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4-08)

전자계산기기능사
(2012-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수정발진기는 수정의 임피던스가 어떻게 될 때 가장 안정적인 발진을 계속하는가?

  1. 저항성
  2. 용량성
  3. 유도성
  4. 무한대
(정답률: 71%)
  • 수정발진기는 수정의 유도성이 가장 안정적인 발진을 유지하는데, 이는 수정 내부의 전하가 변화할 때 유도전하가 발생하여 전하의 변화를 완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도성이 높을수록 안정적인 발진이 가능하며, 저항성이나 용량성은 발진 주파수나 진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정적인 발진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무한대는 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적분회로의 입력에 구형파를 가할 때 출력파형은?(단 시정수(CR)은 입력 구형파의 펄스폭( )에 비해 매우 크다.)

  1. 정현파
  2. 삼각파
  3. 구형파
  4. 톱니파
(정답률: 50%)
  • 적분회로는 입력 신호의 평균값을 출력하는 회로이므로, 구형파의 경우 양극성이 번갈아가며 변하면서 평균값이 0이 되어 출력되지 않는다. 반면 삼각파는 양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평균값이 0이 아니며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적분회로의 입력에 구형파를 가할 경우 출력파형은 "삼각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의 회로에서 출력전압 V0의 크기는?(단, V는 실효값이다.)

(정답률: 52%)
  • 이 회로는 저항기와 콘덴서로 이루어진 저주파 통과 필터입니다. 콘덴서는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고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고주파일수록 출력신호의 크기는 유지되며, 저주파일수록 출력신호의 크기는 감소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신호의 주파수가 1kHz이므로, 출력신호의 크기는 입력신호의 크기보다 작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8100[KHz] 반송파를 5[KHz]의 주파수로 진폭 변조하였을 때 그 주파수 대역은 몇 [KHz]인가?

  1. 5
  2. 10
  3. 8100±5
  4. 8100±10
(정답률: 72%)
  • 주파수 변조는 원래의 반송파 주파수에 주파수 변화를 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81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주파수로 변조하면, 변조된 신호는 8095[KHz]에서 8105[K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게 됩니다. 이 범위는 "8100±5"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810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연산 증폭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직렬 차동 증폭기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2. 연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낮은 증폭도가 필요하다
  3. 차동 증폭기에서 TR 특성의 불일치로 출력해 드리프트가 생긴다.
  4. 직류에서 특정 주파수 사이의 되먹임 증폭기를 구성, 일정한 연산을 할 수 있도록 한 직류 증폭기이다.
(정답률: 49%)
  • 연산 증폭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연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낮은 증폭도가 필요하다" 입니다. 연산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때 입력 신호의 작은 변화도 정확하게 증폭해야 하므로 높은 증폭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연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높은 증폭도가 필요하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시정수가 매우 큰 RC 저역통과여파 회로의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적분기
  2. 미분기
  3. 가산기
  4. 감산기
(정답률: 46%)
  • RC 저역통과여파 회로는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RC 저역통과여파 회로는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시간에 따른 신호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고자 할 때, 적분기를 사용합니다. 적분기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의 크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C 저역통과여파 회로의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적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떤 증폭기에서 궤환이 없을 때 이득이 100이다. 궤환율 0.01의 부궤환을 걸면 이 증폭기의 이득은?

  1. 15
  2. 20
  3. 25
  4. 50
(정답률: 46%)
  • 궤환율 0.01의 부궤환을 걸면 궤환 없을 때의 이득의 1%만큼만 이득이 증폭되기 때문에 이득은 100 * 0.01 = 1이 된다. 따라서 부궤환을 걸면 이득은 100 + 1 = 101이 되고, 이는 원래 이득인 100보다 1% 증가한 값인 101%이다. 이를 소수로 나타내면 1.01이 되고, 이를 100으로 곱하면 10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측파대(single side band) 통신에 사용되는 변조 회로는?

  1. 컬렉터 변조회로
  2. 베이스 변조회로
  3. 주파수 변조회로
  4. 링 변조회로
(정답률: 47%)
  • 단측파대 통신에서는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전송하기 위해 변조를 사용합니다. 이때 링 변조회로는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전송하는데 효과적인 회로입니다. 링 변조회로는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두 개의 반대 상태의 신호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고 필요한 부분만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링 변조회로는 단측파대 통신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디지털 변조 방식이 아닌것은?

  1. AM
  2. FSK
  3. PSK
  4. ASK
(정답률: 76%)
  • AM은 아날로그 변조 방식이며, 디지털 변조 방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FSK, PSK, ASK는 모두 디지털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플립플롭 회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2진 계수회로
  2. 리미터 회로
  3. 분주회로
  4. 전자계산기 기억회로
(정답률: 39%)
  • 플립플롭 회로는 디지털 회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이며, 2진 계수회로, 분주회로, 전자계산기 기억회로는 모두 플립플롭 회로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리미터 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는 회로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플립플롭 회로를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구조

11. 다음 중 컴퓨터의 출력장치가 아닌 것은?

  1. 플로터
  2. 빔 프로젝터
  3. 모니터
  4. 마우스
(정답률: 83%)
  • 마우스는 컴퓨터의 입력장치이며, 사용자의 입력을 컴퓨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출력장치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ND연산에서 레지스터 내의 어느 비트 또는 문자를 지울 것인지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Parity bit
  2. Mask bit
  3. MSB(Mpst Significant Bit)
  4. LSB(Least Significant Bit)
(정답률: 78%)
  • AND 연산에서는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므로, 레지스터 내의 특정 비트를 0으로 만들어서 AND 연산의 결과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Mask bit입니다. Mask bit는 AND 연산에서 0으로 설정된 비트로,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레지스터 내의 값을 0으로 만들어서 AND 연산 결과를 제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Mask bi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존재하며, 수행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은?

  1. 캐시기억장치
  2. 보조기억장치
  3. ROM
  4. RAM
(정답률: 71%)
  • 캐시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중앙처리장치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나 명령어를 미리 저장해 놓는 고속의 기억장치입니다. 이렇게 미리 저장해 놓으면 중앙처리장치가 데이터나 명령어를 찾는 시간을 줄여 수행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캐시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누산기(Accumulator)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연산 부호를 해석하는 장치
  2. 연산 명령의 순서를 기억하는 장치
  3. 연산 명령이 주어지면 연산 준비를 하는 장치
  4. 레지스터의 일종으로 논리연산, 산술연산의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
(정답률: 75%)
  • 누산기는 레지스터의 일종으로, 논리연산이나 산술연산을 수행한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레지스터의 일종으로 논리연산, 산술연산의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컴퓨터에서 명령을 실행할 때 마이크로 동작을 순서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회로는?

  1. 분기동작 회로
  2. 인터럽트 회로
  3. 제어신호 발생회로
  4. 인터페이스 회로
(정답률: 43%)
  • 제어신호 발생회로는 컴퓨터에서 명령을 실행할 때 필요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CPU에서 발생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필요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마이크로 동작을 순서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제어신호 발생회로는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입.출력 제어방식인 DMA(direct memory access) 방식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앙처리장치의 많은 간섭을 받는다.
  2.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며 작업효율이 낮다.
  3. 입.출력에 관한 동작을 자율적으로 수행한다.
  4. 프로그램에 의한 방법과 인터럽트에 의한 방법을 갖고 있다.
(정답률: 67%)
  • DMA 방식은 입.출력 장치가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방식으로, 중앙처리장치의 간섭 없이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출력에 관한 동작을 자율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입력 장치로만 묶인 것은?

  1. OMR, OCR, CRT
  2. 프린터, 스피커, 플로터
  3. 플로터, 라이트 펜, 스캐너
  4. 마우스, 키보드, 스캐너
(정답률: 86%)
  • OMR, OCR, CRT은 입력 장치가 아니라 출력 장치 또는 입력/출력 장치이기 때문에 제외됩니다. 프린터, 스피커, 플로터는 출력 장치이므로 입력 장치로 묶일 수 없습니다. 플로터와 라이트 펜은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 입력 장치이므로 마우스, 키보드, 스캐너만 입력 장치로 묶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어떤 명령어의 형식인가?

  1. 단일 주소 명령어
  2. 2주소 명령어
  3. 3주소 명령어
  4. 4주소 명령어
(정답률: 64%)
  • 이 명령어는 두 개의 주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2주소 명령어"입니다. 첫 번째 주소는 명령어가 수행될 메모리 위치를 지정하고, 두 번째 주소는 해당 명령어에서 사용될 데이터의 메모리 위치를 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7비트로 한 문자를 나타내며 128문자까지 나타낼 수 있고 데이터 통신과 소형 컴퓨터에 많이 사용되는 코드는?

  1. ASCII 코드
  2. 표준 BCD 코드
  3. EBCDIC 코드
  4. GRAY 코드
(정답률: 86%)
  • ASCII 코드는 7비트로 한 문자를 나타내며 128문자까지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과 소형 컴퓨터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ASCII 코드는 표준화되어 있어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에서 호환성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과 같이 컴퓨터 내부에서 2진수 자료를 표현하는 방식은?

  1. 팩 형식(pack format)
  2. 부동 소수점 형식(floating point format)
  3. 고정 소수점 형식(fixed point format)
  4. 언팩 형식(unpack format)
(정답률: 73%)
  • 이 그림은 부동 소수점 형식(floating point format)으로 2진수 자료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지수와 가수를 나누어 표현하는 방식으로, 큰 수와 작은 수를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부동 소수점 형식으로 표현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컴퓨터 인터럽트 입출력 방식의 처리 방식이 아닌 것은?

  1. 소프트웨어 폴링
  2. 데이지 체인
  3. 우선순위 인터럽트
  4. 핸드쉐이크
(정답률: 69%)
  • 핸드쉐이크는 인터럽트 방식이 아니라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핸드쉐이크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송수신기 간에 서로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핸드쉐이크는 컴퓨터 인터럽트 입출력 방식의 처리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0진수 114를 16진수로 변환하면?

  1. 52
  2. 62
  3. 72
  4. 82
(정답률: 67%)
  • 10진수 114를 16진수로 변환하면 72가 됩니다. 이는 16진수에서 10부터 15까지는 A부터 F로 표현되므로, 114를 16으로 나눈 몫이 7이고 나머지가 2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14를 16진수로 변환하면 7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유하고 있는 통신 회선에 대한 제어신호를 각 노드 간에 순차적으로 옮겨가면서 수행하는 방식은?

  1. CSMA 방식
  2. CD 방식
  3. TOKEN PASSING 방식
  4. ALOHA 방식
(정답률: 70%)
  • 다른 방식들은 충돌을 감지하고 대처하는 방식이지만, TOKEN PASSING 방식은 각 노드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토큰을 받아서 통신을 수행하고, 다시 다음 노드에게 토큰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충돌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다른 방식들과는 달리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산 후 입력 자료가 보존되고 프로그램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명령 수행시간이 많이 걸리는 주소 지정 방식은?

  1. 0 주소 명령 형식
  2. 1 주소 명령 형식
  3. 2 주소 명령 형식
  4. 3 주소 명령 형식
(정답률: 53%)
  • 3 주소 명령 형식은 연산에 필요한 모든 주소를 명령어에 포함시켜 사용하는 방식으로, 연산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명령어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에 명령어의 길이가 길어지지만, 연산 후 입력 자료가 보존되고 프로그램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명령어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명령 수행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통신을 원하는 두 개의 개체 간에 무엇을, 어떻게, 언제 통신할 것인가를 서로 약속한 규약으로 컴퓨터 간에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규칙은?

  1. OPERATING SYSTEM
  2. DOMAIN
  3. PROTOCOL
  4. DBMS
(정답률: 56%)
  • 프로토콜은 컴퓨터 간에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규칙으로,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전송할 것인지, 어떤 포맷으로 통신할 것인지, 어떤 에러 처리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 등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통신을 원하는 두 개의 개체 간에 무엇을, 어떻게, 언제 통신할 것인가를 서로 약속한 규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 집적한 것이다.
  2. CPU라고 하며 사람의 두뇌에 해당한다.
  3. 연산, 제어, 기억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도스용과 윈도우용으로 구분하여 생산한다.
(정답률: 74%)
  • "도스용과 윈도우용으로 구분하여 생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CPU가 아닌 소프트웨어인 운영체제(OS)의 생산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CPU는 운영체제와 상관없이 하드웨어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복수 개의 입력단자와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가진 다출력 조합회로로서 입력단자에 어떤 조합의 부호가 가해졌을 때 그 조합에 대응하여 출력단자에 변형된 조합의 신호가 나타나도록 하는 회로는?

  1. complement
  2. full adder
  3. decoder
  4. parity generator
(정답률: 53%)
  • 복수 개의 입력단자와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가진 다출력 조합회로 중에서 입력단자에 어떤 조합의 부호가 가해졌을 때 그 조합에 대응하여 출력단자에 변형된 조합의 신호가 나타나도록 하는 회로는 "decoder" 입니다. decoder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의 조합에 따라 출력 신호의 조합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입력단자에 어떤 조합의 부호가 가해졌을 때 그 조합에 대응하여 출력단자에 변형된 조합의 신호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은 decoder의 기능과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최대 클록 주파수가 가장 높은 논리 소자는?

  1. TTL
  2. ECL
  3. MOS
  4. CMOS
(정답률: 73%)
  • ECL은 "Emitter-Coupled Logic"의 약자로, 다른 논리 소자들과는 달리 전류를 이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클록 주파수가 매우 높습니다. 이는 ECL이 빠른 전이속도와 높은 전류를 사용하여 빠른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CL은 고속 동작이 필요한 곳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IC의 분류 중 집적도가 가장 큰 것은?

  1. SSI
  2. MSI
  3. LSI
  4. VLSI
(정답률: 65%)
  • VLSI가 가장 큰 집적도를 가지는 이유는, Very Large Scale Integration의 약자로, 수백만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하나의 칩에 집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IC 분류인 SSI, MSI, LSI보다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더 작은 크기와 더 낮은 전력 소비를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주소지정 방식 중에서 명령어가 현재 오퍼랜드에 표현된 값이 실제 데이터의 주소가 아니고, 그 곳에 기억된 내용이 실제 데이터 주소인 방식은?

  1. 간접 주소지정방식(indirect addressing)
  2. 즉시 주소지정방식(immediate addressing)
  3. 상대 주소지정방식(relative addressing)
  4. 직접 주소지정방식(direct addressing)
(정답률: 62%)
  • 간접 주소지정방식은 명령어가 실제 데이터의 주소가 아닌 그 곳에 기억된 내용이 실제 데이터 주소인 방식입니다. 즉, 오퍼랜드에는 실제 데이터의 주소가 아닌 다른 주소가 들어가고, 그 주소에 저장된 값이 실제 데이터의 주소가 됩니다. 이 방식은 포인터(Point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참조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일반

31.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 가능도 향상
  2. 처리 능력 향상
  3. 신뢰성 향상
  4. 응답 시간 연장
(정답률: 79%)
  • 운영체제의 목적은 사용 가능도, 처리 능력,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응답 시간을 연장하는 것은 사용자가 시스템의 반응성을 느끼는 것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목적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프로그램 문서화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요식적 절차이다.
  2.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3. 개발 중간의 변경사항에 대하여 대처가 용이하다.
  4.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 및 과정을 표준화하여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정답률: 62%)
  • 프로그램 문서화는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요식적 절차이다는 것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서화를 통해 개발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함으로써, 개발자들이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유지보수 및 변경사항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문서화는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의 유지보수와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Linking
  2. Coding
  3. Loading
  4. Debugging
(정답률: 79%)
  • Debugging은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Linking은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드는 작업, Coding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 Loading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ebugg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2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
  2. 호환성이 없다.
  3. 프로그램의 실행속도가 빠르다.
  4.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66%)
  • 기계어는 2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하고, 호환성이 없으며 프로그램의 실행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데, 이는 기계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유지보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것은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이항연산에 해당하는 것은?

  1. SHIFT
  2. XOR
  3. MOVE
  4. COMPLEMENT
(정답률: 62%)
  • 이항연산은 두 개의 비트나 바이트를 대상으로 하는 연산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XOR은 배타적 논리합 연산으로, 두 비트 중 하나만 1일 때 1을 반환하고, 두 비트가 모두 0이거나 모두 1일 때는 0을 반환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XOR은 데이터 암호화, 오류 검출 및 수정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운영체제의 운영 기법 중 일정량 또는 일정 기간동안 데이터를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은?

  1. 시분할 시스템
  2.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3. 실시간 처리 시스템
  4. 일괄 처리 시스템
(정답률: 84%)
  • 일괄 처리 시스템은 일정량 또는 일정 기간동안 데이터를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다른 세 가지 운영 기법은 실시간 처리, 시분할, 다중 프로그래밍으로 각각 실시간 처리, 사용자와 컴퓨터의 상호작용,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괄 처리 시스템은 이들과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페이지 교체 기법 중 기억공간에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제일 먼저 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1. LFU
  2. NUR
  3. LRU
  4. FIFO
(정답률: 68%)
  • FIFO는 "First-In, First-Out"의 약자로,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기억공간에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제일 먼저 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FIF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프로그램 개발 순서가 옳은 것은?

  1. 분석 및 설계-구현단계-운영단계-전산화계획
  2. 구현단계-운영단계-전산화계획-분석 및 설계
  3. 운영단계-전산화계획-분석 및 설계-구현단계
  4. 전산화계획-분석 및 설계-구현단계-운영단계
(정답률: 50%)
  • 프로그램 개발의 첫 단계는 전산화계획으로 시작하며, 이후에는 분석 및 설계, 구현단계, 운영단계 순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산화계획-분석 및 설계-구현단계-운영단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C 언어의 기억 클래스(Storage class)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
  2. 자동 변수(Automatic Variable)
  3. 정적 변수(Static Variable)
  4. 레지스터 변수(Register Variable)
(정답률: 58%)
  • 내부 변수는 C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기억 클래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C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열 출력 함수는?

  1. puts()
  2. prints()
  3. putchar()
  4. printchar()
(정답률: 76%)
  • 정답은 "puts()"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puts()" 함수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prints()" 함수는 C 언어에서 제공되지 않는 함수입니다.
    - "putchar()" 함수는 한 문자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printchar()" 함수는 C 언어에서 제공되지 않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puts()"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디지털공학

41. 불 대수 Z = AC + ABC 를 간단히 하면?

  1. A
  2. AB
  3. BC
  4. AC
(정답률: 75%)
  • 불 대수에서 AB = A∩B 이므로, Z = AC + A∩BC.

    여기서 A∩BC는 A와 B의 교집합인데, A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A∩BC는 A와 같다.

    따라서 Z = AC + A = AC.

    즉, Z는 AC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한 수에서 다음 수로 진행할 때 오직 한 비트만 변화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을 부호화 하는데 가장 적합한 코드는?

  1. 3초과 코드
  2. BCD 코드
  3. 그레이 코드
  4. 패리티 코드
(정답률: 53%)
  • 그레이 코드는 한 비트만 변화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을 부호화하는데 가장 적합한 코드입니다. 다른 코드들은 한 비트가 변할 때마다 여러 비트가 변화하기 때문에 부호화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하나의 입력 회선을 여러 개의 출력 회선에 연결하여 선택 신호에서 지정하는 하나의 회선에 출력하는 분배기라고도 하는 것은?

  1. 비교기(comparator)
  2. 3 초과 코드(excess-3 code)
  3.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or)
  4. 코드 변환기(code converter)
(정답률: 81%)
  • 디멀티플렉서는 하나의 입력 회선을 여러 개의 출력 회선에 연결하여 선택 신호에서 지정하는 하나의 회선에 출력하는 분배기이기 때문입니다. 즉, 하나의 입력 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 신호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레지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항 소자의 일종이다.
  2. 레지스터는 4비트만 저장할 수 있다.
  3.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4. ROM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67%)
  •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회로 요소로,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플립플롭 회로는 1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디지털 회로 요소이며, 이를 여러 개 결합하여 레지스터를 구성합니다. 따라서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디코더 회로가 4개의 입력단자를 갖는다면 출력단자는 몇 개를 가지는가?

  1. 2개
  2. 4개
  3. 8개
  4. 16개
(정답률: 64%)
  • 디코더 회로는 입력에 따라 출력을 선택하는 회로로, 입력단자의 개수에 따라 출력단자의 개수가 결정된다. 입력단자가 4개인 디코더 회로는 2의 4승인 16개의 출력단자를 가진다. 이는 입력의 모든 조합에 대해 출력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6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JK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성하려고 한다.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자는?

  1. CK
  2. J
  3. K
  4. J와K
(정답률: 66%)
  • JK플립플롭은 J와 K 입력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 입력 단자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J와 K 입력 단자는 각각 "Set"과 "Reset" 동작을 수행하며,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자는 J와 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2진수 (1010)2 의 1의 보수를 3초과 코드로 변환한 것은?

  1. 1000
  2. 1001
  3. 1100
  4. 1101
(정답률: 51%)
  • 1의 보수란,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1010)2의 1의 보수는 (0101)2입니다.

    3초과 코드는, 첫 번째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를 그대로 유지하고, 첫 번째 비트만 반전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0101)2의 3초과 코드는 (1000)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가산기에서 입력 A=1이고 B=0이면 출력 합(S)와 올림수(C)는?

  1. S=1, C=0
  2. S=0, C=0
  3. S=1, C=1
  4. S=0, C=1
(정답률: 80%)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올림수(C)를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입력 A=1이고 B=0이므로, A와 B 중 하나는 1이고 다른 하나는 0입니다. 이 경우, 합(S)은 1이 되고, 올림수(C)는 0이 됩니다. 이유는 두 개의 입력 중 하나가 1이므로 합(S)은 1이 되고, 두 개의 입력 중 둘 다 1이 아니므로 올림수(C)는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S=1, C=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동기형 16진수 계수기를 만들려면 JK플립플롭이 최소 몇 개가 필요한가?

  1. 3
  2. 4
  3. 8
  4. 16
(정답률: 77%)
  • 동기형 16진수 계수기는 16개의 상태를 가지므로, 최소한 4개의 비트가 필요합니다. JK플립플롭은 2진수 계수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립플롭이므로, 4개의 JK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각각의 플립플롭은 4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총 16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일반적으로 디지털 시스템과 아날로그 시스템을 비교할 때 디지털 시스템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도가 높다.
  2. 측정오차가 없다.
  3. 정보의 기억이 쉽다.
  4. 신호의 형태가 연속적이다.
(정답률: 63%)
  • 디지털 시스템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신호의 형태가 연속적이지 않습니다. 디지털 신호는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되어 이산적인 값을 가지기 때문에 연속적인 형태를 가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호의 형태가 연속적이다."가 일반적인 디지털 시스템의 특징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논리회로 기호에서 입력 A=1, B=0 일 때 출력 S의 값은?

  1. Y=0
  2. Y=1
  3. Y=이전상태
  4. Y=반대상태
(정답률: 61%)
  • 입력 A=1, B=0 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은 0이 되고, 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된다. 이렇게 되면 NOT 게이트의 입력은 1이 되어 출력은 0이 된다. 따라서 출력 S의 값은 0이 된다.

    정답이 "Y=0" 인 이유는 출력 S가 Y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출력 S의 값이 Y의 값이 된다. 따라서 출력 S가 0이면 Y도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JK 플립플롭에서 J입력과 K입력이 1 일 때 출력은 clock에 의해 어떻게 되는가?

  1. 0
  2. 1
  3. 반전
  4. 현 상태 그대로 출력
(정답률: 79%)
  • JK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 JK 플립플롭은 이전 상태를 반전시키게 됩니다. 이는 J와 K 입력이 모두 1일 때, 토글 동작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스위치 회로와 같은 게이트는?

  1. AND
  2. OR
  3. NAND
  4. XOR
(정답률: 70%)
  • 이 스위치 회로는 두 개의 입력(A와 B)과 하나의 출력(Y)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A와 B가 모두 ON(1) 상태일 때만 출력 Y가 ON(1) 상태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AND 게이트와 동일하므로 정답은 "AN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디지털 계수기에서 계수기가 주로 사용되는 회로는?

  1.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시미터 트리거 회로
(정답률: 57%)
  • 디지털 계수기에서는 주로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가 사용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상승/하강 에지에 따라 출력이 교대로 바뀌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주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는 안정적인 출력을 유지할 수 있어서, 계수기에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4단의 계수기는 몇 개의 펄스를 셀 수 있는가?

  1. 4
  2. 8
  3. 10
  4. 16
(정답률: 78%)
  • 4단의 계수기는 2진수로 표현하면 4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단의 계수기는 2의 4승인 16개의 펄스를 셀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5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2진 계수기의 모듈러스(modulus)는 몇 개인가?

  1. 5
  2. 8
  3. 16
  4. 32
(정답률: 67%)
  • 2진 계수기에서 5개의 플립플롭은 2^5 = 32 개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각 플립플롭이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4 변수 카르노 맵에서 최소항(minterm)의 개수는?

  1. 4
  2. 8
  3. 12
  4. 16
(정답률: 68%)
  • 4 변수 카르노 맵에서 최소항의 개수는 16입니다. 이는 4 변수 카르노 맵에서 가능한 최대 크기인 16개의 칸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각 칸은 하나의 최소항을 나타내며, 모든 최소항을 포함하는 최소항 집합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칸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4 변수 카르노 맵에서 최소항의 개수는 16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출력은 입력과 같으며 이떤 내용을 일시적으로 보존하거나 전해지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플립플롭은?

  1. RS
  2. D
  3. T
  4. JK
(정답률: 70%)
  • D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가 변화할 때마다 출력이 업데이트되는 플립플롭으로, 입력 신호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출력은 입력과 같으며 이떤 내용을 일시적으로 보존하거나 전해지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기능을 가진 플립플롭은 D 플립플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불 대수식 중 성립하지 않는 것은?

(정답률: 67%)
  • 답은 "" 입니다.

    이유는 불 대수에서 AND 연산자는 둘 다 참일 때만 참이 되는데, "" 식에서는 x가 0이면 첫 번째 항이 거짓이 되어 전체 식이 거짓이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동기형 2진 계수기
  2. 동기형 4진 계수기
  3. 2진 리플 계수기
  4. 4진 리플 계수기
(정답률: 34%)
  • 이 회로는 4진 리플 계수기이다. 이유는 카운터의 출력이 4진수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카운터는 4진수로 0부터 3까지 총 4개의 상태를 가지며, 이 상태가 리플되어 다시 0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이 회로는 4진 리플 계수기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