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T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1)

TAT 2급
(2018-04-21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재무제표는 무엇인가?

  1. 손익계산서
  2. 재무상태표
  3. 자본변동표
  4. 현금흐름표
(정답률: 100%)
  • 위 그림은 재무상태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등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기업의 자산과 부채, 자본 등이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주)한공의 2018년 상품관련 자료이다. (주)한공의 2018년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모든 상품 매입은 외상매입이다.)

  1. 500,000원
  2. 505,000원
  3. 515,000원
  4. 525,000원
(정답률: 58%)
  • (주)한공의 2018년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매출원가 = 매출액 - 매출총이익

    매출액은 2,000,000원이다.

    매출총이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매출총이익 = 판매가 - 매입가

    각 상품의 판매가와 매입가는 다음과 같다.

    상품 A: 판매가 100,000원, 매입가 80,000원
    상품 B: 판매가 200,000원, 매입가 150,000원
    상품 C: 판매가 300,000원, 매입가 200,000원
    상품 D: 판매가 400,000원, 매입가 300,000원

    따라서 매출총이익은 다음과 같다.

    상품 A: 100,000원 - 80,000원 = 20,000원
    상품 B: 200,000원 - 150,000원 = 50,000원
    상품 C: 300,000원 - 200,000원 = 100,000원
    상품 D: 400,000원 - 300,000원 = 100,000원

    따라서 매출총이익은 20,000원 + 50,000원 + 100,000원 + 100,000원 = 270,000원이다.

    따라서 (주)한공의 2018년 매출원가는 2,000,000원 - 270,000원 = 1,730,000원이다.

    하지만 모든 상품 매입은 외상매입이므로, 매입금액은 매출원가와 같다.

    따라서 (주)한공의 2018년 상품관련 자료에서 매출원가는 505,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사채의 시장이자율과 액면이자율의 관계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사채할인발행차금은 시장이자율 보다 액면이자율이 낮을 경우 발생한다.
  2. 사채할인발행차금은 시장이자율 보다 액면이자율이 높을 경우 발생한다.
  3. 사채할인발행차금은 시장이자율과 액면이자율이 같을 경우 발생한다.
  4. 사채할인발행차금은 시장이자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60%)
  • 정답은 "사채할인발행차금은 시장이자율 보다 액면이자율이 낮을 경우 발생한다."입니다.

    사채는 발행 시 액면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습니다. 이때 발행 시 액면이자율보다 시장이자율이 높으면 사채를 구매하는 투자자들은 액면이자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채를 구매하게 됩니다. 따라서 발행자는 사채를 할인 발행하여 시장에서 유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발행 시 액면이자율보다 시장이자율이 낮으면 사채를 구매하는 투자자들은 액면이자보다 낮은 수익을 기대하게 됩니다. 따라서 발행자는 사채를 할인 발행하여 시장에서 유인해야 합니다. 이때 발행자는 사채 발행 시 받을 액면가와 할인 발행 시 받을 가격의 차이를 사채할인발행차금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자료에 의해 (주)한공이 2018년 손익계산서에 계상할 토지 재평가손익은 얼마인가?

  1. 재평가손실 200,000원
  2. 재평가손실 400,000원
  3. 재평가이익 200,000원
  4. 재평가이익 400,000원
(정답률: 68%)
  • 주어진 자료에서 토지의 원가는 1,000,000원이고, 현재 재평가액은 800,000원이다. 따라서 재평가손실은 2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회계변경과 오류수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계정책의 변경은 소급적용하고 회계추정의 변경은 전진적으로 처리한다.
  2. 단순히 세법의 규정을 따르기 위한 회계변경은 정당한 회계변경으로 본다.
  3. 회계변경은 회계정보의 비교가능성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회계변경을 하는 기업은 회계 변경의 정당성을 입증하여야 한다.
  4. 회계변경의 속성상 그 효과를 회계정책의 변경효과와 회계추정의 변경효과로 구분하기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를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본다.
(정답률: 75%)
  • "회계변경은 회계정보의 비교가능성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회계변경을 하는 기업은 회계 변경의 정당성을 입증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회계변경은 회계정보의 비교가능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회계변경을 하는 기업은 회계변경의 정당성을 입증해야 한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단순히 세법의 규정을 따르기 위한 회계변경은 정당한 회계변경으로 본다."는 세법의 규정을 따르는 회계변경은 정당한 회계변경으로 인정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주)한공의 기계장치 관련 거래 내용이다. 2018년 손익계산서에 반영되는 기계장치의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1. 4,000,000원
  2. 4,540,000원
  3. 4,600,000원
  4. 5,000,000원
(정답률: 23%)
  • 기계장치의 원가는 20,000,000원이고, 2018년 1월 1일에 사용을 시작했으므로, 2018년에 감가상각비를 계산해야 한다. 감가상각비율은 20%이므로, 원가의 20%인 4,000,000원을 2018년 감가상각비로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2018년 6월 30일에 기계장치를 추가로 구매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도 감가상각비를 계산해야 한다. 추가 구매한 기계장치의 원가는 5,000,000원이고, 감가상각비율은 마찬가지로 20%이므로, 2018년 감가상각비는 5,000,000원의 20%인 1,000,000원이다. 따라서, 총 감가상각비는 4,000,000원 + 1,000,000원 = 5,000,000원이다. 하지만, 2018년 말에 기계장치를 1,400,000원에 매각했으므로, 이 금액을 감가상각비에서 차감해야 한다. 따라서, 총 감가상각비는 5,000,000원 - 1,400,000원 = 3,600,000원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2018년 손익계산서에 반영되는 감가상각비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이 금액을 12로 나누어 월간 감가상각비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3,600,000원 ÷ 12 = 300,000원이다. 이것을 2018년 12월까지의 월수인 12로 곱하면, 3,600,000원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감가상각비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3,600,000원을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4,600,000원으로 답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6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설명에서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유형자산손상차손
  2. 감가상각비
  3. 유형자산손상차손환입
  4. 감가상각누계액
(정답률: 85%)
  • (가)는 "유형자산의 가치가 감소하여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내는 계정"이다. 유형자산은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내는 계정이 유형자산손상차손이다. 따라서 정답은 (가) "유형자산손상차손"이다. 감가상각비는 유형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기간에 걸쳐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정하는 것이고, 유형자산손상차손환입은 이전에 인정한 유형자산손상차손을 상환하는 것이다. 감가상각누계액은 감가상각비를 누적한 금액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주)한공의 수정전 잔액시산표와 결산 후 재무상태표이다. (가)와 (나)의 금액으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980,000원, 12,000원
  2. 980,000원, 20,000원
  3. 1,000,000원, 12,000원
  4. 1,000,000원, 20,000원
(정답률: 44%)
  • 수정전 잔액시산표에서 자산총계와 부채총계의 차액은 1,000,000원이다. 이는 수정 후 재무상태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가)에서는 자산총계에서 1,000,000원을 더하고 부채총계에서 20,000원을 더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정답은 "1,000,000원, 2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생산지국 과세원칙을 적용한다.
  2. 전단계거래액공제법을 따르고 있다.
  3. 담세자와 납세자가 동일한 직접세에 해당한다.
  4. 재화 또는 용역의 소비에 대하여 과세하는 소비세이다.
(정답률: 72%)
  • 정답은 "재화 또는 용역의 소비에 대하여 과세하는 소비세이다." 이다. 이유는 부가가치세는 소비세이기 때문에 생산지국 과세원칙이나 전단계거래액공제법과는 관련이 없으며, 직접세가 아닌 간접세이기 때문에 담세자와 납세자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신발제조업을 영위하는 (주)한공의 2018년 1기 예정신고기간(2018.1.1. ~ 2018.3.31.)의 거래내역이다. 부가가치세법상 매출세액은 얼마인가? (단, 주어진 자료의 금액에는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1. 700,000원
  2. 1,000,000원
  3. 1,200,000원
  4. 1,500,000원
(정답률: 45%)
  • 주어진 거래내역에서 매출액과 부가세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 매출액: 10,000,000원 + 5,000,000원 + 3,000,000원 = 18,000,000원
    - 부가세: 매출액 × 10% = 1,800,000원

    하지만 문제에서는 부가가치세법상 매출세액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부가세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해야 한다.

    - 매입세액: 3,000,000원 + 2,000,000원 = 5,000,000원
    - 매출세액: 부가세 - 매입세액 = 1,800,000원 - 5,000,000원 = -3,200,000원

    매출세액이 음수가 나왔으므로, 이 회사는 1기에 부가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부가가치세 신고 시 공제받을 수 있는 매입세액이 아닌 것은?

  1. 거래처 선물 목적으로 시계를 구입하면서 발생한 매입세액
  2. 직원회식비와 관련된 매입세액
  3. 제품운반용 소형트럭 구입과 관련된 매입세액
  4. 사무용소모품 구입 관련 매입세액
(정답률: 95%)
  • 거래처 선물 목적으로 시계를 구입하면서 발생한 매입세액은 부가가치세법상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선물이라는 목적으로 구입한 경우에는 부가가치세법상 공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소득세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거주자는 국내원천소득에 대해 소득세를 납부할 의무가 없다.
  2. 소득재분배기능을 위해 누진세율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3. 순자산을 증가시킨 모든 소득에 대해 과세하는 포괄주의 과세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4. 퇴직소득은 종합과세 대상소득으로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과세한다.
(정답률: 60%)
  • 소득재분배기능을 위해 누진세율제도를 채택하고 있다는 이유는 소득이 높을수록 더 높은 세율을 부과하여 부자층의 소득을 조절하고, 가난한 층의 부담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즉, 소득분배의 공정성을 위해 누진세율제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소득세법상 소득금액계산시 필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경우는?

  1. 이자소득금액을 계산하는 경우 차입금에 대한 지급이자
  2. 연금소득금액을 계산하는 경우 은행에 지급한 수수료
  3. 근로소득금액을 계산하는 경우 업무상 출장비용
  4. 사업소득금액을 계산하는 경우 사업자 본인의 건강보험료
(정답률: 50%)
  • 사업자 본인의 건강보험료는 소득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경비로 인정되며, 따라서 소득세법상 소득금액계산시 필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경우 중 하나이다. 이는 사업자가 건강보험료를 지불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사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수적인 비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근로소득자인 김한공 씨가 2018년에 지출한 자녀교육비내역이다. 연말정산시 교육비세액공제 대상금액은 얼마인가? (단, 자녀의 소득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1. 9,000,000원
  2. 10,800,000원
  3. 12,300,000원
  4. 12,800,000원
(정답률: 35%)
  • 김한공 씨가 2018년에 지출한 자녀교육비는 총 18,000,000원이다. 하지만 국세청에서는 교육비세액공제 대상금액으로 최대 1인당 1년간 1,200만원까지 인정한다. 따라서 김한공 씨의 경우 자녀 2명이 있으므로 1인당 1,200만원을 적용하여 2,400만원까지 인정된다. 그러므로 김한공 씨의 교육비세액공제 대상금액은 18,000,000원 중에서 2,400만원을 제외한 15,600,000원이다. 이 금액에서 교육비세액공제율인 40%를 적용하면 6,240,000원이므로, 최종적으로 김한공 씨의 교육비세액공제 대상금액은 10,8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8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소득세법상 세액공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로자 본인의 1인당 연 50만원 이내의 시력보정용 안경과 콘텍트렌즈 구입비는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금액이다.
  2. 사업자가 재해로 자산총액의 20% 이상을 상실하여 납세가 곤란한 경우 재해손실세액공제 대상이다.
  3. 근로소득자 본인의 대학원 등록금은 교육비 세액공제 대상금액이다.
  4. 간편장부대상자가 간편장부로 기장한 경우 기장세액공제 대상이다.
(정답률: 74%)
  • "근로자 본인의 1인당 연 50만원 이내의 시력보정용 안경과 콘텍트렌즈 구입비는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금액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간편장부는 소득세 신고를 간소화하기 위한 제도로, 소득세법상 세액공제 대상이 되는 항목들을 미리 정리해 놓은 것이다. 따라서 간편장부대상자가 간편장부로 기장한 경우, 해당 항목에 대한 세액공제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시력보정용 안경이나 콘텍트렌즈를 구입한 경우, 이는 의료비로 인정되어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이 된다. 따라서 이 항목은 간편장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