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0-10)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2015-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1. 다음 열처리방법 중에서 표면경화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침탄법
  2. 질화법
  3. 고주파경화법
  4. 항온열처리법
(정답률: 69%)
  • 표면경화법은 재료의 표면을 경화시켜 내구성을 높이는 방법이며, 침탄법, 질화법, 고주파경화법은 모두 표면경화법에 속합니다. 하지만 항온열처리법은 재료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열처리를 하는 방법으로, 표면경화법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항온열처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같은 조성의 강재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담금질 하여도 그 재료의 굵기, 두께 등이 다르면 냉각속도가 다르게 되므로 담금질 결과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것을 담금질의 무엇이라 하는가?

  1. 경화능
  2. 밴드
  3. 질량효과
  4. 냉각능
(정답률: 65%)
  • 강재의 두께나 굵기가 다르면 그것의 질량이 다르기 때문에 냉각속도가 다르게 되어 담금질 결과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질량효과라고 합니다. 즉, 물질의 질량이 크면 냉각속도가 느려져서 담금질 결과가 좋아지고, 질량이 작으면 냉각속도가 빨라져서 담금질 결과가 나쁘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통주철에 함유되는 주요 성분이 아닌 것은?

  1. Si
  2. Sn
  3. P
  4. Mn
(정답률: 57%)
  • 보통주철에 함유되는 주요 성분은 Si, P, Mn이지만 Sn은 함유되지 않습니다. 이는 Sn이 보통주철의 성질을 악화시키기 때문입니다. Sn은 주철과 함께 사용될 때 부식이나 균열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보통주철에 함유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구리의 원자기호와 비중과 이 관계가 옳은 것은?(단, 비중은 20℃, 무산소동이다.)

  1. Al - 6.86
  2. Ag - 6.96
  3. Mg - 9.86
  4. Cu - 8.96
(정답률: 75%)
  • 정답은 "Cu - 8.96"입니다. 이유는 구리(Cu)의 원자량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리는 밀도가 높은 금속 중 하나이기 때문에 비중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구리의 원자기호와 비중과의 관계는 원자량이 크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비중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탄소강의 표준조직이 아닌 것은?

  1. 페라이트
  2. 트루스타이트
  3. 펄라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률: 60%)
  • 탄소강의 표준조직은 페라이트, 펄라이트, 시멘타이트입니다. 그러나 트루스타이트는 탄소강의 조직 중 하나가 아닙니다. 트루스타이트는 주로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등의 합금에서 발견되는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단일 금속에 비해 합금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용융점이 낮아진다.
  2. 전도율이 낮아진다.
  3. 강도와 경도가 커진다.
  4. 전성과 연성이 커진다.
(정답률: 41%)
  • 단일 금속에 비해 합금은 전성과 연성이 커진다. 이는 합금이 여러 종류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이 서로 다른 크기와 구조를 가지고 있어 결정 구조가 복잡해지고 결정 경계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결정 구조 내에서 원자들이 이동하기 쉬워져 전성과 연성이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통 합금보다 회복력과 회복량이 우수하여 센서(sensor)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겸비한 기능성 재료로 사용되는 합금은?

  1. 비정질 합금
  2. 초소성 합금
  3. 수소 저장 합금
  4. 형상 기억 합금
(정답률: 78%)
  • 형상 기억 합금은 온도나 응력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자신의 형상을 기억하고 이전의 형태로 돌아가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센서와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회복력과 회복량이 우수하여 기능성 재료로서 많이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체결하려는 부분이 두꺼워서 관통구멍을 뚫을 수 없을 때 사용되는 볼트는?

  1. 탭볼트
  2. T홈볼트
  3. 아이스볼트
  4. 스테이볼트
(정답률: 61%)
  • 탭볼트는 체결하려는 부분이 두꺼워서 관통구멍을 뚫을 수 없을 때 사용되는 볼트로, 나사 모양의 볼트에 내부에 탭을 달아서 나사를 돌리면 탭이 체결 대상물에 박히면서 고정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체결 대상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가장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은?

  1. 안장 키
  2. 평 키
  3. 묻힘 키
  4. 스플라인
(정답률: 70%)
  • 스플라인은 곡선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회전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더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양끝을 고정한 단면적 2cm2인 사각봉이 온도 -10℃에서 가열되어 50℃가 되었을 때, 재료에 발생하는 열응력은?(단 사각봉의 탄성계수는 21 GPa, 선팽창게수는 12×10-6/℃이다.)

  1. 15.1 MPa
  2. 25.2 MPa
  3. 29.9 MPa
  4. 35.8 MPa
(정답률: 27%)
  • 열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σ = EαΔT

    여기서,
    σ: 열응력 (Pa)
    E: 탄성계수 (GPa)
    α: 선팽창계수 (/℃)
    ΔT: 온도 변화량 (℃)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σ = 21 GPa × 12×10^-6/℃ × (50℃ - (-10℃))
    = 15.1 MPa

    따라서, 정답은 "15.1 MPa" 입니다. 이유는 주어진 공식에 따라 계산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나사에서 리드(L), 피치(P), 나사 줄 수(n)와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L = P
  2. L = 2P
  3. L = nP
  4. L = n
(정답률: 81%)
  • 정답: L = nP

    이유: 리드(L)는 피치(P)에 나사 줄 수(n)를 곱한 값과 같습니다. 즉, L = nP 입니다. 이는 나사가 한 번 회전할 때 나사가 이동하는 거리(L)는 피치(P)에 나사 줄 수(n)만큼 곱해진 값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피치가 1mm이고 나사 줄 수가 5일 경우, 한 번 회전할 때 나사가 이동하는 거리는 5mm가 됩니다. 따라서 L = 5P가 됩니다. 이와 같이, 나사의 리드(L)는 피치(P)와 나사 줄 수(n)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강도와 기밀을 필요로 하는 압력용기에 쓰이는 리벳은?

  1. 접시머리 리벳
  2. 둥근머리 리벳
  3. 납짝머리 리벳
  4. 얇은 납작머리 리벳
(정답률: 57%)
  • 강도와 기밀을 필요로 하는 압력용기에는 둥근머리 리벳이 쓰입니다. 이는 접시머리 리벳과 달리 머리가 둥그렇게 되어 있어서 압력이 분산되어 안정적인 결합력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납짝머리 리벳이나 얇은 납작머리 리벳은 강도가 낮아서 압력용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표준기어의 피치점에서 이끝까지의 반지름 방향으로 측정한 거리는?

  1. 이뿌리 높이
  2. 이끝 높이
  3. 이끝 원
  4. 이끝 틈새
(정답률: 58%)
  • 이끝 높이는 표준기어의 피치점에서 이끝까지의 반지름 방향으로 측정한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어의 톱니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이끝 높이가 적절하지 않으면 기어의 정확한 회전이 어렵고, 기어의 수명도 단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끝 높이는 기어 제작 및 조립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V벨트의 단면 형상에서 단면이 가장 큰 벨트는?

  1. A
  2. C
  3. E
  4. M
(정답률: 57%)
  • 정답은 "E"입니다. V벨트의 단면 형상에서 단면이 가장 큰 벨트는 E형입니다. 이는 E형 벨트가 더 많은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면적이 크다는 것은 벨트가 더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고, 더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E형 벨트는 더 큰 기계나 장비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풀리의 지름 200 mm, 회전수 900 rpm인 평벨트 풀리가 있다 벨트의 속도는 약 몇 m/s 인가?

  1. 9.42
  2. 10.42
  3. 11.42
  4. 12.42
(정답률: 34%)
  • 평벨트의 경우, 두 개의 풀리가 있을 때 두 풀리의 둘레길이가 같으므로, 한 풀리의 둘레길이를 구하면 벨트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둘레길이 = 지름 x π
    = 200 mm x 3.14
    = 628 mm

    회전수는 분당 회전수이므로, 초당 회전수로 변환해야 한다.

    900 rpm ÷ 60 = 15 rps

    벨트의 속도는 둘레길이 x 초당 회전수로 구할 수 있다.

    속도 = 628 mm x 15 rps
    = 9420 mm/s
    = 9.42 m/s

    따라서, 정답은 "9.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절삭부분)

16. 도면에서 2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서 중복되는 경우에 우선순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외형선 > 절단선 > 숨은선 > 치수 보조선 > 중심선 > 무게 중심선
  2. 외형선 > 숨은선 > 절단선 > 중심선 > 무게 중심선 > 치수 보조선
  3. 숨은선 > 절단선 > 외형선 > 중심선 > 무게 중심선 > 치수 보조선
  4. 숨은선 > 절단선 > 외형선 > 치수 보조선 > 중심선 > 무게 중심선
(정답률: 77%)
  • 정답은 "외형선 > 숨은선 > 절단선 > 중심선 > 무게 중심선 > 치수 보조선"입니다.

    외형선은 제품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으로,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습니다.

    숨은선은 제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선으로, 외형선 다음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절단선은 제품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선으로, 숨은선 다음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중심선은 제품의 중심축을 나타내는 선으로, 무게 중심선 다음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무게 중심선은 제품의 무게 중심을 나타내는 선으로, 치수 보조선보다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치수 보조선은 제품의 크기와 위치를 나타내는 보조적인 선으로, 가장 우선순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기하공차 기호와 그 의미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 평면도
  2. : 동축도
  3. : 경사도
  4. : 원통도
(정답률: 64%)
  • " : 경사도"가 틀린 것입니다. 기하학에서 경사도는 기울기를 나타내는 개념이며, 기하공차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 원통도"는 기하공차를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입니다. 원통도는 원기둥의 모양을 나타내며, 원기둥의 각 단면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도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품번 ③에서 사용하는 V벨트는 KS 규격품중에서 그 두께가 가장 작은 것이다.
  2. 품번 ④는 스퍼기어로서 피치원 지름은 62mm이다.
  3. 롤러베어링이 사용되었으며 안지름치수는 15mm이다.
  4. 축과 스퍼기어는 묻힘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정답률: 53%)
  • 품번 ④는 스퍼기어이며, 스퍼기어의 피치원 지름은 기어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품번 ④의 피치원 지름이 62mm인 것은 해당 스퍼기어의 크기가 62mm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치수 보조 기호 중 구의 반지름 기호는?

  1. SR
  2. ø
  3. R
(정답률: 73%)
  • 구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는 "SR"입니다. "S"는 sphere(구)의 첫 글자를 따온 것이고, "R"은 radius(반지름)의 첫 글자를 따온 것입니다. 따라서 "SR"은 구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ø20 h7"의 공차 표시에서 “7”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기준 치수
  2. 공차역의 위치
  3. 공차의 등급
  4. 틈새의 크기
(정답률: 68%)
  • "7"은 공차의 등급을 나타냅니다. 공차의 등급은 제품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작은 등급일수록 더 높은 정밀도를 가진 제품입니다. 따라서 "ø20 h7"은 직경이 20mm이고 공차 등급이 h7인 제품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나사 중 리드가 가장 큰 것은?

  1. 피치가 2.5mm인 2줄 나사
  2. 피치가 2.0mm인 3줄 나사
  3. 피치가 3.5mm인 2줄 나사
  4. 피치가 6.5mm인 1줄 나사
(정답률: 80%)
  • 리드는 나사 한 바퀴를 돌았을 때 나사가 나아가는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피치가 큰 나사일수록 한 바퀴를 돌았을 때 나사가 나아가는 거리가 크므로 리드가 큽니다. 따라서 "피치가 6.5mm인 1줄 나사"가 가장 리드가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국부 투상도를 나타낼 때 주된 투상도에서 국부 투상도로 연결하는 선이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치수선
  2. 중심선
  3. 기준선
  4. 치수 보조선
(정답률: 39%)
  • 국부 투상도에서는 치수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치수선은 부품의 크기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주된 투상도에서는 필요하지만 국부 투상도에서는 이미 부품의 크기와 위치가 명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치수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치수선은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이 벨트 풀리의 암 부분을 투상한 단면도법은?

  1. 부분 단면도
  2. 국부 단면도
  3. 회전도시 단면도
  4. 한쪽 단면도
(정답률: 55%)
  • 벨트 풀리의 암 부분을 투상한 단면도법은 회전하는 물체의 형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회전도시 단면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는 개념과 다르거나 부적절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표면의 결 도시기호가 그림과 같이 나타날 때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면의 결은 연삭으로 제작
  2. Ra = 1.6μm 에서 최대 Ry=6.3μm 까지로 제한
  3. 투상면에 대략 수직인 줄무늬 방향
  4. 샘플링 길이는 2.5μm
(정답률: 45%)
  • 표면의 결은 연삭으로 제작되어서 결의 방향과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Ra와 Ry로 표면의 거칠기를 제한하고, 투상면에 대략 수직인 줄무늬 방향으로 결의 크기를 측정합니다. 이때, 샘플링 길이는 결의 크기를 측정하는 간격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2.5μm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결의 크기를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것을 정면도로 할 때 가장 적합한 정면도는?

(정답률: 85%)
  • 정답인 ""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것과 가장 유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모습에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부분이 가장 크게 보이며, 그 다음으로는 그 부분과 수직인 부분이 보입니다. 따라서 이 모습을 정면도로 표현하면, 화살표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부분이 가장 길게 보이고, 그 다음으로는 그 부분과 수직인 부분이 보이게 됩니다. 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것과 가장 유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정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기어가공에서 창성법에 의한 가공이 아닌 것은?

  1. 호브에 의한 가공
  2. 형판에 의한 가공
  3. 래크 커터에 의한 가공
  4. 피니언 커터에 의한 가공
(정답률: 53%)
  • 형판에 의한 가공은 기어의 형상을 만들기 위해 미리 만들어진 형판을 사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반면에 호브, 래크 커터, 피니언 커터는 모두 창성법에 의한 가공 방법으로, 기어의 형상을 직접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형판에 의한 가공은 창성법에 의한 가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반작업에서 3개의 조가 120° 간격으로 구성 배치되어 있는 척은?

  1. 단동척
  2. 콜릿척
  3. 연동척
  4. 마그네틱척
(정답률: 74%)
  • 선반작업에서 3개의 조가 120° 간격으로 구성 배치되어 있는 척은 연동척입니다. 이는 각각의 조가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조를 조작하면 나머지 조도 함께 움직이게 됩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적으로 드릴링 머신에서 가공하기 곤란한 작업은?

  1. 카운터 싱킹
  2. 스플라인 홈
  3. 스폿 페이싱
  4. 리밍
(정답률: 57%)
  • 스플라인 홈은 일반적으로 드릴링 머신에서 가공하기 어려운 작업입니다. 이는 스플라인 홈이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드릴링 머신으로는 정확한 가공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스플라인 홈은 보통 기계 부품의 축이나 기어 등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부품들은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플라인 홈을 가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스플라인 홈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장비와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테이블 위에 설치하며 원형이나 윤곽 가공, 간단한 등분을 할 때 사용하는 밀링 부속장치는?

  1. 슬로팅 장치
  2. 회전 테이블
  3. 밀링 바이스
  4. 래크 절삭 장치
(정답률: 45%)
  • 밀링 작업 시에 회전 테이블은 테이블 위에 설치하여 회전시키면서 원형이나 윤곽 가공, 간단한 등분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테이블 위에 설치하며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진 회전 테이블이 밀링 부속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재질이 연한 금속을 가공할 때 칩이 공구의 윗면 경사면 위를 연속적으로 흘러 나가는 형태의 칩은?

  1. 전단형 칩
  2. 열단형 칩
  3. 유동형 칩
  4. 균열형 칩
(정답률: 77%)
  • 유동형 칩은 연한 금속을 가공할 때 칩이 공구의 윗면 경사면 위를 연속적으로 흘러 나가는 형태의 칩입니다. 이는 가공 중에 칩이 유동적으로 움직이며 형성되기 때문에 유동형 칩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공작법

31. 다음 중 수나사를 가공하는 공구는?

  1. 리머
  2. 다이스
  3. 스크레이퍼
(정답률: 60%)
  • 수나사는 외부에 나사 모양의 홈이 파여 있기 때문에, 이 홈을 따라서 나사를 만들어주는 공구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다이스는 외부에 나사 모양의 홈을 가진 물건을 가공할 때 사용하는 공구입니다. 따라서 수나사를 가공하는 공구로는 다이스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빌트업 에지(built up edge)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내용중 틀린 것은?

  1. 윤활성이 좋은 절삭 유제를 사용한다.
  2. 공구의 윗면 경사각을 크게 한다.
  3. 절삭 깊이를 크게 한다.
  4. 절삭 속도를 크게 한다.
(정답률: 70%)
  • 절삭 깊이를 크게 한다는 것은 더 많은 칩을 제거하므로 빌트업 에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지름이 50 mm인 연강을 선반에서 절삭할 때, 주축을 200 rpm으로 회전시키면 절삭 속도는 약 몇 m/min 인가?

  1. 21.4
  2. 31.4
  3. 41.4
  4. 51.4
(정답률: 64%)
  • 절삭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절삭속도 = 주축회전속도 × 원주

    원주 = 지름 × π

    따라서, 절삭속도 = 200 rpm × 50 mm × π / 1000 = 31.4 m/min

    따라서, 정답은 "31.4"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연삭숫돌 표시 방법 중 “60”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숫돌입자
  2. 입도
  3. 결합도
  4. 결합제
(정답률: 66%)
  • 위 그림은 연삭숫돌의 입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입도란 연삭숫돌의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숫돌입자가 작을수록 입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60"은 숫돌입자의 크기가 60 mesh(1 inch당 60개의 숫돌입자)라는 것을 나타내며, 숫돌입자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급 연삭숫돌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연삭숫돌의 다른 특성들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정답은 "입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으로 오토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진직도
  2. 직각도
  3. 평행도
  4. 구멍의 위치
(정답률: 65%)
  • 오토 콜리메이터는 물체의 표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구멍의 위치는 측정 가능합니다. 구멍의 위치는 측정 대상의 표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구멍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멍의 위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연마제를 가공액과 혼합한 것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가공물의 표면에 분사시켜 매끈한 다듬면을 얻는 가공법은?

  1. 슈퍼 피니싱
  2. 액체 호닝
  3. 폴리싱
  4. 버핑
(정답률: 74%)
  • 액체 호닝은 연마제와 가공액을 혼합하여 가공물의 표면에 분사시켜 매끈한 다듬면을 얻는 가공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액체 호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반적으로 선반작업에서 가공할 수 없는 가공법은?

  1. 외경 가공
  2. 테이퍼 가공
  3. 나사 가공
  4. 기어 가공
(정답률: 71%)
  • 기어 가공은 일반적으로 선반작업에서 가공할 수 없는 가공법입니다. 이는 기어의 형태와 복잡한 구조 때문에 선반작업으로는 가공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어 가공은 전용 기계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산화알루미늄 분말을 주성분으로 마그네슘, 규소 등의 산화물과 소량의 다른 원소를 첨가하여 소결한 절삭공구 재료는?

  1. 세라믹
  2. 다이아몬드
  3. 초경합금
  4. 고속도강
(정답률: 54%)
  • 산화알루미늄 분말과 다른 산화물, 원소를 소결하여 만든 절삭공구 재료는 세라믹이다. 이는 세라믹이 고온에서 안정적인 물질로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세라믹은 경도가 높아 절삭공구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절삭면적을 나타낼 때 절삭깊이와 이송량과의 관계는?

  1. 절삭면적 = 이송량 / 절삭깊이
  2. 절삭면적 = 절삭깊이 / 이송량
  3. 절삭면적 = 절삭깊이 × 이송량
  4. 절삭면적 = (이송량 × 절삭깊이) / 2
(정답률: 68%)
  • 절삭면적은 절삭기의 칼날이 잘라내는 면적을 의미합니다. 이 면적은 절삭깊이와 이송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절삭깊이가 깊을수록 절삭기의 칼날이 물체 내부로 더 깊이 들어가므로 절삭면적이 커집니다. 이송량이 많을수록 절삭기의 칼날이 물체를 더 많이 이동시키므로 절삭면적이 커집니다. 따라서 절삭면적은 절삭깊이와 이송량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으로 절삭가공에서 절삭유제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화유
  2. 다이나모유
  3. 광유
  4. 지방질유
(정답률: 49%)
  • 다이나모유는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윤활유로 사용되며, 절삭가공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이나모유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CNC공작법 및 안전관리

41. 밀링머신의 분할 가공방법 중에서 분할 크랭크를 40회전하면, 주축이 1회전하는 방법을 이용한 분할법은?

  1. 직접 분할법
  2. 단식 분할법
  3. 차동 분할법
  4. 각도 분할법
(정답률: 47%)
  • 단식 분할법은 분할 크랭크를 한 번 회전할 때마다 주축이 여러 번 회전하는 다른 분할법과는 달리, 분할 크랭크를 40회전해야 주축이 1회전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분할 크랭크를 회전시키는 횟수가 적어 다른 분할법에 비해 정확도가 높고, 간단하며 경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게이지 블록의 부속품 중 내측 및 외측을 측정할 때 홀더에 끼워 사용하는 부속품은?

  1. 둥근형 조
  2. 센터 포인트
  3. 베이스 블록
  4. 나이프 에지
(정답률: 44%)
  • 둥근형 조는 게이지 블록의 내측 및 외측을 측정할 때 홀더에 끼워 사용하는 부속품 중 하나입니다. 이는 둥근 형태로 제작되어 게이지 블록의 곡면에 따라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둥근형 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중 서버모터가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큰 출력을 낼 수 있어야 한다.
  2. 진동이 적고 대형이어야 한다.
  3. 온도상승이 적고 내열성이 좋아야 한다.
  4. 높은 회전각 정도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70%)
  • 서버모터가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특성 중 거리가 먼 것은 "진동이 적고 대형이어야 한다." 입니다. 이는 서버모터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진동이 적어야 하며, 대형일수록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서버모터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많은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큰 출력을 내야 하며, 온도상승이 적고 내열성이 좋아야 하며, 높은 회전각 정도를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NC의 서보기구를 위치 검출방식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폐쇄회로 방식(closed loop system)
  2. 반폐쇄회로 방식(semi-closed loop system)
  3. 반개방회로 방식(semi-open loop system)
  4. 복합회로 방식(hybrid servo system)
(정답률: 65%)
  • 반개방회로 방식은 위치 검출을 위해 엔코더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의 회전 속도와 시간을 측정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위치 검출 정확도가 낮아서 CNC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폐쇄회로 방식과 반폐쇄회로 방식은 엔코더를 사용하여 위치 검출 정확도를 높이는 방식이고, 복합회로 방식은 여러 가지 위치 검출 방식을 조합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NC 선반에서 드릴작업시 사용되는 기능은?

  1. G74
  2. G90
  3. G92
  4. G94
(정답률: 49%)
  • CNC 선반에서 드릴작업시 사용되는 기능은 G74입니다. G74는 주어진 깊이까지 드릴링을 수행하는 기능으로, 주로 편삭 작업에서 사용됩니다. G90는 절대좌표 지정 모드, G92는 원점 지정 모드, G94는 분당 주효율 지정 모드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기능들은 드릴링 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NC 선반에서 증분 지령 어드레스는?

  1. V, X
  2. U, W
  3. X, Z
  4. Z, W
(정답률: 73%)
  • CNC 선반에서 증분 지령 어드레스는 "U, W" 입니다. 이는 CNC 선반에서 X, Y, Z 축 이동을 제어하는 주축과는 별개로 회전을 제어하는 보조축을 의미하는데, U 축은 X축과 평행하게 움직이며 W 축은 Z축과 평행하게 움직입니다. 따라서 회전 작업을 수행할 때 U, W 축을 이용하여 증분 지령을 입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CNC 선반의 프로그램에서 자동원점 복귀를 나타내는 준비기능은?

  1. G00
  2. G28
  3. G50
  4. G96
(정답률: 69%)
  • G28은 CNC 기계에서 자동으로 원점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준비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에서 G28은 자동원점 복귀를 나타내는 기능입니다. G00은 빠른 이송, G50은 툴 오버라이드, G96은 고속 절삭 주기를 나타내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보조기능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00- 프로그램 정지
  2. M02- 프로그램 종료
  3. M03- 주축시계방향 회전
  4. M05- 주축반시계방향 회전
(정답률: 68%)
  • 정답은 "M05- 주축반시계방향 회전"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조기능들은 모두 프로그램의 제어와 관련된 기능이지만, M05는 주축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M05를 사용하면 주축이 시계방향이 아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일반적으로 CNC 선반에서 절삭동력이 전달되는 스핀들 축으로 주축과 평행한 축은?

  1. X축
  2. Y축
  3. Z축
  4. A축
(정답률: 54%)
  • CNC 선반에서 주축은 회전하면서 절삭도구를 가공물에 접근시키고 절삭동력을 전달합니다. 이때, 주축과 평행한 축은 절삭도구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축으로, 이 축을 Z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CNC 선반에서 절삭동력이 전달되는 스핀들 축으로 주축과 평행한 축은 Z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밀링작업에 대한 안전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전기의 누전여부를 작업전에 점검한다.
  2. 가공물의 기계를 정지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한다.
  3. 커터 날 끝과 같은 높이에서 절삭상태를 관찰한다.
  4. 기계 가동 중에는 자리를 이탈하지 않는다.
(정답률: 76%)
  • 커터 날 끝과 같은 높이에서 절삭상태를 관찰하는 것은 밀링작업 중에 커터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커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작업물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에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항을 준수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CNC 선반의 프로그램이다. ( ) 안에 들어갈 G-코드로 적합한 것은?

  1. G60
  2. G50
  3. G40
  4. G30
(정답률: 67%)
  • 이 프로그램에서 G50은 스피드 및 피드레이트를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에서는 G50이 적합한 G-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머시닝센터에서 지름 10mm인 엔드밀을 사용하여 외측 가공 후 측정값이 ø62.0mm가 되었다. 가공 치수를 ø61.5mm로 가공하려면 보정값을 얼마로 수정하여야 하는가?(단, 최초 보정은 5.0으로 반지름값을 사용하는 머시닝센터이다.)

  1. 4.5
  2. 4.75
  3. 5.5
  4. 5.75
(정답률: 43%)
  • 보정값은 가공치수와 측정치수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보정값은 가공치수에서 측정치수를 뺀 값입니다.

    최초 보정값은 5.0으로 반지름값을 사용했으므로, 가공치수는 2 * (반지름값 + 보정값) = 2 * (5.0 + 5.0) = 20.0mm 입니다.

    측정치수는 ø62.0mm 이므로, 반지름값은 31.0mm 입니다.

    따라서, 보정값은 가공치수에서 측정치수를 뺀 값인 20.0 - 31.0 + 61.5 = 50.5 - 31.0 = 19.5m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보정값이 아니라 수정된 보정값입니다. 따라서, 보정값에서 ø61.5mm를 가공하기 위해 추가로 보정해야 하는 값은 ø62.0mm에서 ø61.5mm로 가공하기 위해 줄여야 하는 값인 0.5mm 입니다.

    따라서, 수정된 보정값은 19.5mm - 0.5mm = 19.0m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7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NC 프로그램에서 EOB의 뜻은?

  1. 프로그램의 종료
  2. 블록의 종료
  3. 보조기능의 정지
  4. 주축의 정지
(정답률: 71%)
  • EOB는 End of Block의 약자로, CNC 프로그램에서 한 블록의 끝을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EOB는 "블록의 종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에서 A에서 B로 가공하는 CNC 선반 프로그램으로 옳은 것은?

  1. G02 X50.0 Z-10.0 R-10.0 F0.1 ;
  2. G02 X50.0 Z-10.0 R10.0 F0.1 ;
  3. G03 X50.0 Z-10.0 R10.0 F0.1 ;
  4. G04 X50.0 Z-10.0 I10.0 F0.1 ;
(정답률: 57%)
  • 정답은 "G02 X50.0 Z-10.0 R10.0 F0.1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G02: 원호 보간 모드를 설정합니다.
    - X50.0: X축 좌표를 50.0으로 설정합니다.
    - Z-10.0: Z축 좌표를 -10.0으로 설정합니다.
    - R10.0: 원호의 반지름을 10.0으로 설정합니다. 이는 현재 위치에서 원호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 F0.1: 이동 속도를 0.1로 설정합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현재 위치에서 X축으로 50.0, Z축으로 -10.0으로 이동하면서 반지름이 10.0인 원호를 그리며 이동 속도는 0.1로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NC 공작기계의 조작반 버튼 중 한 블록씩 실행시키는데 사용되는 버튼은?

  1. 드라이 런(Dry run)
  2. 피드 홀드(Feed hold)
  3. 싱글 블럭(Single block)
  4. 옵셔널 블록 스킵(Optional block skip)
(정답률: 73%)
  • 싱글 블럭 버튼은 CNC 공작기계에서 한 번에 한 블록씩 실행시키는데 사용되는 버튼입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CNC 시스템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 중지하고, 다음 블록을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블록씩 실행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체크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시 중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휴지(dwell)시간 지정을 의미하는 어드레스가 아닌 것은?

  1. X
  2. P
  3. U
  4. K
(정답률: 67%)
  • "X", "P", "U"는 모두 DRAM에서 사용되는 어드레스 라인이며, 각각 열 주소, 행 주소, 은행 주소를 나타냅니다. "K"는 휴지(dwell)시간을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아니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프로그램에서 N90 블록을 실행할 때 주축의 회전수는 몇 rpm 인가?

  1. 950
  2. 1000
  3. 1050
  4. 1100
(정답률: 52%)
  • 주어진 그림에서 1회전당 6개의 블록이 지나가므로, 1분당 블록이 지나가는 개수는 6 x 90 = 540개이다. 따라서 주축의 회전수는 540회전/분 이다. 이를 rpm으로 환산하면 540/60 = 9회전/초 이다. 따라서 주축의 회전수는 9 x 60 = 540 rp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1000이 있으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NC 공작기계에서 정보 흐름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지령펄스열 → 서보구동 → 수치정보 → 가공물
  2. 지령펄스열 → 수치정보 → 서보구동 → 가공물
  3. 수치정보 → 지령펄스열 → 서보구동 → 가공물
  4. 수치정보 → 서보구동 → 지령펄스열 → 가공물
(정답률: 59%)
  • CNC 공작기계에서 가공 작업은 먼저 수치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령펄스열이 생성됩니다. 이후 서보구동이 이루어져 실제로 가공 작업이 수행되며, 이 과정에서 가공물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옳은 정보 흐름의 순서는 "수치정보 → 지령펄스열 → 서보구동 → 가공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머시닝센터에서 작업평면이 Y-Z 평면일 대 지령되어야 할 코드는?

  1. G17
  2. G18
  3. G19
  4. G20
(정답률: 57%)
  • 머시닝센터에서 작업평면이 Y-Z 평면일 때 지령되어야 할 코드는 "G19"입니다. 이는 Y-Z 평면이 XY 평면에 대해 수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G19 코드는 Y-Z 평면을 선택하는 코드입니다. G17은 X-Y 평면, G18은 X-Z 평면, G20은 inch 단위로 설정하는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 수치제어가 뜻하는 것은?

  1. 수치와 부호로써 구성된 정보로 기계의 운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
  2. 사람이 기계의 손잡이를 조작하여 공구 및 공작물을 이동 제어하는 것
  3. 한 사람이 여러 대의 공작 기계를 운전, 조작 제어하며 작업하는 것
  4. 소재의 투입부터 가공, 출고까지 관리하는 것으로 공장전체 시스템을 무인화 하는 것
(정답률: 62%)
  • 수치제어는 기계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치와 부호로 표현하여 컴퓨터가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사람이 기계의 손잡이를 조작하여 제어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