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28)

조주기능사
(2010-03-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위스키의 종류 중 증류방법에 의한 분류는?

  1. Malt Whiskey
  2. Grain Whiskey
  3. Blended Whiskey
  4. Patent Whiskey
(정답률: 57%)
  • 증류방법에 의한 분류에서 "Patent Whiskey"는 증류과정에서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여 더욱 순수하게 증류된 위스키를 말합니다. 이는 다른 위스키에 비해 더욱 깔끔하고 부드러운 맛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높은 가격대의 위스키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Benedictine bottle에 적힌 D·O·M의 의미는?

  1. 완전한 사랑
  2. 최선 최대의 신에게
  3. 쓴맛
  4. 순록의 머리
(정답률: 95%)
  • D·O·M은 "Deo Optimo Maximo"의 약어로, 라틴어로 "최선 최대의 신에게"를 의미합니다. 이는 Benedictine 주류의 제조사인 Benedictine Monks가 신앙심을 담아 만든 술이기 때문에, 그들이 숭배하는 신에게 바친다는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피아워(Happy Hour)란?

  1. 손님이 가장 많은 시간
  2. 하루 중 시간을 정해서 가격을 낮춰 영업하는 시간
  3. 하루 중 고객에게 특별행사로 가격을 인상해서 영업하는 시간
  4. 단골 고객에게 선물 주는 시간
(정답률: 80%)
  • 해피아워는 하루 중 시간을 정해서 가격을 낮춰 영업하는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Jack Daniel's와 Bourbon Whiskey의 차이점은?

  1. 옥수수의 사용 여부
  2. 단풍나무 숯을 이용한 여과 과정의 유무
  3. 내부를 불로 그을린 오크통에서 숙성시키는지의 여부
  4. 미국에서 생산되는지의 여부
(정답률: 60%)
  • Jack Daniel's는 단풍나무 숯을 이용한 여과 과정을 거치고, Bourbon Whiskey는 이를 거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혼성주(Compounded Liquo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칵테일 제조나 식후주로 사용된다.
  2. 발효주에 초근목피의 침출물을 혼합하여 만든다.
  3. 색체, 향기, 감미, 알코올의 조화가 잘 된 술이다.
  4. 혼성주는 고대그리스 시대에 약용으로 사용되었다.
(정답률: 69%)
  • "혼성주는 고대그리스 시대에 약용으로 사용되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혼성주는 발효주에 초근목피의 침출물을 혼합하여 만든다는 이유는 초근목피에는 약초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술의 맛과 향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가니쉬(Garnishes)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칵테일의 혼합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2. 칵테일에 장식되는 각종 과일과 채소를 말한다.
  3. 칵테일을 블랜딩하여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4. 칵테일에 대한 향과 맛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률: 87%)
  • 가니쉬는 칵테일에 장식되는 각종 과일과 채소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raft(of Draught) Beer란?

  1. 미살균 생맥주
  2. 살균 생맥주
  3. 살균 병맥주
  4. 장기저장 가능 맥주
(정답률: 75%)
  • Draft beer refers to beer that is served directly from a keg or cask, without being pasteurized or filtered. "미살균 생맥주" means unpasteurized draft beer, which contains live yeast and bacteria that give it a fresher and more complex flavor profile. The other options, "살균 생맥주" and "살균 병맥주," refer to pasteurized and bottled beer, which has a longer shelf life but may have a less nuanced taste. "장기저장 가능 맥주" means beer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which is not necessarily related to whether it is draft or bottled.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Brandy와 Cognac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료의 성질이 다른 것이다.
  2. 같은 술의 종류이지만 생산지가 다르다.
  3. 보관 연도별로 구분한 것이다.
  4. 내용물이 알코올 함량이 크게 차이가 난다.
(정답률: 84%)
  • Brandy와 Cognac은 모두 와인을 증류하여 만든 강도가 높은 술입니다. 그러나 Brandy는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반면, Cognac은 프랑스의 Cognac 지방에서만 생산됩니다. 따라서 같은 술의 종류이지만 생산지가 다르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여러 가지 양주류와 부재료, 과즙 등을 적당량 혼합하여 칵테일을 조주하는 방법으로 가 장 바람직한 것은?

  1. 강한 단맛이 생기도록 한다.
  2. 식욕과 감각을 자극하는 샤프함을 지니도록 한다.
  3. 향기가 강하게 한다.
  4. 색(Color), 맛(Taste), 향(Flavour)이 조화롭게 한다.
(정답률: 88%)
  • 색, 맛, 향은 칵테일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야 칵테일의 맛과 향이 최대한 살아납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주류와 부재료, 과즙 등을 혼합하여 강한 단맛, 샤프한 맛, 강한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며, 이를 통해 색, 맛, 향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완성도 높은 칵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데킬라의 주 원료는?

  1. 아가베
  2. 포도
  3. 옥수수
  4. 호밀
(정답률: 87%)
  • 데킬라는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술로, 주 원료로 사용되는 아가베는 멕시코 원산지의 선인장 종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가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Gallon이 128oz이면, 1Pint는 몇 oz인가?

  1. 32oz
  2. 16oz
  3. 26.6oz
  4. 12.8oz
(정답률: 55%)
  • 1Gallon은 8Pint이므로, 1Pint는 1/8Gallon이 됩니다.

    1Gallon = 128oz
    1Pint = 1/8Gallon = 128/8oz = 16oz

    따라서, 1Pint는 16o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선시대 정약용의 지봉유설에 전해오는 것으로 이것을 마시면 불로장생한다하여 장수 주로 유명하며, 주로 찹쌀과 구기자, 고유약초로 만들어지는 우리나라 고유의 술은?

  1. 두견주
  2. 백세주
  3. 문배주
  4. 이강주
(정답률: 91%)
  • 조선시대 정약용의 지봉유설에 따르면 백세주를 마시면 불로장생한다고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백세주는 장수와 건강에 좋은 술로 유명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쉐리와인(Sherry Wine)과 같은 강화와인(Fortified Wine) 한잔(1Glass)의 용량으로 가 장 적합한 것은?

  1. 1 ounce
  2. 3 ounce
  3. 5 ounce
  4. 7 ounce
(정답률: 56%)
  • 쉐리와인과 같은 강화와인은 일반 와인보다 알코올 도수가 높기 때문에 소량으로 즐기는 것이 적합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잔의 용량은 3 온스(ounce)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 oun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Onion 장식을 하는 칵테일은?

  1. Margarita
  2. Martint
  3. Rob Roy
  4. Gibson
(정답률: 88%)
  • Onion 장식은 Gibson 칵테일에 사용됩니다. Gibson 칵테일은 Martini와 유사하지만, Martini의 올리브 대신 양파를 사용하여 장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뜨거운 칵테일은?

  1. Irish coffee
  2. Pink Lady
  3. Pina colada
  4. Manhattan
(정답률: 95%)
  • "Irish coffee"는 커피와 위스키, 설탕, 크림 등을 섞어 만든 뜨거운 칵테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리큐르가 아닌 것은?

  1. Apricot Brandy
  2. Cherry Brandy
  3. Cognac Brandy
  4. Cream de Menthe
(정답률: 72%)
  • "Cognac Brandy"는 중복된 단어이기 때문에 정답은 "Cognac Brandy"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계량단위 중 옳은 것은?

  1. 1 oz = 28.35㎖
  2. 1dash = 6Teaspoon
  3. 1Jigger = 60㎖
  4. 1 Shot = 100㎖
(정답률: 74%)
  • 정답: "1 oz = 28.35㎖"

    설명:
    - 1 oz는 미국의 액체용량 단위인 fluid ounce(약 29.5735㎖)를 의미합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액체용량 단위로 fluid ounce 대신에 ounce(약 28.35㎖)를 사용합니다.
    - 따라서 1 oz는 28.35㎖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폴케(Pulque)를 증류해서 만든 술은?

  1. Rum
  2. Vodka
  3. Tequila
  4. Aquavkt
(정답률: 74%)
  • 폴케는 아귀(Agave) 식물의 수액을 발효시켜 만든 술입니다. Tequila는 아귀 식물의 수액을 증류하여 만든 술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나머지 셋과 칵테일 만드는 기법이 다른 것은?

  1. Martini
  2. Grasshopper
  3. Stinger
  4. Zoom Cocktail
(정답률: 43%)
  • 정답은 "Martini"입니다. 다른 셋은 모두 블렌딩(blending) 기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칵테일이지만, Martini는 스트레이닝(straining) 기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칵테일입니다. 스트레이닝 기법은 주로 술과 얼음을 섞은 후, 얼음을 걸러내어 만드는 방법으로, 블렌딩 기법과는 달리 믹서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크리스마스 칵테일로 알려져 있으며, 브랜디와 럼, 설탕, 달걀을 넣어 Shaking하고 밀크로 채워서 Nutmeg이나 계피를 뿌려 제공되는 칵테일은?

  1. Million Dollar
  2. Brandy Eggnog
  3. Drambuie
  4. Glass Hopper
(정답률: 91%)
  • 브랜디와 럼, 설탕, 달걀, 밀크, Nutmeg이 사용되는 칵테일은 Brandy Eggno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음료의 분류상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1. 맥주
  2. 브랜디
  3. 청주
  4. 막걸리
(정답률: 67%)
  • 나머지 셋은 모두 발효주류이지만, 브랜디는 증류주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달걀, 밀크 시럽 등의 부재료가 사용되는 칵테일을 만드는 방법은?

  1. Mix
  2. Stir
  3. Shake
  4. Float
(정답률: 95%)
  • 칵테일에 사용되는 부재료들은 높은 농도와 무게 때문에 잘 섞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Shake는 칵테일을 빠르게 섞어 부재료들을 잘 섞이게 하고, 빠르게 냉각시켜서 맛을 더욱 부드럽고 상큼하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Shak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효율적인 주장관리에서 FIFO(First -In, First-Out) 원칙이 철저하게 적용되어야 할 Beverage는?

  1. Brandy
  2. Whiskey
  3. Beer
  4. Tequila
(정답률: 85%)
  • Beer는 다른 음료에 비해 유통기한이 짧고, 맛과 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지기 때문에 FIFO 원칙이 철저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입고된 제품이 가장 먼저 출고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소프트 드링크(Soft Drink)에 해당하는 것은?

  1. 콜라
  2. 위스키
  3. 와인
  4. 맥주
(정답률: 75%)
  • 콜라는 탄산음료 중 하나로, 당을 많이 함유하고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음료수입니다. 따라서 소프트 드링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조주 용어인 페니어(Pannier)란?

  1. 데코레이션용 과일껍질을 말한다.
  2. 엔젤스 키스 등에서 사용하는 비중이 가벼운 성분을 ‘띄우는 것’을 뜻한다.
  3. 레몬, 오렌지 등을 얇게 써는 것을 말한다.
  4. 와인용 바구니를 말한다.
(정답률: 55%)
  • 페니어는 와인을 담는 바구니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Liqueur의 제조 방법이 아닌 것은?

  1. 양조법(Fermentation)
  2. 증류법(Distillation)
  3. 침출법(Infusion)
  4. 에센스법(Essence)
(정답률: 63%)
  • 양조법은 알코올을 만들기 위해 곡물이나 과일 등의 원료를 발효시켜 알코올을 추출하는 방법이지만, Liqueur는 이미 만들어진 알코올에 다양한 향료나 첨가물을 혼합하여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양조법은 Liqueur의 제조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칵테일을 고객에게 직접 서비스할 때 사용되는 Glass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Sour Glass
  2. Mixing Glass
  3. Saucer Champagne Glass
  4. Cocktail Glass
(정답률: 76%)
  • Mixing Glass는 칵테일을 섞기 위해 사용되는 유리로, 직접 고객에게 서비스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Sour Glass는 사워 칵테일에 적합하며, Saucer Champagne Glass는 샴페인에 적합하며, Cocktail Glass는 다양한 칵테일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싱가폴 슬링(Singapore Sling) 칵테일의 장식으로 알맞은 것은?

  1. 시즌과일(season fruits)
  2. 올리브(Olive)
  3. 필 어니언(Peel Onion)
  4. 계피(Cinnamon)
(정답률: 73%)
  • 싱가폴 슬링은 시즌과일을 사용하여 상큼하고 과일향이 강조된 칵테일이기 때문입니다. 올리브, 필 어니언, 계피는 다른 칵테일에서 사용되는 재료이지만, 싱가폴 슬링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Dessert wine은?

  1. Dry Sherry
  2. Cream Sherry
  3. Dry Vermouth
  4. Claret
(정답률: 67%)
  • Dessert wine은 일반적으로 당도가 높은 와인을 말합니다. Cream Sherry는 당도가 높은 스파니쉬 와인으로, 다른 보기들은 대부분 건조한 와인이므로 Dessert wine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Pousse cafe를 만드는 재료 중 가장 나중에 따르는 것은?

  1. Brandy
  2. Grenadine
  3. Creme de Menthe(White)
  4. Creme de Cassis
(정답률: 58%)
  • Pousse cafe는 층으로 쌓인 칵테일이기 때문에, 가장 무거운 재료부터 따라야 합니다. Brandy는 가장 무거운 재료 중 하나이기 때문에, 가장 나중에 따라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생맥주 저장 취급의 3대 원칙이 아닌 것은?

  1. 적정온도
  2. 적정압력
  3. 선입선출
  4. 장기저장
(정답률: 85%)
  • 생맥주는 신선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장기저장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장기저장"은 생맥주 저장 취급의 3대 원칙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원가를 변동비와 고정비로 구분할 때 변동비에 해당하는 것은?

  1. 임차료
  2. 직접재료비
  3. 재산세
  4. 보험료
(정답률: 80%)
  • 직접재료비는 생산량에 따라 비례하여 변동하는 비용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면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생산량이 감소하면 비례적으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원가를 변동비와 고정비로 구분할 때 직접재료비는 변동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리제품 Glsss를 관리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스템이 없는 Glass는 트레이를 사용하여 운반한다.
  2. 한꺼번에 많은 양의 Glass를 운반할 때는 Glass rack을 사용한다.
  3. 타월을 펴서 Glass 밑 부분을 감싸 쥐고 Glass의 윗부분을 타월로 닦는다.
  4. Glass를 손으로 운반할 때는 손가락으로 글라스를 끼워 받쳐 위로 향하도록 든다.
(정답률: 65%)
  • "Glass를 손으로 운반할 때는 손가락으로 글라스를 끼워 받쳐 위로 향하도록 든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이는 Glass를 뒤집어질 위험이 있으며, 손가락으로 받쳐서는 Glass를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방법은 스템이나 베이스를 잡아서 들거나, 트레이나 Glass rack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서비스 종사원이 사용하는 타월로 Arm Towel 혹은 Hand Towel이라고도 하는 것은?

  1. Table Cloth
  2. Under Cloth
  3. Napkin
  4. Service Towel
(정답률: 72%)
  • 서비스 종사원이 사용하는 타월은 손을 닦거나 테이블을 닦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다목적 사용성 때문에 "Service Towel"이라고 부릅니다. 반면에 "Table Cloth"는 테이블보다 큰 크기의 천으로 식사 시 사용되는 것이고, "Under Cloth"는 테이블보다 작은 크기의 천으로 테이블보다 아래쪽에 깔려있는 것을 말합니다. "Napkin"은 음식을 먹을 때 입 주변을 닦거나 음식을 닦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작은 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월 평균 소비량을 포함한 최대보유량을 계산하면?

  1. 130kg
  2. 134kg
  3. 148kg
  4. 132kg
(정답률: 28%)
  • 월 평균 소비량은 20kg이므로, 1년 동안의 소비량은 20kg × 12개월 = 240kg입니다. 따라서 최대보유량은 240kg + 12kg = 252kg입니다. 그러나 최대보유량은 250kg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정답은 132kg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칵테일 조주 기법이 다른 하나는?

  1. Gibson
  2. Martini
  3. Manhattan
  4. Pink Lady
(정답률: 61%)
  • "Pink Lady"는 다른 세 가지 칵테일과 달리 에그 화이트(달걀 흰자)를 사용하여 쉐이크하는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Vodka base cocktail은?

  1. Paradise Cocktail
  2. Million Dollars
  3. Bronx Cocktail
  4. Kiss of Fire
(정답률: 68%)
  • "Kiss of Fire"는 Vodka와 Tabasco 소스가 사용된 칵테일로, Vodka base cocktai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테이블의 분위기를 돋보이게 하거나 고객의 편의를 위해 중앙에 놓는 집기들의 배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ervice Wagon
  2. Show Plate
  3. B&B Plate
  4. Center Piece
(정답률: 75%)
  • "Center Piece"는 집기들의 배열 중앙에 위치하여 테이블의 분위기를 돋보이게 하거나 고객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장식용 집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Service Wagon"은 음식이나 음료를 서빙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이동식 트롤리, "Show Plate"는 메인 요리가 나오기 전에 서빙되는 장식용 접시, "B&B Plate"는 빵과 버터를 담는 작은 접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혼성주의 제조법이 아닌 것은?

  1. 증류법
  2. 에센스법
  3. 여과법
  4. 하면발효법
(정답률: 64%)
  • 하면발효법은 혼성주가 아닌 순수한 쌀누룩으로 만든 막걸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혼성주의 제조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저장관리 방법 중 FIFO란?

  1. 선입선출
  2. 선입후출
  3. 후입선출
  4. 임의불출
(정답률: 93%)
  • FIFO는 "First-In, First-Out"의 약어로, 가장 먼저 들어온 것이 가장 먼저 나가는 저장관리 방법입니다. 따라서 "선입선출"이라고도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Shaker의 사용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용하기 직전에 씻어 물기가 있는 채로 사용한다.
  2. 술을 먼저 넣고 그 다음에 얼음을 채운다.
  3. 얼음을 채운 후에 술을 따른다.
  4. 부재료를 넣고 술을 넣은 후에 얼음을 채운다.
(정답률: 83%)
  • Shaker는 얼음을 이용하여 술을 섞는 도구이기 때문에, 얼음을 채운 후에 술을 따르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렇게 하면 얼음이 술과 함께 섞여 냉각되고, 더욱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얼음을 채운 후에 술을 따른다."가 가장 적합한 사용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샴페인의 서비스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얼음을 채운 바스킷에 칠링(Chilling)한다.
  2. 호스트(Host)에게 상표를 확인한다.
  3. “펑”소리를 크게 하며 거품을 최대한 많이 내야 한다.
  4. 서브는 여자 손님부터 시계방향으로 한다.
(정답률: 84%)
  • “펑”소리를 크게 하며 거품을 최대한 많이 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샴페인을 서빙할 때는 거품을 최대한 적게 내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거품이 많으면 샴페인의 탄산이 빠져서 맛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랜차이즈업과 독립경영을 비교할 때 프랜차이즈업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수익성이 높다.
  2. 사업에 대한 위험도가 높다.
  3. 자금운영의 어려움이 있다.
  4. 대량구매로 원가절감에 도움이 된다.
(정답률: 87%)
  • 프랜차이즈업은 본사에서 대량으로 물품을 구매하여 가맹점에게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로 인해 가맹점은 독립경영자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이는 원가절감에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대량구매로 인한 원가절감은 프랜차이즈업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와인의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레드와인은 온도가 너무 낮으면 tannin의 떫은맛이 강해진다.
  2. 화이트와인은 실온과 비슷해야 신맛이 억제 된다.
  3. 레드와인은 고온에서 Fruity한 맛이 없어진다.
  4. 화이트와인은 차갑게 해야 신선한 맛이 강조된다.
(정답률: 70%)
  • "화이트와인은 차갑게 해야 신선한 맛이 강조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화이트와인은 실온과 비슷한 온도에서 마셔야 신맛이 억제되고, 향과 맛이 더욱 부드러워집니다. 차가운 온도에서는 와인의 맛과 향이 둔화되어 신선한 맛이 강조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와인 보관시 눕혀서 보관하는 이유와 거리가 먼 것은?

  1. 와인 보관을 편하게 하고 상표를 손님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 코르크의 틈으로 향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 와인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 와인의 숙성과 코르크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70%)
  • 와인 보관을 편하게 하고 상표를 손님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지칭하는 대상이 다른 하나는?

  1. Apptizer
  2. Anti Pasti
  3. Hors d'oeuvre
  4. Entree
(정답률: 27%)
  • "Entree"는 주요 요리를 지칭하는 반면, "Apptizer", "Anti Pasti", "Hors d'oeuvre"는 모두 전반적으로 식사를 시작할 때 제공되는 작은 요리를 지칭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텀블러(Tumbler)컵의 주요 용도는?

  1. 적포도주를 제공하는 컵
  2. 하이볼을 제공하는 컵
  3. 샴페인을 제공하는 컵
  4. 위스키를 제공하는 컵
(정답률: 67%)
  • 텀블러 컵은 높은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어 하이볼을 제공하기에 적합합니다. 하이볼은 위스키와 같은 독한 술을 물과 함께 섞어 마시는 음료이며, 텀블러 컵은 이러한 음료를 담기에 적합한 컵입니다. 따라서 텀블러 컵은 주로 하이볼을 제공하는 컵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병행복발효주는?

  1. 와인
  2. 맥주
  3. 사과주
  4. 청주
(정답률: 41%)
  • 병행복발효주는 주류 제조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미생물이 함께 작용하여 만들어지는 주류를 말합니다. 청주는 쌀과 누룩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데, 이때 쌀에서 발효된 알코올과 누룩에서 발생한 산성이 함께 작용하여 병행복발효가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청주는 병행복발효주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바텐더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음료 및 부재료의 보급과 Bar내의 청결을 유지한다.
  2. 직원의 근무시간표를 작성한다.
  3. 칵테일을 조주한다.
  4. Bar내의 모든 기물을 정리 정돈한다.
(정답률: 86%)
  • 바텐더는 직원의 근무시간표를 작성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이는 매니저나 인사 담당자의 역할입니다. 바텐더는 음료 및 부재료의 보급과 Bar내의 청결을 유지하며, 칵테일을 조주하고 Bar내의 모든 기물을 정리 정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바텐더의 자세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1. 영업 전 후 Inventory 정리를 한다.
  2. 유통기한을 수시로 체크한다.
  3. 손님과의 대화를 위해 뉴스, 신문 등을 자주 본다.
  4. 고가의 상품판매를 위해 손님에게 강요한다.
(정답률: 87%)
  • 고가의 상품판매를 강요하는 것은 손님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신뢰를 상실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바텐더의 역할과 책임에 어긋나며, 손님의 만족도와 장기적인 매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The bar ( ) at seven o'clock everyday."에서 ( ) 안에 알맞은 것은?

  1. has open
  2. opened
  3. is opening
  4. opens
(정답률: 43%)
  • "at seven o'clock everyday"는 일상적인 일이므로, 현재 시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open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초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의 가장 올바른 표현은?

  1. Thank you for inviting me.
  2. Thank you for invitation me.
  3. It was thanks that you call me.
  4. Thank you that you invited me.
(정답률: 58%)
  • 정답은 "Thank you for inviting me."입니다.

    - "Thank you for invitation me."는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Thank you for inviting me."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 "It was thanks that you call me."는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일상적인 표현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Thank you for inviting me."가 더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 "Thank you that you invited me."는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일상적인 표현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Thank you for inviting me."가 더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따라서, "Thank you for inviting me."가 가장 올바른 표현입니다. 초대해주셔서 감사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Table Win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t is a wine term which is used in two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countries to signify a wine style and as a quality level within wine classification.
  2. In the United States, it is primarily used as a designation of a wine style, and refers to "ordinary wine", which is neither fortified nor sparkling.
  3. In the EU wine regulations, it is used for the higher of two overall quality categories for wine.
  4. It is fairly cheap wine that is drunk with meals.
(정답률: 50%)
  • 정답은 "It is fairly cheap wine that is drunk with meals."입니다. Table Wine은 EU 와인 규정에서는 두 가지 전반적인 품질 범주 중 높은 품질 범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미국에서는 일반 와인을 나타내는 와인 스타일의 지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a glossary of basic wine terms"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Balance : the portion of the wine's oder derived from the grape variety and fermentation.
  2. Nose : the total odor of wine composed of aroma, bouquet, and other factors.
  3. Body : the weight or fullness of wine on palate.
  4. Dry : a tasting term to denote the absence of sweetness in wine
(정답률: 53%)
  • "Balance : the portion of the wine's oder derived from the grape variety and fermentation." 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Balance는 와인의 산도, 당도, 탄닌도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와인이 균형잡힌 맛을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와인의 향은 Balance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This milk has gone bad"의 의미는?

  1. 이 우유는 상했다.
  2. 이 우유는 맛이 없다.
  3. 이 우유는 신선하다.
  4. 이 우유는 건강에 나쁘다.
(정답률: 86%)
  • "This milk has gone bad"는 "이 우유가 상하였다"라는 뜻입니다. "gone bad"는 식품이 상한 상태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이 우유는 상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Select the one which does not belong to aperitif.

  1. Sherry wine
  2. Campari
  3. Kir
  4. Port wine
(정답률: 44%)
  • Port wine is a dessert wine, while the other three options are commonly consumed as aperitifs before a meal.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디저트를 원하지 않는다.”의 의미의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I am eat very little
  2. I have no trouble with my dessert.
  3. Please help yourself to it.
  4. I don't care for any dessert.
(정답률: 77%)
  • "I don't care for any dessert."가 옳은 표현이다. 이는 "나는 디저트를 원하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care for"는 "~을 좋아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서, "I don't care for any dessert."는 "나는 어떤 디저트도 좋아하지 않는다"라는 뜻이 된다. 다른 보기들은 "I am eat very little"은 "나는 매우 적게 먹는다"라는 뜻이고, "I have no trouble with my dessert."는 "나는 디저트를 먹는 데 문제가 없다"라는 뜻이며, "Please help yourself to it."는 "자유롭게 드세요"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I'm sorry, but ch, Margaux is not ( ) the wine list."에서 ( )에 알맞은 것은?

  1. on
  2. of
  3. for
  4. against
(정답률: 67%)
  • 정답은 "on"입니다.

    "on the wine list"는 "와인 목록에 있는"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문장 전체를 해석하면 "미안하지만, Margaux는 와인 목록에 없습니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Bring us ( ) round of beer."에서 ( )안에 알맞은 것은?

  1. each
  2. another
  3. every
  4. all
(정답률: 64%)
  • "Bring us another round of beer"는 이전에 이미 맥주를 한 번 시켰고, 이제 또 다시 맥주를 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nother"가 가장 알맞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It is distilled from the fermented juice or sap of a type of agave plant."에서 It의 종류는?

  1. aquavit
  2. tequila
  3. gin
  4. eaux de vie
(정답률: 20%)
  • It의 종류는 "tequila"입니다. 이유는 문장에서 "distilled"와 "agave plant"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이는 테킬라가 만들어지는 방법과 재료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