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10-05)

조주기능사
(2008-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Ginger al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생강의 향을 함유한 소다수이다.
  2. 알코올 성분이 포함된 영양음료이다.
  3. 식욕증진이나 소화제로 효과가 있다.
  4. Gin이나 Brandy와 조주하여 마시기도 한다.
(정답률: 74%)
  • 알코올 성분이 포함된 영양음료이다. -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Ginger ale은 알코올이 아닌, 생강의 향을 함유한 소다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Gin Fizz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하이볼 글라스를 사용한다.
  2. 기법으로 Shaking과 Building를 병행한다.
  3. 설탕의 신맛과 설탕의 단맛이 난다.
  4. 칵테일 오니언으로 장식한다.
(정답률: 78%)
  • Gin Fizz는 칵테일 오니언으로 장식하지 않습니다. 이는 Gin Fizz의 특징이 아닙니다. Gin Fizz는 하이볼 글라스를 사용하며, Shaking과 Building 기법을 병행합니다. 또한 설탕의 신맛과 단맛이 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단맛」이라는 의미의 프랑스어는?

  1. Tlocken
  2. Blanc
  3. Cru
  4. Doux
(정답률: 75%)
  • 프랑스어 "Doux"는 "단맛"을 의미합니다. "Tlocken"과 "Blanc"는 프랑스어에서 "단맛"과 관련이 없는 단어이며, "Cru"는 "숙성"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hite Russian의 재료는?

  1. Vodka
  2. Dry gin
  3. Old Tom Gin
  4. Cacao
(정답률: 80%)
  • White Russian은 칵테일 중 하나로, Vodka를 기본 재료로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인 Dry gin, Old Tom Gin, Cacao는 White Russian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커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 가공요소가 아닌 것은?

  1. Roasting
  2. Blending
  3. Grinding
  4. Maturating
(정답률: 70%)
  • Maturating은 커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 가공요소가 아닙니다. Maturating은 일부 커피 종류에서 사용되는 과정으로, 커피를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하여 맛과 향을 더욱 개선시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커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 가공요소는 로스팅, 블렌딩, 그라인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흑맥주가 아닌 것은?

  1. Irish Stout Beer
  2. Porter Beer
  3. Dortmunt Beer
  4. Munehen Beer
(정답률: 26%)
  • Dortmunt Beer은 흑맥주가 아니라 골든 에일(Golden A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용어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Clos : 최상급의 원산지 관리 증명 와인
  2. Vintage : 원료 포도의 수확 년도
  3. Fortified Wine : 브랜디를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를 강화한 와인
  4. Riserva : 최저 숙성기간을 초과한 이태리 와인
(정답률: 39%)
  • "Clos"는 와인 생산지에서 특정 지역이나 포도밭을 가리키는 용어로, 최상급의 원산지 관리 증명 와인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Clos"는 일반적으로 고품질의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이나 포도밭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Stinger의 주재료와 부재료로 짝지어진 것은?

  1. Brandy, Mint
  2. Gin, Vermouth
  3. Brandy, Cacao
  4. Whisky, Cream
(정답률: 39%)
  • Stinger는 주재료로 브랜디를 사용하고, 부재료로는 민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Brandy, Min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Fortified Wine이 아닌 것은?

  1. Sherry Wine
  2. Vermouth
  3. Port Wine
  4. Blush Wine
(정답률: 39%)
  • Blush Wine은 Fortified Wine이 아닙니다. Blush Wine은 일반적으로 라이트한 로제와 같은 색상의 와인으로, 포티파이드(강화)되지 않은 일반 와인입니다. Sherry Wine, Vermouth, Port Wine은 모두 강화 와인으로, 강화제(주로 브랜디)가 첨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Terroir의 의미는?

  1. 포도재배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인 환경요소
  2. 영양분이 풍부한 땅
  3. 와인을 저장할 때 영향을 미치는 온도, 습도, 시간의 변화
  4. 물이 잘 빠지는 토양
(정답률: 84%)
  • Terroir는 포도재배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인 환경요소를 의미합니다. 이는 포도나무가 자라는 토양의 특성, 지리적 위치, 기후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와인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Terroir는 와인의 품질과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두송자를 첨가하여 풍미를 나게 하는 술은?

  1. Gin
  2. Rum
  3. Vodka
  4. Tequila
(정답률: 75%)
  • 두송자는 주로 Gin에 첨가되어 향과 맛을 부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장식으로 과일의 껍질만 사용하는 칵테일은?

  1. Moscow Mule
  2. New York
  3. Bronx
  4. Gin Buck
(정답률: 49%)
  • 다른 보기들은 모두 도시 이름을 따온 칵테일이지만, New York 칵테일은 과일의 껍질만 사용하는 장식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와인의 등급을 「AOC, VDQS, Vins De Pays, Vins De Table」로 구분하는 나라는?

  1. 이탈리아
  2. 스페인
  3. 독일
  4. 프랑스
(정답률: 74%)
  • 프랑스는 와인의 등급을 AOC, VDQS, Vins De Pays, Vins De Table로 구분하며, 이는 프랑스의 와인법에 따라 정해진 것입니다. 다른 나라들도 각자의 와인 등급을 가지고 있지만, 프랑스의 등급 분류는 가장 유명하고 규모가 크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민속주 도량형 중 「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곡식이나 액체, 가루 등의 분량을 재는 것이다.
  2. 보통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서 나무나 쇠로 만든다.
  3. 분량(1되)을 부피의 기준으로 하여 2분의 1을 1홉 이라고 한다.
  4. 1되는 약 1.8리터 정도 이다.
(정답률: 74%)
  • 분량(1되)을 부피의 기준으로 하여 2분의 1을 1홉 이라고 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분량(1되)을 무게의 기준으로 하여 2분의 1을 1홉 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분량(1되)을 부피의 기준으로 하여 2분의 1을 1홉 이라고 한다." 입니다.

    분량(1되)은 곡식이나 액체, 가루 등의 양을 재는 단위로, 보통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서 나무나 쇠로 만들어집니다. 1되는 약 1.8리터 정도이며, 이를 무게의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1.2kg 정도입니다. 따라서 분량(1되)을 무게의 기준으로 하여 2분의 1을 1홉 이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칵테일의 제조방법이 잘못된 것은?

  1. Gibson에 사용되는 Onion은 완성된 칵테일에 잠기게 한다.
  2. Pink Lady에 사용되는 Nutmeg 가루는 다른 재료와 함께 Shaking 한다.
  3. Bloody Mary에 사용되는 Pepper는 다른 재료와 함께 Shaking 한다.
  4. Angel's kiss에 사용되는 Red Cherry는 완성된 칵테일 잔 위에 올려놓는다.
(정답률: 61%)
  • Pink Lady 칵테일은 Shaking 방법으로 만들어지는데, Nutmeg 가루는 Shaking 전에 먼저 잔에 올려놓고, 칵테일을 부은 후에 위에 뿌려주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다른 재료와 함께 Shaking 하면 가루가 뭉치지고, 칵테일의 맛과 향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Building 기법으로 만든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Rob Roy
  2. Negroni
  3. Old Fashioned
  4. Kir Royal
(정답률: 52%)
  • "Rob Roy"는 Building 기법으로 만든 칵테일이 아닙니다. "Rob Roy"는 Stirring 기법으로 만든 칵테일로, Scotch Whisky, Sweet Vermouth, Angostura Bitters를 섞어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Straight Wisd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되는 위스키이다.
  2. 버번 위스키, 콘 위스키 등이 이에 속한다.
  3. 원료곡물 중 한 가지를 51% 이상 사용해야 한다.
  4. 오크통에서 2년 이상 숙성시켜야 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되는 위스키이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Straight Wisdy는 미국에서 생산되는 위스키 중 하나로, 버번 위스키, 콘 위스키 등이 이에 속합니다. 또한, Straight Wisdy는 원료곡물 중 한 가지를 51% 이상 사용하고, 오크통에서 2년 이상 숙성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Malt Whisky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대량의 양조주를 연속식으로 증류해서 만든 위스키
  2. 단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2회의 증류과정을 거쳐 만든 위스키
  3. 이탄으로 건조한 맥아의 당액을 발효해서 증류한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4. 옥수수를 원료로 대맥의 맥아를 사용하여 당화시켜 개량 솥으로 증류한 위스키
(정답률: 35%)
  • Malt Whisky는 이탄으로 건조한 맥아의 당액을 발효해서 증류한 스코틀랜드의 위스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Hop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웅이주의 숙근식 물로서 수정이 안된 암꽃을 사용한다.
  2. 맥주의 쓴맛과 향을 부여한다.
  3. 거품의 지속성과 향균성을 부여한다.
  4. 맥아즙 속의 당분을 분해하여 알코올과 탄산가스를 만드는 작용을 한다.
(정답률: 59%)
  • Hop은 맥아즙 속의 당분을 분해하여 알코올과 탄산가스를 만드는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맥주의 쓴맛과 향을 부여하며 거품의 지속성과 향균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양주병에 80 proof 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은 알코올 도수 얼마에 해당하는가?

  1. 80%
  2. 40%
  3. 20%
  4. 10%
(정답률: 97%)
  • 양주병에 80 proof 라고 표기되어 있으면, 해당 양주의 알코올 도수는 40% 입니다. Proof는 알코올 도수를 2로 나눈 값으로, 80 proof는 40% 알코올 도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Grapp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포도주를 만들고 난 포도의 찌꺼기를 원료로 만든 술
  2. 노르망디의 칼바도스에서 생산되는 사과 브랜디.
  3. 과일과 작은 열매를 증류해서 만든 증류주
  4.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지방의 특산주
(정답률: 88%)
  • Grappa는 포도주를 만들 때 남은 포도의 찌꺼기를 원료로 만든 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Quart는 몇 Ounce인가?

  1. 1oz
  2. 16oz
  3. 32oz
  4. 38.4oz
(정답률: 68%)
  • 1 Quart는 32oz입니다. Quart는 미국의 부피 단위 중 하나이며, 1 Quart는 32 Fluid Ounce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1 Quart는 32o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Mixing glass를 사용하여 Stir 기법으로 만드는 것은?

  1. Stirrup cup
  2. Gin Fizz
  3. Martini
  4. Singapore Sling
(정답률: 45%)
  • Mixing glass와 Stir 기법은 주로 강한 알코올 맛을 가진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Martini는 강한 알코올 맛을 가진 Gin과 Vermouth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칵테일이며, Mixing glass와 Stir 기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Martini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혼성주에 해당하는 것은?

  1. Armagnac
  2. Corn Whisky
  3. Cointreau
  4. Jamaican Rum
(정답률: 65%)
  • Cointreau은 오렌지 껍질을 사용하여 만든 리큐르 형태의 주스입니다. 따라서 알코올과 과일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혼성주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랑스 와인제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프로방스에서는 주로 로제와인을 많이 생산한다.
  2. 포도당이 에틸알코올과 탄산가스로 변한다.
  3. 포도 발효 상태에서 브랜디를 첨가한다.
  4. 포도 껍질에 있는 천연효모의 작용으로 발효가 된다.
(정답률: 61%)
  • "포도 발효 상태에서 브랜디를 첨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프랑스 와인 제조에서는 브랜디를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포도주를 브랜디로 강화시키는 방식인 샴페인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포도주를 먼저 발효시킨 후, 브랜디를 첨가하여 강화시키고 병에 담아 이어서 발효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샴페인 등의 스파클링 와인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주류 중 Bitter가 아닌 것은?

  1. Campari
  2. Undernerg
  3. Jagermeiste
  4. Kirsch
(정답률: 14%)
  • Bitter는 "Campari", "Undernerg", "Jagermeiste"와 같은 주류에 특징적인 맛이며, "Kirsch"는 체리 맛이 강한 주류이지만 Bitter한 맛은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Mint Frappe에 사용하는 얼음은?

  1. Shaved ice
  2. Cubed ice
  3. Cracked ice
  4. Lumped ice
(정답률: 61%)
  • Mint Frappe는 부드러운 텍스처를 위해 Shaved ice를 사용합니다. 다른 종류의 얼음은 덜 부드럽고 덜 세밀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단식증류기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원료 고유의 향을 잘 얻을 수 있다.
  2. 고급 증류주의 제조에 이용한다.
  3. 적은 양을 빠른 시간에 증류하여 시간이 적게 걸린다.
  4. 증류시 알코올 도수를 80도 이하로 낮게 증류한다.
(정답률: 75%)
  • 적은 양을 빠른 시간에 증류하여 시간이 적게 걸리는 것은 단식증류기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단식증류기는 일반적으로 증류량이 적고, 증류과정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증류속도가 느리고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따라서 적은 양을 빠르게 증류하기 위해서는 다른 증류기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reme De Cacao를 사용하는 칵테일이 아닌 것은?

  1. Cacao Fizz
  2. Mai-Tai
  3. Alexander
  4. Grasshopper
(정답률: 29%)
  • Mai-Tai는 Creme De Cacao를 사용하지 않는 칵테일입니다. 대신에 럼, 오렌지 리큐르, 알몬드 시럽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오렌지 껍질을 이용하여 만든 리큐르는?

  1. Grand Marnier
  2. Benedictine D.O.M
  3. Kahlua
  4. Sloe Gin
(정답률: 71%)
  • Grand Marnier는 오렌지 껍질을 이용하여 만든 리큐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저장관리방법 중 FIFO란?

  1. 임의불출
  2. 매입순출
  3. 가격순출
  4. 선입선출
(정답률: 88%)
  • FIFO는 "First In, First Out"의 약어로,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는 저장관리 방법입니다. 이는 마치 일렬로 줄을 서 있는 사람들 중 가장 먼저 온 사람이 가장 먼저 나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따라서 FIFO 방식으로 저장된 물건 중 가장 오래된 것이 가장 먼저 출고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와인의 testing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와인을 오픈한 후 공기와 접촉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바로 따른 후 마신다.
  2. 와인에 얼음을 넣어 냉각시킨 후 마신다.
  3. 와인 잔을 흔든 뒤 아로마나 부케의 향을 맡는다.
  4. 검은 종이를 테이블에 깔아 투명도 및 색을 확인한다.
(정답률: 82%)
  • 와인 잔을 흔든 뒤 아로마나 부케의 향을 맡는다. 와인의 아로마와 부케는 와인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와인 잔을 흔들면 와인의 향이 잔 안에서 더욱 퍼지게 되고, 이를 맡아보면 와인의 특징을 더욱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와인의 testing 방법으로 이 방법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장 원가의 3요소는?

  1. 인건비, 재료비, 주장경비
  2. 재료비, 주장경비, 세금
  3. 인건비, 봉사료, 주장경비
  4. 주장경비, 세금, 재료비
(정답률: 94%)
  • 주장의 원가는 인건비, 재료비, 주장경비로 구성됩니다.

    - 인건비: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인력의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생산 라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임금이 인건비에 해당합니다.
    - 재료비: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원자재나 부품 등의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가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나무나 철재 등의 비용이 재료비에 해당합니다.
    - 주장경비: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데 필요한 각종 경비입니다. 예를 들어, 공장 건물의 임대료나 전기요금, 운송비 등이 주장경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인건비, 재료비, 주장경비가 주장의 원가를 구성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Bock beer는 어떤 종류의 술인가?

  1. 알코올도수가 높은 흑맥주
  2. 알코올도수가 낮은 담색 맥주
  3. 이탈리아산 고급 흑맥주
  4. 제조 12시간 내의 생맥주
(정답률: 74%)
  • Bock beer는 알코올도수가 높은 흑맥주입니다. 이는 보통 6% 이상의 알코올 도수를 가지며, 맥아와 호프의 함량이 높아서 진한 색상과 강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e Master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와인의 제조 및 저장관리를 책임지는 사람
  2. 포도나무를 가꾸고, 재배하는 사람
  3. 와인을 판매 및 관리하는 사람
  4. 와인을 구매하는 사람
(정답률: 69%)
  • 와인 Master는 와인의 제조 및 저장관리를 책임지는 사람입니다. 와인 Master는 와인 제조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와인의 특성과 향미를 이해하고 와인의 저장 및 보관 방법을 잘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와인 Master는 와인 제조 및 저장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칵테일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구는?

  1. Tumbler
  2. Squeezer
  3. Coaster
  4. Service plate
(정답률: 68%)
  • 칵테일을 만들 때 신선한 과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과일을 간편하게 짜기 위해 Squeezer(즙 짜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Squeezer가 칵테일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Bar에서 Happy Hour란?

  1. 바텐더들의 휴식 시간
  2. 손님이 많아 판매액이 늘어나는 시간
  3. 가격 할인 판매 서비스 시간
  4. 영업 마감 시간
(정답률: 94%)
  • Happy Hour는 일반적으로 오후 4시부터 7시까지의 시간으로, 바에서 음료나 음식을 가격 할인하여 판매하는 서비스 시간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Key Box나 Bottle Member 제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기 술병을 가지고 있으므로 음료의 판매회전이 저조하다.
  2. 고정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3. 선불이기 때문에 회수가 정확하며 자금운영이 원활하다.
  4. 고객 서비스가 증진된다.
(정답률: 74%)
  • "자기 술병을 가지고 있으므로 음료의 판매회전이 저조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고객이 자신의 술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료를 구매하지 않고 자신의 술병에 담아서 가지고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음료의 판매 회전이 저조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샴페인과 같은 포말성 와인의 일반적인 서빙 방법은?

  1. 6~8℃로 냉각시켜 서빙한다.
  2. 12~15℃로 냉각시켜 서빙한다.
  3. 16~18℃ 칠링시켜 서빙한다.
  4. 20~22℃ 정도의 사온으로 서빙한다.
(정답률: 43%)
  • 샴페인과 같은 포말성 와인은 과일향과 꽃향이 미묘하게 어우러져 있어, 적절한 온도에서 마셔야 최상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6~8℃로 냉각시키면 와인의 신선하고 상큼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와인이 너무 따뜻하면 알코올 맛이 강해지고, 너무 차가워도 와인의 맛과 향이 둔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장지배인(Bar Manager)의 주업무가 아닌 것은?

  1. 영업 및 서비스에 관한 지휘 통제권을 갖는다.
  2. 직원의 근무시간표를 작성한다.
  3. 직원들의 교육 훈련을 담당한다.
  4. 인벤토리(Inventory)를 세부적으로 관리한다.
(정답률: 53%)
  • 주장지배인의 주요 업무는 영업 및 서비스에 관한 지휘 통제권을 갖는 것이며, 직원의 근무시간표를 작성하고 직원들의 교육 훈련을 담당하는 것도 중요한 업무입니다. 그러나 인벤토리(Inventory)를 세부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주방장이나 매니저 등 다른 직무에서 담당하는 업무입니다. 따라서 인벤토리 관리는 주장지배인의 주요 업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음료를 서빙할 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품이 아닌 것은?

  1. Napkin
  2. Coaster
  3. Serving Tray
  4. Bar Spoon
(정답률: 89%)
  • "Bar Spoon"은 음료를 서빙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비품이 아니라,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서비스의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주문된 음료를 신속 . 정확하게 서비스 한다.
  2. 주문은 연장자의 주문을 먼저 받은 다음 여성 손님 순으로 주문을 받는다.
  3. 손님과의 대화중에 다른 손님의 주문이 있을 때는 대화중인 손님의 양해를 구한 후 다른 손님의 주문에 응한다.
  4. 바 카운터는 항상 정리, 정돈하여 청결을 유지한다.
(정답률: 83%)
  • 주문은 연장자의 주문을 먼저 받은 다음 여성 손님 순으로 주문을 받는다.은 성별에 따라 우선순위를 두는 것으로 공정하지 않은 서비스 방법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성별에 상관없이 먼저 온 손님부터 차례대로 주문을 받는 것이 공정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설탕, 계란 등을 이용하는 칵테일에 필요한 기구는?

  1. Mixing glass
  2. Strainer
  3. Squeezer
  4. Shaker
(정답률: 78%)
  • 칵테일을 만들 때 설탕, 계란 등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재료를 잘 섞어주기 위해서는 Shaker가 필요합니다. Shaker는 설탕, 계란 등을 함께 넣고 흔들어 섞어주는 기구로, 빠르고 효과적인 섞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Mixing glass는 주로 술과 얼음을 섞어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Strainer는 칵테일을 따를 때 얼음 조각이 함께 나오지 않도록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Squeezer는 과일을 갈아서 주스를 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음료 취급 방법이 잘못된 것은?

  1. 맥주와 맥주글라스는 차갑게 보관된 것을 서브한다.
  2. 글라스는 1/3 하단 부분을 손끝으로 가볍게 쥐어 서브한다.
  3. 와인을 따를 때 글라스에 와인병이 닿아야 한다.
  4. 와인을 따를 때 테이블에 와인 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4%)
  • 와인병이 글라스에 닿아야 하는 이유는 와인병의 목 부분이 와인을 따를 때 공기와 접촉하면서 산소가 들어가게 되는데, 이것이 와인의 향과 맛을 더욱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Fizz류의 칵테일 조주시 사용되는 것은?

  1. Shaker
  2. mixing glass
  3. Pitcher
  4. stirring rod
(정답률: 29%)
  • Fizz류의 칵테일은 탄산이 들어가기 때문에 재료들을 섞어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Shaker를 사용하여 재료들을 섞어주면 탄산이 골고루 분포되어 맛과 향이 균일하게 섞이기 때문에 Fizz류의 칵테일 조주시 Shaker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ngel's Kiss의 제조 기법은?

  1. Shaker
  2. Stirring
  3. Building
  4. Floating
(정답률: 24%)
  • Angel's Kiss는 Floating 기법으로 제조됩니다. 이는 칵테일의 상단에 레이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 가장 가벼운 알코올을 가장 위에 띄우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밀도가 높은 재료를 먼저 넣고, 그 위에 가벼운 재료를 천천히 부어서 레이어를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음료를 중심으로 판매 가능한 시설을 갖춘 장소이다.
  2. Bartender에 의해 고객에게 음료를 판매하거나 제공하는 장소이다.
  3. 인적 . 물적 서비스를 상품으로 판매한다.
  4. BAR는 영국의 “Bartender"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정답률: 77%)
  • BAR는 영국의 “Bartender"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 이 설명은 틀리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맥주의 관리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맥주는 5~10℃의 냉장온도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2. 장시간 보관, 숙성시켜서 먹는 것이 좋다.
  3. 병을 굴리거나 뒤집지 않는다.
  4. 직사광선을 피해 그늘지고 어두운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률: 84%)
  • 정답: "장시간 보관, 숙성시켜서 먹는 것이 좋다."

    설명: 맥주는 시간이 지날수록 맛과 향이 변화하며, 일정 기간 동안 숙성시켜야 더욱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맥주를 오랫동안 보관하고 숙성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맥주를 보관할 때는 5~10℃의 적정한 냉장온도를 유지하고, 병을 굴리거나 뒤집지 않으며, 직사광선을 피해 그늘지고 어두운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구매부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검수
  2. 저장
  3. 불출
  4. 판매
(정답률: 80%)
  • 구매부서는 제품이나 재료 등을 구매하여 기업의 생산 및 운영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판매는 구매와는 반대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서이므로, 구매부서의 기능이 아닙니다. 판매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부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measure cup 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종 주류의 용량을 측정한다.
  2. 위 부분은 1oz(30㎖)이다.
  3. 아랫부분은 1.5oz(45㎖)이다.
  4. 병마개를 감쌀 때 쓰일 수 있다.
(정답률: 78%)
  • 정답은 "병마개를 감쌀 때 쓰일 수 있다." 이다. 이유는 측정용도로 사용되는 측정컵과는 달리, 병마개를 감쌀 때 사용되는 컵은 일반적으로 측정용도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항목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아래는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1. Pantry
  2. Cloakroom
  3. Reception Desk
  4. Hospitality room
(정답률: 55%)
  • 위 그림은 주방을 나타내고 있으며, pantry는 주방에서 식자재를 보관하는 공간을 뜻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antr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래의 대화에서 ( )안에 알맞은 단어로 짝지어진 것은?

  1. for, feel
  2. to, have
  3. in, know
  4. of, give
(정답률: 52%)
  • A: "What's the matter with you? You look sad."
    B: "I don't know. I just can't shake this feeling (for) some reason. I (feel) like something bad is going to happen."

    "for"는 "because of"의 의미로 쓰이며, "feel"은 "느끼다"의 의미로 쓰였기 때문에 "for, feel"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이것으로 주세요.” 또는“이것으로 할게요.”라는 의미의 표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I'll have this one.
  2. Give me one more.
  3. I would like to drink something.
  4. I already had one.
(정답률: 87%)
  • "I'll have this one."이 가장 적합한 표현은 주문을 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이것으로 할게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추가 주문을 요청하는 표현이나 이미 먹은 것에 대한 언급이므로, 이 문맥에서는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Which is the correct one as a base of Port Sangaree in the following?

  1. Rum
  2. vodka
  3. Gin
  4. Wine
(정답률: 68%)
  • The correct answer as a base of Port Sangaree is "Wine" because Port Sangaree is a type of cocktail that traditionally includes port wine as one of its main ingredient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음료는?

  1. Kummel
  2. Sloe Gin
  3. Maraschino
  4. Jagermeister
(정답률: 53%)
  • Jagermeister는 독일의 허브 리큐르로, 56가지의 허브와 스파이스가 혼합된 후 국내에서 1년간 숙성되어 만들어진 음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some
  2. many
  3. to
  4. only
(정답률: 94%)
  • 이미지에서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모습이 보이지만, 모든 사람이 모여있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some"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many"는 모든 사람이 모여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부적합합니다. "to"는 전치사이므로 부적합합니다. "only"는 이미지에서 모든 사람이 아닌 일부 사람들이 모여있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므로 "some"과 유사하지만, 이미지에서는 일부 사람들이 모여있는 것이 자명하기 때문에 "only"는 조금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무료로 더 드리겠습니다.” 또는 “이것은 무료입니다”의 표현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I'll make you another on the house.
  2. This is on the house.
  3. This one is complimentary.
  4. This is already paid.
(정답률: 52%)
  • "This is already paid."는 무료가 아니라 이미 지불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기 때문에, "무료로 더 드리겠습니다." 또는 "이것은 무료입니다"의 표현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Which is a hot drink in the following?

  1. White Lady
  2. Irish Coffee
  3. Frozen Daiquiri
  4. Tequila Sunrise
(정답률: 80%)
  • "Irish Coffee" is a hot drink because it is typically made with hot coffee and topped with whipped crea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아래 밑줄 친 ( )에 적합한 문장은?

  1. What kind of drinks do you have?
  2. What kind of wines do you have?
  3. What kind of beers do you have?
  4. What kind of sauces do you have?
(정답률: 86%)
  • 이미지에서는 음료수에 대한 메뉴가 나와 있으므로, "What kind of drinks do you have?"가 가장 적합한 질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와인, 맥주, 소스 등 특정 음료나 조미료에 대한 질문이므로, 이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래는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Wine
  2. Beer
  3. Spirit
  4. Whiskey
(정답률: 72%)
  • 위 그림은 맥주잔을 나타내고, "Beer"는 맥주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