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04-29)

조주기능사
(2001-04-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다음 중 주정도와 관련이 적은 것은?

  1. 오버 프루프(Over proof)
  2. 언더 프루프(Under proof)
  3. 아메리칸 프루프(American proof)
(정답률: 80%)
  • 주정도는 주류의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오버 프루프와 언더 프루프, 아메리칸 프루프는 모두 주정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는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주정도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생맥주(Draft Beer) 취급요령 중 잘못된 설명은?

  1. 2~3℃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저장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2. 술통속의 압력은 12~14 pound로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3.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입고 순서와 관계없이 좋은 상태의 것을 먼저 사용한다.
  4. 재고순환(Stock Rotation)을 철저히 실행해야 한다.
(정답률: 82%)
  • 생맥주는 신선도가 매우 중요하므로, 입고 순서와 관계없이 좋은 상태의 것을 먼저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생맥주의 유통기한이 짧고, 맛과 향이 빠르게 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장에서는 생맥주를 보관할 때 2~3℃의 온도를 유지하고, 술통속의 압력을 12~14 pound로 일정하게 유지하며, 재고순환을 철저히 실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서빙글라스에 직접 2종 이상의 술을 제공하는 방법은?

  1. 쉐이커(shaker)
  2. 스트레이너(strainer)
  3. 노 믹싱(no mixing)
  4. 너트맥(nutmeg)
(정답률: 60%)
  • 서빙글라스에 직접 2종 이상의 술을 제공하는 방법은 "노 믹싱(no mixing)" 입니다. 이는 각각의 술의 맛과 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입니다. 쉐이커나 스트레이너를 사용하면 술들이 섞이게 되어 각각의 맛과 향이 상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 믹싱 방법을 사용하여 술들을 따로따로 서빙글라스에 부어줍니다. 너트맥은 이러한 서빙글라스에 부어진 술에 마지막으로 뿌려주어 향을 더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커피는 음료의 어느 부문에 속하는 음료인가?

  1. 알코올성 음료
  2. 기호음료
  3. 영양음료
  4. 청량음료
(정답률: 알수없음)
  • 커피는 기호음료에 속합니다. 기호음료는 맛, 향, 색상 등으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되는 음료를 말합니다. 커피는 맛과 향이 다양하며,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되는 음료이기 때문에 기호음료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위스키의 종류 중 증류방법에 의한 분류는?

  1. 몰트 위스키(malt whisky)
  2. 그레인 위스키(grain whisky)
  3. 블랜디드 위스키(blended whisky)
  4. 파텐트 위스키(patent whisky)
(정답률: 알수없음)
  • 증류방법에 의한 분류에서 파텐트 위스키는 증류기에서 증류하는 과정에서 특허받은 방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위스키를 말합니다. 이 방법은 증류 과정에서 더 많은 에탄올을 추출하여 강한 맛과 향을 가지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파텐트 위스키는 다른 위스키에 비해 더 진하고 강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음료관리방법 중 기계적 관리체제란?

  1. 사전에 결정된 잔규격에 의해 각병의 잔수를 만들어 미터기로 측정하는 방법
  2. 재고 및 출고에 입각하여 각종 음료의 실제 소비량을 산출하는 방법
  3. 판매된 주종의 유형에 의해 판매, 분석하는 방법
  4. 저장중인 각 병에 판매가를 책정하여 음료판매의 원가 관리를 하는 방법
(정답률: 64%)
  • 기계적 관리체제는 사전에 결정된 잔규격에 따라 각병의 잔수를 만들어 미터기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즉, 일정한 양의 음료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브랜디 글라스의 입구가 좁은 이유는?

  1. 브랜디의 향미를 한곳에 모이게 하기 위하여
  2. 술의 출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아름다운 술을 마시기 위한 글라스의 데코레이션
  4. 양손에 쥐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정답률: 82%)
  • 브랜디의 향미를 한곳에 모이게 하기 위하여.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곡물(Grain)을 원료로 만든 무색투명한 증류주에 두송자(Juniper berry)의 향을 착미시킨 술은?

  1. Tequila
  2. Rum
  3. Vodka
  4. Gin
(정답률: 82%)
  • 두송자를 사용하여 만든 술은 Gin이며, Tequila, Rum, Vodka는 각각 곡물이나 증류과정에서 다른 재료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페인 헤레스(Jerez)지방에서 생산되는 세계적인 식전음료 Apertitif Wine은?

  1. Dry Martini
  2. Midium dry Sherry
  3. Dry Sherry
  4. Cream Sherry
(정답률: 82%)
  • Apertitif Wine은 건조한 맛과 향이 특징인데, 이는 Dry Sherry가 그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중간 건조도나 크림 맛 등이 있어 Apertitif Wine과는 맛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포도주 저장(Aging of wines)을 처음 시도한 나라는?

  1. 프랑스(France)
  2. 포르투칼(Portugal)
  3. 스페인(Spain)
  4. 그리스(Greece)
(정답률: 37%)
  • 포도주 저장 기술인 Aging of wines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리스인들은 포도주를 저장하기 위해 토기와 암반으로 만든 지하실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은 이후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 다른 유럽 국가들에도 전해졌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그리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이볼 글라스(Highball Glass)용량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6온스(Ounce)
  2. 7온스(Ounce)
  3. 8온스(Ounce)
  4. 9온스(Ounce)
(정답률: 60%)
  • 하이볼 글라스는 주로 얼음과 함께 위스키, 보드카, 진 등의 스피릿을 섞어 만든 칵테일을 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때, 8온스 용량의 하이볼 글라스는 칵테일을 적당한 양으로 담을 수 있으면서도 너무 많이 담지 않아서 적절한 양의 얼음과 함께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저장중인 음료관리를 위한 표준 설정방법 중 바틀 코드 넘버 시스템(Bottle Code Number System)용도가 아닌 것은?

  1. 음료관리 양식 및 절차를 대폭 표준화하기 위함이다.
  2. 재고 파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3. 음료 저장실 물자 배치를 표준화하기 위함이다.
  4. 양목표(Recipe)기준을 표준화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47%)
  • 양목표(Recipe)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와 양, 그리고 제조 방법 등을 정리한 문서이므로, 이를 표준화하여 일관성 있게 제조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양목표(Recipe)기준을 표준화하기 위함이다."가 바틀 코드 넘버 시스템용도가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드라프트 비어(Draft beer)란?

  1. 독한 맥주
  2. 생맥주
  3. 포터(Porter)맥주
  4. 스타우트(Stout)
(정답률: 알수없음)
  • 드라프트 비어는 탭에서 직접 따서 내는 맥주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생맥주는 탭에서 따서 내는 맥주 중 가장 일반적인 종류이며, 생맥주는 생산 후 짧은 시간 내에 소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맛과 향이 가장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생맥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음료 주문 받는 요령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상냥하게 인사한다.
  2. 시계 방향으로 여성을 먼저 받는다.
  3. 메뉴를 보여준다.
  4. 음료 주문전에 음식 주문을 받는다.
(정답률: 30%)
  • 정답: "음료 주문전에 음식 주문을 받는다."

    이유: 음식 주문을 먼저 받으면 음식이 나오는 동안에 음료를 준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음식과 음료를 함께 받으면 손님들이 더 편리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료 주문전에 음식 주문을 받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칵테일용 향신료와 거리가 먼 것은?

  1. 시나먼(cinamon)
  2. 너트멕(nutmeg)
  3. 민트(mint)
  4. 크림(cream)
(정답률: 60%)
  • 크림은 일반적으로 칵테일에 사용되지 않는 향신료이기 때문입니다. 칵테일에 사용되는 향신료는 대개 강한 맛과 향을 가진 것들이며, 크림은 부드럽고 달콤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크림은 칵테일의 맛과 향을 강화시키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롱 드링크(long drink)에 해당하는 것은?

  1. 사이트 카(Side car)
  2. 스팅거(Stinger)
  3. 로이얄 휘즈(Royal fizz)
  4. 맨하탄(Manhattan)
(정답률: 54%)
  • 롱 드링크는 주로 양조주나 스프라이트 등 탄산음료와 조합하여 만든 칵테일을 말합니다. 로이얼 휘즈는 진, 레몬 주스, 설탕, 탄산수로 만들어지는 롱 드링크 칵테일입니다. 따라서 로이얼 휘즈가 롱 드링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Raw whisky 설명 중 옳은 것은?

  1. 증류기에서 바로 나와 냉각시킨 위스키이다.
  2. 향나무 통에서 성숙시켜 바로 생산된 위스키이다.
  3. 증류기에 넣기 전에 준비된 것이다.
  4. 참나무를 끄슬려 만든 통에서 오래 저장된 위스키이다.
(정답률: 28%)
  • "증류기에서 바로 나와 냉각시킨 위스키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Raw whisky는 증류기에서 증류된 후 바로 냉각되어 생산된 위스키를 말한다. 따라서 성숙기간이 없으며, 숙성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의 위스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생명의 물"이라고 지칭되는 술이 아닌 것은?

  1. 위스키
  2. 브랜디
  3. 보드카
(정답률: 73%)
  • 정답: 진

    설명: "생명의 물"은 일반적으로 보드카를 지칭하는 말이며, 위스키와 브랜디도 알코올 음료이지만 "생명의 물"이라는 별명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조주원(Bartender) 준수규칙 중 틀린 것은?

  1. 조주는 규정된 기준 양목(Recipe)에 의해 만들어야 한다.
  2. 비번시에는 업장 근처에 서성거려서는 안된다.
  3. 근무시간 중에는 대기상태로 항상 서서 근무에 임한다.
  4. 빈병은 고객이나 동료에게 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빈병은 고객이나 동료에게 줄 수 있다."는 틀린 준수규칙입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빈병은 깨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빈병은 적절한 처리 방법에 따라 버려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표준 조주법(standard recipes)을 설정하는 목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품질과 맛의 계속적인 유지
  2. 원가계산을 위한 기초 제공
  3. 표준 조주법 이용은 노무비 절감에 기여
  4. 특정인에 대한 의존도를 높임
(정답률: 70%)
  • 표준 조주법을 설정하는 목적 중 "특정인에 대한 의존도를 높임"은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오히려 표준 조주법을 이용함으로써 특정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일관된 품질과 맛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일과 업무 시작전에 바(Bar)에서 판매 가능한 양만큼 준비해 두는 각종의 재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Bar Stock
  2. Par Stock
  3. Pre-Product
  4. Ordering Product
(정답률: 64%)
  • Par Stock은 바에서 판매 가능한 양만큼 준비해 두는 각종의 재료를 말합니다. "Bar Stock"은 재고 전체를 의미하며, "Pre-Product"은 제품 제조에 필요한 원자재를 의미하며, "Ordering Product"는 주문 제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ar Stock"은 바에서 필요한 양만큼 준비해 두는 재고를 말하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샴페인 제조시 당분의 첨가량 표시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도우(Doux) : 12%이상
  2. 데미 섹(Demi Sec) : 9-10%
  3. 섹(Sec) : 8%
  4. 엑스트라 섹(Extra Sec) : 1-2%
(정답률: 20%)
  • 섹(Sec)은 당분의 첨가량이 17-35g/L인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약 8% 정도의 당분 함량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는 모두 맞는 설명이지만, "섹(Sec) : 8%"라는 표현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버본 위스키(Borubon Whiskey) 80Proof는 우리나라 주정도수로 몇도 인가?

  1. 35도
  2. 40도
  3. 45도
  4. 50도
(정답률: 74%)
  • 버본 위스키 80Proof는 알코올 함량이 40%이므로, 우리나라 주정도수 40도와 동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포도주의 산지로 유명한 곳은?

  1. Pilsner
  2. Bordeaux
  3. Staut
  4. Mousseux
(정답률: 77%)
  • 포도주의 산지로 유명한 Bordeaux는 프랑스 남서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Gin에 혼합하는 탄산음료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Cola
  2. Collins mix
  3. Fanta Grape
  4. Cider
(정답률: 46%)
  • Collins mix는 Gin과 함께 사용되는 대표적인 탄산음료 중 하나입니다. 이는 Gin과 레몬 주스, 설탕, 탄산수로 만들어지는 Collins 칵테일의 주요 재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Gin과 함께하는 탄산음료 중에서는 Collins mix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Bar 업무능률 향상을 위한 시설물 설치 방법 중 옳지 않는 것은?

  1. 칵테일 얼음은 Bar 작업대 옆에 보관한다.
  2. Bar의 수도시설은 믹싱 스테이션(Mixing Station)바로 후면에 설치한다.
  3. 냉각기(Cooling Cabinet)는 주방에 설치한다.
  4. 얼음제빙기는 가능한 Bar 내에 설치한다.
(정답률: 54%)
  • 냉각기(Cooling Cabinet)는 주방에 설치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냉각기는 주로 바에서 사용되는 음료나 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바에서 가까운 곳에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주방에 설치하면 바에서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이동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중요한 연회시 그 행사에 관한 모든 내용이나 협조사항을 호텔 각 부서에 알리는 행이라 부르는가?

  1. Event order
  2. Check-up list
  3. Reseration sheet
  4. Banquet Memorandum
(정답률: 55%)
  • "Event order"는 중요한 연회나 행사에 대한 모든 내용과 협조사항을 호텔 각 부서에 알리는 문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서는 행사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으며, 호텔 직원들이 이를 기반으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에 반해 "Check-up list"는 체크리스트, "Reservation sheet"는 예약서, "Banquet Memorandum"은 연회 메모란을 의미하며, 이들은 각각 다른 문서 혹은 양식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바에서 사용하는 하우스 브랜드(House brand)란 무엇을 뜻하는가?

  1. 널리 알려진 술 종류
  2. 지정 주문이 아닐 때 쓰는 술 종류
  3. 상품(上品)에 해당하는 술 종류
  4. 조리용으로 사용하는 술 종류
(정답률: 75%)
  • 하우스 브랜드는 바나 레스토랑 등에서 자체적으로 제조하거나 다른 제조업체에 의뢰하여 만든 브랜드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지정 주문이 아닐 때 쓰는 술 종류는 하우스 브랜드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술 종류를 의미합니다. 즉, 유명한 브랜드가 아니라도 바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술이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술을 하우스 브랜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위스키 1 Fifth 의 용량으로 맨하탄 칵테일 몇 인분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

  1. 1인분
  2. 17인분
  3. 26인분
  4. 30인분
(정답률: 50%)
  • 맨하탄 칵테일은 위스키 2온스, 스위트 버무스 1온스, 비터스 2-3 대의 비율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위스키 1 Fifth (25.6 온스) 으로 만들 수 있는 맨하탄 칵테일은 25.6 / 2 = 12.8 인분이다. 하지만 비터스는 2-3 대를 사용하므로 정확한 인분 수는 계산할 수 없지만, 대략적으로 17인분 정도를 만들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7인분"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Creme De Cacao로 만들 수 있는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Cacao Fizz
  2. Mai-Tai
  3. Alexander
  4. Grass hopper
(정답률: 알수없음)
  • Mai-Tai는 Creme De Cacao 대신 럼, 트리플 섹, 라임 주스 등 다른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소프트드링크(soft drink) 디켄터(decanter)의 올바른 사용법은?

  1. 각종 청량음료(soft drink)를 별도로 담아 나간다.
  2. 술과 같이 혼합하여 나간다.
  3. 얼음과 같이 넣어서 나간다.
  4. 술과 얼음을 다같이 넣어 나간다.
(정답률: 91%)
  • 소프트드링크 디켄터는 술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용도가 아니라, 각종 청량음료를 따로 담아서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사용법입니다. 따라서 "각종 청량음료(soft drink)를 별도로 담아 나간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와인을 주재(Wine base)로 한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키어(Kir)
  2. 블루하와이(Blue hawaii)
  3. 스피릿처(Spritzer)
  4. 미모사(Mimosa)
(정답률: 64%)
  • 블루하와이는 럼을 기반으로 한 칵테일이며, 와인을 주재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식욕촉진제로 마시는 칵테일(Cocktail)로서 드라이(Dry)한 칵테일에 사용하는 고명(Garnish)은?

  1. Cherry
  2. Orange
  3. Olive
  4. Pineapple
(정답률: 91%)
  • 드라이한 칵테일에는 일반적으로 올리브가 고명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올리브의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식욕을 돋우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올리브의 짭쪼름한 맛과 향이 드라이한 칵테일의 맛을 더욱 돋보이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천연 발포성 포도주는 어느 것인가?

  1. 쉐리(Sherry)
  2. 적포도주(Red wine)
  3. 샴페인(Champagne)
  4. 사이다(Cider)
(정답률: 90%)
  • 샴페인은 포도주 중에서도 특별한 발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포도주 발효 과정에서 이뤄지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병 속에서 산출되어 발포하는 것으로, 천연 발포성 포도주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샴페인이 천연 발포성 포도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at's Eye 칵테일은 어떤 종류의 Glass를 사용하면 적당한가?

  1. High Ball Glass
  2. Cocktail Glass
  3. Collins Glass
  4. Champagne Glass
(정답률: 75%)
  • Cat's Eye 칵테일은 Cocktail Glass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이유는 Cocktail Glass는 칵테일을 담기에 적합한 형태이며, Cat's Eye 칵테일은 보통 양주 기반의 칵테일로, Cocktail Glass는 양주 칵테일을 담기에 가장 적합한 유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Scotch Whisky 의 주 원료는?

  1. 보리의 맥아
  2. 호밀
  3. 감자
  4. 옥수수
(정답률: 64%)
  • Scotch Whisky의 주 원료는 보리의 맥아입니다. 이는 스코틀랜드의 기후와 토양 조건이 보리 재배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리의 맥아는 스코틀랜드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주 원료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포도로 만들어진 브랜디(Brandy)는?

  1. Silvowitz
  2. Mirabelle
  3. Hennessy X.O
  4. Calvados
(정답률: 알수없음)
  • 포도로 만들어진 브랜디는 "Hennessy X.O"입니다. 이는 Hennessy X.O가 Cognac 지역에서 생산되는 브랜디이며, Cognac 지역에서는 포도를 사용하여 브랜디를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인공감미료(人工甘味料)는?

  1. 그래뉼레이트슈거(granulated sugar)
  2. 사카린나트리움(saccharine natrium)
  3. 큐브슈거(cube sugar)
  4. 파우더슈거(powder sugar)
(정답률: 50%)
  • 인공감미료 중에서 사카린나트리움은 당을 대체하는 인공 감미료로 사용되며, 당보다 300배 이상 강한 당의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카린나트리움은 다이어트나 당뇨병 환자들이 사용하는 인공감미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머들러(Muddler)사용 방법 중 맞는 것은?

  1. Garnish를 꽂아 제공한다.
  2. 주류 용량을 재는 막대기이다.
  3. 롱 드링크(Long Drink)서비스 및 칵테일 제공시 고객이 직접 휘젓기 할수 있게 음료와 함께 제공한
  4. 오렌지나 레몬 쥬스를 짤 때 사용하는 Squeezer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머들러는 롱 드링크나 칵테일 제공시 고객이 직접 휘젓기 할 수 있게 음료와 함께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영업을 위한 준비작업 중 틀린 것은?

  1. 바 시설 및 기물작동 점검
  2. 일일 보급 수령
  3. 고명장식 준비
  4. 영업일보 작성
(정답률: 알수없음)
  • 영업일보 작성은 영업을 위한 준비작업이 아니라 영업 후에 수행하는 업무입니다. 영업일보는 일일 영업활동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하는 문서로, 영업일이 끝난 후 작성됩니다. 따라서 영업을 위한 준비작업 중 틀린 것은 "영업일보 작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가장 오래 숙성된 술은 어느 것인가?

  1. Vodka
  2. Cognac
  3. Gin
  4. Borubon whiskey
(정답률: 60%)
  • Cognac은 와인을 증류하여 만든 브랜디로, 최소 2년 이상 숙성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10년 이상 숙성된 제품이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Cognac은 다른 보기들보다 더 오래 숙성된 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레이트 와인(Great Wine)은 몇 년간 저장하여 숙성시킨 것인가?

  1. 5년 이하
  2. 10년 이하
  3. 5년~15년
  4. 15년 이상
(정답률: 40%)
  • 그레이트 와인은 "15년 이상"으로 저장하여 숙성시켰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적색 포도주(Red Wine)병의 바닥이 요철로 된 이유는?

  1. 보기가 좋게 할려고
  2. 안전하게 세우기 위하여
  3. 용량표시를 쉽게 하기 위하여
  4. 찌꺼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100%)
  • 적색 포도주병의 바닥에 요철이 있는 이유는 찌꺼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리큐르는 어떤 것인가?

  1. Burgundy
  2. Bacardi Rum
  3. Cherry Brandy
  4. Canadian club
(정답률: 47%)
  • 리큐르는 주로 과일, 허브, 스파이스 등을 첨가하여 만든 독한 술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Cherry Brandy"는 체리를 사용하여 만든 독한 술로, 다른 보기들은 각각 와인, 럼, 위스키 등 다른 종류의 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herry Brand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칵테일 파티를 준비하는 요소로서 적합하지 못한 사항은?

  1. 초대 인원 파악
  2. 개최일시와 장소
  3. 파티의 매너(manner)
  4. 메뉴의 결정
(정답률: 75%)
  • 파티의 매너는 칵테일 파티를 준비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적합하지 못한 사항은 아닙니다. 파티의 매너는 오히려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손님들과 호스트 간의 예의와 배려, 적절한 행동 양식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올드 패션(old fashioned) 칵테일의 장식은?

  1. 아몬드 스터프드 올리브(Almond stuffed Olive)
  2. 마라시토 체리(Maraschino Cherry)
  3. 레몬 슬라이스, 오렌지 슬라이스
  4. 체리와 오렌지 슬라이스
(정답률: 46%)
  • 올드 패션 칵테일은 원래 위스키, 설탕, 비터스, 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칵테일은 체리와 오렌지 슬라이스로 장식되는데, 이는 칵테일의 맛과 향을 더해주기 위한 것입니다. 체리는 달콤하고 산뜻한 맛을 더해주며, 오렌지 슬라이스는 상큼하고 과일향을 더해줍니다. 따라서 체리와 오렌지 슬라이스가 올드 패션 칵테일의 장식으로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류판매에 있어 재무와 창고관리가 양호하다면 가격결정의 이익은 다음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1. FIFO 방법
  2. LIFO 방법
  3. 구매와 동시 판매방법
  4. 포도주나 브랜디는 창고에 오래 저장하였다 판매할수록 좋다.
(정답률: 67%)
  • 재고를 처음으로 입고한 제품을 먼저 판매하는 FIFO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재고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FIFO 방법을 사용하면 먼저 입고된 제품을 먼저 판매하므로, 재고의 가치가 상승할 경우 이익을 더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재고의 가치가 하락할 경우에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무와 창고관리가 양호한 경우에는 FIFO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이익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와인 스트워드(wine steward)의 주된 임무는?

  1. 와인 구매
  2. 와인 저장
  3. 와인 판매
  4. 와인 검수
(정답률: 25%)
  • 와인 스트워드는 고객에게 와인을 추천하고 판매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주된 임무는 "와인 판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물품검수시 주문내용과 차이가 발견될 때 반품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서류는?

  1. 송장(invoice)
  2. 견적서(price quo t ation sheet)
  3. 크레디트 메모(credit memo)
  4. 검수보고서(receiving sheet)
(정답률: 알수없음)
  • 크레디트 메모는 물품검수시 주문내용과 차이가 발견되어 반품할 때 작성하는 서류로, 반품된 물품에 대한 대금 환불을 위한 증빙서류입니다. 따라서 주문내용과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크레디트 메모를 작성하여 반품 및 대금 환불 절차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레드와인을 서어브할 때의 가장 적정한 온도는?

  1. 5℃ - 10℃
  2. 12℃ - 15℃
  3. 17℃ - 19℃
  4. 20℃ - 25℃
(정답률: 알수없음)
  • 레드와인을 서비스할 때 적정한 온도는 17℃ - 19℃입니다. 왜냐하면 이 온도 범위에서 와인의 향과 맛이 가장 잘 발휘되기 때문입니다. 더 낮은 온도에서는 와인의 향과 맛이 둔해지고, 더 높은 온도에서는 알코올의 맛이 강해지고 산미가 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17℃ - 19℃가 와인을 즐기기에 가장 적절한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다음 ( ) 안에 알맞은 단어는?

  1. have, try
  2. having, trying
  3. serve, served
  4. serving, be served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는 "I have tried" 라는 문장이 나타나 있습니다. "have"와 "tried"는 각각 현재완료형과 과거분사형으로 이루어진 동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have, tr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Which is the correct one as a base of Alexander in the following?

  1. Brandy
  2. Vodka
  3. Gin
  4. Whisky
(정답률: 55%)
  • The correct base for Alexander cocktail is Brandy because it is the traditional and original base spirit used in the classic Alexander recip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괄호 안에 알맞는 말은?

  1. Dry gin
  2. Golden gin
  3. Flavored gin
  4. Sloe gin
(정답률: 46%)
  • 이미지에 나와있는 재료들 중에서 "Sloe"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Sloe gin"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재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초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의 올바른 표현은?

  1. Thank you for inviting me.
  2. Thank you for invitation me.
  3. It was thanks that you call me.
  4. Thank you that you invited me.
(정답률: 58%)
  • 정답은 "Thank you for inviting me."입니다.

    "초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는 영어로 "Thank you for inviting me."로 표현됩니다. "Thank you for invitation me."는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표현입니다. "It was thanks that you call me."는 "그대가 전화해줘서 고맙습니다."라는 뜻으로, 초청과는 관련이 없는 표현입니다. "Thank you that you invited me."는 문법적으로는 올바르지만, 일상적인 표현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문장의 내용으로 보아 ( ) 안의 동사형을 바르게 변형시킨 것은?

  1. lain
  2. laid
  3. lying
  4. laying
(정답률: 46%)
  • 문장의 주어는 "he"이고, 동사는 "was"입니다. 따라서 동사의 형태는 과거분사형이어야 합니다. "lying"은 "lie"의 과거분사형이며, 문장의 의미와도 일치하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What is a tumbler?

  1. A flat-bottomed glass without stem.
  2. Footed ware
  3. Stemware
  4. Beer mug
(정답률: 50%)
  • Tumbler는 밑면이 평평하고 줄기가 없는 유리잔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괄호 안에 알맞는 말은?

  1. close
  2. closed by
  3. close for
  4. close to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close to"가 알맞은 표현입니다. "close"는 가까운 거리를 나타내는 형용사이며, "closed by"는 ~에 의해 닫힌, "close for"는 ~에게 닫힌, "close to"는 ~에 가까운 의미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What is the best-known straignt American whiskey?

  1. Bourbon
  2. Rye
  3. Scotch
  4. Irish
(정답률: 50%)
  • Bourbon is the best-known straight American whiskey because it is made primarily from corn and aged in new, charred oak barrels, giving it a distinct sweet and oaky flavor. It is also legally required to be produced in the United State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문장의 내용으로 보아 ( ) 안에 동사형을 바르게 변형시킨 항은?

  1. is
  2. was
  3. were
  4. has been
(정답률: 6%)
  • 문장의 주어는 "the number of people"이며, 이는 복수형으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동사도 복수형으로 취급되어야 합니다. "is"와 "was"는 단수형 동사이므로 제외됩니다. "has been"은 현재 완료형으로, 이 문장에서는 과거의 상황을 나타내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were"가 올바른 동사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It is up to you" means?

  1. It is difficult for you.
  2. You must decide.
  3. You look confused.
  4. It is just in front of you.
(정답률: 55%)
  • "It is up to you" means that the decision or choice is in the hands of the person being addressed. Therefore, the correct answer is "You must decid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