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20)

조주기능사
(2012-10-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주류학개론

1. 곡물(grain)을 원료로 만든 무색투명한 증류주에 두송자(juniper berry)의 향을 착향시킨 술은?

  1. tequila
  2. rum
  3. vodka
  4. gin
(정답률: 83%)
  • 두송자는 gin의 주 재료 중 하나이며, 다른 보기인 tequila, rum, vodka는 두송자를 사용하지 않는 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g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탈리아산 포도주
  2. 스페인산 백포도주
  3. 프랑스산 샴페인
  4. 독일산 포도주
(정답률: 65%)
  • 보기 중에서 "스페인산 백포도주"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백포도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포도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만들어진 칵테일에 손의 체온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때 사용되는 글라스(glass)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stemmed glass
  2. old fashioned glass
  3. highball glass
  4. collins glass
(정답률: 80%)
  • 손의 체온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글라스와 손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긴 줄기(stem)가 있는 stemmed glass가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직접 손이 닿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손의 체온이 전달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우리나라의 증류식 소주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안동소주
  2. 제주 한주
  3. 경기 문배주
  4. 금산 삼송주
(정답률: 48%)
  • 금산 삼송주는 증류식 소주가 아니라 발효식 소주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증류식 소주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깁슨(Gibson) 칵테일에 알맞은 장식은?

  1. 올리브(Olive)
  2. 민트(Mint)
  3. 체리(Cherry)
  4. 칵테일 어니언(Cocktail onion)
(정답률: 80%)
  • 깁슨 칵테일은 보통 진과 드라이 버무스를 섞어 만든 칵테일로, 칵테일 어니언은 이 칵테일에 알맞은 장식입니다. 칵테일 어니언은 작고 흰 양파를 식초와 설탕에 절인 것으로, 깁슨 칵테일의 색과 어울리며 매우 고급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와인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경요소(terroir, 테루와르)
  2. 양조기술
  3. 포도품종
  4. 부케(bouquet)
(정답률: 79%)
  • 환경요소, 양조기술, 포도품종은 모두 와인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부케는 와인의 향기와 향미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와인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부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일반적으로 단식증류기(Pot still)로 증류하는 것은?

  1. Kentucky Straight Bourbon whiskey
  2. Grain whisky
  3. Dark rum
  4. Aquavit
(정답률: 57%)
  • 단식증류기는 일반적으로 특정 원료의 맛과 향을 강조하는 술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Dark rum은 단식증류기로 증류하여 고유한 달콤하고 풍부한 맛과 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Kentucky Straight Bourbon whiskey는 새 오크통에서 숙성되어 특유의 바닐라와 캐러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며, Grain whisky는 다양한 곡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중립적인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Aquavit은 허브와 스파이스를 첨가하여 만들어지는 스칸디나비아의 전통주이며, 증류 방법은 다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상면발효 맥주로 옳은 것은?

  1. bock beer
  2. budweiser beer
  3. porter beer
  4. asahi beer
(정답률: 74%)
  • 상면발효 맥주는 상면발효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맥주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porter beer"는 상면발효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다양한 스타일의 맥주 중 하나로, 짙은 색상과 커피, 초콜릿 등의 풍미가 특징입니다. 따라서, 상면발효 맥주 중에서 "porter beer"가 옳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Malt Whisky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대량의 양조주를 연속식으로 증류해서 만든 위스키
  2. 단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2회의 증류과정을 거쳐 만든 위스키
  3. 피트탄(peat,석탄)으로 건조한 맥아의 당액을 발효해서 증류한 피트향과 통의 향이 배인 독특한 맛의 위스키
  4. 옥수수를 원료로 대맥의 맥아를 사용하여 당화시켜 개량 솥으로 증류한 고농도 알코올의 위스키
(정답률: 60%)
  • Malt Whisky는 피트탄으로 건조한 맥아의 당액을 발효해서 증류한 피트향과 통의 향이 배인 독특한 맛의 위스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연결이 옳은 것은?

  1. absinthe - 노르망디 지방의 프랑스산 사과 브랜디
  2. campari -주정에 향쑥을 넣어 만드는 프랑스산 리큐르
  3. calvados -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생산되는 와인
  4. chartreuse - 승원(수도원)이란 뜻을 가진 리큐르
(정답률: 71%)
  • chartreuse는 프랑스의 리옹 근처에 있는 승원에서 만들어진 리큐르로, 이름은 승원(수도원)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Scotch whisk에 꿀(Honey)을 넣어 만든 혼성주는?

  1. Cherry Heering
  2. Cointreau
  3. Galliano
  4. Draimbuie
(정답률: 74%)
  • Draimbuie는 스카치 위스키에 꿀과 허브를 혼합하여 만든 리큐어 혼성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커피(Coffee)의 제조방법 중 틀린 것은?

  1. 드립식(drip filter)
  2. 퍼콜레이터식(percolator)
  3. 에스프레소식(espresso)
  4. 디켄터식(decanter)
(정답률: 68%)
  • 디켄터식은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이 아니라, 추출된 커피를 담는 용기의 종류입니다. 따라서, 디켄터식은 커피를 제조하는 방법 중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프랑스의 발포성 와인으로 옳은 것은?

  1. Vin Mousseux
  2. Sekt
  3. Spumante
  4. Perlwein
(정답률: 70%)
  • Vin Mousseux는 프랑스어로 "발포성 와인"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는 Vin Mousseux가 프랑스의 발포성 와인을 나타내는 유일한 올바른 선택지입니다. Sekt는 독일의 발포성 와인, Spumante는 이탈리아의 발포성 와인, Perlwein은 독일어로 "발포성 와인"을 의미하지만, 프랑스의 발포성 와인을 나타내는 용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생명의 물“ 이라고 지칭되었던 유래가 없는 술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위스키
  2. 브랜디
  3. 보드카
(정답률: 58%)
  • "생명의 물"이라는 지칭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보기 중 하나인 "진"이 정답인 이유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금을 Cocktail Glass 가장자리에 찍어서(Riming) 만드는 칵테일은?

  1. Singapore Sling
  2. Side Car
  3. Margarita
  4. Snowball
(정답률: 76%)
  • Margarita는 소금을 가장자리에 찍어 만드는 칵테일로, 다른 보기들은 소금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드카가 기주로 쓰이지 않는 칵테일은?

  1. 맨해탄
  2. 스크루드라이브
  3. 키스 오브 화이어
  4. 치치
(정답률: 65%)
  • 맨해탄은 위스키 기반의 칵테일이며, 일반적으로 라이 또는 버번 위스키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보드카가 아닌 위스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드카가 기주로 쓰이지 않는 칵테일 중 하나입니다. 스크루드라이브, 키스 오브 화이어, 치치는 모두 보드카를 기반으로 한 칵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 quart는 몇 ounce인가?

  1. 1
  2. 16
  3. 32
  4. 38.4
(정답률: 64%)
  • 1 quart는 32 ounce입니다. 이는 미국의 체적 단위 시스템에서 1 quart가 4 cups이고, 1 cup이 8 ounce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 x 8 = 32 ounce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Long Drin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로 텀블러 글라스, 하이볼 글라스 등으로 제공한다.
  2. 탐 콜린스, 진피즈 등이 속한다.
  3. 일반적으로 한 종류 이상의 술에 청량음료를 섞는다.
  4. 무알콜 음료의 총칭이다.
(정답률: 85%)
  • Long Drink는 무알콜 음료의 총칭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한 종류 이상의 술에 청량음료를 섞어 만든 칵테일이다. 따라서 정답은 "무알콜 음료의 총칭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in & Tonic에 알맞은 glass와 장식은?

  1. Collins Glass - Pineapple Slice
  2. Cocktail Glass - Olive
  3. Cocktail Glass - Orange Slice
  4. Highball Glass - Lemon Slice
(정답률: 73%)
  • Gin & Tonic은 일반적으로 Highball Glass에 담겨서 제공됩니다. 또한, Gin & Tonic에는 레몬 슬라이스가 일반적으로 장식으로 사용되며, 이는 음료의 상큼하고 시원한 맛을 더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Highball Glass - Lemon Slic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주류의 주정도수가 높은 것부터 낮은 순서대로 나열된 것으로 옳은 것은?

  1. Vermouth > Brandy > Fortified Wine > Kahlua
  2. Fortified Wine > Vermouth > Brandy > Beer
  3. Fortified Wine > Brandy > Beer > Kahlua
  4. Brandy > Galliano > Fortified Wine > Beer
(정답률: 74%)
  • 정답은 "Brandy > Galliano > Fortified Wine > Beer" 입니다.

    Brandy는 증류주로 알코올 함량이 높아 주정도수가 높습니다. Galliano는 허브와 스파이스가 첨가된 리큐어로 알코올 함량이 높아 주정도수가 높습니다. Fortified Wine은 증류주가 첨가된 와인으로 알코올 함량이 높아 주정도수가 높습니다. Beer는 발효주로 알코올 함량이 낮아 주정도수가 낮습니다.

    따라서, Brandy와 Galliano는 주정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되고, Fortified Wine은 그 다음에 나오며, Beer는 가장 주정도수가 낮은 순서로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칵테일 제조에 사용되는 얼음(Ice)종류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쉐이브드 아이스(Shaved Ice) : 곱게 빻은 가루 얼음
  2. 큐브드 아이스(Cubed Ice) : 정육면체의 조각얼음 또는 육각형 얼음
  3. 크렉드 아이스(Cracked Ice) : 큰 얼음을 아이스 픽(Ice Pick)으로 깨어서 만든 각얼음
  4. 럼프 아이스(lump Ice) : 각얼음을 분쇄하여 만든 작은 콩알 얼음
(정답률: 87%)
  • "쉐이브드 아이스(Shaved Ice) : 곱게 빻은 가루 얼음"이 틀린 설명입니다. 쉐이브드 아이스는 얼음을 얇게 썰어서 만든 얼음 조각으로, 곱게 빻은 가루 얼음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스카치 위스키(Scotch Whisky)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Malt
  2. Peat
  3. Used Sherry Cask
  4. Used Limousin Oak Cask
(정답률: 55%)
  • "Used Limousin Oak Cask"는 스카치 위스키 제조에 사용되는 오크통 중 하나이지만, 스카치 위스키와는 거리가 먼 것은 오크통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스카치 위스키는 대부분 샤리통이나 버번통을 사용하는 반면, "Used Limousin Oak Cask"는 프랑스의 리모진 지방에서 생산되는 오크통으로, 보통 코냑(Cognac)이나 와인 등 다른 주류를 보관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Used Limousin Oak Cask"는 스카치 위스키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제조방법상 발효 방법이 다른 차(Tea)는?

  1. 한국의 작설차
  2. 인도의 다르질링(Darjeeling)
  3. 중국의 기문차
  4. 스리랑카의 우바(Uva)
(정답률: 74%)
  • 한국의 작설차는 다른 차들과 달리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삶아서 만들기 때문에 발효 방법이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한국의 작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브랜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포도 또는 과실을 발효하여 증류한 술이다.
  2. 코냑 브랜디에 처음으로 별표의 기호를 도입한 것은 1865년 헤네시(Hennessy)사에 의해서이다.
  3. Brandy는 저장기간을 부호로 표시하며 그 부호가 나타내는 저장기간은 법적으로 정해져 있다.
  4. 브랜디의 증류는 와인을 2~3회 단식 증류기(Pot still)로 증류한다.
(정답률: 71%)
  • Brandy는 저장기간을 부호로 표시하며 그 부호가 나타내는 저장기간은 법적으로 정해져 있다. 이유는 브랜디의 저장기간이 중요한데, 이를 부호로 표시함으로써 소비자가 제품의 품질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러한 부호는 법적으로 정해져 있어서 제조사들은 이를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맥주의 원료 중 홉(hop)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맥주 특유의 상큼한 쓴맛과 향을 낸다.
  2. 알코올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3. 맥아즙의 단백질을 제거한다.
  4. 잡균을 제거하여 보존성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64%)
  • 홉은 맥주의 특유한 상큼한 쓴맛과 향을 낸다. 알코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은 맥아즙의 발효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홉은 이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알코올의 농도를 증가시킨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부르고뉴 지역의 주요 포도품종은?

  1. 가메이와 메를로
  2. 샤르도네와 피노 누아
  3. 리슬링과 산지오베제
  4. 진판델과 까베르네 소비용
(정답률: 68%)
  • 부르고뉴 지역은 흰 포도와 빨간 포도 모두 재배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포도품종은 샤르도네와 피노 누아입니다. 샤르도네는 부드러운 맛과 향이 특징이며, 피노 누아는 과일향과 풍미가 풍부합니다. 이 두 가지 포도품종은 부르고뉴 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며, 부르고뉴 와인의 대표적인 특징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위스키의 제조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맥아 - 당화 - 발효- 증류 - 숙성
  2. 맥아 - 당화 - 증류- 저장 - 후숙
  3. 맥아 - 발효 - 증류- 당화 - 브랜딩
  4. 맥아 - 증류 - 저장- 숙성 - 발효
(정답률: 82%)
  • 위스키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맥아: 보리를 발아시켜 맥아를 만듭니다.
    2. 당화: 맥아를 물과 함께 끓여서 전분을 당으로 변환합니다.
    3. 발효: 당화된 맥아를 효모와 함께 발효시켜 알코올을 만듭니다.
    4. 증류: 발효된 알코올을 증류하여 순수한 알코올을 추출합니다.
    5. 숙성: 추출된 알코올을 오크통에 담아 숙성시킵니다.

    따라서, "맥아 - 당화 - 발효- 증류 - 숙성"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혼성주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류주 혹은 양조주에 초근목피, 향료, 과즙, 당분을 첨가하여 만든 술
  2. 리큐르(Liqueur)라고 불리어지는 술
  3. 주로 식후주로 즐겨 마시며 화려한 색채와 특이한 향을 지닌 술
  4. 곡류와 과실 등을 원료로 발효한 술
(정답률: 65%)
  • 혼성주의 특성은 여러 가지 종류의 주류를 섞어 만든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한 가지 종류의 주류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곡류와 과실 등을 원료로 발효한 술"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여러 가지 원료를 혼합하여 만든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독일의 와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라인(Rhein)과 모젤(Msel) 지역이 대표적이다.
  2. 리슬링(Riesling)품종의 백포도주가 유명하다.
  3. 와인의 등급을 포도 수확 시의 당분함량에 따라 결정한다.
  4. 1935년 원산지 호칭 통제법을 제정하여 오늘날까지 시행하고 있다.
(정답률: 47%)
  • 정답: "1935년 원산지 호칭 통제법을 제정하여 오늘날까지 시행하고 있다."

    설명: 1935년 원산지 호칭 통제법은 독일 와인의 원산지와 등급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통제하는 법이다. 이 법은 오늘날까지 시행되고 있으며, 독일 와인의 품질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셰이킹(Shaking)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셰이커(Shaker)에 얼음을 충분히 넣어 빠른 시간 안에 잘 섞이고 차게 한다.
  2. 셰이커(Shaker)에 재료를 넣고 순서대로 Cap을 Strainer에 씌운 다음 Body에 덮는다.
  3. 잘 섞이지 않는 재료들을 셰이커(Shaker)에 넣어 세차게 흔들어 섞는 조주기법 이다.
  4. 계란, 우유, 크림, 당분이 많은 리큐르 등으로 칵테일을 만들 때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82%)
  • 정답은 "셰이커(Shaker)에 재료를 넣고 순서대로 Cap을 Strainer에 씌운 다음 Body에 덮는다." 이다. 이유는 셰이킹 기법에서는 먼저 얼음을 충분히 넣어 빠른 시간 안에 잘 섞이고 차게 한 후, 그 다음에 재료를 넣고 캡을 씌우고 섞는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순서가 잘못 기재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주장관리개론

31. 음료를 서빙 할 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품이 아닌 것은?

  1. bar spoon
  2. coaster
  3. serving tray
  4. napkin
(정답률: 83%)
  • "bar spoon"은 음료를 서빙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비품이 아니라, 칵테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 스푼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bar spoo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바(Ba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불어의 Bariere 에서 왔다.
  2. 술을 판매하는 식당을 총칭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3. 종업원만의 휴식공간이다.
  4. 손님과 바맨 사이에 가로 질러진 널판을 의미한다.
(정답률: 85%)
  • 바(Ba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종업원만의 휴식공간이다." 이다. 바는 술을 판매하는 식당을 총칭하는 의미로도 사용되며, 종업원만의 휴식공간이 아닌 손님들이 술을 마시며 쉴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또한, "불어의 Bariere 에서 왔다."는 바리어(Barriere)에서 왔다는 의미로, 손님과 바맨 사이에 가로 질러진 널판을 의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에스프레소 추출 시 너무 진한 크레마(Dark Crema)가 추출되었을 때 그 원인이 아닌 것은?

  1. 물의 온도가 95℃보다 높은 경우
  2. 펌프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은 경우
  3. 포터필터의 구멍이 너무 큰 경우
  4. 물 공급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
(정답률: 68%)
  • 에스프레소 추출 시 포터필터의 구멍이 너무 큰 경우는 추출 시 커피가 과도하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추출 시간이 짧아지고, 이로 인해 크레마가 진하게 추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얇게 추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유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와인의 보관법 중 틀린 것은?

  1. 진동이 없는 곳에 보관한다.
  2. 직사광선을 피하여 보관한다.
  3. 와인을 눕혀서 보관한다.
  4.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한다.
(정답률: 80%)
  • 와인을 눕혀서 보관하는 것은 틀린 방법입니다. 와인은 보통 캡슐이나 코르크로 막혀있기 때문에 눕혀놓으면 공기가 쉽게 들어가서 와인의 맛과 향이 변질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와인은 세로로 서있는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하는 이유는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와인의 맛과 향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ood Muddler의 일반적인 용도는?

  1. 스파이스나 향료를 으깰 때 사용한다.
  2. 레몬을 스퀴즈 할 때 사용한다.
  3. 음료를 서빙할 때 사용한다.
  4. 브랜디를 띄울 때 사용한다.
(정답률: 80%)
  • Wood Muddler는 주로 스파이스나 향료를 으깰 때 사용됩니다. 이는 스파이스나 향료를 더 잘 섞이도록 하고, 그들의 향기와 맛을 더욱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물의 설치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바의 수도시설은 Mixing Station 바로 후면에 설치한다.
  2. 배수구는 바텐더의 바로 앞에, 바의 높이는 고객이 작업을 볼 수 있게 설치한다.
  3. 얼음제빙기는 Back Side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4. 냉각기는 표면에 병따개 부착된 건성형으로 Station 근처에 설치한다.
(정답률: 51%)
  • "얼음제빙기는 Back Side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얼음제빙기는 바텐더가 자주 사용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바텐더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바의 앞쪽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바람직한 바텐더(Bartender) 직무가 아닌 것은?

  1. 바(Bar)내에 필요한 물품 재고를 항상 파악한다.
  2. 일일 판매할 주류가 적당한지 확인한다.
  3. 바(Bar)의 환경 및 기물 등의 청결을 유지, 관리한다.
  4. 칵테일 조주 시 지거(Jigger)를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89%)
  • 칵테일 조주 시 지거(Jigger)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정확한 양을 측정하지 못하고 일관성 없는 칵테일을 만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거를 사용하면 정확한 양을 측정하여 일관성 있는 칵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포도주(Wine)를 서비스 하는 방법 중 옳지 않는 것은?

  1. 포도주병을 운반하거나 따를 때에는 병 내의 포도주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2. 와인병을 개봉했을 때 첫 잔은 주문자 혹은 주빈이 시음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보졸레 누보와 같은 포도주는 디켄터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숙성시킨 후 서비스 한다.
  4. 포도주는 손님의 오른쪽에서 따르며 마지막에 보틀을 돌려 흐르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64%)
  • "보졸레 누보와 같은 포도주는 디켄터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숙성시킨 후 서비스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보졸레 누보와 같은 포도주는 디켄터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병에서 따서 서비스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기 때문이다. 디켄터는 일반적으로 젊은 포도주나 탄닌이 적은 포도주를 숙성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저장관리 방법 중 FIFO란?

  1. 선입선출
  2. 선입후출
  3. 후입선출
  4. 임의불출
(정답률: 89%)
  • FIFO는 "First-In, First-Out"의 약어로, 가장 먼저 들어온 것이 가장 먼저 나가는 저장관리 방법입니다. 따라서 "선입선출"이라고도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장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ocktail Bar
  2. Members Club Bar
  3. Pup Bar
  4. Snack Car
(정답률: 84%)
  • "Snack Car"는 나머지 주장들과는 달리 식음료를 판매하는 이동식 차량이기 때문에 종류가 다르다는 점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칵테일을 만드는 기법 중 “Stirring"에서 사용하는 도구와 거리가 먼 것은?

  1. Mixing Glass
  2. Bar Spoon
  3. Strainer
  4. Shaker
(정답률: 77%)
  • Stirring 기법에서는 Mixing Glass와 Bar Spoon을 사용하여 칵테일 재료를 섞습니다. Strainer는 섞은 칵테일을 따를 때 사용되며, Shaker는 Shake 기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Shaker가 Stirring 기법에서 사용하는 도구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브랜디 글라스(Brandy Glas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튤립형의 글라스이다.
  2. 향이 잔속에서 휘감기는 특징이 있다.
  3. 글라스를 예열하여 따뜻한 상태로 사용한다.
  4. 브랜디는 글라스에 가득 채워 따른다.
(정답률: 66%)
  • 정답: "브랜디는 글라스에 가득 채워 따른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브랜디는 글라스에 가득 채워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브랜디의 향과 맛을 최대한 즐기기 위함이다. 브랜디 글라스는 튤립형으로 디자인되어 있어 향이 잔속에서 휘감기는 특징이 있다. 또한 글라스를 예열하여 따뜻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바텐더가 음료를 관리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1. Inventory
  2. FIFO
  3. 유통기한
  4. 매출
(정답률: 82%)
  • 바텐더가 음료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재고 관리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Inventory(재고)와 FIFO(선입선출) 방식, 그리고 유통기한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매출은 음료를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며, 매출은 오히려 음료를 판매하는 사업자나 매니저가 관리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매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구매명세서(Standard Purchase Specification)를 사용부서에서 작성할 때 필요사항이 아닌 것은?

  1. 요구되는 품질요건
  2. 품목의 규격
  3. 무게 또는 수량
  4. 거래처의 상호
(정답률: 67%)
  • 구매명세서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명세서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되는 품질요건, 품목의 규격, 무게 또는 수량 등을 명시해야 합니다. 그러나 거래처의 상호는 구매명세서에 필요한 정보가 아닙니다. 구매자는 거래처의 상호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구매명세서에 명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음료가 저장고에 적정재고 수준 이상으로 과도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필요 이상의 유지 관리비가 요구된다.
  2. 기회 이익이 상실된다.
  3. 판매 기회가 상실된다.
  4. 과다한 자본이 재고에 묶이게 된다.
(정답률: 67%)
  • 판매 기회가 상실된다는 것은, 과도한 재고로 인해 제품을 판매할 기회를 놓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어 매출이 감소하고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것입니다. 이는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재고를 줄이기 위해 할인 등의 행사를 진행해야 하므로 기회 이익도 상실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Pilsner Gla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브랜디를 마실 때 사용한다.
  2. 맥주를 따르면 기포가 올라와 거품이 유지된다.
  3. 와인향을 즐기는데 가장 적합하다.
  4. 옆면이 둥글게 되어 있어 발레리나를 연상하게 하는 모양이다.
(정답률: 83%)
  • 맥주를 따르면 기포가 올라와 거품이 유지된다는 이유는 Pilsner Glass의 모양이 일정한 직경에서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모양은 맥주의 탄산이 올라가면서 거품이 유지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모양은 맥주의 색상과 향을 강조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장 종사원(waiter)의 직무에 해당하는 것은?

  1. 바(bar) 내부의 청결을 유지한다.
  2.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봉사한다.
  3. 보급품과 기물주류 등을 창고로부터 보급 받는다.
  4. 조주에 필요한 얼음을 준비한다.
(정답률: 67%)
  • 주장 종사원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봉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주로 음식과 음료를 주문받아 서빙하며, 고객의 요청에 따라 음식의 조리나 서빙 방식을 조절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봉사한다."가 주장 종사원의 직무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Key Box 나 Bottle Member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료의 판매회전이 촉진된다.
  2. 고정고객을 확보하기는 어렵다.
  3. 후불이기 때문에 회수가 불분명하여 자금운영이 원활하지 못하다.
  4. 주문시간이 많이 걸린다.
(정답률: 78%)
  • Key Box나 Bottle Member 제도는 고객이 자유롭게 음료를 구매하고, 나중에 한꺼번에 결제하는 후불제도이기 때문에, 음료의 판매회전이 촉진된다. 고객이 자유롭게 음료를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음료를 구매하게 되고, 결제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매출 증대에 기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고객이 호텔의 음료상품을 이용하지 않고 음료를 가지고 오는 경우, 서비스하고 여기에 필요한 글라스, 얼음, 레몬 등을 제공하여 받는 대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Rental charge
  2. V.A.T(value added tax)
  3. Crkage charge
  4. Service caarge
(정답률: 68%)
  • Crkage charge는 "Corkage charge"의 오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Corkage charge는 외부에서 가져온 음료를 호텔이 제공하는 글라스, 얼음, 레몬 등의 서비스와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대가로, 외부 음료를 호텔 내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요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송장(Invoice)
  2. 출고전표
  3. 인벤토리 시트(Inventory Sheet)
  4. 빈 카드(Bin Card)
(정답률: 54%)
  • 위 그림은 제품 출고 시 발행되는 송장(Invoice)의 예시이다. 따라서 정답은 "송장(Invoic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객서비스영어

51. 다음 ( )안에 들어갈 단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hot
  2. cold
  3. sour
  4. dry
(정답률: 47%)
  • 이 그림은 물이 얼어붙은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이 얼어붙기 위해서는 온도가 낮아져야 하므로, "cold"가 가장 적합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Just one for my health, please.
  2. One for the road.
  3. I'll stick to my usual.
  4. Another one Please.
(정답률: 67%)
  • 이미 익숙한 것을 선택할 것이라는 의미로 "I'll stick to my usual."이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새로운 것을 시도하거나 추가로 주문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문맥에서는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This milk has gone bad." 의 의미는?

  1. 이 우유는 상했다.
  2. 이 우유는 맛이 없다.
  3. 이 우유는 신선하다.
  4. 우유는 건강에 나쁘다.
(정답률: 89%)
  • "This milk has gone bad."의 의미는 "이 우유는 상한 상태이다."라는 뜻입니다. "gone bad"는 "상한"을 의미하며, 이 경우 우유가 오래되어 더 이상 신선하지 않고 먹을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당신은 무엇을 찾고 있습니까?” 의 올바른 표현은?

  1. What are you look for?
  2. What do you look for?
  3. What are you looking for?
  4. What is looking for you?
(정답률: 73%)
  • 올바른 표현은 "What are you looking for?"입니다.

    - "What are you look for?" :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문장입니다. 동사와 주어의 일치가 되지 않습니다.
    - "What do you look for?" : 현재 시제로 묻는 것이므로, "are" 대신 "do"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 "What is looking for you?" : 문장 구조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바뀌어야 합니다.

    따라서, "What are you looking for?"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Which is the VODKA based cocktail in the following?

  1. Paradise Cocktail
  2. Millon Dollars
  3. Stinger
  4. Kiss of Fire
(정답률: 59%)
  • The VODKA based cocktail in the given options is "Kiss of Fire" because the other three cocktails contain different spirits - Paradise Cocktail contains gin, Million Dollars contains bourbon, and Stinger contains brandy.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What is the juice of the wine grapes called?

  1. mustard
  2. must
  3. grapeshot
  4. grape sugar
(정답률: 36%)
  • The juice of wine grapes is called "must" because it refers to the freshly pressed juice that contains the skins, seeds, and stems of the grapes before it undergoes fermentation.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Which one is the cocktail containing "Bourbon, Lemon, and Sugar?

  1. Whisper of kiss
  2. Whiskey sour
  3. Western rose
  4. Washington
(정답률: 67%)
  • "Bourbon, Lemon, and Sugar" are the main ingredients of a classic Whiskey Sour cocktail.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Which one is the spirit made from Agave?

  1. Tequila
  2. Rum
  3. Vodka
  4. Gin
(정답률: 75%)
  • Agave is the main ingredient used to make Tequil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Which one is the cocktail to serve not to mix?

  1. B&B
  2. Black russian
  3. Bull Shot
  4. Pink lady
(정답률: 40%)
  • "B&B" is the cocktail to serve not to mix because it is a pre-mixed blend of two liqueurs, Benedictine and brandy, that are already combined in a bottle and ready to be served. The other cocktails listed require mixing of various ingredients to create the final drink.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 First come first served 」 의 의미는?

  1. 선착순
  2. 시음회
  3. 선불제
  4. 연장자순
(정답률: 89%)
  • "First come first served"는 먼저 온 사람이 먼저 서비스를 받는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선착순"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