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01)

조주기능사
(200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영국에서 발명한 무색투명한 음료로서 키니네가 함유된 청량음료는?

  1. Cider
  2. Cola
  3. Tonic Water
  4. Soda Water
(정답률: 77%)
  • 키니네가 함유된 청량음료는 Tonic Wa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미국산 위스키(Whisky)의 86Proof를 우리나라 도수로 변환하면 얼마인가?

  1. 40도
  2. 41도
  3. 42도
  4. 43도
(정답률: 81%)
  • 미국산 위스키의 도수는 Proof와 ABV(알코올 부피 비율)로 표시됩니다. 86Proof는 ABV 43%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86Proof의 미국산 위스키는 우리나라에서는 43도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샴페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샴페인은 포말성(Sparkling)와인의 일종이다.
  2. 샴페인 원료는 피노 느와, 피노 뫼니에, 샤르도네이다.
  3. 동 페리뇽(Dom Peringon)에 의해 만들어졌다.
  4. 샴페인 산지인 샹파뉴 지방은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정답률: 67%)
  • 정답은 "샴페인 산지인 샹파뉴 지방은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하고 있다."입니다. 이유는 샴페인 산지인 샹파뉴 지방은 프랑스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연속식 증류(Patent still Whisky)법으로 증류하는 위스키는?

  1. 아이리쉬 위스키(Irish Whisky)
  2. 블랜디드 위스키(Blended Whisky)
  3. 몰트 위스키(Malt Whisky)
  4. 그레인 위스키(Grain Whisky)
(정답률: 42%)
  • 연속식 증류법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그레인 위스키는 대부분 증류 과정에서 사용되는 곡물 중 하나인 쌀, 옥수수, 보리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레인 위스키는 연속식 증류법으로 증류하는 위스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Martini에 가장 기본적인 장식 재료는?

  1. 체리(Cherry)
  2. 올리브(Olive)
  3. 오렌지(Orange)
  4. 자두(Plum)
(정답률: 84%)
  • Martini의 가장 기본적인 장식 재료는 올리브입니다. 이는 Martini의 원래 레시피에 올리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올리브는 Martini의 맛과 향을 더해주는데, 체리나 오렌지, 자두 등의 다른 장식 재료는 Martini와 어울리지 않는 맛을 더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Rob Roy를 조주할 때는 일반적으로 어떤 술을 사용하는가?

  1. Rye Whisky
  2. Bourbon Whisky
  3. Canadian Whisky
  4. Scotch Whisky
(정답률: 42%)
  • Rob Roy는 스카치 위스키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정답은 "Scotch Whisky"입니다. 이는 Rob Roy가 스코틀랜드 출신의 유명한 전사인 로브 로이(Rob Roy)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된 스카치 위스키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클라렛(Claret)이란 다음 중 어떤 와인의 종류인가?

  1. 적포도주(Red Wine)
  2. 백포도주(White Wine)
  3. 담색포도주(Rose Wine)
  4. 황색포도주(Yellow Wine)
(정답률: 75%)
  • 클라렛은 적포도주(Red Wine)의 일종으로, 머루와 블랙커런트 등의 과일 향과 탄닌감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1쿼터(quart)는 몇 온스(Ounce)를 말하는가?

  1. 1온스
  2. 16온스
  3. 32온스
  4. 38.4온스
(정답률: 75%)
  • 1쿼터는 4컵(cup)이며, 1컵은 8온스이므로 1쿼터는 4 x 8 = 32온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멕시코산 증류주는?

  1. Cognac
  2. Johnnie walker
  3. Tequila
  4. Cutty Sark
(정답률: 95%)
  • Tequila는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증류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프랑스의 브랜디,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브랜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커피는 음료의 어느 부문에 속하는 음료인가?

  1. 알콜성 음료
  2. 기호 음료
  3. 영양 음료
  4. 청량 음료
(정답률: 91%)
  • 커피는 기호 음료에 속합니다. 기호 음료란, 맛이나 향이 좋아서 마시는 음료를 말합니다. 커피는 쓴 맛과 향이 좋아서 사람들이 즐겨 마시는 음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커피는 기호 음료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반적으로 Bourbon Whisky를 주조할 때 약 몇 %의 어떠한 곡물이 사용되는가?

  1. 50% 이상의 호밀
  2. 40% 이상의 감자
  3. 50% 이상의 옥수수
  4. 40% 이상의 보리
(정답률: 68%)
  • Bourbon Whisky는 미국 법률에서 옥수수가 최소 50% 이상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Bourbon Whisky가 미국의 대표적인 작물인 옥수수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50% 이상의 옥수수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장식으로 양파(Cocktail onion)가 필요한 것은?

  1. 마티니(Martini)
  2. 깁슨(Gibson)
  3. 좀비(Zombie)
  4. 다이쿼리(Daiquiri)
(정답률: 91%)
  • 깁슨은 마티니와 비슷한 칵테일이지만, 양파 한 조각이 장식으로 들어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양파가 필요한 것은 깁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Pina Colada를 만들 때 재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파인애플 쥬스
  2. 코코넛 밀크
  3. 레몬 쥬스
(정답률: 49%)
  • Pina Colada는 레몬 쥬스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파인애플 쥬스, 코코넛 밀크, 그리고 럼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레몬 쥬스"가 가장 거리가 먼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스팅거(Stinger)를 제공하는 유리잔(Glass)의 종류는?

  1. 하이볼(High ball) 글라스
  2. 칵테일(Cocktail) 글라스
  3. 올드 패션드(Old-Fashioned) 글라스
  4. 사워(Sour) 글라스
(정답률: 60%)
  • 스팅거(Stinger)는 주로 강한 알코올 기반의 칵테일로, 작은 양의 높은 알코올 도수의 브랜디나 위스키 등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특성상, 스팅거를 제공하는 유리잔은 얇고 작은 크기의 칵테일 글라스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칵테일(Cocktail) 글라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바에서 사용하는 기구로 술병에 꽂아 소량으로 일정하게 나오게 하는 기구는 무엇인가?

  1. Pourer
  2. Muddler
  3. Corkscrew
  4. Squeezer
(정답률: 86%)
  • Pourer는 바에서 사용하는 기구 중 술병에 꽂아 소량으로 일정하게 나오게 하는 기구이기 때문입니다. Muddler는 칵테일을 만들 때 재료를 으깨는 기구, Corkscrew는 와인병의 캡슐을 제거하고 캡을 열어주는 기구, Squeezer는 과일이나 채소를 갈아서 주스를 내는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물건을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1. Dispenser
  2. Trolley
  3. Ice Box
  4. Decanter
(정답률: 78%)
  • "Trolley"는 물건을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이동식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건을 보관하거나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것들이지만, "Trolley"는 물건을 이동시키는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에서 설명되는 약용주는 무엇인가?

  1. 두견주
  2. 송순주
  3. 문배주
  4. 백세주
(정답률: 63%)
  • 위의 그림은 두견주의 이미지이다. 따라서 정답은 "두견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곡물(Grain)을 원료로 만든 무색투명한 증류주에 두송자(Juniper berry)의 향을 착미시킨 술은?

  1. 데낄라(Tequila)
  2. 럼(Rum)
  3. 보드카(Vodka)
  4. 진(Gin)
(정답률: 84%)
  • 두송자는 진의 주 재료 중 하나이며, 증류주에 두송자의 향을 더해 만든 술이 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독일 포도주의 최상급 표시는?

  1. AOC
  2. VDQS
  3. Varietal Wine
  4. Qmp
(정답률: 54%)
  • 독일 포도주의 최상급 표시는 "Qmp"입니다. 이는 "Qualitätswein mit Prädikat"의 약자로, 고품질의 와인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프랑스의 와인 분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이거나, 특정 포도 품종으로 만든 와인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일반적으로 서빙온도가 가장 높아야 하는 것은?

  1. 소다수
  2. 적포도주
  3. 백포도주
  4. 맥주
(정답률: 75%)
  • 적포도주는 일반적으로 서빙온도가 가장 높아야 합니다. 이는 적포도주가 높은 알코올 도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높은 온도에서 마시면 알코올이 빨리 증발하여 맛과 향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적포도주는 서빙온도가 낮으면 맛과 향이 더욱 강해집니다. 따라서 적포도주는 일반적으로 16~18도 정도의 서빙온도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칵테일(Cocktail) 중 글라스(Glass) 가장자리에 소금으로 프로스트(Frost)하여 내용물을 담는 것은?

  1. Million Dollar
  2. Cuba Libre
  3. Grasshopper
  4. Margarita
(정답률: 75%)
  • Margarita는 글라스 가장자리에 소금으로 프로스트하여 내용물을 담는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백포도주는 주로 어느 식사에 많이 제공되는가?

  1. 육류
  2. 생선류
  3. 과일류
  4. 후식류
(정답률: 77%)
  • 백포도주는 생선류와 잘 어울리기 때문에 주로 생선 요리와 함께 제공됩니다. 백포도주는 가벼운 맛과 산미가 있어서 생선의 싱그러운 맛과 잘 어울리며, 생선 요리의 기름기를 잘 흡수하여 입맛을 돋구기도 합니다. 따라서 백포도주는 주로 생선 요리와 함께 즐겨지는 음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칵테일 조주시 재료의 비중을 이용해서 섞이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1. Blend 기법
  2. Build 기법
  3. Stir 기법
  4. Float 기법
(정답률: 69%)
  • Float 기법은 칵테일 조주시 재료의 비중을 이용해서 섞이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높은 알코올 도수의 재료를 가벼운 재료 위에 부드럽게 떠 놓는 것으로, 칵테일의 층을 만들어내는 효과를 줍니다. 따라서 각 재료의 맛과 향을 더욱 선명하게 살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에서 설명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술은?

  1. 두견주
  2. 인삼주
  3. 감홍로주
  4. 경주교동법주
(정답률: 73%)
  • 보기 중에서 "경주교동법주"는 경주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고유한 술로, 국내 최초의 도가 지정된 전통주입니다. "두견주"는 두릅과 검은콩을 사용해 만든 술, "인삼주"는 인삼을 첨가한 술, "감홍로주"는 감을 사용해 만든 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증류주로 만든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Manhattan
  2. Rusty Nail
  3. Irish Coffee
  4. Grasshopper
(정답률: 58%)
  • Grasshopper는 증류주가 아닌 크림 데 코라소와 민트 초콜릿 리큐르, 화이트 초콜릿 리큐르로 만들어진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브랜디(Brandy) 숙성도의 고급화 순서가 옮은 것은?

  1. 3Star - V.S.O - V.S.O.P - X.O
  2. 3Star - V.S.O.P - V.S.O - X.O
  3. 3Star - X.O - V.S.O - V.S.O.P
  4. 3Star - V.S.O - X.O - V.S.O.P
(정답률: 63%)
  • 브랜디의 숙성도는 일반적으로 3Star, V.S.O, V.S.O.P, X.O 순으로 고급화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Star - V.S.O - V.S.O.P - X.O"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하면 발효 맥주에 해당 되는 것은?

  1. Stout Beer
  2. Porter Beer
  3. Pilsen
  4. Ale Beer
(정답률: 42%)
  • 정답은 "Pilsen"입니다. Pilsen은 체코의 도시 이름이며, 체코에서 처음 만들어진 발효 맥주 스타일인 Pilsner의 원산지입니다. Pilsner는 밝은 색상과 깨끗한 맛이 특징이며, 하이라이트와 같은 라이트 라거 맥주의 대표적인 스타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칵테일 중 Snow Style기법의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Margarita
  2. Irish Coffee
  3. Kiss of Fire
  4. Mai-Tai
(정답률: 40%)
  • 정답: Mai-Tai

    설명: Snow Style기법은 얼음을 미세하게 갈아서 만든 눈과 같은 얼음을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Margarita, Irish Coffee, Kiss of Fire는 모두 Snow Style기법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칵테일입니다. 하지만 Mai-Tai는 Snow Style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만들어지는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스틸와인(Still Wine)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발포성 와인
  2. 식사 전 와인
  3. 비발포성 와인
  4. 식사 후 와인
(정답률: 67%)
  • 스틸와인은 탄산이 없는 와인으로, 즉 발포성이 없는 와인입니다. 따라서 "비발포성 와인"이라는 답이 맞습니다. 이 와인은 주로 식사 중에 마시는 것이 아니라, 식사 전이나 후에 마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리큐르(Liqueur)의 제조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블렌딩법(Blending)
  2. 침출법(Infusion)
  3. 증류법(Distillation)
  4. 에센스법(Essence process)
(정답률: 53%)
  • 리큐르는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하여 만드는 술입니다. 이 때 블렌딩법은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리큐르를 섞어서 새로운 맛과 향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제조법들과는 달리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다른 제조법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와인의 빈티지(Vintage)가 의미하는 것은?

  1. 포도주의 판매 유효 연도
  2. 포도의 수확 년도
  3. 포도의 품종
  4. 포도주의 도수
(정답률: 93%)
  • 와인의 빈티지는 포도의 수확 년도를 의미합니다. 와인은 포도를 발효시켜 만들어지는데, 포도의 수확 년도에 따라 포도의 성숙도와 품질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빈티지는 해당 와인이 언제 수확된 포도로 만들어졌는지를 나타내며, 와인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생맥주(Draft Beer)취급의 필수적인 요건이 아닌 것은?

  1. 냉장시설의 적정온도 유지
  2. 술통 속 맥주의 정확한 압력
  3. 쾌적한 실내 장식과 판매카운터
  4. 선입선출에 의한 재고 순환
(정답률: 84%)
  • 생맥주(Draft Beer)의 취급에 있어서 쾌적한 실내 장식과 판매카운터는 필수적인 요건이 아닙니다. 이는 맥주의 품질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냉장시설의 적정온도 유지, 술통 속 맥주의 정확한 압력, 그리고 선입선출에 의한 재고 순환 등이 더 중요한 요건으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바텐더가 해야 할 업무가 아닌 것은?

  1. 표준 레시피에 의한 정량 조주를 해야 한다.
  2. 용모가 단정하고 예의 바른 매너를 지켜야 한다.
  3. 제공된 음료는 정확히 전표를 발행해야 한다.
  4. 매출 관리 및 인원 관리 등 업장을 전반적으로 책임진다.
(정답률: 88%)
  • 매출 관리 및 인원 관리 등 업장을 전반적으로 책임진다는 것은 바텐더가 매장 운영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바텐더가 해야 할 업무 중 매출 관리 및 인원 관리 등 업장 전반적인 책임은 포함되지만, 표준 레시피에 의한 정량 조주, 용모가 단정하고 예의 바른 매너를 지키기, 제공된 음료는 정확히 전표를 발행하기 등은 바텐더가 반드시 해야 할 업무입니다. 따라서, "매출 관리 및 인원 관리 등 업장을 전반적으로 책임진다."가 아닌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Canadian Whisky가 아닌 것은?

  1. Canadian Club
  2. Seagram's V.O
  3. Seagram's 7 Crown
  4. Crown Royal
(정답률: 28%)
  • Seagram's 7 Crown은 미국에서 생산되는 위스키이기 때문에 Canadian Whisky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맥주 제조 과정에서 비살균 상태로 저장 되는 맥주는?

  1. Black Beer
  2. Draft Beer
  3. Porter Beer
  4. Lager Beer
(정답률: 72%)
  • Draft Beer는 생맥주로, 제조 후 바로 소비되는 맥주입니다. 맥주 제조 과정에서 필터링 과정을 거치지 않아 맥주의 맛과 향이 그대로 유지되며, 살균 처리를 하지 않아 맥주의 맛과 향이 더욱 풍부합니다. 따라서, 비살균 상태로 저장되는 맥주는 Draft Be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와인(Wine)을 오픈(Open)할 때 사용하는 기물로 적당한 것은?

  1. Cork Screw
  2. White Napkin
  3. Ice Tong
  4. Wine Basket
(정답률: 96%)
  • 와인병의 캡(뚜껑)은 코르크(Cork)로 되어 있기 때문에, 코르크를 뽑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가 코르크 스크류(Cork Scre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주류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는?

  1. Jigger Glass
  2. Mixing Glass
  3. Straw
  4. Decanter
(정답률: 88%)
  • 주류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는 Jigger Glass입니다. Jigger Glass는 일반적으로 1온스와 1.5온스의 두 가지 용량을 가지고 있어서, 칵테일 제조에 많이 사용됩니다. Mixing Glass는 주류를 섞는 용도로 사용되며, Straw는 음료를 마시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Decanter는 주류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Port Wine을 옳게 표현한 것은?

  1. 항구에서 막노동을 하는 선원들이 즐겨 찾는 적포도주
  2. 적포도주의 총칭
  3. 스페인에서 생산 되는 식탁용 드라이(Dry)포도주
  4. 포르투갈에서 생산되는 감미(Sweet)포도주
(정답률: 62%)
  • Port Wine은 포르투갈에서 생산되는 포도주로, 감미(Sweet)한 맛이 특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구에서 즐겨 마시는 것이나 총칭이거나 다른 나라에서 생산되는 포도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효과적인 와인 보관요령 중 틀린 것은?

  1. 햇볕을 피해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2. 코르크 마개는 촉촉한 상태로 보관한다.
  3. 외부의 공기가 병 속에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4. 장기간 보관할 때는 세워서 보관한다.
(정답률: 90%)
  • 정답: "장기간 보관할 때는 세워서 보관한다."

    설명: 와인 병 안에 있는 코르크 마개는 와인의 산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장기간 보관할 때는 코르크 마개가 마른 상태에서 와인 병 안에 눌러붙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와인 병을 세워서 보관하면 코르크 마개가 마른 상태에서 와인에 노출되는 면적이 줄어들어 산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간 보관할 때는 세워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바(Bar)기물이 아닌 것은?

  1. Stirer
  2. Shaker
  3. Bar Table Cloth
  4. Jigger
(정답률: 74%)
  • "Bar Table Cloth"는 바에서 사용되는 도구나 기구가 아니라, 단지 바 테이블에 놓이는 천으로서 바의 분위기나 느낌을 연출하기 위한 장식품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반면, "Stirer", "Shaker", "Jigger"는 모두 바에서 칵테일을 만들거나 주류를 섞는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나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브랜디 글라스(Brandy Glas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튤립형의 글라스이다.
  2. 향이 잔속에서 휘감기는 특징이 있다.
  3. 글라스를 예열하여 따뜻한 상태로 사용한다.
  4. 브랜디는 글라스에 가득 채워 따른다.
(정답률: 88%)
  • "브랜디는 글라스에 가득 채워 따른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브랜디는 고농도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글라스에 가득 채워 따르면 브랜디의 향과 맛을 최대한 즐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브랜디는 글라스에 가득 채워 따른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ognac의 숙성년도를 표시하는 X.O는 몇 년 정도를 나타내는가?

  1. 5~6년
  2. 10~20년
  3. 40~45년
  4. 75년 이상
(정답률: 47%)
  • X.O는 "Extra Old"의 약자로, 최소 40년 이상 숙성된 Cognac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40~45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Par Stock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식음료 재료 저장
  2. 식음료 예비 저장
  3. 영업에 필요한 적정 재고량
  4. 영업 후 남아 저장하여야 할 상품
(정답률: 79%)
  • Par Stock은 영업에 필요한 적정 재고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재고량을 말하며, 이를 유지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식음료 재료 저장, 예비 저장, 영업 후 남아 저장하여야 할 상품 등과 같이 Par Stock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블러디 메리(Bloody Mary)에 주로 사용되는 쥬스는?

  1. 토마토 쥬스
  2. 오렌지 쥬스
  3. 파인애플 쥬스
  4. 라임 쥬스
(정답률: 80%)
  • 블러디 메리는 토마토 쥬스를 기본 베이스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토마토 쥬스는 블러디 메리의 색깔과 맛을 형성하는 중요한 재료이며, 블러디 메리를 만들 때 다른 쥬스를 사용하면 맛이 달라지기 때문에 토마토 쥬스가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칵테일 글라스(Cocktail Glass)의 3대 명칭이 아닌 것은?

  1. 베이스(Base)
  2. 스템(Stem)
  3. 보울(Bowl)
  4. 캡(Cap)
(정답률: 82%)
  • 칵테일 글라스는 베이스, 스템, 보울로 구성되어 있으며, 캡은 해당 글라스에 포함되지 않는 요소입니다. 캡은 일반적으로 병의 뚜껑이나 뚜껑 모양의 덮개를 의미하며, 칵테일 글라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바텐더 보조(Bar helper)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바에서 필요한 모든 물품을 창고로부터 수령한다.
  2. 장식에 필요한 과일류를 슬라이스(Slice)하여 준비 한다.
  3. 와인을 주문받고 서브한다.
  4. 글라스 종류를 정리정돈 한다.
(정답률: 50%)
  • 바텐더 보조는 바에서 필요한 모든 물품을 수령하고, 장식에 필요한 과일류를 준비하며, 글라스 종류를 정리정돈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와인을 주문받고 서빙하는 역할은 바텐더의 역할이므로, 바텐더 보조의 역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반적으로 포도주(Wine)저장실의 온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5℃
  2. 6~10℃
  3. 12~15℃
  4. 18~22℃
(정답률: 50%)
  • 포도주는 12~15℃의 온도에서 보관하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너무 차가운 온도에서는 포도주의 향과 맛이 둔해지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포도주가 산화되어 맛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2~15℃의 적정 온도에서 보관하면 포도주의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쉐리와인(Sherry Wine)이 주로 생산되는 나라는?

  1. 스페인
  2. 포르투갈
  3. 스위스
  4. 독일
(정답률: 72%)
  • 쉐리 와인은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정답은 "스페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브랜디 에그넉(Brandy Eggnog)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브랜디
  2. 계란
  3. 설탕
  4. 과일즙
(정답률: 72%)
  • 과일즙은 브랜디 에그넉의 전통적인 재료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브랜디 에그넉은 브랜디, 계란, 설탕, 우유 또는 크림으로 만들어지는 전통적인 크리스마스 음료입니다. 과일즙은 일반적으로 브랜디 에그넉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모든 꼬냑(Cognac)은 브랜디에 속한다.
  2. 모든 브랜디는 꼬냑에 속한다.
  3. 꼬냑지방에서 생산되는 브랜디만이 꼬냑이다.
  4. 꼬냑은 포도를 주재로 한 증류주의 일종이다.
(정답률: 62%)
  • 잘못된 설명은 "꼬냑지방에서 생산되는 브랜디만이 꼬냑이다."입니다. 꼬냑은 프랑스의 꼬냑 지방에서 생산되는 것이지만, 꼭 그 지역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브랜디도 꼬냑이 될 수 있습니다. "모든 브랜디는 꼬냑에 속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꼬냑이 브랜디의 한 종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다음 ( ) 안에 알맞은 단어는?

  1. drink
  2. help
  3. like
  4. does
(정답률: 29%)
  • 이미지에는 사람이 물을 마시려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drink"와 "like"는 동사이지만 이미지에서는 물을 마시는 것이 목적이므로 "drink"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지에는 위급한 상황으로 보이는데, 이때 "help"가 필요한 상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hel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밑줄 친 곳에 알맞은 대화는?

  1. Do you have a table for three?
  2. Pass me the salt, please.
  3. How do you like your steak?
  4. What would you like to have?
(정답률: 81%)
  • 이미 테이블을 예약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Do you have a table for three?"은 적절한 대화가 아닙니다. "Pass me the salt, please."는 식사 중에 사용하는 대화이며, "How do you like your steak?"은 스테이크를 주문할 때 사용하는 대화입니다. 따라서, "What would you like to have?"는 주문을 받을 때 사용하는 대화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 ) 안에 들어갈 적당한 것은?

  1. see
  2. to see
  3. seeing
  4. seen
(정답률: 70%)
  • 이미지에는 "I can't believe what I'm (seeing)" 라는 문장이 적혀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는 현재 진행형을 사용하여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seeing"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문장을 올바르게 해석한 것은?

  1. 전화가 고장 났습니다.
  2. 지금 통화중입니다.
  3. 선이 연결되지 않습니다.
  4. 전화가 잘 들리지 않습니다.
(정답률: 40%)
  • 전화기의 수화기가 들려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어 "전화가 고장 났습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서로 반대말이 아닌 것은?

  1. soft - smooth
  2. light - heavy
  3. west - east
  4. weak - strong
(정답률: 68%)
  • "soft - smooth"은 서로 다른 속성을 나타내는 단어이기 때문에 반대말이 아닙니다. "soft"는 텍스처나 감촉을 나타내는 반면, "smooth"는 표면의 매끄러움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둘은 서로 반대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What is the name of famous Liqueur on scotch basis?

  1. Drambuie
  2. Cointreau
  3. Grand marnier
  4. Curacao
(정답률: 60%)
  • Drambuie is a famous liqueur on scotch basis because it is made from a blend of aged scotch whisky, heather honey, herbs, and spice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보기에서 B 내용으로 적당한 것은?

  1. I like jazz the best.
  2. I guess I'd have to say Elton John.
  3. I don't really like to sing
  4. I like opera music
(정답률: 66%)
  • 보기에서 B 내용으로 적당한 것은 "I guess I'd have to say Elton John."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각자 다른 음악 장르를 좋아한다는 내용이지만, B 보기는 "I'd have to say"라는 표현으로 인해 Elton John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뜻은?

  1. hand some
  2. smart
  3. healthy
  4. young
(정답률: 41%)
  •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사람은 건강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물음에 가장 적당한 것은?

  1. Ballantine's
  2. J&B
  3. Jim Beam
  4. Cutty Sark
(정답률: 52%)
  • 이미지에 보이는 주류는 갈색의 색조를 띄고 있으며, "Jim Beam"은 위의 보기 중 유일한 위스키 브랜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 )안에 들어갈 적당한 것은?

  1. approve
  2. to approve
  3. approval
  4. see
(정답률: 28%)
  • 이미지에서는 "승인"이라는 단어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approval"의 명사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pprova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