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28)

ERP 인사 2급 실무
(2016-05-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사 기본정보관리

1. 핵심ERP의 [사용자권한설정] 메뉴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사원등록 메뉴에서 “사용여부”가 '여'로 설정된 사원만 조회된다.
  2. 시스템관리자는 '권한설정' 버튼을 이용하여 모든 모듈에 대하여 한번에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3. “조회권한”은 사원등록의 “조회권한”이 자동 반영되지만 변경이 가능하다.
  4. 권한복사 기능을 사용하여 기존 사원의 권한을 동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스템관리자는 '권한설정' 버튼을 이용하여 모든 모듈에 대하여 한번에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가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ERP 시스템에서는 권한 설정이 모듈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관리자는 각 모듈별로 권한 설정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핵심ERP의 [인사/급여환경설정] 화면이다. 이 화면에 대한 설명 으로 옳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중도입사자의 경우 급여 월의 15일 이상을 근무하여야 급여를 지급받는다.
  2. 중도 퇴사자의 경우 근무일자에 관계없이 급여의 전액을 지급받는 다.
  3. 중도입사자의 경우 급여 월의 15일 이상을 근무하면 급여의 전액을 지급받는다.
  4. 중도 퇴사자의 경우 급여 지급일까지 근무하여야 급여를 지급받는 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면에서는 "중도입사자의 경우 급여 월의 15일 이상을 근무하면 급여의 전액을 지급받는다." 라는 내용이 나와있다. 이는 중도입사자가 해당 월의 15일 이전에 입사한 경우에는 그 이후 근무한 일수에 대한 급여만을 지급받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입사일에 따라 해당 월의 급여가 일부분만 지급될 수 있으며, 15일 이후부터는 정상적으로 전액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핵심ERP의 근태/급여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봉제뿐만 아니라 연봉제 급여형태도 관리할 수 있다.
  2. 급여데이터를 자동으로 회계모듈로 전표처리를 할 수 있다.
  3. 인사기초코드 화면에서 지급항목 및 공제항목을 추가 등록 및 삭제할 수 있다.
  4. 급여계산 후 확정된 급여 데이터는 상용직급여입력을 거쳐 급여대장과 회계전표처리 및 원천징수 이행상황신고서등에 자동 반영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사기초코드 화면에서 지급항목 및 공제항목을 추가 등록 및 삭제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핵심ERP의 근태/급여 관리 기능 중 하나로, 인사기초코드 화면에서 지급항목과 공제항목을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어서 유연한 급여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호봉승급에 대한 [인사발령(사원별)] 내역이다. 핵심ERP에서 발령정보가 자동으로 반영되는 메뉴로 옳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근태결과 입력
  2. 책정임금현황
  3. 인사정보등록
  4. 급여대장
(정답률: 알수없음)
  • 인사발령(사원별) 내역은 새로운 인사정보가 추가되거나 변경된 정보가 있을 때마다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를 자동으로 반영하는 메뉴는 "인사정보등록"입니다. 근태결과 입력은 근무시간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메뉴이고, 책정임금현황은 임금을 책정하는 정보를 확인하는 메뉴입니다. 급여대장은 지급된 급여 내역을 확인하는 메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근태/급여관리

5. A회사는 올해부터 전직종에 대해 식사대 100,000원을 매달 지급하기로 하였다. 핵심ERP의 [지급/공제항목설정] 화면에서 [분류여부]와 [계산구분] 설정이 옳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순서대로 분류 여부 / 계산 구분)

  1. 분류 / 금액
  2. 분류 / 계산
  3. 무분류 / 금액
  4. 무분류 / 계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무분류 / 금액"이다.

    분류 여부는 지급/공제 항목을 분류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무분류로 설정한다. 계산 구분은 지급/공제 항목의 금액을 어떻게 계산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단순히 금액으로 지정하면 된다.

    즉, 이 지급 항목은 분류되지 않고, 매달 100,000원이라는 금액이 지급되는 것이므로 "무분류 / 금액"으로 설정하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회사는 올해부터 신규 채용하는 사원에 대해 고용의 안정을 위해 호봉급 급여체계를 채택하기로 하였다. 핵심ERP에서 직원에 대한 급여를 지급하기 위해 처리해야할 순서로 옳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ㄷ ㄴ ㄹ ㄱ ㅁ
  2. ㄹ ㄴ ㄱ ㄷ ㅁ
  3. ㄱ ㄷ ㄴ ㄹ ㅁ
  4. ㄴ ㄷ ㄹ ㄱ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ㄷ ㄴ ㄹ ㄱ ㅁ"이다.

    처리해야할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직원 정보를 입력한다. (ㄷ)
    2. 직급에 따른 호봉을 설정한다. (ㄴ)
    3. 직원의 근무년수에 따라 호봉을 적용한다. (ㄹ)
    4. 급여를 계산한다. (ㄱ)
    5. 지급할 급여를 출력한다. (ㅁ)

    따라서, 직원 정보를 입력하고 호봉을 설정한 후 근무년수에 따라 호봉을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급여를 계산하고 출력하는 순서로 처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핵심ERP의 5월 [상용직급여입력및계산] 화면이다. 이 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5월 급여 지급분에 대한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는 다음달 말일까지 신고 해야 한다.
  2. 안종남 사원의 고용보험 금액은 132,030원 이다.
  3. 상용직급여입력 및 계산을 하려면 반드시 해당 월의 급/상여 지급일자 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4. 급여 계산 후 마감해도 수정 변경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상용직급여입력 및 계산을 하려면 반드시 해당 월의 급/상여 지급일자 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다. 이는 해당 월의 급여 지급일자를 등록하지 않으면 급여 계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상용직급여입력및계산 화면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핵심ERP의 [인사/급여환경설정] 메뉴의 급여계산 및 근태기준 화면이다. 이 기준에 의해 5월 A, B 입/퇴사자의 급여계산을 하면 각각 얼마인가?

  1. 1,575,000원 / 1,500,000원
  2. 1,500,000원 / 1,500,000원
  3. 1,575,000,원 / 1,550,000원
  4. 2,100,000원 / 1,550,0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A 입사자의 경우, 기본급이 1,500,000원이고, 세금과 보험료 등을 제외한 실수령액은 1,575,000원이다. B 입사자의 경우, 기본급이 1,500,000원이고, 지각과 조퇴 등으로 인한 공제가 있어 실수령액은 1,500,000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1,575,000원 / 1,5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핵심ERP의 [인사/급여환경설정] 화면이다. 5월 귀속 급여를 지급할 경우 급여기간으로 옳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사무직 : 급여기간 : 4월 5일 ~ 5월 4일까지
  2. 사무직 : 급여기간 : 4월 14일 ~ 5월 14일까지
  3. 생산직 : 급여기간 : 4월 1일 ~ 4월 30일까지
  4. 생산직 : 급여기간 : 5월 1일 ~ 6월 1일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인사/급여환경설정 화면에서 "급여지급일"을 5월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급여기간은 4월 5일부터 5월 4일까지가 옳습니다. 이는 5월 급여를 지급하기 위해 4월 5일부터 5월 4일까지의 근무기간 동안의 급여를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무직 : 급여기간 : 4월 5일 ~ 5월 4일까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핵심ERP의 [근태결과입력] 화면이다. [보기]를 참고하여 기본급과 연장근로수당을 계산하면 각각 얼마인가?

  1. 기본급 : 2,325,000원, 연장근로수당 : 495,000원
  2. 기본급 : 2,400,000원, 연장근로수당 : 495,000원
  3. 기본급 : 2,655,000원, 연장근로수당 : 495,000원
  4. 기본급 : 2,730,000원, 연장근로수당 : 495,0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근무일수는 21일이며, 기본급은 1일당 110,000원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21일 x 110,000원 = 2,310,000원이 된다. 연장근로시간은 15시간이며, 연장근로수당은 1시간당 33,000원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15시간 x 33,000원 = 495,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기본급 : 2,325,000원, 연장근로수당 : 495,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핵심ERP의 [지급/공제항목설정]을 위해 가장 먼저 실행하여야 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전년복사
  2. 귀속년월일 설정
  3. 일괄등록
  4. 마감취소
(정답률: 알수없음)
  • 마감취소를 먼저 실행해야 합니다. 이는 이미 마감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도록 마감을 취소하는 것으로, 이후 지급/공제항목 설정을 포함한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다른 기능들은 마감취소 이후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핵심ERP의 [급/상여지급일자등록] 화면이다. 이 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2016년 5월 4일 입사자는 2016년 5월 급여를 전액 지급받는다.
  2. 직종 및 월급형태가 사무직, 생산직과 월급 및 일급제만이 5월 상여금 지급대상이 된다.
  3. 퇴사자는 상여대상기간에 근무한 일 수 만큼만 상여금이 지급된다.
  4. 상여지급대상기간 동안 입사한 사원에 대하여 기준일 수 이상으로 근무한 사원은 '월' 계산방식으로, 기준일수 미만으로 근무한 사원은 '일' 계산방식으로 상여금을 지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면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2016년 5월 4일 입사자는 2016년 5월 급여를 전액 지급받는다."의 이유는, 입사일이 상여지급일 이전이므로 해당 월의 급여를 전액 지급받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사 시뮬레이션

13. 회사는 2016년 06월 [600. 과장] 직급의 호봉을 새로 반영하였다. 직전 호봉테이블 기준 8% 인상 적용 시 과장 8호봉의 '호봉합계' 금액은 얼마인가 ?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4,212,000 원
  2. 4,548,960 원
  3. 4,472,000 원
  4. 4,829,760 원
(정답률: 알수없음)
  • 과장 8호봉의 직전 호봉합계 금액을 호봉테이블에서 찾아보면 4,212,000 원이다. 이 금액에 8%를 적용하여 계산하면 4,548,960 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48,960 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당 회사는 2016년 5월 27일 '2016년 1분기 인사고과'를 실시하였다. <회사본사> 사업장의 고과자 중 '1등급' 고과자들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단, 퇴사자는 제외한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강민우 / 김수영
  2. 김화은 / 박지성
  3. 김희수 / 박지성
  4. 정수연 / 이현우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2016년 1분기 인사고과'에서 '1등급' 고과를 받은 고과자들 중 퇴사자를 제외한 사람들이다. 보기에서는 '김희수 / 박지성'이 '1등급' 고과를 받았고, 퇴사자는 없으므로 정답은 '김희수 / 박지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2016년 5월 '이종현' 사원의 책정임금을 새로 계약하였다. [보기]와 같이 책정임금을 새로 등록하고, 2016년5월 귀속 <급여계산> 시 '소득세' 와 '지방소득세'는 얼마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소득세 : 81,420원 / 지방소득세 : 8,140원
  2. 소득세 : 83,140원 / 지방소득세 : 8,310원
  3. 소득세 : 134,880원 / 지방소득세 : 13,480원
  4. 소득세 : 166,670원 / 지방소득세 : 16,660원
(정답률: 알수없음)
  • 책정임금이 4,000,000원이므로, 연간 총 급여액은 48,000,000원이 된다. 이에 따라 연간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계산하면, 소득세는 166,670원, 지방소득세는 16,660원이 된다. 이는 귀속월인 5월의 급여액에 대한 세금이므로, 월마다 계산한 세금을 더한 값이 연간 세금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당 회사는 일용직 사원에 대해 평일 8시간을 근무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2016년 5월 귀속 '일정기간지급'기준 지급대상자들의 급여 계산 시, 지급 내역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단, 그 외 급여계산에 필요한 조건은 프로그램에 등록된 기준을 이용한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해당 지급일자의 근무일수는 22일이다.
  2. 해당 지급일자의 일용직 지급인원은 모두 5명이다.
  3. 해당 지급일자의 실지급액은 실지급액은 총 '12,666,580원' 이다.
  4. 해당 지급일자의 일용직 사원 모두 건강보험료를 징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지급일자의 일용직 사원 모두 건강보험료를 징수하는 이유는 법적 의무이기 때문이다. 모든 근로자는 건강보험에 가입해야 하며, 고용주는 근로자의 급여에서 건강보험료를 공제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납부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 지급일자의 일용직 사원 모두 건강보험료를 징수하는 것은 법적으로 의무적인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당 회사는 '2016년 1분기 내부교육' 대상자 중 평가 우수자에 대해 '교육수당'을 지급하기로 하였다. 아래 [보기]의 기준에 따라, '교육수당' 지급 대상자로 바른 것은 무엇인가? 단, 퇴직자는 제외한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김종욱 / 노희선
  2. 노희선 / 이호재
  3. 박국현 / 박용덕
  4. 이종현 / 한국민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김종욱과 노희선은 모두 1분기 내부교육 대상자이며, 평가 결과 우수자로 선발되었다. 또한, 퇴직자는 제외되므로 이들은 교육수당을 지급받을 대상이 된다. 다른 보기의 인원들은 평가 결과가 나오지 않았거나 우수자로 선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육수당을 지급받을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당 회사는 전 사업장에 대해 2016년 1분기(2016.01.01~2016.03.31) 급여지급현황을 확인하고자 한다. 2016년 1분기 동안의 '과세총액' 및 '비과세총액'은 얼마인가? 단, <사용자부담금>은 '제외' 한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과세총액 : 222,576,000원 / 비과세총액 : 6,845,160원
  2. 과세총액 : 222,576,000원 / 비과세총액 : 13,738,210원
  3. 과세총액 : 229,421,160원 / 비과세총액 : 23,175,980원
  4. 과세총액 : 236,314,210원 / 비과세총액 : 23,175,980원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2016년 1분기 동안의 급여지급현황을 확인하고, 과세총액과 비과세총액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시뮬레이션 메뉴에서 급여지급현황을 선택하고, 2016년 1분기를 선택하여 해당 기간 동안의 급여지급 내역을 확인한다.

    과세총액은 과세 대상이 되는 급여 항목의 총액을 의미하며, 비과세총액은 비과세 대상이 되는 급여 항목의 총액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사용자부담금을 제외하고 과세총액과 비과세총액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사용자부담금을 제외한 급여 항목들의 총액을 각각 구하여 더해주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과세총액 : 222,576,000원 / 비과세총액 : 6,845,16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당 회사는 사원 별 근태에 따라 '기본급' 등 각 수당을 지급한다. 2016년5월 귀속 '김윤미' 사원의 근태 정보를 확인하고 [보기]에 따라 '기본급'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프로그램에 등록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며, 원단위 금액은 절사한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1,771,400원
  2. 1,787,030원
  3. 1,802,660원
  4. 1,818,290원
(정답률: 알수없음)
  • 김윤미 사원의 기본급은 1,500,000원이며, 근태에 따라 추가 수당이 지급된다. 출근일수는 22일이고, 지각은 2회, 조퇴는 1회, 결근은 없으며, 연차는 1일 사용했다. 따라서, 지각 수당(-10,000원 × 2회)은 -20,000원, 조퇴 수당(-10,000원 × 1회)은 -10,000원, 연차 사용으로 인한 감면액(-75,000원)을 고려하여 총 수당은 -105,000원이다. 따라서, 기본급(1,500,000원)과 총 수당(-105,000원)을 합산한 금액인 1,395,000원에 세금(10%)을 곱한 후, 원단위로 절사하여 계산하면 1,787,03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당 회사의 <인천지점> '이성준' 사원의 급/상여 지급액 등 변동사항을 확인하고자 한다. 2016년 4월 변동 상태에 대해 틀린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단, 모든 기준은 조회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확인한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자격수당'은 변동이 없다.
  2. '사회보험부담금'은 증가하였다.
  3. 지급한 총 합계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4.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은 변동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보험부담금'은 증가하였다." 이유 때문에 지급한 총 합계가 감소하였다. 사회보험부담금이 증가하면 이성준 사원의 실제 수령액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