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2-12)

조주기능사
(2012-02-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다음 중 연속식 증류(Patent Still Whisky)법으로 증류하는 위스키는?

  1. Irish Whiskey
  2. Blended Whisky
  3. Malt Whisky
  4. Grain Whisky
(정답률: 64%)
  • 연속식 증류법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곡물의 전체를 사용하여 증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곡물 위스키 중에서도 연속식 증류법으로 증류하는 것은 Grain Whisky입니다. Irish Whiskey는 일반적으로 Pot Still 방식으로 증류하며, Blended Whisky는 Malt Whisky와 Grain Whisky를 혼합한 것입니다. Malt Whisky는 대부분 Pot Still 방식으로 증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바텐더가 Bar에서 Glass를 사용할 때 가장 먼저 체크하여야 할 사항은?

  1. Glass의 가장자리 파손여부
  2. Glass의 청결여부
  3. Glass의 재고 여부
  4. Glass의 온도 여부
(정답률: 90%)
  • Glass의 가장자리 파손여부를 먼저 체크해야 하는 이유는 파손된 가장자리가 있을 경우 손님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손된 가장자리가 있으면 잔이 깨질 가능성이 높아져 안전에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텐더는 Glass를 사용하기 전에 가장자리를 체크하여 손님과 안전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민속주 도량형「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곡식이나 액체, 가루 등의 분량을 재는 것이다.
  2. 보통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써 나무와 쇠로 만든다.
  3. 분량(1되)을 부피의 기준으로 하여 2분의 1을 1홉(合)이라고 한다.
  4. 1되는 약 1.8리터 정도이다.
(정답률: 86%)
  • 분량(1되)을 부피의 기준으로 하여 2분의 1을 1홉(合)이라고 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분량(1되)을 무게의 기준으로 하여 2분의 1을 1홉(合)이라고 합니다. 1되는 약 1.8리터 정도이지만, 이는 부피가 아닌 무게를 재는 민속주 도량형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칵테일 제조 방법 중 셰이킹(Shaking)이란?

  1. 재료를 셰이커(Shaker)에 넣고 흔들어서 혼합하는 과정을 말한다.
  2. 칵테일 제조가 끝난 후에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3. 칵테일 제조가 끝난 후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
  4. 칵테일에 대한 향과 맛을 배합
(정답률: 97%)
  • 셰이킹은 칵테일 제조 방법 중 하나로, 재료를 셰이커에 넣고 흔들어서 혼합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재료들이 잘 섞이고, 얼음이 녹아서 칵테일에 대한 향과 맛을 배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로마(Aroma)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도의 품종에 따라 맡을 수 있는 와인의 첫 번째 냄새 또는 향기이다.
  2. 와인의 발효과정이나 숙성과정 중에 형성되는 여러 가지 복잡 다양한 향기를 말한다.
  3. 원료 자체에서 우러나오는 향기이다.
  4. 같은 포도품종이라도 토양의 성분, 기후, 재배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정답률: 53%)
  • 정답은 "와인의 발효과정이나 숙성과정 중에 형성되는 여러 가지 복잡 다양한 향기를 말한다."가 아닌 "원료 자체에서 우러나오는 향기이다."입니다. 와인의 아로마는 포도의 품종, 토양의 성분, 기후, 재배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와인 제조 과정에서도 다양한 화학 반응에 의해 형성됩니다. 따라서 와인의 아로마는 단순히 원료 자체에서 우러나오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과 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샴페인 포도 품종이 아닌 것은?

  1. 삐노 느와르(Pinot Noir)
  2. 삐노 뮈니에(Pinot Meunier)
  3. 샤르도네(Chardonnay)
  4. 쎄미뇽(Semillon)
(정답률: 79%)
  • 쎄미뇽은 샴페인 포도 품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ry Martini」를 만드는 방법은?

  1. Mix
  2. Stir
  3. Shake
  4. Float
(정답률: 83%)
  • Dry Martini는 주로 Stir 방법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는 주로 Gin과 Vermouth를 사용하는데, 이 두 재료는 delicate한 향과 맛을 가지고 있어서 Shake 방법으로 만들 경우에는 물과 같은 얇은 레이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Stir 방법은 두 재료를 서서히 섞어주면서 냉각시키기 때문에 더욱 부드러운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칵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욕을 증진시키는 윤활유 역할
  2. 감미를 포함시켜 아주 달게 만들어 마시기 쉬워야 한다.
  3. 식욕 증진과 동시에 마음을 자극하여 분위기를 만들어 내야 한다.
  4. 제조 시 재료의 넣는 순서에 유의해야 한다.
(정답률: 82%)
  • "감미를 포함시켜 아주 달게 만들어 마시기 쉬워야 한다."가 틀린 것은, 칵테일은 반드시 달아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칵테일은 각각의 재료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음료수이며, 단맛 뿐만 아니라 쓴맛, 신맛, 씁쓸한 맛 등 다양한 맛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칵테일을 만들 때는 각각의 재료들이 어떤 맛을 가지고 있는지 고려하여 적절한 비율로 섞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Floating의 방법으로 글라스에 직접 제공하여야 할 칵테일은?

  1. Highball
  2. Gin Fizz
  3. Pousse cafe
  4. Flip
(정답률: 84%)
  • Floating은 칵테일의 상단에 가벼운 알코올 음료를 부드럽게 떠 놓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Pousse cafe는 다른 칵테일과 달리 층을 이루는 칵테일로, 각각의 층을 구분하기 위해 Floating 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Pousse cafe가 글라스에 직접 제공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계랑 단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1 Dash는 1/30 Ounce이며, 0.9㎖
  2. 1 Teaspoon은 1/8 Ounce로 3.7㎖
  3. 1 cℓ은 1/10㎖이다.
  4. 1 ℓ는 32 온스이며 960㎖이다.
(정답률: 68%)
  • 1 Teaspoon은 1/8 Ounce로 표기되는 이유는 미국에서는 액체의 양을 계량할 때 Ounce 단위를 사용하는데, 1 Ounce는 29.5735㎖이다. 따라서 1/8 Ounce는 29.5735/8 = 3.6967㎖이 되며, 이를 근사하여 3.7㎖로 표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약주, 탁주 제조에 사용되는 발효제가 아닌 것은?

  1. 누룩
  2. 입국
  3. 조효소제
  4. 유산균
(정답률: 82%)
  • 유산균은 약주, 탁주 제조에 사용되는 발효제가 아닙니다. 이는 유산균이 아직까지 알코올 발효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산균은 대부분 유제품 제조에 사용되며, 유산균 발효를 통해 요구르트, 치즈, 발효유 등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위스키(Whisky)를 만드는 과정이 맞게 배열된 것은?

  1. Mashing - Fermentation - Distillation - Aging
  2. Fermentation - Mashing - Distillation - Aging
  3. Aging - Fermentation - Distillation - Mashing
  4. Distillation- Fermentation - Mashing - Aging
(정답률: 83%)
  • 위스키를 만드는 과정은 Mashing(증류용 발효주 제조), Fermentation(발효), Distillation(증류), Aging(숙성)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Mashing - Fermentation - Distillation - Aging"이 맞게 배열된 것입니다. 먼저 발효용 주를 만들기 위해 Mashing을 하고, 이후 발효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발효된 액체를 증류하여 술의 농도를 높이고, 마지막으로 숙성을 통해 맛과 향을 부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오드 비(Eau-de-Vie)와 관련 있는 것은?

  1. Tequila
  2. Grappa
  3. Gin
  4. Brandy
(정답률: 47%)
  • 오드 비(Eau-de-Vie)는 과일이나 증류주를 발효시켜 만든 강한 알코올 음료입니다. 브랜디(Brandy)는 와인을 증류하여 만든 강한 알코올 음료로, 오드 비와 마찬가지로 증류주에 속합니다. 따라서 오드 비와 관련 있는 것 중 브랜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칵테일 조주 시 술이나 부재료, 주스의 용량을 재는 기구로 스테인리스제가 많이 쓰이며, 삼각형 30㎖와 45㎖의 컵이 등을 맞대고 있는 기구는?

  1. 스트레이너
  2. 믹싱글라스
  3. 지거
  4. 스퀴저
(정답률: 97%)
  •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 기구 중에는 스테인리스제로 만들어진 용량을 재는 컵이 있습니다. 이 중에 삼각형 모양의 30㎖와 45㎖의 컵이 맞닿아 있는 기구가 지거입니다. 이 기구는 칵테일을 만들 때 정확한 용량을 재는 데 사용되며, 측정한 용량을 바로 믹싱글라스에 넣어주기도 합니다. 스트레이너는 주스나 얼음 조각 등을 걸러주는 기구, 스퀴저는 과일이나 야채를 갈아서 주스를 내는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칵테일을 만들 때 흔들거나 섞지 않고 글라스에 직접 얼음과 재료를 넣어 Bar Spoon이나 머들러로 휘저어 만드는 방법으로 적합한 칵테일은?

  1. 스크류 드라이버
  2. 스팅어
  3. 마가리타
  4. 싱가폴 슬링
(정답률: 81%)
  • 스크류 드라이버는 오렌지 주스와 보드카로 만드는 간단한 칵테일로, 흔들거나 섞지 않고 바로 글라스에 얼음과 재료를 넣어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칵테일들은 보통 흔들거나 섞어야 하는데, 이는 재료들을 잘 섞어서 맛을 균일하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스크류 드라이버는 오렌지 주스와 보드카만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휘저어 섞지 않아도 재료들이 잘 섞이기 때문에 바로 글라스에 넣어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양조주가 아닌 것은?

  1. 맥주(Beer)
  2. 와인(Wine)
  3. 브랜디(Brandy)
  4. 폴케(Pulque)
(정답률: 79%)
  • 브랜디는 양조주가 아닌 증류주에 해당합니다. 맥주와 와인은 발효주, 폴케는 멕시코 전통발효주이며, 브랜디는 와인 등의 알코올성 음료를 증류하여 만든 강한 도수의 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뜨거운 칵테일은?

  1. Irish Coffee
  2. Pink Lady
  3. Pina Colada
  4. Manhattan
(정답률: 95%)
  • Irish Coffee는 커피와 위스키, 설탕, 크림이 섞여 만들어지는 뜨거운 칵테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발포성 와인의 이름이 아닌 것은?

  1. 스페인 - 까바(Cava)
  2. 독일 - 젝트(Sekt)
  3. 이탈리아 - 스푸만테(Spumante)
  4. 포르투갈 - 도세(Doce)
(정답률: 78%)
  • 포르투갈의 발포성 와인은 "포르투갈 - 포르토(Porto)"이며, "도세(Doce)"는 단맛이 강한 포르투갈의 디저트 와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음료류의 식품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향탄산음료 : 먹는 물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착향료 제외)등을 가한 후 탄산가스를 주입한 것을 말한다.
  2. 착향탄산음료 : 탄산음료에 식품첨가물(착향료)을 주입한 것을 말한다.
  3. 과실음료 : 농축과실즙(또는 과실 분), 과실주스 등을 원료로하여 가공한 것(과실즙 10%이상)을 말한다.
  4. 유산균 음료 : 유가공품 또는 식물성 원료를 효모로 발효시켜 가공(살균을 포함)한 것을 말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유산균 음료 : 유가공품 또는 식물성 원료를 효모로 발효시켜 가공(살균을 포함)한 것을 말한다." 이다. 유산균 음료는 유산균을 사용하여 발효시킨 음료이며, 효모는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포도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yrah : 최근 호주의 대표품종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호주에 서는 Shiraz 라고 부른다.
  2. Gamay : 주로 레드 와인으로 사용되며 과일향이 풍부한 와인 이 된다.
  3. Merlot : 보르도, 캘리포니아, 칠레 등에서 재배되며, 부드러 운 맛이 난다.
  4. Pinot Noir : 보졸레에서 이 품종으로 정상급 레드와인을 만들고 있으며, 보졸레 누보에 사용된다.
(정답률: 76%)
  • Pinot Noir은 보졸레에서만 재배되는 것이 아니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사용되는 포도품종이다. 따라서 "Pinot Noir : 보졸레에서 이 품종으로 정상급 레드와인을 만들고 있으며, 보졸레 누보에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샴페인의 발명자는?

  1. Bordeaux
  2. Champagne
  3. St. Emilion
  4. Dom Perignon
(정답률: 83%)
  • Dom Perignon은 17세기 프랑스 샴페인 지역의 수도사였으며, 샴페인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발명가입니다. 그는 샴페인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기술적 발견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샴페인의 맛과 품질을 개선시켰습니다. 따라서 그는 샴페인의 발명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맥주용 보리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껍질이 얇아야 한다.
  2. 담황색을 띄고 윤기가 있어야 한다.
  3. 전분 함유량이 적어야 한다.
  4. 수분 함유량이 13% 이하로 잘 건조되어야 한다.
(정답률: 70%)
  • 맥주용 보리에서는 전분 함유량이 적어야 합니다. 이는 맥주 제조 과정에서 전분이 맥주의 맛과 향을 간섭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분 함유량이 적은 보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제조 방법에 따른 술의 분류로 옳은 것은?

  1. 발효주, 증류주, 추출주
  2. 양조주, 증류주, 혼성주
  3. 발효주, 칵테일, 에센스 주
  4. 양조주, 칵테일, 여과주
(정답률: 78%)
  • 양조주는 곡물 등을 발효시켜 만든 술로, 예를 들어 맥주가 이에 해당합니다. 증류주는 발효주를 증류하여 만든 술로, 예를 들어 위스키가 이에 해당합니다. 혼성주는 여러 가지 원료를 혼합하여 만든 술로, 예를 들어 칵테일이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양조주, 증류주, 혼성주"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장식으로 양파(Cocktail Onion)가 필요한 것은?

  1. 마티니(Martini)
  2. 깁슨(Gibson)
  3. 좀비(Zombie)
  4. 다이쿼리
(정답률: 91%)
  • 깁슨은 마티니와 비슷한 칵테일인데, 양파 한 개가 장식으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양파가 필요하지 않거나 다른 장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Table Wine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White Wine
  2. Red Wine
  3. Rose Wine
  4. Cream Sherry
(정답률: 90%)
  • Cream Sherry는 fortified wine(증류 와인)으로, 일반적인 table wine으로는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비알코올성 음료의 분류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청량음료
  2. 영양음료
  3. 발포성음료
  4. 기호음료
(정답률: 70%)
  • 발포성음료는 비알코올성 음료 중에서 탄산가스를 함유하고 있어서 발포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성질을 가진 청량음료, 영양음료, 기호음료와는 분류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비알코올성 음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ecaffeinated Coffee는 Caffein을 제거한 커피이다.
  2. 아라비카종은 에티오피아가 원산지인 향이 우수한 커피이다.
  3. 에스프레소 커피는 고압의 수증기로 추출한 커피이다.
  4. Cocoa는 카카오 열매의 과육을 말려 가공한 것이다.
(정답률: 79%)
  • Cocoa는 카카오 열매의 씨앗에서 추출한 가공품으로, 과육이 아닌 씨앗에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Cocoa는 카카오 열매의 과육을 말려 가공한 것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칵테일은?

  1. Collins
  2. Martini
  3. Flip
  4. Rickey
(정답률: 71%)
  • 위의 재료들로 만드는 칵테일 중에는 "Collins" 칵테일에 사용되는 재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llins" 칵테일은 레몬 주스와 설탕, 탄산수, 진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데, 위의 재료들 중에서도 레몬 주스와 설탕, 탄산수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ollin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단맛」이라는 의미의 프랑스어는?

  1. Trocken
  2. Blanc
  3. Cru
  4. Doux
(정답률: 82%)
  • 프랑스어 "Doux"는 "단맛"을 의미합니다. 이는 프랑스어에서 "달콤한"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91%)
  • 정답은 "C"입니다. 나머지 셋은 모두 동그라미 안에 있는 숫자들의 합이 10이지만, "C"는 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주로 일품요리를 제공하며 매출을 증대 시키고, 고객의 기호와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그 날의 특별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은?

  1. 다이닝 룸
  2. 그릴
  3. 카페테리아
  4. 텔리카트슨
(정답률: 70%)
  • 그릴은 주로 일품요리를 제공하며 매출을 증대시키고, 고객의 기호와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그 날의 특별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이기 때문입니다. 그릴은 고기, 생선, 채소 등을 직접 그릴에 구워서 제공하는 스타일의 레스토랑으로, 이를 통해 고객들은 신선하고 맛있는 요리를 즐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용량이 가장 작은 글라스는?

  1. Old Fashioned Glass
  2. Highball Glass
  3. Cocktail Glass
  4. Shot Glass
(정답률: 95%)
  • 용량이 가장 작은 글라스는 Shot Glass입니다. Shot Glass는 일반적으로 1~2 온스의 용량을 가지며, 주로 술을 한 모금에 마시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글라스들보다 용량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빈(Bin)의 의미하는 것은?

  1. 프랑스산 포도주
  2. 주류저장소에 술병을 넣어 놓는 장소
  3. 칵테일 조주 시 가장 기본이 되는 주재료
  4. 글라스를 세척하여 담아 놓는 기구
(정답률: 72%)
  • 빈(Bin)은 주류저장소에 술병을 넣어 놓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이는 와인 등의 술을 보관하고 보호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바텐더가 지켜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근무하여 고객을 공평이 대할 것
  2. 업장에 손님이 없을 시에도 서비스 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것
  3. 고객의 취향에 맞추어 서비스 할 것
  4. 고객끼리의 대화를 할 경우 적극적으로 대화에 참여할 것
(정답률: 95%)
  • 고객끼리의 대화는 개인적인 공간이므로 바텐더는 적극적으로 대화에 참여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는 고객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바텐더의 업무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음료를 서빙 할 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품이 아닌 것은?

  1. Napkin
  2. Coaster
  3. Serving Tray
  4. Bar Spoon
(정답률: 92%)
  • "Bar Spoon"은 음료를 서빙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비품이 아니라, 주로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주 방법 중「Stirr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칵테일을 차게 만들기 위해 믹싱글라스에 얼음을 넣고 바 스푼으로 휘저어 만드는 것
  2. Shaking으로는 얻을 수 없는 설탕을 첨가한 차가운 칵테일을 만드는 방법
  3. 칵테일을 완성시킨 후 향기를 가미 시킨 것
  4. 글라스에 직접 재료를 넣어 만드는 방법
(정답률: 92%)
  • Stirring은 칵테일을 차게 만들기 위해 믹싱글라스에 얼음을 넣고 바 스푼으로 휘저어 만드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Squeez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Bar에서 사용하는 Measure-Cup의 일종이다.
  2. Mixing Glass를 대용할 때 쓴다.
  3. Strainer가 없을 때 흔히 사용한다.
  4. 과일즙을 낼 때 사용한다.
(정답률: 93%)
  • "Squeezer"는 과일즙을 낼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믹싱 글라스(Mixing Glass)를 이용하여 만든 칵테일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① ② ⑤
  2. ① ④ ⑤
  3. ② ④ ⑥
  4. ① ③ ⑥
(정답률: 58%)
  • 주어진 칵테일들 중 믹싱 글라스를 이용하여 만든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Old Fashioned: 이 칵테일은 믹싱 글라스 대신 직접 록글라스에서 만들어집니다.

    ② Manhattan: 이 칵테일은 믹싱 글라스에서 만들어집니다.

    ③ Margarita: 이 칵테일은 쉐이커에서 만들어집니다.

    ④ Martini: 이 칵테일은 믹싱 글라스에서 만들어집니다.

    ⑤ Mojito: 이 칵테일은 쉐이커에서 만들어집니다.

    ⑥ Negroni: 이 칵테일은 믹싱 글라스에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믹싱 글라스를 이용하여 만든 칵테일은 ②, ④, ⑥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칵테일 레시피(Recipe)를 보고 알 수 없는 것은?

  1. 칵테일의 색깔
  2. 칵테일의 분량
  3. 칵테일의 성분
  4. 칵테일의 판매량
(정답률: 96%)
  • 칵테일 레시피에서는 칵테일의 색깔, 분량, 성분 등을 알 수 있지만, 칵테일의 판매량은 레시피와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알 수 없습니다. 칵테일의 판매량은 해당 칵테일을 판매하는 가게나 바에서 따로 파악하고 관리하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Measure Cup」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종 주류의 용량을 측정한다.
  2. 윗 부분은 1oz(30 ㎖)이다.
  3. 아랫부분은 1.5oz(45 ㎖)이다.
  4. 병마개를 감쌀 때 쓰일 수 있다.
(정답률: 76%)
  • 정답: "병마개를 감쌀 때 쓰일 수 있다."

    이유: Measure Cup은 주류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졌으며, 따라서 병마개를 감쌀 때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재고 관리상 쓰이는「F.I.F.O」란 용어의 뜻은?

  1. 정기 구입
  2. 선입 선출
  3. 임의 불출
  4. 후입 선출
(정답률: 97%)
  • F.I.F.O는 "First In, First Out"의 약어로, 먼저 들어온 것을 먼저 내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선입 선출"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맥주의 보관ㆍ유통 시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심한 진동을 가하지 않는다.
  2. 너무 차게 하지 않는다.
  3. 햇볕에 노출시키지 않는다.
  4. 장기 보관 시 맥주와 공기가 접촉되게 한다.
(정답률: 92%)
  • 장기 보관 시 맥주와 공기가 접촉되게 되면 산화가 일어나게 되어 맥주의 맛과 향이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맥주는 공기가 접촉되지 않도록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구매된 주류에 대한 저장관리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적정 온도유지의 원칙
  2. 품목별 분류저장의 원칙
  3. 고가위주의 저장원칙
  4. 선입선출의 원칙
(정답률: 96%)
  • 고가위주의 저장원칙은 주류의 가격이 높은 제품을 우선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하는 원칙입니다. 하지만 이는 주류의 품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저장관리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즉, 주류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정 온도유지의 원칙, 품목별 분류저장의 원칙, 선입선출의 원칙 등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프론트 바(Front Ba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문과 서브가 이루어지는 고객들의 이용 장소로서 일반적으로 폭 40cm, 높이 120cm가 표준이다.
  2. 술과 전을 전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3. 술을 저장하는 창고이다.
  4. 주문과 서브가 이루어지는 고객들의 이용 장소로서 일반적으로 폭 80cm, 높이 150cm가 표준이다.
(정답률: 82%)
  • 주문과 서브가 이루어지는 고객들의 이용 장소로서 일반적으로 폭 40cm, 높이 120cm가 표준이다. - 프론트 바는 고객들이 주문하고 음료를 받는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폭 40cm, 높이 120cm가 표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와인과 음식과의 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1. 식전 - Dry Sherry Wine
  2. 식후 - Port Wine
  3. 생선 - Sweet Wine
  4. 육류 - Red Wine
(정답률: 71%)
  • 생선은 일반적으로 매우 가벼운 맛과 향을 가지고 있으며, 담백하고 신선한 맛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단맛이 강한 스위트 와인과는 매우 어울리지 않습니다. 오히려, 생선과 같은 가벼운 음식에는 건조한 셰리 와인이나 라이트한 화이트 와인이 더 어울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계란, 설탕 등의 부재료가 사용되는 칵테일을 혼합할 때 사용하는 기구는?

  1. Shaker
  2. Mixing Glass
  3. Strainer
  4. Muddler
(정답률: 86%)
  • 칵테일을 혼합할 때는 주로 얼음과 함께 부재료를 섞어야 합니다. Shaker는 얼음과 함께 부재료를 섞는 데 사용되며, 다른 보기들은 주로 얼음 없이 부재료를 섞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Shake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Bock Be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알코올도수가 높은 흑맥주
  2. 알코올도수가 낮은 담색 맥주
  3. 이탈리아산 고급 흑맥주
  4. 제조 12시간 내의 생맥주
(정답률: 82%)
  • Bock Beer는 알코올도수가 높은 흑맥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백포도주의 보관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4~18℃
  2. 12~16℃
  3. 8~10℃
  4. 5~6℃
(정답률: 75%)
  • 백포도주는 보관 온도가 너무 높으면 맛과 향이 변질되고, 너무 낮으면 맛이 무르거나 얼어버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포도주의 보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8~10℃입니다. 이 온도는 외부 온도 변화에도 안정적이며, 백포도주의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온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애플 마티니(Apple Martini) 칵테일 원가비율을 20%에 맞추어 판매하고자 할 때, 재료비가 1,500원이라면 판매가는?

  1. 7,500원
  2. 8,500원
  3. 9,000원
  4. 10,000원
(정답률: 63%)
  • 애플 마티니 칵테일의 원가비율이 20%이므로, 재료비의 20%는 판매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됩니다. 따라서, 재료비 1,500원의 20%는 300원이며, 이를 판매가격에서 빼면 실제 수익이 됩니다.

    판매가격 - 300원 = 1,500원

    판매가격 = 1,500원 + 300원

    판매가격 = 1,800원

    하지만, 보기에서는 판매가격이 7,500원, 8,500원, 9,000원, 10,000원으로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판매가격이 1,800원이 되려면 보기에서 주어진 가격 중에서 7,500원이 되어야 합니다.

    즉, 판매가격 = 재료비 + (재료비 x 원가비율) = 1,500원 + (1,500원 x 20%) = 1,800원

    따라서, 정답은 "7,5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와인(Wine)을 오픈(Open)할 때 사용하는 기물로 적당한 것은?

  1. Corkscrew
  2. White Napkin
  3. Ice Tongs
  4. Wine Basket
(정답률: 96%)
  • 와인을 오픈할 때는 와인병의 캡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때 캡을 제거하는 도구로는 코크스크류(Corkscrew)가 가장 적합합니다. 코크스크류는 와인병의 캡을 꼬리모양으로 빼내는데 사용되며, 와인을 오픈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orkscre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As a rule, the dry wine is served ( ).

  1. in the meat course
  2. in the fish course
  3. before dinner
  4. after dinner
(정답률: 85%)
  • Dry wine is typically served before dinner as an aperitif to stimulate the appetite and prepare the palate for the meal to come. It is also a common social ritual to offer guests a glass of wine upon their arrival.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correct in the blank?

  1. The same again, sir?
  2. One for the road?
  3. I have another waiting on ice for you.
  4. Cheers, sir!
(정답률: 49%)
  • The correct answer for the blank is "I have another waiting on ice for you." because it suggests that the person has already been drinking and has another drink waiting for them, which could be seen as irresponsible or encouraging excessive drinking. "Cheers, sir!" is a polite and appropriate response to someone ordering a drink.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아래는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Sherry
  2. Rum
  3. Vodka
  4. Blood Mary
(정답률: 58%)
  • 위 그림은 칵테일 메뉴 중 "Sherry" 칵테일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어떤 술에 대한 설명인가?

  1. Gin
  2. Rum
  3. Vodka
  4. Tequila
(정답률: 73%)
  • 이 술은 주로 증류된 곡물 주정과 향신료를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주로 토닉워터와 함께 마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술은 Gin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Which of the following is made from grape?

  1. Calvados
  2. Rum
  3. Gin
  4. Brandy
(정답률: 69%)
  • Brandy is made from grape because it is a distilled spirit that is produced by fermenting and distilling win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실례했습니다.」의 표현과 거리가 먼 것은?

  1. I'm Sorry to have disturbed you.
  2. I'm Sorry to have troubled you.
  3. I hope I didn't disturb you.
  4. I'm sorry I didn't interrupt you
(정답률: 72%)
  • "I'm sorry I didn't interrupt you"는 다른 사람의 말을 방해하지 않았다는 것을 미리 사과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말을 마친 상황에서 끼어들지 않았다는 것을 사과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의미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Bring us ( ) round of beer.」에서 ( )에 알맞은 것은?

  1. each
  2. another
  3. every
  4. all
(정답률: 74%)
  • "Bring us another round of beer"는 이미 이전에 맥주를 마신 후에 또 다른 라운드를 주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Each"는 각각의 사람이 맥주 한 잔씩을 주문하는 것을 의미하며, "every"는 모든 사람이 맥주 한 잔씩을 주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ll"은 모든 맥주를 주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문장의 의미와는 조금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우리 호텔을 떠나십니까?」의 표현은?

  1. Do you start our hotel?
  2. Are you leave our hotel?
  3. Are you leaving our hotel?
  4. Do you go our hotel?
(정답률: 84%)
  • 정답은 "Are you leaving our hotel?"입니다.

    - "Do you start our hotel?"은 올바른 문법이 아니며, 의미도 이상합니다.
    - "Are you leave our hotel?"은 문법적으로 틀리며, 동사와 목적어의 형태가 맞지 않습니다.
    - "Do you go our hotel?"은 "go" 대신 "leave"를 사용해야 하며, 문장 구조도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Are you leaving our hotel?"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Are you"는 "당신이"를 뜻하며, "leaving"은 "떠나는 중이신가요?"를 뜻합니다. "Our hotel"은 "우리 호텔"을 뜻합니다. 따라서, 전체 문장은 "당신이 우리 호텔을 떠나시나요?"라는 의미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Which one is the most famous herb liqueur?

  1. Baileys Irish cream
  2. Benedictine D.O.M
  3. Cream de cacao
  4. Akvavit
(정답률: 81%)
  • Benedictine D.O.M is the most famous herb liqueur because it has been produced since the 16th century and has a unique recipe of 27 herbs and spices. It is also widely used in cocktails and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history of monasticis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른 보기들과 의미가 다른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79%)
  • 다른 보기들은 모두 숫자 6을 나타내고 있지만, D는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른 보기들과 의미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