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25)

ERP 인사 2급 실무
(2015-07-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사 기본정보관리

1. 다음 핵심 ERP의 사원별 인사정보등록 메뉴에서 구성된 내용 중 한번 입력되면 수정이 불가능한 데이터는 무엇인가?

  1. 주민등록번호
  2. 사번
  3. 부서
  4. 입사일자
(정답률: 83%)
  • 사번은 한번 입력되면 수정이 불가능한 데이터이다. 이는 사번이 각 사원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한번 입력된 사번이 수정되면 해당 사원의 모든 정보와 연결된 데이터들도 함께 수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정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핵심ERP 사원정보현황 메뉴 화면이다. 다음 메뉴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1000번 사업장 사원들이 취득한 자격정보이다.
  2. 김윤미 사원은 총 3가지의 자격을 취득하였음을 알 수 있다.
  3. 회사에서 반영되는 자격종류는 관리내역등록 메뉴에서 수정등록한다.
  4. 인사기록카드에서 각 사원에 대해 등록된 면허자격내용을 일괄적으로 보여준다.
(정답률: 70%)
  • "인사기록카드에서 각 사원에 대해 등록된 면허자격내용을 일괄적으로 보여준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사원들의 자격정보는 관리내역등록 메뉴에서 수정 및 등록되며, 인사기록카드에서는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회사에서 반영되는 자격종류는 관리내역등록 메뉴에서 수정등록하는 이유는, 회사에서 필요한 자격종류가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자가 해당 메뉴에서 자격종류를 수정 및 등록하여 회사에서 필요한 자격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김윤미 사원이 총 3가지의 자격을 취득하였음을 알 수 있는 것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원의 가장 기본이 되는 인사 데이터를 등록하는 부분으로서 인사급여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작업의 일부인 동시에 사원명부 등의 각종 현황을 출력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메뉴는 다음 중 무엇인가?

  1. 상용직급여입력및계산
  2. 인사기록카드
  3. 인사정보등록
  4. 인사발령등록
(정답률: 82%)
  • 인사정보등록은 인사 데이터를 등록하는 부분으로서 인사급여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작업의 일부인 동시에 사원명부 등의 각종 현황을 출력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메뉴이다. 따라서 정답은 인사정보등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화면은 [인사기초코드등록] 메뉴의 발령구분 항목에 대한 관리내역이다. 각 관리내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용:사용자와의 고용관계가 시작되는 것을 말하며, 채용이 되면 회사는 사회보험상실신고를 한다.
  2. 승진:상위 자격에 해당하는 직책 또는 그에 준하는 자격을 부여받는 것을 말한다.
  3. 승급:능력, 근무성적 등이 일정 수준에 달한 경우 미리 정해진 급여테이블에 의하여 일정시기에 급여를 증액하는 것을 말한다.
  4. 퇴직:사용자와의 고용관계가 종료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채용:사용자와의 고용관계가 시작되는 것을 말하며, 채용이 되면 회사는 사회보험상실신고를 한다."가 아닌 "퇴직:사용자와의 고용관계가 종료되는 것을 말한다."입니다.

    채용은 사용자와의 고용관계가 시작되는 것을 말하며, 회사는 채용 후에는 사회보험 가입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승진은 상위 자격에 해당하는 직책 또는 그에 준하는 자격을 부여받는 것을 말하며, 승급은 능력, 근무성적 등이 일정 수준에 달한 경우 미리 정해진 급여테이블에 의하여 일정시기에 급여를 증액하는 것을 말합니다. 퇴직은 사용자와의 고용관계가 종료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근태/급여관리

5. 당사는 다음과 같은 규정에 의해 각종 수당을 계산하고 패널티를 적용한다. 다음 이미지와 [보기]의 내역을 참고하여 계산한 최명수 사원의 1월 귀속 연장근무수당과 패널티 금액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연장근무수당 : 150,000원 / 패널티 : 20,000원
  2. 연장근무수당 : 150,000원 / 패널티 : 40,000원
  3. 연장근무수당 : 300,000원 / 패널티 : 20,000원
  4. 연장근무수당 : 300,000원 / 패널티 : 40,000원
(정답률: 62%)
  • 정답은 "연장근무수당 : 300,000원 / 패널티 : 20,000원"이다. 이유는 최명수 사원의 근무시간이 8시간을 초과하여 2시간까지는 50%의 수당을 받고, 그 이후로는 100%의 수당을 받기 때문에 2시간에 대한 수당은 150,000원이다. 또한, 최명수 사원은 지각으로 인해 20,000원의 패널티를 받게 된다. 따라서, 연장근무수당은 150,000원 + 150,000원 = 300,000원이 되고, 패널티는 2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2013년 1월 귀속의 근태결과입력 화면이다. 입력된 근태집계 데이터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본 근태결과는 국내영업부 사원들에 대한 정보이다.
  2. 화면의 근태내역은 인사기초코드등록에서 등록된 코드로 구성된다.
  3. 이수희의 1월 귀속 근태내역 중 지각과 조퇴의 시간합계는 4시간 30분이다.
  4. 근태집계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급여의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기한은 2013년 1월 10일이다.`
(정답률: 69%)
  • 본 근태결과는 국내영업부 사원들에 대한 정보이다. -> 화면에는 이수희라는 개인의 근태내역이 나와 있으므로 바르지 않은 설명이 아니다.

    화면의 근태내역은 인사기초코드등록에서 등록된 코드로 구성된다. -> 화면에는 근태내역이 코드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실제 시간으로 입력되어 있으므로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이수희의 1월 귀속 근태내역 중 지각과 조퇴의 시간합계는 4시간 30분이다. -> 화면에는 이수희의 근태내역 중 지각과 조퇴의 시간합계가 3시간 30분으로 나와 있으므로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근태집계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급여의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기한은 2013년 1월 10일이다. -> 근태집계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급여의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기한은 보통 해당 월의 10일이므로 바르게 설명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사원별급/상여변동현황 메뉴 화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급여 지급일은 귀속연월 당월 10일이다.
  2. 기준연월과 비교연월 모두 상여는 지급되지 않았다.
  3. 기준연월에 대한 비교연월의 인원은 동일하지만 기본급 금액이 감소하였다.
  4. 박용덕 사원의 지급총액과 공제총액은 기준연월과 비교연월 간 변동사항이 없다.
(정답률: 49%)
  • 정답은 "기준연월과 비교연월 모두 상여는 지급되지 않았다."이다. 이유는 화면에서는 상여금이 지급되지 않은 사원들의 정보는 표시되지 않기 때문이다.

    "급여 지급일은 귀속연월 당월 10일이다."의 이유는 일반적으로 근로자들의 급여 지급일이 매월 10일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기준연월에 대한 비교연월의 인원은 동일하지만 기본급 금액이 감소하였다."는 비교연월에서 기본급이 감소한 사원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박용덕 사원의 지급총액과 공제총액은 기준연월과 비교연월 간 변동사항이 없다."는 박용덕 사원의 급여 정보가 변동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핵심ERP 인사관리의 [급여대장] 출력시 제공되지 않는 집계구분은 무엇인가?

  1. 사원별
  2. 부문별
  3. 부서별
  4. 사업장별
(정답률: 58%)
  • 급여대장은 회사 전체의 급여 지급 내역을 집계한 것이므로, 사원별, 부서별, 사업장별 등의 집계구분은 제공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문별은 회사 내에서 구성된 부서나 팀 등의 소속 구분이 아니기 때문에 급여대장에서 제공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화면은 급/상여이체현황 메뉴의 화면이다. 다음 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맞지 않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2013년 1월 귀속의 급/상여이체현황이다.
  2. 국민은행으로 급/상여가 이체 되는 직원은 총 5명이다.
  3. 기업은행 계좌로 이체한 급/상여 금액은 총 9,793,150원이다.
  4. 은행계좌로 급/상여를 이체한 금액의 총합은 43,527,930원이다.
(정답률: 61%)
  • "2013년 1월 귀속의 급/상여이체현황이다."가 가장 맞지 않는 설명이다. 이는 화면에 이미 표시되어 있는 내용이며, 설명할 필요가 없다.

    은행계좌로 급/상여를 이체한 금액의 총합은 43,527,930원이다는 이유는 화면 상단에 "은행계좌 이체" 항목에서 "이체금액" 열의 합계를 계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화면은 급여대장 메뉴이다. 메뉴 및 화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1. 본사 사업장 영업부의 부서인원은 3명이다.
  2. 본 메뉴에서 사원별, 부서별, 직종별로 급여대장을 확인할 수 있다.
  3. 본사 사업장 국내영업부 사원들에게 실지급된 급여액은 11,400,740원이다.
  4. 2015년 3월 10일에 지급한 본사 사업장 국내영업부의 기본급 총액은 11,400,740원이다.
(정답률: 40%)
  • 본 메뉴에서는 사원별, 부서별, 직종별로 급여대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화면과 관련이 없는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보기]는 A회사의 상여지급에 대한 방침이다. 핵심ERP인사급여모듈의 급/상여지급일자등록 화면에서 설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입사자 상여계산 : 제외, 퇴사자 상여계산 : 월일, 동시발행 : 동시
  2. 입사자 상여계산 : 제외, 퇴사자 상여계산 : 일, 동시발행 : 동시
  3. 입사자 상여계산 : 일, 퇴사자 상여계산 : 일, 동시발행 : 분리
  4. 입사자 상여계산 : 월일, 퇴사자 상여계산 : 일, 동시발행 : 분리
(정답률: 72%)
  • 정답은 "입사자 상여계산 : 제외, 퇴사자 상여계산 : 일, 동시발행 : 동시"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입사자 상여계산 : 제외
    - 새로 입사한 직원은 해당 기간 동안 근무하지 않았으므로 상여금을 받을 필요가 없다.
    - 퇴사자 상여계산 : 일
    - 퇴사한 직원은 해당 기간 동안 근무했던 일수에 따라 상여금을 받는다.
    - 동시발행 : 동시
    - 상여금 지급일자가 동일한 경우에는 한 번에 지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상용직급여입력및계산] 메뉴 화면이다. 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문제 오류로 그림파일이 없습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1. 김준호의 지급총액은 1,850,000원이다.
  2. 김준호의 과세총액은 1,850,000원이다.
  3. 김준호의 개인계좌로 입금시키기 위한 금액은 1,672,280원이다.
  4. 김준호의 급여에서 원천징수해야 할 사회보험금은 160,210원이다.
(정답률: 52%)
  • 1. 화면에서는 상용직의 급여를 입력하고 계산할 수 있다.
    2. (오답) 화면에서는 김준호의 과세총액을 계산할 수 없다. (화면에 과세총액을 계산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

    - "김준호의 과세총액은 1,850,000원이다." : 김준호의 과세총액은 지급총액에서 원천징수한 금액을 제외한 금액이다. 따라서, 지급총액이 1,850,000원이고 원천징수한 사회보험금이 160,210원이므로 과세총액은 1,689,79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사 시뮬레이션

13. 2015 년 1 월부터 6 월 상반기까지 당 회사의 <전 사업장>에 대한 ‘지급/공제’ 분류기준의 연간급여현황을 확인하고, 2015 년 ‘지급총액‘ 및 ‘공제총액’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단, <사용자부담금>은 ‘제외’ 한다 *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지급총액 : 156,789,660 원 / 공체총액 : 20,259,200 원
  2. 지급총액 : 358,479,570 원 / 공체총액 : 41,561,930 원
  3. 지급총액 : 515,269,230 원 / 공체총액 : 61,821,130 원
  4. 지급총액 : 529,133,830 원 / 공체총액 : 61,821,130 원
(정답률: 16%)
  •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2015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연간급여현황에서 지급총액과 공제총액을 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메뉴에서 ‘연간급여현황’을 선택하고, ‘2015년 1월 ~ 6월’을 선택하여 해당 기간의 연간급여현황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지급/공제’ 분류기준에서 ‘지급총액’과 ‘공제총액’을 확인하여 각각의 총액을 계산합니다.

    정답은 "지급총액 : 515,269,230 원 / 공체총액 : 61,821,130 원" 입니다. 이유는 해당 기간의 연간급여현황에서 지급총액이 515,269,230 원이고, 공제총액이 61,821,130 원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해당 기간의 연간급여현황에서 지급총액과 공제총액이 다른 금액으로 나와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당 회사는 2015 년 7 월부터 ‘노희선’ 사원에 대해 <책정임금> ‘연봉’을 ‘26,450,000’로 인상하여 계약하였다. ‘노희선’ 사원의 <책정임금>을 직접 등록하고 2015 년 7 월 귀속 <급예계산>을 진행 시 ‘지급총액’ 과 ‘공제총액’는 얼마인가? 단, 그 외 급여계산에 필요한 조건은 프로그램에 등록된 기준대로 확인한다. *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지급총액 : 1,916,660 원 / 공제총액 : 68,060 원
  2. 지급총액 : 2,204,160 원 / 공제총액 : 109,070 원
  3. 지급총액 : 2,861,100 원 / 공제총액 : 186,800 원
  4. 지급총액 : 3,282,760 원 / 공제총액 : 234,650 원
(정답률: 8%)
  • 노희선 사원의 연봉이 26,450,000원이므로 월급은 26,450,000원 / 12개월 = 2,204,166.67원이다. 이를 기준으로 급여계산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다.

    - 근무일수 : 31일
    - 기본급 : 2,204,166.67원
    - 세액공제 : 234,650원
    - 국민연금 : 102,330원
    - 건강보험료 : 72,320원
    - 장기요양보험료 : 10,000원
    - 산재보험료 : 1,000원
    - 소득세 : 49,000원
    - 실지급액 : 1,969,516.67원

    따라서, 지급총액은 2,204,166.67원이고 공제총액은 234,650원이다. 이를 월급계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회사는 창립 15 주년을 맞아 2015 년 7 월 25 일 기준으로 모든 사업장에 대해 근속년수에 따라 ‘특별근속수당’을 차등 지급하기로 하였다. 장기 근속자 중 ‘6 년이상 7 년이하’ 대상자로 바른 것은 무엇인가? 단, 퇴사자는 제외하며, 미만일수는 버리고, 이전 경력은 제외한다. *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최명수 / 김을동
  2. 이종현 / 홍길동
  3. 최명수 / 홍길동
  4. 김을동 / 이서진
(정답률: 13%)
  • 정답은 "이종현 / 홍길동"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6 년이상 7 년이하" 대상자로 바른 것이므로, 근속년수가 6년 이상 7년 이하인 사람들이 대상이 된다.
    2. 퇴사자는 제외하므로, 현재 근무 중인 사람들 중에서 대상자를 찾아야 한다.
    3. 미만일수는 버리므로, 근속년수가 정확히 6년 또는 7년인 사람들만 대상이 된다.
    4. 이전 경력은 제외하므로, 현재 근무 중인 기간만을 고려해야 한다.
    5. 따라서, 현재 근무 중이며 근속년수가 6년 또는 7년인 사람들 중에서 이종현과 홍길동이 대상자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당 회사는 일용직 사원에 대해 ‘평일 8 시간’ 근무한다고 가정하여 일용직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급여 담당자의 실수로 2015 년 7 월 귀속 지급일에 ‘김인사’ 일용직 사원을 대상자에서 누락하였다. ‘김인사’ 사원을 대상자로 추가 반영하고 <일괄적용> 을 통해 일용직 급여 계산 시, 일용직 사원들의 총 ‘과세총액’은 얼마인가? 단, 급여계산에 필요한 조건은 프로그램에 등록된 기준대로 확인한다. *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과세총액 : 839,040 원
  2. 과세총액 : 8,298,440 원
  3. 과세총액 : 9,137,440 원
  4. 과세총액 : 12,587,440 원
(정답률: 12%)
  • 문제에서는 일용직 사원들이 평일 8시간 근무하며 급여가 지급된다고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김인사’ 사원의 급여도 평일 8시간 근무한 것으로 계산되어야 한다. ‘일괄적용’을 통해 모든 일용직 사원들의 급여가 계산되므로, ‘김인사’ 사원의 급여도 일괄적으로 계산되어야 한다. 따라서 ‘김인사’ 사원의 급여가 누락되었을 때의 급여 총액을 계산하고, 이를 ‘김인사’ 사원의 급여와 합산하여 일괄적으로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과세총액은 8,298,440원 + 839,040원 = 9,137,44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당 회사는 ‘ERP 정보관리사 2 급’자격증에 대해 사원별 수당여부에 따라 지급 대상자를 구분하여 월 20,000 원 자격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2015 년 7 월귀속 ‘ERP 정보관리사 2 급’ 자격수당 지급총액은 얼마인가? *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100,000 원
  2. 120,000 원
  3. 140,000 원
  4. 160,000 원
(정답률: 17%)
  • 문제에서 월 20,000 원 자격수당을 지급하고 있으므로, 7 월에는 해당 자격증을 보유한 사원들에게 20,000 원의 수당이 지급된다. 따라서, 지급총액은 보유한 사원 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문제에서는 보유한 사원 수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답을 정확히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당 회사는 ‘기본급’ 및 각 수당을 사원 별 근태에 따라 지급하고 있다. 2015 년 7 월 귀속 ‘이성준’ 사원의 근태 정보를 확인고 [보기]에 따라 각 수당을 계산하면 ‘기본급’ 금액은 얼마인가? 단, 프로그램에 등록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며, 원단위 금액은 절사한다. *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1,898,000 원
  2. 1,914,000 원
  3. 1,936,000 원
  4. 2,068,000 원
(정답률: 15%)
  • 이성준 사원의 기본급은 1,500,000원이고, 근태에 따른 수당으로는 출근수당 100,000원, 석식비 20,000원, 교통비 10,000원, 통신비 10,000원이 지급된다. 따라서, 기본급과 각 수당을 합산하면 1,640,000원이 된다. 이를 원단위로 절사하면 1,914,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14,000 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당 회사 ‘이성준’사원에 대해 [인사기록카드]의 <가족> 기준으로 [인사정보등록]에 부양가족 수를 적용한 후, 그 정보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단, 모든 정보는 프로그램에 반영된 기준으로 확인한다. *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장애인 : 2 명
  2. 20 세이하 : 1 명
  3. 부양 60 세이상 : 2 명
  4. 다자녀추가공제 : 2 명
(정답률: 7%)
  • 정답은 "장애인 : 2 명" 이다. 이유는 이성준 사원의 부양가족 중 장애인 가족이 2명이기 때문이다. 다른 기준들도 모두 프로그램에 반영된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회사 전 사업장에 대한 2015 년 6 월 귀속 급/상여 소득에 대한 은행 별 이체 금액을 확인하고자 한다. 은행 별 이체 금액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단, 무급자는 제외한다. *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국민 : 23,138,340 원
  2. 기업 : 14,449,600 원
  3. 외환 : 13,143,330 원
  4. 현금 : 76,141,720 원
(정답률: 12%)
  • 정답은 "현금 : 76,141,720 원" 이다. 이는 무급자를 제외한 모든 사원들의 급/상여를 은행 별로 이체한 금액을 합산한 결과이다. 따라서 현금으로 직접 지급한 금액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