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4-08)

조주기능사
(2012-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보졸레 누보 양조과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기계 수확을 한다.
  2. 열매를 분리하지 않고 송이채 밀폐 된 탱크에 집어넣는다.
  3. 발효 중 CO2의 영향을 받아 산도가 낮은 와인이 만들어 진다.
  4. 오랜 숙성 기간 없이 출하한다.
(정답률: 66%)
  • 기계 수확을 한다는 것은 포도를 수확할 때 기계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보졸레 누보 양조과정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닙니다. 보졸레 누보 양조과정에서는 수확한 포도를 발효 전에 분리하고, 발효 중에는 CO2의 영향을 받아 산도가 낮은 와인이 만들어지며, 오랜 숙성 기간을 거쳐 출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텀블러 글라스에 Dry Gin 1oz, Lime Juice 1/2oz, 그리고 Soda Water로 채우고 레몬슬라이스로 장식하여 제공되는 칵테일은?

  1. Gin Fizz
  2. Gimlet
  3. Gin Rickey
  4. Gibson
(정답률: 42%)
  • Dry Gin, Lime Juice, Soda Water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레몬 슬라이스로 장식된 칵테일은 Gin Rickey입니다. Gin Fizz는 Egg White가 포함되어 있고, Gimlet은 Lime Cordial이 사용되며, Gibson은 올리브가 장식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양조주에 해당하는 것은?

  1. 청주(淸酒)
  2. 럼주(Rum)
  3. 소주(Soju)
  4. 리큐르(Liqueur)
(정답률: 70%)
  • 청주는 일본의 '사케'와 유사한 발효주로, 쌀과 누룩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전통적인 한국의 양조주입니다. 따라서 청주가 양조주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Irish Whiske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깊고 진한 맛과 향을 지닌 몰트위스키도 포함된다.
  2. 피트훈연을 하지 않아 향이 깨끗하고 맛이 부드럽다.
  3. 스카치위스키와 제조과정이 동일하다.
  4. John Jameson, Old Bushmills가 대표적이다.
(정답률: 73%)
  • 스카치위스키와 제조과정이 동일하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Irish Whiskey는 스카치위스키와는 다른 제조과정을 거칩니다. Irish Whiskey는 보통 피트훈연을 하지 않아 향이 깨끗하고 맛이 부드러운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칵테일 중 Mixing Glass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Martini
  2. Gin Fizz
  3. Gibson
  4. Rob Roy
(정답률: 60%)
  • Gin Fizz는 쉐이커를 사용하여 만드는 칵테일이기 때문에 Mixing Glass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Rum의 원산지는?

  1. 러시아
  2. 카리브해 서인도제도
  3. 북미지역
  4. 아프리카지역
(정답률: 84%)
  • Rum은 대부분의 경우, 사탕수수를 원료로 하는 증류주입니다. 그리고 카리브해 서인도제도는 사탕수수 생산이 매우 발달한 지역 중 하나이며, Rum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Rum의 원산지는 카리브해 서인도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이트 포도 품종인 샤르도네만을 사용하여 만드는 샴페인은?

  1. Blanc de Noirs
  2. Blanc de Blanc
  3. Asti Spumante
  4. Beaujolais
(정답률: 76%)
  • Blanc de Blanc는 "화이트 포도"를 의미하며, 샤르도네 포도만 사용하여 만든 샴페인을 뜻합니다. 따라서, Blanc de Blanc가 정답입니다. Blanc de Noirs는 "블랙 포도"를 의미하며, 레드 와인을 만들 때 사용되는 블랙 포도만 사용하여 만든 샴페인을 뜻합니다. Asti Spumante는 이탈리아의 스파클링 와인이며, Beaujolais는 프랑스의 레드 와인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칵테일 조주에 필요한 기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Jigger
  2. Shaker
  3. Ice Equipment
  4. Straw
(정답률: 88%)
  • 칵테일을 만들 때는 얼음, 쉐이커, 측량컵(Jigger)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빨대(Straw)는 칵테일을 만들 때 필수적인 도구는 아니기 때문에 다른 기구들보다는 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Straw"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연결이 틀린 것은?

  1. 1Quart - 32oz
  2. 1Quart - 944㎖
  3. 1Quart - 1/4Gallon
  4. 1Quart - 25Pony
(정답률: 54%)
  • 1Quart은 32oz, 944㎖, 1/4Gallon과 같지만, 25Pony는 올바른 연결이 아닙니다. Pony는 체적의 단위 중 하나가 아니며, Quart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1Quart - 25Pony가 연결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Sparkling Wine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Champagne
  2. Sekt
  3. Cremant
  4. Armagnac
(정답률: 77%)
  • Armagnac은 스파클링 와인이 아니라 브랜디(Brand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와인의 등급을「AOC, VDQS, Vins De Pay, Vins De Table」로 구분하는 나라는?

  1. 이탈리아
  2. 스페인
  3. 독일
  4. 프랑스
(정답률: 79%)
  • 프랑스는 와인 생산량과 품질면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나라이며, 이에 따라 와인의 등급을 구분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AOC는 최상위 등급으로, 지정된 지역에서 특정한 재배 방법과 생산 과정을 거쳐 생산된 와인을 의미합니다. VDQS는 AOC보다는 낮은 등급으로, AOC로 승격될 가능성이 있는 와인을 의미합니다. Vins De Pay는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와인을 의미하며, Vins De Table은 가장 낮은 등급으로, 특정 지역이나 생산 방법에 대한 제한이 없는 와인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등급 구분 시스템은 프랑스 와인의 품질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음료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칼린스 믹스(Collins Mixer)는 레몬주스와 설탕을 주원료로 만든 착향 탄산음료이다.
  2. 토닉워터(Tonic Water)는 키니네(Quinine)를 함유하고 있다.
  3. 코코아(Cocoa)는 코코넛(Coconut) 열매를 가공하여 가루로 만 든 것이다.
  4. 콜라(Coke)는 콜라닌과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정답률: 86%)
  • 코코아는 코코넛과는 전혀 상관없이 카카오를 가공하여 만든 가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가장 많은 재료를 넣어 셰이킹 하는 칵테일은?

  1. Manhattan
  2. Apple Martini
  3. Gibson
  4. Pink Lady
(정답률: 71%)
  • 정답: Pink Lady

    설명: Pink Lady 칵테일은 gin, applejack brandy, 레몬 주스, 그레나딘 시럽, 계란 흰자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보다 더 많은 재료를 넣어 셰이킹하는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에서 말하는 물을 의미하는 것은?

  1. 우물물
  2. 광천수
  3. 암반수
  4. 정화수
(정답률: 5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정화조와 정화수 처리 시설이며, 이는 물을 정화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화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샴페인의「Extra Dry」라는 문구는 잔여 당분의 함량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이 문구를 삽입하고자 할 때 병에 함유된 잔여 당분의 정도는?

  1. 0 ~ 6 g/ℓ
  2. 6 ~ 12 g/ℓ
  3. 12 ~ 20 g/ℓ
  4. 20 ~ 50 g/ℓ
(정답률: 38%)
  • 샴페인의 당도는 잔여 당분의 함량으로 나타내는데, "Extra Dry"는 "Brut"보다 달지만 "Sec"보다는 덜 달다는 뜻이다. "Brut"의 잔여 당분 함량은 0 ~ 6 g/ℓ, "Sec"의 잔여 당분 함량은 17 ~ 35 g/ℓ이다. 따라서 "Extra Dry"의 잔여 당분 함량은 그 사이인 12 ~ 20 g/ℓ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꼬냑(Cognac)의 증류가 끝나도록 규정되어진 때는?

  1. 12월 31일
  2. 2월 1일
  3. 3월 31일
  4. 5월 1일
(정답률: 68%)
  • 꼬냑은 프랑스의 지정된 지역에서만 생산되며, 그 지역에서는 와인 증류가 3월 31일까지 허용되기 때문입니다. 이 날짜 이후에는 와인 증류가 금지되므로 꼬냑의 증류가 끝나도록 규정되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80 proof는 알코올 도수(%)로 얼마인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85%)
  • 80 proof는 40% 알코올 도수입니다. proof는 알코올 도수의 두 배이므로, 80 proof는 40%의 알코올 도수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혼성주의 제조 방법이 아닌 것은?

  1. 양조법(Fermentation)
  2. 증류법(Distillation)
  3. 침출법(Infusion)
  4. 에센스 추출법(Essence)
(정답률: 58%)
  • 양조법은 혼합된 원료를 발효시켜 술을 만드는 방법이며, 다른 세 가지 방법은 원료를 분리하거나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양조법은 혼성주의 제조 방법이며, 다른 방법들은 혼성주가 아닌 다른 형태의 음료나 원료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조주기법(Cocktail Technique)에 관한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tirring
  2. Distilling
  3. Straining
  4. Chilling
(정답률: 70%)
  • 조주기법은 칵테일을 만들 때 두 가지 이상의 액체를 섞는 방법 중 하나로, 주로 스튜어드 글래스에서 얼음과 함께 섞는 방법을 말합니다. 따라서 "Distilling"은 조주기법과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Distilling"은 주로 알코올을 추출하거나 술을 만들 때 사용되는 증류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포트와인 양조 시 전통적으로 포도의 색과 탄닌을 빨리 추출하기 위해 포도를 넣고 발로 밟는 화강암 통은?

  1. 라가르(Lagar)
  2. 마세라시옹(Maceration)
  3. 챱탈리제이션(Chaptalisation)
  4. 캐스크(Cask)
(정답률: 40%)
  • 포트와인 양조 시 전통적으로 포도를 발로 밟아 추출하는 화강암 통을 라가르(Lagar)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와인생산지역 중 나머지 셋과 기후가 다른 지역은?

  1. (ㄱ)
  2. (ㄴ)
  3. (ㄷ)
  4. (ㄹ)
(정답률: 37%)
  • (ㄹ)은 기후가 다른 지역입니다. 다른 셋은 모두 유럽 대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중해성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ㄹ)인 칠레는 남아메리카 대륙에 위치하며, 지중해성 기후와는 다른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Red Wine용 포도 품종은?

  1. Cabernet Sauvignon
  2. Chardonnay
  3. Pinot Blanc
  4. Sauvignon Blanc
(정답률: 66%)
  • Red Wine은 보통 Cabernet Sauvignon 포도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프로스팅(Frosting)기법이 사용되지 않는 칵테일은?

  1. Margarita
  2. Kiss of Fire
  3. Harvey Wallbanger
  4. Irish Coffee
(정답률: 41%)
  • 프로스팅 기법은 주로 달콤한 칵테일에 사용되는데, Harvey Wallbanger은 보드카와 오렌지 주스, 갈리아노 리큐르로 만들어진 비교적 깔끔한 맛의 칵테일이기 때문에 프로스팅 기법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Sidecar 칵테일을 만들 때 재료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Tequila
  2. Brandy
  3. White Curacao
  4. Lemon Juice
(정답률: 59%)
  • Sidecar 칵테일은 브랜디를 기본 베이스로 사용하는 칵테일이며, 티퀴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지봉유설에 전해오는 것으로 이것을 마시면 불로장생한다 하여 장수주로 유명하며, 주로 찹쌀과 구기자, 고유약초로 만들어진 우리나라 고유의 술은?

  1. 두견주
  2. 백세주
  3. 문배주
  4. 이강주
(정답률: 84%)
  • 지봉유설에 따르면 백세주를 마시면 불로장생한다고 전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Sugar Frost로 만드는 칵테일은?

  1. Rob Roy
  2. Kiss of Fire
  3. Margarita
  4. Angel's Tip
(정답률: 62%)
  • Sugar Frost는 달콤한 맛을 가진 시럽입니다. 따라서 Kiss of Fire 칵테일은 달콤한 맛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칵테일 조주시 셰이킹(Shaking)기법을 사용하는 재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우유나 크림
  2. 꿀이나 설탕시럽
  3. 증류주와 소다수
  4. 증류주와 계란
(정답률: 86%)
  • 칵테일 조주시 셰이킹 기법은 주로 알코올성 음료와 과일 주스, 시럽 등을 섞어 만드는데, 이때 증류주와 소다수는 섞어도 맛이 잘 어우러지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먼 재료입니다. 증류주는 강한 맛과 향이 있고, 소다수는 물과 탄산이 섞인 맛이기 때문에, 다른 재료와 섞어도 맛이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에서 이탈리아 와인 키안티 클라시코(Chianti Classico)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Gallo Nero
  2. Piasco
  3. Raffia
  4. Barbaresco
(정답률: 53%)
  • 이탈리아 와인 키안티 클라시코는 토스카나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으로, "Gallo Nero"라는 검은 닭 로고로 유명합니다. "Piasco"와 "Raffia"는 와인과는 관련이 없는 지명이며, 반면 "Barbaresco"는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으로, 키안티 클라시코와 지리적, 생산지역, 포도 품종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Barbaresco"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혼성주 특유의 향과 맛을 이루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과일
  2. 천연향료
  3. 곡물
(정답률: 79%)
  • 혼성주는 주로 곡물을 발효시켜 만들어지는데, 따라서 곡물은 혼성주의 특유의 향과 맛을 이루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곡물이 아닌 "과일", "꽃", "천연향료"가 혼성주의 특유의 향과 맛을 이루는 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혼성주(Compounded Liquor)종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아드보가트(Advocaat)는 브랜디에 계란노른자와 설탕을 혼합하여 만들었다.
  2. 드람브이(Drambuie)는「사람을 만족시키는 음료」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3. 알마냑(Armagnac)은 체리향을 혼합하여 만든 술이다.
  4. 깔루아(Khalua)는 증류주에 커피를 혼합하여 만든 술이다.
(정답률: 56%)
  • 알마냑(Armagnac)은 체리향을 혼합하여 만든 술이 아니다. 알마냑은 프랑스의 브랜디 중 하나로, 가스코뉴 지방에서 생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칵테일 글라스의 부위명칭으로 틀린 것은?

  1. (ㄱ) - Rim
  2. (ㄴ) - Face
  3. (ㄷ) - Body
  4. (ㄹ) - Bottom
(정답률: 69%)
  • 칵테일 글라스의 부위명칭으로 틀린 것은 "(ㄷ) - Body"입니다. 이는 칵테일 글라스의 전체적인 몸통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로, 보기에서는 "Stem"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어야 합니다. Stem은 글라스의 몸통과 바닥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보조 웨이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ssistant Waiter라고도 한다.
  2. 직무는 캡틴이나 웨이터의 지시에 따른다.
  3. 기물의 철거 및 교체, 테이블 정리ㆍ정돈을 한다.
  4. 재고조사(Inventory)를 담당한다.
(정답률: 86%)
  • 보조 웨이터는 음식과 음료를 서빙하고, 테이블을 정리하며, 캡틴이나 웨이터의 지시에 따라 일하는 직무를 맡습니다. 하지만 재고조사는 주로 주방이나 매니저가 담당하는 업무이므로, 보조 웨이터가 이를 담당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재고조사(Inventory)를 담당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숙성기간이 가장 긴 브랜디의 표기는?

  1. 3 Star
  2. V·S·O·P
  3. V·S·O
  4. X·O
(정답률: 85%)
  • 정답은 "X·O"입니다.

    브랜디의 숙성기간은 브랜디의 등급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등급은 보통 VS, VSOP, XO, 그리고 특별 등급으로 나뉩니다.

    XO는 Extra Old의 약자로, 최소 6년 이상 숙성된 브랜디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숙성기간이 가장 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Liqueur Glass의 다른 명칭은?

  1. Shot Glass
  2. Cordial Glass
  3. Sour Glass
  4. Goblet
(정답률: 63%)
  • Liqueur Glass는 주로 단맛의 알코올 음료를 마시기 위해 사용되는 작은 유리잔입니다. 이러한 음료는 일반적으로 코르디얼(Cordial)이라고 불리며, 따라서 Liqueur Glass는 Cordial Glass로도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장 경영에 있어서 프라임 코스트(Prime Cost)는?

  1. 감가상각과 이자율
  2. 식음료 재료비와 인건비
  3. 임대비 등의 부동산 관련 비용
  4. 초과근무수당
(정답률: 76%)
  • 프라임 코스트는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비용으로, 식음료 재료비와 인건비를 포함합니다. 이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비용이기 때문에, 이를 줄이는 것이 경영의 핵심이 됩니다. 따라서 프라임 코스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줄이는 것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바(Bar)의 종류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Jazz Bar
  2. Back Bar
  3. Western Bar
  4. Wine Bar
(정답률: 72%)
  • Back Bar은 바의 종류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바 내부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바테이블과 바텐더가 사용하는 바 뒷면의 공간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바의 종류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Aperitif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식욕촉진용으로 사용되는 얼음이다.
  2. 라틴어 Aperire(Open)에서 유래되었다.
  3. 약초계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씁쓸한 향을 지니고 있다.
  4. 당분이 많이 함유된 단맛이 있는 술이다.
(정답률: 67%)
  • Aperitif의 특징 중 단맛이 있는 술이라는 것은 오히려 틀린 정보입니다. Aperitif는 식욕촉진용으로 사용되는 얼음이며, 라틴어 Aperire(Open)에서 유래되었으며, 약초계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씁쓸한 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당분이 많이 함유된 단맛이 있는 술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셰이커(Shaker)를 이용하여 만든 칵테일을 짝지은 것으로 올바른 것은?

  1. ① ② ⑤
  2. ① ④ ⑤
  3. ② ④ ⑥
  4. ① ② ⑥
(정답률: 56%)
  • 이미지에서 보이는 셰이커를 이용하여 만든 칵테일은 "Martini"이며, Martini는 주로 Gin 또는 Vodka와 Vermouth를 섞어 만든 칵테일입니다. 따라서, Gin 또는 Vodka와 Vermouth가 포함된 ①, ②, ⑤가 올바른 답입니다. ④와 ⑥은 이미지에서 보이는 재료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Angel's Kiss를 만들 때 사용하는 것은?

  1. Shaker
  2. Mixing Glass
  3. Blender
  4. Bar Spoon
(정답률: 38%)
  • Angel's Kiss는 슈터(shooter) 칵테일로, 쉐이커나 믹싱 글래스, 블렌더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바 스푼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스트링(shaking)하지 않고 레이어링(layering)하여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Port Wine을 가장 옳게 표현한 것은?

  1. 항구에서 막노동을 하는 선원들이 즐겨 찾던 적포도주
  2. 적포도주의 총칭
  3. 스페인에서 생산되는 식탁용 드라이(Dry) 포도주
  4. 포르투갈에서 생산되는 감미(Sweet) 포도주
(정답률: 74%)
  • Port Wine은 포르투갈에서 생산되는 감미(Sweet) 포도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구에서 즐겨 마시는 것이나 총칭이거나 다른 나라에서 생산되는 드라이 포도주와 관련이 있지만, Port Wine은 포르투갈에서 생산되며 감미한 맛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생맥주의 취급의 기본원칙 중 틀린 것은?

  1. 적정온도준수
  2. 후입선출
  3. 적정압력유지
  4. 청결유지
(정답률: 96%)
  • 정답은 "후입선출"입니다.

    후입선출은 식품저장에 있어서 적용되는 원칙 중 하나이지만, 생맥주의 취급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후입선출은 저장공간에서 식품을 보관할 때, 먼저 들어온 식품을 먼저 사용하고, 나중에 들어온 식품은 나중에 사용하는 원칙을 말합니다. 이는 식품의 유통기한을 지키고,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생맥주는 유통기한이 짧은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후입선출 원칙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적정온도준수, 적정압력유지, 청결유지 등의 원칙을 준수하여 생맥주의 맛과 품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orkage Charge」의 의미는?

  1. 고객이 다른 곳에서 구입한 주류를 바(Bar)에 가져와서 마실 때 부과되는 요금
  2. 고객이 술을 보관할 때 지불하는 보관 요금
  3. 고객이 Battle 주문시 따라 나오는 Soft Drink의 요금
  4. 적극적인 고객 유치를 위한 판촉비용
(정답률: 90%)
  • Corkage Charge는 고객이 다른 곳에서 구입한 주류를 바(Bar)에 가져와서 마실 때 부과되는 요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류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는?

  1. Jigger Glass
  2. Mixing Glass
  3. Straw
  4. Decanter
(정답률: 94%)
  • 주류의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는 Jigger Glass입니다. Jigger Glass는 일반적으로 1온스와 1.5온스의 두 가지 용량을 가지고 있어서, 칵테일 제조에 많이 사용됩니다. Mixing Glass는 주류를 섞는 용도로 사용되며, Straw는 음료를 마시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Decanter는 주류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잔(Glass) 가장자리에 소금, 설탕을 묻힐 때 빠르고 간편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칵테일 기구는?

  1. 글라스 리머(Glass Rimmer)
  2. 디켄터(Decanter)
  3. 푸어러(Pourer)
  4. 코스터(Coaster)
(정답률: 86%)
  • 글라스 리머는 잔 가장자리에 소금, 설탕 등을 묻히는 작업을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칵테일 기구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글라스 리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글라스(Glass)의 위생적인 취급방법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Glass는 불쾌한 냄새나 기름기가 없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2. Glass는 비눗물에 닦고 뜨거운 물과 맑은 물에 헹궈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3. Glass를 차갑게 할 때는 냄새가 전혀 없는 냉장고에서 Frosting 시킨다.
  4. 얼음으로 Frosting 시킬 때는 냄새가 없는 얼음인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정답률: 83%)
  • Glass를 비눗물에 닦고 뜨거운 물과 맑은 물에 헹궈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옳은 방법입니다. 따라서, "Glass는 비눗물에 닦고 뜨거운 물과 맑은 물에 헹궈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가 아닌 다른 보기가 옳지 못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칵테일에서 사용되는 청량음료로 Quinine, Lemon 등 여러 가지 향료 식물로 만든 것은?

  1. Soda Water
  2. Ginger Ale
  3. Collins Mixer
  4. Tonic Water
(정답률: 72%)
  • Quinine, Lemon 등 여러 가지 향료 식물로 만들어진 청량음료는 Tonic Wa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와인의 적정온도 유지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관 장소는 햇빛이 들지 않고 서늘하며, 습기가 없는 곳이 좋다.
  2. 연중 급격한 온도변화가 없는 곳이어야 한다.
  3. 와인에 전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없는 곳이 좋다.
  4. 코르크가 젖어 있도록 병을 눕혀서 보관해야 한다.
(정답률: 80%)
  • "코르크가 젖어 있도록 병을 눕혀서 보관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원칙입니다. 와인 병을 눕혀서 보관하면 코르크가 젖어서 와인이 맛이나 향이 변질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와인 병은 항상 세워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칵테일에 관련된 각 용어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Cocktail Pick - 장식에 사용하는 핀
  2. Peel - 과일 껍질
  3. Decanter - 신맛이라는 뜻
  4. Fix - 약간 달고, 맛이 강한 칵테일의 종류
(정답률: 86%)
  • Decanter은 유리병으로, 주로 와인이나 위스키 등을 따로 따로 담아놓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신맛"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마티니(Martini)를 만들 때 사용하는 칵테일 기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믹싱글라스(Mixing Glass)
  2. 바 스트레이너(Bar Strainer)
  3. 바 스푼(Bar Spoon)
  4. 셰이커(Shaker)
(정답률: 78%)
  • 마티니는 주로 스티어드(stirred) 방식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셰이커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셰이커는 주로 쉐이크(shake) 방식으로 만드는 칵테일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셰이커(Shak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Dry Martini의 레시피가「Gin 2 oz, Dry Vermouth 1/4 oz, Olive 1개」이며 판매가가 10,000이다. 재료별 가격이 다음과 같을 때 원가율은?

  1. 10 %
  2. 12 %
  3. 15 %
  4. 18 %
(정답률: 49%)
  • Dry Martini의 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Gin 2 oz : 2 oz × 1,500원/oz = 3,000원
    - Dry Vermouth 1/4 oz : 1/4 oz × 1,000원/oz = 250원
    - Olive 1개 : 1개 × 200원/개 = 200원

    따라서, Dry Martini 한 잔의 원가는 3,000원 + 250원 + 200원 = 3,450원이다.

    판매가가 10,000원이므로, 원가율은 (10,000원 - 3,450원) ÷ 10,000원 × 100% = 65.5%이다.

    따라서, 정답은 "1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Which is not one of four famous Whiskies in the world?

  1. Canadian Whisky
  2. Scotch Whisky
  3. American Whisky
  4. Japanese Whisky
(정답률: 84%)
  • The reason why "Japanese Whisky" is not one of the four famous whiskies in the world is because it is a relatively new player in the whisky industry, with the first distillery only opening in the early 1920s. While Japanese whiskies have gained popularity and recognition in recent years, they have not yet achieved the same level of global recognition and prestige as Canadian, Scotch, and American whiskie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 )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this
  2. what
  3. which
  4. something
(정답률: 42%)
  • 이미지에서 물음표가 있는 것으로 보아, 물어보는 문장일 것이다. "What"은 물어보는 것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단어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의미가 다른 하나는?

  1. It's my treat this time.
  2. I'll pick up the tab.
  3. Let's go Dutch.
  4. It's on me.
(정답률: 86%)
  • "Let's go Dutch."는 각자 계산하자는 의미이고, 나머지는 모두 "내가 쏠게"라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What is a Sommelier?

  1. Bartender
  2. Wine Steward
  3. Pub Owner
  4. Waiter
(정답률: 76%)
  • Sommelier is a wine steward who is an expert in wine and responsible for selecting, purchasing, and serving wine in a restaurant or hotel.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 ) 안에 들어갈 단어로 알맞은 것은?

  1. doing
  2. takes
  3. gives
  4. make
(정답률: 55%)
  • 이미지에서는 "Money doesn't (make) happiness" 라는 문장이 나타나 있습니다. 이 문장은 "돈이 행복을 만들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mak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 )에 들어갈 단어로 알맞은 것은?

  1. Ice Wine
  2. Red Wine
  3. Vermouth
  4. Dry Sherry
(정답률: 73%)
  • 위 그림은 얼음 와인(Ice Wine)의 생산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얼음 와인은 겨울철에 얼어붙은 포도를 수확하여 만든 와인으로, 포도가 얼어붙은 상태에서 수확하므로 당도가 높아 맛이 풍부하고 진하며, 얼음 와인을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생산량이 적어서 가격이 비싸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은 얼음 와인(Ice Wine)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 )에 들어갈 단어로 알맞은 것은?

  1. distillation
  2. fermentation
  3. infusion
  4. decanting
(정답률: 61%)
  • 위 그림은 맥주 제조 과정 중 발효(fermentation) 단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ermenta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 )에 들어갈 단어로 옳음 것은?

  1. be, over
  2. liking, off
  3. like, on
  4. alike, off
(정답률: 87%)
  • 이미지에서는 "like"와 "on"이 보이는데, "like"는 비슷한 느낌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on"은 켜져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like, 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distilled liquor?

  1. Vodka
  2. Gin
  3. Calvados
  4. Pulque
(정답률: 60%)
  • Pulque is not a distilled liquor because it is made through a fermentation process of the sap of the maguey plant, rather than being distilled like the other options listed.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래의 Guest(G)와 Receptionist(R)의 대화에서 ( ) 안에 들어갈 단어로 알맞은 것은?

  1. A : at, B : each
  2. A : on, B : every
  3. A : to, B : at
  4. A : by, B : in
(정답률: 78%)
  • G: Hi, I'd like to book a room for two nights, ( ) the 15th and 16th of July.

    R: Sure, we have availability ( ) those dates. What type of room would you like?

    - A : on, B : every

    "A : on"은 특정한 날짜를 가리키는 전치사로, "the 15th and 16th of July"와 같이 특정한 날짜를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쓰입니다. "B : every"는 "모든"을 뜻하는 형용사로, "we have availability every those dates"와 같이 문법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on, B : ever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