차용 기관의 연료가 갖추어야 할 특성이 아닌 것은?

  1. 단위 중량 또는 단위 체적당의 발열량이 클 것
  2. 상온에서 기화가 용이 할 것
  3. 점도가 클 것
  4. 저장 및 취급이 용이 할 것
(정답률: 75%)
  • 점도가 클수록 연료의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동차 엔진 내에서 연소 및 이동이 어려워지며, 연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용 기관의 연료가 갖추어야 할 특성 중에서는 점도가 클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피에죠(PIEZO) 저항을 이용한 센서는?

  1. 차속 센서
  2. 매니폴드압력 센서
  3. 수온 센서
  4. 크랭크각 센서
(정답률: 69%)
  • 피에죠 저항을 이용한 센서는 압력을 감지하는데 사용됩니다. 매니폴드압력 센서는 엔진의 매니폴드에 위치하여 엔진의 작동 상태를 감지합니다. 따라서, 피에죠 저항을 이용한 센서 중에서 매니폴드압력 센서가 압력을 감지하는 대상이 가장 명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위환산으로 맞는 것은?

  1. 1mile = 2km
  2. 1lb = 1.55kgf
  3. 1kgf·m =1.42ft·lbf
  4. 9.81N·m = 9.81J
(정답률: 72%)
  • 9.81N·m과 9.81J은 둘 다 에너지의 단위인데, N·m은 토크(회전력)의 단위이고 J는 일(일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단위입니다. 그러나 토크와 일은 같은 단위인 N·m을 공유하기 때문에 9.81N·m과 9.81J는 서로 같은 에너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CO, HC, NOx가스를 CO2, H2O, N2 등으로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장치는?

  1. 캐니스터
  2. 삼원촉매장치
  3. EGR장치
  4.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정답률: 83%)
  • 삼원촉매장치는 CO, HC, NOx가스를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CO2, H2O, N2 등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대량으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삼원촉매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4행정 6실린더 기관의 제 3번 실린더 흡기 및 배기밸브가 모두 열려 있을 경우 크랭크축을 회전방향으로 120° 회전 시켰다면 압축 상사점에 가장 가까운 상태에 있는 실린더는? (단, 점화순서는 1-5-3-6-2-4)

  1. 1번 실린더
  2. 2번 실린더
  3. 4번 실린더
  4. 6번 실린더
(정답률: 49%)
  • 크랭크축을 회전방향으로 120° 회전 시키면 3번 실린더의 상단 중앙 위치에서 1번, 5번, 2번 실린더가 차례로 압축 상사점에 가까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점화순서에 따라 1번 실린더가 가장 먼저 압축 상사점에 가까워지므로 정답은 "1번 실린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동식 냉각팬의 장점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서행 또는 정차 시 냉각성능 향상
  2. 정상온도 도달 시간단축
  3. 기관 최고출력 향상
  4. 작동온도가 항상 균일하게 유지
(정답률: 64%)
  • 전동식 냉각팬은 엔진의 냉각성능을 향상시켜 정상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동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관 최고출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어, 기관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기관 최고출력 향상이 전동식 냉각팬의 가장 먼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르코니아 산소센서 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공연비를 피드백 제어하기 위해 사용한다.
  2. 정상온도 도달시간 단축
  3. 기관 최고출력 향상
  4. 작동온도가 항상 균일하게 유지
(정답률: 76%)
  • 지르코니아 산소센서는 공연비를 피드백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엔진의 연소 과정에서 산소와 연료가 제대로 혼합되지 않을 경우 공연비가 불균형하게 되어 연비가 나빠지고 배기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산소센서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공연비를 최적화하고, 이를 통해 연비 향상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크랭크축이 회전 중 받은 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휨(bending)
  2. 비틀림(torsion)
  3. 관통(penetration)
  4. 전단(shearing)
(정답률: 72%)
  • 크랭크축이 회전 중 받은 힘의 종류는 휨, 비틀림, 전단입니다. 하지만 관통은 크랭크축이 받는 힘의 종류가 아닙니다. 관통은 물체가 다른 물체를 관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크랭크축이 회전 중 받은 힘의 종류 중에서 관통은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0 m/s의 속도는 몇 km/h 인가?

  1. 3.6 km/h
  2. 36 km/h
  3. 1/3.6 km/h
  4. 1/36 km/h
(정답률: 65%)
  • 1 km/h는 1시간 동안 1km를 이동하는 속도이므로, 10m/s는 1초 동안 10m를 이동하는 속도입니다. 1시간은 3600초이므로, 10m/s는 3600초 동안 10 x 3600 = 36,000m를 이동하는 것입니다. 이를 km로 변환하면 36km가 되므로, 10m/s의 속도는 36 km/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린더의 형식에 따른 기관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평형 엔진
  2. 직렬형 엔진
  3. V형 엔진
  4. T형 엔진
(정답률: 71%)
  • "T형 엔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형태의 엔진으로, 실린더의 배열이 T자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관의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연소실 체적이 40cc이고. 압축비가 9 : 1인 기관의 행정 체적은?

  1. 280cc
  2. 300cc
  3. 320cc
  4. 360cc
(정답률: 67%)
  • 압축비는 연소실 체적과 행정 체적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9 : 1이라는 것은 연소실 체적이 1 부분이고, 행정 체적이 9 부분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행정 체적은 연소실 체적의 9배인 360cc가 되며, 보기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정답은 320c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가솔린기관과 비교할 때 디젤기관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부분부하영역에서 연료소비율이 낮다.
  2. 넓은 회전속도 범위에 걸쳐 회전 토크가 크다.
  3. 질소산화물과 매연이 조금 배출된다.
  4. 열효율이 높다.
(정답률: 74%)
  • 디젤기관은 가솔린기관에 비해 부분부하영역에서 연료소비율이 낮고, 넓은 회전속도 범위에 걸쳐 회전 토크가 크며, 열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디젤기관은 가솔린기관에 비해 질소산화물과 매연이 조금 배출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디젤엔진의 연소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 대기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각 실린더의 분사량을 측정하였더니 최대 분사량이 66cc이고, 최소 분사량이 58cc이였다. 이때의 평균분사량이 60cc이면 분사량의 “+불균형률”은 얼마인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56%)
  • 분사량의 불균형률은 (최대 분사량 - 최소 분사량) / 평균 분사량 × 100%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66cc - 58cc) / 60cc × 100% = 13.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13.3%를 가장 가까운 10%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가솔린 차량의 배출가스 중 NOx의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캐니스터 설치
  2. EGR장치 채택
  3. DPT시스템 채택
  4. 간접연료 분사 방식 채택
(정답률: 82%)
  • EGR장치는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실린더로 되돌려 보내어 연소온도를 낮추고 NOx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가솔린 차량의 배출가스 중 NOx의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EGR장치를 채택하는 것이 적당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솔린 기관의 노킹(Knocking)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화염전파속도를 빠르게 한다.
  2. 냉각수 온도를 낮춘다.
  3. 옥탄가가 높은 연료를 사용한다.
  4. 간접연료 분사 방식 채택
(정답률: 52%)
  • 간접연료 분사 방식은 노킹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서 정답입니다. 간접연료 분사 방식은 연료를 직접 실린더 안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연료를 분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연소 과정에서 노킹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계식 연료 분사장치에 비해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의 특징 중 거리가 먼 것은?

  1. 관성 질량이 커서 응답성이 향상 된다.
  2. 연료 소비율이 감소한다.
  3. 배기가스 유해 물질배출이 감소된다.
  4. 구조가 복잡하고, 값이 비싸다.
(정답률: 47%)
  • 관성 질량이 커지면, 연료 분사장치 내부의 부품들이 더 무거워져서 진동이나 충격에 덜 민감해지기 때문에, 더 안정적인 연료 분사가 가능해져서 응답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차량총중량이 3.5톤 이상인 화물자동차 등의 후부안전판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너비는 자동차너비의 100% 미만일 것
  2. 가장 아랫부분과 지상과의 간격은 550㎜ 이내일 것
  3. 차량 수직방향의 단면 최소 높이는 100㎜ 이하일 것
  4. 모서리부의 곡률반경은 2.5㎜ 이상일 것
(정답률: 57%)
  • "차량 수직방향의 단면 최소 높이는 100㎜ 이하일 것"이 틀린 것은, 이 기준은 실제로는 "차량 수직방향의 단면 최소 높이는 100㎜ 이상일 것"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후부안전판은 차량의 뒷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차량 뒷부분이 지면과 충돌할 경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 이상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0㎜ 이하"가 아니라 "100㎜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내연기관 밸브장치에서 밸브스프링의 점검과 관계없는 것은?

  1. 스프링 장력
  2. 자유높이
  3. 직각도
  4. 코일의 권수
(정답률: 69%)
  • 밸브스프링의 스프링 장력, 자유높이, 직각도는 모두 밸브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코일의 권수는 밸브스프링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코일의 권수는 밸브스프링의 점검과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LPG 자동차의 장점 중 맞지 않는 것은?

  1. 연료비가 경제적이다.
  2. 가솔린 차량에 비해 출력이 높다.
  3. 연소실 내의 카본 생성이 낮다.
  4. 점화플러그의 수명이 길다.
(정답률: 76%)
  • LPG 자동차는 가솔린 차량에 비해 출력이 높지 않습니다. 이는 LPG 연소 시 발생하는 열량이 가솔린과 비교하여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PG 자동차는 가솔린 차량에 비해 연료비가 경제적이고, 연소실 내의 카본 생성이 낮으며, 점화플러그의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동력전달장치에서 추진축의 스플라인부가 마멸되었을 때 생기는 현상은?

  1. 완충작용이 불량하게 된다.
  2. 주행 중에 소음이 발생한다.
  3. 동력전달 성능이 향상된다.
  4. 총 감속 장치의 결합이 불량하게 된다.
(정답률: 72%)
  • 추진축의 스플라인부가 마멸되면 동력전달 성능이 저하되고, 완충작용이 불량해져서 주행 중에 소음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엔진의 회전수가 4500rpm일 경우 2단위 변속비가 1.5일 경우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rpm)는 얼마인가?

  1. 1500
  2. 2000
  3. 2500
  4. 3000
(정답률: 49%)
  • 변속비는 엔진출력축의 회전수와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는 엔진의 회전수를 변속비로 나눈 값이 됩니다.

    4500rpm / 1.5 = 3000rpm

    따라서 정답은 "3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판스프링에서 스팬의 길이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1. 새클
  2. 스팬
  3. 행거
  4. U볼트
(정답률: 70%)
  • 판스프링에서 스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스팬을 조절하는 부품이 필요합니다. 이 부품은 스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로 "새클"입니다. 새클은 스팬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판스프링의 현가장치에서도 새클을 사용하여 스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새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앞바퀴 정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토인
  2. 캠버
  3. 섹터암
  4. 캐스터
(정답률: 77%)
  • 섹터암은 앞바퀴를 고정하는 부품이 아니라 후륜을 고정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앞바퀴 정렬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동변속기에서 스톨테스트의 요령 중 틀린 것은?

  1.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근 후 풋 브레이크를 밟고 전진기어를 넣고 실시한다.
  2. 사이드 브레이크를 잠근 후 풋 브레이크를 밟고 후진기어를 넣고 실시한다.
  3. 바퀴에 추가로 버팀목을 넣고 실시한다.
  4. 풋 브레이크는 놓고 사이드 브레이크만 당기고 실시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풋 브레이크는 놓고 사이드 브레이크만 당기고 실시한다."입니다.

    이유는 자동변속기에서 스톨테스트를 할 때는 풋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사이드 브레이크만 당기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는 풋 브레이크를 밟으면 엔진과 변속기가 연결되어 있어 엔진 회전수가 낮아져 스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이드 브레이크만 당기고 스톨테스트를 실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굴국이 심한 노면을 주행할 때에 흔들림이 작은 평행한 승차감 실현
  2. 차속 및 조향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향
  3. 운전자가 희망하는 쾌적공간을 제공해 주는 시스템
  4.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조향 능력을 유지해 주는 시스템
(정답률: 63%)
  • "굴국이 심한 노면을 주행할 때에 흔들림이 작은 평행한 승차감 실현"이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여 차량의 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특히, 굴국이 심한 노면에서는 전자제어 현가장치가 차량의 바퀴를 평행하게 유지하여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압식 제동장치에서 적용되는 유압의 원리는?

  1. 뉴톤의 원리
  2. 파스칼의 원리
  3. 벤투리관의 원리
  4. 베르누이의 원리
(정답률: 86%)
  • 유압식 제동장치에서 적용되는 유압의 원리는 파스칼의 원리입니다. 파스칼의 원리는 압력이 일정한 유체는 그 압력을 받는 모든 부분에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유압식 제동장치에서는 압력을 가한 유체가 일정하게 전달되어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원리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동변속기의 클러치의 역할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엔진과의 연결을 차단하는 일을 한다.
  2. 변속기로 전달되는 엔진의 토크를 필요에 따라 단속한다.
  3. 관성 운전 시 엔진과 변속기를 연결하여 연비향상을 도모한다.
  4. 출발 시 엔진의 동력을 서서히 연결하는 일을 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출발 시 엔진의 동력을 서서히 연결하는 일을 한다."입니다.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를 연결하고 차를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출발 시에는 엔진의 동력을 서서히 전달하여 차량이 부드럽게 출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차량의 안정성과 운전의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관성 운전 시에는 엔진과 변속기를 연결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연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차량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엔진의 부하를 줄여서 연료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주행 중 제동 시 좌우 편제동의 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드럼의 편 마모
  2. 휠 실린더 오일 누설
  3. 라이닝 접촉 불량, 기름부착
  4.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 구멍 막힘
(정답률: 69%)
  • 마스터 실린더는 제동 시 압력을 생성하여 브레이크 오일을 브레이크 캘리퍼나 원통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 구멍이 막히면 브레이크 압력이 유지되어 편제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좌우 브레이크의 압력 차이를 유발하여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주행 중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 구멍이 막히면 브레이크 시스템을 정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스프링 의 무게 진동과 관련된 사항 중 거리가 먼 것은?

  1. 바운싱(bouncing)
  2. 피칭(pitching)
  3. 휠 트램프(wheel tramp)
  4. 롤링(rolling)
(정답률: 77%)
  • 스프링의 무게 진동은 차량의 주행 안정성과 편안함에 영향을 미치는데, 바운싱은 수직 방향으로의 떠오름 현상, 피칭은 전후 방향으로의 떠오름 현상, 롤링은 좌우 방향으로의 떠오름 현상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휠 트램프는 차량의 후륜과 복숭아 형태의 스프링 사이에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으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크게 해치며, 브레이크를 밟을 때 후륜이 흔들리는 현상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스프링의 무게 진동과 관련된 사항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휠 트램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타이어의 구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트레드
  2. 브레이커
  3. 카커스
  4. 압력판
(정답률: 69%)
  • 타이어의 구조는 트레드, 브레이커, 카커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트레드는 바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패턴이 새겨진 부분이며, 브레이커는 트레드와 카커스 사이에 위치한 강화된 천으로서 타이어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카커스는 타이어의 뼈대 역할을 하며, 안쪽에는 공기가 들어가는 튜브가 있습니다. 따라서 압력판은 타이어의 구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동차변속기 오일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동력전달 작용
  2. 냉각 작용
  3. 충격전달 작용
  4. 윤활 작용
(정답률: 75%)
  • 자동차변속기 오일의 주요 기능은 동력전달 작용, 냉각 작용, 윤활 작용입니다. 그러나 충격전달 작용은 오일이 아닌 변속기 자체의 역할입니다. 변속기는 엔진에서 생성된 동력을 토크 컨버터와 기어들을 통해 바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충격전달 작용은 토크 컨버터의 역할로,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 내부의 유체를 통해 전달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동차변속기 오일의 주요 기능 중 충격전달 작용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동력조향장치(power steering system)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조향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2. 앞바퀴의 시미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3. 조향 조작이 경쾌하고 신속하다.
  4. 고속에서 조향력이 가볍다.
(정답률: 71%)
  • 고속에서 조향력이 가볍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속에서 조향력이 가볍다." 입니다. 이유는 고속에서는 빠른 속도와 함께 조향력이 가볍게 작용하면 운전자가 조향 조작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고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제동 배력장치에서 진공식은 무엇을 이용하는가?

  1. 대기 압력만을 이용
  2. 배기가스 압력만을 이용
  3. 대기압과 흡기다기관 부압의 차이를 이용
  4. 배기가스와 대기압과의 차이를 이용
(정답률: 68%)
  • 진공식 제동 배력장치에서는 대기압과 흡기다기관 부압의 차이를 이용합니다. 이는 제동 페달을 밟을 때 진공식 제동 보조기에 있는 진공펌프가 작동하여 다기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면서 부압을 만들어내고, 이 부압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증폭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기압과 흡기다기관 부압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차량 총 중량 5000kgf의 자동차가 20%의 구배길을 올라갈 때 구배저항(Rg)은?

  1. 2500kgf
  2. 2000kgf
  3. 1710kgf
  4. 1000kgf
(정답률: 50%)
  • 구배저항(Rg)은 총 중량과 구배각에 비례하므로, 구배각이 20%이므로 5000kgf x 0.2 = 1000kgf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kg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행 중 브레이크 작동 시 조향 핸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휠 얼라이먼트 조정이 불량하다.
  2. 좌우 타이어의 공기압이 다르다.
  3. 브레이크 라이닝의 좌우 간극이 불량하다.
  4. 마스터 실린더의 첵 밸브의 작동이 불량하다.
(정답률: 72%)
  • 마스터 실린더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브레이크 오일을 각 휠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첵 밸브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을 조절하여 각 휠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첵 밸브의 작동이 불량하면 각 휠에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지 않아서 조향 핸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선회 할 때 조향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도 선회 반지름이 커지는 현상은?

  1. 오버 스티어링
  2. 언더 스티어링
  3. 리버스 스티어링
  4. 토크 스티어링
(정답률: 70%)
  •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선회 할 때 조향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차량의 중심축과 바퀴의 회전축이 일치하지 않아서 선회 반지름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언더 스티어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모터나 릴레이 작동 시 라디오에 유기되는 일반적인고주파 잡음을 억제하는 부품으로 맞는 것은?

  1. 트랜지스터
  2. 볼륨
  3. 콘덴서
  4. 동소기
(정답률: 60%)
  • 모터나 릴레이 작동 시에는 전기적인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노이즈는 고주파 신호로 라디오 등의 전자기기에 유기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고주파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부품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부품이 콘덴서입니다. 콘덴서는 전기적인 신호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터나 릴레이 작동 시에는 콘덴서가 라디오 등의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에 사용되는 컴프레셔 중 가변용량 컴프레셔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냉방성능 향상
  2. 소음진동 향상(감소)
  3. 연비 향상
  4. 냉매 충진 효율 향상
(정답률: 44%)
  • 가변용량 컴프레셔의 장점 중 냉매 충진 효율 향상은 아닙니다. 이는 컴프레셔의 용량을 조절하여 냉방성능을 최적화하고, 소음진동을 감소시키며, 연비를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하지만 냉매 충전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기동전동기 무부하 시험을 할 때 필요 없는 것은?

  1. 전류계
  2. 저항 시험기
  3. 전압계
  4. 회전계
(정답률: 53%)
  • 기동전동기 무부하 시험은 전류, 전압, 회전수를 측정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따라서 저항 시험기는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는 데에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필요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엔진정지 상태에서 기동스위치를 “ON” 시켰을 때 축전지에서 발전기로 전류가 흘렀다면 그 원인은?

  1. + 다이오드가 단락되었다.
  2. + 다이오드가 절연되었다.
  3. - 다이오드가 단락되었다.
  4. - 다이오드가 절연되었다.
(정답률: 53%)
  • 엔진정지 상태에서 기동스위치를 “ON” 시켰을 때 축전지에서 발전기로 전류가 흐르는 것은 축전지의 전압이 발전기보다 높아서 발생합니다. 이 경우, 발전기의 + 다이오드가 단락되어 있으면 축전지에서 발전기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는 + 다이오드가 단락되어 있으면 발전기가 축전지의 전압을 감지하지 못하고, 축전지에서 발전기로 전류가 계속해서 흐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동차용 배터리에 과충전을 반복하면 배터리에 미치는 영향은?

  1. 극판이 황산화 된다.
  2. 용량이 크게 된다.
  3. 양극판 격자가 산화된다.
  4. 단자가 산화된다.
(정답률: 53%)
  • 과충전을 반복하면 배터리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과 화학 반응으로 인해 양극판 격자가 산화되어 부식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고 충전 용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회로 내의 어떤 한 점에 유입한 전류의 총합과 유출한 전류의 총합은 서로 같다.”는 법칙은?

  1. 렌쯔의 법칙
  2. 앙페르의 법칙
  3. 뉴톤의 제 1법칙
  4. 키르히로프의 제 1법칙
(정답률: 74%)
  • 이 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보존 법칙을 나타내며, 어떤 회로에서 전류가 유입되면 그만큼 전류가 유출되어 전류의 총합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법칙은 "키르히로프의 제 1법칙"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자제어 점화장치에서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순서는?

  1. 각종센서 → ECU → 파워 트랜지스터 → 점화코일
  2. 각종센서 → ECU → 점화코일 → 파워 트랜지스터
  3. 파워 트랜지스터 → 점화코일 → ECU → 각종센서
  4. 파워 트랜지스터 → ECU → 각종센서 → 점화코일
(정답률: 67%)
  • 전자제어 점화장치에서는 먼저 각종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ECU가 분석하여 적절한 점화시기를 결정합니다. 이후 파워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기 신호가 점화코일로 전달되어 점화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각종센서 → ECU → 파워 트랜지스터 → 점화코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부특성(NTC) 가변저항을 이용한 센서는?

  1. 산소센서
  2. 수온센서
  3. 조향각센서
  4. TDC센서
(정답률: 65%)
  • 부특성(NTC) 가변저항은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수온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윈드 실드 와이퍼 장치의 관리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와이퍼 블레이드는 수시 점검 및 교환해 주어야 한다.
  2. 와셔액이 부족한 경우 와셔액 경고등이 점등된다.
  3. 전면유리는 왁스로 깨끗이 닦아 주어야한다.
  4. 전면 유리는 기름 수건 등으로 닦지 말아야한다.
(정답률: 77%)
  • 전면유리는 왁스로 깨끗이 닦아 주어야한다. -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왁스는 전면유리에 남아있는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고 오히려 유리에 더러움을 더해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면유리는 유리용 세정제나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깨끗이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비중이 1.280(20°C)의 묽은 황산 1L 속에 35%(중량)의 황산이 포함 되어 있다면 물은 몇 g포함되어 있는가?

  1. 932
  2. 832
  3. 719
  4. 819
(정답률: 54%)
  • 묽은 황산의 비중이 1.280이므로 1L의 묽은 황산은 1.280kg이다. 또한, 묽은 황산 속에 35%의 황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1L의 묽은 황산 중에는 0.35 × 1.280kg = 0.448kg의 황산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1L의 묽은 황산과 0.448kg의 황산을 합치면 총 1.728kg의 용액이 된다. 이 용액에서 황산의 질량 비율은 0.448kg ÷ 1.728kg = 0.2593이다.

    물의 비중은 1g/mL이므로 1L의 물은 1000g이다. 따라서, 물의 질량 비율은 1000g ÷ 1728g = 0.5787이다.

    물의 질량 비율과 황산의 질량 비율을 더하면 전체 용액의 질량 비율이 된다. 즉, 0.2593 + 0.5787 = 0.838이다. 이 비율은 전체 용액의 비중인 1.280보다 작으므로 물의 비중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묽은 황산 1L 속에는 832g의 물이 포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리머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액슬축 외경 가공 작업 시 사용된다.
  2. 드릴 구멍보다 먼저 작업한다.
  3. 드릴 구멍보다 더 정밀도가 높은 구멍을 가공하는데 필요하다.
  4. 드릴 구멍보다 더 작게 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72%)
  • 리머가공은 드릴 구멍보다 더 정밀한 구멍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가공된 구멍의 정확한 크기와 형상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드릴 구멍보다 더 정밀한 구멍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리머가공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연료 파이프 피팅을 풀 때 가장 알맞은 렌치는?

  1. 탭 렌치
  2. 복스 렌치
  3. 소켓 렌치
  4. 오픈엔드렌치
(정답률: 60%)
  • 연료 파이프 피팅은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가 아닌 플랫한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픈엔드렌치가 가장 알맞습니다. 오픈엔드렌치는 두 개의 평행한 쇠빗살 모양의 쇠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플랫한 면에 적합합니다. 탭 렌치는 내부나 외부의 나사를 조이기 위해 사용되며, 복스 렌치는 특정 크기의 볼트와 너트를 조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소켓 렌치는 볼트와 너트를 조이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좁은 공간에서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사고예방 원리의 5단계 중 그 대상이 아닌 것은?

  1. 사실의 발견
  2. 평가분석
  3. 시정책의 선정
  4. 엄격한 규율의 책정
(정답률: 59%)
  • 엄격한 규율의 책정은 사고예방 원리의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사고예방 원리의 다른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수행된 단계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는 사고예방 원리의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재의 분류 기준에서 휘발유로 인해 발생한 화재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D급 화재
(정답률: 75%)
  • 휘발유는 인화성이 높은 물질로, 쉽게 불이 붙어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휘발유로 인한 화재는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크기 때문에 B급 화재로 분류됩니다. B급 화재는 가연성 물질이나 인화성 가스 등으로 인한 화재로,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드릴링머신의 사용에 있어서 안전상 옳지 못한 것은?

  1. 드릴 회전 중 칩을 손으로 털거나 불어내지 말 것
  2. 가공물에 구멍을 뚫을 때 가공물을 바이스에 물리고 작업할 것
  3. 솔로 절삭유를 바를 경우에는 위쪽 방향에서 바를 것
  4. 드릴을 회전시킨 후에 머신테이블을 조정할 것
(정답률: 72%)
  • 드릴을 회전시킨 후에 머신테이블을 조정하는 것은 안전상 옳지 못한 것입니다. 이는 드릴이 회전 중에 머신테이블을 조정하면 손이 들어가서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드릴을 멈춘 후에 머신테이블을 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휠 밸런스 시험기 사용 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휠의 탈부착 시에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2. 균형추를 정확히 부착한다.
  3. 계기판은 회전이 시작되면 즉시 판독한다.
  4. 시험기 사용방법과 유의 사항을 숙지 후 사용한다.
(정답률: 85%)
  • 정답은 "계기판은 회전이 시작되면 즉시 판독한다."입니다. 이유는 휠 밸런스 시험기는 회전하는 휠의 무게 중심을 측정하여 균형을 맞추는데, 회전 중에 무게 중심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즉시 판독하여 조치를 취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전 중에 계기판을 읽지 않고 나중에 판독하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시 안전한 작업이 아닌 것은?

  1. 자동차에서 배터리 분리 시 (+)단자 먼저 분리한다.
  2. 배터리 온도가 약 45°C 이상 오르지 않게 한다.
  3. 충전은 환기가 잘되는 넓은 곳에서 한다.
  4. 과충전 및 과방전을 피한다.
(정답률: 85%)
  • 자동차에서 배터리 분리 시 (+)단자를 먼저 분리하는 이유는, (-)단자와 (+)단자가 연결되어 있을 때, (-)단자를 먼저 분리하면 (+)단자와 다른 금속 부품이 닿을 경우 단락이 발생하여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자를 먼저 분리하여 이러한 위험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작업장의 안전점검을 실시할 때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과거 재해 요인이 없어졌는지 확인한다.
  2. 안전점검 후 강평하고 사고한 사항은 묵인한다.
  3. 점검내용을 서로가 이해하고 협조한다.
  4. 점검자의 능력에 적응하는 점검내용을 활용한다.
(정답률: 86%)
  • 안전점검 후 강평하고 사고한 사항을 묵인하는 것은 안전점검의 목적과 맞지 않습니다. 안전점검은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것이므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따라서 안전점검 후 강평하고 사고한 사항을 묵인하는 것은 위험한 상황을 방치하는 것과 같으며, 안전점검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FF차량의 구동축을 정비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구동축의 고무부트 부위의 그리스 누유 상태를 확인한다.
  2. 구동축 탈거 후 변속기 케이스의 구동축 장착 구멍을 막는다.
  3. 구동축을 탈거할 때 마다 오일씰을 교환하다.
  4. 탈거 공구를 최대한 깊이 끼워서 사용한다.
(정답률: 62%)
  • 탈거 공구를 최대한 깊이 끼워서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구동축을 강제로 뽑을 때 구동축과 변속기 케이스 사이에 끼인 오일씰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탈거 공구를 깊이 끼워서 사용하여 오일씰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작기계 작업시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몸에 묻은 먼지나 철분 등 기타의 물질은 손으로 털어 낸다.
  2. 정해진 용구를 사용하여 파쇠철이 긴 것은 자르고 짧은 것은 막대로 제거한다.
  3. 무거운 공작물을 옮길 때는 운반기계를 이용한다.
  4. 기름걸레는 정해진 용기에 넣어 화재를 방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79%)
  • "몸에 묻은 먼지나 철분 등 기타의 물질은 손으로 털어 낸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안전에 위배되는 행동이며, 작업자는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먼지나 물질이 묻은 부위를 물로 씻어내거나, 흡입기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한다. 손으로 털어내는 것은 먼지나 물질을 마주하게 되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