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07-22)

조주기능사
(2001-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다음 품목 중 청량음료(Soft drink)에 속하는 것은?

  1. 탄산수(Sparkling Water)
  2. 생맥주(Draft Beer)
  3. 톰 칼린스(Tom Collins)
  4. 진 휘즈(Gin Fizz)
(정답률: 85%)
  • 탄산수는 가스가 뺀 물에 이산화탄소를 더해 탄산화시킨 음료수로, 청량감이 있어 청량음료에 속합니다. 생맥주는 알코올이 함유된 맥주이며, 톰 칼린스와 진 휘즈는 칵테일로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이므로 청량음료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발포성 와인(Sparkling Wine)과 거리가 먼 것은?

  1. sparkling burgundy
  2. cold duck
  3. dry sherry
  4. champagne
(정답률: 77%)
  • 발포성 와인은 탄산이 많이 들어간 와인을 의미하며, 샴페인과 스파클링 버건디, 콜드 덕 등이 해당됩니다. 반면, 드라이 셰리는 와인의 종류 중 하나로, 발포성이 아니며 매우 건조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발포성 와인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식후주(After drink)로 적당한 것은?

  1. 코냑(Cognac)
  2. 드라이 세리(Dry Sherry)
  3. 드라이 진(Dry Gin)
  4. 벌머스(Vermouth)
(정답률: 알수없음)
  • 코냑은 고급스러운 브랜디로, 식후에 적합한 술입니다. 코냑은 부드럽고 향이 좋으며,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어 식후에 마시기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미국에서 발명한 갈색 청량음료로서 카페인이 커피의 두 배가 함유된 음료는?

  1. 사이다(Cider)
  2. 콜라(Cola)
  3. 토닉워터(Tonic water)
  4. 소다워터(Soda water)
(정답률: 100%)
  • 미국에서 발명되었고 갈색이며 청량감이 있는 음료는 콜라이며, 카페인 함량이 커피의 두 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영국에서 발명한 무색투명한 음료로서 키니네가 함유된 청량음료는?

  1. Cider
  2. Cola
  3. Tonic water
  4. Soda water
(정답률: 90%)
  • 키니네가 함유된 청량음료는 Tonic wa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양조주는 어떤 것인가?

  1. 비어
  2. 위스키
  3. 브랜디
  4. 리큐르
(정답률: 알수없음)
  • 양조주는 맥아와 물, 그리고 홉 등을 사용하여 만든 알코올 음료이며, 이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비어"입니다. 위스키, 브랜디, 리큐르는 모두 양조주가 아니라 증류주에 해당하는데, 이는 양조주를 증류하여 만든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브랜디드 위스키(Blended Whisk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트레이트 위스키에 다른 위스키나 중성 곡류주정을 섞는다.
  2. 스트레이트 위스키에 적어도 5% 이상의 브랜디를 섞어야 한다.
  3. 기본인 스트레이트 위스키는 20% 이상 포함되어야 한다.
  4. 일반적으로 80 proof 이상으로 병에 담아 시판된다.
(정답률: 46%)
  • "스트레이트 위스키에 적어도 5% 이상의 브랜디를 섞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브랜디드 위스키는 스트레이트 위스키와 브랜디를 섞어 만든 위스키로, 브랜디의 비율은 제조사의 판단에 따라 다르며, 5% 이상일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멕시코산 증류주는?

  1. Cognac
  2. Johnnie walker
  3. Tequila
  4. Cutty sark
(정답률: 100%)
  • Tequila는 멕시코에서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증류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프랑스의 브랜디,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브랜드이지만 멕시코산 증류주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천연향료나 인조향료를 사용하며 그 외에 계란 노른자나 동물의 모유 등을 사용하여 만드는 혼성주 제조법은?

  1. Distillation Process
  2. Infusion Process
  3. Filtration Process
  4. Essence Process
(정답률: 알수없음)
  • 혼성주 제조법 중에서 천연향료나 인조향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은 "Essence Process"입니다. 이는 향료를 추출하여 알코올에 녹인 후 혼합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증류 과정, 적출 과정, 여과 과정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클라렛(Claret)이란 말은 다음 중 어느 것과 같은가?

  1. 적포도주(Red Wine)
  2. 백포도주(White Wine)
  3. 담색포도주(Rose Wine)
  4. 황색포도주(Yellow Wine)
(정답률: 54%)
  • 클라렛은 적포도주를 의미합니다. 클라렛은 프랑스의 보르도 지방에서 생산되는 적포도주의 일종으로, 보르도 지방에서 생산되는 다른 적포도주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클라렛은 적포도주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포트와인(Port wine)을 가장 잘 설명한 사항은?

  1. 붉은 포도주를 총칭한다.
  2. 포르투갈의 도우루(Douro)지방산 포도주를 말한다.
  3. 항구에서 노역을 일삼는 서민들의 포도주를 일컫는 다.
  4. 백포도주로서 식사 전에 흔히 마신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포트와인은 포르투갈의 도우루(Douro)지방산 포도주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사항 중 원료와 제법의 관계가 일치하지 못하는 것은?

  1. Grain - Canadian whisky
  2. Malt - Scotch whisky
  3. Corn - Canadian whisky
  4. Rye - Canadian whisky
(정답률: 46%)
  • 정답은 "Corn - Canadian whisky"입니다. 이유는 캐나다 위스키는 보통 보리, 보리 몰트, 옥수수, 라이 등 다양한 곡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옥수수는 캐나다 위스키의 주 원료 중 하나이지만, 다른 곡물도 함께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조주서비스에서 체이서(Chaser)의 의미 중 옳은 것은?

  1. 독한 술이나 칵테일을 내놓을 때 다른 글라스에 물을 담아 놓는 것
  2. 인간의 체온보다 높여 약 62℃-67℃로 해서 서빙 하는 것
  3. 조주하지 않고 생으로 마시는 것
  4. 서로 다른 두 가지 종류의 술을 소요량이 반분씩 따라 담는 것
(정답률: 70%)
  • 체이서(Chaser)의 의미는 "독한 술이나 칵테일을 내놓을 때 다른 글라스에 물을 담아 놓는 것" 입니다. 이는 독한 술이나 칵테일을 마신 후 입맛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물을 마시는 것으로, 일종의 입맛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데킬라 주재(Tequila base) 칵테일은?

  1. 마가리타
  2. 스카이다이빙
  3. 스콜피언
  4. 솔큐바노
(정답률: 82%)
  • 데킬라, 트리플 섹, 라임 주스를 사용하는 칵테일 중 "마가리타"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노 믹싱(No Mixing)의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칵테일은?

  1. High ball
  2. Gin Fizz
  3. Fizz cafe
  4. Flip
(정답률: 알수없음)
  • 노 믹싱 방법은 간단하게 원료를 섞지 않고 층을 이루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High ball"과 "Gin Fizz"는 섞어서 만드는 칵테일이므로 노 믹싱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칵테일이 아닙니다. "Flip"은 노 믹싱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칵테일이지만, "Fizz cafe"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Fizz 계열의 칵테일로, 탄산수를 사용하여 층을 이루도록 만드는 칵테일입니다. 따라서, "Fizz cafe"가 노 믹싱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올리브(Olive)로 장식되는 칵테일은?

  1. Million Dollar
  2. Manhattan(standard)
  3. Martini
  4. Margarita
(정답률: 91%)
  • 올리브는 Martini에 장식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칵테일들은 다른 장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재료들은 포세 카페(Pousse cafe) 칵테일에 해당된다. 최후로 따르는 재료는 어느 것인가?

  1. Brandy
  2. Creme de cacao
  3. Peppermint
  4. Violet
(정답률: 알수없음)
  • 포세 카페 칵테일은 층을 이루는 다양한 리큐어를 순서대로 적층시킨 칵테일입니다. 따라서 최후로 따르는 재료는 가장 무거운 것이어야 합니다. Brandy는 다른 재료들보다 농도가 높기 때문에 가장 무거운 재료로서 최후에 따르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브랜디 알렉산더(Alexander) 칵테일 조주시 필요한 재료 중 틀린 것은?

  1. 카카오(Cacao brown)
  2. 브랜디(Brandy)
  3. 크림(Heavy Cream)
  4. 비터즈(Bitters)
(정답률: 17%)
  • 브랜디 알렉산더 칵테일에는 비터즈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브랜디, 카카오, 크림으로 만들어지는 칵테일입니다. 비터즈는 대개 맨하탄이나 오래된 패션 등 다른 칵테일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비터나 리큐르를 비터병에 넣어 정해진 양만을 비터병을 거꾸로 해서 뿌리거나 끼얹는 것은?

  1. Drop
  2. Double
  3. Dry
  4. Dash
(정답률: 73%)
  • 정답은 "Dash"입니다. Dash는 비터나 리큐르를 소량으로 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칵테일에 산미와 쌉쌀함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Drop는 한 방울씩 떨어뜨리는 것, Double은 두 배로 더 많이 넣는 것, Dry는 매우 적은 양을 넣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반적인 라거 맥주(lager beer)의 알코올 도수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2도
  2. 4도
  3. 6도
  4. 12도
(정답률: 73%)
  • 라거 맥주는 일반적으로 4도 정도의 알코올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맛과 향을 적절히 유지하면서도 적당한 도수로 마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라거 맥주는 깔끔하고 상쾌한 맛이 특징이며, 4도 정도의 알코올 도수는 이러한 특징을 더욱 강조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진(Gin) 베이스로 들어가는 칵테일 중 틀린 것은?

  1. Gin Fizz
  2. Screw driver
  3. Dry Martini
  4. Gibson
(정답률: 73%)
  • "Screw driver"는 진(Gin)이 아닌 보드카(Vodka) 베이스의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칵테일 중 계란(egg)이 들어가는 칵테일은?

  1. Millionaire
  2. Black Russian
  3. Brandy Alexander
  4. Daiquiri
(정답률: 54%)
  • Millionaire 칵테일은 계란 흰자가 들어가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바 스푼(Bar Spoon)의 용도가 틀린 것은?

  1. 후로팅 칵테일(Floating Cocktail)을 만들 때 사용 한다.
  2. 믹싱 글라스를 이용하여 칵테일을 만들 때 휘젓는용으로 사용한다.
  3. 칵테일을 만들 때 글라스의 내용물을 섞을 때 사용한다.
  4. 얼음을 잘게 부술 때 사용한다.
(정답률: 91%)
  • 바 스푼은 칵테일을 만들 때 글라스의 내용물을 섞을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얼음을 잘게 부술 때는 바 셰이커나 믹서기 등 다른 도구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정찬 식사에서 테이블 코스의 육류요리에 잘 어울리는 것은?

  1. White Wine
  2. Red Wine
  3. Vermouth
  4. Champagne
(정답률: 100%)
  • 육류의 풍미와 함께 먹으면서도 그 맛을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탄닌과 산도가 높은 레드 와인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찬 식사에서 테이블 코스의 육류요리에는 레드 와인이 잘 어울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재료 중 칵테일 조주시 많이 사용하는 붉은 색의 시럽은 무엇인가?

  1. 메이플시럽(Maple Syrup)
  2. 허니(Honey)
  3. 플레인시럽(Plain Syrup)
  4. 그레나딘시럽(Grenadine Syrup)
(정답률: 82%)
  • 칵테일에서 붉은 색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럽 중 그레나딘시럽은 석류와 설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붉은 색상과 달콤한 맛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칵테일에서 붉은 색상을 강조하고 달콤한 맛을 더하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양조주 중 우리나라에서 제조하는 막걸리의 주재료는?

  1. 옥수수
  2. 수수
  3. 보리
(정답률: 93%)
  • 막걸리는 쌀과 물, 그리고 막걸리씨라는 발효균으로 만들어지는데, 쌀은 막걸리 제조 시 가장 중요한 원료이며, 막걸리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제조하는 막걸리의 주재료는 "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칵테일은 얼음에 잘 냉각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손에서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이용하여 제공 하는 글라스는?

  1. 스템드 글라스
  2. 하이볼 글라스
  3. 실린더리컬 글라스
  4. 믹싱 글라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템드 글라스는 긴 스템으로 손과 글라스 사이에 거리를 두어 손의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하며, 글라스의 바닥과 입구가 넓어 얼음과 칵테일이 잘 녹아 섞이도록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칵테일 제공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마티니 칵테일을 서브할 때의 글라스(Glass)로 올바른 선택은?

  1. 하이볼 글라스
  2. 위스키샤워 글라스
  3. 칵테일 글라스
  4. 올드패션 글라스
(정답률: 알수없음)
  • 마티니 칵테일은 보통 얇은 스템(stem)과 작은 컵(cup)으로 이루어진 칵테일이며, 이러한 형태의 글라스를 칵테일 글라스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올바른 선택은 "칵테일 글라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주시 주류의 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물은?

  1. 바 스푼
  2. 지거
  3. 믹싱글라스
  4. 폴러
(정답률: 알수없음)
  • 주류의 분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용량을 가진 기물이 필요합니다. 바 스푼은 주류의 용량을 측정하기에는 부적합하며, 믹싱글라스와 폴러는 주류를 섞거나 서빙할 때 사용하는 용도로, 용량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지거는 주류의 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용기로, 주류를 계량할 때 가장 적합한 기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혼합하기 어려운 재료를 섞거나 프로즌 드링크를 만들 때 쓰는 기구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쉐이커
  2. 브랜더
  3. 믹싱글라스
  4. 믹서
(정답률: 알수없음)
  • 믹서는 강력한 모터와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가지고 있어서 혼합하기 어려운 재료를 섞을 때 효과적입니다. 또한 프로즌 드링크를 만들 때도 얼음을 세밀하게 갈아주어 부드러운 텍스처를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믹서가 가장 적합한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바(Bar) 접객원의 접객방법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주문은 복창(repeat)하여 주문내용을 재확인한다.
  2. 세컨드 라운드(Second Round)의 주문은 고객이 요청 할 때까지 기다린다.
  3. 음료를 제공하기 전에 식탁위에 코스터(Coaster)를 먼저 놓는다.
  4. 한잔의 주문일지라도 반드시 쟁반(Tray)을 사용하여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세컨드 라운드(Second Round)의 주문은 고객이 요청 할 때까지 기다린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첫 번째 라운드에서는 고객이 요청하지 않아도 미리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두 번째 라운드에서는 고객이 요청한 주문을 빠르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위생적인 주장기물 세척시간은?

  1. 가능한 한 사용한 후 즉시
  2. 영업시간 종료 후
  3. 기물을 전부 씻은 후
  4. 비교적 깨끗한 것은 재사용해도 무방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능한 한 사용한 후 즉시 세척하는 것이 가장 위생적인 이유는 사용한 주장기물에는 음식물, 세균, 바이러스 등이 묻어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물질들이 오래 묻어있으면 세균이 번식하고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세척하여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글라스(Glass)의 올바른 취급방법이 아닌 것은?

  1.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 보관한다.
  2. 평평한 표면에 타월을 깔고 보관한다.
  3. 글라스를 냉각(서리가 있는 것)시킬 때 냄새가 없는 냉장고를 사용한다.
  4. 글라스는 식료보관 냉장고에 넣어 보관한다.
(정답률: 92%)
  • 글라스는 식료품과 달리 냉장보관이 필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냉장고 내부의 습도와 온도 변화로 인해 금방 서리가 생길 수 있으므로 식료보관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글라스는 식료보관 냉장고에 넣어 보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연회(Banquet)석상에서 각 고객들이 마신(소비한)만큼 계산을 별도로 하는 바(Bar)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Banquet Bar
  2. Host-Bar
  3. No-Host Bar
  4. Paid Ba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anquet Bar"입니다. 이는 연회(Banquet)에서 고객들이 마신(소비한)만큼 계산을 별도로 하는 바(Bar)를 의미합니다. Host-Bar는 호스트가 모든 음료를 제공하는 바를 의미하며, No-Host Bar는 호스트가 음료를 제공하지 않는 바를 의미합니다. Paid Bar는 모든 음료가 유료인 바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차게 냉각하여 제공하는 포도주(Wine)의 적당한 서브 온도는?

  1. 0 - 3 ℃
  2. 4 - 7 ℃
  3. 8 - 11 ℃
  4. 12 - 15 ℃
(정답률: 알수없음)
  • 포도주는 일반적으로 4-7℃의 서브 온도에서 제공됩니다. 이는 포도주의 향과 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것입니다. 너무 차가운 온도에서는 포도주의 향과 맛이 둔해지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알코올의 맛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7℃의 서브 온도가 적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파티 때 디저트(Dessert) 코스로 서브하기에 부적당한 것은?

  1. 코인트루(Cointreau)
  2. 크렘 드 카카오(Creme de cacao)
  3. 슬로우 진(Sloe gin)
  4. 비어(Beer)
(정답률: 알수없음)
  • 비어는 디저트와 어울리지 않는 맥주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디저트 코스는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을 가진 디저트와 함께 제공되는데, 비어는 쓴 맛과 탄산이 강하므로 디저트와 어울리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어는 파티 때 디저트 코스로 서브하기에 부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바(Bar)의 구성 중 3가지 기능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프론트 바(Front Bar)
  2. 사이드 바(Side Bar)
  3. 백 바(Back Bar)
  4. 언더 바(Under Bar)
(정답률: 17%)
  • 사이드 바(Side Bar)는 바의 구성 중에서는 기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프론트 바(Front Bar)는 주문을 받고 음료를 만들어내는 공간이며, 백 바(Back Bar)는 주류와 유리잔 등을 보관하는 공간입니다. 언더 바(Under Bar)는 바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주문을 받은 음료를 만들어내는데 필요한 재료와 도구들을 보관하는 공간입니다. 하지만 사이드 바(Side Bar)는 일반적으로 바에서 음료를 만들어내는 공간이 아니라, 손님들이 앉아서 음료를 즐기는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바의 구성 중에서는 기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키박스(Key Box)나 바틀 멤버(Bottle Member)제도의 잘못된 설명은?

  1. 자기 술병을 가지고 있으므로 음료의 판매회전이 저조하다.
  2. 고정고객을 확보할 수 있어 고정수입이 확보된다.
  3. 선불이기 때문에 회수가 정확하며 자금운영이 원활 하다.
  4. 회원에게 특별요금으로 병채 판매하며 청량음료의 무료 서비스 혜택을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 술병을 가지고 있으므로 음료의 판매회전이 저조하다."는 바틀 멤버 제도의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유는 바틀 멤버는 자신이 가진 술병을 가지고 가게에서 음료를 채워주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손님이 자신의 술병을 가져오지 않아도 되므로 판매회전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영업 종료 후 인벤토리(inventory) 작업은 누가 담당 하는가?

  1. 칵테일 웨이트리스
  2. 바캐시어
  3. 바텐더
  4. 바포터
(정답률: 64%)
  • 바텐더가 인벤토리 작업을 담당하는 이유는 바에서 사용되는 주류, 음료, 재료 등의 재고를 관리하고, 주문에 따라 사용되는 양을 파악하여 재고를 보충하거나 조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텐더는 인벤토리 작업을 통해 바의 운영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파 스탁(Par Stock)이란?

  1. 영업장 보관 재고량
  2. 술창고 보관 재고량
  3. 일일 음료 판매량
  4. 재고 순환율
(정답률: 알수없음)
  • 파 스탁(Par Stock)은 영업장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재고량을 말합니다. 이는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재료들을 항상 보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영업장 내에서 보관하는 재고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영업장 보관 재고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Wine 저장 중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White Wine은 냉장고에 보관하되 그 품목에 맞는 온도를 유지해 준다.
  2. Red Wine은 상온 Cellar에 보관하되 그 품목에 맞는 적정온도를 유지해 준다.
  3. Wine을 보관하면서 정기적으로 이동 보관한다.
  4. Wine 보관 장소는 햇볕이 잘 들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2%)
  • "Wine을 보관하면서 정기적으로 이동 보관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와인은 안정적인 온도와 습도에서 보관해야 하며, 이동 보관은 와인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고객에게 음료를 제공할 때 필요치 않는 비품은?

  1. Cocktail Napkin
  2. Can Opener
  3. Muddler
  4. Coaster
(정답률: 알수없음)
  • 음료를 제공할 때 필요한 비품은 주로 잔, 얼음, 믹싱용기, 스푼 등입니다. 그러나 Can Opener는 음료 제조에 필요하지 않은 도구이기 때문에 필요치 않은 비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내용에 맞는 주장(Bar) 기물은?

  1. Bar Spoon(바 스푼)
  2. Cocktail Glass(칵테일 글라스)
  3. Cock Screw(코르크 스크루)
  4. Shaker(쉐이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은 쉐이커(Shaker)입니다. 쉐이커는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로, 주로 얼음과 함께 칵테일 재료를 넣고 흔들어 섞어 만듭니다. 바 스푼은 주로 스토리드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며, 칵테일 글라스는 칵테일을 담는 잔, 코르크 스크루는 와인병의 코르크를 뽑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은 쉐이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바(Bar) 디자인의 중요 점검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주류가격, 병의 크기
  2. 시간의 영업량, 컨셉 및 분위기
  3. 음료종류, 주장의 형태와 크기
  4. 서비스 형태, 목표고객
(정답률: 알수없음)
  • 바 디자인의 중요 점검사항은 바의 분위기와 컨셉, 음료종류와 주장의 형태와 크기, 서비스 형태, 그리고 목표고객 등이 포함됩니다. 주류가격과 병의 크기는 바의 디자인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중요 점검사항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바텐더가 지켜야 할 일이 아닌 것은?

  1. 표준양 목표에 의한 정량 조주를 해야 한다.
  2. 용모가 단정하고 예의 바른 매너를 지켜야 한다.
  3. 제공된 음료는 정확히 전표가 발행되어 야 한다.
  4. 매출관리 및 인원관리 업장에 전반적으로 책임진다.
(정답률: 85%)
  • 답: "매출관리 및 인원관리 업장에 전반적으로 책임진다." 바텐더는 매출관리 및 인원관리 업장에 대한 책임은 소유하지 않습니다. 이는 매니저나 소유자의 역할입니다. 바텐더는 음료 제조 및 서비스에 집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맥주의 저장 조건으로서 틀린 것은?

  1. 5~200C 에서 보관
  2. 통풍이 잘되고 습기가 약간 있는 장소
  3.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는 곳
  4. 온도 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
(정답률: 60%)
  • 맥주는 5~20℃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맥주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온도 범위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맥주의 맛과 향이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맥주를 보관할 때는 5~2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통풍이 잘되고 습기가 약간 있는 장소,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는 곳, 온도 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도 맥주를 보관하기에 적합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칵테일 서비스에서 바텐더의 창의성을 가장 요하는 항목은?

  1. 가니쉬(장식)
  2. 향신료(부재료)선택
  3. 글라스 선택
  4. 기주 선택
(정답률: 69%)
  • 칵테일 서비스에서 바텐더의 창의성을 가장 요하는 항목은 "가니쉬(장식)"입니다. 이는 칵테일의 시각적인 인상을 높이고, 손님들의 호감도를 높이기 위해 중요합니다. 따라서 바텐더는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아름다운 가니쉬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바텐더가 영업시작 전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업무는?

  1. 충분한 얼음을 준비한다.
  2. 글라스의 청결도를 점검한다.
  3. 적포도주를 냉각시켜 놓는다.
  4. 과일 등을 준비해 둔다.
(정답률: 91%)
  • 적포도주를 냉각시켜 놓는 것은 바텐더가 영업시작 전에 미리 할 수 있는 업무 중 하나입니다. 이는 적포도주를 서빙할 때 냉각된 상태로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영업시작 전에 준비해야 하는 필수적인 업무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항목 중 소모품이 아닌 것은?

  1. Pitcher
  2. Straw
  3. Coaster
  4. Cocktail Pick
(정답률: 58%)
  • Pitcher은 음료를 담는 용기이며, 소모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모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술의 손실방지 및 술을 따를 때 용이하게 하는 기구는?

  1. Squeezer
  2. Pourer
  3. Muddler
  4. Decanter
(정답률: 50%)
  • Pourer는 술병의 입구에 끼워서 술을 따를 때 손실을 방지하고, 따르기 쉽게 도와주는 기구입니다. Squeezer는 과일이나 채소를 갈아서 주스를 내는 기구, Muddler는 칵테일을 만들 때 재료를 으깨는 기구, Decanter는 술을 따로 옮겨 담는 용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다음 중 뜻이 다른 문장은?

  1. It doesn't matter.
  2. It doesn't make any difference.
  3. It is not important.
  4. It is not difficul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t is not difficult" 입니다. 나머지 문장들은 모두 "중요하지 않다"는 뜻으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It is not difficult"는 "어렵지 않다"는 뜻으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Bloody Marry
  2. Eggnog
  3. Tom and Jerry
  4. Pink Lady
(정답률: 70%)
  • 주어진 그림은 칵테일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Bloody Marry"는 토마토 주스와 보드카를 섞은 칵테일이고, "Eggnog"는 계란과 우유, 브랜디 등을 섞은 칵테일입니다. "Tom and Jerry"는 미국에서 크리스마스 시즌에 인기 있는 따뜻한 칵테일이고, "Pink Lady"는 진과 사과주, 그레나딘 시럽 등을 섞은 핑크색의 여성적인 칵테일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는 "Pink Lady"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approve
  2. to approve
  3. approval
  4. see
(정답률: 알수없음)
  • 문장에서 "승인"을 뜻하는 단어가 필요하며, "approve"와 "to approve"는 동사 형태이므로 문맥상 맞지 않습니다. "see"는 문맥상 적절한 단어가 아니며, 따라서 "approval"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Alcoholic drink distilled from rye or wheat drunk in Russia.

  1. Tequila
  2. Brandy
  3. Rum
  4. Vodka
(정답률: 70%)
  • 보기 중 유일하게 "rye or wheat"와 관련된 단어가 있는 것은 "Vodka"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 ) 안에 적당한 단어는?

  1. Distillation
  2. Fermentation
  3. Classification
  4. Evapor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은 맥주 제조 과정 중 발효(Fermentation) 단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ermenta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밑줄 친 곳에 알맞은 것는?

  1. has open
  2. opened
  3. is opening
  4. opens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장은 현재시제로 작성되어 있으며, 주어인 "the store"가 복수형이 아닌 단수형이므로 "opens"가 가장 알맞은 동사입니다. "has open"은 현재완료형으로, 이 문장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opened"는 과거시제로, 이 문장에서는 현재시제가 필요합니다. "is opening"은 현재진행형으로, 이 문장에서는 현재시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opens"가 가장 적절한 동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 ) 안에 적당한 말은?

  1. in
  2. on
  3. after
  4. off
(정답률: 91%)
  • 이미지에서 보이는 시계의 시침이 12시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on"이라는 전치사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in"은 시간이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after"는 이미 시간이 지난 미래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off"는 시간과 관련이 없는 전치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전치사 중에서 ( )에 알맞는 것은?

  1. in
  2. on
  3. of
  4. for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이 바로 "calendar" 이므로, "on" 이 적절한 전치사입니다. "in" 은 일반적으로 년, 월, 계절 등이 포함된 기간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of" 는 소유, 구성, 관계 등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for" 는 시간, 목적, 대상 등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문장에서 ( )에 들어갈 단어는?

  1. above
  2. on
  3. over
  4. in
(정답률: 93%)
  • 이미지에서 주어진 문장은 "The book is ( ) the table." 입니다. 이미지를 보면 책이 테이블 위에 올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on"이라는 단어가 가장 적절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Ice bucket 에 해당되는 것은?

  1. Ice pail
  2. Ice tong
  3. Ice pick
  4. Ice pack
(정답률: 54%)
  • "Ice pail"은 얼음을 담는 양동이를 의미합니다. "Ice tong"은 얼음을 집는 집게, "Ice pick"은 얼음을 깨는 도구, "Ice pack"은 얼음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Ice bucket에 해당되는 것은 "Ice pai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