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29)

승강기기능사
(2009-03-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개론

1. 균형추쪽에도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는?

  1. 정격속도가 360m/min 이상인 승객용 엘리베이터
  2. 정격속도가 400m/min 이상인 승객용 엘리베이터
  3. 피트 바닥하부를 거실 등으로 사용할 경우
  4. 가이드 레일의 길이가 짧은 경우
(정답률: 63%)
  • 피트 바닥하부를 거실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만약 균형추가 떨어지게 되면 바닥하부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큰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격속도나 가이드 레일의 길이와 관련된 내용이지만, 이들은 균형추가 떨어지는 경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홀 랜턴(hall lantern)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단독 카일 때 사용하며 방향을 표시한다.
  2. 2대 이상일 때 많이 사용하며 위치를 표시한다.
  3. 군관리방식에서 도착예보와 방향을 표시한다.
  4. 카의 출발을 예보한다.
(정답률: 59%)
  • 홀 랜턴은 군관리방식에서 사용되며, 도착예보와 방향을 표시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홀 랜턴의 사용 용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의 구조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기계실 내부에 공간이 있어서 옥상 물탱크의 양수 설비를 하였다.
  2.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하였다.
  3. 바닥면적은 승강로의 수평투영면적의 2배로 하였다.
  4. 천장에는 기기를 양정하기 위한 고리를 설치하였다.
(정답률: 86%)
  • "기계실 내부에 공간이 있어서 옥상 물탱크의 양수 설비를 하였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내부에는 다른 시설물이나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옥상 물탱크의 양수 설비를 기계실 내부에 설치하는 것은 안전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조속기는 무엇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개폐작용을 하는가?

  1. 응력
  2. 원심력
  3. 마찰력
  4. 항력
(정답률: 79%)
  • 조속기는 회전하는 원반과 그 위에 위치한 스위치를 이용하여 스위치의 개폐작용을 합니다. 이때 원반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심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어 클로저는 승강장 문의 개방에서 생기는 재해를 막기위한 장치이다.
  2. 도어 스위치는 승강장 문이 닫혀있지 않으면 운전이 불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3. 세이프티 슈는 카 도어의 끝단에 설치하여 이물체가 접촉되면 도어를 반전시키는 장치이다.
  4. 도어 인터록은 주행 중 카 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39%)
  • 정답: "도어 인터록은 주행 중 카 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 도어 인터록은 주행 중에는 작동하지 않고, 주행 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주행 중에는 도어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주행 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는 것은 도어 락이나 도어 클로저 등의 다른 안전장치가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승강기의 속도에 따른 분류 중 고속에 속하는 것은?

  1. 60m/min~90m/min
  2. 95m/min~115m/min
  3. 120m/min~300m/min
  4. 360m/min 이상
(정답률: 74%)
  • 승강기의 속도에 따른 분류는 일반적으로 60m/min 이하의 속도를 저속, 60m/min~120m/min의 속도를 중속, 120m/min~300m/min의 속도를 고속, 300m/min 이상의 속도를 초고속으로 분류합니다. 따라서, 120m/min~300m/min의 속도를 가진 승강기는 고속에 속하게 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업용 빌딩이나 대형 아파트 등에서 사용되는 고속 엘리베이터의 속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예비전원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3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적으로 발생하여 1시간 이상 작동하여야 한다.
  2. 4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적으로 발생하여 1시간 이상 작동하여야 한다.
  3. 6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적으로 발생하여 2시간 이상 작동하여야 한다.
  4. 9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적으로 발생하여 2시간 이상 작동하여야 한다.
(정답률: 85%)
  •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예비전원은 6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적으로 발생하여 2시간 이상 작동해야 합니다. 이는 비상 상황에서도 엘리베이터가 오랫동안 멈춰있지 않고 승객들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주시브(main sheave)에 대한 흠의 형상이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α 값이 클수록 마찰계수와 홈압력이 작아진다.
  2. α 값이 클수록 마찰계수는 작아지나 홈압력이 커진다.
  3. α 값이 클수록 마찰계수는 커지나 홈압력이 작아진다.
  4. α 값이 클수록 마찰계수와 홈압력이 커진다.
(정답률: 45%)
  • 주시브의 흠의 형상이 α 값이 클수록 홈의 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홈압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홈의 각도가 작아지면 마찰계수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α 값이 클수록 마찰계수와 홈압력이 커진다. 정답은 "α 값이 클수록 마찰계수와 홈압력이 커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카 틀(Car Frame)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상부체대
  2. 하부체대
  3. 도어체대
  4. 브레이스 로드
(정답률: 40%)
  • 카 틀(Car Frame)은 차량의 기본적인 구조물로서, 상부체대, 하부체대, 브레이스 로드 등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도어체대는 차량의 문을 지지하는 부품으로, 카 틀의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어체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이드 레일은 제조와 설치시 승강로내의 반입이 편리하도록 약 몇 [m] 로 하고 있는가?

  1. 3m
  2. 4m
  3. 5m
  4. 6m
(정답률: 57%)
  • 가이드 레일은 승강로 내부에 설치되는데, 이때 가이드 레일의 길이가 너무 길면 반입이 어렵고 불편해집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 제조 및 설치 시, 승강로 내부의 반입이 편리하도록 약 5m로 제작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이드 레일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반입과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자동차용 엘리베이터나 대형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주로 사용하는 도어 개폐방식은?

  1. CO
  2. SO
  3. UD
  4. UP
(정답률: 68%)
  • 정답은 "UP"입니다. 자동차용 엘리베이터나 대형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출입구도 크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큰 출입구를 열고 닫기 위해서는 상하로 움직이는 문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UP" 방식의 도어 개폐방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오리피스 틈새
  2. 실린더
  3. 오일게이지
  4. 플런져
(정답률: 70%)
  • 오리피스 틈새는 실린더와 연결되어 있는 작은 구멍으로, 엔진 내부의 오일이나 연료가 흘러가는 경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엔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오일게이지나 플런져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오리피스 틈새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간접식 유압엘리베이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린더를 설치하기 위한 보호관이 필요하지 않다.
  2. 실린더 길이가 직접식에 비하여 짧다.
  3.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4. 실린더의 점검이 직접식에 비하여 쉽다.
(정답률: 75%)
  • 간접식 유압엘리베이터의 특징 중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지 않는 이유는, 간접식 엘리베이터는 유압실린더가 바닥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압액이 실린더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상단 탱크로 돌아가기 때문에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도는 기본적으로 몇 도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2˚
  2. 15˚
  3. 30˚
  4. 45˚
(정답률: 70%)
  •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도는 30˚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인간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것입니다. 30˚ 이상의 경사도는 오르내리기 어렵고, 넘어지기 쉬우며, 심지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도는 30˚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상정지장치 F.W.C(Flexible Wedge Clamp)형의 그래프는? (단, 가로축 : 거리, 세로축 : 정지력 이다.)

(정답률: 62%)
  • F.W.C형 비상정지장치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정지력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그 중에서도 "" 그래프는 다른 그래프들에 비해 거리가 멀어질수록 정지력이 더욱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안전관리

16.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제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동기는 직류 전동기가 사용된다.
  2.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3. 컨버터(converter)와 인버터(inverter)로 구성되어 있다.
  4. PAM 제어방식과 PWM 제어방식이 있다.
(정답률: 54%)
  • "전동기는 직류 전동기가 사용된다."는 VVVF 제어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전동기가 직류 전동기인 이유는 직류 전동기가 회전자와 정자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VVVF 제어는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직류 전동기뿐만 아니라 교류 전동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불연재료
  2. 난연재료
  3. 준불연재료
  4. 내화재료
(정답률: 77%)
  • 이 보기에서 "불연재료"는 화재 발생 시 불이 붙어도 연소되지 않는 재료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위 그림에서 불이 붙어도 연기가 나지 않고 불이 꺼지는 것을 보면 이 재료는 불연재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가 아닌 것은?

  1. 구동체인 안전장치
  2. 기계 브레이크
  3. 조속기
  4. 스컷트 가드
(정답률: 56%)
  •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중에서 스컷트 가드는 역회전 방지와는 관련이 없는 부분입니다. 스컷트 가드는 에스컬레이터의 옆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장치로, 스컷트(에스컬레이터의 가장자리 부분)와 사람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컷트 가드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성을 높이는 부분이지만, 역회전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안전사고 방지의 기본원리 중 3E를 적용하는 단계는?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5단계
(정답률: 77%)
  • 3E는 Engineering(공학적 대책), Education(교육), Enforcement(강제적 시행)의 약자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기본원리이다. 이 중 5단계는 Enforcement(강제적 시행)에 해당한다. 즉,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학적 대책과 교육을 통해 예방할 수 있는 부분을 최대한 예방하고, 그 이후에 강제적으로 시행해야 할 부분을 시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5단계는 마지막에 시행되는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방호장치 중 과도한 한계를 벗어나 계속적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장치는?

  1. 크레인
  2. 리미트스위치
  3. 윈치
  4. 호이스트
(정답률: 81%)
  • 리미트스위치는 방호장치 중에서도 과도한 한계를 벗어나 계속적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인 크레인, 윈치, 호이스트는 모두 작동을 계속하면서 한계를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승강기 운전자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술에 취한 채 또는 흡연하면서 운전하지 말아야 한다.
  2. 정원 또는 적재하중을 초과하여 태우지 말아야 한다.
  3. 질병, 피로 등을 느꼈을 때는 즉시 약을 복용하고 근무한다.
  4. 운전 중 사고가 발생한 때에는 즉시 운전을 중지하고 관리 주체에 보고한다.
(정답률: 86%)
  • "질병, 피로 등을 느꼈을 때는 즉시 약을 복용하고 근무한다."는 옳지 않은 사항입니다. 이는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근무 도중에 의식을 잃거나 다른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근무 전에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스패너를 힘주어 돌릴 때 지켜야 할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 연장하면 힘이 훨씬 덜 들게 된다.
  2. 주위를 살펴보고 조심성 있게 조인다.
  3. 스패너를 밀지 않고 당기는 식으로 사용한다.
  4. 스패너를 조금씩 여러 번 돌려 사용한다.
(정답률: 68%)
  •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 연장하면 힘이 훨씬 덜 들게 된다는 이유는 파이프를 끼우면 레버 원리에 따라 토크(회전력)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 적은 힘으로 더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안전·보건표지의 색채·색도기준에서 색채와 용도가 서로 맞지 않은 것은?

  1. 빨강 - 금지
  2. 노랑 - 대피
  3. 녹색 - 안내
  4. 파랑 - 지시
(정답률: 66%)
  • 노랑색은 대피를 안내하는 색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는 노란색이 주변 환경에서 가장 눈에 띄는 색상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란색은 비상 상황에서 대피를 안내하는 표지에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재해의 발생 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것은?

  1. 열량의 과잉 억제
  2. 설비의 Layout 착오
  3. Over Load
  4. 작업자 작업행동 부주의
(정답률: 83%)
  • 작업자 작업행동 부주의는 인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작업자가 안전 규정을 무시하거나 경험 부족으로 인해 안전한 작업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자 교육과 안전 규정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승강기의 자체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브레이크
  2. 가이드레일
  3. 비상정지장치
  4. 권과방지장치
(정답률: 57%)
  • 승강기의 자체검사 항목 중에서 권과방지장치는 제외됩니다. 이는 권과방지장치가 승강기 안전장치 중 하나이지만, 이 장치는 승강기의 운전자나 유지보수 담당자가 수동으로 검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권과방지장치는 자동으로 검사되지 않으며, 승강기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수동 검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기간을 두고 행하는 안전점검의 종류는?

  1. 임시점검
  2. 정기점검
  3. 특별점검
  4. 일상점검
(정답률: 85%)
  • 정기점검은 일정한 기간마다 시설물이나 장비 등을 체계적으로 점검하여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행해지는 안전점검의 종류 중 하나가 정기점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에서 안전수칙에 어긋나는 행위는?

  1. 위험 및 사용금지의 표찰이 붙어서 결함이 있는 사다리를 사용 할 때는 주의하면서 사용한다.
  2. 사다리 밑 끝이 불안전하거나 3m 이상의 높은 곳이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붙들게 하고 작업한다.
  3. 사다리를 문 앞에 설치할 때는 문을 완전히 열어놓거나 잠궈야 한다.
  4. 사다리 설치시에는 사다리의 밑바닥이 사다리 길이와 관련지어 어느 정도 벽에서 떨어지게 한다.
(정답률: 75%)
  • 사다리 밑 끝이 불안전하거나 3m 이상의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붙들게 하고 작업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은 행위입니다. 이는 사다리가 불안정하게 움직일 수 있고 작업자가 넘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사다리를 사용할 때는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전기 제거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비 주변의 공기를 가습한다.
  2. 설비의 금속 부분을 접지한다.
  3. 설비에 정전기 발생 방지 도장을 한다.
  4. 설비의 주변에 자외선을 쪼인다.
(정답률: 63%)
  • 설비의 주변에 자외선을 쪼이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설비에 노출된 인체나 장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외선은 눈이나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일부 장비에도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전기 제거를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STEP)의 정격속도는 일반적인 경우 몇 [m/min]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3년 관련규정이 개정된듯 합니다. 참고만 하세요.)

  1. 20m/min
  2. 30m/min
  3. 50m/min
  4. 60m/min
(정답률: 65%)
  •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STEP)의 정격속도는 2013년 관련규정에서는 30m/min 이하로 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성을 고려한 것으로, 높은 속도로 운행할 경우 사용자들이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STEP)의 정격속도는 30m/min 이하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피트내에서 행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

  1. 카 및 균형추와 완충기의 거리
  2. 아랫부분 리미트스위치류의 설치상태
  3. 이동케이블(Traveling cable) 의 손상 염려 여부
  4. 마그네틱 테이프 조정
(정답률: 58%)
  • 마그네틱 테이프 조정은 피트내에서 행하는 검사가 아닙니다. 이는 로봇 청소기의 센서를 보정하는 작업으로, 사용자가 직접 조정해야 하는 작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로봇 청소기의 안전과 관련된 검사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승강기보수

31. 다음 중 교류 1단 속도제어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기동은 고속권선으로 행하고 감속은 저속권선으로 행하는 것이다.
  2. 모터의 계자코일에 저항을 넣어 이것을 증감하는 것이다.
  3. 기동과 주행은 고속권선으로, 감속과 착상은 저속권선으로 행하는 것이다.
  4. 3상 교류의 단속도 모터에 전원을 투입하므로서 기동과 정속운전을 하고 착상하는 것이다.
(정답률: 49%)
  • 4번입니다. 교류 1단 속도제어는 3상 교류의 단속도 모터에 전원을 투입하여 기동과 정속운전을 하고 착상하는 것입니다. 이는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리미트스위치의 접점 [보기] 의 명칭은?

  1. 전기적 a접점
  2. 전기적 b접점
  3. 기계적 a접점
  4. 기계적 b접점
(정답률: 64%)
  • 리미트스위치의 접점은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므로, 이 접점은 기계적 b접점이라고 부릅니다.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은 아니기 때문에 전기적 a접점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비상정지장치의 성능시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적용 최대 중량에 상당하는 무게를 적용한다.
  2. 가이드 레일의 윤활상태를 실제의 사용상태와 같도록 한다.
  3. 비상정지의 시험 후 완충기의 파손 유무를 확인한다.
  4. 비상정지의 시험 후 수평도와 정지거리를 측정한다.
(정답률: 44%)
  • 비상정지장치의 시험 후 완충기의 파손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완충기는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할 때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한 정지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완충기가 파손되어 있으면 비상정지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파손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균형추측에 조속기가 있는 경우의 작동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측과 같은 속도로 동시에 작동
  2. 카측보다 빨리 작동
  3. 카측보다 나중에 작동
  4. 카측의 3/4 속도에서 이동
(정답률: 43%)
  • 균형추측에 조속기가 있는 경우, 조속기는 카측보다 더 늦게 작동합니다. 이는 조속기가 작동하면 그만큼 카측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어 카측이 더 빨리 내려오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속기는 카측이 일정한 속도로 내려오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워엄 기어 오일(worm gear oi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워엄기어가 분말이나 먼지로 혼탁해지면 교체한다.
  2. 반드시 지정된 것만 사용한다.
  3. 규정된 수준을 유지하여야 한다.
  4. 매월 교체하여야 한다.
(정답률: 73%)
  • 워엄 기어 오일은 매월 교체할 필요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 환경과 사용 빈도에 따라 교체 주기가 결정되며, 교체 주기를 넘기지 않고 규정된 수준을 유지하면 됩니다. 따라서 "매월 교체하여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에스컬레이터 회로의 사용전압이 400V 이하인 것의 접지저항은 몇 [Ω] 이하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기존 정답은 2번입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0Ω
  2. 100Ω
  3. 300Ω
  4. 500Ω
(정답률: 74%)
  • 에스컬레이터 회로의 사용전압이 400V 이하인 경우, 접지저항은 100Ω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전기안전관리규정 제32조(전기설비의 접지)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접지저항이 낮을수록 전기적 안전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접지저항이 100Ω 이하인 것이 요구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정격속도가 45m/min이하인 승강기에서 승강기가 최상층에 정지하였을 때 카 상부에서 승강로 상부까지의 거리 즉, 꼭대기틈새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m
  2. 1.2m
  3. 1.4m
  4. 1.5m
(정답률: 56%)
  • 승강기 안전규정에 따르면, 승강기가 최상층에 도달했을 때 카 상부와 승강로 상부 사이의 거리는 최소 1.2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승강기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간격으로, 이보다 작으면 사람이 끼어들거나 물체가 끼어들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승강기에 많이 사용하는 가이드레일의 허용응력은 원칙적으로 몇 [kgf/㎠]인가?

  1. 1000kgf/㎠
  2. 1450kgf/㎠
  3. 2100kgf/㎠
  4. 2400kgf/㎠
(정답률: 51%)
  • 승강기에 많이 사용하는 가이드레일은 큰 하중을 견디기 위해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의 허용응력은 높은 편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높은 허용응력을 가진 것은 2400kgf/㎠입니다. 이는 가이드레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더 높은 응력이 가해지면 가이드레일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전으로 인하여 카가 정지될 때 점검자에 의해 주로 사용되는 밸브는?

  1. 하강용 유량제어 밸브
  2. 스톱 밸브
  3. 릴리프 밸브
  4. 체크 밸브
(정답률: 43%)
  • 정전으로 인하여 카가 정지될 때, 하강용 유량제어 밸브는 카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여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스톱 밸브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릴리프 밸브는 과압 상황에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체크 밸브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지만, 카의 정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전으로 인하여 카가 정지될 때 주로 사용되는 밸브는 하강용 유량제어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로프식 승강기의 조명회로 전압이 220V인 경우 절연저항값은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1MΩ
  2. 0.2MΩ
  3. 0.3MΩ
  4. 0.4MΩ
(정답률: 71%)
  • 로프식 승강기의 조명회로는 전기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절연저항이 충분히 높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절연저항값은 0.1MΩ 이상이어야 하지만, 로프식 승강기의 경우 높은 전압을 다루므로 0.2MΩ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M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에스컬레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방화셔터가 핸드레일 반환부의 선단에서 2m 이내에 있는 에스컬레이터는 그 셔터와 연동하여 작동해야 한다.
  2. 전원의 상이 바뀌면 주행을 멈출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3. 제어반의 각종 단자나 부품의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한다.
  4. 감속기의 오일 온도가 60℃를 넘을 경우 정지장치가 필요하다.
(정답률: 51%)
  • 감속기의 오일 온도가 60℃를 넘을 경우 정지장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감속기의 오일 온도가 높아지면 감속기 내부의 부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감속기 내부의 온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감속기의 오일 온도가 60℃를 넘을 경우 냉각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균형추의 중량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카 자체하중 + 정격적재하중
  2. 카 자체하중 + 균형체인하중 + 이동케이블하종
  3. 카 자체하중 + (균형체인하중 + 로프하중 + 이동케이블하중) × 50%
  4. 카 자체하중 + (정격적재하중 × 오버밸런스율)
(정답률: 65%)
  • 균형추는 크레인의 안전한 운전을 위해 필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균형추의 역할은 크레인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균형추의 중량은 크레인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데 필요한 중량으로, 이는 크레인의 자체하중과 정격적재하중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리고 오버밸런스율은 균형추의 중량을 더해줄 비율을 나타내며, 이는 균형추의 중량이 정격적재하중의 몇 %인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균형추의 중량은 "카 자체하중 + (정격적재하중 × 오버밸런스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평보행기의 일반구조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딤면의 폭이 560mm 인 수평보행기
  2. 경사도가 12º 로 설치된 수평보행기
  3. 디딤면이 고무 제품으로된 경우 15º 로 설치된 수평 보행기
  4. 디딤판의 속도가 60m/min인 수평보행기
(정답률: 50%)
  • 디딤판의 속도가 60m/min인 수평보행기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일반적으로 수평보행기의 속도는 0.5~1.5m/min 정도로 매우 느리기 때문입니다. 60m/min은 매우 높은 속도이며, 이는 일반적인 수평보행기의 구조와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승강장 문의 로크 및 스위치 검사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승강장 문은 외부에서 열 수 없도록 로크장치의 설치상태가 견고하여야 한다.
  2. 승강장 문이 열려 있거나 닫혀 있지 않은 경우 도어 스위치는 열려 있어야 한다.
  3. 승강장 문의 인터록장치는 로크가 걸린 후에 도어 스위치를 닫아야 한다.
  4. 승강장 문의 도어 스위치가 확실히 열리기 전에 로크가 벗겨져야 한다.
(정답률: 53%)
  • 승강장 문의 도어 스위치가 확실히 열리기 전에 로크가 벗겨져야 한다는 것은, 로크가 벗겨지기 전에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로크가 벗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문이 열리면, 사람이나 물건이 문 밖으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로크가 벗겨진 후에야 문이 열리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전동기(Motor)용량 계산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속도
  2. 에스컬레이터의 총합효율
  3. 승강장의 길이
  4. 경사각도
(정답률: 54%)
  •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전동기(Motor)용량 계산시에는 승강장의 길이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전동기(Motor)용량 계산시에는 에스컬레이터의 총합효율, 속도, 경사각도 등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승강장의 길이는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전동기(Motor)용량 계산과는 무관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전기기초이론

46. 다음 중 권상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조속기
  2. 전동기
  3. 감속기
  4. 브레이크
(정답률: 44%)
  • 정답은 "조속기"입니다. 권상기는 전동기, 감속기, 브레이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속기는 권상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조속기는 일반적으로 전동기와 함께 사용되어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동일 규격의 축전지 2개를 병렬로 접속하면 전압과 용량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1. 전압과 용량이 모두 반으로 줄어든다.
  2. 전압과 용량이 모두 2배가 된다.
  3. 전압은 2배가 되고 용량은 변하지 않는다.
  4. 전압은 변하지 않고 용량은 2배가 된다.
(정답률: 64%)
  • 동일 규격의 축전지를 병렬로 접속하면 전압은 변하지 않고 용량은 2배가 됩니다. 이는 병렬 접속 시 전압은 각 축전지의 전압이 동일하기 때문에 변하지 않지만, 용량은 각 축전지의 용량이 합쳐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압은 유지되고 용량만 증가하므로, 병렬 접속은 전압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늘리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일감의 평행도, 원통의 진원도, 회전체의 흔들림정도 등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측정기기는?

  1. 버니어캘리퍼스
  2. 하이트게이지
  3. 마이크로미터
  4. 다이얼게이지
(정답률: 65%)
  • 다이얼게이지는 일감의 평행도, 원통의 진원도, 회전체의 흔들림정도 등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측정기기입니다. 이는 다이얼게이지가 측정한 값을 다이얼로 표시하기 때문입니다. 다이얼게이지는 측정 범위가 넓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값을 쉽게 읽을 수 있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훅온메타
  2. 볼트메타
  3. 휘트스톤 브리지
  4. 메가
(정답률: 33%)
  • 전류는 전기를 통해 흐르는 전자의 양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므로, 전자의 흐름을 감지하고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인 "훅온메타"가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볼트메타"는 전압을 측정하는 기기이며, "휘트스톤 브리지"와 "메가"는 전기 회로에서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류의 열작용과 관계 있는 법칙은?

  1. 옴의 법칙
  2. 줄의 법칙
  3. 플레밍의 법칙
  4. 키르히호프의 법칙
(정답률: 71%)
  • 전류의 열작용과 관련된 법칙 중에서, "줄의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류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전압이 일정하게 분배되는 법칙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압이 일정하게 분배되어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전기 회로 설계 및 운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입완충기의 최소 스트로크는 무엇에 비례하는가?

  1. 정격하중
  2. 행정거리
  3. 피트깊이
  4. 정격속도
(정답률: 45%)
  • 유입완충기의 최소 스트로크는 정격속도에 비례합니다. 이는 유입완충기가 정격속도에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충격판이 충격을 받아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격속도가 높을수록 충격판이 이동해야 할 거리가 더 많아지므로 최소 스트로크도 더 길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퀀스제어에 있어서 기억과 판단기구 및 검출기를 가진 제어방식은?

  1. 시한제어
  2. 순서 프로그램제어
  3. 조건제어
  4. 피드백제어
(정답률: 56%)
  • 피드백제어는 시스템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기억과 판단기구, 검출기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동작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피드백제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어 방식으로, 시퀀스제어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트랜지스터, IC 등의 반도체를 사용한 논리소자를 스위치로 이용하여 제어하는 시퀀스 제어방식은?

  1. 전자개폐기제어
  2. 유접점제어
  3. 무접점제어
  4. 과전류계전기제어
(정답률: 59%)
  • 시퀀스 제어방식은 반도체를 사용한 논리소자를 스위치로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스위치는 물리적인 접점이 없는 무접점 스위치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합니다. 따라서 시퀀스 제어방식은 무접점제어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압, 전류, 주파수, 회전속도 등 전기적, 기계적 양을 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응답속도가 대단히 빨라야 하는 것이 특징인 제어는?

  1. 프로세스제어
  2. 서보기구
  3. 자동조정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46%)
  • 응답속도가 빨라야 하는 제어는 자동조정입니다. 이는 전압, 전류, 주파수, 회전속도 등의 양을 빠르게 감지하고 즉각적으로 조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동조정은 이러한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빠른 응답속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직류기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계자
  2. 전기자
  3. 보극
  4. 정류자
(정답률: 79%)
  • 직류기의 3요소는 계자, 전기자, 정류자입니다. 보극은 직류기의 요소가 아니며, 보극은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이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력선은 A, B, C, D중 어느 방향인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52%)
  • 정답은 "A"입니다.

    순서대로 설명하면,

    - 오른손 법칙에 따라 코일 안쪽으로 향하는 자력선이 생성됩니다.
    - 코일 안쪽으로 향하는 자력선은 코일의 중심을 향해 곡선을 그리며 흐릅니다.
    - 따라서, 코일 안쪽으로 향하는 자력선이 A 방향으로 흐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회로에서 합성저항 R은 몇 [Ω] 인가?

  1. 1.6Ω
  2. 4.5Ω
  3. 6.0Ω
  4. 8.0Ω
(정답률: 54%)
  • 주어진 회로에서 R은 4.5Ω과 1.6Ω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병렬 연결된 저항의 합성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R = 1/R1 + 1/R2

    여기서 R1은 4.5Ω, R2는 1.6Ω입니다. 따라서,

    1/R = 1/4.5 + 1/1.6

    1/R = 0.222 + 0.625

    1/R = 0.847

    R = 1/0.847

    R = 1.18Ω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합성저항 R의 값이 아니라, 합성저항 R이 몇 옴인지를 묻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1.6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수동조작 자동 복귀형 접점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54%)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수동조작으로 ON/OFF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전 상태로 자동 복귀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동기에 설치되어 있는 THR은?

  1. 과전류계전기
  2. 과전압계전기
  3. 열동계전기
  4. 역상계전기
(정답률: 40%)
  • THR은 전동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기 위한 열동계전기입니다. 전동기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여 과부하를 방지합니다. 따라서 THR은 열동계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길이 50[mm]의 원통형의 봉이 압축되어 0.0002의 변형률이 생겼을 때, 변형 후의 길이는 몇 [mm] 인가?

  1. 49.98[mm]
  2. 49.99[mm]
  3. 50.01[mm]
  4. 50.02[mm]
(정답률: 46%)
  • 변형률은 (변형 후 길이 - 원래 길이) / 원래 길이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형 후 길이는 (1 + 변형률) * 원래 길이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변형률 = 0.0002 = 0.02%
    원래 길이 = 50[mm]

    변형 후 길이 = (1 + 0.0002) * 50[mm] = 50.01[mm]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변형 후 길이는 50.01[mm]에서 소수점 둘째자리를 버리면 49.99[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