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20)

전자계산기기능사
(2012-10-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발진기는 부하의 변동으로 인하여 주파수가 변하게 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진기와 부하 사이에 넣는 회로는?

  1. 동조 증폭기
  2. 직류 증폭기
  3. 결합 증폭기
  4. 완충 증폭기
(정답률: 64%)
  • 발진기와 부하 사이에 넣는 회로는 발진기의 주파수 변동을 완충하고 증폭하여 부하에 안정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완충 증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데이터 전송에 있어 시간 지연을 만드는 플립플롭은?

  1. D
  2. T
  3. RS
  4. JK
(정답률: 74%)
  • 플립플롭 중에서 RS, JK, T 플립플롭은 동기식 플립플롭으로, 클럭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시간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하지만 D 플립플롭은 비동기식 플립플롭으로, 입력 신호가 변화할 때마다 출력이 바로 반영되기 때문에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 플립플롭은 데이터 전송에 있어 시간 지연을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저항 25Ω, 리액턴스 7Ω의 부하에 100V를 가할 때 전류의 유효분은 몇 A인가?

  1. 1.51A
  2. 2.51A
  3. 3.84A
  4. 4.61A
(정답률: 56%)
  • 전류의 유효분은 전압과 저항 또는 리액턴스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압 = 100V
    저항 = 25Ω
    리액턴스 = 7Ω

    전류의 유효분 = 전압 / (저항^2 + 리액턴스^2)의 제곱근
    = 100 / (25^2 + 7^2)의 제곱근
    = 100 / (625 + 49)의 제곱근
    = 100 / 674의 제곱근
    ≈ 3.84A

    따라서 정답은 "3.84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AM 변조에서 변조도가 100%보다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반송파가 점유하는 전력은?(단, 피변조파의 전력은 일정할 때의 경우임)

  1. 동일하다.
  2. 커진다.
  3. 적어진다.
  4. 없다.
(정답률: 64%)
  • AM 변조에서 변조도가 100%보다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반송파가 점유하는 전력은 커진다. 이는 변조도가 낮아질수록 캐리어 신호와 변조 신호의 차이가 줄어들어 반송파의 전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조도가 낮아질수록 반송파의 전력이 더 많이 점유하게 되어 전체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저주파 발진기의 출력 파형을 정현파에 가깝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회로는?

  1. 저역 여파기(LPF)
  2. 수정 여파기
  3. 대역 소거 여파기(BEF)
  4. 고역 여파기(HPF)
(정답률: 55%)
  • 저주파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출력 파형은 사각파나 삼각파 등의 비정형 파형이므로, 이를 정현파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서는 파형의 고조파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회로가 저역 여파기(LPF)입니다. LPF는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고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 회로로, 저주파 발진기의 출력 신호에서 고조파를 제거하여 정현파에 가까운 파형을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저역 여파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원주파수가 60Hz인 정류회로에서 출력에 120Hz인 리플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류회로방식은?

  1. 단상 반파정류
  2. 단상 전파정류
  3. 3상 반파정류
  4. 3상 전파정류
(정답률: 50%)
  • 단상 전파정류는 전원주파수가 60Hz인 경우, 반파주파수인 120Hz의 리플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류회로 방식입니다. 이는 단상 반파정류와는 달리, 전압이 음수인 부분도 정류하여 출력 전압이 더욱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단상 전파정류가 120Hz의 리플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류회로 방식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B급 푸시풀 증폭기에서 트랜지스터의 부정합에 의한 찌그러짐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위상 찌그러짐
  2. 바이어스 찌그러짐
  3. 변조 찌그러짐
  4. 크로스 오버 찌그러짐
(정답률: 50%)
  • B급 푸시풀 증폭기에서는 양쪽 트랜지스터가 균등하게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교대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트랜지스터의 부정합으로 인해 한쪽 트랜지스터가 다른 쪽보다 더 빨리 작동하거나 늦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출력 신호의 위상이 변형되어 찌그러진 모양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크로스 오버 찌그러짐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0.2V의 교류입력이 20V로 증폭되었다면 증폭이득은 몇 dB인가?

  1. 10 dB
  2. 20 dB
  3. 30 dB
  4. 40 dB
(정답률: 46%)
  • 증폭이득은 20log(Vout/Vin)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log(20/0.2) = 40 dB가 됩니다. 20V로 증폭된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의 100배에 해당하므로, 20log(100) = 40 d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증폭회로중 100% 궤환하는 것은?

  1. 전압 궤환 회로
  2. 전류 궤환 회로
  3. 이미터 플로어 회로
  4. 정격 궤환 회로
(정답률: 40%)
  • 이미터 플로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전압을 증폭시키는 동시에 출력 신호의 전류를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100% 궤환을 할 수 있습니다. 다른 회로들은 전압이나 전류 중 하나만 증폭시키는 경우가 있어서 궤환 효율이 100%가 아닐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시미트 트리거 회로
  2. 미분회로
  3. 적분회로
  4. 비교회로
(정답률: 54%)
  • 이 회로는 입력 신호를 미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분회로"라고 부릅니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구조

11. 10진수 85를 BCD코드로 변환하면?

  1. 0101 0101
  2. 1010 1010
  3. 1000 0101
  4. 0111 1010
(정답률: 82%)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서 각각을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85를 4비트씩 나누면 1000(8)과 0101(5)가 됩니다. 이를 이진수로 변환하면 1000은 8을 나타내는 이진수 1000과 같고, 0101은 5를 나타내는 이진수 0101과 같습니다. 따라서 BCD 코드로 변환한 결과는 "1000 010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입력장치의 종류가 아닌것은?

  1. 스캐너 (scanner)
  2. 라이트 펜 (Light pen)
  3. 디지타이저 (Digitizer)
  4. 플로터 (Flotter)
(정답률: 83%)
  • "플로터 (Flotter)"는 출력장치의 일종으로, 입력장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로터 (Flot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컴퓨터의 ALU의 입력에 접속된 레지스터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와 연산결과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는?

  1. 누산기
  2. 스택포인터
  3. 프로그램 카운터
  4. 명령 레지스터
(정답률: 79%)
  • ALU는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누산기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누산기는 ALU의 입력에 접속된 레지스터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와 연산결과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명령의 오퍼랜드 부분의 주소값과 프로그램 카운터의 값이 더해져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소의 주소를 나타내는 주소지정방식은?

  1. 베이스 레지스터 저장방식
  2. 상대 주소 지정방식
  3. 인덱스 레지스터 주소방식
  4. 간접 주소 지정방식
(정답률: 52%)
  • 상대 주소 지정방식은 명령어에서 오퍼랜드 부분에 상대적인 주소값을 지정하고, 이를 프로그램 카운터의 값과 더해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소의 주소를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베이스 레지스터나 인덱스 레지스터와 같은 추가적인 레지스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대적인 주소값을 표현할 수 있어 메모리 접근이 간편하고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상대 주소 지정방식이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한 우선순위(Priority) 체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폴링 방법이라고 한다.
  2.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3. 인터럽트 요청장치의 패널에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반응속도가 느리다.
  4. 하드웨어 우선순위 체제에 비해 우선순위의 변경이 매우 복잡하다.
(정답률: 47%)
  • "하드웨어 우선순위 체제에 비해 우선순위의 변경이 매우 복잡하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소프트웨어 우선순위 체제에서는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입니다. 소프트웨어 우선순위 체제에서는 우선순위를 변경하기 위해 간단한 코드 수정만으로도 가능합니다. 반면 하드웨어 우선순위 체제에서는 하드웨어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우선순위 변경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두 개의 통신 회선을 사용하여 접속된 두 장치 사이에서 동시에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은?

  1. 전이중 통신방식
  2. 단방향 통신방식
  3. 반이중 통신방식
  4. 독립 이중 통신 방식
(정답률: 76%)
  • 두 개의 통신 회선을 사용하여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전이중 통신방식이라고 합니다. 다른 통신 방식들은 단방향이나 반이중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독립 이중 통신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8진수 62를 2진수로 변환하면?

  1. 110 101
  2. 110 010
  3. 111 010
  4. 101 101
(정답률: 81%)
  • 8진수 62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8진수 62를 10진수로 변환합니다.
    62(8) = 6x8^1 + 2x8^0 = 50(10)

    2. 10진수 50을 2진수로 변환합니다.
    50(10) = 110010(2)

    따라서, 8진수 62를 2진수로 변환하면 "110 010"이 됩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110 010"인 이유는 위의 과정을 따라가면서 계산한 결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계산 결과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컴퓨터 내부에서 정보(자료)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부호는?

  1. 2 진법
  2. 8진법
  3. 10 진법
  4. 16 진법
(정답률: 81%)
  • 컴퓨터는 전기 신호로 정보를 처리하므로, 이를 0과 1로 표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부호가 2 진법입니다. 2 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만으로 모든 수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컴퓨터는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합니다. 따라서 컴퓨터 내부에서는 2 진법이 가장 기본적인 부호 체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AND 연산에서 레지스터 내의 어느 비트 또는 문자를 지울 것인지 결정하는 데이터는?

  1. mask bit
  2. parity bit
  3. sign bit
  4. check bit
(정답률: 72%)
  • AND 연산에서는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므로, 어떤 비트를 지울 것인지 결정하는 데이터는 해당 비트를 0으로 만들어서 AND 연산 결과가 항상 0이 되도록 하는 "mask bit"이다. 다른 보기들은 AND 연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비트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시스템 프로그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로더
  2. 컴파일러
  3. 엑셀
  4. 운영체제
(정답률: 73%)
  • 엑셀은 시스템 프로그램이 아닌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로더, 컴파일러, 운영체제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하나의 채널이 고속 입출력 장치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관리하며,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채널은?

  1. 사이클 채널 (Cycle channel)
  2. 셀렉터 채널 (Selector channel)
  3. 멀티플렉서 채널 (Multiplexer channel)
  4. 블록 멀티플렉서 채널 (Block multiplexor channel)
(정답률: 64%)
  • 셀렉터 채널은 고속 입출력 장치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관리하며,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채널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하나의 장치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며, 블록 단위로 전송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패리티 규칙으로 코드의 내용을 검사하여 잘못된 비트를 찾아서 수정할 수 있는 코드는?

  1. 3초과 코드
  2. 그레이 코드
  3. ASCII 코드
  4. 해밍 코드
(정답률: 82%)
  • 해밍 코드는 패리티 규칙을 이용하여 코드의 내용을 검사하고, 잘못된 비트를 찾아서 수정할 수 있는 코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해밍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에 수행 될 명령어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은?

  1. Instruction
  2. Stack pointer
  3. Program counter
  4. Accumulator
(정답률: 73%)
  • 다음에 수행 될 명령어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은 "Program counter" 입니다. 이는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입니다. CPU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완료하면 Program counter가 가리키는 주소로 이동하여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2 진수 데이터 1100 1010과 1001 1001을 AND 연산한 경우 결과값은?

  1. 1101 1011
  2. 1001 0100
  3. 1000 1000
  4. 0110 0101
(정답률: 76%)
  • AND 연산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1을 반환하므로, 각 자리수마다 1과 0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면 됩니다.

    1100 1010
    AND 1001 1001
    -----------
    1000 1000

    위와 같이, 두 수의 각 자리수를 비교하여 모두 1인 경우에만 1을 반환하므로, 결과값은 1000 1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전가산기는 어떠한 회로로 구성되는가?

  1. 반가산기 2개와 OR 게이트 1개
  2. 반가산기 1개와 OR 게이트 2개
  3.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 1개
  4. 반가산기 1개와 AND 게이트 2개
(정답률: 59%)
  • 전가산기는 입력으로 A, B, Carry-in을 받아서 출력으로 Sum과 Carry-out을 내보내는 회로입니다. 반가산기는 입력으로 A와 B를 받아서 출력으로 Sum과 Carry를 내보내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전가산기는 A와 B를 더하는 과정에서 Carry-in을 고려해야 하므로 반가산기 2개를 사용하고, 이 두 개의 반가산기의 출력값을 OR 게이트로 연결하여 Carry-out을 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가산기 2개와 OR 게이트 1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소의 개념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보조기억장치로서 순서에 의해서만 접근하는 기억장치(SASD)라고도 하는 것은?

  1. 자기디스크
  2. 자기테이프
  3. 자기코어
(정답률: 80%)
  • 자기테이프는 순서에 따라 접근하는 기억장치이기 때문에 주소 개념이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자기테이프는 순차적으로 읽고 쓰는데 최적화되어 있어서 랜덤 액세스보다는 순차 액세스에 더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SASD라고도 불리는 자기테이프가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입출력 장치의 동작 속도와 컴퓨터 내부의 동작 속도를 맞추는데 사용되는 레지스터는?

  1. 어드레스 레지스터
  2. 시퀀스 레지스터
  3. 버퍼 레지스터
  4. 시프트 레지스터
(정답률: 70%)
  •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 내부의 속도 차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이 원활하지 않을 때, 버퍼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 내부의 속도 차이를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 내부의 동작 속도를 맞추는데 사용되는 레지스터는 버퍼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논리 함수를 간소화 한 것은?

  1. Y=A+B
  2. Y=A+BC
  3. Y=AB+AC
  4. Y=A
(정답률: 73%)
  • 논리 회로를 분석해보면,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B와 C가 연결되어 있고, 이 입력값들은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B와 C가 모두 1일 때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0이 됩니다. 이 출력값과 A를 OR 연산하면 최종 출력값 Y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Y=A+B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억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하나씩 읽고 해독하여 각 장치에 필요한 지시를 하는 기능은?

  1. 입력 기능
  2. 연산 기능
  3. 제어 기능
  4. 기억 기능
(정답률: 76%)
  • 제어 기능은 프로그램의 명령을 읽고 해독하여 각 장치에 필요한 지시를 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입력 기능과 연산 기능, 기억 기능과 함께 컴퓨터의 핵심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컴퓨터에서 주기억 장치에 기억된 명령어를 제어장치로 꺼내오는 과정은?

  1. 명령어 실행
  2. 명령어 해독
  3. 명령어 인출
  4. 명령어 저장
(정답률: 84%)
  • 컴퓨터에서 주기억 장치에 기억된 명령어를 제어장치로 꺼내오는 과정은 "명령어 인출"이라고 합니다. 이는 CPU가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와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첫 번째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명령어 인출 이후에 이어지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일반

31.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기억장소를 의미하며 프로그램 실행중에 그 값이 변할 수 있는 것은?

  1. 주석
  2. 상수
  3. 변수
  4. 함수
(정답률: 81%)
  •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값을 저장하는 기억장소로, 실행 중에 그 값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주석은 프로그램의 설명을 작성하는 것이고, 상수는 값이 변하지 않는 고정된 값입니다. 함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기계어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것은?

  1.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2. 호환성이 없다.
  3. 2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
  4.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68%)
  • 기계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언어이며,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빠르고 2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호환성이 없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유는 기계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수정이나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때, 소스코드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어 코드를 직접 수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소스코드를 이해하고 수정하는 것보다 더 쉽고 빠르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구조화 프로그래밍의 기본 제어 구조가 아닌 것은?

  1. 순차 구조
  2. 선택 구조
  3. 블록 구조
  4. 반복 구조
(정답률: 66%)
  • 블록 구조는 구조화 프로그래밍의 기본 제어 구조 중 하나가 아닙니다. 순차 구조, 선택 구조, 반복 구조는 모두 구조화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기본 제어 구조입니다. 블록 구조는 여러 개의 문장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서 실행하는 구조로,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기본 제어 구조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예약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핵심어이다.
  2. 새로운 언어에서는 예약어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3. 번역과정에서 속도를 높여준다.
  4.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정답률: 57%)
  • "새로운 언어에서는 예약어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새로운 언어에서도 여전히 예약어가 존재하며, 이는 해당 언어의 문법과 구문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약어의 수가 줄어들지 않는 이유는, 새로운 언어가 기존 언어들의 기능을 포함하면서도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약어의 수는 언어의 복잡성과 기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구문 분석기가 올바른 문장에 대해 그 문장의 구조를 트리로 표현한 것으로 루트, 중간, 단말 노드로 구성되는 트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개념 트리
  2. 파스 트리
  3. 유도 트리
  4. 정규 트리
(정답률: 68%)
  • 파스 트리는 문장의 구문 구조를 나타내는 트리로, 루트 노드는 문장 전체를 나타내고 중간 노드는 구문 구조를 나타내며 단말 노드는 단어를 나타낸다. 따라서 올바른 문장에 대해 파스 트리를 생성하면 문장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구문 분석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C 언어에서 나머지를 구할 때 사용하는 산술 연산자는?

  1. %
  2. &&
  3. ||
  4. =
(정답률: 64%)
  • C 언어에서 "%"는 나머지 연산자로,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 값을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7을 3으로 나누면 나머지는 1이므로 7 % 3은 1이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운영체제 스케줄링 정책 중 가장 바람직 한 것은?

  1. 대기시간을 늘리고 반환시간을 줄인다.
  2.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고 CPU 이용율을 늘린다.
  3. 반환시간과 처리율을 늘린다.
  4. CPU 이용률을 줄이고 반환시간을 늘린다.
(정답률: 70%)
  • 가장 바람직한 스케줄링 정책은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고 CPU 이용율을 늘린다." 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요청한 작업에 대한 응답시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동시에 CPU를 최대한 활용하여 처리율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대기시간을 늘리고 반환시간을 줄이는 정책은 작업의 대기시간이 길어지므로 사용자 만족도가 떨어지고, CPU 이용률도 낮아져 처리율이 떨어집니다. 반환시간과 처리율을 늘리는 정책은 작업의 대기시간이 길어지므로 사용자 만족도가 떨어지고, CPU 이용률도 낮아져 처리율이 떨어집니다. CPU 이용률을 줄이고 반환시간을 늘리는 정책은 CPU를 최대한 활용하지 않으므로 처리율이 낮아지고, 작업의 반환시간이 길어져 사용자 만족도가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순서도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의사전달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2. 처리 순서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3.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기호가 상이하다.
  4. 작업의 순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다.
(정답률: 65%)
  • 순서도는 작업의 순서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지만, 동시에 의사전달 수단으로도 사용됩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기호가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그림을 그리는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는 다양한 입출력 장치와 사용자 프로그램을 통제하여 오류와 컴퓨터의 부적절한 사용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3. 운영체제는 작업을 처리하게 위해서 필요한 CPU,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등의 자원을 할당 관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4.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64%)
  •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 장치가 아닙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명의 사용자가 시간을 분할하여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은?

  1. Real Time System
  2. Time Sharing System
  3. Batch Processing System
  4. Distributed System
(정답률: 81%)
  • 여러명의 사용자가 시간을 분할하여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방식은 "Time Sharing System"입니다. 이는 시스템 자원을 공유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사용자는 자신의 작업을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분할하여 작업을 처리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디지털공학

41. 다음과 같은 진리표를 갖는 논리회로는?

  1. NOR 게이트
  2. NOT 게이트
  3. NAND 게이트
  4. AND 게이트
(정답률: 60%)
  • 진리표에서 입력값이 모두 0일 때만 출력값이 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동작은 NOR 게이트의 출력값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N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입력 쪽에 되먹임 시킨 계수기는?

  1. 비동기형 계수기
  2. 리플 계수기
  3. 링 계수기
  4. 상향 계수기
(정답률: 52%)
  •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입력 쪽에 되먹임 시킨 계수기는 "링 계수기"입니다. 이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링 형태로 연결하여 입력으로 되돌리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수기를 구성하면, 입력 신호가 링을 따라 순환하면서 계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비동기형 계수기나 리플 계수기와는 달리, 입력 신호의 상승에 대한 지연 없이 바로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빠른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그림에서 출력 F가 0 이 되기 위한 조건은?

  1. A=0, B=0
  2. A=0, B=1
  3. A=1, B=0
  4. A=1, B=1
(정답률: 59%)
  • AND 게이트의 출력은 입력이 모두 1일 때 1이 되므로, 출력 F가 0이 되려면 AND 게이트의 입력 A와 B가 모두 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0, B=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의 논리회로가 수행하는 기능으로 올바른 것은?

  1. 동기형 3진 카운터
  2. 비동기형 3진 카운터
  3. 동기형 5진 카운터
  4. 비동기형 5진 카운터
(정답률: 39%)
  • 이 논리회로는 동기형 3진 카운터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카운터: 입력 신호에 따라 값을 증가시키는 회로
    - 3진 카운터: 0, 1, 2, 0, 1, 2, ... 순서로 값을 증가시키는 카운터
    - 동기형 카운터: 클럭 신호에 따라 값을 증가시키는 카운터

    이 논리회로는 JK 플립플롭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플립플롭은 이전 플립플롭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습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입력 신호 없이 클럭 신호에 따라 값을 증가시키는 동기형 카운터입니다. 또한, 출력값이 0, 1, 2 중 하나로 나오므로 3진 카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시미터 트리거
  3.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정답률: 32%)
  • 이 그림은 시미터 트리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시미터 트리거는 일정한 전압이 입력되면, 그 전압이 일정 수준을 넘어설 때까지는 출력이 없다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급격하게 출력이 증폭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J-K 플립플롭에서 입력 J=K=1 인 상태의 출력은?

  1. 세트
  2. 리셋
  3. 반전
  4. 불변
(정답률: 82%)
  • J-K 플립플롭에서 J=K=1 인 상태는 토글(toggle) 상태입니다. 이는 이전 상태의 반전된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논리식 중 드모르간의 정리를 나타낸 것은?

(정답률: 73%)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드모르간의 정리는 논리식에서 부정 기호를 바꾸고 AND와 OR을 바꾸는 것입니다. 따라서 ""는 원래 논리식 ""의 부정 기호를 바꾸고 AND와 OR을 바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논리식에서 최소항의 개수를 16개 만들기 위한 변수의 개수는?

  1. 2
  2. 4
  3. 8
  4. 16
(정답률: 79%)
  • 논리식에서 최소항의 개수는 변수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변수의 개수가 증가하면 최소항의 개수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변수의 개수가 적을수록 최소항의 개수가 적어지게 된다.

    보기에서 변수의 개수가 "2", "4", "8", "16"으로 주어졌을 때, 변수의 개수가 가장 적은 "4"를 선택하면 최소항의 개수를 16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변수를 가지는 논리식에서 최소항의 개수를 16개 만들기 위해서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사용해야 하므로 최소항의 개수는 2^2 = 4개가 된다. 하지만, 변수의 개수가 4개인 경우에는 2^4 = 16개의 최소항을 만들 수 있으므로 변수의 개수가 적을수록 최소항의 개수가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정상적인 경우 8 × 1 멀티플렉서는 몇 개의 선택선을 가지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66%)
  • 8 × 1 멀티플렉서는 8개의 입력선과 1개의 출력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입력선은 선택선 중 하나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선택선의 개수는 입력선의 개수인 8개와 같아야 합니다. 그러나 출력선은 하나뿐이므로 선택선 중 하나만을 선택하면 됩니다. 따라서 선택선의 개수는 1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이 아니라 "1"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8 Bit로 2의 보수 표현 방법에 의해 10과 -10을 나타내면?

  1. 00001010, 11110110
  2. 00001010, 11110101
  3. 00001010, 10001010
  4. 00001010, -00001010
(정답률: 40%)
  • 8 Bit로 2의 보수 표현 방법에 의해 10을 나타내면 "00001010"이 됩니다. 이는 8 Bit 이므로 가장 왼쪽 비트는 부호 비트이며, 0으로 설정되어 양수를 나타냅니다.

    -10을 2의 보수 표현 방법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먼저 10을 2진수로 나타낸 후,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해줍니다.

    10의 2진수 표현: "00001010"
    반전시킨 후: "11110101"
    1을 더한 후: "11110110"

    따라서 -10은 "11110110"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플립플롭에 대한 다음 설명 중 ( )안에 알맞은것은?

  1. 트리거
  2. 셋업
  3. 상승
  4. 하강
(정답률: 75%)
  • 이미지에서 보이는 플립플롭은 상태가 바뀔 때마다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 신호가 다른 회로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데 이를 "트리거"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트리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입력 펄스의 적용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상태의 순차를 밟아가는 순차 회로는?

  1. 카운터
  2. 멀티플렉서
  3. 디멀티플렉서
  4. 비교기
(정답률: 67%)
  • 입력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미리 정해진 상태의 순차를 밟아가는 회로를 의미하는 것은 "카운터"입니다. 카운터는 입력 펄스에 따라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이용하여 순차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 펄스의 적용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상태의 순차를 밟아가는 순차 회로는 카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가장 큰 수는?

  1. 2진수 11101110
  2. 8진수 365
  3. 10진수 234
  4. 16진수 FA
(정답률: 55%)
  • 16진수 FA는 10진수로 250이며, 다른 보기들보다 큰 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과 같은 논리도의 명칭은?

  1. 반가산기
  2. 전가산기
  3. 4비트 홀수패리티 검사기
  4. 4비트 홀수패리티 발생기
(정답률: 50%)
  • 이 논리도는 4비트 홀수패리티 검사기입니다. 이는 입력된 4비트 데이터의 1의 개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를 검사하여, 홀수 개의 1이 입력되면 출력값이 1이 되고, 짝수 개의 1이 입력되면 출력값이 0이 되도록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진수 코드를 10진수로 변환 하는것은?

  1. 카운터
  2. 디코더
  3. A/D 변환기
  4. 인코더
(정답률: 67%)
  • 2진수 코드를 10진수로 변환하는 것은 디코더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디코더는 입력된 2진수 코드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10진수 값을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2진수 코드를 10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디코더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억 장치에 접근하는 순서가 하나의 모듈에서 차례대로 수행되지 않고 여러 모듈에 번지를 분배하는 기억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인터리빙 (Interleaving)
  2. 연상 기억장치 (Associative storage)
  3. 캐시 기억장치 (Cache memory)
  4. 가상 기억장치 (Virtual storage)
(정답률: 41%)
  • 연상 기억장치는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찾을 때, 순차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모듈에 분산되어 있는 정보를 동시에 탐색하여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주소를 기반으로 정보를 찾는 것이 아니라 내용을 기반으로 정보를 찾을 수 있어서 검색 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클록 펄스가 들어올 때 마다 플립플롭의 상태가 반전되는 회로는?

  1. RS FF
  2. D FF
  3. T FF
  4. JK FF
(정답률: 65%)
  • T FF는 토글(Toggle) 기능을 가지고 있어 클록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상태가 반전됩니다. 따라서 T FF가 문제에서 요구하는 회로입니다. RS FF는 리셋(Reset)과 세트(Set) 기능을 가지고 있어 입력 신호에 따라 상태가 변경되는 회로이고, D FF는 데이터(Data)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회로입니다. JK FF는 J와 K 입력 신호에 따라 상태가 변경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비동기형 리플 카운터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것은?

  1. 모든 플립플롭 상태가 동시에 변한다.
  2. 회로가 간단하다.
  3. 동작시간이 길다.
  4. 주로 T형이나 JK 플립플롭을 사용한다.
(정답률: 55%)
  • "모든 플립플롭 상태가 동시에 변한다."가 거리가 먼 것은, 비동기형 리플 카운터에서는 일반적으로 플립플롭들이 동시에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비동기형 리플 카운터는 일부 플립플롭들만 변하고, 그 변화가 다른 플립플롭들에게 전파되어 전체적으로 카운트가 증가하거나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논리식 를 최소화 하면?

  1. f = A + B
  2. f = A
  3. f = B
  4. f = AㆍB
(정답률: 63%)
  • 논리식을 최소화하면서 변수 A와 B를 가장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논리식에서 B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f = A"가 정답이 됩니다. 이유는 B가 없어지면서 A만으로도 논리식을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곱셈회로
  2. 가산회로
  3. 감산회로
  4. 나눗셈회로
(정답률: 52%)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값을 곱하여 출력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곱셈회로"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