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1-31)

조주기능사
(2010-01-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칵테일의 종류에 따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izz : 진, 리큐르 등을 베이스로 하여 설탕, 진 또는 레몬주스, 소다수 등을 사용한다.
  2. Collins : 술에 레몬이나 라임즙, 설탕을 넣고 소다수로 채운다.
  3. Toddy : 뜨거운 물, 또는 차가운 물에 설탕과 술을 넣어 만든 칵테일이다.
  4. Julep : 레몬껍질이나 오렌지껍질을 넣은 칵테일이다.
(정답률: 63%)
  • Julep은 민트를 넣은 칵테일이며, 레몬껍질이나 오렌지껍질을 넣은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Julep : 레몬껍질이나 오렌지껍질을 넣은 칵테일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이탈리아 밀라노 지방에서 생산되며, 오렌지와 바닐라향이 강하고 길쭉한 병에 담긴 리큐르는?

  1. Galliano
  2. Kummel
  3. Kahlua
  4. Drambuie
(정답률: 84%)
  • 문제에서 설명한 특징들이 모두 Galliano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Kummel은 캐러웨이 씨드와 카라멜을 사용하며, Kahlua는 커피와 라떼를 위한 리큐르이며, Drambuie는 스카치 위스키와 허니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랑스의 와인등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DOCG
  2. VDQS
  3. Vin de pays
  4. Vin de table
(정답률: 64%)
  • "DOCG"는 이탈리아의 와인등급이며, 프랑스의 와인등급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약 30㎖, 1finger, 1pony, 1shot, 1single"의 계량단위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하게 사용되는 것은?

  1. 1 cup
  2. 1 pound
  3. 1 oz
  4. 1 liter
(정답률: 92%)
  • 정답은 "1 oz"입니다.

    "약 30㎖"은 약 1 온스(oz)와 유사합니다.

    "1finger"는 손가락 길이로 계량하는 것이며, 정확한 단위가 아니기 때문에 비교할 수 없습니다.

    "1pony"는 주류 계량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1 oz와 유사하지만 정확한 단위가 아닙니다.

    "1shot"은 주류 계량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1.5 oz와 유사합니다.

    "1single"은 주류 계량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1 oz와 유사하지만 정확한 단위가 아닙니다.

    따라서, "1 oz"가 가장 유사한 계량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Over the rainbow의 일반적인 Garnish는?

  1. Strawberry, Peach Slice
  2. Cherry, Orange Slice
  3. Pineapple spear, Cherry
  4. Lime wedge
(정답률: 40%)
  • "Over the rainbow"은 일반적으로 달콤하고 상큼한 맛을 가진 칵테일입니다. 따라서 이에 어울리는 과일인 딸기와 복숭아 슬라이스가 일반적인 Garnish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Twist of lemon peel"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레몬껍질을 비틀어 그 향을 칵테일에 스며들게 한다.
  2. 레몬을 반으로 접듯이 하여 과즙을 짠다.
  3. 레몬껍질을 가늘고 길게 잘라 칵테일에 넣는다.
  4. 과피를 믹서기에 갈아 즙 성분을 2~3방울 칵테일에 떨어뜨린다.
(정답률: 81%)
  • "레몬껍질을 비틀어 그 향을 칵테일에 스며들게 한다."가 옳은 것입니다. 레몬껍질을 비틀어서 나오는 에센셜 오일이 칵테일에 향을 더해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혼성주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사람들이 식욕부진이나 원기 회복을 위해 제조되었다.
  2. 과일 중에 함유되어 있는 당분이나 전분을 발효시킨다.
  3. 향료, 약초 등을 첨가하여 약용이 목적이었으며, 현재는 식후주로 많이 애용된다.
  4. 저온 살균하여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다.
(정답률: 78%)
  • 혼성주의는 주로 향료, 약초 등을 첨가하여 약용이 목적이었으며, 현재는 식후주로 많이 애용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주로 맛과 향을 개선하고, 건강에 좋은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 사용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향료, 약초 등을 첨가하여 약용이 목적이었으며, 현재는 식후주로 많이 애용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랑스와인의 원산지 통제 증명법으로 가장 엄격한 기준은?

  1. DOC
  2. AOC
  3. VDQS
  4. QMP
(정답률: 76%)
  • AOC는 "Appellation d'Origine Contrôlée"의 약자로, 프랑스에서 가장 엄격한 원산지 통제 증명법입니다. 이 기준은 특정 지역에서 특정 방식으로 생산된 와인에 대해서만 AOC 인증을 부여하며, 와인 생산에 사용되는 포도의 품종, 수확 시기, 양조 방법, 숙성 기간 등 모든 과정이 엄격하게 관리됩니다. 따라서 AOC 인증을 받은 와인은 그 원산지와 생산 방식이 보장되어 있어 높은 품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블랜디드(Blended) 위스키가 아닌 것은?

  1. Chivas Regal 18년
  2. Glenfiddich 15년
  3. Royal Salute 21년
  4. Dimple 12년
(정답률: 48%)
  • Glenfiddich 15년은 싱글 몰트 위스키이며, 블랜디드 위스키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블랜디드 위스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옥수수를 51% 이상 사용하고 연속식 증류기로 알코올 농도 40% 이상 80%미만으로 증류 하는 위스키는?

  1. Scotch Whiskey
  2. Bourbon Whiskey
  3. Irish Whiskey
  4. Canadian Whiskey
(정답률: 80%)
  • Bourbon Whiskey는 옥수수를 51% 이상 사용하고, 연속식 증류기로 알코올 농도 40% 이상 80% 미만으로 증류하는 위스키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제조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민속주 중 증류식 소주가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문배주
  2. 이강주
  3. 옥로주
  4. 안동소주
(정답률: 40%)
  • 정답은 "이강주"입니다. 이유는 이강주는 증류식이 아닌 발효식 술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문배주, 옥로주, 안동소주는 모두 증류식 소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Irish Whiske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깊고 진한 맛과 향을 지닌 몰트위스키이다.
  2. 피트훈연을 하지 않아 향이 깨끗하고 맛이 부드럽다.
  3. 스카치위스키와 제조과정이 동일하다.
  4. John Jameson, Old Bushmills가 대표적이다.
(정답률: 82%)
  • 스카치위스키와 제조과정이 동일하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Irish Whiskey는 스카치위스키와는 다른 제조과정을 거치며, 즉석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숙성시켜 부드러운 맛과 향을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와인을 만들고 난 포도의 찌꺼기를 원료로 만드는 것으로 이탈리아에서 제조하는 것은?

  1. Aquavit
  2. Calvados
  3. Grappa
  4. Eau De Vie
(정답률: 79%)
  • Grappa는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지는 강한 알코올 음료로, 와인을 만들 때 남은 포도 찌꺼기를 원료로 사용하여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로 Gin에 혼합하는 탄산음료로 레몬, 설탕, 액상과당, 탄산가스, 구연산, 향료 등이 첨가되는 탄산음료는?

  1. Cola
  2. Collins mix
  3. Fanta Grape
  4. Cider
(정답률: 75%)
  • 문제에서 언급한 "레몬, 설탕, 액상과당, 탄산가스, 구연산, 향료"는 모두 Collins mix에 첨가되는 재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ollins mix"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sparkling wine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Champagne
  2. Seket
  3. Cremant
  4. Armagnac
(정답률: 77%)
  • Armagnac은 브랜디로, sparkling wine과는 완전히 다른 종류의 알코올 음료이기 때문에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Rum의 원산지는?

  1. 러시아
  2. 카리브해 서인도제도
  3. 북미지역
  4. 아프리카 지역
(정답률: 84%)
  • Rum은 대부분의 경우, 사탕수수를 원료로 하는 증류주입니다. 그리고 카리브해 서인도제도는 사탕수수 생산이 매우 발달한 지역 중 하나이며, Rum 생산이 이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Rum의 원산지는 카리브해 서인도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두송자를 첨가하여 풍미를 나게 하는 술은?

  1. Gin
  2. Rum
  3. Vodka
  4. Tequila
(정답률: 84%)
  • 두송자는 주로 Gin에 첨가되어 향과 맛을 부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드카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Colorless, Orderless, Tasteless
  2. Voda, 러시아
  3. 감자, 고구마
  4. 이탄, 사탕수수
(정답률: 79%)
  • 이탄과 사탕수수는 보드카의 주원료가 아니기 때문에 보드카와 관련이 없습니다. 보드카는 감자나 고구마를 사용하여 만들기도 하지만, 이탄과 사탕수수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Colorless, Orderless, Tasteless"는 보드카의 특징을 나타내는 표현이며, "Voda, 러시아"는 보드카가 러시아에서 유래되었고, "감자, 고구마"는 보드카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중 일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방의 특산 전통주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금산 - 인삼주
  2. 홍천 - 옥선주
  3. 안동 - 송화주
  4. 전주 - 오곡주
(정답률: 48%)
  • 전주는 오곡주가 아니라 막걸리가 특산 전통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포도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yrah : 최근 호주의 대표품종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호주에서는 Shiraz라고 불린다.
  2. Gamay : 주로 레드 와인으로 사용되며, 과일 향이 풍부한 와인이 된다.
  3. Merlot : 보르도, 캘리포니아, 칠레 등에서 재배되며, 부드러운 맛이 난다.
  4. Pinot Noir : 보졸레에서 이 품종으로 정상급 레드와인을 만들고 있으며, 보졸레 누보에 사용한다.
(정답률: 45%)
  • Pinot Noir는 보졸레에서만 재배되는 것이 아니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사용되는 포도품종이기 때문에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주류에 따른 일반적인 주정 도구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Beer : 4 ~ 11% alcohol by volume
  2. Vermouth : 44 ~ 45% alcohol by volume
  3. Fortified Wines :18 ~ 21% alcohol by volume
  4. Brandy : 40% alcohol by volume
(정답률: 58%)
  • Vermouth은 일반적으로 16 ~ 18%의 알코올 도수를 가지며, 44 ~ 45%의 알코올 도수를 가진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연결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French Vermouth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와인을 인위적으로 착향시킨 담색 무감미주
  2. 와인을 인위적으로 착향시킨 담색 감미주
  3. 와인을 인위적으로 착향시킨 적색 감미주
  4. 와인을 인위적으로 착향시킨 적색 무감미주
(정답률: 36%)
  • French Vermouth는 "와인을 인위적으로 착향시킨 담색 무감미주"입니다. 이는 와인에 허브, 껍질, 꽃 등의 재료를 첨가하여 인위적으로 향과 맛을 부여한 주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담색 또는 무색으로 칵테일의 기본주로 사용되는 Rum은?

  1. Heavy Rum
  2. Medium Rum
  3. Light Rum
  4. Jamaica Rum
(정답률: 83%)
  • Light Rum은 담색이 거의 없는 투명한 색상을 가지며, 무색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칵테일의 색상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알코올 함량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기본주로 많이 사용됩니다. Heavy Rum과 Medium Rum은 더 짙은 색상과 강한 향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술 그 자체로 즐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Jamaica Rum은 자메이카에서 생산되는 특별한 종류의 럼으로, 강한 향과 맛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브랜디의 제조순서로 옳은 것은?

  1. 양조작업 - 저장 - 혼합 - 증류 - 숙성 - 병입
  2. 양조작업 - 증류 - 저장 - 혼합 - 숙성 - 병입
  3. 양조작업 - 숙성 - 저장 - 혼합 - 증류 - 병입
  4. 양조작업 - 증류 - 숙성 - 저장 - 혼합 - 병입
(정답률: 58%)
  • 브랜디 제조순서는 먼저 양조작업으로 원료를 발효시키고, 그 후에 증류하여 알코올 함량을 높이고 숙성시켜 맛과 향을 부여합니다. 이후 저장과 혼합을 거쳐 최종적으로 병입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조작업 - 증류 - 저장 - 혼합 - 숙성 - 병입"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Tequila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용설란
  2. 풀케
  3. 멕시코
  4. 사탕수수
(정답률: 75%)
  • Tequila는 용설란과 풀케와 같은 멕시코의 전통적인 술 중 하나이지만, 사탕수수는 Tequila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사탕수수는 당밀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물 중 하나이지만, Tequila는 파인애플과 같은 다른 작물에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프랑스 와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풍부하고 다양한 식생활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와인이 성장하게 되었다.
  2. 상빠뉴 지역은 연중기온이 높아 포도가 빨리 시어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샴페인을 만든다.
  3. 일찍부터 품질 관리 체제를 확립하여 와인을 생산해오고 있다.
  4. 보르도 지역은 토양이 비옥하지 않지만, 거칠고 돌이 많아 배수가 잘된다.
(정답률: 46%)
  • "상빠뉴 지역은 연중기온이 높아 포도가 빨리 시어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샴페인을 만든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상빠뉴 지역은 실제로 연중기온이 높아 포도가 빨리 시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샴페인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샴페인은 포도주를 2차 발효시켜 탄산을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상빠뉴 지역의 기후는 이러한 과정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장식으로 과일의 껍질만 사용하는 칵테일은?

  1. Moscow Mule
  2. New York
  3. Bronx
  4. Gin Buck
(정답률: 47%)
  • 다른 보기들은 모두 도시 이름을 따온 칵테일이지만, New York 칵테일은 과일의 껍질만 사용하는 장식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칵테일을 맛에 따라 분류할 때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스위트 칵테일
  2. 사워 칵테일
  3. 슬링 칵테일
  4. 드라이 칵테일
(정답률: 66%)
  • 슬링 칵테일은 맛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칵테일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것입니다. 슬링 칵테일은 럼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며, 레몬 주스와 설탕 시럽, 소다 워터 등이 함께 섞여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슬링 칵테일은 맛에 따라 분류되는 칵테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커피의 3대 원종이 아닌 것은?

  1. 아라비카종
  2. 로부스타종
  3. 리베리카종
  4. 수마트라종
(정답률: 86%)
  • 수마트라종은 커피의 3대 원종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3대 원종은 아라비카종, 로부스타종, 리베리카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Bourbon Whiskey 80 proof는 우리나라 주정도수로 몇 도인가?

  1. 35도
  2. 40도
  3. 45도
  4. 50도
(정답률: 85%)
  • Bourbon Whiskey 80 proof는 알코올 함량이 40%이므로, 우리나라 주정도수인 알코올 함량 40도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조주 서비스에서 chaser의 의미는?

  1. 독한 술이나 칵테일을 내놓을 때 다른 글라스에 물 등을 담아 내놓는 것
  2. 음료를 체온보다 높여 약 62 ~ 67로 해서 서빙 하는 것
  3. 따로 조주하지 않고 생으로 마시는 것
  4. 서로 다른 두 가지 술을 반씩 따라 담는 것
(정답률: 74%)
  • chaser는 독한 술이나 칵테일을 마신 후 입맛을 가라앉히기 위해 다른 글라스에 물 등을 담아 마시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호텔에서 호텔홍보, 판매촉진 등 특별한 접대목적으로 일부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은?

  1. Complimentary Service
  2. Complaint
  3. F/O Cashier
  4. Out of order
(정답률: 86%)
  • Complimentary Service는 호텔에서 특별한 접대목적으로 일부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호텔의 홍보와 판매촉진을 위한 마케팅 전략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식료와 음료를 원가관리 측면에서 비교할 때 음료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저장 기간이 비교적 길다.
  2. 가격 변화가 심하다.
  3. 재고조사가 용이하다.
  4. 공급자가 한정되어 있다.
(정답률: 68%)
  • 가격 변화가 심하다는 것은 음료의 원가가 변동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공급자의 가격 변동, 원재료 가격 변동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료의 원가를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이 어렵고, 이로 인해 비용이 예상치 못하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칵테일 계량단위를 측정하는 기구가 아닌 것은?

  1. Stopper
  2. Teaspoon
  3. Measure cup
  4. Tablespoon
(정답률: 82%)
  • Stopper는 칵테일 계량을 위한 기구가 아니라 병이나 유리병의 입구를 막는 데 사용되는 기구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칵테일 계량을 위한 기구입니다. Teaspoon은 작은 양의 액체나 조각적인 재료를 측정할 때 사용되며, Tablespoon은 Teaspoon보다 큰 양의 액체나 재료를 측정할 때 사용됩니다. Measure cup은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크기의 액체나 재료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High ball이나 Fizz 등의 long drink를 마실 때 사용되는 glass는?

  1. Tumbler
  2. Cocktail glass
  3. Sour glass
  4. Liqueur glass
(정답률: 65%)
  • Tumbler는 일반적으로 높이가 짧고 넓은 형태로, High ball이나 Fizz와 같은 long drink를 마시기에 적합한 유리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연회행사 중 사회자의 주도하에 전문가가 미리 제시한 한 가지 주제에 대하여 서로 상반된 견해를 청중 앞에서 토의하는 형태는?

  1. Forum
  2. Panal Discussion
  3. Symposium
  4. Congress
(정답률: 55%)
  • Forum은 공개적인 토론이나 논의를 위한 모임을 의미하며, 이는 문제나 주제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청중 앞에서 토론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Foru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믹싱 글라스나 쉐이커에서 칵테일을 만든 후 잔에 따를 때 걸러주는 바(Bar)의 용구는?

  1. Strainer
  2. Muddler
  3. Ice tongs
  4. Cock Screw
(정답률: 93%)
  • Strainer는 칵테일을 만들 때 믹싱 글라스나 쉐이커에서 과일 조각이나 얼음 조각 등을 걸러주는 바의 용구입니다. 따라서 칵테일을 잔에 따기 전에 Strainer를 사용하여 불순물을 걸러주어 맛과 질감을 더욱 부드럽게 즐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Liqueur Glass의 다른 명칭은?

  1. Shot Glass
  2. Cordial Glass
  3. Sour Glass
  4. Goblet
(정답률: 58%)
  • Liqueur Glass는 주로 단맛의 알코올 음료를 마시기 위해 사용되는 작은 유리잔입니다. 이러한 음료는 일반적으로 코르디얼(Cordial)이라고 불리며, 따라서 Liqueur Glass는 Cordial Glass로도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각 얼음(cubed ice)의 취급상의 주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아이스 텅(tongs)이나 아이스 스쿠프(scoop)를 사용한다.
  2. 스쿠프가 없을 때는 글라스로 스쿠프를 대신 한다.
  3. Ice bin 위에는 어떤 것이든 차게 하기 위하여놓아서는 안 된다.
  4. 각 얼음은 재사용을 절대 금한다.
(정답률: 75%)
  • "스쿠프가 없을 때는 글라스로 스쿠프를 대신 한다."는 잘못된 것이다. 이는 위생적인 측면에서 매우 위험하며, 글라스로 얼음을 뜨는 것은 글라스에 미생물이나 오염물질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쿠프가 없을 때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레스토랑에서 “beef stake medium well"라는 주문을“b/steak(m/w)"등의 약자로 사용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Give away
  2. Order taking
  3. Daily special Menu
  4. Abbreviation
(정답률: 65%)
  • 약어는 단어나 구절을 짧게 줄여서 표현하는 것을 말하며, "b/steak(m/w)"와 같은 주문 약어는 주문을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는 "Abbrevia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주장 원가의 3요소는?

  1. 인건비, 재료비, 주장경비
  2. 재료비, 주장경비, 세금
  3. 인건비, 봉사료, 주장경비
  4. 주장경비, 세금, 봉사료
(정답률: 94%)
  • 주장의 원가는 인건비, 재료비, 주장경비로 구성됩니다. 인건비는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인력의 비용을 의미하며, 재료비는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원자재 및 부자재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주장경비는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부대비용으로, 전기, 수도, 연료 등의 비용을 포함합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모두 고려되어야만 제품의 원가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바에서 사용하는 house brand의 의미는?

  1. 널리 알려진 술 종류
  2. 지정 주문이 아닐 때 쓰는 술 종류
  3. 상품(上品)에 해당하는 술 종류
  4. 조리용으로 사용하는 술 종류
(정답률: 69%)
  • House brand는 일반적으로 해당 바나 레스토랑에서 직접 제조하거나 구매한 브랜드가 아닌, 일반적으로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는 제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house brand 술은 일반적으로 지정 주문이 아닐 때 사용되는 술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글라스의 받침대로 냉각된 글라스의 물기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Opener
  2. Stopper
  3. Coaster
  4. Muddler
(정답률: 83%)
  • Coaster는 글라스의 받침대로 냉각된 글라스의 물기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다른 보기들은 글라스를 열고 닫거나 믹싱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정답은 Coas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칵테일을 만드는 데 필요한 기물은?

  1. Wine Cooler
  2. Mixing Glass
  3. Champagne Glass
  4. Wine Glass
(정답률: 81%)
  • 칵테일을 만들 때는 주로 냉각된 Mixing Glass를 사용하여 주류와 조합재료를 섞습니다. 다른 기물들은 각각 와인, 샴페인, 와인 등의 종류에 따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아래의 자료에 의한 예상목표매출액은?

  1. 3000만원
  2. 3600만원
  3. 1억
  4. 1억5천만원
(정답률: 36%)
  • 예상목표매출액은 "월평균 5000만원" 이며, 이를 12로 나누어 연간 예상매출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000만원 x 12 = 6억원이 예상매출액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억5천만원" 이므로 정답은 4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어떤 업장의 현황이 아래와 같을 때 월 재고회전율은?

  1. 0.9회
  2. 1.75회
  3. 1.8회
  4. 1.85회
(정답률: 53%)
  • 월 재고회전율은 "판매액 ÷ 재고" 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업장의 월 재고회전율은 "1,800 ÷ 1,000" 으로 계산되며, 결과는 1.8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장(Ba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랑스어의 Bariere에서 유래된 말이다.
  2. Bar는 손님과 바텐더를 연결해 주는 널빤지이다.
  3. Bartender는 Bar와 tender의 합성어이다.
  4. Flair는 bar를 부드럽게 만드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정답률: 66%)
  • Flair는 bar를 부드럽게 만드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바텐더가 칵테일 제조 과정에서 손재주와 기술을 발휘하여 보는 재미를 더해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Flair는 bar를 부드럽게 만드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구매관리와 관련된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먼저 반입된 저장품부터 소비한다.
  2. 필요한 물품반입은 휴점 시간을 활용한다.
  3. 공급업자와의 유대 관계를 고려하여 검수 과정은 생략한다.
  4. 정확한 재고 조사를 기준으로 적정 재고량을 확보한다.
(정답률: 78%)
  • 공급업자와의 유대 관계를 고려하여 검수 과정은 생략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검수 과정은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공급업자와의 유대 관계와는 무관하게 검수 과정은 생략할 수 없습니다.

    공급업자와의 유대 관계를 고려하여 검수 과정을 생략하는 것은 공급업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잘못된 판단입니다. 검수 과정을 생략하면 제품의 품질 문제로 인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공급업자와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수 과정은 생략하지 않고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바(Bar)에서 유리잔(Glass)을 취급·관리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Cocktail Glass는 목 부분(Stem)의 아래쪽을 잡는다.
  2. Wine Glass는 무늬를 조각한 크리스털 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Brandy Glass는 잔의 받침(Foot)과 볼(Bowl)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감싸 잡는다.
  4. 냉장고에서 차게 해 둔 잔(Glass)이라도 사용 전 반드시 파손과 청결상태를 확인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Wine Glass는 무늬를 조각한 크리스털 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입니다. 이유는 무늬를 조각한 크리스털 잔은 와인의 향과 맛을 더욱 더 잘 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다른 잔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중요한 연회시 그 행사에 관한 모든 내용이나 협조사항을 호텔 각 부서에 알리는 행사지시서는?

  1. Event order
  2. Check-up list
  3. Reservation sheet
  4. Banquet Memorandum
(정답률: 55%)
  • 행사지시서는 중요한 연회나 행사에 대한 모든 내용이나 협조사항을 호텔 각 부서에 알리는 문서입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작성되는 문서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Event order"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Event ord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Which one is not aperitif cocktail?

  1. Dry Martini
  2. Kir
  3. Campari Orange
  4. Grasshopper
(정답률: 42%)
  • Grasshopper is not an aperitif cocktail because it is a dessert cocktail made with cream and crème de menthe, which is a sweet liqueur. Aperitif cocktails are typically dry and bitter, meant to stimulate the appetite before a meal.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What is meaning of a walk-in guest?

  1. A guest with no reservation.
  2. Guest on charged instead of reservation guest.
  3. By walk-in guest.
  4. Guest that checks in through the front desk.
(정답률: 48%)
  • A walk-in guest is someone who arrives at a hotel or other accommodation without having made a reservation in advanc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아래의 ( )안에 적합한 것은?

  1. grain
  2. blended
  3. single malt
  4. bourbon
(정답률: 58%)
  • 위의 그림은 스카치 위스키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Grain"은 보통 쌀이나 옥수수 같은 곡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위스키를 의미하며, "blended"는 여러 종류의 위스키를 섞어 만든 것을 의미합니다. "Bourbon"은 미국에서 만들어지는 위스키 중 하나이며, 특정한 곡물과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single malt"가 정답인 이유는 이것이 스카치 위스키 중에서도 특정한 종류의 위스키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Single malt"는 한 종류의 보리만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한 지역에서 생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아래의 Guest와 Receptionist의 대화에서 ( ) 안에 알맞은 것은?

  1. A : at, B : each
  2. A : on, B : every
  3. A : to, B : at
  4. A : by, B : in
(정답률: 81%)
  • Guest가 매일 아침 7시에 먹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A : on"이 적합합니다. 또한, 매일 같은 시간에 먹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B : every"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on, B : ever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아래의 (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DOCG
  2. ONIVINS
  3. VOQS
  4. INAO
(정답률: 12%)
  • 이미지에서 보이는 와인병에는 "AOC" 로고가 있습니다. "AOC"는 "Appellation d'Origine Contrôlée"의 약자로, 프랑스에서 생산된 와인 중 특정 지역에서 특정 방식으로 생산된 와인에 대한 인증을 의미합니다. "INAO"는 "Institut National de l'Origine et de la Qualité"의 약자로, 프랑스에서 AOC 인증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INAO"는 프랑스에서 와인의 원산지와 품질을 인증하는 기관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아래의 ( ) 안에 적합한 단어는?

  1. familiar
  2. warm
  3. use
  4. accustom
(정답률: 45%)
  • 이미지에서는 두 사람이 서로를 알고 있고 친밀한 모습으로 대화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familiar"이 가장 적합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1. I'm sorry. I don't know.
  2. What are you talking about?
  3. I beg your parden.
  4. What did you say?
(정답률: 67%)
  •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을 때, 다시 한 번 말해달라는 뜻으로 "I beg your pardon."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을 때 "I beg your pardon."이라는 선택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약속과 관련된 표현과 거리가 먼 것은?

  1. He has got appointment all day on Monday.
  2. We made up.
  3. Anytime would be fine with me on that day.
  4. Let's promise.
(정답률: 68%)
  • "We made up."은 약속과 관련이 없는 표현입니다. "We made up."은 "우리는 화해했다."라는 의미로, 어떤 갈등이나 불화 상태에서 다시 친구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 ) 안에 가장 적합한 단어는?

  1. glass
  2. dish
  3. appitite
  4. dessert
(정답률: 40%)
  • 이미지에는 음식이 나와 있으며, "appetite"는 '식욕'을 뜻합니다. 따라서, "appetite"가 가장 적합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바텐더가 손님에게 처음 주문을 받을 때 할 수 있는 표현은?

  1. What do you recommend?
  2. Would you care for a drink?
  3. What would you like with that?
  4. Do you have a reservation?
(정답률: 69%)
  • "Would you care for a drink?"는 바텐더가 손님에게 첫 주문을 받을 때 사용하는 표준적인 표현입니다. 이는 공손하고 친근한 느낌을 주며, 손님이 마시고 싶은 음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What do you recommend?"은 바텐더가 추천하는 음료를 묻는 것이므로, 손님이 선택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What would you like with that?"은 음식과 함께 마실 음료를 묻는 것이므로, 음식을 주문하지 않은 손님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Do you have a reservation?"은 예약 여부를 묻는 것이므로, 주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