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1-27)

조주기능사
(2002-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다음 중 주장기능으로서 맞지 않는 것은?

  1.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영업장이다.
  2. 일정한 장소로서의 시설을 갖춘다.
  3. 인적, 물적 서비스를 상품으로 판매한다.
  4. 일정한 이용객을 확보한다.
(정답률: 54%)
  • 주장기능으로서 맞지 않는 것은 "일정한 이용객을 확보한다."입니다. 주장기능은 해당 사회적 영업장이 제공하는 서비스나 상품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용객을 확보하는 것은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탄산음료 중 설명이 옳지 못한 것은?

  1. 탄산가스가 함유된 천연광천수
  2. 천연과즙에 탄산가스를 함유한 것
  3. 순수한 탄산가스를 함유한 것
  4. 음료수에 천연감미료를 탄 것
(정답률: 66%)
  • "음료수에 천연감미료를 탄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인공 감미료를 사용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천연 감미료는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성분으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천연광천수에 탄산가스를 함유한 것", "천연과즙에 탄산가스를 함유한 것", "순수한 탄산가스를 함유한 것"은 모두 가능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포말주는 어느 것인가?

  1. Champagne
  2. Cola
  3. Cognac
  4. Red wine
(정답률: 53%)
  • 포말주는 탄산이 많이 들어간 발효주로, 샴페인은 탄산이 많이 들어가는 스파클링 와인이기 때문에 정답은 "Champag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술을 과음하고 주취가 심할 때 마시면 빨리 해소되는 음료가 있다. 다음 어느 것인가?

  1. mineral water
  2. soda water
  3. plain water
  4. cider
(정답률: 41%)
  • 정답은 "soda water"입니다.

    술을 과음하고 주취가 심할 때는 알코올이 몸에서 빨리 제거되어야 합니다. 이때, 탄산이 들어있는 음료인 소다 워터를 마시면 탄산이 위장을 자극하여 소화를 촉진시키고, 물과 함께 체내의 알코올을 빨리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다 워터는 주취 해소에 효과적인 음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생맥주는 미살균된 맥주이므로 항상 적당한 온도를 유지 하여야 한다. 유지온도는 몇도가 좋은가?

  1. 2 - 3℃
  2. 4 - 5℃
  3. 5 - 6℃
  4. 6 - 7℃
(정답률: 35%)
  • 생맥주는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맥주이기 때문에, 적절한 온도로 보관하지 않으면 미생물이 번식하여 맛과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2-3℃는 생맥주를 보관하기에 적절한 온도로, 이 온도에서는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되며, 맥주의 신선한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맥주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2-3℃의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스카치 위스키는 어느 것인가?

  1. Canadian Club
  2. Ballantine
  3. Seagram V.O
  4. Old Crown
(정답률: 59%)
  • 스카치 위스키는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되는 위스키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되는 스카치 위스키는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살구의 냄새가 나는 달콤한 증류주는 어느 것인가?

  1. Apricot Brandy
  2. Anisette
  3. Cherry Brandy
  4. Amer
(정답률: 65%)
  • Apricot Brandy는 살구를 사용하여 만든 증류주이기 때문에 살구의 냄새가 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살구가 아닌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증류주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혼성주에서 황금색의 감미주로서 술병에 D.O.M.이라고 쓰여져 있는 것은?

  1. 캄파리(campari)
  2. 앙고스트라비터(angostura bitter)
  3. 베네딕틴(benedictine)
  4. 아니세트(anisette)
(정답률: 72%)
  • D.O.M.은 "Deo Optimo Maximo"의 약어로 "최고의 신에게 바친다"는 뜻입니다. 이는 베네딕틴 수도원에서 만들어진 주로, 수도원의 창립자인 베네딕투스의 이름을 따서 "베네딕틴"이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술병에 D.O.M.이 쓰여져 있는 것은 베네딕틴 주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프랑스 wine의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 중 최고의 품질을 나타내는 것은?

  1. A.O.C.
  2. Vin de Pays
  3. V.D.Q.S
  4. Vin de Table
(정답률: 65%)
  • A.O.C.는 Appellation d'Origine Contrôlée의 약자로, 프랑스에서 가장 엄격한 와인 품질 규제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이 표시는 특정 지역에서 특정 방식으로 생산된 와인에만 부여되며, 와인의 품질과 특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A.O.C.는 프랑스 와인 중에서 최고의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레이트 와인(great wine)이란 보존 년도가 몇년 되는 것을 뜻하는가?

  1. 5년 이하
  2. 5년 이상
  3. 10년 이상
  4. 15년 이상
(정답률: 57%)
  • 그레이트 와인은 보존 년수가 오래될수록 더욱 향과 맛이 깊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5년 이상 보존된 와인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빈타지(Vintage)란 무엇을 뜻하는가?

  1. 포도주의 이름
  2. 포도주의 양조년도
  3. 포도주의 원산지명
  4. 포도의 품종
(정답률: 75%)
  • 빈타지(Vintage)는 포도주의 양조년도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멕시코의 토속주를 무엇이라고 부르고 있는가?

  1. Old Tom
  2. Tequila
  3. Kummel
  4. Vodka
(정답률: 89%)
  • Tequila는 멕시코에서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토속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유럽에서 유래한 주류들이며, Tequila만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독특한 주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항목 중 Liqueur 종류라고 볼수 없는 것은?

  1. Creme de Cacao
  2. Curacao
  3. Lord Calvert
  4. Kummel
(정답률: 57%)
  • Lord Calvert은 Liqueur 종류가 아니라 Whiskey 브랜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에일(Ale)이란 음료는?

  1. 와인의 일종이다.
  2. 증류주의 일종이다.
  3. 맥주의 일종이다.
  4. 혼성주의 일종이다.
(정답률: 84%)
  • 에일은 맥주의 일종으로, 보통 곡물, 홉, 이스트, 물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발효 과정에서 상면 발효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맨하탄(Manhattan) 칵테일의 기주(Base liqueur)는?

  1. 버번 위스키
  2. 스위트 버머스
  3. 앙고스트라 비터
  4. 스터프드 올리브
(정답률: 73%)
  • 맨하탄 칵테일의 기주는 버번 위스키입니다. 이는 맨하탄 칵테일의 원래 레시피에 버번 위스키가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스위트 버머스는 버몬트 칵테일에 사용되는 기주이고, 앙고스트라 비터는 맨하탄 칵테일에 사용되는 비터 중 하나입니다. 스터프드 올리브는 맨하탄 칵테일에 올리브를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기주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사항 중에서 칵테일 파티에서 롱 드링크(Long drink)로 제공되는 음료는?

  1. Manhattan
  2. Whisky Highball
  3. Martini
  4. Bacardi Cocktail
(정답률: 63%)
  • 롱 드링크는 주로 탄산음료와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음료이며, 위 보기 중에서는 Whisky Highball이 탄산음료와 위스키를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음료이기 때문에 롱 드링크로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알라스카(Alaska) 칵테일에 첨가되는 혼성주는?

  1. Whisky
  2. Chartreuse
  3. Curacao
  4. Drambuie
(정답률: 29%)
  • 알래스카 칵테일은 미국 알래스카에서 탄생한 칵테일로, 드라이 버무스와 차트루즈를 혼합한 칵테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hartreus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조주의 부재료에서 시럽류인 석류열매의 색과 향을 가진 것은?

  1. 그레나딘 시럽(grenadine syrup)
  2. 매이플 시럽(maple syrup)
  3. 껌 시럽(gum syrup)
  4. 프레인 시럽(prrain syrup)
(정답률: 74%)
  • 그레나딘 시럽은 석류열매를 주 원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석류열매의 색과 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시럽들은 각각 메이플, 껌, 프레인 등의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석류열매의 색과 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Flamingo 칵테일의 주재료는?

  1. Scotch Whisky
  2. Rum
  3. Dry Vermouth
  4. Gin
(정답률: 30%)
  • Flamingo 칵테일의 주재료는 Gin입니다. 이는 보기 중 유일하게 Gin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 pony는 몇 ounce인가?

  1. 1 ounce
  2. 1 1/2 ounces
  3. 2 ounces
  4. 3 ounces
(정답률: 70%)
  • 1 pony는 1 ounce입니다. Pony는 주로 알코올 음료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1 pony는 보통 1 ounce의 양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Bourbon Whiskey는 Corn 재료를 몇% 이상 사용해야만 버번 위스키로 구분되는가?

  1. Corn 90 %
  2. Corn 80 %
  3. Corn 51%
  4. Corn 40 %
(정답률: 79%)
  • Bourbon Whiskey는 미국 법률에서 Corn이 최소 51% 이상 사용되어야만 버번 위스키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Corn 51%"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 쿼트(Quart)는 몇 온스인가?

  1. 64 oz
  2. 50 oz
  3. 38 oz
  4. 32 oz
(정답률: 52%)
  • 1 쿼트는 32 온스입니다. 이는 1 쿼트가 4 컵이고, 1 컵이 8 온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 x 8 = 32 온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아래와 같이 한 Table에서 4인의 주문이 들어 왔을 때 Bartender가 가장 마지막에 만들 주문 품목은?

  1. Bottle Beer
  2. Whisky with Soda Water
  3. Salty Dog
  4. Dry Martini Straight up Lemon Twist
(정답률: 40%)
  • Bartender는 주문이 들어온 순서대로 음료를 만들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만들 주문 품목은 "Dry Martini Straight up Lemon Twist"입니다. 이는 주문이 들어온 순서대로 "Bottle Beer", "Whisky with Soda Water", "Salty Dog"가 만들어지고 마지막으로 "Dry Martini Straight up Lemon Twist"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술 제조과정 분류방법으로 맞는 것은?

  1. 양조주, 혼성주, 증류주
  2. 양조주, 증류주, 과실주
  3. 증류주, 발효주, 양조주
  4. 혼합주, 증류주, 양조주
(정답률: 72%)
  • 양조주는 곡물 등을 발효시켜 만든 주류로, 발효 과정에서 생산되는 알코올 함량이 일정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혼성주는 양조주와 증류주를 혼합하여 만든 주류로, 알코올 함량이 높고 강한 맛과 향이 특징입니다. 증류주는 발효주를 증류기로 거쳐 알코올 함량을 높인 주류로, 강한 알코올 맛과 향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양조주, 혼성주, 증류주"가 올바른 술 제조과정 분류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바텐더가 Bar에서 Glass를 사용할 때 가장 먼저 체크하여야 할 사항은?

  1. Glass의 가장자리 파손 여부
  2. Glass의 청결여부
  3. Glass의 재고 여부
  4. Glass의 온도 여부
(정답률: 76%)
  • Glass의 가장자리 파손 여부를 먼저 체크해야 하는 이유는 파손된 가장자리가 있을 경우 손님이 입을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손된 가장자리로 인해 음료가 새어 나올 수도 있으며, 이는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Glass의 가장자리 파손 여부를 먼저 체크하여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특히 여름에만 마시는 것으로 소주에다 젯밥을 넣고 여기에 계피, 건강, 향인 등을 넣어 장마가 지고 습한 기운이 있을 때 소화를 돕고 향료가 있는 맛 좋은 고유의 술은?

  1. 연엽주
  2. 춘향주
  3. 과하주
  4. 송순주
(정답률: 53%)
  • 과하주는 여름철에 소화를 돕고 향료가 있는 맛 좋은 고유의 술로, 소주에 젯밥과 계피, 건강, 향인 등을 넣어 만든다. 따라서 주어진 설명과 보기 중에서 과하주가 가장 적합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진(Gin)을 기주(Base)로 한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Martini
  2. Bronx
  3. Pink Lady
  4. Screw Driver
(정답률: 42%)
  • Screw Driver는 오렌지 주스와 보드카(Vodka)로 만든 칵테일이며, 진(Gin)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진(Gin)을 기주(Base)로 한 칵테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에서 장식이 필요 없는 칵테일은?

  1. 김렛
  2. 맨하탄
  3. 올드펫션
  4. 싱가폴슬링
(정답률: 60%)
  • 김렛은 보통 레몬 주스와 소다로 만들어지는 간단한 칵테일이기 때문에 장식이 필요 없습니다. 반면, 맨하탄과 올드펫션은 보통 체리나 오렌지 껍질 등의 장식이 필요하고, 싱가폴 슬링은 파인애플 조각이나 체리 등의 장식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싱글(single)이라 하면 술 30㎖분의 양을 기준으로 한다. 그러면 2배인 60㎖의 분량을 의미하는 것은?

  1. 핑거(finger)
  2. 대시(dash)
  3. 드랍(drop)
  4. 더블(double)
(정답률: 87%)
  • 싱글이 30㎖이라면, 더블은 30㎖의 2배인 60㎖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더블(doubl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식전주(Aperitifs)로 권할만한 것이 못되는 것은?

  1. 맨하탄
  2. 쉐리
  3. 포트와인
  4. 드라이 마티니
(정답률: 42%)
  • 포트와인은 식전주로 권할만한 것이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디저트 와인으로 분류되며, 단맛과 높은 알코올 함량을 가지고 있어 식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포트와인은 식후에 즐기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다음 중 조주보조원(Bar helper)의 주 임무는?

  1. 고객에게 주문을 받고 음료를 조제 제공한다.
  2. 얼음기계, 냉장고 등 모든 기물들의 고장 상태를 점검한다.
  3. 주장(Bar)에서 필요한 주류 및 보급품의 준비와 영업에 필요한 준비를 한다.
  4. 주장에 오는 고객을 영송한다.
(정답률: 57%)
  • 조주보조원은 주류 및 보급품의 준비와 영업에 필요한 준비를 담당합니다. 이는 주류를 제공하는 바에서 필수적인 역할이며, 고객에게 제공하는 음료의 질과 서비스의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조주보조원은 바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캐터링 지배인(Catering Manager)의 임무는?

  1. 호텔내 혹은 외부의 행사나 연회 업무를 주관한다.
  2. 바(Bar) 접객원의 업무를 지휘, 감독한다.
  3. 조주원(Bartender)의 업무를 지휘, 감독한다.
  4. 바(Bar) 근무자의 직무교육을 주관한다.
(정답률: 63%)
  • 캐터링 지배인은 호텔이나 외부에서 열리는 행사나 연회를 주관하기 때문에, 이러한 업무를 담당합니다. 이를 위해 바 접객원과 조주원의 업무를 지휘하고 감독하며, 바 근무자의 직무교육을 주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장요원이 영업시간 전에 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각종 글라스를 깨끗이 닦고 정돈해 둔다.
  2. 각종 바 기구를 정돈 비치해 둔다.
  3. 각종 보조재료를 확보해 둔다.
  4. 각종 신문잡지를 정돈 비치해 둔다.
(정답률: 83%)
  • 주장요원은 영업시간 전에 각종 신문잡지를 정돈하고 비치해 두는 것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영업시간 동안 고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장요원은 각종 글라스, 바 기구, 보조재료 등을 정돈하고 비치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주장의 부정요소와 관계가 먼 것은?

  1. 개인용 음료판매 가능
  2. 칵테일 표준량의 속임
  3. 무료서브의 남용
  4. 요금계산의 정확성
(정답률: 77%)
  • 주장의 부정요소는 주장의 타당성을 약화시키는 요소를 말합니다. 개인용 음료판매 가능, 칵테일 표준량의 속임, 무료서브의 남용은 모두 음료 판매와 관련된 요소이지만, 요금계산의 정확성은 음료 판매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장의 부정요소와는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류 재료 저장관리원칙 중 틀린 것은?

  1. 저장위치 표시의 원칙
  2. 분류저장의 원칙
  3. 납기보장의 원칙
  4. 선입선출의 원칙
(정답률: 60%)
  • 주류 재료 저장관리원칙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납기보장의 원칙은 주문이 들어온 제품을 정해진 납기일까지 공급할 수 있도록 재고를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재고 부족이나 과잉을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이 원칙은 주류 재료 저장관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저장소(store room)에서 쓰이는 빈카드(bin card)의 용도는?

  1. 품목별 불출입 재고 기록
  2. 품목별 상품특성 및 용도기록
  3. 품목별 수입가와 판매가 기록
  4. 품목별 생산지와 빈테이지 기록
(정답률: 65%)
  • 빈카드는 저장소에서 재고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 품목의 입출고 기록을 기록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품목별 불출입 재고 기록"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품목의 특성, 가격, 생산지 등을 기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빈카드의 주요 용도는 입출고 기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위스키(Whisky)의 선택요령 중 잘못된 것은?

  1. 상표선택은 관리인이나 지배인의 추천에 의해 인기 있는 상표를 선택한다.
  2. 상표가 다른 위스키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은 절대로 금한다.
  3. 조주원은 항상 고객편과 회사의 이익을 고려하여 위스키를 선택한다.
  4. 특정한 상표를 지정하여 주문한 위스키가 없을 때는 그것과 유사한 위스키로 대치한다.
(정답률: 49%)
  • 잘못된 것은 "상표가 다른 위스키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은 절대로 금한다."입니다. 이는 올바른 선택요령이 아닙니다. 일부 위스키는 블렌딩을 통해 여러 상표를 섞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표가 다른 위스키를 섞어 사용하는 것은 일부 경우에는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는 위스키 종류와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일반적으로는 특정한 상표를 지정하여 주문한 위스키가 없을 때는 그것과 유사한 위스키로 대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저녁식사 연회시 칵테일 파티는 어느 때에 하는가?

  1. 식사 전에
  2. 식사 중에
  3. 식사 후에
  4. 메인코스 후에
(정답률: 44%)
  • 칵테일 파티는 식사 전에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칵테일 파티가 주로 가벼운 안주와 음료를 즐기며 분위기를 띄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식사 후에는 배부르기 때문에 음료를 즐기기 어렵고, 메인코스 후에는 이미 식사가 끝난 후이기 때문에 분위기를 띄우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저녁식사 연회에서 칵테일 파티는 식사 전에 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불특정 다중에게 선전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1. 신문광고(News Paper,Adv)
  2. 싸인 보드(Sign board)
  3. 디렉트 메일(Direct mail)
  4. 빌 보드(Bill board)
(정답률: 58%)
  • 디렉트 메일은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함께 스팸 메일 등으로 인해 수신자들의 반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불특정 다중에게 선전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저장관리방법 중 FIFO란?

  1. 임의불출(任意拂出)
  2. 매입순출(買入順出)
  3. 가격순출(價格順出)
  4. 선입선출(先入先出1
(정답률: 83%)
  • FIFO는 "선입선출"을 의미합니다. 이는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는 방식으로, 저장된 자료나 물품을 처음으로 저장된 것부터 차례대로 꺼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저장된 것이 가장 먼저 꺼내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알콜 음료 판매시 가장 중요하게 감안되어야 할 사항은?

  1. 고객의 기호
  2. 재료의 선택
  3. 고객의 건강과 업소의 수익
  4. 고객의 기호와 업소의 수익
(정답률: 53%)
  • 알콜 음료 판매는 고객의 기호와 업소의 수익을 가장 중요하게 감안해야 합니다. 고객의 기호를 고려하지 않으면 고객들이 원하는 제품을 구매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업소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업소의 수익을 고려하지 않으면 제품 가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해 업소의 경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의 기호와 업소의 수익을 모두 고려하여 알콜 음료를 판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준산출(standard yields)설정은 어떤 관리목적에 기여 하는가?

  1. 생산고(生産高)
  2. 판매고(販賣高)
  3. 구매가(購買價)
  4. 저장가(貯藏價)
(정답률: 14%)
  • 표준산출(standard yields) 설정은 생산고(生産高)를 관리목적으로 기여합니다. 표준산출은 제품 생산 시 예상되는 양과 실제 생산된 양을 비교하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생산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Dispenser 용 Soft Drink 보관 관리 중 맞는 것은?

  1. 온도차가 심한 곳에 보관한다.
  2. 시원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한다.
  3. 햇볕이 들어오는 창가에 보관한다.
  4. 열기가 많은 주방에 보관한다.
(정답률: 90%)
  • Soft Drink은 온도가 높아지면 탄산이 빠져나가고 맛이 변하기 때문에 시원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원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맥주(Beer)를 서비스 하는 방법 중 옳지 않는 것은?

  1. 맥주병을 굴리거나 뒤집지 말아야 한다.
  2. 맥주를 따를 때는 Glass와 병과의 간격은 2∼3㎝가 적당하다.
  3. 맥주는 흔들어서 따라야 제맛이 난다.
  4. 맥주를 따를 때는 Glass를 기울이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80%)
  • "맥주는 흔들어서 따라야 제맛이 난다."는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맥주를 흔들면 탄산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맥주의 맛과 향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맥주를 따를 때는 굴리거나 흔들지 말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조주의 방법 중 스터링(Stiring)이란?

  1. 칵테일을 차게 만들기 위해 믹싱글라스에 얼음을 넣고 바스푼으로 휘저어 만드는 것
  2. 쉐이킹으로는 얻을 수 없는 차가운 맛의 칵테일을 만드는 방법
  3. 칵테일을 완성시킨 후 향기를 가미시키는 것
  4. 글라스에 직접 재료를 넣어 만드는 칵테일 방법
(정답률: 80%)
  • 스터링은 칵테일을 차게 만들기 위해 믹싱글라스에 얼음을 넣고 바스푼으로 휘저어 만드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쉐이킹으로는 얻을 수 없는 차가운 맛의 칵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터링은 칵테일을 완성시킨 후 향기를 가미시키는 것이 아니라, 칵테일을 만들 때부터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글라스에 직접 재료를 넣어 만드는 칵테일 방법은 빌드(Build)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리큐르(Liqueur)주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영국, 미국에서는 코르디알(Cordials)이라고도 부른다.
  2. 술 분류상 혼성주 범주에 속한다.
  3. 주정(Base liquor)에다 약초, 과일, 씨, 뿌리의 즙을 넣어서 만든다.
  4. 브랜디(Brandy)가 대표적인 술이다.
(정답률: 65%)
  • 정답: "브랜디(Brandy)가 대표적인 술이다."

    설명: 리큐르는 주정에 약초, 과일, 씨, 뿌리의 즙을 넣어서 만든 혼성주로, 브랜디는 리큐르 중 하나일 뿐이며 대표적인 술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포도주를 저장할 때 주의할 사항은?

  1. 찌꺼기 제거를 위해 거꾸로 보관한다.
  2. 적포도주는 백포도주보다 차갑게 보관한다.
  3. 포도주는 종류에 관계없이 늘 냉장 보관한다.
  4. 코르크 마개가 마르지 않도록 눕혀서 보관한다.
(정답률: 75%)
  • 코르크 마개가 마르면 공기가 들어가서 포도주가 산화되어 맛이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개가 마르지 않도록 눕혀서 보관하여 마개가 건조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Ice Equipment 가 아닌 것은?

  1. Ice Pail
  2. Ice Scoop
  3. Ice Tong
  4. Ice Knife
(정답률: 58%)
  • "Ice Knife"는 얼음을 만드는 장비가 아니라, 얼음을 자르기 위한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Decanter 와 관계 있는 것은?

  1. Red Wine
  2. White Wine
  3. Champagne
  4. Sherry Wine
(정답률: 60%)
  • Decanter는 주로 레드 와인을 따르는 데 사용되는 유리 또는 크리스탈 잔입니다. 따라서 Decanter와 관련된 것은 "Red Wi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설탕, 계란 등을 이용하는 칵테일에 필요한 기구는?

  1. Mixing Glass
  2. Strainer
  3. Squeezer
  4. Shaker
(정답률: 71%)
  • 칵테일을 만들 때 설탕, 계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Shaker가 필요합니다. 이는 Shaker가 설탕과 계란을 잘 섞어주고, 냉각된 얼음을 함께 사용하여 칵테일의 맛과 향을 더욱 부드럽고 신선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Mixing Glass는 주로 스토리드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되며, Strainer는 칵테일을 따를 때 사용되며, Squeezer는 과일 주스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Which of the following is made mainly from rye grain?

  1. Rye Whisky
  2. Blended Whisky
  3. Scotch Whisky
  4. Bourbon Whisky
(정답률: 56%)
  • Rye Whisky is made mainly from rye grain, as indicated by its nam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Which terminology of the following is not related to cocktail-making?

  1. straining
  2. beating
  3. stirring
  4. shaking
(정답률: 59%)
  • "Beating" is not related to cocktail-making because it typically refers to the process of mixing ingredients together vigorously with a whisk or electric mixer, which is not a common technique used in cocktail-making. The other terms listed are all commonly used in cocktail-making to describe different methods of mixing or preparing ingredient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틀린 곳이 있는 문장은?

  1. He skates well. - He is a good skater.
  2. He works hard. - He is a hard worker.
  3. He cooks well. - He is a good cooker.
  4. He drives carefully. - He is a careful driver
(정답률: 38%)
  • "He is a good cooker."이 틀린 문장입니다. "Cooker"는 요리사를 뜻하는 명사이며, "cook"는 동사로서 요리를 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He cooks well."이 올바른 문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Select the cocktail based Vodka in the following.

  1. Acacia Cocktail
  2. Bloody marry Cocktail
  3. Gimlet Cocktail
  4. Hunter Cocktail
(정답률: 49%)
  • The cocktail based on Vodka in the given options is the Bloody Mary Cocktail because it is the only option that specifically mentions vodka as one of its ingredient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생맥주에 해당하는 뜻은?

  1. Lager beer
  2. Draft beer
  3. Schlitz
  4. Black beer
(정답률: 79%)
  • 생맥주는 영어로 "Draft beer"라고 합니다. "Draft"는 생맥주가 생산되는 방식 중 하나인 "탭에서 따라 마시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raft beer"는 생맥주 중에서도 탭에서 따라 마시는 맥주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Which of the following wines should be served not chilled but at room-temperature?

  1. Red Wine
  2. White Wine
  3. Champagne
  4. Rose Wine
(정답률: 58%)
  • Red wine should be served at room temperature because chilling it can mute its flavors and aromas. Serving it at room temperature allows the wine to fully express its complexity and depth.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The covering or skin of any fruit is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 ).

  1. heart
  2. top
  3. leaf
  4. peel
(정답률: 66%)
  • "Peel" is the correct answer because it refers to the outer layer or skin of a fruit, which can be easily removed or peeled off.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문장의 내용으로 보아 ( ) 안에 동사형을 바르게 변형시킨 항은?

  1. fall
  2. fell
  3. fallen
  4. falling
(정답률: 43%)
  • 문장에서는 과거 분사형이 필요하므로 "falle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___________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so
  2. so that
  3. for
  4. therefore
(정답률: 41%)
  • "so that"은 목적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이 경우에는 "I can see the doctor"라는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즉, "I made an appointment"라는 행동을 "I can see the doctor"라는 결과를 얻기 위해 한 것이므로 "so that"이 적절한 접속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문 하시겠어요?」의 가장 적당한 영어 표현은?

  1. Have you been served?
  2. Are you being served?
  3. May I take your order?
  4. Are you being waited upon?
(정답률: 80%)
  • "May I take your order?"가 가장 적당한 영어 표현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Have you been served?"는 이미 서비스를 받았는지 묻는 질문입니다.
    - "Are you being served?"는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 묻는 질문입니다.
    - "Are you being waited upon?"은 고급 레스토랑에서 사용되는 공손한 표현으로, "당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라는 뜻입니다.
    - "May I take your order?"는 주문을 받을 수 있는 권한을 묻는 질문으로, 일반적인 레스토랑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