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4-02)

조주기능사
(2006-04-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살구의 냄새가 나는 달콤한 증류주는 어느 것인가?

  1. Apricot Brandy
  2. Anisette
  3. Cherry Brandy
  4. Amer
(정답률: 77%)
  • Apricot Brandy는 살구를 사용하여 만든 증류주이기 때문에 살구의 냄새가 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살구가 아닌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증류주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칵테일의 기능에 따른 분류 중 롱드링크(Long drink)가 아닌 것은?

  1. 피나콜라다(Pina Colada)
  2. 마티니(Martini)
  3. 톰칼린스(Tom Collins)
  4. 치치(Chi-Chi)
(정답률: 88%)
  • 롱드링크(Long drink)는 주로 양조주나 위스키 등의 독한 술에 탄산수나 주스 등을 섞어 만든 칵테일을 말합니다. 따라서 마티니는 보통 진과 버머스 등의 독한 술을 사용하며, 탄산수나 주스 등을 섞지 않기 때문에 롱드링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생강을 주원료로 만든 것은?

  1. 진저엘
  2. 토닉워터
  3. 소다수
  4. 파워에이드
(정답률: 87%)
  • 생강은 진저엘의 주원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reme De Cacao로 만들 수 있는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Cacao Fizz
  2. Mai-Tai
  3. Alexander
  4. Grasshopper
(정답률: 43%)
  • Mai-Tai는 Creme De Cacao 대신 럼, 트리플 섹, 라임 주스 등 다른 재료로 만들어지는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위스키가 기주로 쓰이지 않는 칵테일은?

  1. 뉴욕(New York)
  2. 로브 로이(Rob Roy)
  3. 블랙러시안(Black Russian)
  4. 맨하탄(Manhattan)
(정답률: 64%)
  • 블랙러시안은 위스키 대신 보드카를 사용하는 칵테일입니다. 따라서 위스키가 기주로 쓰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스팅거(Stinger)라는 칵테일(Cocktail)의 주재료와 부재료는 각각 무엇인가?

  1. Brandy와 Mint
  2. Gin과 Vermouth
  3. Brandy와 Cacao
  4. Whisky와 Cream
(정답률: 26%)
  • 스팅거 칵테일의 주재료는 Brandy이고, 부재료는 Mint입니다. 이는 스팅거 칵테일의 레시피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Gin과 Vermouth, Brandy와 Cacao, Whisky와 Cream은 다른 칵테일의 주재료와 부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영국에서 발명한 무색투명한 음료로서 레몬, 라임, 오렌지, 키니네 등으로 엑기스를 만들어 당분을 배합한 것으로 열대 지방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식욕부진과 원기를 회복하기 위해 제조되었던 것이며, 제 2차 세계대전 후 진(gin)과 혼합하여 진토닉을 만들어 세계적인 음료로 환영받고 있는 것은?

  1. 미네랄수(Mineral Water)
  2. 사이다(Cider)
  3. 토닉수(Tonic Water)
  4. 칼린스 믹스(Collins Mix)
(정답률: 86%)
  • 토닉수는 영국에서 발명되어 열대 지방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식욕부진과 원기를 회복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진과 혼합하여 진토닉을 만들어 세계적인 음료로 환영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아쿠아비트(Aquavi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감자를 당화시켜 연속증류법으로 증류한다.
  2. 마실 때는 차게 하여 식후주에 적합하다.
  3. 맥주와 곁들여 마시기도 한다.
  4. 진(Gin)의 제조 방법과 비슷하다.
(정답률: 30%)
  • 아쿠아비트는 마실 때 냉장 보관하여 차게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아쿠아비트의 향과 맛을 더욱 즐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쿠아비트는 감자를 당화시켜 연속증류법으로 증류하여 만들어지며, 맥주와 곁들여 마시기도 합니다. 진(Gin)의 제조 방법과 비슷하지만, 보통 허브나 스파이스 등의 향신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마실 때는 차게 하여 식후주에 적합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꼬냑은 무엇으로 만든 술인가?

  1. 보리
  2. 옥수수
  3. 포도
  4. 감자
(정답률: 8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적색 포도주(Red Wine)병의 바닥이 요철로 된 이유는?

  1.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2. 안전하게 세우기 위하여
  3. 용량표시를 쉽게 하기 위하여
  4. 찌꺼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76%)
  • 적색 포도주병의 바닥에 요철이 있는 이유는 찌꺼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양조주가 아닌 술은?

  1. 소주
  2. 적포도주
  3. 맥주
  4. 청주
(정답률: 80%)
  • 양조주는 곡물 등을 발효시켜 만든 술을 말하며, 소주는 곡물을 발효시켜 만든 양조주입니다. 반면, 적포도주는 포도를 발효시켜 만든 와인, 맥주는 맥아를 발효시켜 만든 양조주, 청주는 쌀을 발효시켜 만든 양조주입니다. 따라서, 소주는 양조주이며, 나머지는 양조주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크림이나 계란의 비린 냄새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칵테일 부재료는 무엇인가?

  1. 클로브(Clove)
  2. 타바스코 소스(Tabasco Sauce)
  3. 넛맥(Nut meg)
  4. 페퍼(Pepper)
(정답률: 68%)
  • 넛맥은 향이 강한 스파이스로, 계란이나 크림 등의 비린 냄새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칵테일 부재료로 사용되고 매운 맛이 강한 향료로서 주로 토마토 쥬스가 들어가는 칵테일에 사용되는 것은?

  1. 넛맥(Nut meg)
  2. 타바스코 소스(Tabasco sauce)
  3. 민트(Mint)
  4. 클로브(Clove)
(정답률: 94%)
  • 타바스코 소스는 매운 맛이 강한 향료이기 때문에 주로 매운 맛이 강한 음식이나 음료에 사용됩니다. 특히 토마토 쥬스와 같은 칵테일에 사용되면 매운 맛과 함께 더욱 깊은 맛과 향을 더해줍니다. 따라서 타바스코 소스는 칵테일 부재료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품목 중 청량음료(Soft Drink)에 속하는 것은?

  1. 탄산수(Sparkling Water)
  2. 생맥주(Draft Beer)
  3. 톰칼린스(Tom Collins)
  4. 진 휘즈(Gin Fizz)
(정답률: 91%)
  • 탄산수는 가스가 빠져있는 물에 이산화탄소를 더해 탄산화시킨 음료수로, 청량감이 있어 청량음료에 속합니다. 생맥주는 알코올이 함유된 맥주이며, 톰칼린스와 진 휘즈는 칵테일로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이므로 청량음료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계란, 밀크, 시럽 등의 부재료가 사용되는 칵테일을 만드는 방법은?

  1. Mix
  2. Stir
  3. Shake
  4. Float
(정답률: 93%)
  • 계란, 밀크, 시럽 등의 부재료는 높은 농도로 농축되어 있기 때문에, 칵테일을 만들 때는 이를 잘 섞어야 합니다. Shake는 강력한 진동을 통해 부재료를 완전히 섞어주기 때문에, 이러한 칵테일을 만들 때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오렌지를 주원료로 만든 술이 아닌 것은?

  1. Triple Sec
  2. Tequila
  3. Cointreau
  4. Grand Marnier
(정답률: 89%)
  • Tequila는 파란색 아각을 주원료로 만든 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혼합하기 어려운 재료를 섞거나 프로즌 드링크를 만들 때 쓰는 기구 중 가장 적합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쉐이커
  2. 브랜더
  3. 믹싱글라스
  4. 믹서
(정답률: 13%)
  • 혼합하기 어려운 재료를 섞거나 프로즌 드링크를 만들 때는 강력한 섞는 힘이 필요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기구는 믹서입니다. 믹서는 강력한 모터와 날개 모양의 블레이드로 재료를 섞어주기 때문에 다른 기구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습니다. 쉐이커나 브랜더는 강력한 섞는 힘이 부족하고, 믹싱글라스는 손으로 섞어야 하기 때문에 혼합하기 어려운 재료를 섞거나 프로즌 드링크를 만들 때는 믹서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조선시대에 대표적인 술이 아닌 것은?

  1. 오가피주
  2. 백하주
  3. 죽통주
  4. 도화주
(정답률: 50%)
  • 오가피주는 조선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조선시대에 대표적인 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반적으로 양주병에 80proof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은 알콜도수 몇 도에 해당하는가?

  1. 주정도 80%(80°)라는 의미이다.
  2. 주정도 40%(40°)라는 의미이다.
  3. 주정도 20%(20°)라는 의미이다
  4. 주정도 10%(10°)라는 의미이다.
(정답률: 95%)
  • 주정도는 알콜의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1도당 알콜의 비율은 1%에 해당한다. 따라서 주정도 80%는 알콜도수 80도, 주정도 40%는 알콜도수 40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양주병에 80proof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은 알콜도수 40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진(Gi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진의 원료는 보리, 호밀, 옥수수 등 곡물을 주원료로 한다.
  2. 무색투명한 증류주이다.
  3. 증류 후 1~2년간 저장(Age)한다.
  4. 두송자(Juniper berry)를 사용하여 착향 시킨다.
(정답률: 45%)
  • 진은 증류 후 바로 소비할 수 있는 술이지만, 일부 제조사에서는 1~2년간 저장하여 맛과 향을 더욱 깊게 만들기도 합니다. 따라서 "증류 후 1~2년간 저장(Age)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경북 안동의 전통주로 한가위 차례상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제수폼이며 조상께 올리는 술로 오랜 세월을 이어오며 조상의 숨결이 스며있는 전통 민속주는?

  1. 백세주
  2. 과하주
  3. 안동소주
  4. 연엽주
(정답률: 74%)
  • 안동소주는 경북 안동 지역의 전통주로, 오랜 세월을 이어오며 조상의 숨결이 스며있는 전통 민속주입니다. 따라서 한가위 차례상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제수폼이며 조상께 올리는 술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으로 핑크레이디 칵테일에 사용되지 않는 재료는?

  1. 그레나딘시럽
  2. 베네딕틴
  3. 계란흰자
(정답률: 42%)
  • 핑크레이디 칵테일은 주로 진과 그레나딘시럽, 계란흰자를 사용하는데, 베네딕틴은 일반적으로 핑크레이디 칵테일에 사용되지 않는 재료입니다. 이는 베네딕틴이 핑크레이디 칵테일의 맛과 어울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베네딕틴은 보통 마티니 칵테일 등 다른 칵테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맨하탄(Manhattan)칵테일을 담아 제공하는 글라스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샴페인 글라스(Champagne Glass)
  2. 칵테일 글라스(Cocktail Glass)
  3. 하이볼 글라스(High-ball Glass)
  4. 온드락 글라스(On the Rock Glass)
(정답률: 60%)
  • 맨하탄 칵테일은 스트레이너를 사용하여 얇은 얼음을 걸러내고, 얇은 스템과 넓은 유리컵으로 서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할 때, 칵테일 글라스가 가장 적합합니다. 샴페인 글라스는 길쭉한 모양으로 얇은 스템이 있지만, 유리컵이 너무 좁아 맨하탄 칵테일을 제대로 담기에는 부적합합니다. 하이볼 글라스와 온드락 글라스는 맨하탄 칵테일에는 너무 크거나 작아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삼각형 컵이 등을 맞대고 있으며, 바에서 칵테일 조주시 술이나 쥬스, 부재료 등의 용량을 재는 기구는?

  1. 바스푼(Bar spoon)
  2. 머들러(Muddler)
  3. 스트레이너(Strainer)
  4. 지거(Jigger)
(정답률: 87%)
  • 지거(Jigger)는 바에서 칵테일을 만들 때 용량을 재는 기구로,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삼각형 컵이 등을 맞대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바스푼(Bar spoon), 머들러(Muddler), 스트레이너(Strainer)는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되는 도구이지만, 용량을 재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진(Gin)베이스로 들어가는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Gin Fizz
  2. Screw Driver
  3. Dry Martini
  4. Gibson
(정답률: 63%)
  • "Screw Driver"는 진(Gin)이 아닌 보드카(Vodka)를 베이스로 하는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Onion 장식을 하는 칵테일은?

  1. 마가리타(Margarita)
  2. 마티니(Martini)
  3. 로브로이(Rob Roy)
  4. 깁슨(Gibson)
(정답률: 85%)
  • 깁슨은 마티니와 유사한 칵테일이지만, 양파 조각으로 장식이 되어있다는 점에서 구별됩니다. 따라서 Onion 장식을 하는 칵테일은 깁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꼬냑의 등급 중에서 최고품은?

  1. V.S.O.P
  2. Napoleon
  3. X.O
  4. Extra
(정답률: 69%)
  • 꼬냑의 등급 중에서 최고품은 "Extra" 입니다. 이는 꼬냑의 최상위 등급으로, 최소 6년 이상 숙성된 블렌딩 된 브랜디를 의미합니다. 다른 등급들은 V.S.O.P가 4년, Napoleon이 6년, X.O가 10년 이상 숙성된 블렌딩 된 브랜디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Extra가 가장 오랫동안 숙성되어 가장 고품질의 꼬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리큐르(Liqueur) 중 그 용도가 다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드람뷔이(Drambuie)
  2. 갈리아노(Galliano)
  3. 시나(Cynar)
  4. 꼬인트루(Cointreau)
(정답률: 9%)
  • 정답인 드람뷔이(Drambuie)는 스코틀랜드에서 만들어진 허브 향이 강한 위스키 베이스의 리큐르로, 갈리아노(Galliano), 시나(Cynar), 꼬인트루(Cointreau)는 각각 이탈리아, 이탈리아, 프랑스에서 만들어진 리큐르로 그 용도가 다르다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칵테일 장식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어떻게 장식해야 하는 것은 일정한 규정에 따라야 하므로 조주원의 개성을 표현하지 않는다.
  2. 잘 알려진 칵테일에는 표준 레시피에 어떤 장식을 하라는 지시가 나와 있다.
  3. 재료의 배합비율이 같아도 장식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는 것도 있다.
  4. 신선한 재료를 청결한 칼로 예쁘게 썰어 칵테일의 분위기를 살린다.
(정답률: 82%)
  • 정답은 "어떻게 장식해야 하는 것은 일정한 규정에 따라야 하므로 조주원의 개성을 표현하지 않는다."입니다. 이유는 칵테일 장식에도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일정한 규정에 따라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모두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어떤 위스키에 대한 설명인가?

  1. 스카치 위스키(Scotch Whisky)
  2. 버번 위스키(Bourbon Whisky)
  3. 아이리쉬 위스키(Irish Whisky)
  4. 카나디언 위스키(Canadian Whisky)
(정답률: 77%)
  • 위 이미지는 버번 위스키(Bourbon Whisky)의 라벨이다. 버번 위스키는 미국 켄터키주에서 생산되는 위스키로, 곡물 중에서도 옥수수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또한, 적어도 51% 이상의 옥수수를 사용하여 증류한 후, 새로운 참나무 통에서 최소 2년 이상 숙성시켜 만들어진다. 이러한 특징들이 버번 위스키를 다른 위스키와 구분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재고 관리상 쓰이는 F.I.F.O란 용어의 뜻은?

  1. 정기 구입
  2. 선입 선출
  3. 임의 불출
  4. 후입 선출
(정답률: 94%)
  • F.I.F.O는 "First In, First Out"의 약어로, 먼저 들어온 것을 먼저 내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선입 선출"이라는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캔에 들은 쥬스를 사용하고 남았다. 가장 적당한 취급관리 방법은?

  1. 캔에 남은 채로 냉장고에 보관한다.
  2. 캔에 남은 것은 8℃의 냉장고에 보관한다.
  3. 캔에 남은 것은 다른 병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한다.
  4. 캔에 남은 것은 다른 스테인리스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한다.
(정답률: 62%)
  • 캔에 남은 쥬스는 살균 처리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빠르게 변질되고 불쾌한 냄새와 맛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병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여 쥬스의 신선도와 맛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취급관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칵테일 조주시 레몬이나 오렌지 등으로 즙으로 짤 때 사용하는 기구는?

  1. 스퀴저(Squeezer)
  2. 머들러(Muddler)
  3. 쉐이커(Shaker)
  4. 스트레이너(Strainer)
(정답률: 92%)
  • 스퀴저는 과일이나 채소 등을 짜서 즙을 내는 기구로, 레몬이나 오렌지 등의 과일을 즙으로 짤 때 사용합니다. 스퀴저는 손잡이를 잡고 과일을 삽입한 후 압력을 가해 즙을 짜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칵테일을 만들 때 레몬이나 오렌지 등의 과일 즙을 사용할 때 스퀴저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럼(Rum)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사탕수수를 압착하여 액을 얻는다.
  2. 헤비럼(Heavy-rum)은 감미가 높다.
  3. 효모(Yeast)를 첨가하여 만든다.
  4. 감자로 만든 증류주이다.
(정답률: 81%)
  • 감자로 만든 증류주이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럼은 사탕수수를 압착하여 얻은 액을 발효시켜 만든 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혼성주에 대한 설명으로 오렌지 껍질을 원료로 만들어지는 술의 이름은?

  1. 깔루아(Kahlua)
  2. 크림 드 카카오(Cream de Cacao)
  3. 큐라소(Curacao)
  4. 드람뷔이(Drambuie)
(정답률: 67%)
  • 오렌지 껍질을 원료로 만들어지는 술은 큐라소(Curacao)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오렌지 껍질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재료들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혼성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바(Bar)영업에 있어 필요치 않는 것은?

  1. 냉장시설과 제빙시설
  2. 술 저장 창고
  3. 작업공간
  4. 린넨 창고
(정답률: 89%)
  • 린넨 창고는 바 영업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린넨은 주로 호텔,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는 수건, 시트, 쿠션 커버 등의 섬유 제품을 말하며, 바에서는 이와 같은 물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 영업에 있어서는 린넨 창고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 냉장시설과 제빙시설, 술 저장 창고, 작업공간은 바 영업에 필수적인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칵테일의 기본 기법이 아닌 것은?

  1. 직접 넣기(Building)
  2. 휘젓기(Stirring)
  3. 띄우기(Floating)
  4. 플래어(Flair)
(정답률: 77%)
  • 플래어(Flair)는 칵테일을 만들기 위한 기본 기법이 아니라, 칵테일을 장식하거나 공연적인 요소로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칵테일을 만들기 위한 기본 기법으로는 직접 넣기(Building), 휘젓기(Stirring), 띄우기(Floating)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장(Bar)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술을 중심으로 한 음료 판매가 가능한 일정시설을 갖추어 판매 하는 공간
  2. 고객과 바텐더 사이에 놓인 널판을 의미
  3. 프런트 바에서 주문과 서브가 이루어지는 고객들의 이용 장소
  4. 조리 가능한 시설을 갖추어 음료와 식사를 제공하는 장소
(정답률: 76%)
  • 주장(Bar)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것은 "조리 가능한 시설을 갖추어 음료와 식사를 제공하는 장소" 입니다. 이는 레스토랑이나 카페와 같은 음식점을 의미합니다. 주장(Bar)은 술과 음료를 판매하는 공간으로, 음식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음료 중 서비스 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백 포도주
  2. 보드카
  3. 위스키
  4. 브랜디
(정답률: 13%)
  • 보드카는 일반적으로 서비스 온도가 0~4도로 매우 낮습니다. 다른 음료들은 보통 더 높은 온도에서 서비스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포도주(Wine)의 분류 중 색에 따른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레드 와인(Red Wine)
  2. 화이트 와인(White Wine)
  3. 블루 와인(Blue Wine)
  4. 로제 와인(Rose Wine)
(정답률: 86%)
  • 블루 와인은 실제로는 와인이 아니라 청량음료에 가깝습니다. 와인은 포도를 발효시켜 만든 술이지만, 블루 와인은 인공적으로 첨가된 색소와 천연 향료로 만들어진 청량음료입니다. 따라서 와인의 분류 중 색에 따른 분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위스키(Whisky)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생명의 물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보리, 밀, 옥수수 등의 곡류가 주원료이다.
  3. 주정을 이용한 혼성주이다.
  4. 원료 및 제법에 의하여 몰트 위스키, 그레인 위스키, 블렌디드 위스키로 분류한다.
(정답률: 88%)
  • "주정을 이용한 혼성주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위스키는 주정이 아닌 곡류를 발효시켜 얻은 맥주를 증류하여 만든 술입니다. 따라서 "주정을 이용한"이라는 표현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와인 병을 눕혀서 보관하는 가장 적당한 이유는?

  1. 숙성이 잘 되게 하기 위해서
  2. 침전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3. 맛과 멋을 내기 위해서
  4. 색과 향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답률: 70%)
  • 와인 병을 눕혀서 보관하는 이유는 "색과 향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와인 안에 있는 침전물이 병의 벽면에 닿아서 산화되거나,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인 병을 눕혀서 보관합니다. 이렇게 하면 와인 안에 있는 침전물이 병의 벽면에 닿지 않아서 와인의 맛과 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주시 필요한 쉐이커(Shaker)의 3대 구성 요소의 명칭이 아닌 것은?

  1. 믹싱(Mixing)
  2. 보디(Body)
  3. 스트레이너(Strainer)
  4. 캡(Cap)
(정답률: 60%)
  • 믹싱은 쉐이커에 들어있는 재료들을 섞는 과정을 뜻합니다. 쉐이커의 구성 요소 중에서는 보디, 스트레이너, 캡이 각각 쉐이커의 몸체, 걸러내는 기능을 하는 부분, 뚜껑과 같은 역할을 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믹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와인의 빈티지(Vintage)이란?

  1. 숙성기간
  2. 발효기간
  3. 포도의 수확년도
  4. 효모의 배합
(정답률: 81%)
  • 와인의 빈티지는 포도의 수확년도를 의미합니다. 와인은 포도를 발효시켜 만들어지는데, 포도의 수확년도에 따라 포도의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빈티지는 와인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와인을 선택할 때 집중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가격, 종류, 숙성년도, 병의 크기
  2. 산지, 수확년도, 브랜드명, 요리와의 조화
  3. 제조회사, 가격, 장소, 발효기간
  4. 브랜드명, 병의 색깔, 가격, 와인 색깔
(정답률: 86%)
  • 산지는 와인의 특성과 맛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려해야 하며, 수확년도는 와인의 숙성 상태와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브랜드명은 와인의 품질과 이미지를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요리와의 조화는 와인과 음식의 맛을 더욱 즐길 수 있도록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들이 가장 적당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Wine Steward의 주임무는?

  1. 와인 구매
  2. 와인 판매
  3. 와인 관리
  4. 와인 검수
(정답률: 29%)
  • Wine Steward는 고객에게 와인을 추천하고 판매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와인 판매"가 주요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코스터(Coaster)의 용도는?

  1. 잔 닦는 용
  2. 잔 받침대 용
  3. 남은 술 보관용
  4. 병마개 따는 용
(정답률: 93%)
  • 코스터는 잔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는 잔을 받침대에 올려놓아 물방울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코스터의 용도는 "잔 받침대 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바텐더가 지켜야 할 바(Bar)에서의 예의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정중하게 손님을 환대하여 고객이 기분이 좋도록 Lip Service를 한다.
  2. 자주 오시는 손님에게는 오랜 시간 이야기 한다.
  3. Second order를 하도록 적극적으로 강요한다.
  4. 고가의 품목을 적극 추천하여 손님의 입장보다 매출에 많은 신경을 쓴다.
(정답률: 66%)
  • 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바텐더는 정중하게 손님을 환대하여 고객이 기분이 좋도록 Lip Service를 해야합니다. 이는 고객과의 관계를 좋게 유지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주 오시는 손님에게는 오랜 시간 이야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손님들의 서비스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타이밍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Second order를 강요하거나 고가의 품목을 적극 추천하는 것은 고객의 입장보다 매출에 더 많은 신경을 쓰는 것으로, 고객의 불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설탕 후로스팅(Sugar frosting)할 때 준비해야 하는 것은?

  1. 레몬(Lemon)
  2. 오렌지(Orange)
  3. 얼음(Ice)
  4. 꿀(Honey)
(정답률: 40%)
  • 설탕 후로스팅에는 레몬 주스가 필요합니다. 레몬 주스는 설탕을 녹이는 데 도움을 주고, 달콤한 맛에 산미를 더해줍니다. 또한, 레몬 주스는 후로스팅의 색을 밝게 만들어주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디켄더(Decanter)와 가장 관계있는 것은?

  1. Red Wine
  2. White Wine
  3. Champagne
  4. Sherry Wine
(정답률: 64%)
  • 디켄더는 와인을 분리하고 숙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입니다. 이 중에서도 레드 와인은 디켄더를 통해 숙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디켄더를 사용하여 레드 와인을 분리하면 와인의 색상, 향, 맛이 더욱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켄더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레드 와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다음 ( ) 안에 적당한 말은?

  1. against
  2. to
  3. from
  4. for
(정답률: 76%)
  • 이미지에서는 "CBT Bank for you"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for"는 이 문구에서 "당신을 위한 CBT 은행"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칵테일을 만들 때 「Would you like it dry?」에서 dry의 뜻은?

  1. not wet
  2. sweet
  3. not sweet
  4. wet
(정답률: 90%)
  • Dry는 "건조한"이라는 뜻이 있지만, 칵테일에서는 "not sweet" 즉, 달지 않은 것을 의미합니다. 칵테일에서 들어가는 당도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전치사 중에서 ( )안에 알맞은 것은?

  1. in
  2. on
  3. of
  4. for
(정답률: 44%)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이 바로 "calendar" 이므로, "on" 이 적절한 전치사입니다. "in" 은 일정한 기간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of" 는 소유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for" 는 시간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on" 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What is the negative characteristic in taste and finish of wine?

  1. flat
  2. full-bodied
  3. elegant
  4. pleasant
(정답률: 50%)
  • "Flat" is the negative characteristic in taste and finish of wine because it means the wine lacks acidity and has a dull, lifeless taste. It can also refer to a wine that has lost its carbonation or effervescenc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 )안에 들어갈 적당한 말은?

  1. imported
  2. international
  3. export
  4. external
(정답률: 31%)
  • 이미지에서 보이는 제품이 해외에서 수입된 제품이기 때문에 "imported"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Which one is made with rum, strawberry liqueur, lime juice, grenadin syrup?

  1. strawberry daiquiri
  2. strawberry comfort
  3. strawberry colada
  4. strawberry kiss
(정답률: 26%)
  • The cocktail made with rum, strawberry liqueur, lime juice, and grenadine syrup is the "strawberry daiquiri" because it is a classic cocktail recipe that includes these ingredient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Which one is the cocktail containing "Midori"?

  1. Cacao fizz
  2. June bug
  3. Rusty nail
  4. Blue note
(정답률: 61%)
  • "June bug" is the cocktail containing "Midori" because Midori is a bright green melon liqueur and "June bug" is a sweet and fruity cocktail that typically includes Midori as one of its ingredient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B에 알맞은 대답은?

  1. I'm writing a letter to my mother
  2. I can't decide
  3. I work at bank
  4. Yes, thank you
(정답률: 50%)
  • B에서는 "What do you do for a living?" 라는 질문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I work at bank"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유는 직업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I work at bank"은 직업을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직업과는 관련이 없거나, 직업을 밝히지 않는 답변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Which cocktail name means "Freedom"?

  1. God mother
  2. Cuba libre
  3. God father
  4. French kiss
(정답률: 75%)
  • "Cuba libre" means "free Cuba" in Spanish, which refers to the country's independence from Spain. The cocktail was created in honor of this event, hence the name "Cuba libre" meaning "freedo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 )안에 들어갈 가장 적당한 표현은?

  1. asked
  2. will ask
  3. ask
  4. be ask
(정답률: 50%)
  • 이미 문장이 과거시제로 되어 있으므로 "asked"와 "will ask"는 제외됩니다. "be ask"는 문법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ask"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