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9-27)

조주기능사
(2009-09-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다음 중 Straight Glas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ingle Glass
  2. Whisky Glass
  3. Cocktail Glass
  4. Shot Glass
(정답률: 63%)
  • "Cocktail Glass"는 일반적으로 새콤달콤한 칵테일을 담기 위해 사용되는 원형의 유리잔으로, 일반적인 스트레이트 글래스와는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Cocktail Glass"가 스트레이트 글래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Snowball 칵테일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1. Gin, Anisette, Light Cream
  2. Gin, Anisette, Sugar
  3. Gin, Grenadine, Light Cream
  4. Rum, Grenadine, Light Cream
(정답률: 59%)
  • Snowball 칵테일은 Gin과 Anisette를 베이스로 하며, Light Cream은 부드러운 텍스처와 크리미한 맛을 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ugar나 Grenadine은 이 칵테일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Rum은 Snowball 칵테일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칵테일에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American Whiske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Jim Beam
  2. Wild Turkey
  3. Suntory
  4. Jack Daniel
(정답률: 28%)
  • "Suntory"는 일본의 위스키 브랜드이므로, American Whiskey에 대한 설명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이며, 정답과 해설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Grain Whisk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silent spirit라고도 불린다.
  2. 발아시킨 보리를 원료로 해서 만든다.
  3. 향이 강하다.
  4. Andrew Usher에 의해 개발되었다.
(정답률: 50%)
  • Grain Whisky는 발아시킨 보리를 원료로 해서 만들어지며, "silent spirit"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증류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무색무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ilent"라는 표현이 사용되며, 이는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되는 Single Malt Whisky와 대조적입니다. Grain Whisky는 향이 강한 특징이 있으며, Andrew Usher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헤네시의 등급 규격으로 틀린 것은?

  1. EXTRA : 15~25년
  2. V.O : 15년
  3. X.O : 45년 이상
  4. V.S.O.P : 20~30년
(정답률: 89%)
  • 헤네시의 등급 규격에서 틀린 것은 "V.O : 15년"입니다. V.O는 "Very Old"의 약자로, 15년이 아닌 4년 이상 숙성된 블렌디드 브랜디를 의미합니다. EXTRA는 15~25년, V.S.O.P는 20~30년, X.O는 45년 이상 숙성된 블렌디드 브랜디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자를 이용한 리큐르가 아닌 것은?

  1. Sabra
  2. Drambuie
  3. Amaretto
  4. Creme de Cacao
(정답률: 36%)
  • Drambuie는 종자를 이용한 리큐르가 아닙니다. Drambuie는 스카치 위스키, 꿀, 허브 등으로 만들어진 리큐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재료 중 칵테일 조주시 많이 사용하는 붉은 색의 시럽은?

  1. Maple Syrup
  2. Honey
  3. Plain Syrup
  4. Grenadine Syrup
(정답률: 93%)
  • 칵테일에서 붉은 색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시럽은 Grenadine Syru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오렌지 주스를 사용한 칵테일에 잘 어울리는 장식 재료는?

  1. 체리(Cherry)
  2. 올리브(olive)
  3. 오렌지(orange)
  4. 레몬(lemon)
(정답률: 61%)
  • 오렌지 주스를 사용한 칵테일에는 오렌지가 가장 잘 어울립니다. 이는 오렌지 주스의 맛과 향을 강조하며, 시각적으로도 오렌지색이 밝고 화사하기 때문입니다. 체리나 올리브는 다른 종류의 칵테일에 더 어울리는 장식 재료이며, 레몬은 산미가 강한 칵테일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4 ~10월 사이 보르도 지방의 평균온도와 강우량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11.10C, 909㎜
  2. 12.9C, 909㎜
  3. 12.9C, 637㎜
  4. 11.10C, 673㎜
(정답률: 59%)
  • 보르도 지방은 대서양의 영향을 받아 연중 강수량이 많고, 겨울은 비교적 따뜻하고 여름은 서늘한 편이다. 따라서 보르도 지방의 평균온도는 11.10C보다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강우량은 909㎜으로 매우 높은 편이며, 637㎜보다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답은 "12.9C, 9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알코올 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량 퍼센트는 25C에서 용량 100중에 함유하는 순수 에틸알코올의 비율을 말한다.
  2. 미국의 알코올 농도표시법은 중량 퍼센트이다.
  3. 25짜리 소주는 소주 1L 중에 알코올이 25㎖ 함유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4. proof는 주정도를 2배로 한 수치와 같다.
(정답률: 63%)
  • proof는 알코올 농도를 2배로 한 수치와 같다는 것은 간단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80 proof의 주류는 알코올 농도가 40%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roof는 알코올 농도를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칵테일 조주 방법 중에서 재료의 비중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위에 띄우거나 쌓이도록 하는 것은?

  1. Floating
  2. Shaking
  3. Blending
  4. Stirring
(정답률: 86%)
  • Floating은 칵테일 조주 방법 중 하나로, 재료의 비중을 이용하여 상위에 있는 재료를 위에 띄우거나 쌓이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보통 농도가 높은 알코올류를 위에 띄우고, 가벼운 주스나 시럽 등을 아래쪽에 두어 층을 이루게 합니다. 이를 위해 보통 바람쇼벨이나 바람쇼벨과 비슷한 도구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Pousse cafe 칵테일은 각 재료의 비중을 이용하여 만드는 칵테일이다, 다음 중 그 순서가 올바르게 된 것은?

  1. Grenadine - Creme de Cacao - Peppermint
  2. Violet - Peppermint - Maraschino - Grenadine
  3. 노른자 - Grenadine - Maraschino - Champagne
  4. Benediction - Kirschwasser - Curacao
(정답률: 66%)
  • Pousse cafe 칵테일은 각 재료의 비중을 이용하여 만드는 칵테일이기 때문에, 가장 무거운 재료인 Grenadine을 가장 아래에 놓고, 그 위에 더 가벼운 Creme de Cacao를 층층이 쌓은 후, 마지막으로 가장 가벼운 Peppermint를 위에 올리는 순서로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Grenadine - Creme de Cacao - Peppermint"가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Standard recipe를 설정하는 목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원가계산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2. 바텐더에 대한 의존도를 높인다.
  3. 품질 관리에 도움을 준다.
  4. 재료의 낭비를 줄인다.
(정답률: 66%)
  • 바텐더에 대한 의존도를 높인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오히려 Standard recipe를 설정함으로써 바텐더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바텐더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바텐더에 대한 의존도를 높인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콜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아프리카의 원산지이다.
  2. 탄산 성분은 자연발효 중 생성된다.
  3. 콜라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농축액을 가공하여 만든다.
  4. 콜라나무 종자에는 커피보다 2~3배 많은 카페인과 콜란닌이 들어 있다.
(정답률: 62%)
  • "탄산 성분은 자연발효 중 생성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맥주 제조에 필요한 중요한 원료가 아닌 것은?

  1. 맥아
  2. 포도당
  3. 효모
(정답률: 85%)
  • 포도당은 와인 제조에 필요한 원료이지만, 맥주 제조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맥주 제조에 필요한 원료는 맥아, 물, 효모입니다. 맥아는 맥주의 주 원료이며, 물은 맥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효모는 맥아에서 발효를 일으켜 알코올을 생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칵테일 조주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Blending
  2. Stirring
  3. Garnishing
  4. Shaking
(정답률: 92%)
  • 칵테일 조주법 중에서 "Garnishing"은 칵테일에 장식을 하는 것으로, 조주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Garnish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단식 증류법(pot still)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2. 원료의 맛을 잘 살릴 수 있다.
  3. 좋은 향을 잘 살릴 수 있다.
  4. 시설비가 적게 든다.
(정답률: 75%)
  • 단식 증류법은 소량의 원료를 증류하는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1온스(oz)는 몇 ㎖안가?

  1. 10.5 ㎖
  2. 20.5 ㎖
  3. 29.5 ㎖
  4. 40.5 ㎖
(정답률: 74%)
  • 1온스는 미국과 영국에서 사용하는 무게 단위이며, 약 28.35g에 해당합니다. 반면 1 fluid ounce는 액체의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로, 약 29.57㎖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1온스는 29.5㎖에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완성 후 Nutmeg을 뿌려 제공하는 것은?

  1. Egg Nogg
  2. Tom Collins
  3. Sloe Gin Fizz
  4. Paradise
(정답률: 75%)
  • Egg Nogg은 크리스마스 시즌에 인기 있는 음료이며, 완성 후 Nutmeg을 뿌려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위스키 스트레이트 더블(Whisky Straight Double)의 용량은?

  1. 1 Ounce
  2. 2 Ounce
  3. 3 Ounce
  4. 4 Ounce
(정답률: 74%)
  • 위스키 스트레이트 더블은 일반적으로 2oz(온스)의 양으로 제공됩니다. 이는 위스키를 순수하게 즐기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1oz보다는 많지만 3oz나 4oz보다는 적은 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무색투명한 음료로서 레몬, 라임, 오렌지, 키니네 등으로 엑기스를 만들고 당분을 배합하여 열대지방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식욕부진과 원기를 회복하기 위해 제조되었던 것은?

  1. mineral water
  2. cider
  3. tonic water
  4. collins mix
(정답률: 83%)
  • 레몬, 라임, 오렌지, 키니네 등으로 엑기스를 만들고 당분을 배합하여 제조된 무색투명한 음료는 tonic water입니다. 이 음료는 열대지방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식욕부진과 원기를 회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스카치 위스키에는 다음 중 어떤 음료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cider
  2. tonic water
  3. soda water
  4. collins mixed
(정답률: 47%)
  • 스카치 위스키는 보통 순수한 형태로 즐기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혼합을 원한다면, 가장 일반적인 혼합음료는 소다 워터입니다. 이는 스카치 위스키의 풍미를 최대한 살리면서도 물기를 더해주어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이다나 토닉 워터, 콜린스 믹스 등 다른 음료들은 스카치 위스키의 맛을 가려버리거나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보통 추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브랜디의 숙성기간에 따른 표기와 그 약자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V - Very
  2. P - Pale
  3. S - Supreme
  4. X - Extra
(정답률: 67%)
  • 정답은 "P - Pale"입니다.

    브랜디의 숙성기간은 일반적으로 VS, VSOP, XO 등으로 표기됩니다.

    - VS (Very Special) : 최소 2년 이상 숙성
    - VSOP (Very Superior Old Pale) : 최소 4년 이상 숙성
    - XO (Extra Old) : 최소 6년 이상 숙성

    따라서 "S - Supreme"은 존재하지 않는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병마개를 최초로 발명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한 사람은?

  1. William Painter
  2. Hiram Conrad
  3. Peter F Heering
  4. Elijah Craig
(정답률: 25%)
  • 병마개를 최초로 발명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한 사람은 William Painter입니다. 그는 1892년에 병마개를 발명하고, 이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운영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기호음료(Tasting Beverage)가 아닌 것은?

  1. 오렌지 주스(Orange Juice)
  2. 커피 (Coffee)
  3. 코코아(Cocoa)
  4. 티(Tea)
(정답률: 92%)
  • 오렌지 주스는 기호음료가 아닙니다. 기호음료는 일반적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음료수를 말하는데, 오렌지 주스는 오렌지를 직접 짜서 만든 자연산 음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맥주를 5~10C에서 보관할 때 가장 상하기 쉬운 맥주는?

  1. 캔맥주
  2. 살균된 맥주
  3. 병맥주
  4. 생맥주
(정답률: 84%)
  • 생맥주는 다른 맥주들과 달리 필터링 과정이 없어 맥주 속에 있는 효모와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이 살아있기 때문에 보관 온도가 높아지면 더 빠르게 변질되고 상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생맥주는 5~10C에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우리나라 고유의 술은 곡물과 누룩도 좋아야 하지만 특히 물이 좋아야 한다. 예부터 만물이 잠든 자정에 모든 오물이 다 가라앉는 맑고 깨끗한 물을 길러 술을 담갔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물을 뜻하는 것은?

  1. 우물물
  2. 광천수
  3. 암반수
  4. 정화수
(정답률: 54%)
  • 우리나라 고유의 술은 맑고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이때 말하는 물은 오물이 없는 깨끗한 물을 뜻합니다. 따라서 "정화수"가 정답입니다. "정화"는 오물이나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만드는 것을 뜻하므로, "정화수"는 오물이 없는 깨끗한 물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Fermented Liquor에 속하는 술은?

  1. Chartreuse
  2. Gin
  3. Campari
  4. Wine
(정답률: 35%)
  • Fermented Liquor은 발효된 알코올 음료를 의미하며, Chartreuse, Gin, Campari는 모두 증류주에 속합니다. 반면에 Wine은 포도를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 음료이므로 Fermented Liquor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연속식 증류(patent still whisky)법으로 증류하는 위스키는?

  1. Irish Whiskey
  2. Blended Whisky
  3. Malt Whisky
  4. Grain Whisky
(정답률: 41%)
  • 연속식 증류법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곡물의 전체를 사용하여 증류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따라 곡물 위스키 중에서도 연속식 증류법으로 증류하는 것은 Grain Whisky입니다. Irish Whiskey는 일반적으로 삼배 증류법을 사용하며, Blended Whisky는 Malt Whisky와 Grain Whisky를 혼합한 것입니다. Malt Whisky는 일반적으로 더블 증류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화이트와인용 포도품종이 아닌 것은?

  1. 샤르도네
  2. 시라
  3. 소비뇽 블랑
  4. 삐노 블랑
(정답률: 55%)
  • 시라는 레드 와인용 포도품종이며, 나머지 세 가지는 화이트 와인용 포도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칵테일에 관련된 각 용어의 설명이 틀린 것 은?

  1. Cocktail pick - 장식에 사용하는 핀
  2. Peel - 과일 껍질
  3. Decanter - 신맛이라는 뜻
  4. Fix - 약간 달고, 맛이 강한 칵테일의 종류
(정답률: 80%)
  • Decanter는 유리병으로, 주로 와인이나 위스키 등을 따로 옮겨 담아 놓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신맛"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바(Bar)에서 하는 일이 아닌 것은?

  1. Store에서 음료를 수령한다.
  2. Appetizer를 만든다.
  3. Bar Stool을 정리한다.
  4. 음료 Cost 관리를 한다.
(정답률: 63%)
  • 바에서는 음료와 칵테일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업무를 수행하지만, Appetizer를 만드는 업무는 주로 주방에서 담당하기 때문에 바에서는 Appetizer를 만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판매 전략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유명도가 떨어지는 상품을 권할 때에는 고객 에게 시음하도록 하여 반응을 살핀다.
  2. 파스톡은 최소화하여 가능한 0으로 한다.
  3. 원가가 싼 제품은 칵테일 베이스로 사용한 다.
  4. 현장에서 근무하는 종업원들에게 음료관련 지식을 교육시킨다.
(정답률: 26%)
  • 정답: 파스톡은 최소화하여 가능한 0으로 한다.

    이유: 이는 오타일 것으로 추측됩니다. "파스톡"이라는 용어가 어떤 의미인지 파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corkage charg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음료를 마실 때 필요한 얼음, 레몬 등은 손님이 준비하여야 한다.
  2. 보통 판매가의 20~30% 정도를 부과한다.
  3. 디캔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봉사료를 청구한다.
  4. 음료의 종류에 맞게 corkage charge 리스트를 만들어 바에 비치하기도 한다.
(정답률: 73%)
  • 음료를 마실 때 필요한 얼음, 레몬 등은 손님이 준비하여야 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일반적으로는 레몬, 얼음 등의 서비스도 제공되며, 손님이 직접 준비할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용어의 해설이 틀린 것은?

  1. Table wine : 식사 중 마시는 와인
  2. Sparking : 발포성 와인
  3. molton : 테이블에 까는 깔개
  4. Drapes : 2인용의 작은 테이블
(정답률: 47%)
  • Drapes는 테이블이 아니라 커튼이나 장식용 천 등을 말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2인용의 작은 테이블"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음료서비스조직의 형태 중 쉐드 드 랑 시스템(chef de rang system)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종사원의 근무조건에 대해 대체로 만족할 수 있다.
  2. 종사원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 인건비의 지출이 낮다.
  3. 휴식시간이 충분하다.
  4. 고객에 대하여 정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36%)
  • 쉐드 드 랑 시스템은 한 명의 쉐프 드 랑이 일정한 수의 테이블을 담당하고, 그 아래에 종사원들이 소속되어 일하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형태는 종사원들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어,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인력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종사원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 인건비의 지출이 낮아지는 것이 이 형태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칵테일 조주시 술의 양을 계량할 때 사용하는 기구는?

  1. Squeezer
  2. Measure cup
  3. Cork screw
  4. Ice pick
(정답률: 84%)
  • "Squeezer"는 과일을 짜서 주스를 만들 때 사용하는 기구입니다. "Cork screw"는 와인병의 캡을 열 때 사용하는 기구입니다. "Ice pick"은 얼음을 깨서 사용할 때 사용하는 기구입니다. 따라서 칵테일 조주시 술의 양을 계량할 때 사용하는 기구는 "Measure cu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판매시점에 매출을 등록, 집계하여 경영자에게 필요한 영업 및 경영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1. SMS
  2. MRP
  3. CRM
  4. POS
(정답률: 78%)
  • 판매시점에서 매출을 등록하고 집계하여 경영자에게 필요한 영업 및 경영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POS(Point of Sale)입니다. POS 시스템은 판매점에서 고객이 상품을 구매할 때 사용하는 결제 시스템으로, 매출 등록, 재고 관리, 매출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POS 시스템은 판매점의 영업 및 경영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실제 원가가 표준원가를 초과하게 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재료의 과도한 변질 발생
  2. 도난 발생
  3. 계획대비 소량 생산
  4. 잔여분의 식자재 활용 미숙
(정답률: 62%)
  • 계획대비 소량 생산은 실제 생산량이 계획 생산량보다 적게 생산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에는 생산 비용이 일정하게 발생하므로 생산 단가가 상승하게 되어 원가가 표준원가를 초과하게 됩니다. 따라서 계획대비 소량 생산은 실제 원가가 표준원가를 초과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핑크 레이디, 밀리언 달러, 마티니, 네그로니의 기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Shaking, Stirring, Float&Layer, Building
  2. Shaking, Shaking, Float&Layer, Building
  3. Shaking, Shaking, Stirring, Building
  4. Shaking, Float&Layer, Stirring, Building
(정답률: 47%)
  • 핑크 레이디, 밀리언 달러, 마티니, 네그로니는 모두 칵테일의 종류이며, 각각의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 기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입니다.

    "Shaking, Shaking, Stirring, Building"은 각각의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 기법의 순서를 나타내며, 핑크 레이디와 밀리언 달러는 쉐이킹(shaking) 기법을 사용하고, 마티니는 스털링(stirring) 기법을 사용하며, 네그로니는 빌딩(building) 기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Shaking, Shaking, Stirring, Buildin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생맥주 취급의 기본원칙 중 틀린 것은?

  1. 적정온도준수
  2. 후입선출
  3. 적장압력유지
  4. 청결유지
(정답률: 83%)
  • 틀린 것은 "후입선출"입니다. 후입선출은 식품점에서 식자재를 보관할 때 사용하는 원칙으로, 먼저 들어온 식자재를 먼저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생맥주는 매장에서 바로 소비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후입선출 원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생맥주는 적정온도준수, 적장압력유지, 청결유지 등의 원칙을 따라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afe mug glass에 제공되지 않는 것은?

  1. Bailey`s Coffee
  2. French Coffee
  3. Irish Coffee
  4. Royal Coffee
(정답률: 33%)
  • Irish Coffee는 카페인 음료가 아니라 알코올 음료이기 때문에 cafe mug glass에 제공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배인의 직무와 거리가 먼 것은?

  1. 서비스 직원으로부터 계산서를 받아 수납한다.
  2. 직원의 근무스케줄, 휴가 등을 관리한다.
  3. 운영 장비의 예산을 편성한다.
  4. 식음료의 질과 서비스를 점검한다.
(정답률: 50%)
  • 지배인은 주로 건물 관리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며, 서비스 직원으로부터 계산서를 받아 수납하는 업무는 건물 관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간장을 보호하는 음주법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도수가 낮은 술에서 높은 술 순으로 마신다.
  2. 도수가 높은 술에서 낮은 술 순으로 마신다.
  3. 도수와 관계없이 개인의 기호대로 마신다.
  4. 여러 종류의 술을 섞어 마신다.
(정답률: 77%)
  • 도수가 낮은 술에서 높은 술 순으로 마시는 것은, 높은 도수의 술을 먼저 마시면 간장이 더욱 많이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먼저 도수가 낮은 술을 마시고, 간장이 손상되기 전에 도수가 높은 술을 마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glass rimmers의 용도는?

  1. 소금, 설탕을 글라스 가장자리에 묻히는 기구이다.
  2. 술을 글라스에 따를 때 사용하는 기구이다.
  3. 와인을 차게 할 때 사용하는 기구이다.
  4. 뜨거운 글라스를 넣을 수 있는 손잡이가 달린 기구이다.
(정답률: 88%)
  • glass rimmers는 소금이나 설탕을 글라스 가장자리에 묻히는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알콜분의 도수의 정의는?

  1. 섭씨 4도에서 원용량 100분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알콜분의 용량
  2. 섭씨 15도에서 원용량 100분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알콜분의 용량
  3. 섭씨 4도에서 원용량 100분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알콜분의 질량
  4. 섭씨 20도에서 원용량 100분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알콜분의 용량
(정답률: 45%)
  • 알콜분의 도수는 섭씨 15도에서 원용량 100분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알콜분의 용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알콜의 양이 얼마나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알콜의 양이 많을수록 도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알콜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수를 적절히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나머지 셋과 지칭하는 대상이 다른 하나는?

  1. Stir rod
  2. Cork Screw
  3. Wine Opener
  4. Waiter`s Corkscrew
(정답률: 80%)
  • 정답은 "Stir rod"입니다. 나머지 셋은 모두 와인병을 열기 위한 도구인데, Stir rod는 시험관 안의 용액을 교란하기 위한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주로 일품요리를 제공하여 매출을 증대시키고, 고객의 기호와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그날의 특별 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은?

  1. 다이닝룸
  2. 그릴
  3. 카페테리아
  4. 캐이터링
(정답률: 54%)
  • 그릴은 주로 일품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으로, 그날의 특별 요리를 제공하여 고객의 기호와 편의를 도모하고 매출을 증대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칵테일 부재료 중 사용하고 남은 주스류의 보관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밀폐하여 냉동고에 보관한다.
  2. 캔에 남은 그대로 밀폐하여 냉장고에 보관한다.
  3. 캔에 남은 그대로 냉장고에 보관한다.
  4. 유리그릇이나 도기그릇에 옮겨 냉장고에 보관한다.
(정답률: 58%)
  • 주스류는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 산화되어 맛과 향이 변하게 되므로,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유리나 도기는 공기와 물질간의 반응이 적어서 보관에 적합하며, 냉장고에 보관하여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스류의 보관 방법으로는 "유리그릇이나 도기그릇에 옮겨 냉장고에 보관한다."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Shaker의 3가지 구성요소는?

  1. cap, strainer, body
  2. glass, strainer, blender
  3. jigger, opener, cap
  4. ice tongs, ice pail, ice pick
(정답률: 82%)
  • Shaker는 칵테일을 만들기 위한 도구로,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Cap: Shaker의 윗부분으로, 칵테일 재료를 넣은 후 뚜껑을 덮어 쉐이킹할 때 사용합니다.

    2. Strainer: Shaker의 중간 부분으로, 쉐이킹한 칵테일을 따를 때 사용합니다. 빠져나가는 얼음 조각이나 과일 조각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3. Body: Shaker의 하단 부분으로, 칵테일 재료와 얼음을 넣어 쉐이킹할 때 사용합니다.

    따라서, "cap, strainer, body"가 Shaker의 구성요소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for
  2. to
  3. from
  4. with
(정답률: 38%)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람이나 물건들이 함께 있는 것을 나타내는 "with"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I need very strong pants."에서 strong과 바꿔 쓸 수 있는 단어는?

  1. tough
  2. rough
  3. heavy
  4. new
(정답률: 30%)
  • 단어 "tough"은 "강한, 튼튼한"이라는 뜻으로, "strong"과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rough"는 "거친, 까칠한"이라는 뜻이며, "heavy"는 "무거운"이라는 뜻이며, "new"는 "새로운"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tough"가 "strong"과 가장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change가 나머지 셋과 다른 의미로 쓰인 것은?

  1. Do you have change for a dollar?
  2. Keep the change.
  3. I need some change for the bus.
  4. let`s try a new restaurant for a change.
(정답률: 58%)
  • "let`s try a new restaurant for a change."이 다른 것과 다른 의미로 쓰인 것입니다. 나머지는 모두 돈의 '잔돈'을 의미하는 'change'입니다. 하지만 이 문장에서의 'change'는 '변화'를 의미합니다. 즉, "우리는 변화를 위해 새로운 식당을 가보자"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Scotch whisky의 legal definition으로 틀린 것은?

  1. Must not be bottled at less than 40% alcohol by volume.
  2. Must be matured in Scotland in oak casks for no less than three years and a day.
  3. Must be distilled to an alcoholic strength of more than 94.8% by volume.
  4. Must not contain any added substance other than water and caramel colouring.
(정답률: 61%)
  • "Must be distilled to an alcoholic strength of more than 94.8% by volume."이 틀린 것입니다. Scotch whisky는 최소한 94.8%의 알코올 도수로 증류되어야 하지만, 이것은 legal definition이 아니라 production process의 일부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5월 5일에는 이미 예약이 다 되어 있습니다.“ 의 표현은?

  1. We look forward to seeing you on May 5th.
  2. We are fully booked on May 5th.
  3. We are available on May 5th.
  4. I will check availability on May 5th.
(정답률: 73%)
  • "We are fully booked on May 5th."는 이미 모든 예약이 다 찼다는 뜻으로, "We look forward to seeing you on May 5th."는 5월 5일에 예약이 있음을 나타내지만, "We are fully booked on May 5th."와는 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We are available on May 5th."는 5월 5일에 예약이 가능하다는 뜻이며, "I will check availability on May 5th."는 5월 5일의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하겠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아래의 Lisa와 Jackl의 대화에서 ( )안에 적합한 것은?

  1. A: drink, B: do
  2. A: drank, B: did
  3. A: drink, B: was
  4. A: drank, B: was
(정답률: 65%)
  • Lisa와 Jack은 과거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으므로, 동사 시제는 과거형이어야 합니다. Lisa가 "I (drink) too much last night"라고 말했으므로, Jack은 "I (do) too"라고 대답할 때, "do" 대신 과거형인 "did"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drank, B: di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우리 호텔을 떠나십니까?“의 표현은?

  1. Do you start our hotel?
  2. Are you leave our hotel?
  3. Are you leaving our hotel?
  4. Do you go our hotel?
(정답률: 85%)
  • 정답은 "Are you leaving our hotel?"입니다.

    - "Do you start our hotel?"은 호텔을 시작하는 것과 관련이 있어 의미가 맞지 않습니다.
    - "Are you leave our hotel?"은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동사 leave는 현재형이 leaves이므로 "Are you leaving our hotel?"로 바꿔야 합니다.
    - "Do you go our hotel?"은 호텔에 가는 것과 관련이 있어 의미가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Are you leaving our hotel?"은 문법적으로 올바르고, 호텔을 떠나는 것과 관련된 질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Which is not nonal coholic drink?

  1. Coffee - Cola Cooler
  2. Fruit Smoothie
  3. Lemonade
  4. Mimosa
(정답률: 50%)
  • "Mimosa" is not a nonalcoholic drink because it contains champagne, which is an alcoholic beverag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to
  2. toward
  3. against
  4. for
(정답률: 77%)
  • 이미지에서 보이는 화살표는 "for"의 의미인 "지지하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Which one is distilled from fermented fruit?

  1. Gin
  2. Wine
  3. Brandy
  4. Whiskey
(정답률: 32%)
  • Brandy is distilled from fermented fruit, typically grapes, making it the correct answer.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