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01)

승강기기능사
(200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개론

1. 엘리베이터용 10호 로프의 구성기호가 6×S(19)인 것의 구성은?

  1. 휘이링톤형 19조선 6연 중심섬유
  2. 플랫형 삼각심 19조선 6연 중심섬유
  3. 필러형 19조선 6연 중심섬유
  4. 시일형 19조선 6연 중심섬유
(정답률: 43%)
  • 시일형 19조선 6연 중심섬유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구성 중 하나로, 시일형이란 로프의 외형 형태를 나타내며, 19조선은 로프의 직경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6연은 로프를 이루는 섬유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중심섬유는 로프의 중앙에 위치한 섬유로, 로프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용 10호 로프의 구성기호가 6×S(19)인 것은 시일형 19조선 6연 중심섬유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승강기의 안전에 관한 장치가 아닌 것은?

  1. 세이프티 블록
  2. 눌름버튼 스위치
  3. 용수철완충기
  4. 조속기
(정답률: 79%)
  • 승강기 안전에 관한 장치들 중에서 눌름버튼 스위치는 승강기 안전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눌름버튼 스위치는 승강기를 호출하거나 층을 선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승강기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눌름버튼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에스켈레이터의 손잡이(Hand Rail)의 속도를 발판(step)의 속도와 비교하면?

  1. 빨라야 한다.
  2. 느려야 한다.
  3. 같아야 한다.
  4. 한 쪽은 빠르게 다른 한쪽은 다르게 한다.
(정답률: 89%)
  • 에스켈레이터의 손잡이와 발판은 같은 속도로 움직입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인해 그렇습니다. 손잡이와 발판이 서로 다른 속도로 움직이면 사람들이 균형을 잡기 어렵고, 넘어지거나 다치는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에스켈레이터의 손잡이와 발판은 같은 속도로 움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권상기의 구동방식의 분류로 구분하지 않은 것은?

  1. 트랙션식
  2. 권동식
  3. 체인구동식
  4. 전동기식
(정답률: 31%)
  • 전동기식은 권상기가 전동기로 구동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나머지 세 가지 방식은 모두 권상기를 구동하는데 전동기가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동기식은 다른 방식과 구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권동이나 도르레는 로프의 몇 배 이상의 지름을 사용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4%)
  • 권동이나 도르레는 무게중심이 높이에 위치한 물체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로프의 지름이 크면 더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권동이나 도르레는 로프의 지름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크게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에 따라 보기 중에서 가장 큰 수인 "4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카측의 총중량이 2500kg이고 카 주 2본의 단면적이 25cm2일 때 카 주의 안전율은 얼마인가?(단, 파단강도는 4100kg이다)

  1. 37
  2. 41
  3. 45
  4. 48
(정답률: 52%)
  • 안전율은 파단강도를 주요응력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카 주의 파단하중은 4100kg/cm2 x 25cm2 = 102500kg 이다. 이때 카 주의 안전율은 2500kg / 102500kg = 0.0244 이다. 이 값을 100으로 곱하면 2.44%가 되는데, 이는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41%로 반올림하여 정답이 "4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평보행기의 디딤판의 속도에 관한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경사도가 6도 이하의 것은 속도 60m/min 이하
  2. 경사도가 6도 초과의 것은 속도 50m/min 이하
  3. 경사도가 8도 이하의 것은 속도 50m/min 이하
  4. 경사도가 8도 초과의 것은 속도 60m/min 이하
(정답률: 54%)
  • 수평보행기는 평지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경사도가 낮을수록(6도 이하) 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사도가 8도 이상이 되면 기계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속도를 낮추어야 합니다. 따라서 경사도가 8도 이하인 경우에는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속도를 50m/min 이하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어머신(door machine) 장치가 갖추어야 할 요구조건이 아닌 것은?

  1. 소형경량이고 가격이 저렴하여야 한다.
  2. 대형이고 무거워야 한다.
  3. 동작이 원활하고 소음이 적어야 한다.
  4. 고빈도의 작동에 대한 내구성이 강해야 한다.
(정답률: 79%)
  • 대형이고 무거워야 한다는 요구조건은 오히려 부적절한 요구조건입니다. 도어머신은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소형경량이며,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해야 합니다. 또한, 대형이고 무거운 제품은 비용이 많이 들어가므로 가격이 비싸지게 됩니다. 따라서, 대형이고 무거워야 한다는 요구조건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엘리베이터의 도어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승객용 엘리베이터에는 반드시 카 도어가 설치되어야 하고 이것은 동력으로 개폐되어야 한다.
  2.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개폐방식으로는 중앙개폐형, 측면개폐형, 상하개폐형 등이 있다.
  3. 침대용의 경우 카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측면개폐형이 주로 적용된다.
  4. 승객용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는 반드시 세이프티 슈(safety shoe)가 설치되어야 한다.
(정답률: 44%)
  • 정답은 "승객용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는 반드시 세이프티 슈(safety shoe)가 설치되어야 한다."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설명입니다. 카 도어는 동력으로 개폐되어야 하며, 중앙개폐형, 측면개폐형, 상하개폐형 등의 방식이 있습니다. 침대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측면개폐형이 주로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압 엘리베이터의 작동유에 대한 것으로서 기름 온도는 어느 범위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 한가?

  1. -10℃ 이상 45℃ 이하
  2. 0℃ 이상 55℃ 이하
  3. 5℃ 이상 60℃ 이하
  4. 10℃ 이상 75℃ 이하
(정답률: 84%)
  • 유압 엘리베이터의 작동유는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안전하고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합니다.

    -10℃ 이상 45℃ 이하: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작동유의 점도가 높아져 유압 시스템의 움직임이 둔화되거나 멈추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작동유의 노효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 이상 55℃ 이하: 이 범위에서도 작동유의 점도가 높아져 유압 시스템의 움직임이 둔화되거나 멈추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작동유의 노효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이상 60℃ 이하: 이 범위는 작동유의 점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는 범위입니다. 따라서 안전하고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합니다.

    10℃ 이상 75℃ 이하: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작동유의 노효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유압 시스템의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의 종류로 과거나 현재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은?

  1. 스틸코드 핸드레일
  2. 스틸플레이트 핸드레일
  3. 화학섬유 핸드레일
  4. 천연섬유 핸드레일
(정답률: 43%)
  • 천연섬유 핸드레일은 내구성이 낮고 오랫동안 사용하면 노후화되어 파손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현재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스틸코드 핸드레일과 스틸플레이트 핸드레일은 내구성이 높아서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화학섬유 핸드레일은 내구성이 높으면서도 경제적인 재료로 제작되어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승강로 정상부와 균형추상의 거리 A와 카와 완충기간의 간격B로 옳은 것은?

  1. A : 1500mm B : 400mm
  2. A : 300mm B : 1000mm
  3. A : 400mm B : 1500mm
  4. A : 400mm B : 400mm
(정답률: 50%)
  • 승강로 정상부와 균형추상의 거리 A는 승강로의 높이를 나타내며, 그림에서는 1500mm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카와 완충기간의 간격 B는 승강로가 바닥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며, 그림에서는 400mm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1500mm B : 400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승객용 엘리베이터에서 카(car)와 틀(car frame)의 구조로 옳은 것은?

  1. 카 상부틀에 카가 고정되어 있다.
  2. 카 세로틀에 카가 고정되어 있다.
  3. 카 틀과 카는 분리시켜 고무쿳션으로 지지토록 되어 있다.
  4. 카 틀 전체에 카가 고정시켜 있다.
(정답률: 41%)
  • 승객용 엘리베이터에서 카(car)와 틀(car frame)은 분리시켜 고무쿳션으로 지지토록 되어 있습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움직이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구조입니다. 카 상부틀이나 카 세로틀에 카가 고정되어 있거나 카 틀 전체에 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은 진동 완화를 위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케이지 상승시의 제어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압제어 밸브를 모두 닫으면 전속이 된다.
  2. 정지해야 할 층에 가까워지면 유량제어 밸브를 열어 작동유의 일부는 탱크로 되돌려 보낸다.
  3. 정지해야 할 층에 가까이에서는 1/8정도의 속도로 된다.
  4. 유량제어밸브를 모두 열어 작동유를 전량 탱크로 보내면 케이지는 정지한다.
(정답률: 38%)
  • "유압제어 밸브를 모두 닫으면 전속이 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지해야 할 층에 가까워지면 유량제어 밸브를 열어 작동유의 일부는 탱크로 되돌려 보내기 때문에 케이지의 상승 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것으로, 케이지가 정확히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지해야 할 층에 가까이에서는 1/8정도의 속도로 상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압 엘리베이터의 플런저를 구동시키는 원리는?

  1. 파스칼의 원리
  2. 기전력의 원리
  3.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4. 피타고라스의 원리
(정답률: 45%)
  • 유압 엘리베이터의 플런저를 구동시키는 원리는 파스칼의 원리입니다. 파스칼의 원리는 압력이 일정한 유체는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달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유압 엘리베이터에서는 작은 힘으로도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유압 엘리베이터에서는 작은 힘으로 유압 실린더에 압력을 가해 플런저를 움직이고,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움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안전관리

16. 로프식 승강기의 기계실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주요한 기기로부터 기동이나 벽까지의 수평거리는 30cm 이상으로 한다.
  2. 조명 및 환기는 적당하고, 온도는 40℃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3. 출입문은 승강기의 고장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4. 기계실의 크기는 승강로 수평투영면적의 2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9%)
  • "주요한 기기로부터 기동이나 벽까지의 수평거리는 30cm 이상으로 한다."는 로프식 승강기의 기계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로프식 승강기의 기계실 내부에는 주요한 기기들이 모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기들과 벽 사이의 거리는 최소한의 공간만 확보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주요한 기기로부터 기동이나 벽까지의 수평거리는 최소한의 공간만 확보한다."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출입문은 승강기의 고장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야 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기계실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고장 등의 상황에서, 기계실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출입문이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승강기 도어머신의 설치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리미트 스위치
  2.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3. 록다운 정지장치
  4. 종단층 강제감속장치
(정답률: 27%)
  • 승강기 도어머신의 설치 시에는 종단층 강제감속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는 승강기가 최상층이나 최하층에 도달할 때, 감속장치를 작동시켜 승강기의 운행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리미트 스위치,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록다운 정지장치는 승강기의 운행을 제어하는 다른 장치들이지만, 종단층 강제감속장치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45~105m/min까지의 승용 엘리베이터에 주로 적용되는 제어는?

  1. 일단속도제어
  2. 이단속도제어
  3. 궤환제어
  4. VVVF제어
(정답률: 26%)
  • 45~105m/min의 속도 범위에서는 궤환제어가 가장 적합합니다. 궤환제어는 엘리베이터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모터와 제어기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일정한 속도와 가속도를 유지하면서도 엘리베이터의 부하나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궤환제어는 승용 엘리베이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어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선을 연결하거나 철거할 때 안전상 가장 적당한 것은?

  1. 전원쪽부터 연결
  2. 부하쪽부터 연결
  3. 임의로 철거
  4. 임의로 연결
(정답률: 51%)
  • 부하쪽부터 연결하는 것이 안전한 이유는 전원쪽에서는 아직 전기가 흐르고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원쪽부터 연결하면 갑작스러운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부하쪽부터 연결하면 전원쪽에서는 이미 전기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재해발생시의 조치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피해자를 구출하고 2차 재해방지
  2. 재해방지대책의 수립과 실시
  3. 안전교육 계획의 수립
  4. 재해원인 조사와 분석
(정답률: 79%)
  • 재해발생시의 조치내용은 대부분 피해를 최소화하고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들이다. 하지만 안전교육 계획의 수립은 재해발생시의 조치내용이 아니라, 재해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조치 중 하나이다. 따라서, 안전교육 계획의 수립은 재해발생시의 조치내용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작업자에 대한 안전교육
  2. 전기기기에 위험 표시
  3. 대지전압 220V 이하의 전기기기만 사용
  4. 발견된 불량 부분은 원인을 조사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한다.
(정답률: 76%)
  • 대지전압 220V 이하의 전기기기만 사용하는 것은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중 하나이다. 이는 대지전압이 낮을수록 전기기기를 다루는 작업자가 감전사고를 입을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지전압 220V 이하의 전기기기만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감전과 전기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에서 구비해야 하는 것은?

  1. 보호구
  2. 구명욱
  3. 토글스위치
  4. 회로시험기
(정답률: 80%)
  • 감전과 전기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에서는 보호구를 구비해야 합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구명욱은 인명구조용품, 토글스위치는 전기회로를 제어하는 스위치, 회로시험기는 전기회로의 동작을 확인하는 장비로, 이들은 전기작업 시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보호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의부족을 야기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개성
  2. 습관성
  3. 감정의 불안전
  4. 체격
(정답률: 66%)
  • 체격은 주의부족을 야기시키는 요인이 아닙니다. 주의부족은 개성, 습관성, 감정의 불안전 등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체격은 개인의 신체적 특성이며, 주의부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승강기 보수점검시의 안전장치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보수점검 중이라는 표시를 할 것
  2. 보수점검자 성명 및 보수점검자 연락처를 기입할 것
  3. 보수점검 개소 및 소요시간을 표시할 것
  4. 보수내용 및 보수금액을 표시할 것
(정답률: 84%)
  • 승강기 보수점검시의 안전장치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보수내용 및 보수금액을 표시할 것"입니다. 이유는 보수내용 및 보수금액을 표시함으로써 고객이 보수 작업의 내용과 비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고, 보수 작업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수내용 및 보수금액을 표시하는 것은 법적으로도 요구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적성배치, 안전교육, 훈련, 감독, 교정 및 작업자의 자각을 드높이는 것은 다음 중 누구의 합리적인 태도로 볼 수 있는가?

  1. 배치 계획자
  2. 작업 숙련자
  3. 기계 관리자
  4. 안전관리자
(정답률: 76%)
  • 안전관리자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적성배치, 안전교육, 훈련, 감독, 교정 등을 통해 작업자들이 안전한 작업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따라서 안전관리자의 합리적인 태도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작업자의 불안전한 상태가 아닌 것은?

  1. 작업에 대하여 자신을 가지고 있는 경우
  2. 즉흥적인 판단을 하는 경우
  3. 복합 동작을 하는 경우
  4.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가 부족한 경우
(정답률: 62%)
  • 작업에 대하여 자신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작업자가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인식하고 안전한 작업 방법을 선택하며, 작업 중에도 안전에 대한 인식과 주의를 유지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작업자의 불안전한 상태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운행관리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은?

  1. 보수업체 직원으로 매월 1회 점검하는 사항
  2. 전기실에 근무하는 승강기기능사 자격을 가진 사람
  3. 경비실에 근무하는 경비원
  4. 검사기관의 정기검사자
(정답률: 60%)
  • 운행관리자는 승강기의 운행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승강기의 전기적인 부분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전기실에 근무하는 승강기기능사 자격을 가진 사람이 운행관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승강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거나 전기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운행관리자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작업자가 감전되었을 경우의 구출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절연봉 등을 이용하여 감전자를 전로로부터 떼어 놓은 후 응급치료한다.
  2. 건조한 나무나 고무 등의 절연물을 이용하여 감전자를 충전부분에서 떼어 놓은 후 응급치료한다.
  3. 감전되어 오래되면 사망하므로 빨리 맨손으로 직접 구출하여 응급치료 한다.
  4. 주위여건으로 위험하여 감전자를 구출할 수 없을 때는 변전소에 급보하여 전원을 차단한 후 구출한다.
(정답률: 82%)
  • "감전되어 오래되면 사망하므로 빨리 맨손으로 직접 구출하여 응급치료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감전자를 직접 구출하면 구조자도 감전될 위험이 있으며, 감전자의 상태에 따라 구조 방법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구조 전에는 반드시 전원 차단 등 안전 조치를 취한 후, 적절한 구조 도구를 사용하여 감전자를 구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압식 승강기는 바닥보정장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몇 mm 이내에서 작동하여야 하는가?

  1. 55
  2. 65
  3. 75
  4. 85
(정답률: 58%)
  • 유압식 승강기의 바닥보정장치는 승강기가 바닥과 수평을 이루도록 보정하는 장치이다. 이 보정장치는 일반적으로 75mm 이내에서 작동해야 한다. 이는 승강기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보정장치가 75mm 이상으로 작동하면 승강기가 불안정해질 수 있고, 75mm 이하로 작동하지 않으면 바닥과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서 이용자들이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유압식 승강기의 바닥보정장치는 75mm 이내에서 작동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승강기의 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문닫힘 도중에도 승강기의 버튼을 동작시키면 다시 열려야 한다.
  2. 문이 완전히 열린 후 최소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3. 멈춤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카 내의 문 개방 버튼을 동작시켜도 절대로 개방되지 않아야 한다.
  4. 문이 일정 시간 후 닫히지 않으면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76%)
  • "문이 일정 시간 후 닫히지 않으면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승강기의 문이 일정 시간 후에도 열려있는 상태로 유지되면, 다른 사람이나 물건이 문에 걸려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문은 자동으로 닫혀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승강기보수

31. 주로프(권상로프)의 소켓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바빗트를 채운 단부의 꼬임을 굽힌 부분이 명확히 보이도록 한다.
  2. 주로프의 고정금구는 이중너트로 견고히 한다.
  3. 주로프의 고정금구를 채운후 분할핀을 반드시 끼워야 한다.
  4. 주로프 바빗트는 2단 붓기를 하여도 무방하다.
(정답률: 59%)
  • "주로프 바빗트는 2단 붓기를 하여도 무방하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주로프 바빗트는 2단 붓기를 하여도 무방한 이유는, 바빗트의 끝 부분이 둥글기 때문에 꼬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빗트를 채운 단부의 꼬임을 굽힌 부분이 명확히 보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T형 가이드 레일에는 8, 13, 18, 24k 레일이 있는데 8, 13, 18, 24라는 숫자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

  1. 가이드 레일 1본의 무게
  2. 가이드 레일 1본의 길이
  3. 가이드 레일 1m의 무게
  4. 가이드 레일의 형상
(정답률: 64%)
  • 8, 13, 18, 24는 각각 가이드 레일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인 kg/m으로 표기된 것입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 1m의 무게"가 정답인 이유는 이들 가이드 레일 중 1m 길이의 가이드 레일의 무게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전으로 인하여 카가정지될 때 점검자에 의하여 주로 사용되는 밸브는?

  1. 하강용 유량제어 밸브
  2. 스톱밸브
  3. 릴리프 밸브
  4. 체크 밸브
(정답률: 43%)
  • 정전으로 인하여 카가정지될 때, 하강용 유량제어 밸브는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하강용 유량제어 밸브가 수압을 조절하여 하강 중인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때문입니다. 스톱밸브는 엘리베이터를 긴급 정지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릴리프 밸브는 과압 방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체크 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팬터그래프식은 어디에 해당하는 승강기인가?

  1. 스크루식 간접식 엘리베이터
  2. 간접식으로 구동하는 유압식 엘리베이터
  3. 스크루식 직접식 엘리베이터
  4. 직접식으로 구동하는 유압식 엘리베이터
(정답률: 39%)
  • 팬터그래프식은 직접식으로 구동하는 유압식 엘리베이터에 해당합니다. 이는 팬터그래프식이 유압식 엘리베이터 중에서도 직접식으로 구동되기 때문입니다. 직접식 구동 방식은 엘리베이터 카빈 안에 있는 유압 실린더를 직접 움직여 엘리베이터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간접식 구동 방식과는 달리 유압 유체를 이용한 변환기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더욱 빠르고 정확한 움직임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실린더의 점검이 용이하다.
  2. 부하에 의한 카의 빠짐이 비교적 작다.
  3. 승강로는 유압잭을 수용할 부분만큼 직접식보다 더 커지게 된다.
  4. 실린더가 필요이상으로 빠지지 않기 위한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다.
(정답률: 48%)
  •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특징 중 부하에 의한 카의 빠짐이 비교적 작다는 것은, 유압 엘리베이터에서는 부하가 증가할수록 유압압력이 증가하여 엘리베이터가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는 유압압력을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분리하여 부하에 따른 카의 빠짐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에스컬레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방화셔터가 핸드레일 반환부의 선단에서 2m 이내에 있는 에스컬레이터는 그 셔터와 연동하여 작동해야 한다.
  2. 전원의 상이 바뀌면 주행을 멈출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3. 제어반의 각종 단자나 부품의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한다.
  4. 감속기의 오일온도가 60℃를 넘을 경우 정지장치가 필요하다.
(정답률: 43%)
  • 감속기의 오일온도가 60℃를 넘을 경우 정지장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감속기의 오일온도가 60℃를 넘어도 정지장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감속기의 오일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감속기 내부의 부품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감속기 내부에는 오일쿨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감속기의 오일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오일쿨러가 작동하여 오일의 온도를 낮추고, 정지장치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피트 내에서 행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

  1. 피트스위치 동작 여부
  2. 하부 파이널스위치 동작 여부
  3. 완충기 취부상태 양호 여부
  4. 상부 파이널스위치 동작 여부
(정답률: 56%)
  • 상부 파이널스위치는 피트 내에서 검사할 수 없는 부분으로, 외부에서 접근하여 검사해야 합니다. 따라서 "상부 파이널스위치 동작 여부"는 피트 내에서 행하는 검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균형추의 무게 결정과 관계없는 것은?

  1. 카 자체 하중
  2. 정격 적재하중
  3. 로프무게
  4. 속도
(정답률: 54%)
  • 균형추는 물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무게 결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속도는 물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균형추의 무게 결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균형추 측에도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해야 되는 경우는?

  1. 속도 150m/min 이상의 고속 승강기
  2. 정격 적재량 2000kg 이상의 승강기
  3. 균형추측 하부에 완충기 설치를 생략하는 구조일 때
  4. 승강로(PIT) 아래를 사람이 출입하는 장소로 이용될 때
(정답률: 46%)
  • 승강로(PIT) 아래를 사람이 출입하는 장소로 이용될 때는 균형추가 떨어져 사람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다른 경우에도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안전을 위해 권장되지만, 이 경우에는 특히 더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제어반에서 점검할 수 없는 것은?

  1. 단자의 조입상태
  2. 전선의 손상정도
  3. 계전기의 발연상태
  4. 눌름(부름)버튼의 점검
(정답률: 56%)
  • 눌름(부름)버튼은 제어반의 외부에 위치하며, 제어반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점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눌름(부름)버튼의 점검은 외부에서 수동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승용 승강기의 외부 도어 실과 내부 도어 실과의 간격은 몇 mm 이하로 하는가?

  1. 40
  2. 45
  3. 50
  4. 55
(정답률: 35%)
  • 승용 승강기의 외부 도어 실과 내부 도어 실과의 간격은 40mm 이하로 하는 것이 안전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이 간격은 승강기 안전 규정에서 정해진 것으로,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사람이 끼어들거나 끼어져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간격은 꼭 지켜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교류 일단속도제어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기동은 고속권선으로 행하고 감속은 저속권선으로 행하는 것이다.
  2. 모터의 계자코일에 저항을 넣어 이것을 증감하는 것이다.
  3. 기동과 주행은 고속권선으로, 감속과 착상은 저속권선으로 행하는 것이다.
  4. 3상교류의 단속도 모터에 전원을 투입함으로써 기동과 정속운전을 하고 착상하는 것이다.
(정답률: 45%)
  • 교류 일단속도제어는 3상교류의 단속도 모터에 전원을 투입하여 기동과 정속운전을 하고 착상하는 것입니다. 이는 모터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모터의 계자코일에 저항을 넣는 것이 아니라 전원을 통해 제어됩니다. 따라서 3번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평보행기의 안전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스템체인 안전스위치
  2. 스커트 가드 안전스위치
  3. 비상정지스위치
  4. 핸드레일 인입구 안전스위치
(정답률: 46%)
  • 스커트 가드 안전스위치는 수평보행기의 안전장치 중 하나가 아닙니다. 스커트 가드는 보행기의 밑부분을 덮는 보호장치로, 보행 중 발이나 다른 물체가 보행기 밑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스커트 가드 안전스위치는 이러한 스커트 가드가 제대로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커트 가드 안전스위치는 안전장치 중 하나가 아니며, 다른 안전장치들과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조속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속 스위치는 반드시 수동으로 복귀해야 한다.
  2. 속도 90m/min인 승강기의 과속 스위치는 정격속도 1.3배 이하에서 작동해야 한다.
  3. 균형추측에 조속기가 있는 경우 카측보다 먼저 작동해야 한다.
  4. 과속 스위치는 상승 및 하강의 양 방향에서 작동해야 한다.
(정답률: 38%)
  • "균형추측에 조속기가 있는 경우 카측보다 먼저 작동해야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균형추측 시 조속기는 카운터위트와 함께 작동하여 엘리베이터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때, 조속기가 먼저 작동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균형추측 시 조속기는 카측보다 먼저 작동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카 틀에서 브레이스 로드의 분담하중은 대략 어느 정도 되는가?

  1. 1/8
  2. 3/8
  3. 1/3
  4. 1/16
(정답률: 55%)
  •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카 틀에서 브레이스 로드의 분담하중은 카 틀과 브레이스 로드 사이의 로프 길이 비율에 따라 분배됩니다.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는 카 틀과 브레이스 로드 사이의 로프 길이 비율이 3:5 이므로, 브레이스 로드가 받는 분담하중은 5/(3+5) = 5/8 이고, 따라서 카 틀이 받는 분담하중은 1 - 5/8 = 3/8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전기기초이론

46. 상승용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천이구간의 곡률 반경은 정격속도가 30m/min 초과하는 경우에 각각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30m/min 이하인 경우 : 0.4m 이상
  2. 30m/min 초과인 경우 : 2m 이상
  3. 30m/min 이하인 경우 : 1m 이상
  4. 30m/min 미만인 경우 : 2m 이상
(정답률: 37%)
  •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천이구간의 곡률 반경은 정격속도가 높을수록 더 크게 설정해야 합니다. 이는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에스컬레이터에서 갑작스러운 정지나 방향전환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격속도가 30m/min 이하인 경우에도 최소한 1m 이상의 곡률 반경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건으로서, 30m/min 이하인 경우에도 이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회로에서 A, B 간의 합성용량은 몇 ㎌인가?

  1. 1
  2. 2
  3. 4
  4. 8
(정답률: 58%)
  • A와 B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성용량은 각 용량의 합과 같습니다. A의 용량은 2μF이고 B의 용량은 4μF이므로, A와 B의 합성용량은 2μF + 4μF = 6μF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가 아닌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2개의 저항 R1[Ω], R2[Ω]를 병렬로 접속하고 전압 V[V]를 가할 때 I1은 몇 A인가? (단, 회로의 전 전류는 I[A]이다)

(정답률: 39%)
  • 병렬 접속된 저항의 전압은 동일하므로 V1 = V2 = V 이다. 따라서, V1/R1 + V2/R2 = I 이고, V/R1 + V/R2 = I 이다. 이를 정리하면, V = IR1R2/(R1+R2) 이다. 따라서, I1 = V/R1 = IR2/(R1+R2) 이므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반도체로 만든 PN 접합은 무슨 작용을 하는가?

  1. 증폭작용
  2. 발진작용
  3. 정류작용
  4. 변조작용
(정답률: 59%)
  • PN 접합은 정류작용을 한다. PN 접합은 양극과 음극을 연결하여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이용하여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특정한 전압이나 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신호만을 추출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구름 베어링이 미끄럼 베어링에 비해 좋지 않은 점은?

  1. 신뢰성
  2. 윤활방법
  3. 마멸
  4. 기동저항
(정답률: 32%)
  • 구름 베어링은 윤활방법이 없기 때문에 마멸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기동저항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구름 베어링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측정계기의 눈금이 균일하고, 구동토크가 커서 강도가 좋으며 외부의 영향을 적게 받아 가장 많이 쓰이는 아날로그 계기 눈금의 구동방식은?

  1. 영구 자석과 전류에 의한 자기장 사이의 힘
  2. 두 전류에 의한 자기장 사이의 힘
  3. 자기장 내에 있는 철편에 작용하는 힘
  4. 충전된 물체사이에 작용하는 힘
(정답률: 45%)
  • 영구 자석과 전류에 의한 자기장 사이의 힘은 가장 많이 쓰이는 아날로그 계기 눈금의 구동방식인 자석식 계기의 구동 원리입니다. 이는 영구 자석과 전류가 흐르는 전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사이의 힘으로, 이 힘에 의해 자석이 회전하면서 눈금을 움직이게 됩니다. 이 방식은 눈금의 균일성과 강도가 좋으며, 외부의 영향을 적게 받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떤 물체의 영(Young)률이 작다는 것은?

  1. 안전하다는 것이다.
  2. 불안전하다는 것이다.
  3. 늘어나기 쉽다는 것이다.
  4. 늘어나가 어렵다는 것이다.
(정답률: 59%)
  • 영률이 작다는 것은 물체가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기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체가 외부의 힘에 노출되면 늘어나기 쉽지 않으므로, 영률이 작다는 것은 물체가 늘어나기 쉽다는 것과는 반대되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늘어나기 쉽다는 것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비례한도내에서 응력과 변형률은 비례한다.” 이것은 무슨 법칙인가?

  1. 나비에의 법칙
  2. 불변의 법칙
  3. 후크의 법칙
  4. 장력의 법칙
(정답률: 64%)
  • “비례한도내에서 응력과 변형률은 비례한다.”는 후크의 법칙이다. 이는 탄성체의 변형에 대한 법칙으로, 일정한 영역에서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함을 나타낸다. 즉, 응력이 증가하면 변형률도 증가하며, 응력이 감소하면 변형률도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법칙은 탄성체의 변형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로, 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계전기회로에서 일종의 기억회로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AND회로
  2. OR회로
  3. 자기유지회로
  4. NOT회로
(정답률: 74%)
  • 자기유지회로는 입력 신호가 없어도 출력 신호가 유지되는 회로로, 일종의 기억회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로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있어서, 입력 신호가 없어도 자기장이 유지되어 출력 신호가 유지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기유지회로가 계전기회로에서 일종의 기억회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3상 유도전동기가 역회전할 때의 대책으로 옳은 것은?

  1. 퓨즈를 조사한다.
  2. 전동기를 교체한다.
  3. 3선을 모두 바꾸어 결선한다.
  4. 3선의 결선 중 임의의 2선을 바꾸어 결선한다.
(정답률: 81%)
  • 3상 유도전동기는 3개의 상이 있으며, 각 상은 서로 120도 차이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3상 유도전동기가 역회전할 때는 상 중 하나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바뀌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3상 중 임의의 2상을 바꾸어 결선하여 회전 방향을 바로 잡아주면 된다. 이유는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 방향은 상의 결선 순서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2상을 바꾸어 결선하면 회전 방향이 바뀌어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직류 분권전동기의 계자저항을 운전 중에 증가시킬 때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자속 증가
  2. 속도 감소
  3. 속도 증가
  4. 부하 증가
(정답률: 34%)
  • 직류 분권전동기의 계자저항을 운전 중에 증가시키면 전류가 감소하게 되어 자속이 증가합니다. 이는 모터의 회전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회전력은 속도와 비례합니다. 따라서 자속 증가로 인해 회전력이 증가하면 속도도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M[kgㆍ cm]를 굽힘모멘트, σ[kg/cm2]를 최대굽힘응력, 단면계수를 Z[cm3]라 할 때 굽힘모멘트와 굽힘응력 사이의 관계식은?

(정답률: 31%)
  • 굽힘모멘트 M과 최대굽힘응력 σ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집니다.

    M = σZ

    이는 단면계수 Z가 일정할 때, 굽힘모멘트와 최대굽힘응력이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인 ""는 이 관계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배전반용 계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기는?

  1. 가동코일형
  2. 가동철편형
  3. 열선형
  4. 전류역계형
(정답률: 26%)
  • 가동철편형 계기는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작동 원리가 간단하여 배전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기입니다. 이 계기는 전류가 흐르면서 생기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작동하며, 전류의 크기에 따라 가동철의 위치가 변화하여 전류 값을 측정합니다. 또한, 가동철편형 계기는 전류 측정 뿐만 아니라 전압, 저항, 주파수 등 다양한 측정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마찰차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 원주에 이를 만들어 서로 물림에 따라 운동을 전달하게 하는 것은?

  1. 베어링
  2. 스프링
  3. 기어
  4. 커플링
(정답률: 46%)
  • 기어는 마찰차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원주에 이어져 서로 물림에 따라 운동을 전달하는 기계적인 부품입니다. 따라서 기어가 정답입니다. 베어링은 회전 운동을 도와주는 부품, 스프링은 탄성을 이용하여 운동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부품, 커플링은 두 축을 연결하여 운동을 전달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떤 전열기 1kw를 2시간 동안 사용하였을 때 발생한 열량을 몇 kcal 인가?

  1. 430
  2. 860
  3. 1720
  4. 2000
(정답률: 59%)
  • 1kW는 1시간 동안 1kWh의 전기를 생산합니다. 따라서 1kW를 2시간 동안 사용하면 2kWh의 전기를 생산합니다.

    1kWh는 860 kcal의 열량을 가지므로, 2kWh는 1720 kcal의 열량을 가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17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