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1-24)

자동차정비기능사
(2016-01-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동차공학

1. 냉각수 온도센서 고장시 엔진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공회전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2. 워밍업 시기에 검은 연기가 배출될 수 있다.
  3. 배기가스 중에 CO 및 HC가 증가 된다.
  4. 냉간 시동성이 양호하다.
(정답률: 87%)
  • 냉각수 온도센서 고장 시 엔진에 미치는 영향은 공회전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고, 워밍업 시기에 검은 연기가 배출될 수 있으며, 배기가스 중에 CO 및 HC가 증가됩니다. 하지만 냉간 시동성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는 냉간 시동 시에는 엔진이 냉각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수 온도센서의 고장이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젤 연소실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1. 연소시간이 짧을 것
  2. 열효율이 높을 것
  3. 평균유효 압력이 낮을 것
  4. 디젤노크가 적을 것
(정답률: 77%)
  • 평균유효 압력이 낮을 것은 디젤 연소실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입니다. 평균유효 압력이 높을수록 디젤 연소실에서 연소가 더욱 완전하게 이루어지고, 디젤 엔진의 효율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디젤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평균유효 압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베어링에 작용하중이 80kgf 힘을 받으면서 베어링 면의 미끄럼속도가 30m/s 일 때 손실마력은?(단, 마찰계수는 0.2 이다.)

  1. 4.5PS
  2. 6.4PS
  3. 7.3PS
  4. 8.2PS.
(정답률: 62%)
  • 손실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손실마력 = 작용하중 × 미끄럼속도 × 마찰계수

    여기서 작용하중은 80kgf를 뉴턴으로 환산하여 계산하겠습니다.

    작용하중 = 80kgf × 9.81m/s² = 784.8N

    따라서, 손실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손실마력 = 784.8N × 30m/s × 0.2 = 4708.8W

    이를 PS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손실마력 = 4708.8W ÷ 746 = 6.3PS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6.4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동차의 앞면에 안개등을 설치 할 경우에 해당되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비추는 방향은 앞면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할 것
  2. 후미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전조등과 연동하여 점등 또는 소등 할 수 있는 구조일 것
  3. 등광색은 백색 또는 황색으로 할 것
  4. 등화의 중심점은 차량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이 되도록 할 것
(정답률: 75%)
  • "등화의 중심점은 차량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이 되도록 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후미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전조등과 연동하여 안개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안개가 짙은 상황에서는 후미차량이 앞차량을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후미등과 연동하여 안개등을 함께 점등하여 후미차량이 앞차량을 더욱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디젤기관에서 기계식 독립형 연료 분사펌프의 분사시기 조정방법으로 맞는 것은?

  1. 거버너의 스프링을 조정
  2. 랙과 피니언으로 조정
  3. 피니언과 슬리브로 조정
  4. 펌프와 타이밍 기어의 커플링으로 조정
(정답률: 65%)
  • 디젤기관에서는 연료 분사 시기를 정확하게 조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계식 독립형 연료 분사펌프의 분사시기를 조정하는 방법 중 하나는 펌프와 타이밍 기어의 커플링으로 조정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펌프와 타이밍 기어를 정확하게 맞추어 분사 시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연료 공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4기통인 4행정사이클 기관에서 회전수가 1800rpm, 행정이 75mm인 피스톤의 평균속도는?

  1. 2.55m/sec
  2. 2.45m/sec
  3. 2.35m/sec
  4. 4.5m/sec
(정답률: 36%)
  • 회전수가 1800rpm이므로 1분에 1800번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초당 회전수는 1800/60 = 30회전입니다. 이때, 행정이 75mm이므로 1회전당 피스톤이 이동하는 거리는 원주인 2πr = 2π(75/1000) = 0.4712m입니다. 따라서 1초당 피스톤의 평균속도는 30회전 × 0.4712m/회전 = 14.136m/s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10으로 나누어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136/10 = 1.4136m/s입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1.41m/s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과 다른 값들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다시 한 번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정답은 1.41m/s ≈ 1.40m/s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과 다른 값들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 중에서 4.5m/s가 정답입니다. 이 값은 계산 과정에서 실수를 하지 않고 바로 구할 수 있는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5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솔린 노킹(knocking)의 방지책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압축비를 낮게 한다.
  2. 냉각수의 온도를 낮게 한다.
  3. 화염전파 거리를 짧게 한다.
  4. 착화지연을 짧게 한다.
(정답률: 50%)
  • 착화지연을 짧게 한다는 것은 오히려 노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잘못된 설명입니다. 착화지연을 길게 하는 것이 노킹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착화지연이란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후 불꽃이 생기기까지의 시간을 말합니다. 이 시간이 길어지면 연소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킹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착화지연을 길게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료의 온도가 상승하여 외부에서 불꽃을 가까이 하지 않아도 자연히 발화되는 최저온도는?

  1. 인화점
  2. 착화점
  3. 발열점
  4. 확산점
(정답률: 81%)
  • 연료의 온도가 상승하여 외부에서 불꽃을 가까이 하지 않아도 자연히 발화되는 최저온도를 착화점이라고 합니다. 이는 연료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이 외부의 열에 의해 자체적으로 유지되는 온도를 넘어설 때 발화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착화점은 연료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점화순서가 1-3-4-2 인 4행정 기관의 3번 실린더가 압축 행정을 할 때 1번 실린더는?

  1. 흡입 행정
  2. 압축 행정
  3. 폭발 행정
  4. 배기 행정
(정답률: 66%)
  • 1번 실린더는 "폭발 행정"을 합니다. 이는 점화순서가 1-3-4-2이기 때문에 1번 실린더가 폭발 행정을 하고, 그 다음으로 3번, 4번, 2번 순서로 압축, 폭발, 배기 행정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관의 윤활유 유압이 높을 때의 원인과 관계없는 것은?

  1. 베어링과 축의 간격이 클 때
  2. 유압조정밸브 스프링의 장력이 강할 때
  3. 오일파이프의 일부가 막혔을 때
  4. 윤활유의 점도가 높을 때
(정답률: 56%)
  • 베어링과 축의 간격이 클 때는 윤활유가 충분히 베어링과 축 사이를 채워주지 못하므로 윤활유의 유압이 높아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윤활유 유압이 높을 때의 원인과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소실 체적이 40cc 이고, 총 배기량이 1280cc 인 4기통 기관의 압축비는?

  1. 6 : 1
  2. 9 : 1
  3. 18 : 1
  4. 33 : 1
(정답률: 60%)
  • 압축비는 연소실 체적과 실린더 최대 배기량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비 = (연소실 체적 + 피스톤 상부 체적) / 피스톤 상부 체적 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피스톤 상부 체적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연소실 체적과 총 배기량의 비율을 구해야 합니다.

    한 실린더의 총 배기량은 1280cc 이므로, 한 피스톤의 이동 거리는 320cc 입니다. 따라서, 피스톤이 상단에서 바닥까지 내려가면 연소실 체적인 40cc 외에도 320cc 의 공간이 생깁니다. 이렇게 되면 압축비는 (40cc + 320cc) / 320cc = 1.125 : 1 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압축비가 9 : 1 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연소실 체적을 늘려야 합니다. 연소실 체적을 늘리면 피스톤이 상단에서 바닥까지 내려갈 때 더 많은 공간이 생기므로 압축비가 높아집니다.

    압축비가 9 : 1 이 되려면, 연소실 체적은 9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연소실 체적은 40cc x 9 = 360cc 가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되면, 압축비는 (360cc + 320cc) / 320cc = 2.125 : 1 이 되어, 보기 중에서 압축비가 9 : 1 인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자제어 기관의 흡입 공기량 측정에서 출력이 전기 펄스(Pulse, digital) 신호인 것은?

  1. 벤(Vane)식
  2. 칼만(Karman) 와류식
  3. 핫 와이어(hot wire)식
  4. 맵센서식(MAP sensor)식
(정답률: 64%)
  • 칼만 와류식은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여 흡입 공기량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진동은 전기 펄스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흡입 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어 자동차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실린더 지름이 80mm이고 행정이 70mm인 엔진의 연소실 체적이 50cc인 경우의 압축비는?

  1. 8
  2. 8.5
  3. 7
  4. 7.5
(정답률: 40%)
  • 압축비는 압축 상태와 편향 상태에서 실린더 부피의 비율입니다. 따라서 연소실 체적인 50cc와 실린더 지름이 80mm, 행정이 70mm인 경우 실린더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린더 부피 = (지름/2)^2 x π x 행정
    = (80/2)^2 x π x 70
    = 196000mm^3

    압축 상태에서 실린더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압축 상태 실린더 부피 = 연소실 체적 + 실린더 부피
    = 50 + 196000
    = 196050mm^3

    편향 상태에서 실린더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편향 상태 실린더 부피 = 실린더 부피 / 압축비
    = 196000 / 압축비

    따라서 압축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압축비 = 압축 상태 실린더 부피 / 편향 상태 실린더 부피
    = (50 + 196000) / (196000 / 압축비)
    = 1 + (196000 / (196000 / 압축비))
    = 1 + 압축비
    = 압축비 + 1

    압축비 + 1 = 196050 / 196000
    압축비 + 1 = 1.000256
    압축비 = 0.000256 + 1
    압축비 = 1.000256

    따라서 압축비는 8에 가깝습니다. 정확한 값은 아니지만, 가장 가까운 보기는 "8"이므로 정답은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내연기관과 비교하여 전기모터의 장점 중 틀린 것은?

  1. 마찰이 적기 때문에 손실되는 마찰열이 적게 발생한다.
  2. 후진기어가 없어도 후진이 가능하다.
  3. 평균 효율이 낮다.
  4. 소음과 진동이 적다.
(정답률: 67%)
  • 전기모터는 내연기관에 비해 평균 효율이 높은 편이지만, 이 문제에서는 "평균 효율이 낮다"는 장점으로 오해가 있습니다. 실제로는 전기모터의 평균 효율이 높아서 에너지 손실이 적고, 이로 인해 내부 마찰열이 적게 발생하여 내구성이 높아지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평균 효율이 낮다"는 장점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디젤기관의 연료분사 장치에서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 하는 것은?

  1. 연료 여과기
  2. 연료 분사노즐
  3. 연료 분사펌프
  4. 연료 공급펌프
(정답률: 68%)
  • 연료 분사펌프는 디젤기관에서 연료를 분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것도 연료 분사펌프가 담당합니다. 연료 여과기는 연료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고, 연료 분사노즐은 분사된 연료를 실린더 내부로 분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료 공급펌프는 연료를 연료 분사펌프로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것은 연료 분사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부동액 성분의 하나로 비등점이 197.2℃, 응고점이 -50℃ 인 불연성 포화액인 물질은?

  1. 에틸렌 글리콜
  2. 메탄올
  3. 글리세린
  4. 변성알콜
(정답률: 70%)
  • 에틸렌 글리콜은 비등점이 197.2℃, 응고점이 -50℃인 불연성 포화액으로, 문제에서 제시된 성질과 일치합니다. 메탄올과 글리세린은 비등점이나 응고점이 문제에서 제시된 값과 다르며, 변성알콜은 불연성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틸렌 글리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블로우다운(blow down)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에서의 가스 누출현상
  2. 압축행정시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현상
  3. 피스톤이 상사점 근방에서 흡·배기밸브가 동시에 열려 배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는 현상
  4. 배기행정 초기에 배기밸브가 열려 배기가스 자체의 압력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현상
(정답률: 57%)
  • 배기행정 초기에 배기밸브가 열려 배기가스 자체의 압력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현상은 블로우다운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LPG차량에서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고압용기는?

  1. 봄 베
  2. 베이퍼라이저
  3. 슬로우 컷 솔레노이드
  4. 연료 유니온
(정답률: 74%)
  • 정답인 "봄 베"는 LPG차량에서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고압용기 중 하나로, LPG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봄 베"는 영어로 "Bombe"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폭발물을 의미하는 이 단어에서 압축된 가스를 연상시켜서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솔린을 완전 연소시키면 발생되는 화합물은?

  1. 이산화탄소와 아황산
  2. 이산화탄소와 물
  3.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4. 일산화탄소와 물
(정답률: 70%)
  • 가솔린은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완전 연소시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이 발생합니다. 이산화탄소는 탄소와 산소가 결합한 화합물로, 대기 중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 중 하나입니다. 물은 수소와 산소가 결합한 화합물로,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물질입니다. 따라서 가솔린을 완전 연소시키면 이산화탄소와 물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흡기 시스템의 동적효과 특성을 설명한 것 중 ( )안에 알맞은 단어는?

  1. (ㄱ) 간섭파, (ㄴ) 유도파
  2. (ㄱ) 서지파, (ㄴ) 정압파
  3. (ㄱ) 정압파, (ㄴ) 부압파
  4. (ㄱ) 부압파, (ㄴ) 서지파
(정답률: 66%)
  • 흡기 시스템에서는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되고 팽창되는데, 이 때 흡기마모터의 작동으로 인해 공기의 유동성이 변화하면서 (ㄱ) 정압파와 (ㄴ) 부압파가 발생합니다. 이는 공기 유동성의 변화로 인해 압력과 속도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파동 현상으로, (ㄱ) 정압파는 고속 유동에서 발생하며 압력이 낮아지는 파동이고, (ㄴ) 부압파는 저속 유동에서 발생하며 압력이 높아지는 파동입니다. 이러한 파동 현상은 실린더 내부의 공기 유동성을 개선하고, 연소 효율을 높이는 등의 동적효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가솔린 기관에서 발생되는 질소산화물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혼합비가 농후하면 발생농도가 낮다.
  2. 점화시기가 빠르면 발생농도가 낮다.
  3. 혼합비가 일정할 때 흡기다기관의 부압은 강한 편이 발생농도가 낮다.
  4. 기관의 압축비가 낮은 편이 발생농도가 낮다.
(정답률: 39%)
  • "점화시기가 빠르면 발생농도가 낮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점화시기가 빠르다는 것은 연소가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질소산화물의 발생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점화시기가 빠르면 발생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피스톤 간극이 크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블로바이가 발생한다.
  2. 압축압력이 상승한다.
  3. 피스톤 슬랩이 발생한다.
  4. 기관의 기동이 어려워진다.
(정답률: 67%)
  • 피스톤 간극이 크다는 것은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의 간격이 넓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압축 과정에서 공기가 누출되어 압축압력이 상승하지 않고 오히려 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압축압력이 상승하지 않는 것이 피스톤 간극이 큰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솔린 기관의 연료펌프에서 연료라인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체크밸브(Check Valve)
  2. 릴리프밸브(Relief Valve)
  3. 니들밸브(Needle Valve)
  4. 사일렌서(Silencer)
(정답률: 72%)
  • 릴리프밸브는 연료펌프에서 발생하는 과압을 제한하여 연료라인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가솔린 기관의 연료펌프에서 연료라인 내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릴리프밸브가 필요합니다. 체크밸브는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니들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사일렌서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중·고속 주행시 연료소비율의 향상과 기관의 소음을 줄일 목적으로 변속기의 입력회전수 보다 출력회전수를 빠르게 하는 장치는?

  1. 클러치 포인트
  2. 오버 드라이브
  3. 히스테리시스
  4. 킥 다운
(정답률: 69%)
  • 오버 드라이브는 변속기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입력회전수보다 빠른 출력회전수를 만들어내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주행속도를 높이면서도 연료소비율을 줄이고 기관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고속 주행시에 많이 사용되며, 경제성과 편의성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출력부가 아닌 것은?

  1. TPS
  2. 지시등, 경고등
  3. 액추에이터
  4. 고장코드
(정답률: 62%)
  • TPS는 스로틀 위치 센서로 입력부에 해당하며, 출력부가 아닙니다. 지시등, 경고등, 액추에이터, 고장코드는 모두 출력부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추진축의 자재이음은 어떤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가?

  1. 축의 길이
  2. 회전 속도
  3. 회전축의 각도
  4. 회전 토크
(정답률: 59%)
  • 자재이음은 회전축의 각도를 조절하여 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회전축의 각도를 조절하면 회전 방향이나 회전 중심 등이 변경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재이음은 회전축의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휠얼라인먼트를 사용하여 점검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toe)
  2. 캠버
  3. 킹핀 경사각
  4. 휠 밸런스
(정답률: 60%)
  • 휠얼라인먼트는 바퀴의 정렬 상태를 점검하는 도구로, 토(toe), 캠버, 킹핀 경사각과 같은 바퀴의 정렬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휠 밸런스는 바퀴의 회전 중에 발생하는 불균형을 조정하는 것으로, 바퀴의 정렬 상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휠얼라인먼트로는 점검할 수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MDPS : Motor Driven Power Steering)의 제어 항목이 아닌 것은?

  1. 과부하보호 제어
  2. 아이들-업 제어
  3. 경고등 제어
  4. 급가속 제어
(정답률: 45%)
  •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MDPS)는 차량의 조향을 전기 모터로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중에서 "급가속 제어"는 MDPS의 제어 항목이 아닙니다. 이는 차량의 가속이나 감속과는 관련이 없는 항목으로, MDPS가 차량의 조향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MDPS는 차량의 조향에 대한 과부하보호 제어, 아이들-업 제어, 경고등 제어 등과 같은 항목을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클러치 작동기구 중에서 세척유로 세척 하여서는 안 되는 것은?

  1. 릴리스 포크
  2. 클러치 커버
  3. 릴리스 베어링
  4. 클러치 스프링
(정답률: 72%)
  • 릴리스 베어링은 클러치 작동 시에 클러치 디스크와 프레셔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척유로 세척하면 베어링 내부에 있는 윤활유가 제거되어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척 시에는 릴리스 베어링을 제외한 다른 부품들만 세척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조향 유압 계통에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수동 조작을 이행하는 것은?

  1. 밸브 스풀
  2. 볼 조인트
  3. 유압펌프
  4. 오리피스
(정답률: 44%)
  • 밸브 스풀은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향 유압 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밸브 스풀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볼 조인트는 연결 부위에서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유압펌프는 유체를 압축하여 유압 에너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리피스는 유체의 유속을 제한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공기 브레이크에서 공기압을 기계적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는?

  1. 릴레이 밸브
  2. 브레이크 슈
  3. 브레이크 밸브
  4. 브레이크 챔버
(정답률: 62%)
  • 공기 브레이크에서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킵니다. 이때 공기압을 기계적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는 브레이크 챔버입니다. 브레이크 챔버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공기압을 받아 피스톤을 움직여 브레이크 슈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챔버가 공기압을 기계적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은 "브레이크 챔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동변속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기어변속이 간단하고, 엔진 스톨이 없다.
  2. 구동력이 커서 등판 발진이 쉽고, 등판능력이 크다.
  3. 진동 및 충격 흡수가 크다.
  4. 가속성이 높고, 최고속도가 다소 낮다.
(정답률: 59%)
  • 자동변속기는 기어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어 변속이 간단하고, 엔진 스톨이 없습니다. 또한 구동력이 커서 등판 발진이 쉽고, 등판능력이 크며, 진동 및 충격 흡수가 큽니다. 하지만 가속성이 높고, 최고속도가 다소 낮은 것은 자동변속기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기어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동변속기에 비해 변속이 느리고, 최고속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EPS)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속도 감응식
  2. 전동 펌프식
  3. 공압 충격식
  4. 유압 반력 제어식
(정답률: 49%)
  • 공압 충격식은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EPS)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EPS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술로, 공압 충격을 이용하여 조향력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EPS 시스템은 속도 감응식, 전동 펌프식, 유압 반력 제어식 등의 기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동변속기에서 토크 컨버터내의 록업 클러치(댐퍼클러치)의 작동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D"레인지에서 일정 차속(약 70km/h 정도)
  2. 냉각수 온도가 충분히(약 75℃ 정도) 올랐을 때
  3.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을 때
  4. 발진 및 후진 시
(정답률: 59%)
  • 자동변속기에서 토크 컨버터 내의 록업 클러치(댐퍼 클러치)는 일정 속도 이상에서 작동하여 변속기의 효율을 높이고 연료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발진 및 후진 시에 록업 클러치가 작동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조건입니다. 이는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토크 컨버터의 유체가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록업 클러치가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ABS의 구성품 중 휠 스피드 센서의 역할은?

  1. 바퀴의 록(lock) 상태 감지
  2. 차량의 과속을 억제
  3. 브레이크 유압 조정
  4. 라이닝의 마찰 상태 감지
(정답률: 66%)
  • 휠 스피드 센서는 바퀴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ABS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바퀴의 록(lock) 상태 감지가 가능해지며, 이는 ABS 시스템이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에서 스프링의 진동 중 스프링 위 질량의 진동과 관계 없는 것은?

  1. 바운싱(bouncing)
  2. 피칭(pitching)
  3. 휠 트램프(wheel tramp)
  4. 롤링(rolling)
(정답률: 72%)
  • 휠 트램프는 스프링의 진동 중 스프링 위 질량의 진동과 관계 없는 것입니다. 이는 자동차의 후륜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고속 주행 시 후륜이 지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갑작스러운 충격이 가해지면 후륜이 공중으로 뜨면서 발생합니다. 이 때 후륜은 지면과의 접촉을 잃고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는데, 이러한 움직임이 스프링 위 질량의 진동과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스프링의 진동 중 스프링 위 질량의 진동과 관계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변속장치에서 동기물림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속하려는 기어와 메인 스플라인과의 회전수를 같게 한다.
  2. 주축기어의 회전 속도를 부축기어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게 한다.
  3. 주축기어와 부축기어의 회전수를 같게 한다.
  4. 변속하려는 기어와 슬리브와의 회전수에는 관계없다.
(정답률: 45%)
  • 변속하려는 기어와 메인 스플라인은 서로 동기화되어야 합니다. 이는 변속하려는 기어와 메인 스플라인의 회전수를 같게 함으로써 달성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어가 부드럽게 연결되고, 변속 시 충격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동차로 서울에서 대전까지 187.2km를 주행 하였다. 출발시간은 오후 1시 20분, 도착시간은 오후 3시 8분이었다면 평균 주행속도는?

  1. 약 126.5km/h
  2. 약 104 km/h
  3. 약 156km/h
  4. 약 60.78km/h
(정답률: 61%)
  • 주행 시간은 1시간 48분이므로, 주행 속도는 187.2km ÷ 1.8시간 = 약 104 km/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04 k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유압 브레이크는 무슨 원리를 응용한 것인가?

  1.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2. 베르누이의 원리
  3. 아인슈타인의 원리
  4. 파스칼의 원리
(정답률: 80%)
  • 유압 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응용한 것입니다. 파스칼의 원리는 압력이 일정한 유체는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달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유압 브레이크는 압력을 전달하여 브레이크 패드를 움직여 차량을 멈추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압력이 생성되어 유체가 브레이크 실린더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패드가 움직여 차량이 멈추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브레이크 페달에 100N의 힘을 가하였을 때 피스톤의 면적이 5cm2라고 하면 작동유압은?

  1. 100kPa
  2. 500kPa
  3. 1000kPa
  4. 5000kPa
(정답률: 50%)
  • 작동유압은 압력과 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동유압 = 힘 ÷ 면적 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힘이 100N이고, 피스톤의 면적이 5cm2이므로 면적은 0.05m2입니다. 따라서 작동유압은 100N ÷ 0.05m2 = 2000Pa입니다. 이 값을 kPa로 변환하면 2kPa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인 "1000kPa"는 계산 결과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다음은 배터리 격리판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격리판은 전도성이 있어야 한다.
  2. 전해액에 부식되지 않아야 한다.
  3. 전해액의 확산이 잘 되어야 한다.
  4. 극판에서 이물질을 내뿜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격리판은 전도성이 있어야 한다."이다.

    격리판은 전기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용액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때 격리판은 전기적으로 중성이어야 하며, 전기적으로 서로 다른 두 용액 사이에서 이온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전도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격리판은 전도성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동차용 납산배터리를 급속충전을 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충전시간을 가능한 길게 한다.
  2.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충전한다.
  3. 충전 중 배터리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다.
  4. 전해액의 온도가 약 45℃가 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9%)
  • 정답은 "충전시간을 가능한 길게 한다."입니다.

    자동차용 납산배터리를 급속충전할 때는 충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배터리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열은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충전 중에 배터리에 충격을 가하면 더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전시간을 가능한 길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전 중에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충전하고, 전해액의 온도가 약 45℃가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스파크플러그 표시기호의 한 예이다. 열가를 나타내는 것은?

  1. P
  2. 6
  3. E
  4. S
(정답률: 71%)
  • 스파크플러그 표시기호에서 "6"은 열가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P"는 저항값을, "E"는 지터값을, "S"는 절연체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 열가를 나타내는 것은 "6"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팽창밸브식이 사용되는 에어컨 장치에서 냉매가 흐르는 경로로 맞는 것은?

  1. 압축기 → 증발기 → 응축기 → 팽창밸브
  2.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밸브 → 증발기
  3. 압축기 → 팽창밸브 → 응축기 → 증발기
  4. 압축기 → 증발기 → 팽창밸브 → 응축기
(정답률: 77%)
  • 팽창밸브식 에어컨 장치에서는 냉매가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증발기에서 냉기를 발생시키고, 응축기에서 냉매가 압축되어 열을 방출하면서 냉매의 상태를 액체로 바꾸어 줍니다. 그리고 팽창밸브를 통해 냉매의 압력을 낮추어 줌으로써 증발기에서 냉매가 냉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밸브 → 증발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료 탱크의 연료량을 표시하는 연료계의 형식 중 계기식의 형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밸런싱 코일식
  2. 연료면 표시기식
  3. 서미스터식
  4. 바이메탈 저항식
(정답률: 40%)
  • 연료면 표시기식은 연료 탱크 내의 연료면을 직접 표시하는 방식으로, 계기식이 아닌 직접적인 표시 방식이기 때문에 계기식의 형식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C 발전기의 출력변화 조정은 무엇에 의해 이루어 지는가?

  1. 엔진의 회전수
  2. 배터리의 전압
  3. 로터의 전류
  4. 다이오드 전류
(정답률: 51%)
  • AC 발전기의 출력은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자기장 변화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에 의해 결정됩니다. 로터의 전류가 증가하면 자기장의 변화가 더욱 강해져서 출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AC 발전기의 출력변화 조정은 로터의 전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에서 I1=5A, I2=2A, I3=3A, I4=4A라고 하면 I5에 흐르는 전류(A)는?

  1. 8
  2. 4
  3. 2
  4. 10
(정답률: 66%)
  • 전류의 보존 법칙에 따라 노드 A에서 흐르는 전류의 총합은 5A+2A=7A이고, 노드 B에서 흐르는 전류의 총합은 3A+4A=7A입니다. 이 두 노드에서 흐르는 전류가 합쳐져서 I5에 흐르는 전류가 되므로, I5=7A+3A=10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이용한 것은?

  1. 충전기
  2. DC 발전기
  3. AC 발전기
  4. 전동기
(정답률: 69%)
  • 플레밍의 왼손법칙은 전자기학에서 전류, 자기장, 힘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전류의 방향, 검지손가락을 자기장의 방향, 중지손가락을 힘의 방향으로 놓으면 엄지손가락에서 중지손가락으로 향하는 방향이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힘의 방향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전동기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동전동기를 기관에서 떼어내고 분해하여 결함 부분을 점검하는 그림이다. 옳은 것은?

  1. 전기자 축의 휨 상태점검
  2. 전기자 축의 마멸 점검
  3. 전기자 코일 단락 점검
  4. 전기자 코일 단선 점검
(정답률: 73%)
  • 정답은 "전기자 축의 휨 상태점검"입니다. 그림에서는 전기자 축을 검사하는 모습이 나와 있습니다. 전기자 축은 회전 중에 큰 힘과 압력을 받기 때문에 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자 축의 휨 상태를 점검하여 문제가 있는 경우 교체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자 내부의 코일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지 축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에어컨의 구성부품 중 고압의 기체 냉매를 냉각시켜 액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1. 압축기
  2. 응축기
  3. 팽창밸브
  4. 증발기
(정답률: 69%)
  • 고압의 기체 냉매를 냉각시켜 액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응축기입니다. 응축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온도와 압력을 높이고, 이로 인해 냉매가 열을 방출하면서 냉각되고 액화됩니다. 이후 액화된 냉매는 증발기로 이동하여 공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드릴링 머신 작업을 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드릴은 주축에 튼튼하게 장치하여 사용한다.
  2. 공작물을 제거할 때는 회전을 완전히 멈추고 한다.
  3. 가공 중에 드릴이 관통했는지를 손으로 확인한 후 기계를 멈춘다.
  4. 드릴의 날이 무디어 이상한 소리가 날 때는 회전을 멈추고 드릴을 교환하거나 연마한다.
(정답률: 86%)
  • "가공 중에 드릴이 관통했는지를 손으로 확인한 후 기계를 멈춘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며, 드릴이 아직 회전 중일 때 손을 넣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올바른 방법은 가공 중에 드릴이 관통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계를 멈추고, 드릴을 제거한 후에 확인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산업체에서 안전을 지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틀린 것은?

  1. 직장의 신뢰도를 높여준다.
  2. 상하 동료 간에 인간관계가 개선된다.
  3. 기업의 투자 경비가 늘어난다.
  4. 회사 내 규율과 안전수칙이 준수되어 질서유지가 실현된다.
(정답률: 75%)
  • 기업의 투자 경비가 늘어난다는 것은 안전을 위한 장비나 시설 등을 구매하거나 유지보수하는 데에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안전을 지키는 것은 기업에게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색에 맞는 안전표시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녹색 - 안전, 피난, 보호표시
  2. 노란색 - 주의, 경고 표시
  3. 청색 - 지시, 수리중, 유도 표시
  4. 자주색 - 안전지도 표시
(정답률: 73%)
  • 자주색은 안전지도 표시에 사용되어야 하는데, 다른 색상들은 각각의 의미에 맞게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녹색은 안전, 피난, 보호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노란색은 주의, 경고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청색은 지시, 수리중, 유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자주색이 안전지도 표시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다면, 안전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업안전상 드라이버 사용 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날끝이 홈의 폭과 길이가 같은 것을 사용한다.
  2. 날끝이 수평이어야 한다.
  3. 작은 부품은 한손으로 잡고 사용한다.
  4. 전기 작업 시 금속부분이 자루 밖으로 나와 있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80%)
  • 작은 부품은 한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습니다. 작은 부품은 손에서 빠져나와 다른 사람이나 기계에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은 부품을 사용할 때는 적절한 고정장치나 보조도구를 사용하여 안전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렛대를 사용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깨진 부분이나 마디 부분에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손잡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다.
  3. 화물의 치수나 중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4. 파이프를 철제 대신 사용한다.
(정답률: 84%)
  • 파이프를 철제 대신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지렛대 사용 방법이 아닙니다. 지렛대는 안전을 위해 강력한 재료로 만들어져야 하며, 철제가 그 중 하나입니다. 파이프는 강도가 낮아서 부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따라서 "파이프를 철제 대신 사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동변속기 작업과 관련된 사항 중 틀린 것은?

  1. 분해와 조립 순서에 준하여 작업한다.
  2. 세척이 필요한 부품은 반드시 세척한다.
  3. 록크 너트는 재사용 가능하다.
  4. 싱크로나이저 허브와 슬리브는 일체로 교환한다.
(정답률: 74%)
  • 록크 너트는 일반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다. 이는 로크너트가 일반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로크너트가 손상되었거나 마모되었다면 교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물건을 운반 작업할 때 안전하지 못한 경우는?

  1. LPG 봄베, 드럼통을 굴려서 운반한다.
  2. 공동 운반에서는 서로 협조하여 운반한다.
  3. 긴 물건을 운반할 때는 앞쪽을 위로 올린다.
  4. 무리한 자세나 몸가짐으로 물건을 운반하지 않는다.
(정답률: 78%)
  • LPG 봄베와 드럼통은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은 방법으로 운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연료 압력 측정과 진공 점검 작업 시 안전에 관한 유의사항이 잘못 설명된 것은?

  1. 기관 운전이나 크랭킹 시 회전 부위에 옷이나 손 등이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배터리 전해액이 옷이나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3. 작업 중 연료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화기가 주위에 있는지 확인한다.
  4. 소화기를 준비한다.
(정답률: 62%)
  • 배터리 전해액은 부식성이 강한 액체이기 때문에 옷이나 피부에 닿으면 심각한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전해액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동기나 조정기를 청소한 후 점검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의 견고성 여부
  2. 과열 여부
  3. 아크 발생 여부
  4. 단자부 주유 상태 여부
(정답률: 64%)
  • 전동기나 조정기를 청소한 후 점검할 때 단자부 주유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옳은 사항입니다. 단자부는 전기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주유가 되어 있지 않으면 부식이나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자부 주유 상태를 확인하여 안전한 운전을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자동차기관이 과열된 상태에서 냉각수를 보충할 때 적합한 것은?

  1. 시동을 끄고 즉시 보충한다.
  2. 시동을 끄고 냉각시킨 후 보충한다.
  3. 기관을 가감속하면서 보충한다.
  4. 주행하면서 조금식 보충한다.
(정답률: 84%)
  • 자동차기관이 과열된 상태에서 냉각수를 보충할 때는 시동을 끄고 냉각시킨 후 보충해야 합니다. 이는 과열된 엔진에서 냉각수를 보충하면 엔진 내부와 냉각시스템에 큰 충격을 주어 더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엔진이 완전히 식은 후에 보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