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조주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쇠고기 스테이크에 가장 잘 어울리는 와인은?

  1. 드라이 쉐리
  2. 화이트 와인
  3. 레드 와인
  4. 샴페인
(정답률: 98%)
  • 쇠고기 스테이크는 풍부한 육질과 강한 맛이 특징이며, 이에 따라 강한 맛과 탄닌이 있는 레드 와인이 가장 잘 어울립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드 와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맥주를 따를 때 글라스 위쪽에 생성된 거품이 하는 작용이 아닌 것은?

  1. 탄산가스의 발산을 막아준다.
  2. 산화작용을 억제시킨다.
  3. 맥주의 신선도를 유지시킨다.
  4. 맥주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90%)
  • 맥주를 따를 때 글라스 위쪽에 생성된 거품은 맥주 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거품이 맥주를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맥주의 용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맥주를 따를 때 글라스 위쪽에 생성된 거품은 맥주 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작용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스카치 위스키가 아닌 것은?

  1. Black and White
  2. Cutty Sark
  3. Canadian Club
  4. Ballantine
(정답률: 52%)
  • Canadian Club은 캐나다 워터로 유명한 브랜드로, 스카치 위스키가 아닌 캐나디언 위스키입니다. 나머지 보기인 Black and White, Cutty Sark, Ballantine은 모두 스카치 위스키 브랜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저장 숙성(Aging)시키지 않는 증류주는?

  1. Scotch Whisky
  2. Brandy
  3. Vodka
  4. Bourbon Whisky
(정답률: 81%)
  • 정답은 Vodka입니다. Vodka는 저장 숙성을 거치지 않고 바로 증류하여 만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Malt whisky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대량의 양조주를 연속식으로 증류해서 만든 위스키
  2. 단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2회의 증류과정을 거쳐 만든 위스키
  3. 이탄으로 건조한 맥아의 당액을 발효해서 증류한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4. 옥수수를 원료로 대맥의 맥아를 사용하여 당화시켜 개량 솥으로 증류한 위스키
(정답률: 32%)
  • Malt whisky는 이탄으로 건조한 맥아의 당액을 발효해서 증류한 스코틀랜드의 위스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리큐르는 어떤 것인가?

  1. Burgundy
  2. Bacardi Rum
  3. Cherry Brandy
  4. Canadian Club
(정답률: 58%)
  • 리큐르는 주로 과일, 허브, 스파이스 등을 첨가하여 만든 독한 술을 말합니다. 따라서 "Burgundy", "Bacardi Rum", "Canadian Club"은 리큐르가 아니며, "Cherry Brandy"는 체리를 첨가하여 만든 독한 술이므로 리큐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랑스에서 생산되는 칼바도스(Calvados)는 어느 종류에 속하는가?

  1. 브랜디
  2. 와인
  3. 위스키
(정답률: 68%)
  • 칼바도스는 사과주를 증류하여 만든 강도가 높은 주류로, 이는 브랜디의 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포도주의 색깔 분류에서 잘못 분류된 것은?

  1. 화이트 와인(white wine)
  2. 로즈와인(rose wine)
  3. 레드와인(red wine)
  4. 스틸와인(still wine)
(정답률: 83%)
  • 스틸와인은 포도주의 색깔을 분류하는 용어가 아닙니다. 스틸와인은 증류하지 않은 포도주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스틸와인은 색깔이 아니라 제조 방법에 따른 분류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키안티(Chianti)는 어느 나라 포도주인가?

  1. 불란서
  2. 이태리
  3. 미국
  4. 독일
(정답률: 66%)
  • 키안티는 이태리의 토스카나 지방에서 생산되는 포도주로, 이태리의 대표적인 와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세계 4대산 화이트 스피릿트(white spirit)가 아닌 것은?

  1. Tequila
  2. Vodka
  3. Aquarit
  4. Bourbon
(정답률: 62%)
  • Bourbon은 화이트 스피릿트가 아닌 브라운 스피릿트입니다. 화이트 스피릿트는 색이 없는 깨끗한 알코올 음료이며, Bourbon은 오크통에서 숙성되어 갈색을 띄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럼주의 주원료는?

  1. 보리
  2. 옥수수
  3. 사탕수수
  4. 감자
(정답률: 85%)
  • 럼주는 사탕수수를 발효시켜 만든 증류주입니다. 따라서 럼주의 주원료는 사탕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후렌치 벌머스(French Vermouth)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특유한 풍미를 가지고 있는 담색의 무감미주
  2. 특유한 풍미를 가지고 있는 담색 감미주
  3. 특유한 풍미를 가지고 있는 적색 감미주
  4. 특유한 풍미를 가지고 있는 적색 무감미주
(정답률: 46%)
  • 후렌치 벌머스는 특유한 풍미를 가지고 있는 담색의 무감미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코냑(Cognac)이 생산되는 나라는?

  1. 독일
  2. 이탈리아
  3. 프랑스
  4. 스페인
(정답률: 81%)
  • 코냑은 프랑스의 코냑 지방에서 생산되는 고급 브랜디로, 프랑스가 코냑 생산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정답은 프랑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얼음덩이와 함께 세게 쉐이크해서 마실 수 있는 리큐르(Liqueur)는 어느 것인가?

  1. Absinthe
  2. Creme de cacao
  3. Apricot Brandy
  4. Chartreuse
(정답률: 31%)
  • Absinthe는 얼음덩이와 함께 세게 쉐이크해서 마실 수 있는 리큐르입니다. 이는 Absinthe가 쓴 맛과 향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물과 설탕을 섞어 마시는 전통적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글라스의 용량 중 올드패션 칵테일을 제공하는데 가장 적당한 것은?

  1. 30-60㎖
  2. 100-150㎖
  3. 180-300㎖
  4. 360-420㎖
(정답률: 31%)
  • 올드패션 칵테일은 일반적으로 60-90㎖의 양으로 제공되며, 이는 180-300㎖ 용량의 글라스에 적당한 양입니다. 더 큰 용량의 글라스를 사용하면 칵테일이 희석되거나 맛이 변할 수 있으므로, 180-300㎖가 가장 적당한 용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브랜디 알렉산더(Alexander) 칵테일 조주시 필요한 재료 중 틀린 것은?

  1. 카카오(Cacao brown)
  2. 브랜디(Brandy)
  3. 크림(Heavy Cream)
  4. 비터즈(Bitters)
(정답률: 48%)
  • 브랜디 알렉산더 칵테일에는 비터즈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브랜디, 카카오, 크림으로 만들어지는 이 칵테일은 부드럽고 달콤한 맛이 특징입니다. 비터즈는 대개 매우 진한 맛과 향을 가진 액체로, 칵테일에 적당한 쓴맛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브랜디 알렉산더 칵테일은 쓴맛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터즈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과일의 즙을 낼 때 사용하는 기구는?

  1. Measure cup
  2. Squeezer
  3. Mixing glass
  4. Strainer
(정답률: 83%)
  • 과일의 즙을 낼 때는 Squeezer를 사용합니다. Squeezer는 과일을 쥐어 짜는 기구로, 다른 보기들은 즙을 낼 때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버번 위스키(Bourbon Whiskey) 80 Proof는 우리나라 주정 도수로 몇 도인가?

  1. 35도
  2. 40도
  3. 45도
  4. 50도
(정답률: 90%)
  • 버번 위스키 80 Proof는 알코올 함량이 40%이므로, 우리나라 주정의 도수인 40도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혼성주에 속하는 것은?

  1. 고량주
  2. 리큐르
  3. 브랜디
  4. 포도주
(정답률: 80%)
  • 혼성주란, 주류와 과일, 향신료 등을 혼합하여 만든 주류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리큐르는 과일, 향신료, 꿀 등을 혼합하여 만든 주류로, 혼성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 쓰이는 기물은?

  1. Dispenser
  2. Trolley
  3. Ice box
  4. Decanter
(정답률: 72%)
  • "Trolley"는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 가능한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건을 보관하거나 분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운반하는 기능은 "Trolley"에만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바 스푼(Bar Spoon)의 용도가 틀린 것은?

  1. 후로팅 칵테일(Floating Cocktail)을 만들 때 사용 한다.
  2. 믹싱 글라스를 이용하여 칵테일을 만들 때 휘젓는 용으로 사용한다.
  3. 칵테일을 만들 때 글라스의 내용물을 섞을 때 사용한다.
  4. 얼음을 아주 잘게 부술 때 사용한다.
(정답률: 80%)
  • 바 스푼은 칵테일을 만들 때 글라스의 내용물을 섞을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얼음을 아주 잘게 부술 때 사용하는 것은 바 셰이커나 믹서기 등 다른 도구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칵테일은 얼음에 잘 냉각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손에서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이용하여 제공 하는 글라스는?

  1. 스템드 글라스
  2. 하이볼 글라스
  3. 실린더리컬 글라스
  4. 믹싱 글라스
(정답률: 75%)
  • 스템드 글라스는 긴 스템으로 손과 글라스 사이에 거리를 두어 손의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하며, 글라스의 바닥과 입구가 넓어 얼음과 칵테일이 잘 녹아 섞이도록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진(Gin)을 기주(Base)로 한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Martini
  2. Bronx
  3. Pink Lady
  4. Screw Driver
(정답률: 63%)
  • Screw Driver는 오렌지 주스와 보드카(Vodka)로 만든 칵테일이며, 진(Gin)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진(Gin)을 기주(Base)로 한 칵테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경우에 따라 고객에게 제공할 때 미리 병마개를 따놓는 알콜음료가 있다. 다음 중 적당한 것은?

  1. 샴페인
  2. 적포도주
  3. 맥주
  4. 위스키
(정답률: 50%)
  • 미리 병마개를 따놓는 알콜음료는 보통 한 잔씩 즐기기에 적합한 음료가 좋습니다. 따라서 샴페인은 고가의 음료이며, 한 잔씩 즐기기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맥주와 위스키는 병마개를 따놓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음료입니다. 따라서 적포도주가 적당한 선택입니다. 적포도주는 가격이 적당하며, 한 잔씩 즐기기에도 부담스럽지 않습니다. 또한, 병마개를 따놓는 것이 가능하며, 고객들에게 인기가 있는 음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칵테일 가니쉬로 적당치 않는 것은?

  1. 체리
  2. 오렌지
  3. 올리브
  4. 컬리플라워
(정답률: 92%)
  • 칵테일 가니쉬는 음료의 맛과 분위기를 더해주는 장식이므로, 맛과 색상이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체리는 달콤한 맛과 빨간색으로 시각적으로도 매력적이며, 오렌지는 상큼한 맛과 주황색으로 시각적으로도 화사합니다. 올리브는 짭짤한 맛과 초록색으로 시각적으로도 세련된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컬리플라워는 맛이 미미하고, 색상도 음료와 어울리지 않아 적당치 않은 가니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술 손실을 예방하는 조주기구는 어느 것인가?

  1. Pourer
  2. Muddler
  3. Coaster
  4. Squeezer
(정답률: 80%)
  • Pourer는 술을 따르는 과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양을 따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주기구입니다. Muddler는 주로 과일이나 허브를 으깨는 용도로 사용되며, Coaster는 잔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Squeezer는 과일이나 채소를 갈아서 주스를 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따뜻하게 하면 달콤한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며, 강한 냄새를 억제시켜 주며, 일반적으로 핫 드링크(hot drink)에 사용하는 칵테일 부재료는?

  1. 넛맥(nut meg)
  2. 시나몬(cinnamon)
  3. 민트(mint)
  4. 클로버(clove)
(정답률: 14%)
  • 클로버는 따뜻하게 하면 달콤한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며, 강한 냄새를 억제시켜 주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핫 드링크에 사용하는 칵테일 부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테킬라에 오렌지 쥬스를 배합한 후 붉은 색 시럽을 뿌려서 가라앉은 모양이 마치 일출의 장관을 연출케 하는 희망과 환의의 칵테일로 유명한 것은?

  1. 스팅거(Stinger)
  2. 테킬라 선라이즈(Tequila sunrise)
  3. 스크류 드라이브(Screw driver)
  4. 핑크레이디(Pink Lady)
(정답률: 94%)
  • 테킬라 선라이즈는 테킬라와 오렌지 쥬스를 섞은 후 붉은 색 시럽을 뿌려서 가라앉은 모양이 일출의 장관과 비슷하다는 것에서 유래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독일의 와인 생산지가 아닌 것은?

  1. Ahr(아르지역)
  2. Mosel(모젤지역)
  3. Rheingau(라인가우 지역)
  4. Penedes(페네데스 지역)
(정답률: 33%)
  • Penedes(페네데스 지역)은 스페인의 와인 생산지이며, 나머지 세 지역은 독일의 와인 생산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칵테일은 조주시 여러 가지 양주류와 부재료를 혼합해서 만든다. 다음에서 칵테일 조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식욕의 증진과 부드러운 맛 제공
  2. 분위기와 예술적 가치
  3. 색(colour), 맛(taste), 향(flavour)의 조화 (harmony)
  4. 감미의 증진과 가격의 효과
(정답률: 86%)
  • 정답: "감미의 증진과 가격의 효과"

    설명: 칵테일은 양주류와 부재료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감미의 증진과 가격의 효과가 있는 것은 맞지만, 이는 칵테일 조주의 특징이 아니라 부수적인 효과에 불과하다. 따라서, "감미의 증진과 가격의 효과"는 칵테일 조주의 특징이 아니다. 칵테일 조주의 특징은 "식욕의 증진과 부드러운 맛 제공", "분위기와 예술적 가치", "색(colour), 맛(taste), 향(flavour)의 조화 (harmony)"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음료저장관리 방법 중 FIFO 의 원칙에 적용될 수 있는 술은?

  1. 위스키
  2. 맥주
  3. 브랜디
  4. 포도주
(정답률: 78%)
  • 맥주는 FIFO 원칙에 적용될 수 있는 술입니다. 왜냐하면 맥주는 생산 후 일정 기간 이후에는 맛과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먼저 생산된 맥주를 먼저 판매하여 고객에게 신선한 제품을 제공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맥주는 FIFO 원칙을 적용하여 저장 및 관리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주류 중 알콜도수가 가장 약한 것으로 권유할 때는 무엇으로 해야 하는가?

  1. 진(Gin)
  2. 위스키(Whisky)
  3. 브랜디(Brandy)
  4. 슬로우진(Sloe Gin)
(정답률: 92%)
  • 슬로우진은 알콜도수가 가장 낮은 주류 중 하나입니다. 이는 슬로우진이 일반적으로 과일주류로 분류되며, 알콜도수가 낮은 과일주류로 유명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바(bar) 기구가 아닌 것은?

  1. 믹싱쉐이커(Mixing Shaker)
  2. 레몬스퀴저(Lemon Squeezer)
  3. 바스트레이너(Bar Strainer)
  4. 스테이풀러(Stapler)
(정답률: 90%)
  • 스테이풀러는 문서나 종이를 묶어주는 문구용품이며, 나머지 세 가지는 바에서 사용하는 도구나 주스를 짜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Tumbler Glass는 어느 것인가?

  1. Champagne Glass
  2. Cocktail Glass
  3. High ball
  4. Brandy Snifter
(정답률: 80%)
  • Tumbler Glass는 보기에 없습니다. High ball은 롱 드링크를 담는 유리잔으로, Tumbler Glass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High ball이 Tumbler Glass와 가장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Sommelier의 주 임무는?

  1. 기척세물(utensil cleaning)
  2. 주류저장(store keeper)
  3. 와인판매(wine steward)
  4. 칵테일조주(cocktail mixing)
(정답률: 88%)
  • Sommelier는 와인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에게 와인을 추천하고 판매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와인판매(wine steward)"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중요한 연회시 그 행사에 관한 모든 내용이나 협조사항 을 호텔 각 부서에 알리는 행사지시서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1. Event order
  2. Check-up list
  3. Reservation sheet
  4. Banquet Memorandum
(정답률: 60%)
  • "Event order"는 행사에 관한 모든 내용이나 협조사항을 호텔 각 부서에 알리는 문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서는 중요한 연회나 행사에서 필수적으로 작성되며, 호텔 직원들이 이를 바탕으로 행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Check-up list"나 "Reservation sheet"는 각각 체크리스트나 예약 명단을 의미하며, "Banquet Memorandum"은 연회나 만찬에 대한 메모를 의미합니다. 이에 비해 "Event order"는 행사 전반에 걸쳐 호텔 직원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바(Bar) 작업대와 가터레일(Gutter Rail)의 시설위치는?

  1. Bartender 정면에 시설되게 하고 높이는 술 붓는 것을 고객이 볼 수 있는 위치
  2. Bartender 후면에 시설되게 하고 높이는 술 붓는 것을 고객이 볼 수 없는 위치
  3. Bartender 우측에 시설되게 하고 높이는 술 붓는 것을 고객이 볼 수 있는 위치
  4. Bartender 좌측에 시설되게 하고 높이는 술 붓는 것을 고객이 볼 수 없는 위치
(정답률: 70%)
  • 바 작업대와 가터레일은 "Bartender 정면에 시설되게 하고 높이는 술 붓는 것을 고객이 볼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는 고객이 주문한 음료를 만드는 과정을 직접 볼 수 있어서,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음료 제조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또한, 바 작업대와 가터레일이 바텐더의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류 저장소의 필수요건이 아닌 것은?

  1. 미관
  2. 온도
  3. 습도 및 환기
  4. 진동
(정답률: 77%)
  • 주류 저장소의 필수요건은 온도, 습도 및 환기, 진동입니다. 미관은 저장소의 기능성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필수요건이 아닙니다. 하지만, 고객의 만족도와 매장의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미관적인 요소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영업 준비시 맥주 저장은 어디에 하는가?

  1. 싱크(sink)
  2. 아이스 빈(ice bin)
  3. 냉장고(refrigerator)
  4. 프리저(freezer)
(정답률: 67%)
  • 맥주는 냉장보관이 필요하며, 냉장고는 맥주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보관 장소이기 때문입니다. 냉장고는 맥주를 신선하고 맛있게 유지할 수 있는 온도 범위인 3~7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냉장고 안에는 맥주병이나 캔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도 충분히 마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영업 준비시 맥주 저장은 냉장고에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바에서 사용하는 하우스 브랜드(House brand)란 무엇을 뜻하는가?

  1. 널리 알려진 술 종류
  2. 지정 주문이 아닐 때 쓰는 술 종류
  3. 상품(上品)에 해당하는 술 종류
  4. 조리용으로 사용하는 술 종류
(정답률: 80%)
  • 하우스 브랜드는 바나 레스토랑 등에서 자체적으로 제조하거나 다른 제조업체에 의뢰하여 만든 브랜드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지정 주문이 아닐 때 쓰는 술 종류는 하우스 브랜드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술 종류를 의미합니다. 즉, 유명한 브랜드가 아니라도 바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술이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술을 하우스 브랜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음료관리상 꼭 지켜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주류 납품의 검수는 검수계에서 한다.
  2. 일반 부재료는 납품업자가 현장에 직접 납품한다.
  3. 주류는 일단 입고 후 필요량만 현장에 보급한다.
  4. 연회용 재료는 상비용 재고와 구분 불출한다.
(정답률: 50%)
  • 일반 부재료는 납품업자가 현장에 직접 납품하는 것은 틀린 사항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일반 부재료는 중앙 창고에서 관리되며 필요한 양만큼 현장으로 운송되어 공급됩니다. 이는 재고 관리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포도주(wine)저장 관리방법 중 잘못된 설명은?

  1. 적당한 온도와 습기가 많이 있는 장소라야 한다.
  2. 직사광선을 피해 저장한다.
  3. 진동이 심한 장소는 피한다.
  4. 와인병을 눕혀서 콜크마개는 항상 젖어 있도록 보관 한다.
(정답률: 89%)
  • 와인은 적당한 온도와 습기가 많이 있는 장소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와인은 고온과 건조한 환경에서는 맛과 향이 변질되고, 습기가 너무 많은 환경에서는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사광선을 피하고, 진동이 심한 장소는 피하며, 와인병을 눕혀서 콜크마개는 항상 젖어 있도록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알콜 음료 판매시 판매자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하게 감안 되어야 할 사항은?

  1. 고객의 기호
  2. 재료의 선택
  3. 고객의 건강과 업소의 수익
  4. 고객의 기호와 업소의 수익
(정답률: 58%)
  • 알콜 음료 판매는 고객의 기호와 업소의 수익을 가장 중요하게 감안해야 합니다. 고객의 기호를 고려하지 않으면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제공하지 못하고, 이는 고객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업소의 수익을 고려하지 않으면 제품 가격을 적절하게 설정하지 못하고, 이는 수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의 기호와 업소의 수익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제품과 가격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크림드 멘트(Creme de Menthe)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오렌지 향이 난다.
  2. 페퍼민트 칵테일 제조시 사용된다.
  3. 녹색, 백색, 홍색 3색이 있다.
  4. 박하 향이 난다.
(정답률: 90%)
  • 크림드 멘트는 페퍼민트 향이 나며, 오렌지 향이 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니쉬(Garnish)를 상하지 않게 보관하는 곳은?

  1. 혼합용 용기
  2. 냉장고
  3. 냉동실
  4. 얼음통
(정답률: 88%)
  • 가니쉬는 신선한 상태에서 사용할 때 가장 맛있기 때문에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냉장고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가니쉬를 상하지 않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냉장고는 다른 보관 장소에 비해 냄새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가니쉬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Glass를 Handling 할 때 해서는 안 될 사항은?

  1. 뜨거운 물을 통해 준비한다.
  2. 레몬즙을 뜨거운 물에 짜서 넣는다.
  3. 깨끗한 Cloth를 준비한다.
  4. 특히 더러운 곳은 입김을 불어 닦는다.
(정답률: 77%)
  • 특히 더러운 곳은 입김을 불어 닦는 것은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또한 입김에는 머리카락, 치아 등에서 나오는 먼지나 세균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깨끗한 천으로 닦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술의 손실방지 및 술을 따를 때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은?

  1. 디켄터(decanter)
  2. 머들러(muddler)
  3. 포우러(pourer)
  4. 스퀴저(squeezer)
(정답률: 63%)
  • 포우러는 술병의 입구에 끼워서 술을 따를 때 손실을 방지하고, 정확하게 따르기 쉽게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술을 따르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위생적인 맥주(Beer) 취급 절차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맥주를 따를 때는 넘치지 않게 글라스에 7부 정도 채우고 나머지 3부 정도를 거품이 솟아오르도록 한다.
  2. 맥주를 따를 때는 맥주병이 글라스에 닿지 않도록 1∼2㎝정도 띄어서 따르도록 한다.
  3. 글라스에 채우고 남은 병은 상표가 고객 앞으로 향하도록 맥주 글라스 위쪽에 놓는다.
  4. 맥주와 맥주 글라스는 반드시 차갑게 보관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정답률: 77%)
  • 맥주와 맥주 글라스는 반드시 차갑게 보관하지 않아도 무방하다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맥주는 과일, 곡물 등의 원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미생물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맥주는 알코올 함량이 높아서 미생물이 번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맥주를 냉장보관할 필요는 없지만, 맥주 글라스는 깨끗하게 세척하고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바(Bar) 영업을 하기 위하여 Bartender가 준비 하여야 할 일이 아닌 것은?

  1. 각종 글라스를 청결하게 준비한다.
  2. 칵테일에 필요한 Garnish를 준비한다.
  3. Bar에 필요한 기물을 청결하게 준비한다.
  4. 꽃을 준비한다.
(정답률: 95%)
  • 바 영업에서 꽃은 필요하지 않은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바에서는 음료 제조와 서비스에 집중해야 하며, 꽃은 장식적인 요소로서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Bartender가 준비해야 할 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ocktail Shaker의 사용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사용하기 전에 씻어서 사용한다.
  2. 술을 먼저 넣고 그 다음에 얼음을 채운다.
  3. 얼음을 채운 후에 술을 따른다.
  4. 부재료를 넣고 술을 넣은 후에 얼음을 채운다.
(정답률: 83%)
  • 얼음을 채운 후에 술을 따르는 이유는, 얼음이 들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술을 따르면 칵테일이 묽어지거나 술의 온도가 높아져 맛이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얼음을 먼저 채운 후에 술을 따르는 것이 올바른 사용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다음 문장 중 change가 다른 셋과 같은 뜻으로 쓰여 있지 않은 것은?

  1. Do you have change for a dollar?
  2. Keep the change.
  3. I need some change for the bus.
  4. Let's try a new restaurant for a change.
(정답률: 64%)
  • 정답: "I need some change for the bus."

    설명: 나머지 문장들은 모두 "change"가 동전이나 화폐의 잔돈을 의미하는 반면, "I need some change for the bus."는 "나는 버스를 타기 위해 변화가 필요해."라는 뜻으로, 여기서 "change"는 변화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What is a tumbler?

  1. A flat-bottomed glass without stem
  2. Footed ware
  3. Stemware
  4. Beer mug
(정답률: 50%)
  • Tumbler는 밑면이 평평하고 줄기가 없는 유리잔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Dark Rum, Brandy, Coffee and Honey are the main ingredients of ( 괄호 ).

  1. Coffee Cocktail
  2. Jamaica Spice
  3. Creme De Cafe
  4. Whisky Sour
(정답률: 23%)
  • "Jamaica Spice" is the only option that includes both dark rum and coffee as main ingredients, along with brandy and honey.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Sherry
  2. Burgundy
  3. Chanti
  4. Muscadet
(정답률: 72%)
  • 위 그림에서는 Sherry가 가장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Sherr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 ) 안에 적당한 단어는?

  1. catalyst
  2. solvent
  3. material
  4. sedative
(정답률: 15%)
  • 화학 반응에서 촉매 역할을 하는 것은 "catalyst" 입니다. 그림에서 보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용기 안에 있는 물질들이 반응하기 전과 후의 양상이 거의 같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높은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촉매입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이는 물질은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인 "catalyst" 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밑줄 친 부분의 알맞는 단어는?

  1. on
  2. to
  3. for
  4. at
(정답률: 56%)
  • 이 문장에서 "I'm sorry"는 "미안합니다"라는 사과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사과의 대상이 누구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for"이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식사 다 드셨습니까? "의 가장 올바른 표현은?

  1. Are you through, sir?
  2. Did you eat all, sir?
  3. Did you finish, sir?
  4. Are you finish, sir?
(정답률: 15%)
  • "Are you through, sir?"이 가장 올바른 표현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Did you eat all, sir?" : 이 표현은 "모든 것을 다 먹었나요?"라는 뜻으로, 식사를 먹는 상황에서는 사용할 수 있지만, 식사가 끝나고 나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Did you finish, sir?" : 이 표현은 "끝났나요?"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끝났는지 물을 때 사용합니다. 식사를 먹는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through"보다는 "finish"가 덜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3. "Are you finish, sir?" : 이 표현은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Are you finished, sir?"라는 올바른 표현이 있지만, "through"보다는 "finish"가 덜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4. "Are you through, sir?" : 이 표현은 "다 끝났나요?"라는 뜻으로, 식사를 먹는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through"는 "끝까지 완료하다"라는 의미도 있기 때문에, 식사를 먹는 동안 모든 음식을 다 먹었는지 물을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다리게 해서 미안합니다." 의 올바른 표현은?

  1. I am sorry to have kept you waiting.
  2. I am sorry to kept you waiting.
  3. I am sorry to have not kept you waiting.
  4. I am sorry not to keep you waiting.
(정답률: 31%)
  • 정답은 "I am sorry to have kept you waiting." 입니다.

    "have kept"은 과거 분사형으로, "기다리게 했다"는 뜻입니다. "to"는 "해서"라는 뜻으로, "미안합니다"의 뉘앙스를 나타냅니다. "you waiting"은 "당신을 기다리게 해서"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I am sorry to have kept you waiting."은 "기다리게 해서 미안합니다."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May l have coffee please?

  1. some
  2. many
  3. to
  4. only
(정답률: 94%)
  • "May I have coffee please?"는 양을 명시하지 않은 요청이므로, "some"이 적절한 답변입니다. "Many"는 양이 많은 경우에 사용되며, "to"는 요청과 관련이 없습니다. "Only"는 요청과 반대의 의미를 가지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나는 길을 잃을까봐 두렵다." 로 맞는 것은?

  1. I'm afraid of losing the way.
  2. I'm afraid for losing the way.
  3. I'm afraid by lose way.
  4. I'm afraid to lost the way.
(정답률: 50%)
  • 정답은 "I'm afraid of losing the way." 입니다.

    - "for" 대신 "of"를 사용해야 합니다. "afraid of"는 ~을 두려워하는 것을 나타내는 고정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 "by" 대신 "of"를 사용해야 합니다. "afraid of"는 ~을 두려워하는 것을 나타내는 고정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 "lose" 대신 "losing"을 사용해야 합니다. "afraid of" 뒤에는 동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 "lost" 대신 "losing"을 사용해야 합니다. "afraid of" 뒤에는 동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