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1-28)

승강기기능사
(2007-01-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개론

1. 승강로의 구조로서 옳은 것은?

  1. 튼튼한 벽 또는 울타리에 의하여 외부 공간과 격리 되어서는 안된다.
  2. 엘리베이터에 필요한 배관설비 외에 설비는 하지 않아야 한다.
  3. 안전성을 고려하여 운전 중인 균형추는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4. 화재시 승강로를 거쳐 다른 층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정답률: 60%)
  • 승강로는 외부와 격리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튼튼한 벽 또는 울타리에 의하여 외부 공간과 격리 되어서는 안된다."는 보기는 옳지 않습니다.

    승강로는 엘리베이터에 필요한 배관설비 외에는 다른 설비를 가지고 있으면 안됩니다. 이는 승강로의 안전성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운전 중인 균형추는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올바른 보기가 아닙니다. 균형추는 승강로 안에 있어야 하며,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해야 합니다.

    화재시 승강로를 거쳐 다른 층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비상 상황에서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올바른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 디딤면의 주행방향 길이는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0 mm
  2. 200 mm
  3. 300 mm
  4. 400 mm
(정답률: 44%)
  •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 디딤면의 주행방향 길이는 최소 40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인해 사람이 발을 올렸을 때 발끝이 디딤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400mm 이상이어야 안전한 운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교류 엘리베이터의 제어방식 중 VVVF 제어방식이란?

  1. 가변전류 가변전압 제어방식
  2.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
  3. 가변전압 다이나믹브레이크 제어방식
  4. 주파수 변화에 의한 제어방식
(정답률: 79%)
  • VVVF 제어방식은 가변전압과 가변주파수를 이용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주파수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전압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모터를 움직입니다. 따라서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이라는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트랙션(Traction)식 승강기에서 로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카축과 균형추측의 로프에 걸리는 장력비(중량비)
  2. 카의 가속도와 감속도
  3. 시브의 크기
  4. 로프의 감기는 각도인 권부각
(정답률: 63%)
  • 시브의 크기는 로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브는 로프를 감아서 움직이는 부분으로, 로프의 감기와 관련이 있지만 미끄러짐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시브의 크기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엘리베이터에는 정전시에 램프 중심부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에서 측정하여 몇 Lux 이상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예비조명장치가 있어야 하는가? (단, 자동차용 엘리베이터와 카 내에 조작반이 없는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제외한다.)(문제 출제당시 정답은 1번이며 개정되어서 정답은 2번입니다. 여기서는 2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1 Lux
  2. 2 Lux
  3. 3 Lux
  4. 5 Lux
(정답률: 78%)
  • 엘리베이터 안에서는 일반적으로 1~2 Lux 정도의 조도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예비조명장치에서는 최소한 2 Lux 이상의 조도를 확보해야 합니다. 이는 정전시에도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여 승객들이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균형체인(Compensating Chain)의 설치 목적은?

  1. 카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2. 카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3. 이동 케이블과 로프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4. 균형추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정답률: 82%)
  • 균형체인은 이동 케이블과 로프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는 시설물이나 기계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동 케이블과 로프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해서 설치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압 파워 유니트에서 실린더로 통하는 압력배관 도중에 설치되는 수동밸브로서, 이것을 닫으면 기름이 실린더에서 파워 유니트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밸브의 명칭은 무엇인가?

  1. 역류제지밸브(check valve)
  2. 스톱밸브(stop valve)
  3. 안전밸브(safety valve)
  4. 럽쳐밸브(rupture valve)
(정답률: 54%)
  • 이 밸브는 기름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스톱밸브(stop valve)"라고 불린다. 다른 보기들은 기능이나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역류제지밸브(check valve)"는 역류를 막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이 밸브는 완전한 차단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안전밸브(safety valve)"는 과압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이고, "럽쳐밸브(rupture valve)"는 과압으로 인한 파열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유압엘리베이터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계실의 위치가 자유롭다.
  2. 승강로 꼭대기 틈새가 작아도 좋다.
  3. 모터 출력과 소비전력이 작다.
  4. 건물 꼭대기부분에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정답률: 51%)
  • 유압엘리베이터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모터 출력과 소비전력이 작습니다. 이는 전기엘리베이터와 비교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에스컬레이터 난간부와 교차하는 건축물 천장부 또는 측면부 등과의 사이에 생기는 3각부에 사람의 머리 등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3각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3각부의 틈새를 막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그림 중에서 A의 길이는?

  1. 20cm 초과
  2. 25cm 초과
  3. 30cm 초과
  4. 35cm 초과
(정답률: 59%)
  • A의 길이는 35cm이다.

    에스컬레이터 난간부와 교차하는 건축물 천장부 또는 측면부 등과의 사이에 생기는 3각부에 사람의 머리 등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각부의 틈새를 막아야 한다고 했다.

    그림에서 보면, 3각부의 틈새를 막기 위해 A와 B의 길이가 같아야 한다. B의 길이는 20cm이므로, A의 길이도 20cm이어야 3각부의 틈새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그림에서 A의 길이는 B보다 길게 그려져 있으므로 3각부의 틈새가 막히지 않는다. 따라서 A의 길이는 30cm 초과가 아니라, 35cm 초과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어 클로저는 승강장 문의 개방에서 생기는 재해를 막기위한 장치이다.
  2. 도어 스위치는 승강장 문이 닫혀있지 않으면 운전이 불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3. 세이프티 슈는 카 도어의 끝단에 설치하여 이물체가 접촉되면 도어를 반전시키는 장치이다.
  4. 도어 인터록은 주행 중 카 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41%)
  • 정답: "도어 인터록은 주행 중 카 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 도어 인터록은 주행 중에는 작동하지 않고, 주행 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주행 중에는 도어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주행 중 카 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는 장치"라는 설명은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200형 에스컬레이터의 시간당 수송 능력의 개략치로 가장 적당한 것은? (단, 디딤판 속도 30m/min, 디딤판의 안길이 0.406m, 디딤판 1개마다의 인원은 2명이다.)

  1. 6000명
  2. 7000명
  3. 8000명
  4. 9000명
(정답률: 74%)
  • 한 디딤판당 2명의 인원을 운송할 수 있으므로, 한 디딤판을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은 0.406m / 30m/min = 0.013533시간이다. 따라서, 한 디딤판당 수송 가능한 인원은 1시간 / 0.013533시간 * 2명 = 147.5명이다. 이를 1200형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 수인 12로 곱하면, 시간당 수송 가능한 인원은 147.5명/디딤판 * 12디딤판 = 1770명이 된다. 하지만, 이는 양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이므로, 실제 시간당 수송 가능한 인원은 1770명 * 2 = 3540명이 된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답은 9000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레일 규칙의 호칭은 마무리 가공전의 소재 1m당의 중량을 라운드 번호로하여 [K레일]을 붙여서 사용한다.
  2. 레일 규칙의 호칭은 마무리 가공전의 소재 3m당의 중량을 라운드 번호로하여 [K레일]을 붙여서 사용한다.
  3. 레일 규칙의 호칭은 마무리 가공전의 소재 5m당의 중량을 라운드 번호로하여 [K레일]을 붙여서 사용한다.
  4. 레일 규칙의 호칭은 마무리 가공전의 소재 10m당의 중량을 라운드 번호로하여 [K레일]을 붙여서 사용한다.
(정답률: 67%)
  •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레일 규칙의 호칭은 마무리 가공전의 소재 1m당의 중량을 라운드 번호로하여 [K레일]을 붙여서 사용한다." 이다. 이유는 레일의 크기와 무게는 제작 과정에서 가공 전과 후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가공 전의 소재 중량을 기준으로 호칭을 붙이는 것이 정확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라운드 번호로 호칭을 붙이는 것은 표준화된 방식으로, 다양한 크기와 무게의 레일을 구분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정격속도가 90m/min인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정격속도의 몇 배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조속기 로프를 기계적으로 잡아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켜야 하는가?

  1. 1.1
  2. 1.2
  3. 1.3
  4. 1.4
(정답률: 40%)
  •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기준은 로프의 긴장력이 일정한 값을 초과할 때이다. 로프의 긴장력은 로프의 중량과 탑승자의 중량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는 탑승자의 수가 적을수록 로프의 긴장력이 작아지므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기준이 더 낮아진다.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작동 기준은 일반적으로 정격속도의 1.4배 이상일 때이다. 이는 로프의 긴장력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면서도 안전한 범위 내에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격속도의 1.4배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평보행기의 스탭 구조에서 그 종류로 옳은 것은?

  1. 고무벨트식과 플라스틱성형식이 있다.
  2. 고무벨트식과 파레트식이 있다.
  3. 파레트식과 베이크라이트식이 있다.
  4. 고무벨트식과 베이크라이트식이 있다.
(정답률: 69%)
  • 수평보행기의 스탭은 보통 고무벨트나 파레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고무벨트식은 스텝이 고무벨트로 되어 있어서 발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습니다. 파레트식은 스텝이 작은 사각형 모양의 판자로 되어 있어서 발이 미끄러질 수 있지만,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무벨트식과 파레트식이 수평보행기의 스탭 종류로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출입구 바닥 앞부분과 카바닥 앞부분과의 틈의 너비는 몇 c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3 cm
  2. 4 cm
  3. 5 cm
  4. 6 cm
(정답률: 53%)
  •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출입구 바닥 앞부분과 카바닥 앞부분과의 틈의 너비는 4cm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기준으로 정해진 것으로, 이보다 크면 사람의 발이 미끄러져 넘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보다 작아도 문이 원활하게 열리고 닫히도록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4cm가 적당한 너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안전관리

16. 3상 교류방식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3상 전원 중 임의의 2상의 접속을 바꾼다.
  2. 3상 전원의 주파수를 바꾼다
  3. 3상 전원 중 1상을 단선시킨다.
  4. 3상 전원 중 2상을 단락시킨다.
(정답률: 72%)
  • 3상 교류방식에서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상을 바꿔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3상 전원 중 임의의 2상의 접속을 바꾸면 됩니다. 이유는 3상 전원에서는 각 상의 전압이 120도씩 차이가 나기 때문에, 2상의 접속을 바꾸면 전기적으로 상이 바뀌어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됩니다. 다른 방법들은 전기적으로 상을 바꾸지 않기 때문에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승강로의 벽 또는 울 및 출입문은 어떤 재료로 만들거나 씌워야 하는가?

  1. 불연재료
  2. 난연재료
  3. 준불연재료
  4. 내화재료
(정답률: 74%)
  • 승강로는 화재 발생 시 대량의 인원이 이동하는 공간이므로, 벽과 출입문은 불연재료로 만들어야 합니다. 불연재료는 불이 붙어도 연소되지 않거나 연소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난연재료, 준불연재료, 내화재료보다 불연재료가 승강로 벽과 출입문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엘리베이터의 조작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 ~ 8대의 엘리베이터를 병설로 할 때에 주로 군관리 방식을 사용한다.
  2. 건물내의 복도 양쪽에 5대 이상의 엘리베이터를 기동하고자 할 때 양방향승합전자동식을 사용한다.
  3. 화물용이나 카리프트 등에는 단식 자동식을 주로 사용한다.
  4. 2 ~ 3대의 엘리베이터를 병설로 할 때 군승합 전자동식을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58%)
  • "건물내의 복도 양쪽에 5대 이상의 엘리베이터를 기동하고자 할 때 양방향승합전자동식을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엘리베이터의 대수가 많아질수록 군승합 전자동식이나 양방향승합전자동식보다는 그룹제어 전자동식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룹제어 전자동식은 엘리베이터를 그룹으로 묶어서 운행하므로 대수가 많아질수록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안전점검표(Check list)를 작성할 때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

  1. 내용은 구체적이고 재해방지에 실효가 있도록 작성
  2. 중점도가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작성
  3. 점검표는 전문 용어로 작성
  4. 점검표는 가능한 일정 양식으로 작성
(정답률: 80%)
  • 점검표는 가능한 일정 양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아닌 이유는, 각 조직이나 시설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직이나 시설에 맞게 구체적이고 재해방지에 실효가 있는 내용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며,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으로 심리적인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감정
  2. 극도의 피로감
  3. 육체적 능력 초과
  4. 신경계통의 이상
(정답률: 79%)
  • 안전사고의 발생요인 중에서 심리적인 요인으로 감정이 해당하는 이유는, 감정은 사람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분노나 공포와 같은 감정이 운전자나 작업자의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판단력을 흐리게 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정은 안전사고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전기에 의한 발화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단락에 의한 발화
  2. 과전류에 의한 발화
  3. 접속 불량의 과열에 의한 발화
  4. 용접기의 자동전격방지장치에 의한 발화
(정답률: 71%)
  • 용접기의 자동전격방지장치는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전기를 차단하여 발화를 예방하는 장치이므로, 전기에 의한 발화의 원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전기 제거의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설비의 주변에 자외선을 쬐인다.
  2. 설비의 주변 공기를 건조시킨다.
  3. 설비의 주변에 적외선을 쬐인다.
  4. 설비의 금속체 부분을 접지시킨다.
(정답률: 73%)
  • 정전기는 전기적으로 충전된 물체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는 설비의 금속체 부분에 충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속체 부분을 접지시키면 정전기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여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자외선, 적외선, 건조 등은 정전기 제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승강기 보수 작업시 승강기의 카와 건물의 벽사이에 작업자가 끼인 재해의 발생 형태에 의한 분류는?

  1. 협착
  2. 전도
  3. 방심
  4. 접촉
(정답률: 87%)
  • 승강기 보수 작업시 승강기의 카와 건물의 벽사이에 작업자가 끼인 재해의 발생 형태는 "협착"이다. 이는 작업자가 승강기와 벽사이의 좁은 간격에 끼어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말한다. 이러한 상황은 작업자의 신체 부위를 압박하거나 질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승강기 보수 작업시에는 이러한 협착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계기구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시기별로 구분하였을 때 안전점검의 종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기점검
  2. 수시점검
  3. 자체점검
  4. 특별점검
(정답률: 51%)
  • 자체점검은 기계나 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자신이 사용하는 장비의 안전상태를 스스로 확인하는 것으로, 외부 전문가나 검사기관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점검하는 것이므로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안전점검의 종류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재해의 원인분석의 개별분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 방법은 재해 건수가 적은 사업장에 적용된다.
  2. 특수하거나 중대한 재해의 분석에 적합하다.
  3. 청취에 의하여 공통 재해의 원인을 알 수 있다.
  4. 개개의 재해 특유의 조사항목을 사용 할 수 있다.
(정답률: 51%)
  • "청취에 의하여 공통 재해의 원인을 알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개개의 재해 특유의 조사항목을 사용하여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안전대의 등급과 사용구분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1종 : U자걸이 전용
  2. 2종 : 1개걸이 U자걸이 공용
  3. 3종 : 안전블록
  4. 4종 : 1개걸이 전용
(정답률: 47%)
  • 안전대의 등급은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되며, 1종은 U자걸이 전용으로 사용되는 등급입니다. 이는 U자걸이를 사용하는 작업에서 안전대를 사용할 때 1종 안전대를 사용해야만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등급의 안전대는 U자걸이를 사용하는 작업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승강기 안전부품에 대하여 자체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기록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검사년월일
  2. 검사자의 성명
  3. 주변 온도
  4. 검사 내용
(정답률: 79%)
  • 주변 온도는 승강기 안전부품의 안전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자체검사를 시행할 때 기록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른 항목들은 승강기 안전부품의 상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기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재해의 직접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1. 물적 원인
  2. 교육적 원인
  3. 기술적 원인
  4. 작업관리상 원인
(정답률: 66%)
  • "물적 원인"은 사고나 재해의 직접적인 원인으로서, 물리적인 요인이나 물질적인 요인 등이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건물의 구조적 결함, 전기적인 고장, 화학물질의 유출 등이 물적 원인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원인은 사람의 행동과는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기술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운행속도는 몇 m/min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30
  2. 45
  3. 60
  4. 90
(정답률: 60%)
  •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운행속도는 인명구조를 위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하므로, 최소한 60m/min 이상으로 운행되어야 합니다. 이는 인명구조를 위한 국제규격인 EN 81-20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에서 행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

  1. 가이드 레일의 손상 유무
  2. 비상구출구스위치의 작동 여부
  3. 인터록스위치의 작동 여부
  4. 전동기 절연상태 검사
(정답률: 44%)
  •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에서는 전동기 절연상태 검사를 할 수 없습니다. 이는 전동기 절연상태 검사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에서는 가이드 레일의 손상 유무, 비상구출구 스위치의 작동 여부, 인터록스위치의 작동 여부 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승강기보수

31. 엘리베이터의 피트에서 행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

  1. 카와 완충기사이의 간격 검사
  2. 완충기 유(Oil)의 적정 여부 검사
  3. 카 호출장치의 접점 마모 검사
  4. 하부의 강제감속스위치 상태 검사
(정답률: 59%)
  • 엘리베이터의 피트에서 행하는 검사 중에서는 모두 엘리베이터의 안전과 관련된 검사이지만, "카 호출장치의 접점 마모 검사"는 엘리베이터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검사입니다. 카 호출장치의 접점 마모 검사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시스템에 대한 검사로, 엘리베이터의 안전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a접점(arbeit contact) 누름버튼스위치의 기호는?

(정답률: 64%)
  • a접점 누름버튼스위치의 기호는 "" 입니다. 이유는 이 기호가 스위치의 실제 모양과 가장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는 일반적으로 실제 모양과 유사하게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카 도어록이 설치되어 사람의 힘으로 열 수 없는 경우나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를 제외하고 엘리베이터의 카 바닥 앞부분과 승강로 벽과의 수평거리는 일반적인 경우 그 기준을 몇 mm 이하로 하도록 하고 있는가?

  1. 30 mm
  2. 55 mm
  3. 100 mm
  4. 125 mm
(정답률: 59%)
  • 정답은 "125 mm"입니다. 이는 대한민국 건축법에서 정한 기준이며, 이유는 안전성과 편의성 때문입니다. 카 바닥과 승강로 벽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사람이 카 바닥에 발을 놓았을 때 벽과 부딪히거나 다리를 다치는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125 mm 이하로 설정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조속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카의 정격속도가 미달될 때 정격속도가 되도록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장치
  2. 카에 일정 속도 이상의 이상속도가 발생할 때 카의 속도를 검출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차단시키는 장치
  3. 카 도어의 속도가 느릴 때 빠르게 해주는 장치
  4. 카에 정격용량 이상의 무게가 검출되었을 때 이것을 알리는 장치
(정답률: 78%)
  • 카에 일정 속도 이상의 이상속도가 발생할 때 카의 속도를 검출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차단시키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속도가 60m/min 인 엘리베이터의 피트 깊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1 m
  2. 1.2 m
  3. 1.4 m
  4. 1.5 m
(정답률: 34%)
  • 속도가 60m/min 이므로 1분에 60m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초에는 1m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엘리베이터가 멈추는 데에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안전을 위해 엘리베이터의 피트 깊이는 최소한 1.5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 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보수 기술자의 올바른 자세로 볼 수 없는 것은?

  1. 신속, 정확 및 예의 바르게 보수 처리한다.
  2. 보수를 할 때는 항상 자신만만하게 보수한다.
  3. 항상 배우는 자세로 기술향상에 적극 노력한다.
  4. 안전에 유의하면서 작업하고 항상 건강에 유의한다.
(정답률: 82%)
  • "보수를 할 때는 항상 자신만만하게 보수한다."는 올바른 자세가 아닙니다. 이는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고 타인의 조언이나 도움을 받지 않으며, 실수를 하더라도 자신의 책임으로 처리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보수 작업에서 오류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협업과 소통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수 작업에서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타인과의 협력과 조언을 받아 신중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정전시 몇 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이 자동적으로 발생되어야 하는가?

  1. 60
  2. 90
  3. 120
  4. 150
(정답률: 75%)
  •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6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이 자동적으로 발생되어야 합니다. 이는 비상 상황에서 승객들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6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제동기(brake)는 하강 중인 카를 안전하게 감속정지 시킬 수 있는 제동능력이 요구된다. 승차감을 저해하지 않고 로프 슬립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속도는 어느 정도로 하고 있는가?

  1. 0.1G
  2. 0.2G
  3. 0.3G
  4. 0.4G
(정답률: 57%)
  •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제동기는 하강 중인 카를 안전하게 감속정지 시키기 위해 일정한 감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 감속도가 너무 크면 승객의 승차감을 저해하고, 감속도가 너무 작으면 로프 슬립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적절한 감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제동기는 0.1G 정도의 감속도를 유지한다. 이는 승객의 승차감을 최소화하면서도 로프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감속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로프 상태가 소선의 파단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 가장 심한 부분에서 검사하여 1구성 꼬임(1 strand)의 1꼬임 피치내에서 파단수가 몇 개 이면 교체할 시기가 되었다고 판단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률: 25%)
  • 로프 상태가 균등하게 파단되어 있을 때, 가장 심한 부분에서 1꼬임 피치내에서 파단수가 5개 이상이면 교체할 시기가 되었다고 판단합니다. 이는 파단수가 5개 이상이면 로프의 강도가 저하되어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인 이유는 이 기준에 따라서 가장 적절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절연저항측정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절연저항 측정은 일반적으로 500V급 절연저항계를 사용한다.
  2. 절연저항측정은 모든 차단기를 폐로상태에 놓고 측정하고자 하는 회로의 2차측에서 측정한다.
  3. 모든 회로의 접지선은 분리하지 않고 측정한다.
  4. 반도체, 전해콘덴서 등을 내장한 회로는 전압계로 측정한다.
(정답률: 49%)
  • "모든 회로의 접지선은 분리하지 않고 측정한다."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접지선이 분리되어 있지 않으면 다른 회로나 지지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접지선의 저항이 변화하여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지선은 분리하여 측정하는 것이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105m/min 이고, 제동을 건 후 이동한 정지거리가 0.9m 인 경우 제동 소요시간은 약 몇 초 인가?

  1. 1.03
  2. 1.25
  3. 1.46
  4. 1.63
(정답률: 27%)
  • 제동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제동거리 = (제동시간)^2 x 가속도 / 2

    여기서 가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가속도 = 정격속도 / 60

    따라서 제동 거리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9 = (제동시간)^2 x (105/60) / 2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동시간 = √(0.9 x 2 x 60 / 105) ≈ 1.03

    따라서 정답은 "1.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엘리베이터의 카자중 1500kg, 적재하중 1000kg, 오버밸런스율 50%, 정격속도 60m/min, 종합 효율이 50%인 경우 전동기의 용량은 약 몇 kw 인가?

  1. 5.5kw
  2. 7.5kw
  3. 9.8kw
  4. 15kw
(정답률: 40%)
  • 엘리베이터의 적재하중은 1000kg이고, 오버밸런스율이 50%이므로 카자중은 1500kg입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운반할 수 있는 총 중량은 2500kg입니다.

    종합 효율이 50%이므로, 전력 소비량은 운반 중량에 비례하여 2배가 됩니다. 즉, 2500kg을 운반할 때 필요한 전력은 2배인 5000kgf·m/s가 됩니다.

    정격속도가 60m/min이므로, 1분에 60m를 운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분에 필요한 일을 계산하면 5000kgf·m/s ÷ 60s = 83.3kgf·m/s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이 값을 전동기의 효율과 전압으로 나누어 전동기의 용량을 계산합니다. 전동기의 효율은 50%이므로, 83.3kgf·m/s ÷ 0.5 = 166.6kgf·m/s가 필요합니다. 전압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단위를 kW로 변환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166.6kgf·m/s ÷ 9.81m/s² ÷ 1000W/kW = 1.7kW가 됩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용량은 약 1.7kW가 되며, 보기 중에서 이에 가장 가까운 값은 9.8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카와 균형후에 대한 로프거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1:1 로핑방식을 사용하나 2:1 로핑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그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로프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2. 속도를 줄이거나 적재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3. 로프를 교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4. 무부하로 운전할 때를 대비하기 위하여
(정답률: 61%)
  • 2:1 로핑방식은 로프를 더 많이 사용하여 적재하중을 더 많이 견딜 수 있도록 하거나, 속도를 줄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속도를 줄이거나 적재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권상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조속기
  2. 전동기
  3. 감속기
  4. 브레이크
(정답률: 48%)
  • 권상기는 로프를 감아서 물체를 들어올리는 기계로, 전동기, 감속기, 브레이크가 권상기의 구성요소이지만, 조속기는 권상기와는 관련이 없는 기계입니다. 조속기는 선박이나 비행기 등에서 사용되는 기계로, 이동하는 물체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속기는 권상기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승강장에서 디딤판의 승강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2. 사람이나 물건이 핸드레일 인입구에 끼였을 때 디딤판의 승강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3. 상하 승강장에서 디딤판과 콤플레이트 사이에 사람이나 물건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4. 디딤판체인이 절단 되었을 때 디딤판의 승강을 수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디딤판체인이 절단 되었을 때 디딤판의 승강을 수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이다."입니다. 이유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 중 디딤판체인이 절단되었을 때 디딤판의 승강을 수동으로 정지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는 안전장치 중 하나가 아니라 수리나 정비를 위한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전기기초이론

46.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제어시스템 또느 구동기 브레이크에 이상이 발생하여 승강장 문이 열린 채 카가 움직일 경우 승강장에서 몇 mm를 이동하기 전에 카를 완전히 정지시켜야 하는가?

  1. 1200 mm
  2. 1300 mm
  3. 1400 mm
  4. 1500 mm
(정답률: 61%)
  •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카가 움직이는 동안 로프의 이동을 감지하여 카의 이동을 제어합니다. 만약 로프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카를 정지시킵니다. 이 때, 카가 움직이는 거리와 안전장치가 작동하는 거리는 일정합니다. 따라서, 카가 움직이는 거리가 1200 mm일 때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카를 정지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논리기호의 논리식은?

(정답률: 63%)
  • 논리식에서 AND 연산자는 두 개의 명제가 모두 참일 때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자입니다. 따라서, 논리식에서 ""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역률이 가장 좋은 단상 유도전동기는?

  1. 분상기동형
  2. 반발기동형
  3. 콘덴서기동형
  4. 셰이딩코일형
(정답률: 63%)
  • 콘덴서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는 역률이 가장 좋은 이유는 콘덴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보상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유도전동기의 효율이 향상되어 역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콘덴서기동형은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이 안정적이며, 부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교류 ㆍ 직류 양용이며, 고정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가동 코일에 흐르는 전류 상호간의 전자력으로 작동하는 계측기기의 종류는?

  1. 열전형
  2. 가동코일형
  3. 가동철편형
  4. 전류력계형
(정답률: 34%)
  • 고정 코일과 가동 코일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이들 사이에 전자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전자력은 가동 코일에 작용하여 계측기의 눈금을 움직이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작동하는 계측기를 전류력계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각도 측정기가 아닌 것은?

  1. 서피스 게이지
  2. 사인 바
  3. 분도기
  4. 만능 각도기
(정답률: 65%)
  • 서피스 게이지는 표면의 평평함을 측정하는 도구이며, 각도를 측정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각도 측정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특수한 모양을 가진 원동절에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주어서 이것과 짝을 이루고 있는 중동절이 복잡한 왕복 직선 운동이나 왕복 각운동 등을 하게 하는 것은?

  1. 캠 기구
  2. 웜 기어
  3. 클러치
  4. 래크
(정답률: 55%)
  • 캠 기구는 회전운동을 받는 원동절의 모양에 따라서 중동절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기구입니다. 캠 기구는 원동절의 모양에 따라서 중동절이 움직이는 방향, 속도, 가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운동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캠 기구는 중동절의 운동을 제어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름이 36mm인 짧고 둥근막대에 40000 N의 압축하중을 가했을 때 압축응력은?

  1. 약 20 N/mm2
  2. 약 30 N/mm2
  3. 약 40 N/mm2
  4. 약 50 N/mm2
(정답률: 52%)
  • 압축응력은 압축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응력 = 압축하중 / 단면적 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압축하중이 40000 N이고, 단면적은 원의 면적인 πr^2 (r은 지름의 절반인 18mm) 이므로, 압축응력 = 40000 / (π x 18^2) ≈ 40 N/mm^2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40 N/m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동기의 회전방향과 관계가 가장 깊은 법칙은?

  1. 렌쯔의 법칙
  2. 페러데이의 법칙
  3. 플레밍의 왼손법칙
  4.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정답률: 52%)
  • 전동기의 회전방향과 관계가 가장 깊은 법칙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입니다. 이는 전류, 자기장, 운동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왼손의 엄지, 검지, 중지를 각각 전류의 방향, 자기장의 방향, 운동 방향으로 놓고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회전 방향이 됩니다. 따라서 전동기에서 전류와 자기장이 만드는 힘의 방향과 운동 방향을 알면 회전 방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기어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마찰계수가 크다.
  2. 정확한 속도비를 얻는 데 유리하다.
  3. 동력전달이 확실하다.
  4. 내구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52%)
  • 기어의 장점 중 마찰계수가 크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기어의 단점 중 하나로, 마찰로 인한 열과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찰계수가 작을수록 효율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하며, 이는 기어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저항 100Ω의 전열기에 5A의 전류를 흘렸을 때 전력은?

  1. 20W
  2. 100W
  3. 500W
  4. 2500W
(정답률: 46%)
  • 전력은 전류와 전압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류와 저항이 주어졌으므로, 전압을 계산하여 전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오므로의 법칙에 따라 전압은 전류와 저항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 = 전류 x 저항
    전압 = 5A x 100Ω
    전압 = 500V

    따라서, 전력은 전류와 전압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력 = 전류 x 전압
    전력 = 5A x 500V
    전력 = 2500W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250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잇수가 50, 모듈 3 인 스퍼기어의 외경(이끝원 지금)은 몇 mm 인가?

  1. 126
  2. 132
  3. 156
  4. 180
(정답률: 54%)
  • 잇수가 50이므로 한 바퀴를 돌 때 스퍼기어의 이빨이 50개가 회전하게 됩니다. 모듈이 3이므로 스퍼기어의 이빨 한 개당 톱니높이는 3mm입니다. 따라서 스퍼기어의 외경은 이빨 수 × 톱니높이 = 50 × 3 = 150mm가 됩니다. 하지만 스퍼기어의 이끝원 지름은 톱니높이만큼 더해져야 하므로 6mm가 더해져서 156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떤 물체의 영률(Young’s modulus)이 작다는 것은?

  1. 안전하다는 것이다.
  2. 불안전하다는 것이다.
  3. 늘어나기 쉽다는 것이다.
  4. 늘어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정답률: 61%)
  • 영률이 작다는 것은 물체가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될 때, 그 변형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체가 늘어나기 쉽다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콘덴서의 용량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극판의 면적을 넓게 한다.
  2. 극판의 간격을 좁게 한다.
  3. 극판간에 넣는 물질은 비유전율이 큰 것을 사용한다.
  4. 극판사이의 전압을 높게 한다.
(정답률: 44%)
  • 극판사이의 전압을 높이면 콘덴서의 전하 저장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극판사이의 전압을 높게 한다."는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계장치에서 2개 이상의 부분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결합용 기계 요소로만 나열된 것은?

  1. 리벳, 핀, 베어링
  2. 키, 기어, 스프링
  3. 클러치, 핀, 체인
  4. 볼트, 너트, 리벳
(정답률: 53%)
  • 볼트와 너트는 나사와 함께 사용되어 두 부분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며, 리벳은 두 개 이상의 두 부분을 고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들은 기계장치에서 2개 이상의 부분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결합용 기계 요소로만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입력과 출력전압에 해당하는 정류회로는?

  1. 단상 반파정류
  2. 단상 전파정류
  3. 3상 반파정류
  4. 3상 전파정류
(정답률: 34%)
  • 입력 전압이 양수인 경우와 음수인 경우 모두 출력 전압이 양수로 유지되므로, 이는 단상 전파정류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